KR102532994B1 - 리프팅 시간이 단축된 피부 리프팅 화장료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리프팅 화장품 - Google Patents

리프팅 시간이 단축된 피부 리프팅 화장료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리프팅 화장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2994B1
KR102532994B1 KR1020220031875A KR20220031875A KR102532994B1 KR 102532994 B1 KR102532994 B1 KR 102532994B1 KR 1020220031875 A KR1020220031875 A KR 1020220031875A KR 20220031875 A KR20220031875 A KR 20220031875A KR 102532994 B1 KR102532994 B1 KR 1025329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kin
agent
mixed solution
cosm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1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서철
유민지
Original Assignee
기서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서철 filed Critical 기서철
Priority to KR1020220031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29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2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29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6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5Hydroxycarboxylic acids; Keto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1Vitamin A; Derivatives thereof, e.g. ester of vitamin A acid, ester of retinol, retinol, retin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7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or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Compositions or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g. vinylimidazol, vinylcaprolactame, allylamines (Polyquaternium 6)
    • A61K8/8176Homopolymers of N-vinyl-pyrrolido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프팅 시간이 단축된 피부 리프팅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얇게 도포 후, 60초 이내 즉각적으로 피부를 수축시켜 피부 주름 개선이 우수하면서 피부의 광(光)을 개선시켜주는 피부 리프팅 화장품, 이의 제조에 사용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리프팅 시간이 단축된 피부 리프팅 화장료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리프팅 화장품{Costmetic compostions for skin lifing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O/W type cosmetics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리프팅 시간이 단축된 피부 리프팅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얇게 도포 후 60초 이내 즉각적으로 피부를 수축시켜 피부 주름 개선이 우수하면서 피부의 광(光)을 개선시켜주는 피부 리프팅 화장품, 이의 제조에 사용되는 리프팅 시간이 단축된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피부의 주름과 노화 등의 발생 원인에는 여러 가지 있지만, 피부에 유해한 과산화지질의 증가와 색소 침착 등이 주요 원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피부의 혈액순환이 좋지 않은 경우, 영양이 불충분한 경우, 진피속의 탄력 섬유질이 퇴화 및 위축되는 경우, 활성산소에 의한 자유라디칼이 생성되는 경우, 콜라겐이 부족한 경우 및 탄력섬유질의 분해 요소인 엘라스라제의 활성이 증가한 경우 등의 다양한 원인에 의해 피부의 탄력성과 모공의 수축성이 약화되어 피부에 주름과 노화 등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피부의 미용과 건강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피부 개선을 위한 기능성 물질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가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레티놀(비타민 A), AHA(a-hydroxy acid) 및 아데노신 등은 콜라겐의 합성을 증가시키고, 표피 각화 과정을 정상화시켜 피부 재생에 기여하는 기능성 물질로 알려져 화장료 조성물에는 주로 위와 같은 기능성 물질이 함유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능성 물질은 대부분 합성 물질로서, 이는 화장료 제형에 균일하게 분산되기 어렵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눈에 대한 자극성, 임산부의 사용 제한, 부스럼증 및 가려움증(소양증) 등의 부작용을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에, 최근 소비자들은 합성 물질보다는 천연 물질을 선호하고 있다. 또한, 천연 물질은 천연 한방 약재(식물)로부터 추출한 약재 추출물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70736호에는 지황, 석창포, 황백, 고삼, 죽엽, 자초, 편축, 목근피, 관동화, 장군피 및 목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56059호에는 자감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36302호에는 차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 및 피부 주름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이 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02834호에는 고삼추출물 마이크로캡슐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천연 약재 추출물은 인체에는 무해할 수 있으나, 이는 피부 흡수능이 떨어져 피부 주름이나 노화 개선등에 충분한 효과를 보여주지 못하거나, 그 사용량에 비해 효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피부 주름 개선을 위한 유효성분으로 규산염을 사용하는 기술이 제안되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03749호에는 규산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제시되어 있다. 규산염은 피부 주름 개선과 함께 항산화력을 가져 피부 노화 방지에 유효할 수 있다.
