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2728B1 - 2액형 화장료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2액형 화장료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2728B1
KR102092728B1 KR1020180154535A KR20180154535A KR102092728B1 KR 102092728 B1 KR102092728 B1 KR 102092728B1 KR 1020180154535 A KR1020180154535 A KR 1020180154535A KR 20180154535 A KR20180154535 A KR 20180154535A KR 102092728 B1 KR102092728 B1 KR 1020927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weight
cosmetic composition
flower extract
cosm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4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현식
조현영
김정희
표재승
김세진
박하나
Original Assignee
아이큐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큐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이큐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54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27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2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27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3Liquid compositions with two or more distinct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2Colour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8Thickener, Thickening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성상의 변화를 갖는 2액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 자세하게는 재미와 시각적인 효과가 반영된 것으로 화장료로서, 제1액와 재2액을 혼합하면 보라색 계통의 액상 제형인 제1액이 청녹 색의 겔상으로 변화면서 소비자에게 재미를 주고 농축된 에센스의 느낌을 줄 수 있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2액형 화장료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및 이의 제조방법{Two part cosmetic composition, Cosmetics contain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색상과 점도를 변화에 따라, 재미와 시각적인 효과가 반영된 새로운 화장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화장료 및 이의 제조방법으로서, 새로운 트렌드를 부여된 화장료를 제공할 수 있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은, 최근 트랜드로서 컬러 화장품(cosmetic)과 시각적인 변화를 이용하여 소비자로 하여금 재미를 제공하고, 이를 마케팅으로 활용하고 있다. 또한 합성 색소에 대한 거부감에 따라, 인공 색소를 대체할 수 있는 천연 추출물을 활용하여 화장품 제조에 사용하고 있다.
나비콩은 나비콩과에 속하는 식물로 나비완두콩, 푸른콩이라고도 불리우며, 동남아시아에 분포한다. 태국 사람들에게 오랫동안 사랑 받고 있는 전통 허브로서, 꽃, 잎, 뿌리는 약재로써 기억력 증진, 항우울, 항스트레스, 신경안정제, 진정제 등의 용도로 사용되어 왔다. 나비콩의 꽃은 차로 이용하거나 식품에 첨가하여 색소로써 이용하기도 하는데 Ellagic acid, Rutin, Quercetin 등 다양한 항산화 물질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피부 개선에 도움을 기대할 수 있다.
화장료는 보습제, 방부제, 증점제 등 다양한 효과를 갖게 하기 위해, 종래부터 다양한 첨가제가 배합되어 있다. 이러한 첨가제 중에서 화장료에 증점성 효과를 주기 위해, 일반적으로 화장료에는 카르복시비닐폴리머와 같은 고분자 증점제가 배합되어 있다. 고분자 증점제의 적당한 양을 조절하면 토너, 스킨, 에센스, 크림 등의 성상 및 사용감을 조절하여 다양한 화장료의 제조가 가능하다. 이러한 카르복시비닐폴리머는 주로 트리에탄올아민, 알지닌, 소듐하이드록사이드와 같은 겔화제와 일정 비율로 반응할 때, pH 변화가 발생하고 점도 형성을 하게 된다. 일반적인 화장료는 일정한 성상을 나타내기 위해 고분자 증점제와 겔화제가 하나의 용기 안에 배합되어 균일한 상태의 액상 혹은 크림상을 나타내게 된다.
