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1886A - 식물성 3중 보습 성분 및 이를 포함하는 스킨 케어 조성물 - Google Patents

식물성 3중 보습 성분 및 이를 포함하는 스킨 케어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1886A
KR20090041886A KR1020070107627A KR20070107627A KR20090041886A KR 20090041886 A KR20090041886 A KR 20090041886A KR 1020070107627 A KR1020070107627 A KR 1020070107627A KR 20070107627 A KR20070107627 A KR 20070107627A KR 20090041886 A KR20090041886 A KR 200900418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ble
oil
triple
wax
moisturi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7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재승
김종천
류민경
원은주
Original Assignee
유한킴벌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킴벌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한킴벌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7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41886A/ko
Publication of KR20090041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18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1Cupressaceae [Cypress family], e.g. juniper or cypr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피부에 3중 보습 효과를 부여할 수 있는 식물성 3중 보습 성분(botanical triple hydro complex) 및 이를 포함하는 스킨 케어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수분막 형성 원료로 식물성 다가 알코올(polyhydric alcohol), 유분막 형성 원료로 식물성 오일 및 피지 유사막 형성 원료로 식물성 왁스를 함유하는 식물성 3중 보습 성분 및 이를 포함하는 스킨 케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식물성 3중 보습 성분은 피부 표면에서 물을 함유하여 피부에 수분막을 형성하는 식물성 다가 알코올, 피부에 풍부한 영양을 공급하고 유분막을 형성하는 식물성 왁스 및 피지 유사막을 형성하여 피부의 피지층과 같이 외부의 자극원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함과 동시에 피부의 보습에도 도움을 주는 식물성 왁스로 구성되어, 이를 포함하는 스킨 케어 조성물은 피부에 수분막, 유분막, 그리고 인지질 유사막의 3중 보습막을 형성함으로써 우수한 피부 보습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3중 보습, 식물성 왁스, 식물성 오일, 식물 추출 다당류, 아르간, 호호바, 사과 다당류, 식물성 보습, 조성물

Description

식물성 3중 보습 성분 및 이를 포함하는 스킨 케어 조성물{BOTANICAL TRIPLE HYDRO COMPLEX AND SKIN CARE FORMULATION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수분막 형성 원료로 식물성 다가 알코올(polyhydric alcohol), 유분막 형성 원료로 식물성 오일 및 피지 유사막 형성 원료로 식물성 왁스를 함유하여 사용자의 피부에 우수한 3중 보습 효과를 제공하는 식물성 3중 보습 성분 및 이를 포함하는 스킨 케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외부로부터 순서대로 표피, 진피, 피하지방 조직의 3개 층으로 크게 구분되며, 인체를 외부 환경의 물리적, 화학적인 자극으로부터 보호해 주는 기능을 하는데, 특히 피부는 인체가 갖고 있는 약 65~70%의 수분이 체외로 증발되는 것을 조절해 준다. 그 중에서도 표피는 외부로부터 각질층, 과립층, 유극층, 기저층의 순서로 구분되는데, 표피의 각질층은 약 10~20%의 수분을 함유하고 인체의 최외각에 존재하여 체내로부터의 수분 증발을 억제하는 한편, 외부로부터 물질의 과잉 침투를 차단한다(J. Invest . Dermatol . 80(Suppl.): 44-49. 1983). 이러한 각질층을 구성하고 있는 세포에는 수용성 성분인 고농도의 자연보습인자(natural moisturizing factor, NMF)가 존재하여 피부가 유연성을 나타내도록 작용함은 물론 적절한 수분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다(J. Invest . Dermatol . 54: 24-31, 1970). 그러나 환경의 변화 혹은 생활 패턴의 변화, 사회 생활에서 발생되는 각종 스트레스와 환경 오염, 화장 습관에 따른 잦은 세안 및 연령 증가에 따른 자연적인 피부 노화 등의 원인으로 각질층의 수분이 감소하여 피부가 건조해지고 표면이 거칠게 되며, 피부가 윤기를 잃어 칙칙하게 보이는 등의 현상이 발생하여 피부 보습제(moisturizer)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피부의 적절한 수분 함량을 유지하기 위하여 외부로부터 수분을 공급하거나, 체내로부터의 수분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어 왔으며, 실제로 수분 보유 능력이 있는 다양한 보습제가 개발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습제로는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다이프로필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등의 폴리올계 화합물, 글리세린, 솔비톨, 말디톨, 아미노산, 피롤리돈카복실산 나트륨, 요소, 유산, 히아루론산 및 콜라겐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보습제들은 기존에 고농도에서의 사용감, 낮은 습도에서의 보습 유지, 사용 시 초기 보습력의 한계와 같은 문제가 있으며, 사용 물질에 따라서는 피부 자극을 유발하는 문제도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수의 보습인자를 조합하고 이를 미세다중 구조화시켜 피부 침투 및 보존성을 개선시킴으로써 보습 효과를 증진시키는 방법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지질 베이스와 같은 막으로 캡슐화시켜야 하거나 미유동기(microfluidizer)와 같은 고가의 장비를 사용해야 하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계면활성제가 다량 함유되는 에멀젼에서는 계면활성제에 의해 리포좀 구조가 파괴되 므로 다양한 계면활성제가 사용되고 있는 화장품 분야에서는 경제성 및 안정화 등이 문제점으로 거론되었다. 