그러나 규산염은, 예를 들어 수상에서 분산 안정성 등이 떨어져 경우에 따라서는 상분리(층분리)가 일어날 수 있고, 이는 특히 백탁 현상(도포, 건조 후 피부에 하얗게 남는 현상)을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규산염을 함유한 종래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분리에 의해 제형 안정성이 떨어지고, 무엇보다 피부 도포 후 백탁 현상을 발생시켜 피부에 하얀 얼룩이나 피막이 형성되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681952호에는 2종의 규산염을 이용한 피부 개선 화장료를 개발된 바 있는데, 백탁현상을 개선하고, 피부 주름 개선 효과는 우수하나, 피부 당김이 너무 강하고, 보습성이 부족하여 크랙 현상이 발생하여 상품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02834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03749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681952호
본 발명은 피부에 직접 접촉하는 제품 특성 상, 인체에 직접 접촉해도 인체에 무해하고 피부 트러블이 없으면서, 얇게 도포 후 60초 이내 즉각적으로 피부 리프팅 및 피부광(光)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리프팅 시간이 단축된 피부 리프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금속이온봉쇄제, 주름개선제, 점증제, 안정제, 제1 pH 조절제, 제2 pH 조절제, 피막형성제, 피부컨디셔닝제, 방부제 및 용제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혼합하여 제조한 리프팅 시간이 단축된 피부 리프팅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피부 리프팅 화장료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용제, 금속이온봉쇄제 및 주름개선제를 균일하게 혼합한 후, 점증제 및 안정제를 투입한 후, 교반하여 완전 용해시켜서 제1혼합액을 제조하는 1단계; 제1혼합액에 제1 pH조절제를 투입한 다음 균일하게 혼합시켜 제2혼합액을 제조하는 2단계; 제2혼합액에 피막형성제를 투입한 다음 균일 혼합하여 제3혼합액을 제조하는 3단계; 제3혼합액에 제2 pH 조절제를 투입한 다음 균일하게 혼합시켜 제4혼합액을 제조하는 4단계; 제4혼합액에 피부컨디셔닝제 및 방부제를 투입한 다음 균일하게 혼합시켜 제5혼합액을 제조하는 5단계; 및 제5혼합액을 숙성시키는 6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을 수행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피부 리프팅 화장료를 이용한 액상, 젤상, 에멀젼상, 크림상, 패치타입 또는 마스크팩 타입 또는 파운데이션 타입 제형의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 시간이 단축된 피부 리프팅 화장료는 얇게 도포 후 60초 이내 즉각적으로 피부를 수축시켜 피부 주름 개선이 우수하면서도, 피부보습 및 탄력을 개선하여 피부의 광(光)을 개선시켜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적절한 강도로 피부 수축을 시켜서 크랙 현상이 없고, 백탁 현상도 없으면서 사용감이 우수한 피부 개선 화장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의 A, B 는 실험예 1에서 실시한 비교예 1 화장료를 손등에 도포 후, 찍은 사진이다.
도 2는 실험예 1에서 실시한 실시예 1 화장료를 손등에 도포한 후, 찍은 사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시간이 단축된 피부 리프팅 화장료 조성물에서 자극을 개선하기 전(비교예1)과 후를 비교한 사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시간이 단축된 피부 리프팅 화장료 조성물에서 백탁 및 크랙현상을 개선하기 전(비교예1)과 후를 비교한 사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시간이 단축된 피부 리프팅 화장료 조성물에서 피부의 광(光)을 개선하기 전(비교예1)과 후를 비교한 사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시간이 단축된 피부 리프팅 화장료 조성물에서 피부의 광(光)을 개선하기 전(실시예4)과 후를 비교한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시간이 단축된 피부 리프팅 화장료 조성물의 즉각적 리프팅 효과 확인 사진이다.
도 8 및 도 9는 실험예 5에서 실시한 비교예 1 및 실시예 5의 피부 리프팅 화장료 조성물 각각의 즉각적 리프팅 효과 확인 사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하나 이상" 또는 "1종 이상"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복수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제1" 및 "제2" 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며, 각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피부 개선 기능(피부 개선능)"은 피부 주름 개선(주름 완화), 피부 탄력 개선, 피부의 노화 방지, 피부 탄력 개선, 피부 미백, 피부 트러블 방지 및 피지 분비 방지 등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이하 본 발명을 리프팅 시간이 단축된 피부 리프팅 화장료를 제조하는 방법을 통해서 더욱 자세하게 설명을 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용제, 금속이온봉쇄제 및 주름개선제를 균일하게 혼합한 후, 점증제 및 안정제를 투입한 후, 교반하여 완전 용해시켜서 제1혼합액을 제조하는 1단계; 1단계의 혼합액에 제1 pH조절제를 투입한 다음 균일하게 혼합시켜 제2혼합액을 제조하는 2단계; 제2혼합액에 피막형성제를 투입한 다음 균일 혼합하여 제3혼합액을 제조하는 3단계; 제3혼합액에 제2 pH 조절제를 투입한 다음 균일하게 혼합시켜 제4혼합액을 제조하는 4단계; 제4혼합액에 피부컨디셔닝제 및 방부제를 투입한 다음 균일하게 혼합시켜 제5혼합액을 제조하는 5단계; 및 제5혼합액을 숙성시키는 6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을 수행하여 제조한다.