화장료 첨가제 중에는 일정기간 보존을 위하여 방부제를 배합하게 되는데, 방부제의 과량 사용은 피부자극을 유발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에 방부제를 사용하지 않고서 화장료의 장기 보전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새로운 소재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 등록특허번호 10-1176523호 (공고일 2012.08.17)
나비콩 꽃 추출물은 pH 변화에 따라 다른 색상을 보이며, 일반적으로 pH 1~3 에서는 붉은 계열을, pH 4~5 에서는 보라계열을 pH 6~8 에서는 푸른 계열을, pH 9~11 에서는 녹색계열을, pH 12~14에서는 노란 계열을 나타내는 특징이 있으며, 항산화 효과, 천연색소 등의 효능을 갖고 있는 것을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나비콩 꽃 추출물의 pH에 따른 색 변화 및 나비콩 꽃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이용한 새로운 화장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화장품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발명으로서, 겔화 현상과 색상 변화를 동시에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화장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2액형 화장료 조성물로서, 나비콩 꽃 추출물 및 산성 증점제를 포함하는 제1액; 및 pH 조절제를 포함하는 제2액;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상기 제1액은 pH 3.2 ~ 4.0이고, 상기 제2액은 pH 9.0 ~ 10.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상기 제1액은 보라색계 투명 액상이며, 상기 제2액은 무색의 투명 액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상기 제1액은 나비콩 꽃 추출물, 보습제, 산성 증점제, 피부주름개선제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상기 제1액은 나비콩 꽃 추출물 1 ~ 8 중량%, 보습제 4.0 ~ 13.5 중량%, 산성 증점제 0.05 ~ 1.2 중량%, 피부주름개선제 0.01 ~ 0.5 중량%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상기 제2액은 pH 조절제, 미백제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상기 제2액은 pH 조절제 0.5 ~ 1.4 중량%, 미백제 5 ~ 20 중량%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상기 제1액 및/또는 제2액은 1,2-헥산디올, 페녹시에탄올, 에틸헥실글리세린, 카프릴릴글라이콜, 클로페네신 및 글리세릴카프릴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방부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상기 제1액은 전체 중량 중 0.1 ~ 4.0 중량%의 방부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상기 제2액은 전체 중량 중 0.1 ~ 2.5 중량%의 방부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제1액 조성 중 상기 보습제는 글리세린, 디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라이콜, 펜틸렌글라이콜, 프로판디올, 솔비톨 및 자일리톨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제1액 조성 중 상기 산성 증점제는 카보머(carbomer) 및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 폴리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제2액 조성 중 상기 미백제는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 에칠아스코빌에텔(3-O-Ethyl ascorbic acid), 알부틴(Arbutin) 및 트라넥사믹애씨드(Tranexamic acid)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제2액 조성 중 상기 pH 조절제는 알지닌(arginine), 트리에탄올아민, 트로메타민, 소듐하이드록사이드 및 씨트릭애씨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한 화장료로서, 상기 제1액 및 상기 제2액을 혼합한 2액형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2액형 화장료는 상기 제1액 및 상기 제2액을 1 : 0.15 ~ 0.35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2액형 화장료는 pH 5.8 ~ 7.2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2액형 화장료는 점도가 25℃에서 3,000 ~ 6,000 cPs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앞서 설명한 2액형 화장료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나비콩 꽃 추출물 및 산성 증점제를 포함하는 제1액 및 pH 조절제를 포함하는 제2액을 각각 제조하는 1단계; 및 상기 제1액과 제2액을 혼합하는 2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상기 나비콩 꽃 추출물은 나비콩을 세척 및 건조한 후 분말화시켜서 나비콩 분말을 제조하는 1-1단계; 상기 나비콩 분말을 혼합용매와 혼합한 후, 90 ~ 100℃ 하에서 1 ~ 3시간 동안 추출공정을 수행하는 1-2단계; 추출물로부터 침전물을 회수하는 1-3단계; 상기 침전물을 필터링하여 나비콩 꽃 추출물을 얻는 1-4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을 수행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상기 나비콩 꽃 추출물은 1-4단계의 나비콩 꽃 추출물을 방부처리한 후, 재여과하는 1-5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을 더 수행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겔화 현상과 색상 변화를 동시에 시각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2액형 화장료로서, 보라색 계통의 액상 제형이 청녹색의 겔상으로 바뀌면서 소비자에게 재미를 주고 농축된 에센스의 느낌을 줄 수 있다. 또한, 나비콩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제1액을 산성으로 유지함으로써, 미생물 등에 의한 오염 방지를 위해 사용하는 방부제 사용량을 저감하거나 방부제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는 바, 화장료 내 방부제로 인한 피부 트러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실험예 2에서 실시한 제조예 1의 화장료의 제1액 및 제2액 혼합 전후의 색 변화를 관찰한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2액형 화장료 조성물은 낮은 pH를 가지는 나비콩 꽃 추출물 함유 제1액 및 높은 pH를 가지는 제2액을 포함한다.
