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4620A - 2제형 에센스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2제형 에센스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4620A
KR20220054620A KR1020227009408A KR20227009408A KR20220054620A KR 20220054620 A KR20220054620 A KR 20220054620A KR 1020227009408 A KR1020227009408 A KR 1020227009408A KR 20227009408 A KR20227009408 A KR 20227009408A KR 20220054620 A KR20220054620 A KR 202200546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water
weight
butanediol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9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록케 윌리엄
Original Assignee
광저우 바이오호프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저우 바이오호프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저우 바이오호프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54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46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22Chlorophycota or Chlorophyta [green algae], e.g. Chlorell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61K8/375Esters of carboxylic acids the alcohol moiety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0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1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five membered rings, e.g. pyrrolidone carboxyl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ore than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46Imidazole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benzimidaz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e.g. (meth)acrylic acid ester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6Poly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11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2제형 에센스로서, 올레오겔 및 히드로겔을 포함하고, 올레오겔 및 히드로겔은 사용 시 기설정 비율에 따라 혼합되며; 올레오겔은 0.1 ~ 6부의 활성 성분; 15 ~ 35부의 다가알코올; 0.1 ~ 1부의 소듐서팩틴; 10 ~ 70부의 유지 및 1 ~ 10부의 물을 포함한다. 상기 2제형 에센스는 사용 시 기설정 비율에 따라 혼합되며, 올레오겔 및 히드로겔은 외관이 투명하고 안정성이 좋다. 또한, 2제형 에센스의 제조 방법을 공개하며, 올레오겔 및 히드로겔은 별도로 제조되고, D상 유화법을 사용하여 올레오겔을 제조하며, 유화제의 사용량은 적고, 유지가 많은 오일상을 유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2제형 에센스 및 이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스킨 케어 제품의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2제형(two-dosage-form) 에센스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시중에는 물과 분말제의 조합, 화이트 로션과 투명 겔의 조합, 반투명 겔과 투명 겔의 조합 등을 비롯한 다양한 유형의 2제형 에센스가 있다. 예를 들어, 시중의 클라랑스 더블 세럼은 워터-오일의 2제형으로, 큰 튜브를 작은 튜브에 씌워 포장되고, 하나의 펌프로 압출되며; 겔랑 아베이 로얄 더블 R 리뉴 앤 리페어 세럼은 과립이 있는 반투명 겔과 로션의 조합으로, 반투명 겔과 로션은 2개의 튜브에 각각 포장되고, 하나의 펌프로 압출되며; 크리니크 이븐베터 크리니컬 다크스팟 코렉터 앤 옵티마이저는 로션과 겔의 조합으로, 로션과 겔은 2개의 튜브에 각각 포장되고, 사용 시 2개의 펌프로 각각 압출된 후 손으로 섞어주며; 크리니크 ID 로션은 화이트 로션과 투명 겔의 조합으로, 로션과 투명 겔은 큰 튜브를 작은 튜브에 씌우는 형태로 포장되고, 하나의 펌프로 압출된다.
즉, 현재 시중의 2제형 에센스의 주요 조합 방식은 로션과 투명 겔의 조합, 로션과 반투명 겔의 조합이며, 이러한 조합 방식은 피부에 소정의 수분을 제공하여 피부의 상쾌감이 떨어지도록 하고, 2제형 중의 활성 물질이 분리되어 사용 전 혼합이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시중의 기존 제품은 기본적으로 2제형 에센스의 단순한 혼합이며, 포장이 참신하긴 하지만, 즉 2개의 튜브로 분리되어 별도로 압출되거나; 튜브 내에서 혼합되는 것도 있지만; 기본 재료의 혼합은 큰 차이가 없고, 기본적으로 투명 수성 겔에 반투명 유백색 O/W(oil-in-water)의 에센스이다. 올레오겔의 경우, 투명하고 안정적이며 피부 촉감이 좋은 올레오겔을 만드는 것은 비교적 어렵고, 유화제의 선택, 유지의 선택과 매칭 및 다가알코올의 선택은 모두 소정의 요구사항이 있다.
선행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적 1은 사용 시 기설정 비율에 따라 혼합되는 올레오겔 및 히드로겔로 구성되고 올레오겔 및 히드로겔의 외관이 투명하며 안정성이 좋은 2제형 에센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 2는 올레오겔 및 히드로겔이 별도로 제조되고, D상 유화법을 사용하여 올레오겔을 제조하며, 유화제의 사용량이 적고, 유지가 많은 오일상을 유화시킬 수 있는 2제형 에센스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 1은 하기와 같은 기술적 해결수단을 사용하여 구현된다.
2제형 에센스로서, 올레오겔(oleogel) 및 히드로겔(hydrogel)을 포함하고, 상기 올레오겔 및 상기 히드로겔은 사용 시 기설정 비율에 따라 혼합되며; 상기 올레오겔은 중량부를 기준으로 0.1 ~ 6부의 활성 성분; 15 ~ 35부의 다가알코올(polyhydric alcohol); 0.1 ~ 1부의 소듐서팩틴(sodium surfactin); 10 ~ 70부의 유지 및 1 ~ 10부의 물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활성 성분은 0.1 ~ 0.5부의 라미나리아 오크로류카 추출물(LAMINARIA ochroleuca extract) 복합체, 0.1 ~ 0.5부의 갈조 추출물(algae extract) 복합체, 2 ~ 5부의 복합 아미노산 및 0.1 ~ 1부의 눈 주변 혼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다가알코올은 글리세린(glycerine), 프로판디올(propanediol),부탄디올(butanediol), 소르비톨(sorbitol), 글리세레스-26(glycereth-26) 중 임의의 조합이며; 상기 유지는 스위트 아몬드 오일(prunus amygdalus dulcis oil), 카놀라 오일(low erucic acid rapeseed oil), C15-19 알칸(C15-19 alkane), 호호바씨 오일(simmondsia chinensis seed oil), 해바라기씨 오일(sunflower seed oil), 소이빈 오일(soybean oil), 스쿠알란(squalane), 옥틸도데칸올(octyldodecanol), 미네랄 오일(mineral oil), 디메틸실록산(dimethylsiloxane) 및 시클로메티콘(cyclomethicone) 중 임의의 조합이다.
또한, 상기 라미나리아 오크로류카 추출물 복합체는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리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 및 라미나리아 오크로류카 추출물의 조성물이고; 상기 갈조 추출물 복합체는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리드 및 갈조 추출물의 조성물이며; 상기 복합 아미노산은 물, 부탄디올(butanediol), 라이신(lysine), 히스티딘(histidine), 아르기닌(arginine), 아스파르트산(aspartic acid), 트레오닌(threonine), 세린(serine), 글루탐산(glutamic acid), 프롤린(proline), 글리신(glycine), 알라닌(alanine), 발린(valine), 이소류신(isoleucine), 류신(leucine), 티로신(tyrosine) 및 페닐알라닌(phenylalanine)의 조성물이고; 상기 눈 주변 혼합물은 캡시쿰 프루테센스(CAPSICUM FRUTESCENS) 열매 추출물, 자몽(CITRUS PARADISI) 열매 추출물, 부처브룸(RUSCUS ACULEATUS) 뿌리 추출물, 쇠뜨기(EQUISETUM ARVENSE) 추출물, 감초(GLYCYRRHIZA GLABRA) 뿌리 추출물/아스코빌 메틸실라놀 펙티네이트(ascorbyl methylsilanol pectinate), 메틸실라놀 히드록시프롤린 아스파테이트(methylsilanol hydroxyproline aspartate), 디메틸실라놀 히알루로네이트(dimethylsilanol hyaluronate), 아미노에틸포스핀산(AMINOethylphosphinic acid), 프로판디올, 부탄디올, 메틸프로판디올(methylpropanediol), 에탄올(ethanol), 물, PEG-35 캐스터 오일(PEG-35 castor oil), 페녹시에탄올(phenoxyethanol) 및 벤조산나트륨(sodium benzoate)의 조성물이다.
또한, 상기 올레오겔은 중량부를 기준으로 2 ~ 4부의 활성 성분; 20 ~ 30부의 다가알코올; 0.1 ~ 1부의 소듐서팩틴; 40 ~ 65부의 유지; 1 ~ 10부의 물 및 0.001 ~ 1부의 색소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올레오겔은 D상 유화법으로 제조된다.
또한, 상기 히드로겔은 중량부를 기준으로 70 ~ 90부의 용매, 1 ~ 15부의 활성 성분, 0.1 ~ 2부의 증점제, 3 ~ 20부의 보습제, 0 ~ 1부의 중화제, 0.1 ~ 1부의 방부제, 0.001 ~ 0.3부의 향료, 0.01 ~ 1부의 가용화제, 0 ~ 1부의 pH 값 조절제 및 0 ~ 0.5부의 킬레이트제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활성 성분은 항알레르기 활성 물질, 미백 활성 물질, 항당화 활성 물질 또는 항광 활성 물질이다.