1단계는 제1혼합액을 제조하는 공정으로서, 반응기에서 용제, 금속이온봉쇄제, 주름개선제, 점증제 및 안정제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1단계의 용제는 물 및 알코올 수용액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물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물은 정제수 및/또는 증류수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화장료 내 용제의 함량은 화장료 전체 100 중량% 1 ~ 6단계에서 사용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외한 나머지 잔량의 중량%이다.
1단계의 상기 금속이온봉쇄제는 피막형성제에 의해 형성되는 피부 피막의 백탁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금속이온봉쇄제는 EDTA(ethylene diamine tetraacetic acid)염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소듐 EDTA(EDTA-Na), 디소듐 EDTA(EDTA-2Na), 테트라소듐 EDTA(Tetrasodium EDTA, EDTA-4Na), 포타슘 EDTA(EDTA-K), 디포타슘 EDTA(EDTA-2K) 및/또는 칼슘 EDTA(EDTA-Ca)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디소듐 EDTA(EDTA-2Na), 및/또는 테트라소듐 EDTA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금속이온봉쇄제의 사용량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 중 0.05 ~ 1.0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5 ~ 0.5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 0.35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금속이온봉쇄제 함량이 0.05 중량% 미만이면 화장료(및 이로 제조한 화장품)을 보관시 또는 피부에 바른 후, 백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1.00 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하는 경우, 피부 바른 후, 피부 트러블 및/또는 크랙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주름개선제 등의 피부 개선 성분의 피부 흡수를 방해할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1단계의 상기 주름개선제는 피부에 피부 개선 성분을 제공하는 물질로서, 당업계에서 사용하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주름개선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아데노신, 레티놀(또는 비타민 A) 및 AHA(a-hydroxy acid)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바람직하게는 아데노신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주름개선제의 사용량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 중 0.01 ~ 1.00 중량%,바람직하게는 0.01 ~ 0.4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 0.2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주름개선제의 사용량이 0.01 중량% 미만이면, 그 사용량이 너무 적어서 이의 사용으로 인한 주름개선 효과가 미비할 수 있고, 1.00 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하더라도 피부 주름 개선 효과 증대가 더 이상 없으므로 비경제적이다.
1단계의 상기 점증제는 화장료의 점도를 증대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리튬마그네슘소듐실리케이트, 잔탄검 및 셀룰로오스 검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리튬마그네슘소듐실리케이트, 잔탄검 및 셀룰로오스 검을 1 : 1.0 ~ 2.0 : 2.0 ~ 4.0 중량비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리튬마그네슘소듐실리케이트, 잔탄검 및 셀룰로오스 검을 1 : 1.5 ~ 1.8 : 2.25 ~ 3.20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점증제의 사용량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 중 1.0 ~ 4.0 중량%를, 바람직하게는 1.5 ~ 3.8 중량%를,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 3.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점증제의 함량이 1.0 중량% 미만이면 화장료의 점도가 너무 낮아서 사용감이 좋지 않고, 전반적으로 화장료의 분산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으며, 점증제의 함량이 4.0 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화장료의 점도가 너무 높아서 화장료 조성물간 혼화성이 떨어지고, 끈쩍한 느낌이 너무 강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1단계의 상기 안정제는 안정적인 피막 형성, 피막 형성제의 화장료 내의 균질성, 화장료의 피부 발림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풀루란(pullulan)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안정제의 사용량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 중 0.01 ~ 2.0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0 ~ 