상기 제1액은 화장료 조성물로서 보습 효과 및 항산화 효과를 부여하는 역할 및 색상과 겔화 성분을 부여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제1액은 나비콩 꽃 추출물 외에 산성 증점제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나비콩 꽃 추출물, 보습제, 산성 증점제, 피부주름개선제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액은 방부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1액 조성 중 상기 나비콩 꽃 추출물의 함량은 제1액 전체 중량 중 1 ~ 8 중량%를, 바람직하게는 1.2 ~ 6.0 중량%를,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 5.0 중량%를 포함할 수 있으며, 나비콩 꽃 추출물 함량이 1 중량% 미만이면 화장료로서 항산화 성분이 미비하여 피부 개선 효과가 떨어질 수 있고, 8 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점도 변화 혹은 피부 자극을 일으키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제1액 조성 중 상기 보습제는 화장료에 보습 효과를 부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당업계에서 사용하는 일반적인 보습제를 사용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린, 디프로필렌글라이콜, 부틸렌글라이콜, 펜틸렌글라이콜, 프로판디올, 솔비톨 및 자일리톨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욱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린 및 디프로필렌글리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보습 효과 및 방부제 부스팅(boosting) 역할 측면에서 좋다. 그리고, 보습제 사용량은 제1액 전체 중량 중 4.0 ~ 13.5 중량%를, 바람직하게는 5.0 ~ 12.0 중량%를,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 10.0 중량%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보습제 함량이 4.0 중량% 미만이면 보습 효과가 미비할 수 있고, 13.5 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제1액의 점도가 너무 높아져서 제2액과의 혼합이 잘 되지 않을 수 있고, 제2액과 혼합된 화장료의 겔상화가 추가적으로 증대시켜서, 점도가 너무 높아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며, 끈적거리는 사용감을 야기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제1액 조성 중 상기 산성 증점제는 제1액에 제2액을 혼합하여 화장료를 제조하면 화장료 성분이 적절하게 겔화되어 청녹색의 겔상이 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당업계에서 사용하는 일반적인 산성 증점제 성분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카보머(carbomer) 및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 폴리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산성 증점제의 사용량은 제1액 전체 중량 중 0.05 ~ 1.2 중량%를, 바람직하게는 0.32 ~ 1.0 중량%를, 더욱 바람직하게는 0.35 ~ 0.80 중량%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산성 증점제 함량이 0.05 중량% 미만이면 제2액이 혼합된 후 화장료의 겔상화가 적절하게 잘 일어나지 않고, 제1액의 pH가 다소 높아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1.2 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제2액이 혼합된 후 화장료의 겔상화가 너무 빠르고, 점도가 너무 높아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제1액 조성 중 상기 피부주름개선제는 주름개선 향상에 도움을 주는 성분으로서, 아데노신, 레티놀, 레티닐팔미테이트 및 엑토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바람직하게는 아데노신 및 엑토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그 사용량은 제1액 전체 중량 중 0.01 ~ 0.5 중량%를, 바람직하게는 0.02 ~ 0.4 중량%를, 더욱 바람직하게는 0.02 ~ 0.2 중량%를 포함할 수 있으며, 아데노신 함량이 0.01 중량% 미만이면 주름 개선 효과가 미비할 수 있고, 0.5 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제형의 점도 변화 혹은 자극을 야기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제1액은 방부제를 선택적으로 추가 사용할 수 있으며, 방부제로는 당업계에서 사용하는 일반적인 방부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1,2-헥산디올, 페녹시에탄올, 카프릴릴글라이콜, 에틸헥실글리세린 및 글리세릴카프릴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2-헥산디올 및 페녹시에탄올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방부제는 되도록이면 적게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제1액 전체 중량 중 0.1 ~ 4.0 중량%를, 바람직하게는 0.5 ~ 2.5 중량%를, 더욱 바람직하게는 0.8 ~ 2.0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물은 제1액 조성물들의 용매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제1액 전체 중량 중 다른 조성물 외에 나머지 중량%를 차지한다.
