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2303B1 - 스피큘 세공 내 리포좀의 함침 방법 - Google Patents

스피큘 세공 내 리포좀의 함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2303B1
KR102272303B1 KR1020180160877A KR20180160877A KR102272303B1 KR 102272303 B1 KR102272303 B1 KR 102272303B1 KR 1020180160877 A KR1020180160877 A KR 1020180160877A KR 20180160877 A KR20180160877 A KR 20180160877A KR 102272303 B1 KR102272303 B1 KR 1022723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icule
liposome
spicules
impregnation
po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0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3327A (ko
Inventor
김태곤
이윤진
최병훈
박지은
김이슬
Original Assignee
(주)파이온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이온텍 filed Critical (주)파이온텍
Priority to KR1020180160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2303B1/ko
Publication of KR20200073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33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2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23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4Liposomes; Ves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6Compounds, absorbed onto or entrapped into a solid carrier, e.g. encapsulated perfumes, inclusion compounds, sustained release fo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05Corresponding aspects not provided for by any of codes A61K2800/81 - A61K2800/95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피큘 세공 내에 리포좀을 함침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i) 건조된 스피큘과 리포좀 용액을 혼합한 다음 감압하고; ii) 설정 압력에 도달하면 진공 상태를 유지하며 스피큘의 세공에 리포좀을 함침하는 것을 포함하는 스피큘 세공 내에 리포좀을 함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피큘 세공 내 리포좀의 함침 방법{METHOD FOR IMPREGNATING MICROPORE OF SPICULE WITH LIPOSOME}
본 발명은 스피큘 세공 내에 리포좀을 함침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i) 건조된 스피큘과 리포좀 용액을 혼합한 다음 감압하고; ii) 설정 압력에 도달하면 진공 상태를 유지하며 스피큘의 세공에 리포좀을 함침하는 것을 포함하는 스피큘 세공 내에 리포좀을 함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화장품의 활성성분(유효성분)을 유지하면서 안정하게 피부에 흡수시킬 수 있는 피부의 경피 흡수 시스템으로써 리포좀 제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리포좀은 자기 스스로 회합하는 콜로이드 입자들의 구형 인지질 소포체(vesicle)로 정의되는데, 1960년대 초 Alec Bangham은 물 속에서 인 지질 소포체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처음으로 발견하였다. 리포좀은 인지질로 구성된 구형의 소포체(vesicle)로서 친수성 및 친유성 성분을 동시에 포집할 수 있어 비타민, 약품 등과 같은 활성성분에 대한 전달체(delivery system)로 연구되고 있다. 인지질은 생체막의 주요 구성성분이기 때문에, 리포좀의 인지질막 또한 생체 막과 유사한 생리학적 기능 및 특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리포좀은 피부 친화적이며 안전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제약 및 화장품 산업 분야 등에서 효과적인 약물전달체로서 응용되고 있다. 주름을 개선하거나 미백작용을 높이는 등의 효과를 얻기 위해서 활성물질들을 피부에 투과시킬 목적으로 리포좀 전달체계 시스템을 사용해 왔으며, 활성물질 중 다양한 생리적 기능을 가진 물질들은 피부의 미백작용과 주름 개선 등에 우수한 효능을 갖고 있지만 화학적으로 불안정하여 물이나 공기와 접촉하게 되면 산화되어 그 활성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리포좀 내에 활성물질을 포집시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리포좀 제형에 나노 기술을 적용하게 되면, 활성성분을 피부 속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리포좀의 크기가 피부를 구성하는 세포보다 작기 때문에 활성성분이 피부 내로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해면동물은 체내에 깃세포(금세포)로 뒤덮인 내강은 있으나, 조직이나 기관이 거의 분화하지 않은 후생동물의 1문이다. 현생은 약 6,000종인데, 대부분이 모두 해산(海産)이고 담수산은 소수이다. 해면동물의 표면에는 미세한 침상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를 분획하여 정제한 원료를 스피큘(spicule, 미세침)이라 부른다.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16620호에서는 해면에서 얻은 천연 바이오 스폰지로부터 미세침의 정제 및 추출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발명에서는 효능 물질의 전달율을 높이기 위한 다공성을 확보하고,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불순물이 제거된 스피큘(미세침)을 추출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는데, 이 스피큘은 다공성이고, 내부에 홀이 형성된 침상구조를 가진다(도 1).