1.5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50 ~ 1.50 중량%, 더 더욱 바람직하게는 0.80 ~ 1.20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때, 안정제의 함량이 0.01 중량% 미만이면 피막 형성제의 안정적인 피막 형성성이 좋지 못하고, 화장료의 피부 발림성이 좋지 못할 수 있으며, 안정제의 사용량이 2.00 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오히려 피막 형성제의 피막 형성성을 저조하게 할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2단계는 1단계에서 제조한 제1혼합액에 pH 조절제를 첨가하여 3단계의 피막형성제가 제1혼합액과 잘 혼화 및 용해 되도록 하기 위하여, pH를 조절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1 pH조절제는 조절제는 5.0 ~ 10.0 중량% 농도의, 바람직하게는 6.0 ~ 10.0 중량% 농도의, 더욱 바람직하게는 7.5 ~ 9.0 중량% 농도의 유기산 수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제1 pH조절제의 농도가 5.0 중량% 미만이면 제2혼합액의 pH가 높아서 피막형성제 성분 중 가교제 성분이 제2혼합액에 잘 용해되지 않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며, 10 중량%를 초과하면 피막형성제 성분 중 소듐메타실리케이트가 용해되기 전에 안정화가 깨져서 석출되는 성분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pH 조절제로서, 유기산 수용액은 구연산, 글리시리진산, 구연산, 살리실산, 스테아린산, 아미노산, 아스코르빈산, 아젤레익산, 아시아틱산, 옥살산, 마데카식산, 히알루로닉산, 글루타믹산, 글리시레틴산, 락트산, 리놀레익산, 말릭산, 소르빈산, 스테아릭산, 아스파틱산, 에리소르빅산, 올레익산, 타르타르산, 소르빈산 및 알긴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유기산을 물에 용해시켜서 제조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2단계에서 제1pH 조절제의 첨가량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 중 4.0 ~ 7.0 중량%, 바람직하게는 4.5 ~ 6.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4.8 ~ 5.6 중량% 정도로 투입하는 것이 피막형성제의 용해, 제형 안정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3단계는 제1 pH 조절제를 혼합하여 제조한 제2혼합액에 피막형성제를 투입한 후, 교반하여 피막형성제가 용해된 제3 혼합액을 제조하는 공정으로서, 상기 피막형성제는 소듐메타실리케이트 및 가교제를 1 : 0.05 ~ 0.35 중량비로, 바람직하게는 1 : 0.10 ~ 0.30 중량비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0.15 ~ 0.25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가교제 사용량이 0.05 중량비 미만이면 피막 형성이 잘 되지 않으며, 피부 수축 효과가 떨어질 수 있고, 가교제 사용량이 0.35 중량비 미만이면 화장료의 피부 발림성이 좋지 않고, 피부 도포 후 화장료가 백탁화되고, 크랙이 발생할 수 있다.
피막형성제 성분 중 상기 가교제는 소듐메타실리케이트와 결합하여 화장료를 피부 도피시 얇은 막을 형성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폴리비닐피롤리돈(PVP) 및 폴리비닐알코올(PVA)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피막형성제의 사용량은 화장료 전체 중량 중 2.0 ~ 6.0 중량%, 바람직하게는 2.0 ~ 4.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2 ~ 4.0 중량%이 되도록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피막형성제 함량이 2.0 중량% 미만이면 화장료를 피부 도포 후, 피막형성이 잘 되지 않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6.0 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오히려 피부 도포 후 크랙이 발생하고, 피부 발림성이 좋지 않을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4단계는 피막형성제가 완전히 용해된 제3혼합액에 제2 pH 조절제를 투입하여 피막형성제 투입으로 인해 상승된pH를 낮춰서, 제형 안정화 및 소듐메타실리케이트의 유리화를 개선시키기 위한 공정으로서, 상기 제2 pH 조절제는 14.0 ~ 18.0 중량% 농도의, 바람직하게는 14.5 ~ 17.5 중량% 농도의, 더욱 바람직하게는 14.5 ~ 16.5 중량% 농도의 유기산 수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제2 pH 조절제 사용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피막형성제 성분인 소듐메타실리케이트의 유리화가 증가하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리프팅 효능을 감소시키고 제형 안정화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다음으로, 5단계는 제2 pH조절제로 pH 조절한 제4혼합액에 피부컨디셔닝제 및 방부제를 투입하여 제5혼합액을 제조하는 공정으로서, 상기 피부컨디셔닝제는 엑소좀 및 코팅스피큘을 1 : 1.5 ~ 3.0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피부컨디셔닝제의 사용량은 화장료 전체 중량 중 0.50 ~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0.50 ~ 2.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65 ~ 1.75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다른 조성들과의 혼화성, 피부 흡수성 등의 측면에서 유리하다.