또한 일반적인 친수성 보습제의 사용은 보습력 증진에만 주력한 것으로 자극 완화기능, 피부 활성물질의 보존성 및 항균효과 등에는 거의 미비한 한계가 있었다. 뿐만 아니라,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요소, 글리세린과 같은 기존 보습제 성분의 대부분은 식물성 성분이 아니라 부산물이 화학적 성분이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 시 안정성 및 피부친화성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429404호는 폴리옥시에틸렌 프리형 유화제와 천연지질 혼합물의 안정화제를 사용하여 유화의 안정화와 세라마이드 침적현상을 막을 수 있는 유화시스템을 통한 저자극성 및 고보습형 화장료 조성물을 교시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740598호는 다이메티콘/비닐메티콘 가교 중합체와 글리세릴 에스테르 유화제를 통한 수중유형 유화 제형을 통해서 보습 효과를 제공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에 개시된 조성물은 기존에 존재하는 일반적인 유화제형들과 보습력에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으며, 또한 새로운 보습 유지 메커니즘을 기대하는 소비자들의 기대를 총족시킬 수 없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보습제는 천연 식물성 유래의 원료가 아닌 화학적 원료를 이용하여 보습을 부여하며 독특한 유화제형 또는 유화제형 안정화 시스템을 통한 보습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그러나 보습제로서 화학적 원료들의 유해성이 속속히 밝혀지고 있으며, 웰빙(well-being), 로하스(lohas) 등을 추구하는 녹색 소비자(green consumer) 집단이 증가하면서 식물성 원료를 통한 보습을 강하게 요구 하고 있다. 또한, 오늘날의 보습제는 단지 수분 증발을 방지하거나 수분을 붙잡고 있는 것에 만족하는 것이 아니라, 수분 증발 방지와 함께 수분 및 영양을 공급하고 피부를 외부 자극으로부터 보호해주는 복합적인 기능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수분막 형성 원료, 유분막 형성 원료 및 피지 유사막 형성 원료로 구성된 식물성 3중 보습 성분 및 이를 포함하는 스킨 케어 조성물을 개발하고 이들 성분 및 조성물이 피부에 3중 보습막을 형성하여 수분을 보유/유지함과 더불어 수분의 증발을 억제하고 외부의 자극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에 수분막, 유분막 및 피지 유사막의 3중 보습막을 형성하여 피부의 수분을 보유/유지함과 더불어 수분의 증발을 막고, 외부의 자극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식물성 보습 성분 및 이를 포함하는 스킨 케어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식물성 성분들로만 구성되어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으면서 우수한 보습 효과를 나타내는 식물성 3중 보습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수분막 형성 원료로서 10 내지 80 중량%의 식물성 다가 알코올, b) 유분막 형성 원료로서 10 내지 80 중량%의 식물성 오일, 및 c) 피지 유사막 형성 원료로서 10 내지 80 중량%의 식물성 왁스를 함유하는 식물성 3중 보습 성분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식물성 3중 보습 성분을 포함하는 스킨 케어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식물성 3중막 보습 성분은 피부 표면에서 물을 함유하여 피부에 수분막을 형성하는 식물성 다가 알코올, 피부에 풍부한 영양을 공급하고 유분막을 형성하는 식물성 왁스 및 피지 유사막을 형성하여 피부의 피지층과 같이 외부의 자 극원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함과 동시에 피부의 보습에도 도움을 주는 식물성 왁스를 함유함으로써 이를 포함하는 스킨 케어 조성물은 사용자의 피부에 자극이나 과민감성 등의 문제를 야기하지 않으면서 우수한 3중 보습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물성 3중 보습 성분(botanical triple hydro complex)은 피부 표면에서 물을 함유하여 피부에 수분막을 형성하는 식물성 다가 알코올, 피부에 풍부한 영양을 공급하고 유분막을 형성하는 식물성 오일 및 피지 유사막을 형성하여 피부의 피지층과 같이 외부의 자극원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함과 동시에 피부의 보습에도 도움을 주는 식물성 왁스로 구성되며, 사용자의 피부에 수분막, 유분막 및 피지 유사막의 3중 보습막을 형성하여 우수한 피부 보습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각 원료의 구성비는 바람직한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상기 식물성 3중 보습 성분의 각 구성원료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 수분막 형성 원료
본 발명의 식물성 3중 보습 성분 중에서 피부 표면에서 물을 함유하여 수분막을 형성하는 원료는 식물성 다가 알코올(vegetable polyhydric alcohol)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식물성 글리세린(glycerin), 자일리톨(xylitol), 솔비톨(sorbitol) 및 식물성 다당류(vegetable polysaccharide)를 포함하며, 이들은 각각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 각종 채소 및 과일로부터 추출된 식물성 다당류로는 사과 다당류, 토마토 다당류, 옥수수 다당류, 버섯 추출 다당류 등이 바람직하다.
식물성 글리세린(vegetable glycerin)은 비누를 만드는 과정에서 식물성 오일로부터 추출되는 시럽과 같은 액체로서, 공기 중의 수분을 흡수하고 결합하여 수분 증발을 억제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보습제로 사용된다. 특히, 글리세린은 기타 다른 다가 알코올보다 우수한 보습력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보습제로서 도톰하면서 부드럽게 발리는 특징을 보여 로션이나 크림 등의 기초 제품과 메이크업 제품, 비누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자일리톨은 식물 유래의 원료로서 자작나무나 옥수수 등에 존재하는 자일로스(xylose)를 기본 원료로 하여 수소첨가 반응에 의해 얻어진다. 자일리톨은 당알코올로서 이는 단당류의 유도체로서 당을 접촉 환원시켜 당이 갖고 있는 카보닐기가 수산기로 변환된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자일리톨은 식물성 원료에 함유된 자일란을 가수분해하여 수득된 자일로스를 촉매 존재 하에서 환원 반응에 의해 자일리톨로 변환시켜서 제조하거나, 효모와 같은 미생물을 이용하여 글루코스로부터 자일리톨을 제조할 수 있다.