또한, 상기 히드로겔은 중량부를 기준으로 70 ~ 90부의 물, 3 ~ 8부의 부탄디올, 3 ~ 10부의 정제된 펩티드 복합체(refined peptide complex), 1 ~ 5부의 피토스테롤(phytosterol) 복합체, 1 ~ 5부의 글리세레스-26, 0.1 ~ 1부의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6(polyacrylate crosspolymer-6), 0.1 ~ 0.5부의 잔탄검(xanthan gum), 0.1 ~ 1부의 방부 복합체, 0.01 ~ 0.2부의 PEG-40 히드로제네티드 캐스터 오일(PEG-40 hydrogenated castor oil) 및 0.01 ~ 0.2부의 향료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정제된 펩티드 복합체는 물, 폴리소르베이트-20(polysorbate-20), 카보머(carbomer), 팔미토일 테트라펩티드-7(palmitoyl tetrapeptide-7), 팔미토일 펜타펩티드-4(palmitoyl pentapeptide-4), 아세틸 헥사펩티드-8(acetyl hexapeptide-8), 글리세린 및 1,2-헥산디올(1,2-hexanediol)의 조성물이고; 상기 피토스테롤 복합체는 물, 프로판디올 및 피토스테롤의 조성물이며; 상기 방부 복합체는 페녹시에탄올, 메틸파라벤(methylparaben), 에틸파라벤(ethylparaben) 및 에틸헥실글리세린(ethylhexylglycerin)의 조성물이거나;
또는, 상기 히드로겔은 중량부를 기준으로 1 ~ 5부의 글리세레스-26, 1 ~ 8부의 부탄디올, 80 ~ 90부의 물, 0.1 ~ 1부의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6, 0.05 ~ 0.5부의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acrylates/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 0.05 ~ 0.5부의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 0.1 ~ 0.5부의 마데카소사이드(madecassoside), 0.5 ~ 2부의 물/글리세린/탱자나무(PONCIRUS TRIFOLIATA) 열매 추출물, 3 ~ 8부의 흰목이버섯(TREMELLA FUCIFORMIS) 추출물/디프로필렌글리콜(dipropylene glycol)/디소듐 EDTA(disodium EDTA)/물, 0.5 ~ 2부의 물/부탄디올/페녹시에탄올/당느릅나무(ULMUS DAVIDIANA) 뿌리 추출물, 0.3 ~ 1부의 페녹시에탄올/메틸파라벤/에틸파라벤/에틸헥실글리세린, 0.001 ~ 0.01부의 향료 및 0.01 ~ 0.1부의 PEG-40 히드로제네티드 캐스터 오일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히드로겔은 중량부를 기준으로 80 ~ 90부의 물, 2 ~ 5부의 글리세레스-26, 0.1 ~ 0.5부의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6, 0.1 ~ 0.5부의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1 ~ 5부의 니코틴아미드(nicotinamide), 0.1 ~ 0.5부의 트리에탄올아민, 0.01 ~ 0.1부의 소듐히알루로네이트(sodium hyaluronate), 0.5 ~ 2부의 물/부탄디올/함박꽃나무(MAGNOLIA SIEBOLDII) 추출물, 0.5 ~ 2부의 운데실레노일 페닐알라닌, 0.1 ~ 1부의 트리에탄올아민, 2 ~ 5부의 부탄디올, 0.3 ~ 1부의 페녹시에탄올/메틸파라벤/에틸파라벤/에틸헥실글리세린, 0.01 ~ 0.1부의 향료 및 0.1 ~ 0.3부의 PEG-40 히드로제네티드 캐스터 오일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히드로겔은 중량부를 기준으로 85 ~ 95부의 물, 0.1 ~ 0.3부의 잔탐검, 2 ~ 5부의 글리세레스-26, 0.1 ~ 0.3부의 카보머, 0.5 ~ 2부의 데카복시카르노신 HCl(decarboxy carnosine HCl)/부탄디올/나트륨 메틸 파라히드록시벤조에이트(sodium methyl parahydroxybenzoate)/물, 0.5 ~ 2부의 카르노신(carnosine), 0.3 ~ 1부의 시트르산(citric acid), 0.3 ~ 1부의 호로파(TRIGONELLA FOENUM-GRAECUM)씨 추출물, 0.3 ~ 1부의 페녹시에탄올/메틸파라벤/에틸파라벤/에틸헥실글리세린, 2 ~ 5부의 부탄디올, 0.1 ~ 0.3부의 PEG-40 히드로제네티드 캐스터 오일 및 0.01 ~ 0.1부의 향료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히드로겔은 중량부를 기준으로 75 ~ 80부의 물, 0.1 ~ 0.3부의 카보머, 0.01 ~ 0.2부의 잔탄검, 1 ~ 5부의 물/폴리소르베이트-20/글리세린/1,2-헥산디올/카보머/팔미토일 테트라펩티드-7, 0.1 ~ 1부의 글루코실루틴(glucosylrutin), 0.1 ~ 0.3부의 트리에탄올아민, 0.01 ~ 0.2부의 EDTA-2NA, 0.1 ~ 1부의 물/프로판디올/밀몽화(BUDDLEJA OFFICINALIS) 추출물, 3 ~ 5부의 흰목이버섯 추출물/디프로필렌글리콜/디소듐 EDTA/물, 0.3 ~ 1부의 페녹시에탄올/메틸파라벤/에틸파라벤/에틸헥실글리세린, 5 ~ 10부의 프로판디올, 3 ~ 8부의 부탄디올, 0.01 ~ 0.2부의 향료 및 0.1 ~ 0.5부의 PEG-40 히드로제네티드 캐스터 오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목적 2는 하기와 같은 기술적 해결수단을 사용하여 구현된다.
2제형 에센스의 제조 방법으로서, 올레오겔의 제조 단계 및 히드로겔의 제조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올레오겔의 제조 단계는,
1) 중량부의 소듐서팩틴을 중량부의 다가알코올에 분산시키고 균일하게 교반하여 알코올상을 얻는 단계;
2) 중량부의 유지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오일상을 얻는 단계;
3) 상기 오일상을 상기 알코올상에 적가하고 균일하게 교반하여 반제품을 얻는 단계; 및
4) 중량부의 물과 중량부의 활성 성분을 상기 반제품에 첨가하고 균일하게 교반하여 올레오겔을 얻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올레오겔의 제조 단계는,
1) 중량부의 소듐서팩틴을 중량부의 다가알코올에 분산시키고, 600 rpm/min보다 작은 속도로 5 ~ 10 min 동안 균일하게 교반하여 알코올상을 얻는 단계;
2) 중량부의 유지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오일상을 얻는 단계;
3) 상기 오일상을 5 ~ 10 g/min의 적가 속도로 상기 알코올상에 적가하고, 500 ~ 800 rpm/min의 교반 속도로 교반하여 반제품을 얻는 단계; 및
4) 중량부의 물과 중량부의 활성 성분을 상기 반제품에 첨가하고, 2 ~ 3 min동안 균질하여 균일하게 교반함으로써 올레오겔을 얻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히드로겔은 중량부를 기준으로 70 ~ 90부의 물, 3 ~ 8부의 부탄디올, 3 ~ 10부의 정제된 펩티드 복합체, 1 ~ 5부의 피토스테롤 복합체, 1 ~ 5부의 글리세레스-26, 0.1 ~ 1부의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6, 0.1 ~ 0.5부의 잔탄검, 0.1 ~ 1부의 방부 복합체, 0.01 ~ 0.2부의 PEG-40 히드로제네티드 캐스터 오일 및 0.01 ~ 0.2부의 향료를 포함하며;
제조 방법은,
중량부의 잔탄검,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6 및 물을 균일하게 혼합하고, 80℃로 가열한 후 10 ~ 30 min 동안 보온하며, 온도를 45℃로 낮추고 중량부의 정제된 펩티드 복합체, 피토스테롤 복합체 및 글리세레스-26을 첨가하여, 제1 혼합물을 얻는 단계; 중량부의 방부 복합체를 중량부의 부탄디올로 균일하게 분산시켜 제2 혼합물을 얻는 단계; 중량부의 향료를 중량부의 PEG-40 히드로제네티드 캐스터 오일로 균일하게 분산시켜 제3 혼합물을 얻는 단계; 및 상기 제2 혼합물 및 상기 제3 혼합물을 순차적으로 상기 제1 혼합물에 첨가하고 균일하게 혼합하여 히드로겔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히드로겔은 중량부를 기준으로 1 ~ 5부의 글리세레스-26, 1 ~ 8부의 부탄디올, 80 ~ 90부의 물, 0.1 ~ 1부의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6, 0.05 ~ 0.5부의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0.05 ~ 0.5부의 트리에탄올아민, 0.1 ~ 0.5부의 마데카소사이드, 0.5 ~ 2부의 물/글리세린/탱자나무 열매 추출물, 3 ~ 8부의 흰목이버섯 추출물/디프로필렌글리콜/디소듐 EDTA/물, 0.5 ~ 2부의 물/부탄디올/페녹시에탄올/당느릅나무 뿌리 추출물, 0.3 ~ 1부의 페녹시에탄올/메틸파라벤/에틸파라벤/에틸헥실글리세린, 0.001 ~ 0.01부의 향료 및 0.01 ~ 0.1부의 PEG-40 히드로제네티드 캐스터 오일을 포함하며;
제조 방법은,
중량부의 글리세레스-26, 부탄디올, 물,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6,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상을 가열 교반하여 충분히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단계; 및 냉각 후, 중량부의 트리에탄올아민, 마데카소사이드, 물/글리세린/탱자나무 열매 추출물, 흰목이버섯 추출물/디프로필렌글리콜/디소듐 EDTA/물, 물/부탄디올/페녹시에탄올/당느릅나무 뿌리 추출물, 페녹시에탄올/메틸파라벤/에틸파라벤/에틸헥실글리세린, 향료 및 PEG-40 히드로제네티드 캐스터 오일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충분히 균일하게 교반하여 히드로겔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히드로겔은 중량부를 기준으로 80 ~ 90부의 물, 2 ~ 5부의 글리세레스-26, 0.1 ~ 0.5부의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6, 0.1 ~ 0.5부의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1 ~ 5부의 니코틴아미드, 0.1 ~ 0.5부의 트리에탄올아민, 0.01 ~ 0.1부의 소듐히알루로네이트, 0.5 ~ 2부의 물/부탄디올/함박꽃나무 추출물, 0.5 ~ 2부의 운데실레노일 페닐알라닌, 0.1 ~ 1부의 트리에탄올아민, 2 ~ 5부의 부탄디올, 0.3 ~ 1부의 페녹시에탄올/메틸파라벤/에틸파라벤/에틸헥실글리세린, 0.01 ~ 0.1부의 향료 및 0.1 ~ 0.3부의 PEG-40 히드로제네티드 캐스터 오일을 포함하며;