그리고, 상기 방부제로는 화장업계에서 사용하는 일반적인 방부제 성분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한 일례를 들면, 1,2-헥산다이올, 에틸헥실글리세린, 페녹시에탄올, 프로판디올, 에틸헥산디올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2-헥산다이올 및 에틸헥실글리세린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방부제의 사용량은 화장료 전체 중량 중 0.50 ~ 3.5 중량%, 바람직하게는 1.00 ~ 3.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 2.60 중량% 정도를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과량 사용시 피부 트러블을 유발할 수 있고, 0.50 중량% 미만으로 사용시 화장료의 장기 보존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5단계에서, 상기 피부컨디셔닝제, 방부제 외에 본 발명의 주름 개선 효과를 감소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보습제, 미백제, 항산화제, 자외선 차단제 및 향료 등을 더 투입하여 제5혼합액을 제조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6단계는 제5혼합액을 숙성시키는 공정으로서, 15 ~ 25℃ 하에서 24 ~ 48 시간 동안, 바람직하게는 15 ~ 20℃ 하에서 24 ~ 36 시간 동안, 보관하여 숙성을 수행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본 발명의 화장료는 pH 6.00 ~ 9.00, 바람직하게는 pH 6.00 ~ 8.60, 더욱 바람직하게는 pH 7.00 ~ 8.20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이상에서 설명한 성분들을 포함하며, 그의 종류나 제형에 따른 화장품 베이스(cosmetic base)를 포함할 수 있으며, 화장료 베이스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화장품 베이스는 제조하고자 하는 화장품의 제형에 따라 다양하게 조성될 수 있다. 화장료 베이스는 제품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예를 들어 계면활성제(음이온성, 양이온성, 비이온성, 양쪽 이온성 등), 유화제, 유화 안정제, 글리콜류, 알코올류, 보습제, 컨디셔닝제, 점도조절제, 킬레이팅제, 자외선 차단제 및 향료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화장품 베이스를 구성하는 각 성분은 통상과 같이 조성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화장료를 이용한 피부 리프팅 화장품은 액상, 젤상, 에멀젼상, 크림상, 패치타입 또는 마스크팩 타입 또는 파운데이션 타입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바람직한 일 구현예를 들면,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젤,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아이크림, 아이에센스, 에센스, 클렌징크림, 클렌징로션,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바디로션, 바디크림, 바디에센스, 패취, 얼굴 마스크, 분무제 및/또는 피부 접착타입의 화장품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하지만, 하기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반응기에 용제로서 정제수, 다이소듐EDTA(금속이온봉쇄제) 및 아데노신(주름개선제)를 투입한 후, 교반하여 혼합한 후, 점증제 및 풀루란(안정제)를 투입한 후, 교반하여 완전 용해시켜서 제1혼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점증제는 리튬마그네슘소듐실리케이트, 잔탄검 및 셀룰로오스 검을 1 : 1.67 : 2.70 중량비로 투입하였다.
다음으로, 제1혼합액에 8.27 중량% 농도의 구연산 수용액(제1 pH 조절제)을 투입하여 pH를 조절하여 제2혼합액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제2혼합액에 피막형성제를 투입한 다음 교반하여, 균일 혼합된 제3혼합액을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피막형성제로서 소듐메타실리케이트 및 가교제인 폴리비닐알코올(PVP)를 1 : 0.10 중량비로 투입하였다.
다음으로, 제3혼합액에 18.43 중량% 농도의 구연산 수용액(제2 pH 조절제)을 투입한 다음 균일하게 혼합시켜 제4혼합액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제4혼합액에 피부컨디셔닝제인 엑소좀과 코팅스피큘을 투입하고, 방부제로서 1,2-헥산다이올과 에틸헥실글리세린을 투입한 다음 균일하게 혼합시켜 제5혼합액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제5혼합액을 약 17℃에서 36 시간 동안 숙성시켜서, pH 8.09의 피부 리프팅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 5 및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피부 리프팅 화장료를 제조하되, 하기 표 1과 같이 조성물의 함량을 달리하여 피부 리프팅 화장료를 제조하여 실시예 2 ~ 4 및 비교예 1을 각각 실시하였다.
