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7389B1 - 해면 골편을 이용한 피부 관리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해면 골편을 이용한 피부 관리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7389B1
KR100937389B1 KR1020090006066A KR20090006066A KR100937389B1 KR 100937389 B1 KR100937389 B1 KR 100937389B1 KR 1020090006066 A KR1020090006066 A KR 1020090006066A KR 20090006066 A KR20090006066 A KR 20090006066A KR 100937389 B1 KR100937389 B1 KR 1009373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tem cells
skin
growth factor
micronee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6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황희
유승권
Original Assignee
(주)스킨메디언스
주식회사 스템메디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스킨메디언스, 주식회사 스템메디언스 filed Critical (주)스킨메디언스
Priority to KR1020090006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73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7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73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28Bone marrow; Haematopoietic stem cells; Mesenchymal stem cells of any origin, e.g. adipose-derived stem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55Aquatic animals other than those covered by groups A61K35/57 - A61K35/65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Powders; Compacted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4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lyophilisation, freeze-dry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Zo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ell B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Bird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ograph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면 골편을 이용한 피부 관리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해면 골편에 인간을 포함한 동물 및 식물의 줄기세포 유래 물질(Stem Cell derived Substances, 이하 줄기세포 유래물질)을 흡수시켜 제조된 피부 관리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은 과산화수소 용액을 사용하여 해면동물로부터 미세침을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미세침의 다공성을 향상시키는 단계; 다공성이 향상된 미세침을 줄기세포 유래물질 및 피부 유효 성분이 혼합된 용액에 침지시켜 코팅을 시키는 단계; 및 미세침이 침지된 혼합 용액을 동결 건조시켜 분말 형태의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해면 골편, 줄기세포 유래물질, 미세침, 다공성, 피부 유효 성분

Description

해면 골편을 이용한 피부 관리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Cosmetics for Improving the Skin with Cancellous Bone Grafts}
본 발명은 해면 골편을 이용한 피부 관리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해면 골편에 인간을 포함한 동물 및 식물의 줄기세포 유래 물질(Stem Cell derived Substances, 이하 줄기세포 유래물질)을 흡수시켜 제조된 피부 관리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해면동물은 근육, 신경 또는 장기가 존재하지 않은 원시적인 해양 생물로 5000 여종 이상이 존재하고 그리고 해면의 깊이에 관계없이 발견되는 생물이다. 그리고 골편은 무척추 동물의 체내에 존재하는 바늘 모양을 가지는 골격의 기능을 하는 조직으로 주로 규산 및 탄산 칼슘을 주성분으로 한다. 특히 해면동물은 탄산칼슘 또는 규산을 주성분으로 하는 1축, 3축, 4축 또는 다축 골편을 가진다.
해면동물은 주로 주황색이나 청록색과 같은 여러 색깔을 띤 스펀지(sponge) 모양의 덩어리 형태로 주로 바다에 서식하지만 민물 해면동물도 존재한다. 해면동물은 세포들이 뭉쳐져 있는 상태로 조직의 시초 단계에 있는 생물에 해당하고 몸체는 스펀지 섬유소(sponge fibers), 체벽을 형성하는 골편(spicules) 및 골편에 느 슨하게 결합된 세포군으로 이루어져 있다. 골편은 석회질, 규산 또는 실리카와 같은 성분이 주성분이 되고 크기가 100 마이크로미터 내외가 되므로 현미경을 통하여 관찰될 수 있다. 