제조 방법은,
중량부의 물을 두 부분으로 나누는 단계; 제1 부분의 물, 중량부의 글리세레스-26,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6,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니코틴아미드를 가열하여 균일하게 팽윤시킨 후, 중량부의 트리에탄올아민을 첨가하여 맑고 투명해질 때까지 교반하여, 제1 혼합물을 얻는 단계; 중량부의 운데실레노일 페닐알라닌, 트리에탄올아민 및 제2 부분의 물을 사전에 가열 교반하여 투명해질 때까지 용해시키고, 중량부의 소듐히알루로네이트, 물/부탄디올/함박꽃나무 추출물을 첨가하여 제2 혼합물을 얻으며, 제2 혼합물을 제1 혼합물에 첨가하고 충분히 균일하게 분산시켜 제3 혼합물을 얻는 단계; 및 사전에 부탄디올과 페녹시에탄올/메틸파라벤/에틸파라벤/에틸헥실글리세린을 균일하게 혼합하고, 향료와 PEG-40 히드로제네티드 캐스터 오일을 균일하게 혼합하며, 마직막으로 이들을 제3 혼합물에 첨가하고 균일하게 교반하여 히드로겔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히드로겔은 중량부를 기준으로 85 ~ 95부의 물, 0.1 ~ 0.3부의 잔탄검, 2 ~ 5부의 글리세레스-26, 0.1 ~ 0.3부의 카보머, 0.5 ~ 2부의 데카복시카르노신 HCl/부탄디올/나트륨 메틸 파라히드록시벤조에이트/물, 0.5 ~ 2부의 카르노신, 0.3 ~ 1부의 시트르산, 0.3 ~ 1부의 호로파씨 추출물, 0.3 ~ 1부의 페녹시에탄올/메틸파라벤/에틸파라벤/에틸헥실글리세린, 2 ~ 5부의 부탄디올, 0.1 ~ 0.3부의 PEG-40 히드로제네티드 캐스터 오일 및 0.01 ~ 0.1부의 향료를 포함하며;
제조 방법은,
중량부의 물을 두 부분으로 나누는 단계; 제1 부분의 물, 중량부의 잔탄검, 글리세레스-26 및 카보머를 가열하여 균일하게 교반하고, 45도로 냉각시켜 제1 혼합물을 얻는 단계; 호로파씨 추출물 및 제2 부분의 물을 혼합하여 80도로 가열하고, 용해한 다음 여과포로 여과하는 단계; 여과액, 중량부의 데카복시카르노신 HCl/부탄디올/나트륨 메틸 파라히드록시벤조에이트/물, 카르노신, 시트르산을 취하여 제1 혼합물에 첨가하고, 균일하게 교반하여 제2 혼합물을 얻는 단계; 및 페녹시에탄올/메틸파라벤/에틸파라벤/에틸헥실글리세린을 부탄디올로 균일하게 혼합하고, PEG-40 히드로제네티드 캐스터 오일과 향료를 균일하게 혼합한 다음, 제2 혼합물에 첨가하고 균일하게 교반하여 히드로겔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히드로겔은 중량부를 기준으로 75 ~ 80부의 물, 0.1 ~ 0.3부의 카보머, 0.01 ~ 0.2부의 잔탄검, 1 ~ 5부의 물/폴리소르베이트-20/글리세린/1,2-헥산디올/카보머/팔미토일 테트라펩티드-7, 0.1 ~ 1부의 글루코실루틴, 0.1 ~ 0.3부의 트리에탄올아민, 0.01 ~ 0.2부의 EDTA-2NA, 0.1 ~ 1부의 물/프로판디올/밀몽화 추출물, 3 ~ 5부의 흰목이버섯 추출물/디프로필렌글리콜/디소듐 EDTA/물, 0.3 ~ 1부의 페녹시에탄올/메틸파라벤/에틸파라벤/에틸헥실글리세린, 5 ~ 10부의 프로판디올, 3 ~ 8부의 부탄디올, 0.01 ~ 0.2부의 향료 및 0.1 ~ 0.5부의 PEG-40 히드로제네티드 캐스터 오일을 포함하며;
제조 방법은,
중량부의 물, 카보머, EDTA-2NA 및 잔탄검을 균일하게 분산시킨 후, 트리에탄올아민을 첨가하여 맑고 투명해질때 까지 균일하게 교반하여 제1 혼합물을 얻는 단계; 중량부의 물/폴리소르베이트-20/글리세린/1,2-헥산디올/카보머/팔미토일 테트라펩티드-7, 글루코실루틴, 물/프로판디올/밀몽화 추출물, 흰목이버섯 추출물/디프로필렌글리콜/디소듐 EDTA/물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균일하게 교반하여 제2 혼합물을 얻는 단계; 및 페녹시에탄올/메틸파라벤/에틸파라벤/에틸헥실글리세린과 프로판디올, 부탄디올을 균일하게 혼합하고, 향료와 PEG-40 히드로제네티드 캐스터 오일을 균일하게 혼합한 다음, 제2 혼합물에 첨가하고 균일하게 교반하여 히드로겔을 얻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행기술과 비교하여,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유익한 효과가 있다.
(1)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2제형 에센스는 두가지 투명 에센스, 즉 올레오겔 및 히드로겔로 구성되고, 올레오겔 및 히드로겔의 안정성은 매우 우수하며, 사용 시 두 종류의 투명 겔을 소정의 비율에 따라 혼합하고 2차 유화하여, 다양한 피부 촉감의 유백색 로션을 얻을 수 있다. 오일 겔은 천연 유래 고초균에 의해 발효된 소듐서팩틴을 유화제로 사용하며, 이는 피부에 순하고 항염 작용을 가지며, 피부 투과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유화 능력이 매우 높으며, 0.1%의 낮은 사용량으로도 15% 내지 그 이상의 유지를 유화시킬 수 있다.
(2)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2제형 에센스의 제조 방법은 D상 유화법을 사용하여 올레오겔을 제조하고, 종래의 O/W 조성에 비해 D상 유화법은 하기와 같은 장점이 있다.
a. 전체 생산 과정에서 가열 없이 쿨링 공정을 수행할 수 있고, 탄소 배출량을 줄일 수 있으며, 생산 시간을 단축하고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b. 유화제의 사용량이 매우 적고, 이 시스템에서는 0.1 ~ 0.5%의 유화제만 필요로 하므로, 유화제의 사용량을 크게 줄이고 조성의 자극성을 줄인다.
c. 유지가 많은 오일상을 유화시킬 수 있고, 이 시스템에서는 40 ~ 70%의 유지를 유화시킬 수 있으며, 일반적인 O/W의 유화제일 경우 사용량이 매우 낮은 조건에서 전혀 유화시킬 수 없다.
d. 페이스트는 외관이 독특하여 매우 맑고 투명한 겔을 제조할 수 있고, 밝고 섬세하며 투명한 페이스트를 제조할 수도 있으며, 페이스트의 유화 입경은 작고 입경 분포는 매우 균일하다.
도 1은 소듐서팩틴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2는 올레오겔과 히드로겔을 각각 취출한 표시도이다.
도 3은 올레오겔과 히드로겔을 금방 혼합한 표시도이다.
도 4는 올레오겔과 히드로겔을 금방 혼합한 다른 표시도이다.
도 5는 올레오겔과 히드로겔을 완전히 균일하게 혼합한 표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올레오겔의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올레오겔의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올레오겔의 모식도이다.
도 9는 비교예 1의 올레오겔의 모식도이다.
도 10은 비교예 2의 올레오겔의 모식도이다.
도 11은 비교예 3의 올레오겔의 모식도이다.
도 12는 비교예 4의 올레오겔의 모식도이다.
도 13은 비교예 5의 올레오겔의 모식도이다.
도 14는 비교예 6의 올레오겔의 모식도이다.
도 15는 히드로겔을 단독 사용할 때의 보습 효과도이다.
도 16은 히드로겔과 올레오겔을 4:1 비율에 따라 혼합하여 사용할 때의 보습 효과도이다.
도 17은 히드로겔과 올레오겔을 1:1 비율에 따라 혼합하여 사용할 때의 보습 효과도이다.
도 18은 A, B 및 C 샘플의 사용 전과 사용 1 h 후의 보습 효과도이다.
도 19는 A, B 및 C 샘플의 사용 전과 사용 2 h 후의 보습 효과도이다.
도 20은 A, B 및 C 샘플의 사용 1 h 후와 사용 2 h 후의 보습 효과도이다.
이하, 도면 및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결부하여 본 발명에 대해 더 설명할 것이고, 모순되지 않는 전제하에서 아래에서 설명되는 각 실시예 사이 또는 각 기술특징 사이는 임의로 조합되어 새로운 실시예로 될 수 있다.
2제형 에센스로서, 올레오겔 및 히드로겔을 포함하고, 올레오겔 및 히드로겔은 사용 시 기설정 비율에 따라 혼합되며; 올레오겔은 중량부를 기준으로 0.1 ~ 6부의 활성 성분; 15 ~ 35부의 다가알코올; 0.1 ~ 1부의 소듐서팩틴; 10 ~ 70부의 유지 및 1 ~ 10부의 물을 포함한다.
천연 유래 고초균에 의해 발효된 소튬서팩틴을 유화제로 사용하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는 7가지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고리형 폴리펩티드(polypeptide)로서, 이러한 녹색 천연의 폴리텝티드 유화제는 피부에 순하고 항염 작용을 가지며, 피부 투과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유화 능력이 매우 높으며, 0.1%의 낮은 사용량으로도 15% 내지 그 이상의 유지를 유화시킬 수 있다.
물은 주로 조성인 오일상 및 수상의 굴절률을 조정하는 데 사용된다.
추가적인 실시형태로서, 활성 성분은 0.1 ~ 0.5부의 라미나리아 오크로류카 추출물 복합체, 0.1 ~ 0.5부의 갈조 추출물 복합체, 2 ~ 5부의 복합 아미노산 및 0.1 ~ 1부의 눈 주변 혼합물을 포함한다. 여기서, 라미나리아 오크로류카 추출물 복합체는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리드 및 라미나리아 오크로류카 추출물의 조성물이고; 갈조 추출물 복합체는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리드 및 갈조 추출물의 조성물이며; 복합 아미노산은 물, 부탄디올, 라이신, 히스티딘, 아르기닌, 아스파르트산, 트레오닌, 세린, 글루탐산, 프롤린, 글리신, 알라닌, 발린, 이소류신, 류신, 티로신 및 페닐알라닌의 조성물이고, 라미나리아 오크로류카 추출물은 열악한 해양 환경에서 서식하는 “황금 해조류”에서 유래되며, 내부 및 외부 염도의 변화, 해수 침입/비침입의 변화 및 태양광 강도의 변화와 같은 다양한 요인의 영향하에서 라미나리아 오크로류카는 독특한 생존 메커니즘을 형성하였다. 이는 주로 전면적 항염, 항노화, 자외선 차단 등 다양한 효능의 활성 성분을 갖는다.