상기 조성 및 조성비를 가지는 제1액은 나비콩 꽃 추출물로 인해 보라색의 투명 액상 제형의 성상을 가지며, pH 3.2 ~ 4.0, 바람직하게는 pH 3.25 ~ 3.80, 더욱 바람직하게는 pH 3.25 ~ 3.60일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2액형 화장료 조성물 중 제2액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액은 제1액과 혼합되어, 화장료의 pH를 조절하여 색 변화 및 겔화시키는 역할 및 미백 기능성 원료 및 기타 효능 원료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2액은 pH 조절제를 포함하며, 구체적으로는 pH 조절제, 미백제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한다.
상기 pH 조절제로는 피부에 해를 주지 않는 성분을 사용하며, 바람직하게는 알지닌(arginine), 트리에탄올아민, 트로메타민, 소듐하이드록사이드 및 씨트릭애씨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pH 조절제의 사용량은 제2액 전체 중량 중 0.5 ~ 1.4 중량%를, 바람직하게는 0.60 ~ 1.3 중량%를, 더욱 바람직하게는 0.8 ~ 1.3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때, pH 조절제 함량이 제2액 전체 중량 중 0.5 중량% 미만이면 제2액 pH가 낮아서 제1액의 색 변화를 유도하기 위해 제2액 성분을 너무 많이 사용해야 하는 문제가 있고, 1.3 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제2액의 pH가 10을 초과하여 너무 높은 pH를 가지게 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로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그리고, 상기 미백제로는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 에칠아스코빌에텔(3-O-Ethyl ascorbic acid), 알부틴(Arbutin) 및 트라넥사믹애씨드(Tranexamic acid)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바람직하게는 나이아신아마이드 및 알부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미백제의 사용량은 제2액 전체 중량 중 5 ~ 20 중량%를, 바람직하게는 5 ~ 15 중량%를, 더욱 바람직하게는 7.5 ~ 12.5 중량%를 포함할 수 있으며, 미백제 함량이 5 중량% 미만이면 미백 효과가 미비할 수 있고, 20 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피부 자극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액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방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1,2-헥산디올, 페녹시에탄올, 카프릴릴글라이콜, 글리세릴카프릴레이트 및 에틸헥실글리세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방부제 최소량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제2액 전체 중량 중 0.1 ~ 2.5 중량%를, 바람직하게는 0.2 ~ 1.5 중량%를, 더욱 바람직하게는 0.3 ~ 1.3 중량% 정도 포함되도록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조성 및 조성비를 가지는 제2액은 무색의 투명 액상으로서, pH 9.0 ~ 10.0, 바람직하게는 pH 9.2 ~ 10.0, 더욱 바람직하게는 pH 9.2 ~ 9.85일 수 있다.
본 발명의 2액형 화장료는 상기 제1액 및 상기 제2액을 각각 제조하는 1단계; 및 상기 제1액과 제2액을 혼합하는 2단계;를 수행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제1, 2액의 혼합비는 제1액 및 제2액을 1 : 0.15 ~ 0.35 중량비로, 바람직하게는 1 : 0.20 ~ 0.30 중량비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0.22 ~ 0.28 중량비로 혼합할 수 있다. 이때, 제2액이 0.15 중량비 미만이면 제1액이 푸른색으로 색 변화 잘 이뤄지지 않을 수 있고, 0.30 중량비를 초과하면 제1액의 겔화가 잘 되지 않아서 화장료의 점도가 너무 낮은 문제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1단계의 제1액 성분인 나비콩 꽃 추출물은 다음과 같은 제조공정을 수행하여 제조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나비콩 꽃을 세척 및 건조한 후 분말화시켜서 나비콩 꽃 분말을 제조하는 1-1단계; 상기 나비콩 꽃 분말을 혼합용매와 혼합한 후, 추출공정을 수행하는 1-2단계; 추출물로부터 침전물을 회수하는 1-3단계; 상기 침전물을 필터링하여 나비콩 꽃 추출물을 얻는 1-4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을 수행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나비콩 꽃 추출물은 1-4단계의 나비콩 꽃 추출물을 방부처리한 후, 재여과하는 1-5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을 더 수행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1-2단계의 상기 혼합용매는 글라이콜 및 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부틸렌글라이콜 및 물을 1 : 2.0 ~ 3.5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용매를, 더욱 바람직하게는 부틸렌글라이콜 및 물을 1 : 2.0 ~ 3.0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나비콩 꽃으로부터 피부 개선 효과 있는 성분을 추출하기에 좋다.