현재 스피큘은 시판되는 많은 화장품에 포함되어 있으나, 그 기술은 필링(peeling) 및 트러블 케어에 중점 되어 있다. 요컨대, 뾰족한 스피큘이 피부 표면에 침투하여 72시간 동안 피부에 미세자극을 주어 피부를 활성화시키며, 죽은 각질을 탈락시킨다는 내용이다. 그러나 이러한 제품들은 스피큘의 다공성에 대한 활용은 없이 침상 구조의 특성에만 중점이 되어 있는 것이기에 스피큘의 다공성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16620호
이에 본 발명은 활성성분을 함유하는 리포좀을 효율적으로 스피큘의 세공 내에 함침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i) 건조된 스피큘과 리포좀 용액을 혼합한 다음 감압하고; ii) 설정 압력에 도달하면 진공 상태를 유지하며 스피큘의 세공에 리포좀을 함침하는 것을 포함하는 스피큘 세공 내 리포좀의 함침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스피큘 세공 내 리포좀의 함침(impregnation) 방법은 건조된 스피큘과 리포좀 용액을 혼합한 다음 감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리포좀은 활성성분(유효성분)을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리포좀은 당 분야에서 공지된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고, 이에 따른 특별한 제한은 없다. 리포좀은 인지질이나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이중막의 내부에 활성성분을 갖는 구조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활용될 수 있는 활성성분에 따른 구체적인 제한은 없다. 본 발명에서 활성성분은 예를 들면, 천연물, 보습제, 미백제, 주름개선제, 자외선 차단제, 육모제, 비타민 또는 그 유도체, 아미노산 또는 펩타이드, 항염증제, 여드름 치료제, 살균제, 여성호르몬제 및 각질박리용해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외에 활성성분으로 오일, 왁스, 버터, 파라핀, 스테아린산과 같은 고급 지방산,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같은 에스테르, 실리콘 등과 같은 미용 성분들도 사용될 수 있다.
천연물의 추출물이나 그들로부터 얻어진 성분으로, 예를 들면 곤드레(고려엉겅퀴), 풍년화, 광대수염, 백화, 대황, 감초, 알로에, 카모마일, 로즈힙, 마로니에, 인삼, 수세미, 오이, 김, 미역, 마, 달팽이, 영여자 등의 추출물이나 펙토리나린, 히노키티올, 베타카로틴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보습제로는, 예를 들면 크레아틴, 폴리글루탐산, 젖산 나트륨, 하이드로 프로린, 2-피로리돈-5-카르본산나트륨, 히아루론산, 히아루론산 나트륨, 세라마이드, 피토스테롤, 콜레스테롤, 씨토스테롤, 풀루란, 프로테오글리칸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미백제로는, 예를 들면 알부틴 및 알부틴 유도체, 코직산, 비사보놀, 나이이신아마이드, 비타민 C 및 비타민 C 유도체, 프라센타, 알란토인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주름개선제로는, 예를 들면 레티놀, 레티놀 유도체, 아데노신, 감초 추출물, 홍삼 추출물, 인삼 추출물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자외선 차단제로는, 예를 들면 벤조페논 유도체, 파라아미노안식향산 유도체, 메톡시계피산 유도체, 살리실산 유도체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육모제로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고 할 것이나, 혈행촉진제 및/또는 국소자극제가 바람직하고, 혈행촉진제로는 예를 들면 월년초 엑기스, 세파라틴, 비타민 E 및 그 유도체, 감마 오리자놀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국소 자극제로는 고추 틴크, 생강 틴크, 칸타리스 틴크, 니코틴산 벤질에스테르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비타민 또는 그 유도체로는, 예를 들면 비타민 A(레티놀) 및 그 유도체, 비타민 B1, B2, B6, 비타민 E 및 그 유도체, 비타민 D, 비타민 H, 비타민 K, 판토텐산 및 그 유도체, 비오틴, 판테놀, 코엔자임 Q10, 이데베논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아미노산 또는 펩타이드로는, 예를 들면 시스틴, 시스테인, 메티오닌, 세린, 라이신, 트립토판, 아미노산 엑기스, 상피세포성장인자(EGF), 인슐린유사 성장인자(IGF), 섬유아세포 성장인자(FGF), 쿠퍼 트리펩타이드-1, 트리펩타이드-29, 트리펩타이드-1, 아세틸 헥사펩타이드-8, 니코티노일 트리펩타이드-35, 헥사펩타이드-12, 헥사펩타이드-9. 