또한, 눈 주변 혼합물은 캡시쿰 프루테센스(CAPSICUM FRUTESCENS) 열매 추출물, 자몽(CITRUS PARADISI) 열매 추출물, 부처브룸(RUSCUS ACULEATUS) 뿌리 추출물, 쇠뜨기(EQUISETUM ARVENSE) 추출물, 감초(GLYCYRRHIZA GLABRA) 뿌리 추출물/아스코빌 메틸실라놀 펙티네이트, 메틸실라놀 히드록시프롤린 아스파테이트, 디메틸실라놀 히알루로네이트, 아미노에틸포스핀산, 프로판디올, 부탄디올, 메틸프로판디올, 에탄올, 물, PEG-35 캐스터 오일, 페녹시에탄올 및 벤조산나트륨의 조성물이다.
추가적인 실시형태로서, 다가알코올은 글리세린, 프로판디올, 1,3-부탄디올, 소르비톨, 글리세레스-26 중 임의의 조합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린이다.
추가적인 실시형태로서, 유지는 모두 천연 유래 유지를 사용하고, 유지는 스위트 아몬드 오일, 카놀라 오일, C15-19 알칸, 호호바씨 오일, 해바라기씨 오일, 소이빈 오일, 스쿠알란, 옥틸도데칸올, 미네랄 오일, 디메틸실록산 및 시클로메티콘 중 임의의 조합이다. 오일상의 비율은 10 ~ 70%, 특히 바람직하게는 40 ~ 65%일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형태로서, 올레오겔은 중량부를 기준으로 2 ~ 4부의 활성 성분; 20 ~ 30부의 다가알코올; 0.1 ~ 1부의 소듐서팩틴; 40 ~ 65부의 유지; 1 ~ 10부의 물 및 0.001 ~ 1부의 색소를 포함한다.
추가적인 실시형태로서, 올레오겔은 D상 유화법으로 제조된다. D상 유화 공정을 사용하여 올레오겔을 얻으며, 0.1 ~ 0.5%의 유화제만 사용하면 50 ~ 70%에 달하는 유지를 유화시킬 수 있고, 맑고 투명한 올레오겔을 제조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무수의 조성을 제조할 수 있고, 로션 입경은 2 ~ 10 μm이다.
추가적인 실시형태로서, 올레오겔은 0.001 ~ 1부의 색소를 더 포함한다
추가적인 실시형태로서, 히드로겔은 중량부를 기준으로 70 ~ 90부의 물, 3 ~ 8부의 부탄디올, 3 ~ 10부의 정제된 펩티드 복합체, 1 ~ 5부의 피토스테롤 복합체, 1 ~ 5부의 글리세레스-26, 0.1 ~ 1부의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6, 0.1 ~ 0.5부의 잔탄검, 0.1 ~ 1부의 방부 복합체, 0.01 ~ 0.2부의 PEG-40 히드로제네티드 캐스터 오일 및 0.01 ~ 0.2부의 향료를 포함한다.
추가적인 실시형태로서, 정제된 펩티드 복합체는 물, 폴리소르베이트-20, 카보머, 팔미토일 테트라펩티드-7, 팔미토일 펜타펩티드-4, 아세틸 헥사펩티드-8, 글리세린 및 1,2-헥산디올의 조성물이고; 피토스테롤 복합체는 물, 프로판디올 및 피토스테롤의 조성물이며; 방부 복합체는 페녹시에탄올, 메틸파라벤, 에틸파라벤 및 에틸헥실글리세린의 조성물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2제형 에센스는 두 종류의 투명 에센스로 구성되며, 올레오겔 조성은 기본적으로 천연에서 유래되고 향료 및 방부제를 포함하지 않는다. 여기서, 올레오겔은 천연적으로 발효된 소듐서팩틴을 유화제로 사용하고, 천연 유래 유지를 주체로 사용하며, D상 유화 공정으로 제조하고; 히드로겔은 수용성 폴리머로 제조된 투명 수성 겔이다. 사용 시 두 종류의 투명 겔을 소정의 비율에 따라 혼합하고 2차 유화하여 다양한 피부 촉감의 유백색 로션을 얻을 수 있다.
사용할 때의 변화 과정은 도 2 ~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사용 시 투명 올레오겔과 투명 수성 겔(히드로겔)을 각각 손바닥에 펌핑할 수 있고, 실온 조건에서 손가락에 의한 혼합으로 2차 유화가 일어나 바로 유백색의 로션으로 변하며, 고객은 사용 시 즉각적인 마술 체험을 할 수 있다. 투명 올레오겔의 높은 오일상 함량으로 인해, 고객은 사용 과정에서 두 종류의 투명 겔을 상이한 사용량으로 조정하여 상이한 유형의 제품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성 겔:히드로겔을 1:1로 혼합하면 마사지 에센스를 얻을 수 있고; 유성 겔:히드로겔을 1:2로 혼합하면 보습 에센 에센스를 얻을 수 있으며; 유성 겔:히드로겔을 1:5로 혼합하면 바디로션으로 사용할 수 있고; 유성 겔:히드로겔을 1:20으로 혼합하면 토너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2제형 에센스는 여러 스킨 케어 제품을 파생시킬 수 있고, 단기 출장이나 여행 시 파우치를 간소화할 수 있거나 비상시에 사용할 수 있다.
2제형 에센스의 제조 방법으로서, 올레오겔의 제조 단계 및 히드로겔의 제조 단계를 포함하고;
올레오겔의 제조 단계는,
1) 중량부의 소듐서팩틴을 중량부의 다가알코올에 분산시키고 균일하게 교반하여 알코올상을 얻는 단계;
2) 중량부의 유지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오일상을 얻는 단계;
3) 오일상을 알코올상에 적가하고 균일하게 교반하여 반제품을 얻는 단계; 및
4) 중량부의 물과 중량부의 활성 성분을 반제품에 첨가하고 균일하게 교반하여 올레오겔을 얻는 단계를 포함한다.
히드로겔의 제조 단계는, 중량부의 잔탄검,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6 및 물을 균일하게 혼합하고, 80℃로 가열한 후 10 ~ 30 min 동안 보온하며, 온도를 45℃로 낮추고 중량부의 정제된 펩티드 복합체, 피토스테롤 복합체 및 글리세레스-26을 첨가하여, 제1 혼합물을 얻는 단계; 중량부의 방부 복합체를 중량부의 부탄디올로 균일하게 분산시켜 제2 혼합물을 얻는 단계; 중량부의 향료를 중량부의 PEG-40 히드로제네티드 캐스터 오일로 균일하게 분산시켜 제3 혼합물을 얻는 단계; 및 제2 혼합물 및 제3 혼합물을 순차적으로 제1 혼합물에 첨가하고 균일하게 혼합하여 히드로겔을 얻는 단계를 포함한다.
추가적인 실시형태로서, 올레오겔의 제조 단계는,
1) 중량부의 소듐서팩틴을 중량부의 다가알코올에 분산시키고, 600 rpm/min보다 작은 속도로 5 ~ 10 min 동안 균일하게 교반하여 알코올상을 얻는 단계;
2) 중량부의 유지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오일상을 얻는 단계;
3) 겔이 형성되기 전에 오일상을 5 ~ 10 g/min의 적가 속도로 알코올상에 천천히 적가하고, 끈적한 겔이 형성되도록 500 ~ 800 rpm/min의 교반 속도로 교반하여 반제품을 얻는 단계; 및
4) 중량부의 물과 중량부의 활성 성분을 반제품에 첨가하고, 점도 및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2 ~ 3 min동안 균질하여 균일하게 교반함으로써 올레오겔을 얻는 단계를 포함한다. 물은 제품의 투명도를 조정하는 데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2제형 에센스의 제조 방법은 작업 공정에서 현저히 다른 바, 우선, 유화제인 소듐서팩틴을 다가알코올로 균일하게 분산시킨 다음, 오일상을 다가알코올+유화제상에 천천히 적가하면서 중간 속도로 교반하고, 교반 과정에서 페이스트의 조밀도는 현저히 증가되며, 마지막으로 필요한 경우 소량의 물을 사용하여 오일상 및 수상의 굴절률을 조정하면 맑고 투명한 겔을 얻을 수 있다.
D상 유화 공정은 종래의 O/W 조성 공정과 비교하여 작업 공정에서 현저히 다르다.
우선, 유화제인 소듐서팩틴을 글리세린으로 균일하게 분산시킨 다음, 오일상을 글리세린+유화제상에 천천히 적가하면서 중간 속도로 교반하고, 교반 과정에서 페이스트의 조밀도는 현저히 증가되며, 마지막으로 필요한 경우 소량의 물을 사용하여 오일상 및 수상의 굴절률을 조정하면 맑고 투명한 겔을 얻을 수 있다.
종래의 O/W 조성과 비교하면, D상 유화법은 하기와 같은 장점이 있다.
a. 전체 생산 과정에서 가열 없이 쿨링 공정을 수행할 수 있고, 탄소 배출량을 줄일 수 있으며, 생산 시간을 단축하고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b. 유화제의 사용량이 매우 적고, 이 시스템에서는 0.1 ~ 0.5%의 유화제만 필요로 하므로, 유화제의 사용량을 크게 줄이고 조성의 자극성을 줄인다.
c. 유지가 많은 오일상을 유화시킬 수 있고, 이 시스템에서는 40 ~ 70%의 유지를 유화시킬 수 있으며, 일반적인 O/W의 유화제일 경우 사용량이 매우 낮은 조건에서 전혀 유화시킬 수 없다.
d. 페이스트는 외관이 독특하여 매우 맑고 투명한 겔을 제조할 수 있고, 밝고 섬세하며 투명한 페이스트를 제조할 수도 있으며, 페이스트의 유화 입경은 작고 입경 분포는 매우 균일하다.
이하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이고, 하기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원료, 기기 등은 특별한 제한이 없는 한 구입하여 얻을 수 있다.