솔비톨은 포도당을 환원하여 제조되는 물질로서 D-솔비톨 또는 D-글루시톨(Glucitol)이라고 불리는 6가의 당알콜이다. 솔비톨은 수분을 강하게 흡수하는 성질이 있어 습윤 조정제 또는 보습제 이외에 가소제, 유연제 및 광택제로서도 작용한다. 또한,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등과 같은 기타 첨가물보다 흡수 속도가 느려 제품에 비교적 수분의 흡수와 발산에 큰 영향을 주지 않아 제품의 신선도와 유연성을 유지하고 건조, 균열, 중량 손실을 방지하여 품질 및 저장성을 향상시킨다.
식물성 다당류는 에너지의 저장 형태이거나 식물의 구조를 형성하는 물질로, 가수분해될 때 다량의 단당류가 형성되는 당류를 말한다. 복합탄수화물로 불리는 다당류는 전분(녹말)과 같은 소화성 다당류와 식이섬유소와 같은 난소화성 다당류로 구분된다. 전분은 대표적인 식물의 저장 탄수화물로서 식물이 성장하면서 포도당이 중합하여 형성되며, 결합 형태에 따라서 아밀로스와 아밀로펙틴의 두 종류로 나뉜다. 식이섬유소는 식물 체세포의 세포벽을 구성하는 성분으로 식품에서 소화할 수 없는 다당류로 비전분 다당류라고도 한다. 에너지원으로 사용되지는 못하지만 장벽을 자극하여 장의 연동작용을 도와주고 섭취한 음식물의 부피를 증가시켜 배변을 도와준다.
식물성 다당류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사과에서 추출한 천연 다당류를 사용하는데, 이 다당류는 사과에서 세포를 지지하는 시멘트의 역할을 하며, 세포를 물과 다른 구성성분들과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적합한 사과 다당류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구조를 가지며, 주로 (1-4) D-갈락튜론산(D-galacturonic acid)과 (1-2) α-L-람노사민(knotted α-L-rhamnosamine)의 결합을 갖는다.
Figure 112007076405744-PAT00001
상기 사과 다당류는 30,000 내지 100,000 g/mol 범위의 몰분자량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과 다당류는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특성으로 인해 스폰지와 같이 작용하며, 수용액 상에서 3차원 구조를 형성한다. 분자량이 큰 사과 다당류는 피부 속으로 침투하지 않고 피부 표면에서 3차원 구조 형성을 통해 물을 저장하는 스폰지와 같은 기능으로 수분 보호막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과 다당류는 상업적으로 시판되고 있는 제품(예컨대, Rahn사의 CellActive HydroTM)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일반적인 추출방법에 따라 사과로부터 추출하고 분리, 정제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수분막 형성 원료로서 식물성 다가 알코올은 식물성 3중 보습 성분의 총 중량에 대해 10 내지 80 중량%,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40 중량%의 양으로 사용할 수 있다.
(b) 유분막 형성 원료
본 발명의 식물성 3중 보습 성분에서 유분막 형성 원료는 피부에 풍부한 영양을 공급하고 유분막을 형성하는 식물성 오일로서, 올리브 오일(olive oil), 피마자 오일(caster oil), 팜 오일(palm oil), 코코넛 오일(coconut oil), 로즈힙 오일(rose hip oil), 아르간 오일(argan oil), 참깨 오일(sesame oil) 등 다양한 종류의 식물성 오일이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이 혼합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합한 식물성 오일은 99% 이상의 지방산 함량을 갖는 것이 바람직한데, 더 욱 바람직하게는 아르간 오일이 사용될 수 있다.
올리브 오일은 올리브(Olea europaea) 나무로부터 추출된 오일로서, 단백질, 미네랄 및 비타민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으며, 불포화 지방산인 올레산도 함유하고 있다. 건성피부에 좋고, 비타민 A, D 및 E를 함유하고 있어 피부 침투성이 우수하고 살결을 유연하게 만든다. 또한, 염증 및 가려움증을 억제하고 모발 관리 및 피부 진정 효과가 뛰어나며 겨울에 살이 트는 것을 방지한다. 상처 소독 효과가 있어 염증이 있는 피부를 치료하는데 도움이 되며, 관절염 및 류마티스의 통증 완화에도 효과가 있다.
피마자 오일은 아주까리 열매를 저온에서 압착 추출하여 얻어지는 것으로, 오일의 습윤 성분이 특히 건조하거나 노화과정에 있는 피부에 좋다. 피마자 오일은 리시놀레인산(ricinoleic acid)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점도가 높아 끈적거리며 보습 작용이 뛰어나 샴푸 바나 스킨 케어 제품에 적합하다. 피마자 오일은 특이하게 C12 위치에 수산기(-OH)를 갖고 있어 다른 식물유에 비해 극성이 크며, 매우 낮은 온도에서도 유동성을 나타내고, 보습성과 흡습성이 뛰어나 피부의 수분 손실을 막아준다.