팔미토일 펜타펩타이드-4, 팔미토일 테트라펩타이드-7, 팔미토일 트리펩타이드-29, 팔미토일 트리펩타이드-1, 노나펩타이드-7, 트리펩타이드-10 시트룰린(citrulline), sh-폴리펩타이드-15, 팔미토일 트리펩타이드-5, 디아미노프로피오일 트리펩타이드-33, r-스파이더(spider) 폴리펩타이드-1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항염증제로는, 예를 들면 베타-글리틸리틴산, 글리틸리탄산 유도체, 아미노카프론산, 하이드로코티손, 베타글루칸, 감초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여드름 치료제로는, 예를 들면 에스트라디올, 에스트로겐, 에티닐 에스트라리올, 트리크로산, 아젤릭산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살균제로는, 예를 들면 염화 벤잘코늄, 염화 벤제토니움(benzethonium chloride), 하로칼반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여성호르몬제로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고 할 것이나, 에스트로겐이 적합하며, 에스트로겐으로서는 에스트라디올, 에티닐 에스트라디올, 식물성 에스트로겐인 이소플라본 등이 바람직하다. 각질박리용해제로는, 예를 들면 유황, 살리실산, 아하(AHA), 바하(BHA), 레소르신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 외에 효모 추출물, 콜라겐, 엘라스틴, 알루미늄 수크로오스 옥타설페이트, DHA, EPA, 향 성분 등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구체예에서 건조된 스피큘과 리포좀 용액은 0.07 내지 1 : 1 (w/v)의 비율, 또는 0.08 내지 0.5 : 1 (w/v)의 비율로 혼합된다. 예를 들면, 리포좀 용액 1 ml에 대하여 0.07 내지 1 g의 건조된 스피큘을 혼합하거나, 리포좀 용액 1 ml에 대하여 0.08 내지 0.5 g의 건조된 스피큘을 혼합한다. 스피큘과 리포좀 용액의 혼합 비율이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스피큘의 세공 내에 리포좀의 함침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피큘 세공 내 리포좀의 함침 방법은 감압에 따른 설정된 진공 압력에 도달하면 진공 상태를 유지하며 스피큘의 세공에 리포좀을 함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감압에 따라 설정된 진공 압력은, 300 내지 0 토르(Torr), 200 내지 0 토르(Torr), 100 내지 0 토르(Torr) 또는 25 내지 0 토르(Torr)이다. 본 발명에서는 건조된 스피큘과 리포좀 용액의 혼합물을 진공 상태에 유지하여 스피큘의 세공 내 공기를 빼냄과 동시에 그 자리에 리포좀을 함침한다. 본 발명에서 감압에 따른 진공 압력이 300 토르(Torr)를 초과할 경우 스피큘의 세공 내에 리포좀의 함침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진공 상태를 유지하며 스피큘의 세공에 리포좀을 함침하는 것은 10분 내지 40분, 또는 15분 내지 35분 동안 수행된다.
본 발명의 스피큘 세공 내 리포좀의 함침 방법에서 상기 (i) 및 (ii) 단계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60℃의 온도 범위, 더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45℃의 온도 범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온도가 10℃ 미만일 경우 스피큘의 세공 내에 리포좀의 함침에 문제가 있을 수 있고, 60℃를 초과할 경우 스피큘의 세공 내에 리포좀의 함침에 문제나 활성성분의 변성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스피큘 세공 내 리포좀의 함침 방법은 스피큘의 세공에 리포좀을 함침하는 것이 완료되면 스피큘을 분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리포좀의 함침이 완료된 스피큘의 분리는 예를 들면 원심분리기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스피큘 세공 내 리포좀의 함침 방법은 분리된 스피큘을 건조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스피큘의 건조는 당 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특별한 제한은 없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피큘 세공 내 리포좀의 함침 방법은 스피큘의 종래의 필링이나 트러블 케어에 있어서의 용도뿐만 아니라 스피큘의 다공성을 활용하여 활성성분을 함유하는 리포좀을 효율적으로 스피큘의 세공 내에 함침시켜 피부 내로 전달함으로써 활성성분에 따른 효능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스피큘을 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2는 함침 전 스피큘과 본원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 조건에 따라 함침된 스피큘을 현미경(Leica Microsystems CMS GmbH, DMIL LED with DFC295)으로 200배 확대하여 촬영한 사진이다((a) 함침 전 스피큘, (b) 조건 A에서의 함침 스피큘, (c) 조건 B에서의 함침 스피큘, (d) 조건 C에서의 함침 스피큘, (e) 조건 D에서의 함침 스피큘, (f) 조건 E에서의 함침 스피큘, (g) 조건 F에서의 함침 스피큘, (h) 조건 G에서의 함침 스피큘, (i) 조건 H에서의 함침 스피큘, (j) 조건 I에서의 함침 스피큘, (k) 조건 J에서의 함침 스피큘, (l) 조건 K에서의 함침 스피큘, (m) 조건 L에서의 함침 스피큘).