해면동물은 골격구성 성분에 따라 석회해면강, 보통해면강, 육방해면강 및 골해면강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해면동물의 섬유성 골격은 모세관 현상에 따른 흡수 능력을 가지고 있어 목욕용, 의료용, 미술용, 화장용, 석판 인쇄용, 기계청소용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다른 한편으로 몇몇 해면은 요오드, 브롬 및 알루미늄과 같은 원소와 신진대사를 촉진시킬 수 있는 인산염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해면동물의 골편을 의학적으로 적용한 선행기술로 특허공개번호 제2002-0041846호 “골수염 치료용 항생제 함유 해면 골편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따라 제조된 해면 골편”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골수염의 치료를 위하여 뼈의 감염 부위를 제거하여 항세제가 흡착된 해면 골편을 이식시키는 방법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해면동물을 의학적으로 적용한 선행기술로 WO 2005/034839호 “피부 질환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해면동물 유래의 치료조성물”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피부 질환과 질병을 치료하기 위하여 해면동물 중 특히 담수해면으로부터 제조된 분말 성분을 포함하는 치료제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선행기술에서 개시되어 있는 것처럼, 해면동물은 불순물이 제거되고 건조되어 분말형태로 만들어지거나 또는 해면 골편에 유효 성분은 흡수시키는 형태로 치료제의 제조를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해면동물 또는 해면 골편이 특정 질병의 치료를 위하여 적용되는 기술은 개시되어 있지만 해면 골편 또는 해면동물의 미세침(spicelus)이 피부 관리를 위한 화장품을 위하여 해면동물로부터 해면 골편을 추출하여 필요한 유효성분을 코팅시키고 그리고 다른 필요한 성분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기술은 개시되어 있지 아니하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해면골편을 이용한 피부 관리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개시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해면동물로부터 해면 골편을 추출하여 인간을 포함한 동물 및 식물의 줄기세포 유래 물질(Stem Cell derived Substances, 이하 줄기세포 유래물질) 및 다른 유효 성분을 코팅하여 분말 형태로 만들고 그리고 다른 필요 성분과 혼합하여 피부 관리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해면 골편에 코팅된 각종 줄기세포 유래물질을 가진 피부 관리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해면 골편을 이용한 피부 관리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과산화수소 용액을 사용하여 해면동물로부터 미세침을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미세침의 다공성을 향상시키는 단계; 다공성이 향상된 미세침을 줄기세포 유래물질 및 피부 유효 성분이 혼합된 용액에 침지시켜 코팅을 시키는 단계; 및 미세침이 침지된 혼합 용액을 동결 건조시켜 분말 형태의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해면동물은 담수 해면이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줄기세포 유래물질은 인간을 포함한 모든 동물 및 식물 유래의 줄기세포에서부터 얻어지는 추출물(Extracts), 배양액(Conditioned Media), 세포(Cells)를 포함하는 모든 유래물질이 될 수 있고, 특히 인간을 포함한 동물 유래의 줄기세포는 신경줄기세포(neural stem cells), 골 수중간엽 줄기세포(bone marrow mesenchymal stem cells), 조혈줄기세포(hematopoietic stem cells), 지방줄기세포(adipocyte stem cells), 피부줄기세포(skin stem cells), 표피 줄기세포(epithelial stem cells) 또는 양수줄기세포(amniotic fluid stem cells)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피부 유효 성분은 부틸렌 글리콜, 크실리틸글루코사이드, 안하이드록시리톨, 크실리톨, 아르니카 몬타나 꽃 추출물, 겐티아나 루테아 뿌리 추출물, 아칠레아 밀레포리움 추출물 및 쑥 추출물, 워터멜론 과일 추출물, 1,2-헥산에디올, 카프릴 글리콜, 트로포론, 포세다눔오스트루티움 잎 추출물, 슈도알트로모나스 미생물 추출물, 마그네슘 보충제, 아연 글루콘산염, 구리 글루콘산염 및 나트륨 이디티에이(sodium EDTA)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피부 유효 성분은 태반 유래 물질, 염기성 섬유아세포 성장인자(Fibroblast Growth Factor:FGF), 상피세포성장 인자(Epidermal Growth Factor:EGF), 형질 전환 성장인자 (Transforming Growth Factor:TGF), 혈관 내피 성장인자(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VEGF) 및 이와 유사한 유사-성장인자, 비타민류, 단백질류 및 이와 유사한 재조합 단백질류의 다양한 생리활성물질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국소 피부 관리 화장품은 담수 해면으로부터 추출되어 다공성으로 만들어진 미세침; 미세침의 표면에 코팅된 줄기세포 유래물질; 및 줄기세포 유래물질과 함께 미세침의 표면에 코팅된 피부 유 효 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피부 유효 성분은 부틸렌 글리콜(butylene glycol), 크실리틸글루코사이드, 안하이드록시리톨, 크실리톨, 아르니카 몬타나 꽃 추출물, 겐티아나 루테아 뿌리 추출물, 아칠레아 밀레포리움 추출물 및 쑥 추출물, 워터멜론 과일 추출물, 1,2-헥산에디올, 카프릴 글리콜, 트로포론, 포세다눔오스트루티움 잎 추출물, 슈도알트로모나스 미생물 추출물, 마그네슘 보충제, 아연 글루콘산염, 구리 글루콘산염 및 나트륨 이디티에이(sodium EDTA)를 포함한다.