구분 성분명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1
금속이온봉쇄제 다이소듐EDTA 0.12 0.12 0.12 0.12 0.12 0.12
주름개선제 아데노신 0.04 0.04 0.04 0.04 0.04 0.04
점증제 잔탄검 0.50 0.50 0.50 0.50 0.50 0.50
리튬마그네슘
소듐실리케이트
0.30 0.30 0.30 0.30 0.30 0.30
셀룰로오스검 0.80 0.80 0.80 0.80 0.80 0.80
안정제 풀루란 0.50 0.50 0.70 0.80 1.00 0.50
pH조절제 1 정제수 5.00 5.00 5.00 5.00 5.00 -
구연산 0.45 0.45 0.50 0.42 0.45 -
피막형성제 소듐메타
실리케이트
2.00 2.00 2.50 2.00 2.50 2.00
PVP 0.20 - - 0.20 0.50 0.20
PVA - 0.20 0.50 - - -
pH조절제 2 정제수 5.00 5.00 5.00 5.00 5.00 5.00
구연산 0.90 0.90 1.00 0.84 1.13 1.35
피부컨디셔닝제 코팅스피큘 0.01 0.01 0.01 0.01 0.01 0.01
엑소좀 1.00 1.00 1.00 1.00 1.00 1.00
방부제 1,2-헥산다이올 2.00 2.00 2.00 2.00 2.00 2.00
에틸헥실
글리세린
0.03 0.03 0.03 0.03 0.03 0.03
용제 용제 전체 100 중량% 중 나머지 잔량
pH 8.09 8.09 6.04 8.59 7.86 8.11
실험예 1 : 화장료 도포 후, 피부 상태 확인 실험 1
비교예 1 및 실시예 1의 화장료를 손목 또는 손등에 도포한 후, 1분 경과한 후에 찍은 사진을 도 1(비교예 1) 및 도 2(실시예 1)에 나타내었다.
도 1을 살펴보면, 비교예 1의 화장료는 유리화로 인해 생긴 하얀알갱이가 발생하고, 도포된 부위를 손으로 살짝 밀어보면 매끄럽지 못한 제형(알갱이)로 인해 때처럼 밀리는 현상이 매우 심하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반해, 도 2를 살펴보면, pH조절을 2번에 나눠서 제조한 실시예 1의 화장료는 비교예1과 달리 유리화 현상이 개선되어 제형의 안정화로 인해 알갱이가 개선되어 제형, 발림성, 백탁 및 때처럼 밀리는 현상이 개선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 피부 리프팅 평가
실시예 1 ~ 5의 화장료에 대한 피부 리프팅 평가를 모아레(Moire)법 측정 기기를 이용하여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측정은 사용 전 및 사용 후 2주 경과 시점에서 피부 리프팅된 값(R, angle)을 측정하였으며, 피시험자가 2주간 1일 1회 화장료를 얼굴에 도포하도록 하였으며, 시험 기간동안 피부 리프팅 효과가 있는 다른 화장품을 사용하지 않도록 하였다. 그리고, 피부 리프팅 값은 낮아질수록 피부 리프팅 효과가 우수한 것이다.
구분 피부 리프팅 값(R, angle) 개선율(%)
사용 전 사용 2주 후
실시예 1 38.77 34.81 11.38
실시예 2 38.48 34.57 11.31
실시예 3 39.02 24.87 11.90
실시예 4 37.86 33.66 12.48
실시예 5 38.69 33.97 13.89
비교예 1 38.23 34.65 10.33
실험예 3 : 피험자에 의한 피부 체감 효능 설문 평가
본 발명에 의한 즉각 리프팅 정도, 주름개선 정도, 모공 수축 정도, 피부 보습감 정도, 피부 자극 정도(점수가 높을수록 저자극임), 제품에 대한 만족도를 체감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1 ~ 5와 비교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을 가지고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사용 전과 사용 후의 피부 체감효능을 설문 조사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100점 만점).
피험자의 피부 체감 효능 설문 평가 (100점 만점)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1
사용
즉시
사용
2주
사용
즉시
사용
2주
사용
즉시
사용
즉시
사용
2주
사용
2주
사용
즉시
사용
2주
사용
즉시
사용
2주
즉각 리프팅 정도 89 89 87 85 89 87 92 92 95 92 67 65
주름개선 정도
(리프팅력)
88 86 87 86 89 88 90 91 95 94 55 49
백탁 정도 90 88 90 88 89 87 90 90 93 91 58 59
피부 보습감 정도 59 56 57 55 60 57 60 59 65 59 57 55
피부 자극 정도 85 85 88 89 85 84 96 95 95 95 79 78
제형 (발림성) 정도 89 89 88 88 74 77 94 94 96 94 26 22
광 정도 80 79 87 86 84 80 97 96 99 98 77 69
상기 표 3의 피부 체감 효능 측정 결과를 살펴보면, 실시예 1 ~ 5의 화장료는 즉각적 리프팅 효과와 주름개선 효과를 체감적으로 높게 느끼고 저자극으로 판단하는 반면에, 비교예 1은 효능이 떨어지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리고, 실시예 1 ~ 실시예 4 보다 실시예 5가 전반적으로 우수한 피부 개선 효과가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실험예 4 : 화장료 도포 후, 피부 상태 확인 실험 2
비교예 1과 실시예 4의 화장료에 대한 도포 후, 50~60초 사이에 찍은 사진을 도 3 ~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3은 비교예1과 실시예 4의 화장료가 도포된 피부를 비교한 사진이며, 비교예 1보다 실시예 4가 피부 리프팅 효과가 더 우수함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4는 비교예1과 실시예 4의 화장료가 도포된 피부를 비교한 사진으로서, 비교예 1은 백탁 및 크랙 현상을 발생하는 문제가 있으나, 실시예 4는 백탁 및 크랙 현상이 발생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5의 A와 B는 비교예 1의 화장료 도포 전 및 도포 후 50초 경과시점에서 찍은 사진이고, 도 6의 A와 B는 실시예 4의 화장료 도포 전후의 피부 광(光) 개선을 확인한 사진으로서, 비교예 1에 비해 실시예 4의 화장료가 광 개선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7의 A(0초) 및 B(53초 경과)는 실시예 4의 화장료 도포 전후에 찍은 사진으로서, 즉각적 리프팅 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5 : 화장료 도포 후, 피부 상태 확인 실험 3
비교예 1의 화장료에 대한 도포 전 및 도포 후, 90초 경과 후 사진을 도 8의 A~D에 나타내었으며, 실시예 5의 화장료에 대한 도포 전 및 30초 경과 후 사진을 도 9의 A~C에 나타내었다.