실시예 1 ~ 7
2제형 에센스로서, 올레오겔 및 히드로겔을 포함하고, 올레오겔 및 히드로겔은 사용 시 기설정 비율에 따라 혼합되며; 올레오겔은 활성 성분, 다가알코올, 소듐서팩틴, 유지 및 물로 제조되며; 히드로겔은 물, 부탄디올, 정제된 펩티드 복합체(물, 폴리소르베이트-20, 카보머, 팔미토일 테트라펩티드-7, 팔미토일 펜타펩티드-4, 아세틸 헥사펩티드-8, 글리세린 및 1,2-헥산디올의 조성물), 피토스테롤 복합체(물, 프로판디올 및 피토스테롤의 조성물), 글리세레스-26,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6, 잔탄검, 방부 복합체(페녹시에탄올, 메틸파라벤, 에틸파라벤 및 에틸헥실글리세린의 조성물), PEG-40 히드로제네티드 캐스터 오일 및 향료로 제조된다. (실시예 1 ~ 3의 올레오겔의 구체적인 조성은 표 1과 같고, 실시예 4 ~ 7의 올레오겔의 조성은 실시예 1과 일치하며; 실시예 1 ~ 3의 히드로겔의 구체적인 조성은 표 3과 같고, 실시예 4 ~ 7의 히드로겔의 조성은 표 4 ~ 7과 같으며, 동일한 실시예에서 각 성분의 사용량의 합은 100부이다).
본 발명에서(표 1 ~ 7에서), “/”으로 연결된 원료는 당해 원료가 복합 원료이고 전체임을 나타낸다.
비교예 1 ~ 6
2제형 에센스로서, 올레오겔 및 히드로겔을 포함하고, 올레오겔 및 히드로겔은 사용 시 기설정 비율에 따라 혼합된다. (올레오겔의 구체적인 조성은 표 1과 같고, 히드로겔의 구체적인 조성은 표 3과 같으며. 동일한 비교예에서 각 성분의 사용량의 합은 100부이다).
아래 표 1은 실시예 1 ~ 3 및 비교예 1 ~ 6의 올레오겔의 조성표이다.
(표 1)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실시예 1 ~ 3 및 비교예 1 ~ 5의 올레오겔의 제조 단계는 하기와 같다.1) 중량부의 유화제를 중량부의 다가알코올에 분산시키고, 600 rpm/min보다 작은 속도로 5 ~ 10 min 동안 균일하게 교반하여 알코올상을 얻었다.
2) 중량부의 유지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오일상을 얻었다.
3) 겔이 형성되기 전에 오일상을 5 ~ 10 g/min의 적가 속도로 알코올상에 천천히 적가하고, 끈적한 겔이 형성되도록 500 ~ 800 rpm/min의 교반 속도로 교반하여 반제품을 얻었다.
4) 중량부의 물과 중량부의 활성 성분을 반제품에 첨가하고, 2 ~ 3 min동안 균질하여 균일하게 교반함으로써 올레오겔을 얻었다.
비교예 6의 올레오겔은 제조 공정을 변경한 바, 직접 오일상 및 수상을 균질하여 얻었다.
도 6 ~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실시예 1 ~ 3 및 비교예 1 ~ 6의 올레오겔의 모식도이며, 이들의 조성 및 특성의 차이는 표 2와 같다. 아래 표 2는 실시예 1 ~ 3 및 비교예 1 ~ 6의 올레오겔의 조성 및 특성의 비교표이다.
(표 2)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실시예 1 및 비교예 1 ~ 6의 히드로겔은 모두 표 3의 조성에 따라 제조된다. 제조 과정은 하기와 같다.
중량부의 잔탄검,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6 및 물을 균일하게 혼합하고, 80℃로 가열한 후 10 ~ 30 min 동안 보온하며, 온도를 45℃로 낮추고 중량부의 정제된 펩티드 복합체, 피토스테롤 복합체 및 글리세레스-26을 첨가하여, 제1 혼합물을 얻으며; 이어서 중량부의 방부 복합체를 중량부의 부탄디올로 균일하게 분산시켜 제2 혼합물을 얻고; 중량부의 향료를 중량부의 PEG-40 히드로제네티드 캐스터 오일로 균일하게 분산시켜 제3 혼합물을 얻으며; 마지막으로 제2 혼합물 및 제3 혼합물을 순차적으로 제1 혼합물에 첨가하고, 균일하게 혼합하여 히드로겔을 얻었다. 아래 표 3은 실시예 1 ~ 3 및 비교예 1 ~ 6의 히드로겔의 조성표이다.
(표 3)
Figure pct00007
아래 표 4는 실시예 4의 히드로겔의 조성표이다.
(표 4)
Figure pct00008
실시예 4의 히드로겔의 제조 과정은 하기와 같다.
1. A상을 가열 교반하고 충분히 균일하게 분산시켰다.
2. 냉각 후, B상 및 C상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충분히 균일하게 교반하여 완료하였다.
실시예 4의 히드로겔은 담황색의 투명 이동 겔로, pH=7.29이고, 점도=5416cps(5#, 5rpm)이며, 내열성(48℃ 1개월) 및 내한성(-15℃ 1개월)이 안정하다.
실시예 4의 히드로겔은 우수한 항알레르기 작용을 일으킬 수 있으며, 구체적인 원리는 하기와 같다.
주요 활성 성분
IMMORTAL WA Ⅱ: 카로티노이드(carotenoid), 플라보노이드(flavonoid) 화합물 및 다당류(이소-글루칸(iso-glucan), β-글루칸(β-glucan) 및 α-포도당) 등 활성 성분이 풍부하여, AQP-3 및 히알루로난 합성효소(hyaluronan synthase)의 발현을 촉진할 수 있고, 보습, 항산화 및 상처 치유 촉진 등 효능을 갖고 있으며; 또한, 그 중 함유된 β-글루칸은 피부 면역력 향상 및 오염 방지 효능을 갖는다.
PONCIRUS EXTRACT: 지실 열매에서 추출되고, 5000 ppm 이상의 폰시린(poncirin)을 함유하며, 항알레르기 및 항염 효능을 갖고, 쇠비름(purslane)과 배합하면 효과가 더 바람직하며, UVB로 인한 세포 사멸로부터 세포를 보호할 수 있다.
MADECASSOSIDE: 마다가스카르에서 자란 야생 센텔라 아시아티카(centella asiatica)에서 추출되고, 고순도의 마데카소사이드가 풍부하여, 피부 진정, 세포외 기질 성분 재건, 항염, 표피 조절 및 보호 작용이 있다. 생체내 실험에서 가려움을 방지하고 홍반을 완화하며 피부 낙설을 개선하고, 민감성 피부, 아토피 피부염 및 건선 피부를 진정시킬 수 있다. 아토피 피부염, 민감성 피부 및 성숙한 피부에 적합한 스킨 케어 제품이다. 아래 표 5는 실시예 5의 히드로겔의 조성표이다.
(표 5)
Figure pct00009
실시예 5의 히드로겔의 제조 과정은 하기와 같다.
1. A상을 가열하여 균일한게 팽윤시킨 후, B상을 첨가하여 맑고 투명해질 때까지 교반하였다.
2. C2상을 사전에 가열 교반하여 투명해질 때까지 용해시키고, C상을 A+B에 첨가하여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교반하였다.
3. 사전에 분산된 D상 및 E상을 첨가하고 균일하게 교반하였다.
실시예 5의 히드로겔은 투명 이동 액체로, pH=6.76이고, 내열성(48℃ 1개월) 및 내한성(-15℃ 1개월)이 안정하다.
실시예 5의 히드로겔은 우수한 미백 및 잡티제거 작용을 일으킬 수 있으며, 구체적인 원리는 하기와 같다.
주요 활성 성분
1. SEPIWHITE MSH: 멜라닌 합성 과정에서 멜라닌 세포 자극 호르몬 α-MSH의 길항제로, α-MSH에 의한 멜라닌 형성의 여러 생화학적 반응 단계에 작용하여, 멜라닌의 생성을 포괄적이고 효과적으로 억제하며, 효과가 보다 현저하고 지속적이다. 밝고 투명한 피부를 위한 다양한 조성에 사용될 수 있다.
2. BIO-SODIUM HYALURONATE POWDER(MMW): 1.3 ~ 1.8메가달톤의 분자량의 고순도 및 고품질 소듐히알루로네이트 분말로, 피부에 점탄성이 있고 무색 투명한 비폐쇄성 박막을 형성하여, 보습 효과 및 피부 탄력 증가 효과를 갖도록 한다.
3. MAGNOLIA EXTRACT: 이의 우아한 외관으로 인해 한국에서는 “천녀화”라고 알려져 있다. 도파의 자가산화를 억제하고 자유 라디칼을 제거할 수 있으며, 염증 또는 UV 조사에 의한 색소 침착을 억제할 수 있고, 기미에 현저한 개선 효과가 있다. 아래 표 6은 실시예 6의 히드로겔의 조성표이다.
(표 6)
Figure pct00010
실시예 6의 히드로겔의 제조 과정은 하기와 같다.
1. A상을 가열하여 균일하게 교반하고, C상을 80도로 가열하여 용해시킨 다음 여과포로 여과하였다.
2. A상을 교반하면서 45도로 냉각시키고, B상, C상 및 D상(D상에서 방부제는 부탄디올을 사용하여 사전에 균일하게 분산시키고, 향료는 가용화제를 사용하여 사전에 균일하게 분산시킴)을 첨가하여 균일하게 교반하였다.
실시예 6의 히드로겔은 담황색 투명 이동 겔이다.
실시예 6의 히드로겔은 우수한 항당화 및 항자유 라디칼 작용을 일으킬 수 있으며, 구체적인 원리는 하기와 같다.
주요 활성 성분
ALISTIN: 항노화 및 항산화에 혁신적인 멀티 이펙트 항노화 제품이다. 산화 축적은 피부 구조 붕괴, 탄력 상실 및 주름을 유발할 수 있으며, Alistin은 자유 라디칼을 제거할 뿐만 아니라 과산화된 세포막을 환원시켜, 산화 반응의 확산을 방지하고 산화 복구를 달성할 수 있으며, 이는 VE 및 VC가 할 수 없는 것이다. 당화는 단백질 가교를 일으키며, 주름이 생기고 피부색이 칙칙하고 누렇게 변하도록 하는데, Alistin은 당화를 예방할 뿐만 아니라 당화 단백질과 경쟁하여 단백질 당화를 역전시킬 수 있다. 노화된 피부의 처리 또는 자외선 차단과 탄 피부 복구, 해독 및 노화로 인한 색소 침착 방지 등 제품에 사용하도록 추천하며, 미백, 잡티 방지, 탈모 방지 등 제품의 효능 향상에도 바람직한 원료이다.