도 3은 리포좀으로 함침하기 전과 후의 스피큘을 주사전자현미경(HITACHI, S-4800)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4는 곤드레 추출물 함유 리포좀으로 함침시킨 스피큘 내의 펙토리나린을 HPLC로 정성분석한 결과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하는 것일 뿐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스피큘 분말의 제조
건조상태의 해면에서 얻은 천연 바이오 스폰지로부터 스피큘 분말을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16620호의 실시예 1에서 기재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하였다.
제조예 2: 곤드레 추출물의 제조
곤드레 1 kg을 30% 에탄올 10 L에 3일 동안 상온에서 침지한 다음 감압, 농축하여 약 200 g의 곤드레 추출물 농축액을 얻었다.
제조예 3: 곤드레 추출물을 함유하는 리포좀의 제조
다음의 표 1의 조성으로 성분들을 용기에 80℃의 온도에서 용해시키고 나서, 호모 믹서를 이용하여 5분 동안 혼합한 다음 고압 미세유화기(microfluidizer)에서 1,000 bar로 연속 3회 통과시킨 후 냉각, 탈포시켜 리포좀을 얻었다.
Figure 112018125273104-pat00001
실시예 : 감압법에 따른 리포좀의 함침
1) 건조된 스피큘과 곤드레추출물 함유 리포좀을 비이커에 넣고 잘 혼합한 후 온도가 설정된 데시케이터에 넣고 서서히 감압하였다.
2) 설정 압력에 도달하면 정해진 시간 동안 온도 및 진공 상태를 유지하며 스피큘 세공 내에 곤드레추출물 함유 리포좀을 함침하였다.
3) 함침이 완료되면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스피큘을 분리하여 건조시킨 후 현미경으로 함침 결과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1: 혼합 비율에 따른 조건
곤드레추출물 함유 리포좀 1 ml에 다음의 표 2의 농도가 되도록 0.05, 0.1 또는 0.2 g의 건조된 스피큘을 혼합한 다음 함침을 수행하였다.
Figure 112018125273104-pat00002
상기 조건에서 함침한 결과 조건 A에서는 일부 세공만 곤드레추출물 함유 리포좀이 함침되어 있는 반면에, 조건 B 및 C에서는 전체적으로 함침되어 있었다.
실시예 2: 함침 시간에 따른 조건
다음의 표 3의 시간 동안 함침을 수행하였다.
Figure 112018125273104-pat00003
상기 조건에서 함침한 결과 조건 D 및 F에서는 일부 세공만 곤드레추출물 함유 리포좀이 함침되어 있는 반면에, 조건 E에서는 전체적으로 함침되어 있었다.
실시예 3: 함침 온도에 따른 조건
다음의 표 4의 온도에서 함침을 수행하였다.
Figure 112018125273104-pat00004
상기 조건에서 함침한 결과 조건 G, H 및 I 모두에서 곤드레추출물 함유 리포좀이 전체적으로 함침되어 있었다.
실시예 4: 함침 압력에 따른 조건
감압에 따른 설정 압력을 다음의 표 5와 같이 한 진공 상태에서 함침을 수행하였다.
Figure 112018125273104-pat00005
상기 조건에서 함침한 결과 조건 J에서는 드물게 곤드레추출물 함유 리포좀이 함침되어 있었고, 조건 K에서는 일부 세공만 함침되어 있는 반면에, 조건 L에서는 전체적으로 함침되어 있었다.
비교예 : 교반초음파법에 따른 리포좀의 함침
1) 건조된 스피큘과 곤드레추출물 함유 리포좀을 비이커에 넣고 잘 혼합한 후 교반 자석을 함께 넣고 교반기 위에 올려 놓았다.
2) 일정한 속도로 교반하며, probe type sonicator를 사용하여 강도(진폭)를 조절하여 정해진 시간 동안 스피큘 세공에 곤드레추출물 함유 리포좀을 함침하였다.
3) 함침이 완료되면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스피큘을 분리한 다음 건조하였다.