추가로 국소 피부 관리 화장품은 태반 유래 물질, 태반 유래 물질, 염기성 섬유아세포 성장인자(Fibroblast Growth Factor:FGF), 상피세포성장 인자(Epidermal Growth Factor:EGF), 형질 전환 성장인자 (Transforming Growth Factor:TGF), 혈관 내피 성장인자(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VEGF) 및 이와 유사한 유사-성장인자, 비타민류, 단백질류 및 이와 유사한 재조합 단백질류와 같은 다양한 생리활성물질로부터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국소 피부 관리 화장품은 미세침 침투에 따른 염증 반응에 의하여 각질 탈락의 물리적 효과가 발생하도록 하고 그리고 표피 안쪽의 진피로 지속적으로 줄기세포 유래물질 및 피부 유효 성분들을 투입하는 것에 의하여 혈액 순환, 콜라겐 합성, 세포 분열 촉진, 진정 또는 항염과 같은 다양한 피부 세포 재생 효과를 가져오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피부 관리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 공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 공정은 필요한 원료를 준비하는 준비공정(S11); 해면동물로부터 불순물을 제거하여 해면 골편 또는 미세침을 추출하는 미세침 추출 공정(S12); 추출된 미세침의 다공성을 향상시키는 다공성 향상 공정(S13); 다공성이 향상된 미세침에 줄기세포 유래물질 및 피부 유효 성분을 코팅시키는 코팅 공정(S14); 코팅된 미세침을 동결 건조시켜 분말 형태로 만드는 동결 건조 공정(S15); 및 분말 형태의 코팅된 미세침으로 피부 관리 화장품을 만드는 화장품 완성 공정(S16)을 포함한다.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를 위하여 먼저 필요한 원료가 준비되어야 한다. 해면 골편의 추출을 위하여 해면동물이 채집이 되어야 하고 그리고 추출된 해면 골편에 코팅이 되어야 할 화장품 조성물 성분이 준비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해면 골편은 불순물이 제거되지 않는 해면동물의 골격을 이루는 골편(spicules)를 의미하고 그리고 미세침은 골편으로부터 불순물이 제거된 것을 의미하지만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다면 해면 골편과 미세침은 혼동의 염려가 없는 경우라면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 해면동물은 골편은 가지는 임의의 해면동물이 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바디가 할리콘드리아 스폰지아(Badiga halicondria spongia)와 같은 담 수 해면이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골편을 가진 모든 종류가 될 수 있다. 미세침에 일차적으로 코팅되어야 하는 성분에 해당하는 줄기세포 유래물질은 피부 재생에 효과를 가지는 성분에 해당한다. 그리고 미세침에 코팅될 수 있는 피부 유효 성분은 예를 들어 알부틴과 같은 미백성분, 아데노신과 같은 주름성분, 살리실산 또는 트리클로산으로 대표되는 여드름 성분, 히알루론산 또는 세라마이드와 같은 보습성분, 콜라겐과 같은 재생성분, 코퍼펩타이드와 같은 탈모성분 또는 센탈라아시아티카와 같은 항염성분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필요한 재료가 준비되면(S11) 먼저 해면동물로부터 불순물이 제거되어 미세침이 추출된다(S12). 불순물의 제거는 이 분야에서 공지된 방법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면동물을 말린 뒤 염산에 넣어 잡물을 제거하여 건조시켜 분말형태로 만들어 해면 골편을 정제해 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미세침은 30 내지 40 %(w/w)의 과산화수소 내에서 담수해면을 가열하는 방법에 의하여 추출될 수 있다. 해면동물로부터 공지된 방법에 따라 또는 과산화수소 내에서 가열하는 방법에 따라 미세침이 추출되면(S12), 미세침의 다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공정이 진행될 수 있다(S13).