팜 오일은 야자로부터 정제, 분리된 식물유로서, 포화 지방산인 팔미트산(palmitic acid)의 함량이 높고, 상대적으로 불포화 지방산의 함량은 낮기 때문에 쉽게 산패하지 않아 장기 보존이 가능하다. 또한, 팜 오일은 카로틴(carotene)과 비타민 E의 한 종류인 토코트리에놀(tocotrienol) 및 토코페롤(tocopherol)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노화 방지, 피부 미용에 효과가 있다.
코코넛 오일은 야자나무 열매로부터 추출한 식물유로서, 코코넛 오일의 중사슬 지방산은 인간 모유 성분인 라우르산을 50% 이상 함유하고 있는 유일한 자연산물로서 땀과 피지와 함께 피부를 약산성으로 유지하도록 하여 병원균의 침투를 억제하고, 면연력 및 살균력(항바이러스, 항박테리아, 항효모, 항기생충 등)을 향상시켜 아토피, 기미, 검버섯 등 피부 문제의 근본적인 원인 개선을 보인다. 또한 중사슬 지방산의 짧은 분자 구조는 피부에 쉽게 흡수되어 그 효과가 일시적이지 않고 장시간 지속되어 피부의 보습, 회복, 자외선 차단 효과가 탁월하며 부드럽고 매끄러운 피부 유지에 아주 이상적이다.
로즈힙 오일은 야생 장미의 열매에서 추출한 오일로 다량의 필수 지방산과 리놀렌산, 비타민 C 등을 포함하고 있어 피부 세포의 재생, 세포막의 증강, 피지선의 분비 조절, 문제성 피부의 수렴, 진정 등에 탁월하다. 수분을 유지시켜 주고 주름살이나 피부 노화를 억제하는데 도움을 준다. 건성이나 노화 피부에 좋다고 알려져 있다.
아르간 오일은 아르간 나무(Argania spinosa)의 열매로부터 추출한 오일로서 99% 이상이 지방산으로 이루어져 있다. 아르간 오일은 몸의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어 주며 우리 몸에 해로운 유리기(free radical)의 생성과 피부 세포의 기능 저하를 억제한다. 아르간 오일은 비타민 E를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올레인산, 리놀레인산, 토코페롤(tocopherol), 페놀성 화합물(phenolic compound) 등의 함량이 높아 항산화, 항노화 작용이 우수하다. 아르간 오일은 보습과 영양공급, 피부보호 효과가 뛰어나고 염증이나 류머티즘 등에 진정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필수지방산이 풍부한 아르간 오일은 피부의 주름을 감소시키고, 피부의 재활기능을 활성화시키며, 햇빛과 같은 외부 자극을 근본적으로 중화시킨다. 아르간 오일은 또한 그 감촉이 부드러우며, 번들거리거나 끈적이지 않아 사용감이 매우 우수하다.
본 발명의 유분막 형성 원료로서 식물성 오일은 식물성 3중 보습 성분의 총 중량에 대해 10 내지 80 중량%,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40 중량%의 양으로 사용할 수 있다.
(c) 피지 유사막 형성 원료
본 발명의 식물성 3중 보습 성분에서 피지 유사막 형성 원료는 식물성 왁스로서 피부 최외각에서 피지와 함께 최종 보호막을 형성하여 외부 자극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함과 동시에 수분을 보유하고 피부를 유연하게 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적합한 식물성 왁스로는 카나우바(carnauba) 왁스, 칸데리라(Candelila) 왁스, 시어버터(shear butter) 왁스, 호호바(jojoba) 왁스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이 혼합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카나우바 왁스는 카나우바 야자나무 잎에서 얻어지는데, 녹는 온도가 80 내지 86℃로 식물성 왁스 중에서 가장 높고 광택성이 뛰어나다. 립스틱, 크림, 탈모제 등에 사용되고 있다.
칸데리라 왁스는 멕시코 북서부, 미국 텍사스 남부와 같이 온도차가 심하고 비가 적은 건조한 곳에서 자생하는 칸데리라 식물의 줄기에서 얻어지며, 녹는 온도는 60 내지 72℃이고, 립스틱에 주로 사용된다.
시어버터 왁스는 아프리카 서부쪽에 자생하는 시어버터나무의 열매로부터 얻어지며, 보습 효과가 뛰어나 소량으로도 큰 보습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비누 제조에 사용하면 부드럽고 풍부한 거품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시어버터는 국소적으로 혈행을 촉진한다고도 알려져 세포에의 산소 공급을 증가시켜 노폐물의 대사를 촉진하고 천연 산화 방지제인 B 아미린이 함유되어 있어 산화를 방지하며 노화 피부의 탄력성을 높여 주름을 예방하는데 효과적이기 때문에 건성피부, 피부염, 선탠, 화상, 피부 염증, 임신선의 예방에도 효과적이다.