추출공정은 90 ~ 100℃ 하에서 1 ~ 3시간 동안, 바람직하게는 92 ~ 98℃ 하에서 1.5 ~ 2.5 시간 동안 중탕한 다음, 이를 80 ~ 100 메쉬(mesh)의 필터(filter)로 여과하여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1-3단계의 침전물은 1-2단계의 추출물을 고액분리시켜서 얻을 수 있으며, 바람직한 일례를 들면, 추출물을 밀봉 후 0℃ ~ 25℃ 하에 48 ~ 60시간 정도 방치하여 침강 분리시켜서 얻거나 또는 추출물에 압력을 가해 침전물의 침전 속도를 증가시켜서 침전물을 얻을 수도 있다.
1-4단계는 회수한 침전물 내 불순물을 제거하여 위해 필터링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로서, 필터링은 당업계에서 사용하는 일반적인 여과 공정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바람직한 일례를 들면, 0.25um ~ 1.0um 기공 크기의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거나, 바람직하게는 0.25um ~ 1.0um 기공 크기의 필터 중 기공 크기가 다른 2종 이상의 필터를 사용하여 2 ~ 3회 여과하여 침전물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여과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1-5단계는 선택적 공정으로서, 상기 방부처리는 1-4단계에서 제조한 나비콩 꽃 추출물을 방부제로 처리한 후, 제균 여과하여 나비콩 꽃 추출물의 보관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공정이다. 이때, 방부제는 피부에 자극을 최소화하거나 피부 자극이 없는 방부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구체적인 일례를 들면, 방부제 처리는 나비콩 꽃 추출물에 1,2-헥산디올을 전체 함량 중 3 중량% 정도 혼합하여, 기공 크기 0.1 ~ 0.5㎛의 필터로 제균 여과를 수행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방법 및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본 발명의 2액형 화장료는 pH 5.8 ~ 7.2, 바람직하게는 pH 6.2 ~ 7.2, 더욱 바람직하게는 pH 6.4 ~ 7.0 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2액형 화장료는 점도가 3,000 ~ 6,000 (cPs, 25℃), 바람직하게는 3,200 ~ 5,500 (cPs, 25℃), 더욱 바람직하게는 3,500 ~ 5,000 (cPs, 25℃)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자세하게 설명을 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하여 해석해서는 안된다.
[ 실시예 ]
준비예 1 : 나비콩 꽃 추출물의 제조
나비콩의 꽃 1kg을 정제수로 세척한 뒤, 건조하였다.
다음으로, 추출용매로서 부틸렌글라이콜 30 부피% 및 정제수 70 부피%를 혼합한 혼합용매를 준비한 후, 상기 혼합용매를 건조한 나비콩 대비 10배의 부피량으로 가하였다. 다음으로, 추출기(Cosmos-660, 경서기계)에서 95℃에서 2시간 중탕하여 100mesh, 1um 필터를 사용하여 추출 및 여과하였다. 다음으로 추출물을 상온(23 ~ 25℃)에서 3일간 방치하여 얻은 침전물을 0.8um 기공크기의 필터로 1차 여과한 후, 0.45um 기공크기의 필터로 2차 여과하였다.