도 8 및 도 9를 살펴보면, 비교예 1에 비해 실시예 5의 화장료가 매우 빠른 시간내 즉각적인 피부 리프팅 효과가 발현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피부 리프팅 화장료가 백탁, 크랙 현상이 없으면서, 즉각적인 피부 리프팅 및 광택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액상, 젤상, 에멀젼상, 크림상 또는 파운데이션 타입 제형 화장품의 화장료로서,
    용제, 금속이온봉쇄제 및 주름개선제를 균일하게 혼합한 후, 점증제 및 안정제를 투입한 후, 교반하여 완전 용해시켜서 제1혼합액을 제조하는 1단계;
    제1혼합액에 제1 pH조절제를 투입한 다음 균일하게 혼합시켜 제2혼합액을 제조하는 2단계;
    제2혼합액에 피막형성제를 투입한 다음 균일 혼합하여 제3혼합액을 제조하는 3단계;
    제3혼합액에 제2 pH 조절제를 투입한 다음 균일하게 혼합시켜 제4혼합액을 제조하는 4단계;
    제4혼합액에 피부컨디셔닝제 및 방부제를 투입한 다음 균일하게 혼합시켜 제5혼합액을 제조하는 5단계; 및
    제5혼합액을 숙성시키는 6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을 수행하여 제조하며,
    6단계의 제5혼합액은 금속이온봉쇄제 0.05 ~ 1.00 중량%, 주름개선제 0.01 ~ 1.00 중량%, 점증제 1.5 ~ 3.0 중량%, 안정제 0.50 ~ 1.50 중량%, 제1 pH 조절제 4.0 ~ 7.0 중량%, 제2 pH 조절제 5.0 ~ 8.0 중량%, 피막형성제 2.0 ~ 4.0 중량%, 피부컨디셔닝제 0.50 ~ 3.0 중량%, 방부제 0.5 ~ 3.5 중량% 및 100 중량% 중 나머지 잔량의 용제를 포함하고,
    상기 주름개선제는 아데노신, 레티놀(비타민 A) 및 AHA(a-hydroxy acid)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점증제는 리튬마그네슘소듐실리케이트, 잔탄검 및 셀룰로오스 검을 1 : 1.0 ~ 2.0 : 2.0 ~ 4.0 중량비로 포함하며,
    상기 안정제는 풀루란을 포함하고,
    상기 피막형성제는 소듐메타실리케이트 및 가교제를 1:0.05 ~ 0.35 중량비로 포함하며,
    상기 가교제는 폴리비닐피롤리돈(PVP) 및 폴리비닐알코올(PVA)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가교제;를 포함하고,
    상기 피부컨디셔닝제는 엑소좀 및 코팅스피큘을 포함하며,
    상기 제1 pH 조절제는 5.0 ~ 10.0 중량% 농도의 유기산 수용액을 포함하고,
    상기 제2 pH 조절제는 14.0 ~ 18.0 중량% 농도의 유기산 수용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시간이 단축된 피부 리프팅 화장료의 제조방법.