호호바 왁스는 관목열매를 압착하여 추출한 오일로서, 그 화학구조가 피부를 보호하는 피부 각질 최외각의 피지성분과 유사하여 피부 친화력과 피부 밀착력이 우수하다. 호호바 오일은 항균, 항염 작용으로 피부염증, 가려움증, 피부건조, 비듬, 모발 영향, 여드름에 효과적이며, 항산화 작용으로 쉽게 변질되지 않기 때문에 장기간 보존이 용이하다. 보습 작용, 치유적 특성으로 인해 호호바 왁스는 비누, 화장품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피지 유사막 형성 원료로서 식물성 왁스는 식물성 3중 보습 성분의 총 중량에 대해 10 내지 80 중량%,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40 중량%의 양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물성 3중 보습 성분은 상기한 바와 같은 수분막 형성 원료인 식물성 다가 알코올, 유분막 형성 원료인 식물성 오일 및 피지 유사막 형성 원료인 식물성 왁스의 복합 작용으로 인해 피부에 우수한 3중 보습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성 3중 보습 성분은 모두 식물성 성분들로 구성되어 있어 석유 유래 화학적 성분, 광물유(mineral oil), 동물성 오일 성분들을 포함하는 기존 보습제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피부 자극이나 과민감성 등의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는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식물성 3중 보습 성분은 식물성 다가 알코올로 사과 다당류를, 식물성 오일로 아르간 오일을, 식물성 왁스로 호호바 왁스를 함유하는데, 이들은 사과 다당류에 의한 수분막이 수분을 보유하는 기능을 담당하고, 아르간 오일에 의한 유분막이 수분의 증발을 차단하는 기능을 담당하며, 호호바 왁스에 의한 피지 유사막이 수분을 공급하고 보호하는 기능을 담당하여 사용자의 피부에 우수한 보습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식물성 3중 보습 성분은 상기 식물성 다가 알코올, 식물성 오일 및 식물성 왁스를 약 40℃ 가온 하에서 균질혼합기(homomixer)로 약 5분간 혼합한 후 상온으로 냉각시켜 얻을 수 있다. 이때 원료들의 수용해성, 유용해성 등의 성질로 인해 혼합 시 상분리가 일어나는 경우에는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glyceryl stearate), 솔비탄 스테아레이트(sorbitan stearate) 등과 같은 계면활성제를 식물성 3중 보습 성분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 중량%의 양으로 추가로 첨가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킨 케어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식물성 3중 보습 성분을 0.3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 중량%의 범위로 포함한다. 식물성 3중 보습 성분을 상기 양으로 포함하는 스킨 케어 조성물은 사용자에게 가장 뛰어난 보습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물성 3중 보습 스킨 케어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로션, 크림, 썬로션, 샴푸, 린스, 바디 워시, 비누 등의 세정료 조성물일 수 있다.
또한 각 제형의 식물성 3중 보습 스킨 케어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수분막 형성 원료로서 식물성 다가 알코올, 유분막 형성 원료로서 식물성 오일 및 피지 유사막 형성 원료로서 식물성 왁스 이외의 기타 성분들은 제형 또는 사용 목적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절하게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식물성 3중 보습 로션
하기 표 1에 기재된 성분 및 조성을 이용하고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식물성 3중 보습 로션을 제조하였다. 여기서, 로션 조성물 중에 포함된 식물성 3중 보습 성분은 수분막 형성 원료로서 사과 다당류를, 유분막 형성 원료로서 아르간 오일을, 피지 유사막 형성 원료로서 호호바 왁스를 사용하였고, 상기 사과 다당류, 아르간 오일 및 호호바 왁스의 함량은 스킨 케어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각각 0.66 중량%씩 함유하여 총 2 중량%가 되도록 하였다.
조성 함량(중량%)
스쿠알렌(squalane) 5.50
글리세린(glycerin) 3.00
아이소스테아릴 아이소스테아레이트 (isostearyl isostearate) 2.00
세틸 알코올(cetyl alcohol) 1.20
스테아르산(stearic acid) 1.00
폴리솔베이트 60(polysorbate 60) 1.00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glyceryl stearate) 0.70
솔비탄 스테아레이트(sorbitan stearate) 0.50
다이메티콘(dimethicone) 0.50
바이오사카라이드 검-1(biosaccharide gum-1) 0.50
글리세릴 리놀레이트/글리세릴 리놀레네이트 (glyceryl linolate/glyceryl linolenate) 0.20
카보머(carbomer) 0.15
보존제 미량
식물성 3중 보습 성분 2.00
to 100
실시예 2: 식물성 3중 보습 크림
하기 표 2에 기재된 성분 및 조성을 이용하고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식물성 3중 보습 크림을 제조하였다. 여기서, 크림 조성물 중에 포함된 식물성 3중 보습 성분은 수분막 형성 원료로서 사과 다당류를, 유분막 형성 원료로서 아르간 오일을, 피지 유사막 형성 원료로서 호호바 왁스를 사용하였고, 상기 사과 다당류, 아르간 오일 및 호호바 왁스의 함량은 스킨 케어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각각 0.66 중량%씩 함유하여 총 2 중량%가 되도록 하였다.
조성 함량(중량%)
66.1398
아이소헥사데칸(isohexadecane) 5.00
글리세린 5.00
트라이에틸헥사노인(triethylhexanoin) 3.00
솔비탄 스테아레이트/수크로스 코코에이트 (sorbitan stearate/sucrose cocoate) 3.00
글리세릴 폴리메타크릴레이트/프로필렌 글리콜 (glyceryl polymethacrylate/propylene glycol) 3.00
스테아르산 2.00
스쿠알렌 2.00
세틸 알코올 2.00
폴리솔베이트 60 0.50
다이메티콘 0.50
솔비탄 세스퀴올레이트(sorbitan sesquioleate) 0.20
글리세릴 리놀레이트/글리세릴 리놀레네이트 0.20
카보머 0.10
보존제 미량
식물성 3중 보습 성분 2.00
to 100
실시예 3: 식물성 3중 보습 바스
하기 표 3에 기재된 성분 및 조성을 이용하고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식물성 3중 보습 바스를 제조하였다. 여기서, 바스 조성물 중에 포함된 식물성 3중 보습 성분은 수분막 형성 원료로서 사과 다당류를, 유분막 형성 원료로서 아르간 오일을, 피지 유사막 형성 원료로서 호호바 왁스를 사용하였고, 상기 사과 다당류, 아르간 오일 및 호호바 왁스의 함량은 식물성 3중 보습 성분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사과 다당류, 아르간 오일 및 호호바 왁스의 함량은 스킨 케어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각각 0.66 중량%씩 함유하여 총 2 중량%가 되도록 하였다.