다음으로, 여과된 여과물을 1,2-헥산디올을 전체 함량 대비 3 중량% 를 혼합하고, 0.2um 필터로 제균 여과하여 나비콩 꽃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나비콩 꽃 추출물의 pH에 따른 색상 변화 측정
상기 준비예 1에서 제조한 나비콩 꽃 추출물을 하기 표 1과 같은 조성 및 조성비를 가지는 조성물을 각각 제조한 후, 이의 pH 및 색상을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중량%)
조성 1 조성 2 조성 3 조성 4 조성 5 조성 6
나비콩 꽃 추출물(준비예 1) 2 2 2 2 2 2
1,2-헥산디올 1 1 1 1 1 1
글리콜산(Glycolic acid) - 1.5 0.03 - - -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 - - - 0.001 0.2 3
나머지 잔량 나머지 잔량 나머지 잔량 나머지 잔량 나머지 잔량 나머지 잔량
pH 5.26 2.69 3.36 7.04 10.05 10.80
색상 파란색 붉은 색 보라색 청녹색 녹색 노란색
상기 표 1을 살펴보면, 나비콩 꽃 추출물을 이용한 다양한 조성물의 경우, 조성물 전체 중량 중 동일한 나비콩 꽃 추출물을 함량하고 있더라도 다른 성분 및 이들의 함량에 따라 pH가 크게 다르고, 이로 인해 조성물의 색 성상이 크게 다름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pH가 2 ~ 3 정도일 때는 붉은색을, pH가 3 ~ 4 정도일 때 보라색을 가지며, pH 5 ~ 6 정도일때는 파란색, 6 ~ 7.2 정도에서는 청녹색, pH 9 이상에서는 녹색 내지 노란색을 가지는 경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1-1 및 비교예 1-1 ~ 1-2 : 제1액의 제조
상기 준비예 1에서 제조한 나비콩 꽃 추출물을 이용하여 하기 표 2와 같은 조성 및 조성비를 가지는 제1액을 각각 제조하여 실시예 1-1 및 비교예 1-1 ~ 1-2를 실시하였다.
구분
(중량 %))
구분
(중량 %))
실시예 1-1 비교예 1-1 비교예 1-2
나비콩 꽃 추출물 (준비예 1) 2 2 2
보습제 글리세린 3 3 3
디프로필렌글라이콜 5 5 5
산성 증점제 카보머 0.4 0.3 0.2
피부주름개선제 아데노신 0.04 0.04 0.04
방부제 페녹시에탄올 0.5 0.5 0.5
1,2-헥산디올 1 1 1
정제수 88.06 88.16 88.26
pH 3.58 3.66 3.75
색상 보라색 보라색 보라색
실시예 2-1 및 비교예 2-1 ~ 2-2 : 제2액의 제조
하기 표 3과 같은 조성 및 조성비를 가지는 제2액을 각각 제조하여 실시예 2-1 및 비교예 2-1 ~ 2-2를 실시하였다.
구분
(중량 %))
실시예 2-1 비교예 2-1 비교예 2-2
미백제 나이아신아마이드 10 15 20
pH 조절제 알지닌(ph조절) 1.25 1.5 2
방부제 1,2-헥산다이올 1 1 1
정제수 87.75 82.75 77.75
pH 9.66 10.57 10.64
색상 투명색 투명색 투명색
제조예 1 : 2액형 화장료의 제조
상기 실시예 1-1의 제1액에 상기 실시예 2-1의 제2액을 1 : 0.25 중량비로 혼합하여 화장료를 제조한 후, 이의 pH 및 점도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그리고, 제2액 혼합 전 제1액의 색 변화 사진을 도 1에 나타내었다.
비교제조예 1 ~ 3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하게 2액형 화장료를 제조하되, 하기 표 4와 같은 중량비로 실시예 1-1의 제1액과 실시예 2-1의 제2액을 혼합하여 2액형 화장료를 제조하여 비교제조예 1 ~ 3을 각각 실시하였다.
구분 제조예 1 비교제조예 1 비교제조예 2 비교제조예 3
제1액 및 제2액 중량비 1 : 0.25 1 : 0.11 1 : 0.05 1 : 0.43
pH 6.60 5.48 4.96 7.82
색상 청녹색 청색 보라색 녹색 가까운 청녹색
점도(cps,25 ℃) 3,995 5,927 7,114 1,548
상기 표 4를 살펴보면, 제조예 1은 점도가 3,500 ~ 5,000 (cPs, 온도 25℃)를 가지면서 pH 6.60으로 청녹색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제2액을 제1액에 대하여 0.15 중량비 미만으로 사용한 비교제조예 1 및 비교제조예 2의 경우, 색상을 점도가 높고 pH가 너무 낮은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제2액을 제1액에 대하여 0.35 중량비를 초과하여 사용한 비교제조예 3의 경우, 적정 pH를 가져 색상은 청녹색을 나타내지만, 점도가 너무 낮아서 혼합할 경우 점도 변화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실험예 1 : 나비콩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기호도 설문 조사
20 ~ 40대 여성을 15명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제조예 1과 비교제조예 1 ~ 3에서 제조한 화장 피부 촉촉함, 매끄러움, 발림성, 흡수성, 전반적 사용감 정도에 대하여 아주 좋음(4), 좋음(3), 보통(2), 나쁨(1), 아주 나쁨(0)의 5단계로 평가하여 평균값을 표 5에 나타내었다.