다공성 향상 공정(S13)은 미세침으로부터 칼슘과 같은 성분을 제거하여 미세침의 다공성을 증가시키고 이로 인하여 미세침에 줄기세포 유래물질 및 피부 유효성분들의 코팅을 위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공정을 말한다. 이로 인하여 하나의 미세침으로부터 피부에 전달될 수 있는 줄기세포 유래물질 및 피부 유효성분의 양들이 증가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다공성 향상 공정(S13)은 0.4 내지 0.6N 염산(HCl) 용액에 20 내지 30 시간 침지시키는 단계, 인산 완충 식염수(phospate buffered saline: PBS)에서 pH 7.2 내지 7.6이 되도록 세척하는 단계 및 85 내지 92%(w/w)에서 50 내지 70분 그리고 95 내지 100 %(w/w)에서 20 내지 40분 동안 담근 후 20 내지 30 시간 동안 공기 중에서 충분히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공정을 통하여 다공성에 향상된 미세침에 줄기세포 유래물질 및 피부 유효 성분이 코팅이 될 수 있다(S14).
코팅 공정(S14)은 줄기세포 유래물질과 피부 유효 성분이 혼합된 용액에 다공성이 향상된 미세침을 20 내지 30시간 동안 침지시키는 것을 말한다. 혼합 용액은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양을 포함할 수 있다.
혼합용액의 내용물
가. 부틸렌 글리콜(butylene glycol): 3.00 %(w/w)
나. 크실리틸글루코사이드(xylitylglucoside), 안하이드록시리톨(anhydroxylitol) 및 크실리톨 (xylitol): 1.00 %(w/w)
다. 아르니카 몬타나 꽃 추출물(Arnica Montana Flower Extract), 겐티아나 루테아 뿌리 추출물(Gentiana Lutea root extract), 아칠레아 밀레포리움 추출물(Achillea Milefolium extract) 및 쑥 추출물(Artemisia Vulgaris extract): 1.00 %(w/w)
라. 워터멜론 과일 추출물(Citrullus Lanatus fruit extract): 0.50 %(w/w)
마. 1,2-헥산에디올(1,2-Hexanediol) 및 카프릴 글리콜(Caprylic Glycol) 및 트로 포론(Tropolone): 0.5 %(w/w)
마. 포세다눔오스트루티움 잎 추출물(Peucedanum Ostruthium Leaf extract): 0.50 %(w/w)
바. 슈도알트로모나스 미생물 추출물(Pseudoalteromonas Ferment extract): 2.00 %(w/w)
사. 마그네슘 보충제(Magnesium Aspartate), 아연 글루콘산염(Zinc Gluconate) 및 구리 글루콘산염(Copper Gluconate): 0.10 %(w/w)
아. 나트륨 이디티에이(sodium EDTA): 0.02 %(w/w)
자. 물: 전체 함량이 100%(w/w)이 되도록 하는 양
줄기세포 유래물질은 추출된 미세침 1kg 및 전체 용액 1L에 대하여 80 내지 120 ml가 될 수 있지만, 줄기세포 유래물질의 코팅양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줄기세포 유래물질의 혼합 정도는 각각의 미세침이 흡수 가능한 양이 될 수 있다. 미세침에 코팅된 줄기세포 배양액 또는 Human AFC-CM에서 유효한 성분의 양은 물 100 g에 대하여 0.0001 내지 0.001%(w/v)과 같은 극소량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줄기세포 유래물질은 각각의 미세침에 코팅될 수 있는 충분한 양이 혼합될 수 있다.