조성 함량(중량%)
티-코코일 글루타메이트(tea-cocoyl glutamate) 9.00
코카미도프로필 베타인(cacomidopropyl betaine) 3.50
다이소듐 코코암포다이아세테이트 (disodium cocoamphodiacetate) 2.50
소듐 라우로일 메틸아미노프로피오네이트 (sodium lauroyl methylaminopropionate) 1.50
데실 글루코사이드(decyl glucoside) 1.50
코카마이드(cocamide) DEA 3.00
PEG-150 펜타에리스리틸 테트라스테아레이트 (PEG-150 pentaerythrityl tetrastearate) 0.70
시트르산(citric acid) 0.50
프로필렌 글리콜 0.50
폴리솔베이트 20 0.50
구아 하이드로시프로필트라이모늄 클로라이 (gua hydroxypropyltrimonium chloride) 0.20
폴리쿼터늄-7(polyquaternium-7) 0.10
다이소듐 EDTA(disodium EDTA) 0.05
BHT 0.05
보존제 미량
식물성 3중 보습 성분 2.00
to 100
실시예 4: 식물성 3중 보습 썬로션
하기 표 4에 기재된 성분 및 조성을 이용하고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식물성 3중 보습 썬로션을 제조하였다. 여기서, 썬로션 조성물 중에 포함된 식물성 3중 보습 성분은 수분막 형성 원료로서 사과 다당류를, 유분막 형성 원료로서 아르간 오일을, 피지 유사막 형성 원료로서 호호바 왁스를 사용하였고, 상기 사과 다당류, 아르간 오일 및 호호바 왁스의 함량은 스킨 케어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각각 0.66 중량%씩 함유하여 총 2 중량%가 되도록 하였다.
조성 함량(중량%)
티타늄 다이옥사이드/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스테아르산/포타슘 세틸 포스페이트/물 (titanium dioxide/aluminum hydroxide/stearic acid/potassium cetyl phosphate/water) 15.00
부틸렌글리콜(butylene glycol) 4.00
다이카프릴일 카보네이트(dicaprylyl carbonate) 3.00
아이소헥사데칸(isohexadecane) 2.00
세테아릴 알코올(cetearyl alcohol) 1.50
스테아르산 1.30
VP/에이코센 공중합체(VP/eicosene copolymer) 1.10
폴리솔베이트 60 1.00
다이메티콘/다이메티콘 가교 중합체(cross polymer) 1.00
스쿠알렌 1.00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1.00
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소듐 아크릴로일다이메틸 타우레이트 공중합체/스쿠알렌/폴리솔베이트 60 (hyrdoxyethyl acrylate/sodium acryloyldimethyl taurate copolymer/squalane/polysorbate 60) 0.90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0.70
다이메티콘 0.50
솔비탄 스테아레이트 0.50
잔탄 검(xanthan gum) 0.10
바이오사카라이드 검-1 0.10
트라이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 0.05
다이소듐 EDTA 0.02
보존제 미량
식물성 3중 보습 성분 2.00
to 100
시험예 1: 단기 보습 효과
본 발명의 3중 보습 성분의 보습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서, 증류수를 위용액(placebo)으로 하고, 여기에 호호바 왁스, 아르간 오일 및 사과 다당류 추출물을 각각 2%씩 첨가한 용액과, 이들 세가지 원료를 0.66%씩 함유하여 총 2%가 되도록 첨가한 용액을 제조하고 수분측정기(corneometer, Electronic GmbH, 독일)를 이용하여 이들의 단기 보습 효과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10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양쪽 전완부의 손목부터 팔꿈치까지를 흐르는 물에 세정하였다.  시험 부위는 피험자의 손목부터 5 ㎝ 거리의 전박 굴측부 부위로 하고, 시험 부위마다 지름 1 ㎝의 원을 그려 총 6개의 원을 표시하였으며(한 개의 원은 무도포 대조군용) 시험 부위는 무작위로 선정하였다.  항온 항습실(23±1℃, 45±5% RH)에서 30분간 대기한 후 시험 부위의 수분 함량을 수분측정기로 3회 측정하고 그 평균치를 구하였다.  이어서, 시험 부위에 위용액, 단일 성분 함유 용액 및 3중 성분 함유 용액을 각각 도포하고 잘 흡수시킨 후 항온 항습실에서 1시간, 2시간 및 3시간 경과 후 다시 한번 시험 부위의 수분 함량을 측정하였다. 최초 상태의 수분 함량을 기준으로 하여 수분 함량 증가율(%)을 계산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5도 1에 나타내었다.