  10. 삭제
KR1020220031875A 2022-03-15 2022-03-15 리프팅 시간이 단축된 피부 리프팅 화장료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리프팅 화장품 KR1025329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1875A KR102532994B1 (ko) 2022-03-15 2022-03-15 리프팅 시간이 단축된 피부 리프팅 화장료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리프팅 화장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1875A KR102532994B1 (ko) 2022-03-15 2022-03-15 리프팅 시간이 단축된 피부 리프팅 화장료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리프팅 화장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2994B1 true KR102532994B1 (ko) 2023-05-17

Family

ID=86547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1875A KR102532994B1 (ko) 2022-03-15 2022-03-15 리프팅 시간이 단축된 피부 리프팅 화장료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리프팅 화장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2994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3749A (ko) 2010-07-05 2012-01-11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규산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061778A (ko) * 2011-12-02 2013-06-12 주식회사 에스알바이오텍 코팅된 순수 마이크로 골편을 포함하는 피부 필링용 조성물
KR20150102834A (ko) 2014-02-28 2015-09-08 소망화장품주식회사 고삼추출물 함유 마이크로캡슐 및 이를 이용한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JP2015209396A (ja) * 2014-04-25 2015-11-24 株式会社アイフォーレ 金属フタロシアニン誘導体含有化粧料
KR101667937B1 (ko) * 2016-01-05 2016-10-24 한국콜마주식회사 필-오프타입 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681952B1 (ko) 2016-07-25 2016-12-02 김종회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79548B1 (ko) * 2020-12-30 2021-07-21 (주)나우코스 피부 리프팅 화장료 조성물
KR102348510B1 (ko) * 2021-08-27 2022-01-07 주식회사 에이바이오머티리얼즈 붓꽃 구근 유래 엑소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3749A (ko) 2010-07-05 2012-01-11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규산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061778A (ko) * 2011-12-02 2013-06-12 주식회사 에스알바이오텍 코팅된 순수 마이크로 골편을 포함하는 피부 필링용 조성물
KR20150102834A (ko) 2014-02-28 2015-09-08 소망화장품주식회사 고삼추출물 함유 마이크로캡슐 및 이를 이용한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JP2015209396A (ja) * 2014-04-25 2015-11-24 株式会社アイフォーレ 金属フタロシアニン誘導体含有化粧料
KR101667937B1 (ko) * 2016-01-05 2016-10-24 한국콜마주식회사 필-오프타입 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681952B1 (ko) 2016-07-25 2016-12-02 김종회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79548B1 (ko) * 2020-12-30 2021-07-21 (주)나우코스 피부 리프팅 화장료 조성물
KR102348510B1 (ko) * 2021-08-27 2022-01-07 주식회사 에이바이오머티리얼즈 붓꽃 구근 유래 엑소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5498B1 (ko) 피부미용 마스크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미용 마스크팩
KR102212787B1 (ko) 미백 기능의 필링제 조성물
KR20220054620A (ko) 2제형 에센스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687599B1 (ko) 보습력이 우수한 저자극성의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27088B1 (ko) 두피 면역력 강화, 항산화 및 탈모예방 기능을 갖는 천연 약산성 샴푸 조성물
KR20180103256A (ko) 달맞이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용 조성물
CN115105453A (zh) 一种具有抗菌、消炎和修复功能的护肤品及其制备方法
KR20190001136A (ko) 올리고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리프팅 팩 조성물
KR20200073970A (ko) 수딩 크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40089266A (ko) 피부미용 효능을 가지는 영양크림 조성물
RU2295951C1 (ru) Композиция для ухода за кожей лица и веками
KR102532994B1 (ko) 리프팅 시간이 단축된 피부 리프팅 화장료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리프팅 화장품
KR101681952B1 (ko)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76289B1 (ko) 모발용 조성물
DE102011088818A1 (de) Pulverförmige Haarkosmetika
KR102252668B1 (ko) 탄력 개선 및 미백 기능의 필링제 조성물
KR101775074B1 (ko) 퍼머넌트 웨이브 조성물
EP3166589B1 (de) Schweisshemmende kosmetische mittel mit speziellen proteinen aus hülsenfrüchten der gattung pisum, welche keine halogenide und/oder hydroxyhalogenide von aluminium und/oder zirconium enthalten"
KR20130088226A (ko) 아마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763736B1 (ko) 효소 처리하여 수득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20180011698A (ko)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61767B1 (ko) 다래나무 수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59309B1 (ko) 아토피 피부염과 건조에 기인한 피부 가려움증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240058770A (ko) 천연 아미노산을 포함하고 즉각적인 주름 개선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23208B1 (ko) 백탁현상이 방지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