줄기세포 유래물질의 코팅양은 특별히 양이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줄기세포 유래물질의 혼합 정도는 각각의 미세침이 흡수 가능한 양이 될 수 있다. 미세침에 코팅된 줄기세포 유래물질에서 유효한 성분의 양은 물 100 g에 대하여 0.0001 내지 0.001%(w/v)과 같은 극소량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줄기세포 유래물 질은 각각의 미세침에 코팅될 수 있는 충분한 양이 혼합될 수 있다.
제시된 혼합 용액의 내용물은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코팅 공정(S14)이 완료되면 동결 건조 공정(S15)이 진행된다. 동결 건조 공정(S15)은 미세침이 침지된 혼합 용액을 동결 건조기에서 65 내지 75 시간동안 동결시키는 공정을 말한다. 동결 건조기는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형태가 될 수 있다.
동결 건조 공정(S15)이 완료되면 최종적으로 분말 형태의 화장품이 완성된다(S16).
각각의 제조공정에서 제조된 미세침의 형태가 도 2a 내지 도 2c에 제시되어 있다.
도 2a 내지 도 2c는 각각 불순물이 제거된 미세침의 형상, 다공성이 향상된 미세침의 형상 및 피부 유효성분이 코팅되어 동결 건조된 미세침의 형상에 대한 현미경 사진을 도시한 것이다. 도 2a 내지 2c를 참조하면, 미세침은 약 200 마이크로미터의 크기를 가지고 그리고 분리된 각각의 미세침에 피부 유효 성분이 코팅된 것을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화장품은 국소용 피부 관리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국소용 피부 관리를 위하여 사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의 작용 기작이 아래에서 설명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화장품의 작용 기작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 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국소 피부에 적용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화장품은 미세침이 표피(epidermis)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진피(dermis)에 침투하게 되고(S31) 그리고 이로 인하여 염증 반응이 발생하게 된다(S32). 염증 반응이 발생되면 자체적으로 성장인자가 방출되지만 노화된 피부 세포의 경우 방출되는 성장인자의 양이 미미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의 경우 줄기세포 유래물질의 지속적인 공급으로 인하여 세포 재생이 활성화가 될 수 있다(S33). 이로 인하여 섬유아세포가 증식되고(S34), 콜라겐 엘라스틴이 합성되고(S35) 그리고 피부 재생 및 활성화가 가능해진다(S36). 미세침의 다공성은 줄기세포 유래물질의 지속적인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고 그리고 이로 인하여 장시간에 걸쳐 지속적으로 피부 재생 및 활성화 기능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화장품이 국소적으로 피부에 적용되는 경우 어지럽게 엉켜있는 콜라겐 조직을 끓어내어 재배열이 되는 과정에서 생기는 미세상처를 스스로 복원하는 자연적 상처 치유 기능을 가지도록 하여 장시간 동안 지속적이고 효과적인 콜라겐 자체 생성시스템을 갖추도록 한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면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피부 관리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 공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2a 내지 도 2d는 각각 불순물이 제거된 미세침의 형상, 다공성이 향상된 미세침의 다수 개의 형상, 하나의 형상 및 유효성분이 코팅되어 동결 건조된 미세침의 형상에 대한 현미경 사진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화장품의 작용 기작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Claims (4)

  1. 해면 골편을 이용한 피부 관리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과산화수소 용액을 사용하여 해면동물로부터 미세침을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미세침의 다공성을 향상시키는 단계;
    다공성이 향상된 미세침을 인간을 포함한 동물 또는 식물의 줄기세포에서부터 얻어지는 추출물(Extracts), 배양액(Conditioned Media) 및 세포(Cells)를 포함하고 그리고 동물 유래의 줄기세포는 신경줄기세포(neural stem cells), 골수중간엽 줄기세포(bone marrow mesenchymal stem cells), 조혈줄기세포(hematopoietic stem cells), 지방줄기세포(adipocyte stem cells), 피부줄기세포(skin stem cells), 표피 줄기세포(epithelial stem cells) 및 양수줄기세포(amniotic fluid stem cells)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제 1 코팅성분;
    및 부틸렌 글리콜, 크실리틸글루코사이드, 안하이드록시리톨, 크실리톨, 아르니카 몬타나 꽃 추출물, 겐티아나 루테아 뿌리 추출물, 아칠레아 밀레포리움 추출물 및 쑥 추출물, 워터멜론 과일 추출물, 1,2-헥산에디올, 카프릴 글리콜, 트로포론, 포세다눔오스트루티움 잎 추출물, 슈도알트로모나스 미생물 추출물, 마그네슘 보충제, 아연 글루콘산염, 구리 글루콘산염 및 나트륨 이디티에이(sodium EDTA)를 포함하며, 태반 유래 물질, 염기성 섬유아세포 성장인자(Fibroblast Growth Factor:FGF), 상피세포성장 인자(Epidermal Growth Factor:EGF), 형질 전환 성장인자 (Transforming Growth Factor:TGF), 혈관 내피 성장인자(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VEGF), 비타민류, 단백질류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성분을 포함하는 제 2 코팅성분이 혼합된 용액에 침지시키거나 코팅을 시키는 단계; 및
    미세침이 침지된 혼합 용액을 동결 건조시켜 분말 형태의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피부 관리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 방법.