수분 함량 증가율(%) 최초 상태 1시간 2시간 3시간
위용액 0 22 12 10
2% 호호바 왁스 용액 0 21 16 10
2% 사과 다당류 용액 0 15 14 12
2% 아르간 오일 용액 0 36 30 17
3중 보습 성분 함유 용액(총 2%) 0 43 33 19
상기 표 5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위용액을 도포한 피부에 비하여 아르간 오일, 호호바 왁스 및 사과 다당류 추출물 각각을 함유한 용액을 도포한 피부의 수분 함량이 더 높았으며, 이들 세가지 성분을 동일비로 모두 포함한 용액이 도포된 피부에서는 가장 높은 수분 함량을 나타내었다. 특히, 3중 보습 성분을 함유한 용액은 도포 후 1시간 경과 후에는 도포 전 원래 피부의 수분 함량보다 약 40 이상 향상된 보습력을 나타내었고, 2시간 경과 후에도 약 30% 이상 향상된 보습력을 유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2: 장기 보습 효과
㈜엘리드 피부과학연구소에서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된 본 발명의 식물성 3중 보습 바스를 이용하여 보습 효과 및 안정성에 대한 임상 시험을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만 23세에서 48세까지의 건강한 여성으로 임상시험 부위에 현병력 및 과거병력 아포피 피부염 혹은 다른 심한 피부질환 병력이 없는 24명을 피험자로 선정하여 일상적인 조건 하에서 4주간 상기 제품을 사용하도록 한 후 보습력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임상시험 기간 동안에는 본 발명의 식물성 3중 보습 바스 제품 이외에 시험 결과에 영향일 미칠 수 있는 아이크림, 영양크림, 에센스, 미백화장품, 기타 기능성 화장품의 사용을 일체 금하였으며, 팩이나 맛사지 등의 시술도 금지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수분측정기(corneometer) CM825(Courage & Khazaka, 독일)를 사용하여 제품을 사용하기 전(0주), 사용 2주 후 및 4주 후에 제품 사용 전과 사용 후의 피부 수분 함량을 측정함으로써 보습력을 비교하였다. 먼저, 제품을 사용하기 전에 피시험자의 왼쪽 또는 오른쪽 팔, 혹은 양쪽 팔의 손목으로부터 5 ㎝ 거리의 전박 굴측부 부위를 시험부위로 하고, 그 부위에 지름 1 ㎝의 원을 그린 후, 피시험자들을 항온 항습실(23±1℃, 45±5% RH)에서 30분간 대기시켰다. 30분 경과 후 시험부위의 수분 함량을 수분측정기로 5회 측정하고, 최대값 및 최소값을 제외한 나머지 3개의 평균치를 구하였다. 
피시험자들을 집으로 돌려 보내고 본 발명의 식물성 3중 보습 바스를 이용하여 매일 샤워를 하도록 지시하였다. 2주 및 4주 경과 후, 아침에 비누 및 일체의 세정제를 사용하지 않고 본 발명의 제품으로 샤워를 한 후 ㈜엘리드 피부과학연구소를 방문하여 흐르는 물로 세안한 뒤 항온 항습실에서 30분간 대기시키고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부위의 수분 함량을 측정하였다. 제품 사용 전, 사용하고 2주 및 4주 경과 후에 측정된 피시험자의 수분 함량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고, 도 2의 결과를 토대로 본 발명의 식물성 3중 보습 바스를 사용하기 전의 수분 함량을 기준으로 하여 보습 효과에 대한 개선율(%)을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계산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7076405744-PAT00002
측정시간 보습 효과 개선율(%)
2주 후 11.48
4주 후 11.73
상기 표 6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식물성 3중 보습 바스는 이 제품을 사용하기 전에 비하여 보습력을 2주 경과 후에는 11.48%, 4주 경과 후에는 11.73% 개선시켰으며, 이러한 보습력 개선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p<0.05)임을 확인하였다. 이로부터 본 발명의 식물성 3중 보습 조성물의 장기 사용 시 피부의 보습능력 자체가 개선되어 피부의 수분 함유량이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또한 피부 자극에 대한 이학적 검사를 통해 본 발명의 식물성 3중 보습 제품의 사용 후 홍반이나 발진과 같은 알레르기성 접촉 피부염(allergic contact dermatitis)이나 자극성 접촉 피부염(irritant contact dermatitis)의 이상 소견이 관찰되지 않아 자극이 없는 매우 안전한 제품임을 확인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호호바 왁스, 아르간 오일 및 사과 다당류 추출물 각각을 함유하는 용액과 상기 세 성분을 모두 함유하는 용액의 단기 보습 효과를 측정한 결과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식물성 3중 보습 성분을 함유하는 바스 제품의 장기 보습 효과를 측정한 결과이다.

Claims (9)

  1. a) 수분막 형성 원료로서 식물성 다가 알코올 10 내지 80 중량%,
    b) 유분막 형성 원료로서 식물성 오일 10 내지 80 중량%, 및
    c) 피지 유사막 형성 원료로서 식물성 왁스 10 내지 80 중량%를 포함하는 식물성 3중 보습 성분.