비교예 1: 혼합 비율에 따른 조건
곤드레추출물 함유 리포좀 1 ml에 다음의 표 6의 농도가 되도록 0.01, 0.1 또는 1 g의 건조된 스피큘을 혼합한 다음 함침을 수행하였다.
Figure 112018125273104-pat00006
상기 조건에서 함침한 결과 조건 M에서는 드물게 곤드레추출물 함유 리포좀이 함침되어 있었고, 조건 N에서는 전체적으로 함침되어 있었으며, 조건 O의 경우 농도가 높아 교반의 어려움 때문에 함침 실험을 수행할 수 없었다. 또한, 조건 M 및 N에서 깨진 스피큘이 발견되었다.
비교예 2: 함침 시간에 따른 조건
다음의 표 7의 시간 동안 함침을 수행하였다.
Figure 112018125273104-pat00007
상기 조건에서 함침한 결과 조건 P, Q 및 R 모두에서 곤드레추출물 함유 리포좀이 전체적으로 함침되어 있었으나, 깨진 스피큘이 발견되었다.
비교예 3: 교반 세기에 따른 조건
다음의 표 8의 교반 세기로 함침을 수행하였다.
Figure 112018125273104-pat00008
상기 조건에서 함침한 결과 조건 S, T 및 U 모두에서 곤드레추출물 함유 리포좀이 전체적으로 함침되어 있었으나, 깨진 스피큘이 발견되었다.
비교예 4: 초음파 강도(진폭)에 따른 조건
다음의 표 9의 초음파 강도로 함침을 수행하였다.
Figure 112018125273104-pat00009
상기 조건에서 함침한 결과 조건 V에서는 일부 세공만 곤드레추출물 함유 리포좀이 함침되어 있었고, 조건 W에서는 전체적으로 함침되어 있었으나 깨진 스피큘이 발견되었다. 조건 X의 경우 스피큘이 너무 많이 깨져있어 함침이 잘 되었는지 여부의 확인이 불가능하였다.
실험예 1: 곤드레추출물 함유 리포좀 함침 스피큘의 현미경 관찰
실시예의 각 조건에서 제조된 곤드레추출물 함유 리포좀으로 함침된 스피큘을 Leica Microsystems CMS GmbH, DMIL LED with DFC295를 이용해서 200배율로 관찰한 결과, 조건 B, E, G 및 L에서 함침이 가장 많이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2).
실험예 2: 곤드레추출물 함유 리포좀 함침 스피큘의 주사전자현미경 관찰
곤드레추출물 함유 리포좀으로 함침된 스피큘을 주사전자현미경(HITACHI, S-4800)을 이용해서 관찰한 결과 스피큘 세공 내 곤드레추출물 함유 리포좀이 함침된 것을 확인하였다(도 3).
실험예 3: 곤드레추출물 함유 리포좀 함침 스피큘의 펙토리나린 정성 분석
곤드레추출물 함유 리포좀으로 함침된 스피큘 내의 펙토리나린(pectolinarin)을 SHIMADZU, Prominence HPLC L203054를 이용해서 정성분석하였다. 그 결과 스피큘 내 함침된 물질이 곤드레추출물 함유 리포좀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4).

Claims (14)

  1. i) 건조된 스피큘과 리포좀 용액을 혼합한 다음 감압하고;
    ii) 200 내지 0 토르(Torr)의 설정 압력에 도달하면 진공 상태를 유지하며 스피큘의 세공에 리포좀을 함침하는 것을 포함하는 스피큘 세공 내 리포좀의 함침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i)에서 건조된 스피큘과 리포좀 용액을 0.07 내지 1 : 1 (w/v)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큘 세공 내 리포좀의 함침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i)에서 건조된 스피큘과 리포좀 용액을 0.08 내지 0.5 : 1 (w/v)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큘 세공 내 리포좀의 함침 방법.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i) 단계의 설정 압력이 100 내지 0 토르(Tor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큘 세공 내 리포좀의 함침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ii) 단계의 설정 압력이 25 내지 0 토르(Tor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큘 세공 내 리포좀의 함침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i) 단계의 함침 시간이 10 내지 40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큘 세공 내 리포좀의 함침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ii) 단계의 함침 시간이 15 내지 35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큘 세공 내 리포좀의 함침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 및 (ii) 단계를 10 내지 60℃의 온도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큘 세공 내 리포좀의 함침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i) 및 (ii) 단계를 25 내지 45℃의 온도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큘 세공 내 리포좀의 함침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iii) 함침이 완료되면 스피큘을 분리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큘 세공 내 리포좀의 함침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스피큘의 분리를 원심분리기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큘 세공 내 리포좀의 함침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분리된 스피큘을 건조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큘 세공 내 리포좀의 함침 방법.