  2. 삭제
  3. 삭제
  4. 담수 해면으로부터 추출되어 다공성으로 만들어진 미세침;
    미세침의 표면에 코팅되며 인간을 포함한 동물 또는 식물의 줄기세포에서부터 얻어지는 추출물(Extracts), 배양액(Conditioned Media) 및 세포(Cells)를 포함하고 그리고 동물 유래의 줄기세포는 신경줄기세포(neural stem cells), 골수중간엽 줄기세포(bone marrow mesenchymal stem cells), 조혈줄기세포(hematopoietic stem cells), 지방줄기세포(adipocyte stem cells), 피부줄기세포(skin stem cells), 표피 줄기세포(epithelial stem cells) 및 양수줄기세포(amniotic fluid stem cells)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제 1 코팅성분; 및
    제 1 코팅성분과 함께 미세침의 표면에 코팅된 부틸렌 글리콜(butylene glycol), 크실리틸글루코사이드, 안하이드록시리톨, 크실리톨, 아르니카 몬타나 꽃 추출물, 겐티아나 루테아 뿌리 추출물, 아칠레아 밀레포리움 추출물 및 쑥 추출물, 워터멜론 과일 추출물, 1,2-헥산에디올, 카프릴 글리콜, 트로포론, 포세다눔오스트루티움 잎 추출물, 슈도알트로모나스 미생물 추출물, 마그네슘 보충제, 아연 글루콘산염, 구리 글루콘산염 및 나트륨 이디티에이(sodium EDTA)를 포함하며, 그리고 태반 유래 물질, 염기성 섬유아세포 성장인자(Fibroblast Growth Factor:FGF), 상피세포성장 인자(Epidermal Growth Factor:EGF), 형질 전환 성장인자 (Transforming Growth Factor:TGF), 혈관 내피 성장인자(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VEGF), 비타민류, 단백질류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제 2 코팅성분을 포함하는
    국소 피부 관리 화장품.