  2. 제1항에 있어서, 수분막 형성 원료로서 식물성 다가 알코올 30 내지 40 중량%, 유분막 형성 원료로서 식물성 오일 30 내지 40 중량%, 및 피지 유사막 형성 원료로서 식물성 왁스 30 내지 4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성 3중 보습 성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다가 알코올이 식물성 글리세린(vegetable glycerin), 자일리톨(xylitol), 솔비톨(sorbitol) 및 식물성 다당류(vegetable polysaccharide)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성 3중 보습 성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다당류가 사과 다당류, 버섯 다당류, 옥수수 다당류 및 토마토 다당류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성 3중 보습 성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오일이 90% 이상의 지방산(fatty acid) 함량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성 3중 보습 성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오일이 올리브 오일(olive oil), 피마자 오일(caster oil), 팜 오일(palm oil), 코코넛 오일(coconut oil), 로즈힙 오일(rose hip oil), 아르간 오일(argan oil) 및 참깨 오일(sesame oil)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성 3중 보습 성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왁스가 불포화 왁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성 3중 보습 성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왁스가 카나우바(carnauba) 왁스, 칸데리라(Candelila) 왁스, 시어버터(shear butter) 왁스 및 호호바(jojoba) 왁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성 3중 보습 성분.
  9. 제1항의 식물성 3중 보습 성분을 포함하는 스킨 케어 조성물.
KR1020070107627A 2007-10-25 2007-10-25 식물성 3중 보습 성분 및 이를 포함하는 스킨 케어 조성물 KR200900418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7627A KR20090041886A (ko) 2007-10-25 2007-10-25 식물성 3중 보습 성분 및 이를 포함하는 스킨 케어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7627A KR20090041886A (ko) 2007-10-25 2007-10-25 식물성 3중 보습 성분 및 이를 포함하는 스킨 케어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1886A true KR20090041886A (ko) 2009-04-29

Family

ID=40764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7627A KR20090041886A (ko) 2007-10-25 2007-10-25 식물성 3중 보습 성분 및 이를 포함하는 스킨 케어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41886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1949B1 (ko) * 2011-12-19 2012-03-21 라미화장품 주식회사 수분 함량을 높인 화장품 스팀 크림의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62491B1 (ko) * 2012-06-11 2014-11-19 한국콜마주식회사 입술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00191B1 (ko) * 2013-11-12 2015-03-09 허경 피부 케어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50080826A (ko) * 2014-01-02 2015-07-10 (주)아모레퍼시픽 고체 유형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5982832A (zh) * 2015-03-05 2016-10-05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固体型彩妆化妆品组合物
KR102473974B1 (ko) * 2022-01-13 2022-12-05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옥수수 다당체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20224B1 (ko) * 2022-11-03 2023-04-11 김봉우 통증완화 및 피부진정 효과를 나타내는 왁싱방법
KR102581432B1 (ko) * 2023-02-16 2023-09-25 주식회사 프로퍼슨 통증완화 및 피부진정 효과를 나타내는 왁싱용 조성물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1949B1 (ko) * 2011-12-19 2012-03-21 라미화장품 주식회사 수분 함량을 높인 화장품 스팀 크림의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62491B1 (ko) * 2012-06-11 2014-11-19 한국콜마주식회사 입술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00191B1 (ko) * 2013-11-12 2015-03-09 허경 피부 케어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50080826A (ko) * 2014-01-02 2015-07-10 (주)아모레퍼시픽 고체 유형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5982832A (zh) * 2015-03-05 2016-10-05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固体型彩妆化妆品组合物
CN105982832B (zh) * 2015-03-05 2021-06-01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固体型彩妆化妆品组合物
KR102473974B1 (ko) * 2022-01-13 2022-12-05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옥수수 다당체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20224B1 (ko) * 2022-11-03 2023-04-11 김봉우 통증완화 및 피부진정 효과를 나타내는 왁싱방법
KR102581432B1 (ko) * 2023-02-16 2023-09-25 주식회사 프로퍼슨 통증완화 및 피부진정 효과를 나타내는 왁싱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0599B1 (ko) 항여드름제를 함유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090041886A (ko) 식물성 3중 보습 성분 및 이를 포함하는 스킨 케어 조성물
KR102257342B1 (ko) 항균 및 항염증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13808B1 (ko) 말린 꽃잎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CN110585030A (zh) 一种高分子凝胶祛皱眼膜及其制备方法
KR101909980B1 (ko) 보습 복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131387A (ko) 피부관리용 화장품 조성물
CN111973486A (zh) 一种神经酰胺滋润保湿霜及其制备方法
US7262224B2 (en) Cosmetic rejuvenating and healing product, method of its manufacture and uses thereof
KR20200073970A (ko) 수딩 크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803271B1 (ko) 피부 보습용 또는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60777B1 (ko)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11973501A (zh) 一种神经酰胺赋活乳及其制备方法
KR20210072966A (ko) 나노캡슐화된 센텔라 추출물과 칼라민을 포함하는 피부보습 또는 피부염증 개선용 나노캡슐 조성물
US20220378690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skin
KR101876744B1 (ko) 홍삼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을 이용하여 피부를 3단계로 관리 개선하는 방법
KR20230134758A (ko) 올리고 펩타이드 나노캡슐을 함유하는 피부진정 또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US20150030552A1 (en) Cosmetic composition
KR100667182B1 (ko) 오소리 오일을 함유하는 피부 건조증 개선용 화장료
KR20190021114A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항염, 피지 분비 억제용, 또는 여드름 개선용 조성물
KR101436819B1 (ko) 피부 보습, 진정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11840140A (zh) 一种维生素e眼霜的制备方法
KR20230109862A (ko) 식물성 원료를 이용하여 보습효과를 제공하는 스킨케어 조성물
RU2369377C1 (ru) Фитобальзам для регенерации кожи &#34;инсофит&#34;
KR20090029503A (ko) 예덕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