SETILINE: 생물학적 기술로 호로파씨 외피에서 추출된 저분자 갈락토만난(galactomannan)은 진피의 콜라겐과 인테그린(integrin)의 당화를 예방하고, 표피 각질 세포의 분화를 촉진하며, 표피 두께를 증가시킬 있으므로, 항당화, 항노화, 주름 방지 및 피부 장벽 기능 개선 작용이 있다. 주름 방지, 항노화, 탄력 재생 및 보습 제품에 적합하다.
BPN-renovarin powder: 강력한 항산화제 및 항당화제는 인체 내의 자유 라디칼을 효과적으로 포착하고 피부 단백질의 글리코실화 가교 반응을 억제할 수 있으며, 피부 노화를 늦추고 피부 칙칙함을 개선한다. 아래 표 7은 실시예 7의 히드로겔의 조성표이다.
(표 7)
Figure pct00011
실시예 7의 히드로겔의 제조 과정은 하기와 같다.
A상을 균일하게 분산시킨 후, B상, C상 및 D상 원료를 순차적으로 첨가하여 균일하게 교반하였다.
실시예 7의 히드로겔은 황색 액체로, PH=5.83(10% 수용액)이고, 점도: 1485cps (3# 20’)이며, 내열성(48℃ 1개월) 및 내한성(-15℃ 1개월)이 안정하다.
실시예 7의 히드로겔은 우수한 항청색광 작용을 일으킬 수 있으며, 구체적인 원리는 하기와 같다.
주요 활성 성분
1. BPN-CIRUELO: 염증 인자 인터루킨의 수준을 현저히 감소시켜, 피부의 잠재적 염증을 제거하고 피부 건강 상태를 회복시키며 피부에 대한 염증의 손상을 줄인다.
2. GLUCOSYLRUTIN: 글루코실루틴은 강력한 항산화제로, 자외선을 흡수하는 특성과 결합하여 자외선으로부터 표피와 진피를 보호하여 피부가 더 이상 이러한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한다.
3. SOLIBERINE NAT: 고원 식물 몽밀화에서 유래되어 고원 지역의 강한 태양 복사에 저항할 수 있고, 동시에 피부에 대한 청색광, 적외선 및 자외선의 손상에 저항할 수 있으며, 광 손상의 여러 요점에서 손상의 발생을 억제 및 복구한다.
효과 평가 및 성능 검출
가. 보습성 테스트
(1) 테스트 설명
누적 샘플 N=20(T 검출을 구현하기 위한 샘플 양)
테스트 목적: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2제형 에센스 중 히드로겔을 단독 사용할 때의 보습성 및 상이한 비율의 올레오겔과 배합하여 사용할 때의 보습성을 테스트하여, 올레오겔이 히드로겔의 보습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검증하였다.
테스트 방법: 26 ~ 45세의 자원봉사자 20명은 각각 0.04 μL 함유 샘플 A, B, C를 팔 안쪽에 1회 바르고, CK(Derma-Expert MC760)로 바르기 전, 1 h 후 및 2 h 후의 피부 수분 함량을 측정하였다.
테스트 샘플:
A: 히드로겔(실시예 1)
B: 히드로겔(실시예 1):올레오겔(실시예 1)=4:1
C: 히드로겔(실시예 1):올레오겔(실시예 1)=1:1
(2) 테스트 환경
블랭크 대조군을 구축하여 보습성 테스트에 대한 외부 환경의 영향을 검출하였다.
1 h VS 블랭크; 2 h VS 1 h; 2 h VS 블랭크.
(3) 테스트 결과(도 15 ~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음)
1. 샘플 A, B 및 C는 모두 즉각적이고 장기적인 보습 효과가 있다.
2. 샘플 C는 즉각적이고 장기적인 보습 효과가 가장 우수하다.
3. 올레오겔은 히드로겔의 보습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4. 히드로겔과 올레오겔을 배합하여 사용하면 보습 효과가 좋다.
상기 실시형태는 단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일 뿐이고, 이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한정하여서는 아니 되며, 당업자가 본 발명의 기초상에서 이룬 모든 임의의 비실질적인 변경 및 대체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

Claims (10)

  1. 2제형 에센스로서,
    올레오겔(oleogel) 및 히드로겔(hydrogel)을 포함하고, 상기 올레오겔 및 상기 히드로겔은 사용 시 기설정 비율에 따라 혼합되며; 상기 올레오겔은 중량부를 기준으로 0.1 ~ 6부의 활성 성분; 15 ~ 35부의 다가알코올(polyhydric alcohol); 0.1 ~ 1부의 소듐서팩틴(sodium surfactin); 10 ~ 70부의 유지 및 1 ~ 10부의 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제형 에센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성분은 0.1 ~ 0.5부의 라미나리아 오크로류카 추출물(LAMINARIA OCHROLEUCA extract) 복합체, 0.1 ~ 0.5부의 갈조 추출물(algae extract) 복합체, 2 ~ 5부의 복합 아미노산 및 0.1 ~ 1부의 눈 주변 혼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다가알코올은 글리세린(glycerine), 프로판디올(propanediol), 1,3-부탄디올(1,3-butanediol), 소르비톨(sorbitol), 글리세레스-26(glycereth-26) 중 임의의 조합이며; 상기 유지는 스위트 아몬드 오일(prunus amygdalus dulcis oil), 카놀라 오일(low erucic acid rapeseed oil), C15-19 알칸(C15-19 alkane), 호호바씨 오일(simmondsia chinensis seed oil), 해바라기씨 오일(sunflower seed oil), 소이빈 오일(soybean oil), 스쿠알란(squalane), 옥틸도데칸올(octyldodecanol), 미네랄 오일(mineral oil), 디메틸실록산(dimethylsiloxane) 및 시클로메티콘(cyclomethicone) 중 임의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제형 에센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라미나리아 오크로류카 추출물 복합체는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리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 및 라미나리아 오크로류카 추출물의 조성물이고; 상기 갈조 추출물 복합체는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리드 및 갈조 추출물의 조성물이며; 상기 복합 아미노산은 물, 부탄디올(butanediol), 라이신(lysine), 히스티딘(histidine), 아르기닌(arginine), 아스파르트산(aspartic acid), 트레오닌(threonine), 세린(serine), 글루탐산(glutamic acid), 프롤린(proline), 글리신(glycine), 알라닌(alanine), 발린(valine), 이소류신(isoleucine), 류신(leucine), 티로신(tyrosine) 및 페닐알라닌(phenylalanine)의 조성물이고; 상기 눈 주변 혼합물은 캡시쿰 프루테센스(CAPSICUM FRUTESCENS) 열매 추출물, 자몽(CITRUS PARADISI) 열매 추출물, 부처브룸(RUSCUS ACULEATUS) 뿌리 추출물, 쇠뜨기(EQUISETUM ARVENSE) 추출물, 감초(GLYCYRRHIZA GLABRA) 뿌리 추출물/아스코빌 메틸실라놀 펙티네이트(ascorbyl methylsilanol pectinate), 메틸실라놀 히드록시프롤린 아스파테이트(methylsilanol hydroxyproline aspartate), 디메틸실라놀 히알루로네이트(dimethylsilanol hyaluronate), 아미노에틸포스핀산(aminoethylphosphinic acid), 프로판디올, 부탄디올, 메틸프로판디올(methylpropanediol), 에탄올(ethanol), 물, PEG-35 캐스터 오일(PEG-35 castor oil), 페녹시에탄올(phenoxyethanol) 및 벤조산나트륨(sodium benzoate)의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제형 에센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올레오겔은 중량부를 기준으로 2 ~ 4부의 활성 성분; 20 ~ 30부의 다가알코올; 0.1 ~ 1부의 소듐서팩틴; 40 ~ 65부의 유지; 1 ~ 10부의 물 및 0.001 ~ 1부의 색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제형 에센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올레오겔은 D상 유화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제형 에센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드로겔은 중량부를 기준으로 70 ~ 90부의 용매, 1 ~ 15부의 활성 성분, 0.1 ~ 2부의 증점제, 3 ~ 20부의 보습제, 0 ~ 1부의 중화제, 0.1 ~ 1부의 방부제, 0.001 ~ 0.3부의 향료, 0.01 ~ 1부의 가용화제, 0 ~ 1부의 pH 값 조절제 및 0 ~ 0.5부의 킬레이트제를 포함하되; 상기 활성 성분은 항알레르기 활성 물질, 미백 활성 물질, 항당화 활성 물질 또는 항광 활성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제형 에센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히드로겔은 중량부를 기준으로 70 ~ 90부의 물, 3 ~ 8부의 부탄디올, 3 ~ 10부의 정제된 펩티드 복합체(refined peptide complex), 1 ~ 5부의 피토스테롤(phytosterol) 복합체, 1 ~ 5부의 글리세레스-26, 0.1 ~ 1부의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6(polyacrylate crosspolymer-6), 0.1 ~ 0.5부의 잔탄검(xanthan gum), 0.1 ~ 1부의 방부 복합체, 0.01 ~ 0.2부의 PEG-40 히드로제네티드 캐스터 오일(PEG-40 hydrogenated castor oil) 및 0.01 ~ 0.2부의 향료를 포함하되; 상기 정제된 펩티드 복합체는 물, 폴리소르베이트-20(polysorbate-20), 카보머(carbomer), 팔미토일 테트라펩티드-7(palmitoyl tetrapeptide-7), 팔미토일 펜타펩티드-4(palmitoyl pentapeptide-4), 아세틸 헥사펩티드-8(acetyl hexapeptide-8), 글리세린 및 1,2-헥산디올(1,2-hexanediol)의 조성물이고; 상기 피토스테롤 복합체는 물, 프로판디올 및 피토스테롤의 조성물이며; 상기 방부 복합체는 페녹시에탄올, 메틸파라벤(methylparaben), 에틸파라벤(ethylparaben) 및 에틸헥실글리세린(ethylhexylglycerin)의 조성물이거나;