조사 내용 제조예1 비교제조예1 비교제조예2 비교제조예3
촉촉함 3.2 3.0 3.0 3.1
매끄러움 3.2 2.8 2.7 3.3
발림성 3.3 2.1 2 3.2
흡수성 3.6 3.0 3.2 2.5
전반적 사용감 3.32 2.72 2.72 3.0
제형 변화 3.8 3 1.8 2.4
평균 3.40 2.77 2.57 2.92
실험예 2 : 나비콩 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의 보습 효과
본 발명의 나비콩 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보습 효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을 실시하였다.
20 ~ 50대 여성 20명을 선정하여 무도포, 제조예 1 및 비교제조예 1을 사용 전과 사용 직후 및 사용 24시간 후 피부 수분량을 측정하였다. 피부 수분량 측정은 실내온도 20 ~ 25℃, 습도 40 ~ 60%의 항온항습 조건의 대기실에서 30분간 안정을 취하여 피부 표면 온도와 습도를 측정공간의 환경에 적응하게 하였다.
피부 수분량 측정 기기는 Corneometer CM825(Courage-Khazaka electric GmBbH, Germany)를 사용하였으며, Corneometr probe를 피부에 접촉시켜 센서를 통해 수치를 측정하였고, 3회 실시하여 그 평균값을 표 6에 나타내었다. 여기서, 표 6은 20명의 평균 측정값을 나타낸 것이다.
구분 무도포
피부수분 함유량
제조예 1 도포
피부수분 함유량
비교제조예 1
피부수분 함유량
사용 전 32.22 a.u. 30.83 a.u. 31.17 a.u.
사용 직후 30.11 a.u. 62.47 a.u. 56.23 a.u.
사용 24시간 후 28.88 a.u. 41.56 a.u. 36.45 a.u.
*a.u. : arbitrary corneometer units, 피부표면의 수분 함유량을 정전부하용량 (Capacitance) 계측법으로 측정
상기 표 6의 수분 함유량 측정 결과를 살펴보면, 비교제조예 1과 비교할 때, 제조예 1이 우수한 피부 수분량을 가지고 피부 수분량을 유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성상의 변화를 가지면서, 보습성이 우수한 2액형 화장료를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나비콩 꽃 추출물 및 산성 증점제를 포함하는, pH 3.2 ~ 4.0인 제1액; 및
    pH 조절제를 포함하는, pH 9.0 ~ 10.0인 제2액;을 포함하고,
    상기 제1액은 보라색계 투명 액상이며, 상기 제2액은 무색의 투명 액상이며,
    산성 증점제는 카보머(carbomer) 및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Acrylates/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pH 조절제는 알지닌(arginine), 트리에탄올아민, 트로메타민, 소듐하이드록사이드 및 씨트릭애씨드(Citric acid)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제1액 및 상기 제2액을 1 : 0.15 ~ 0.35 중량비로 혼합시 혼합액은 pH 6.2 ~ 7.2, 25℃에서 점도 3,000 ~ 6,000 cPs 및 푸른계열 색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액형 화장료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액은 나비콩 꽃 추출물 1 ~ 8 중량%, 보습제 4.0 ~ 13.5 중량%, 산성 증점제 0.05 ~ 1.2 중량%, 피부주름개선제 0.01 ~ 0.5 중량%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액형 화장료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습제는 글리세린, 디프로필렌글라이콜, 부틸렌글라이콜, 펜틸렌글라이콜, 프로판디올, 솔비톨 및 자일리톨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액형 화장료 조성물.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액은 pH 조절제 0.5 ~ 1.4 중량%, 미백제 5 ~ 20 중량%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액형 화장료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미백제는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 에칠아스코빌에텔(3-O-Ethyl ascorbic acid), 알부틴(Arbutin) 및 트라넥사믹애씨드(Tranexamic acid)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액형 화장료 조성물.