KR1020090006066A 2009-01-23 2009-01-23 해면 골편을 이용한 피부 관리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09373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6066A KR100937389B1 (ko) 2009-01-23 2009-01-23 해면 골편을 이용한 피부 관리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6066A KR100937389B1 (ko) 2009-01-23 2009-01-23 해면 골편을 이용한 피부 관리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7389B1 true KR100937389B1 (ko) 2010-01-19

Family

ID=41809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6066A KR100937389B1 (ko) 2009-01-23 2009-01-23 해면 골편을 이용한 피부 관리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7389B1 (ko)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3613B1 (ko) 2011-12-02 2013-11-01 주식회사 에스알바이오텍 코팅된 마이크로 골편을 포함하는 피부 필링용 조성물
WO2015156455A1 (ko) * 2014-04-08 2015-10-15 주식회사 파이온텍 해면에서 얻은 천연 바이오 스폰지로부터 미세침의 정제 및 추출 방법
KR20160064410A (ko) * 2014-11-28 2016-06-08 김형길 스피큘을 포함하는 피부관리용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57088B1 (ko) * 2015-05-29 2016-09-19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오존화 오일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15051A (ko) * 2015-03-25 2016-10-06 제너럴바이오(주) 침상 구조를 갖는 해면 파우더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침상 구조를 갖는 해면 파우더
KR101728125B1 (ko) 2015-10-15 2017-04-19 (주)비엔 해면 골편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762594B1 (ko) * 2016-11-10 2017-08-02 주식회사 에스파코 담수 해면 골편을 이용한 피부 치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95344B1 (ko) 2017-08-16 2017-11-0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미백활성을 나타내는 해면 Phorbas 종에서 분리된 가구닌 D를 함유하는 화장료 또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101810231B1 (ko) * 2016-04-01 2017-12-18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프로폴리스 미세침 분말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51742B1 (ko) * 2017-01-16 2018-04-24 주식회사 뷰렌코리아 사황산으로 코팅된 해면 골편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80069488A (ko) * 2016-12-15 2018-06-25 주식회사 제닉 스피큘을 포함하는 용해성 필름 및 이의 용도
KR101897401B1 (ko) * 2017-03-28 2018-09-11 이재섭 초고압처리를 이용한 스피큘 포접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각질박리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51880A (ko) * 2017-11-07 2019-05-15 코스맥스 주식회사 피부 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WO2020004745A1 (ko) 2018-06-29 2020-01-02 주식회사 에스알바이오텍 약물이 코팅된 마이크로 니들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73327A (ko) * 2018-12-13 2020-06-24 (주)파이온텍 스피큘 세공 내 리포좀의 함침 방법
KR102150798B1 (ko) 2019-06-12 2020-09-01 주식회사 다이오홀딩스 인체 제대혈 세포 배양액의 함침 동결 건조 코팅을 통한 해면 골편 파우더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품 제조 방법
KR20210087226A (ko) * 2020-01-02 2021-07-12 최수아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2;Anal. Bioanal. Chem.*
인터넷자료(신문기사)*

Cited B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3613B1 (ko) 2011-12-02 2013-11-01 주식회사 에스알바이오텍 코팅된 마이크로 골편을 포함하는 피부 필링용 조성물
WO2015156455A1 (ko) * 2014-04-08 2015-10-15 주식회사 파이온텍 해면에서 얻은 천연 바이오 스폰지로부터 미세침의 정제 및 추출 방법
CN106413723A (zh) * 2014-04-08 2017-02-15 派安科技有限公司 从得自海绵的天然生物海绵中精制和提取骨针的方法
KR101760045B1 (ko) 2014-04-08 2017-07-20 (주)파이온텍 해면에서 얻은 천연 바이오 스폰지로부터 미세침의 정제 및 추출 방법
CN106413723B (zh) * 2014-04-08 2020-12-08 派安科技有限公司 从得自海绵的天然生物海绵中精制和提取骨针的方法
KR20160064410A (ko) * 2014-11-28 2016-06-08 김형길 스피큘을 포함하는 피부관리용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78621B1 (ko) * 2014-11-28 2016-11-22 김형길 스피큘을 포함하는 피부관리용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115051A (ko) * 2015-03-25 2016-10-06 제너럴바이오(주) 침상 구조를 갖는 해면 파우더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침상 구조를 갖는 해면 파우더