    또는, 상기 히드로겔은 중량부를 기준으로 1 ~ 5부의 글리세레스-26, 1 ~ 8부의 부탄디올, 80 ~ 90부의 물, 0.1 ~ 1부의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6, 0.05 ~ 0.5부의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acrylates/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 0.05 ~ 0.5부의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 0.1 ~ 0.5부의 마데카소사이드(madecassoside), 0.5 ~ 2부의 물/글리세린/탱자나무(PONCIRUS TRIFOLIATA) 열매 추출물, 3 ~ 8부의 흰목이버섯(TREMELLA FUCIFORMIS) 추출물/디프로필렌글리콜(dipropylene glycol)/디소듐 EDTA(disodium EDTA)/물, 0.5 ~ 2부의 물/부탄디올/페녹시에탄올/당느릅나무(ULMUS DAVIDIANA) 뿌리 추출물, 0.3 ~ 1부의 페녹시에탄올/메틸파라벤/에틸파라벤/에틸헥실글리세린, 0.001 ~ 0.01부의 향료 및 0.01 ~ 0.1부의 PEG-40 히드로제네티드 캐스터 오일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히드로겔은 중량부를 기준으로 80 ~ 90부의 물, 2 ~ 5부의 글리세레스-26, 0.1 ~ 0.5부의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6, 0.1 ~ 0.5부의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1 ~ 5부의 니코틴아미드(nicotinamide), 0.1 ~ 0.5부의 트리에탄올아민, 0.01 ~ 0.1부의 소듐히알루로네이트(sodium hyaluronate), 0.5 ~ 2부의 물/부탄디올/함박꽃나무(MAGNOLIA SIEBOLDII) 추출물, 0.5 ~ 2부의 운데실레노일 페닐알라닌, 0.1 ~ 1부의 트리에탄올아민, 2 ~ 5부의 부탄디올, 0.3 ~ 1부의 페녹시에탄올/메틸파라벤/에틸파라벤/에틸헥실글리세린, 0.01 ~ 0.1부의 향료 및 0.1 ~ 0.3부의 PEG-40 히드로제네티드 캐스터 오일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히드로겔은 중량부를 기준으로 85 ~ 95부의 물, 0.1 ~ 0.3부의 잔탐검, 2 ~ 5부의 글리세레스-26, 0.1 ~ 0.3부의 카보머, 0.5 ~ 2부의 데카복시카르노신 HCl(decarboxy carnosine HCl)/부탄디올/나트륨 메틸 파라히드록시벤조에이트(sodium methyl parahydroxybenzoate)/물, 0.5 ~ 2부의 카르노신(carnosine), 0.3 ~ 1부의 시트르산(citric acid), 0.3 ~ 1부의 호로파(TRIGONELLA FOENUM-GRAECUM)씨 추출물, 0.3 ~ 1부의 페녹시에탄올/메틸파라벤/에틸파라벤/에틸헥실글리세린, 2 ~ 5부의 부탄디올, 0.1 ~ 0.3부의 PEG-40 히드로제네티드 캐스터 오일 및 0.01 ~ 0.1부의 향료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히드로겔은 중량부를 기준으로 75 ~ 80부의 물, 0.1 ~ 0.3부의 카보머, 0.01 ~ 0.2부의 잔탄검, 1 ~ 5부의 물/폴리소르베이트-20/글리세린/1,2-헥산디올/카보머/팔미토일 테트라펩티드-7, 0.1 ~ 1부의 글루코실루틴(glucosylrutin), 0.1 ~ 0.3부의 트리에탄올아민, 0.01 ~ 0.2부의 EDTA-2NA, 0.1 ~ 1부의 물/프로판디올/밀몽화(BUDDLEJA OFFICINALIS) 추출물, 3 ~ 5부의 흰목이버섯 추출물/디프로필렌글리콜/디소듐 EDTA/물, 0.3 ~ 1부의 페녹시에탄올/메틸파라벤/에틸파라벤/에틸헥실글리세린, 5 ~ 10부의 프로판디올, 3 ~ 8부의 부탄디올, 0.01 ~ 0.2부의 향료 및 0.1 ~ 0.5부의 PEG-40 히드로제네티드 캐스터 오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제형 에센스.
  8. 제1항에 따른 2제형 에센스의 제조 방법으로서,
    올레오겔의 제조 단계 및 히드로겔의 제조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올레오겔의 제조 단계는,
    1) 중량부의 소듐서팩틴을 중량부의 다가알코올에 분산시키고 균일하게 교반하여 알코올상을 얻는 단계;
    2) 중량부의 유지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오일상을 얻는 단계;
    3) 상기 오일상을 상기 알코올상에 적가하고 균일하게 교반하여 반제품을 얻는 단계; 및
    4) 중량부의 물과 중량부의 활성 성분을 상기 반제품에 첨가하고 균일하게 교반하여 올레오겔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제형 에센스의 제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올레오겔의 제조 단계는,
    1) 중량부의 소듐서팩틴을 중량부의 다가알코올에 분산시키고, 600 rpm/min보다 작은 속도로 5 ~ 10 min 동안 균일하게 교반하여 알코올상을 얻는 단계;
    2) 중량부의 유지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오일상을 얻는 단계;
    3) 상기 오일상을 5 ~ 10 g/min의 적가 속도로 상기 알코올상에 적가하고, 500 ~ 800 rpm/min의 교반 속도로 교반하여 반제품을 얻는 단계; 및
    4) 중량부의 물과 중량부의 활성 성분을 상기 반제품에 첨가하고, 2 ~ 3 min동안 균질하여 균일하게 교반함으로써 올레오겔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제형 에센스의 제조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히드로겔은 중량부를 기준으로 70 ~ 90부의 물, 3 ~ 8부의 부탄디올, 3 ~ 10부의 정제된 펩티드 복합체, 1 ~ 5부의 피토스테롤 복합체, 1 ~ 5부의 글리세레스-26, 0.1 ~ 1부의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6, 0.1 ~ 0.5부의 잔탄검, 0.1 ~ 1부의 방부 복합체, 0.01 ~ 0.2부의 PEG-40 히드로제네티드 캐스터 오일 및 0.01 ~ 0.2부의 향료를 포함하며;
    제조 방법은,
    중량부의 잔탄검,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6 및 물을 균일하게 혼합하고, 80℃로 가열한 후 10 ~ 30 min 동안 보온하며, 온도를 45℃로 낮추고 중량부의 정제된 펩티드 복합체, 피토스테롤 복합체 및 글리세레스-26을 첨가하여, 제1 혼합물을 얻는 단계; 중량부의 방부 복합체를 중량부의 부탄디올로 균일하게 분산시켜 제2 혼합물을 얻는 단계; 중량부의 향료를 중량부의 PEG-40 히드로제네티드 캐스터 오일로 균일하게 분산시켜 제3 혼합물을 얻는 단계; 및 상기 제2 혼합물 및 상기 제3 혼합물을 순차적으로 상기 제1 혼합물에 첨가하고 균일하게 혼합하여 히드로겔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히드로겔은 중량부를 기준으로 1 ~ 5부의 글리세레스-26, 1 ~ 8부의 부탄디올, 80 ~ 90부의 물, 0.1 ~ 1부의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6, 0.05 ~ 0.5부의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0.05 ~ 0.5부의 트리에탄올아민, 0.1 ~ 0.5부의 마데카소사이드, 0.5 ~ 2부의 물/글리세린/탱자나무 열매 추출물, 3 ~ 8부의 흰목이버섯 추출물/디프로필렌글리콜/디소듐 EDTA/물, 0.5 ~ 2부의 물/부탄디올/페녹시에탄올/당느릅나무 뿌리 추출물, 0.3 ~ 1부의 페녹시에탄올/메틸파라벤/에틸파라벤/에틸헥실글리세린, 0.001 ~ 0.01부의 향료 및 0.01 ~ 0.1부의 PEG-40 히드로제네티드 캐스터 오일을 포함하며;
    제조 방법은,
    중량부의 글리세레스-26, 부탄디올, 물,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6,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상을 가열 교반하여 충분히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단계; 및 냉각 후, 중량부의 트리에탄올아민, 마데카소사이드, 물/글리세린/탱자나무 열매 추출물, 흰목이버섯 추출물/디프로필렌글리콜/디소듐 EDTA/물, 물/부탄디올/페녹시에탄올/당느릅나무 뿌리 추출물, 페녹시에탄올/메틸파라벤/에틸파라벤/에틸헥실글리세린, 향료 및 PEG-40 히드로제네티드 캐스터 오일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충분히 균일하게 교반하여 히드로겔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히드로겔은 중량부를 기준으로 80 ~ 90부의 물, 2 ~ 5부의 글리세레스-26, 0.1 ~ 0.5부의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6, 0.1 ~ 0.5부의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1 ~ 5부의 니코틴아미드, 0.1 ~ 0.5부의 트리에탄올아민, 0.01 ~ 0.1부의 소듐히알루로네이트, 0.5 ~ 2부의 물/부탄디올/함박꽃나무 추출물, 0.5 ~ 2부의 운데실레노일 페닐알라닌, 0.1 ~ 1부의 트리에탄올아민, 2 ~ 5부의 부탄디올, 0.3 ~ 1부의 페녹시에탄올/메틸파라벤/에틸파라벤/에틸헥실글리세린, 0.01 ~ 0.1부의 향료 및 0.1 ~ 0.3부의 PEG-40 히드로제네티드 캐스터 오일을 포함하며;
    제조 방법은,
    중량부의 물을 두 부분으로 나누는 단계; 제1 부분의 물, 중량부의 글리세레스-26,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6,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니코틴아미드를 가열하여 균일하게 팽윤시킨 후, 중량부의 트리에탄올아민을 첨가하여 맑고 투명해질 때까지 교반하여, 제1 혼합물을 얻는 단계; 중량부의 운데실레노일 페닐알라닌, 트리에탄올아민 및 제2 부분의 물을 사전에 가열 교반하여 투명해질 때까지 용해시키고, 중량부의 소듐히알루로네이트, 물/부탄디올/함박꽃나무 추출물을 첨가하여 제2 혼합물을 얻으며, 제2 혼합물을 제1 혼합물에 첨가하고 충분히 균일하게 분산시켜 제3 혼합물을 얻는 단계; 및 사전에 부탄디올과 페녹시에탄올/메틸파라벤/에틸파라벤/에틸헥실글리세린을 균일하게 혼합하고, 향료와 PEG-40 히드로제네티드 캐스터 오일을 균일하게 혼합하며, 마직막으로 이들을 제3 혼합물에 첨가하고 균일하게 교반하여 히드로겔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히드로겔은 중량부를 기준으로 85 ~ 95부의 물, 0.1 ~ 0.3부의 잔탄검, 2 ~ 5부의 글리세레스-26, 0.1 ~ 0.3부의 카보머, 0.5 ~ 2부의 데카복시카르노신 HCl/부탄디올/나트륨 메틸 파라히드록시벤조에이트/물, 0.5 ~ 2부의 카르노신, 0.3 ~ 1부의 시트르산, 0.3 ~ 1부의 호로파씨 추출물, 0.3 ~ 1부의 페녹시에탄올/메틸파라벤/에틸파라벤/에틸헥실글리세린, 2 ~ 5부의 부탄디올, 0.1 ~ 0.3부의 PEG-40 히드로제네티드 캐스터 오일 및 0.01 ~ 0.1부의 향료를 포함하며;
    제조 방법은,