  8. 제3항 내지 제7항의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며,
    제1액 및 제2액을 1 : 0.15 ~ 0.35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액형 화장료.
  9. 제8항에 있어서, pH 6.2 ~ 7.2이고, 점도가 25℃에서 3,000 ~ 6,000 cP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액형 화장료.
  10. 나비콩 꽃 추출물 및 산성 증점제를 포함하는, pH 3.2 ~ 4.0인 제1액 및 pH 조절제를 포함하는, pH 9.0 ~ 10.0인 제2액을 각각 제조하는 1단계; 및
    상기 제1액과 제2액을 1 : 0.15 ~ 0.35 중량비로 혼합하는 2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액은 보라색계 투명 액상이며, 상기 제2액은 무색의 투명 액상이며,
    산성 증점제는 카보머(carbomer) 및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Acrylates/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pH 조절제는 알지닌(arginine), 트리에탄올아민, 트로메타민, 소듐하이드록사이드 및 씨트릭애씨드(Citric acid)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액형 화장료의 제조방법.
KR1020180154535A 2018-12-04 2018-12-04 2액형 화장료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927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4535A KR102092728B1 (ko) 2018-12-04 2018-12-04 2액형 화장료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4535A KR102092728B1 (ko) 2018-12-04 2018-12-04 2액형 화장료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2728B1 true KR102092728B1 (ko) 2020-03-24

Family

ID=70004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4535A KR102092728B1 (ko) 2018-12-04 2018-12-04 2액형 화장료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27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3745B1 (ko) * 2022-07-20 2022-11-07 (주)바이오시엠 미백 및 항산화기능을 가지는 화장품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6523B1 (ko) 2009-12-22 2012-08-24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성상 변화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020664A (ko) * 2016-08-19 2018-02-28 (주)아모레퍼시픽 2액형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6523B1 (ko) 2009-12-22 2012-08-24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성상 변화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020664A (ko) * 2016-08-19 2018-02-28 (주)아모레퍼시픽 2액형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 블로그(https://blog.naver.com/jyoonl/221305683480), "20대 남자 스킨 로션 추천 : 블루라이트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몬스터랩 올인원 퍼스트인원스킨" (2018.06.24.)*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3745B1 (ko) * 2022-07-20 2022-11-07 (주)바이오시엠 미백 및 항산화기능을 가지는 화장품 조성물
WO2024019212A1 (ko) * 2022-07-20 2024-01-25 (주)바이오시엠 미백 및 항산화기능을 가지는 화장품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3413B1 (ko) 함초 및 노근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37063B1 (ko) 비타민 10가지 성분을 함유한 피부 개선용 조성물
JP2012184220A (ja) 頭皮頭髪化粧料
KR102092728B1 (ko) 2액형 화장료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68481B1 (ko) 눈꽃모양 입자를 형성하는 보습 크림의 화장료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KR20150078741A (ko) 둥근마, 신선초, 오크라 및 토란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조성물
KR20150027327A (ko) 들깨 성분이 함유된 겔형 마스크팩 조성물, 이를 이용한 겔형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방법
US20100166683A1 (en) Composition of external preparation for uv-protection comprising rehmannia glutinosa extracts
KR20190010482A (ko) 플로로탄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백모 방지 및 흑모 촉진용 조성물 및 제품
KR101864223B1 (ko) 삼붕냐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0339081B (zh) 一种稳定的油溶多肽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0906696B1 (ko) 오메가오일과 멀꿀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색조 화장료용 복합 분체
KR101882657B1 (ko) 해죽순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8403535A (zh) 紫苏嫩叶提取物及其应用
KR101104587B1 (ko)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81952B1 (ko)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105721A (ko) 구기자나무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억제 화장료 조성물
KR101515501B1 (ko) 천연식물을 이용한 입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CN105267058B (zh) 一种绿萝花多糖及其应用
KR101947062B1 (ko) 복합 식물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093498A (ko) 타나카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H0341014A (ja) モロヘイヤ抽出物含有化粧料
KR20140074475A (ko) 화장료 조성물
CN113347955B (zh) 具有可变颜色胶囊的着色化妆品组合物
KR102142460B1 (ko) 타라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