KR101676796B1 (ko) * 2015-03-25 2016-11-16 제너럴바이오(주) 침상 구조를 갖는 해면 파우더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침상 구조를 갖는 해면 파우더
KR101657088B1 (ko) * 2015-05-29 2016-09-19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오존화 오일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728125B1 (ko) 2015-10-15 2017-04-19 (주)비엔 해면 골편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810231B1 (ko) * 2016-04-01 2017-12-18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프로폴리스 미세침 분말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62594B1 (ko) * 2016-11-10 2017-08-02 주식회사 에스파코 담수 해면 골편을 이용한 피부 치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69488A (ko) * 2016-12-15 2018-06-25 주식회사 제닉 스피큘을 포함하는 용해성 필름 및 이의 용도
KR101895038B1 (ko) 2016-12-15 2018-09-04 주식회사 제닉 스피큘을 포함하는 용해성 필름 및 이의 용도
KR101851742B1 (ko) * 2017-01-16 2018-04-24 주식회사 뷰렌코리아 사황산으로 코팅된 해면 골편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897401B1 (ko) * 2017-03-28 2018-09-11 이재섭 초고압처리를 이용한 스피큘 포접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각질박리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95344B1 (ko) 2017-08-16 2017-11-0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미백활성을 나타내는 해면 Phorbas 종에서 분리된 가구닌 D를 함유하는 화장료 또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20190051880A (ko) * 2017-11-07 2019-05-15 코스맥스 주식회사 피부 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KR102089290B1 (ko) * 2017-11-07 2020-03-16 코스맥스 주식회사 피부 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WO2020004745A1 (ko) 2018-06-29 2020-01-02 주식회사 에스알바이오텍 약물이 코팅된 마이크로 니들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73327A (ko) * 2018-12-13 2020-06-24 (주)파이온텍 스피큘 세공 내 리포좀의 함침 방법
KR102272303B1 (ko) 2018-12-13 2021-07-05 (주)파이온텍 스피큘 세공 내 리포좀의 함침 방법
KR102150798B1 (ko) 2019-06-12 2020-09-01 주식회사 다이오홀딩스 인체 제대혈 세포 배양액의 함침 동결 건조 코팅을 통한 해면 골편 파우더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품 제조 방법
KR20210087226A (ko) * 2020-01-02 2021-07-12 최수아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
KR102303252B1 (ko) 2020-01-02 2021-09-16 최수아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7389B1 (ko) 해면 골편을 이용한 피부 관리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678621B1 (ko) 스피큘을 포함하는 피부관리용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Sclafani et al. Platelet preparations for use in facial rejuvenation and wound healing: a critical review of current literature
CN105193673B (zh) 一种清痘修复液及其制备方法
CN108553389A (zh) 一种植物保湿晒后修复霜及其制备方法
KR101897401B1 (ko) 초고압처리를 이용한 스피큘 포접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각질박리용 화장료 조성물
CN103272282A (zh) 一种纳米羟基磷灰石/壳聚糖/鱼皮胶原复合支架
CN103110936A (zh) 一种促进皮肤组织快速生长修复的生物制剂
CN109998937A (zh) 含有甘油葡糖苷(αGG)的系列化妆品及其制备方法
CN104258456A (zh) 一种含六方介孔硅的创面修复凝胶及其制备方法
CN102091013B (zh) 纳米元素中药负离子远红外功效性护肤品
KR102014979B1 (ko) 생분해성 고분자와 황토가 결합되어 탄력성이 증진된 기능성 마스크팩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80134468A (ko) 스피큘과 해양콜라겐 및 해양심층수를 포함하는 해양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0368347A (zh) 一种抗衰修复双层双色精华素及其制备方法
CN103520017A (zh) 一种除皱抗衰、活化肌肤、修复美白的组合物
KR20100096447A (ko) 돼지 태반 조직 유래 줄기세포의 배양물 및 그 추출 단백질을 함유한 화장료용 조성물
CN103462865B (zh) 从动物胚胎皮肤及肌肉中提取的胚胎素水提取物及其提取方法和用途
DE60007973T2 (de) Matrixprotein zusammensetzungen für pfropfung in nicht mineralisierten geweben
CN102091017A (zh) 纳米元素中药负离子远红外功效性香波
KR20110129994A (ko) 발모 및 피부재생 촉진용 광물질 조성물
CN100404018C (zh) 凹凸棒中药保湿面膜粉
CN115025035A (zh) 一种冻干粉、制备方法和面膜
KR20190098630A (ko) 식물 줄기 세포가 함유된 보습력이 향상된 보습제 조성물
KR20220027842A (ko) 해양 이매패류의 껍데기의 유기광물층에 함유된 분자를 단리하는 방법
CN102462655A (zh) 一种中草药抗皱美容膏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