    중량부의 물을 두 부분으로 나누는 단계; 제1 부분의 물, 중량부의 잔탄검, 글리세레스-26 및 카보머를 가열하여 균일하게 교반하고, 45도로 냉각시켜 제1 혼합물을 얻는 단계; 호로파씨 추출물 및 제2 부분의 물을 혼합하여 80도로 가열하고, 용해한 다음 여과포로 여과하는 단계; 여과액, 중량부의 데카복시카르노신 HCl/부탄디올/나트륨 메틸 파라히드록시벤조에이트/물, 카르노신, 시트르산을 취하여 제1 혼합물에 첨가하고, 균일하게 교반하여 제2 혼합물을 얻는 단계; 및 페녹시에탄올/메틸파라벤/에틸파라벤/에틸헥실글리세린을 부탄디올로 균일하게 혼합하고, PEG-40 히드로제네티드 캐스터 오일과 향료를 균일하게 혼합한 다음, 제2 혼합물에 첨가하고 균일하게 교반하여 히드로겔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히드로겔은 중량부를 기준으로 75 ~ 80부의 물, 0.1 ~ 0.3부의 카보머, 0.01 ~ 0.2부의 잔탄검, 1 ~ 5부의 물/폴리소르베이트-20/글리세린/1,2-헥산디올/카보머/팔미토일 테트라펩티드-7, 0.1 ~ 1부의 글루코실루틴, 0.1 ~ 0.3부의 트리에탄올아민, 0.01 ~ 0.2부의 EDTA-2NA, 0.1 ~ 1부의 물/프로판디올/밀몽화 추출물, 3 ~ 5부의 흰목이버섯 추출물/디프로필렌글리콜/디소듐 EDTA/물, 0.3 ~ 1부의 페녹시에탄올/메틸파라벤/에틸파라벤/에틸헥실글리세린, 5 ~ 10부의 프로판디올, 3 ~ 8부의 부탄디올, 0.01 ~ 0.2부의 향료 및 0.1 ~ 0.5부의 PEG-40 히드로제네티드 캐스터 오일을 포함하며;
    제조 방법은,
    중량부의 물, 카보머, EDTA-2NA 및 잔탄검을 균일하게 분산시킨 후, 트리에탄올아민을 첨가하여 맑고 투명해질때 까지 균일하게 교반하여 제1 혼합물을 얻는 단계; 중량부의 물/폴리소르베이트-20/글리세린/1,2-헥산디올/카보머/팔미토일 테트라펩티드-7, 글루코실루틴, 물/프로판디올/밀몽화 추출물, 흰목이버섯 추출물/디프로필렌글리콜/디소듐 EDTA/물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균일하게 교반하여 제2 혼합물을 얻는 단계; 및 페녹시에탄올/메틸파라벤/에틸파라벤/에틸헥실글리세린과 프로판디올, 부탄디올을 균일하게 혼합하고, 향료와 PEG-40 히드로제네티드 캐스터 오일을 균일하게 혼합한 다음, 제2 혼합물에 첨가하고 균일하게 교반하여 히드로겔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제형 에센스의 제조 방법.
KR1020227009408A 2019-10-12 2019-12-11 2제형 에센스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2005462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967517.0 2019-10-12
CN201910967517 2019-10-12
PCT/CN2019/124636 WO2021068401A1 (zh) 2019-10-12 2019-12-11 一种双剂型精华及其制备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4620A true KR20220054620A (ko) 2022-05-03

Family

ID=69448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9408A KR20220054620A (ko) 2019-10-12 2019-12-11 2제형 에센스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20087924A1 (ko)
EP (1) EP3881819A4 (ko)
JP (1) JP7450979B2 (ko)
KR (1) KR20220054620A (ko)
CN (1) CN110787093B (ko)
AU (1) AU2019469817B2 (ko)
TW (1) TWI767351B (ko)
WO (1) WO20210684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20711B (zh) * 2020-09-17 2022-09-27 广州汇朗生物科技有限公司 凝胶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2263496A (zh) * 2020-10-26 2021-01-26 广州环亚化妆品科技有限公司 一种美白剂、包含其的美白油凝胶及其制备方法
CN112168772A (zh) * 2020-10-27 2021-01-05 成都律恩泽雅科技有限公司 一种淡斑精华乳及其制备方法
CN113041166B (zh) * 2021-03-16 2022-12-02 上海新高姿化妆品有限公司 一种两剂型降温舒缓的化妆品及应用
CN114642607A (zh) * 2021-04-27 2022-06-21 上海康美国际生化有限公司 一种补水、保湿、长效护肤双瓶精华及其制备和使用方法
CN113616541B (zh) * 2021-08-27 2022-04-12 广东丸美生物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双层精华及其制备方法
CN116196224A (zh) * 2021-12-01 2023-06-02 嘉药学校财团法人嘉南药理大学 具保护防护功效的弹力凝胶状组合物
FR3130162A1 (fr) * 2021-12-14 2023-06-16 Microphyt Composition et application notamment cosmétique
CN114392198A (zh) * 2022-01-14 2022-04-26 广州暨大美塑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化妆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4642600A (zh) * 2022-03-12 2022-06-21 广州悦荟化妆品有限公司 一种油凝胶组合物、非乳化型面膜液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使用方法
CN114831896B (zh) * 2022-05-17 2023-12-26 广州市百好博有限公司 一种抗水水包油型乳化剂组合物及其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74881A2 (en) * 2004-02-06 2005-08-18 Showa Denko K.K. Method for stabilizing oil-based thickening gel composition
JP2005247838A (ja) 2004-02-06 2005-09-15 Showa Denko Kk 油性増粘ゲル状組成物の安定化方法
GB0714775D0 (en) * 2007-07-30 2007-09-12 Phillips Hydrocolloids Res Ct Gum
CN104940121B (zh) * 2015-07-08 2017-10-24 广州丽丰化妆品制造有限公司 一种极地雪融霜及其制备方法
CN107184541A (zh) * 2017-05-19 2017-09-22 广州蜜妆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复合天然低能耗乳化组合物
CN107184429A (zh) 2017-05-19 2017-09-22 广州蜜妆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温和高效卸妆乳
CN107252400A (zh) * 2017-06-12 2017-10-17 上海应用技术大学 一种采用d相乳化法制备的植物油脂纳米乳液及其制备方法
CN108113904A (zh) * 2017-12-11 2018-06-05 上海乐宝日化股份有限公司 透明精油凝胶及其制备方法
CN110215413B (zh) * 2018-03-02 2023-04-28 广州华狮化妆品科技有限公司 一种双凝胶体系的眼唇卸妆凝露化妆品及制备方法
DE102018203223A1 (de) * 2018-03-05 2019-09-05 Beiersdorf Ag Fruchtsäure-haltiges, kosmetisches Gel
CN109875938A (zh) 2019-01-30 2019-06-14 陕西崇文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能提高肤色及抗过敏的修复液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114621A (zh) 2021-04-16
CN110787093A (zh) 2020-02-14
US20220087924A1 (en) 2022-03-24
EP3881819A4 (en) 2022-03-23
AU2019469817A1 (en) 2021-07-22
TWI767351B (zh) 2022-06-11
JP2022551856A (ja) 2022-12-14
EP3881819A1 (en) 2021-09-22
CN110787093B (zh) 2022-02-08
JP7450979B2 (ja) 2024-03-18
AU2019469817B2 (en) 2022-11-03
WO2021068401A1 (zh) 2021-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54620A (ko) 2제형 에센스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1166683A (zh) 一种富勒烯抗衰抗氧化美容护肤化妆品及其制备方法
CN104983647A (zh) 深层修复面膜及其制备方法
KR101821207B1 (ko) 올레아놀릭산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0075032B (zh) 一种富含功能因子的黄原胶/海藻酸钠复合水包油乳液及其制备方法
CN109172435A (zh) 一种豆腐霜及其制备方法
KR20120136141A (ko) 즉각적인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15105453A (zh) 一种具有抗菌、消炎和修复功能的护肤品及其制备方法
CN111297745A (zh) 一种促进吸收的美白组合物及其生产工艺和应用
CN110721120A (zh) 一种多功能护肤膏及其制备方法
KR102217663B1 (ko) 말로우추출물, 알로에베라잎추출물, 참마뿌리추출물, 오크라열매 추출물, 아미노산 및 해수를 혼합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08669B1 (ko) 오크라, 다시마, 참마, 모로헤이야, 연근, 폴리글루탐산을 이용하여 구성된 네바네바컴플랙스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1603395B (zh) 一种含有层状液晶的美白保湿乳液及其制备方法
KR20090009054A (ko) 나노베지클 비타톡스를 함유하여 항산화 효과 및 눈가 주름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47589B1 (ko) 모루셀라 추출물 및 께묵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65566B1 (ko) 피부 탄력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CN114053186A (zh) 一种玫瑰长效保湿美白的精华水及其制备方法
KR100829722B1 (ko) 진달래 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CN113730303A (zh) 一种以单一类型乳化剂制备多重乳液的方法以及晒后修复冰晶霜
CN107496466A (zh) 桑黄活性部位及其制备方法和应用、含其的皮肤外用剂
CN105193882A (zh) 红麻提取物及其化妆品组合物和其应用
KR20210025870A (ko) 감태, 톳, 개청각, 우뭇가사리, 제주진득찰 및 랍도시아루베스켄스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001045A (ko) 지질산화 방지, 자외선에 의한 손상 피부 개선 및 피부 진정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102502255B1 (ko) 상처 치유, 피부 재생 또는 자극 완화 효과를 가지는 아줄렌 에멀젼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5721596B (zh) 一种修复抗皱美颜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