KR1020180160877A 2018-12-13 2018-12-13 스피큘 세공 내 리포좀의 함침 방법 KR1022723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0877A KR102272303B1 (ko) 2018-12-13 2018-12-13 스피큘 세공 내 리포좀의 함침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0877A KR102272303B1 (ko) 2018-12-13 2018-12-13 스피큘 세공 내 리포좀의 함침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3327A KR20200073327A (ko) 2020-06-24
KR102272303B1 true KR102272303B1 (ko) 2021-07-05

Family

ID=71407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0877A KR102272303B1 (ko) 2018-12-13 2018-12-13 스피큘 세공 내 리포좀의 함침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23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9847B1 (ko) * 2020-11-06 2021-03-24 주식회사 본에스티스 피부 보습 및 진정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7389B1 (ko) 2009-01-23 2010-01-19 (주)스킨메디언스 해면 골편을 이용한 피부 관리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678621B1 (ko) 2014-11-28 2016-11-22 김형길 스피큘을 포함하는 피부관리용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28125B1 (ko) * 2015-10-15 2017-04-19 (주)비엔 해면 골편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851742B1 (ko) 2017-01-16 2018-04-24 주식회사 뷰렌코리아 사황산으로 코팅된 해면 골편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862039B1 (ko) 2017-01-10 2018-05-29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미세침 분말 및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97401B1 (ko) * 2017-03-28 2018-09-11 이재섭 초고압처리를 이용한 스피큘 포접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각질박리용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7891B1 (ko) * 2005-07-15 2007-02-27 초임계연구소 주식회사 유용물질이 함침된 곡물의 제조방법
KR101760045B1 (ko) 2014-04-08 2017-07-20 (주)파이온텍 해면에서 얻은 천연 바이오 스폰지로부터 미세침의 정제 및 추출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7389B1 (ko) 2009-01-23 2010-01-19 (주)스킨메디언스 해면 골편을 이용한 피부 관리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678621B1 (ko) 2014-11-28 2016-11-22 김형길 스피큘을 포함하는 피부관리용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28125B1 (ko) * 2015-10-15 2017-04-19 (주)비엔 해면 골편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862039B1 (ko) 2017-01-10 2018-05-29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미세침 분말 및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51742B1 (ko) 2017-01-16 2018-04-24 주식회사 뷰렌코리아 사황산으로 코팅된 해면 골편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897401B1 (ko) * 2017-03-28 2018-09-11 이재섭 초고압처리를 이용한 스피큘 포접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각질박리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3327A (ko) 2020-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8873B1 (ko) 산화질소수 및 한방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 및 두피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US11331261B2 (en) Transdermal delivery complex using metal-organic framework and nanocellulose
EP1555999B1 (fr) Utilisation cosmétique du kombucha pour lutter contre le vieillissement de la peau
KR101661251B1 (ko) 모발 및 두피에 대한 약물 방출을 위한 막-형성 액체 제형
CA3087808A1 (en) Use of cyclic peptides in cosmetic
WO2009106338A2 (en) Cosmetic of dermo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mixed micelles
KR101642054B1 (ko) 경피 전달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품
ITTO970001A1 (it) Impiego di un estratto di eriobotrya japonica, particolarmente nel campo della cosmesi, per stimolare la sintesi di glicosamminoglicani
KR102272303B1 (ko) 스피큘 세공 내 리포좀의 함침 방법
KR20170064492A (ko) 온도 및 pH 민감성 나노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JP6883723B2 (ja) リポソーム、リポソーム液及び化粧料、並びに上記リポソームを製造する方法
CN111432778B (zh) 利用磷脂酰丝氨酸/阴离子表面活性剂/氯化钙的脂质卷
KR100962566B1 (ko) 인간 성장호르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226844B1 (ko) 여드름 개선을 위한 골드입자를 포함한 화장료 조성물
JP2009191004A (ja) 成長因子を含有するリポソームを含む皮膚外用剤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5154126A1 (en) Liposomal compound and compositions containing the compound
KR102415735B1 (ko) 양이온성 고분자 접합체 및 리포좀을 포함하는 3중층 리포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87556B1 (ko) 활성성분을 포집한 나노 플렉시블 베시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11042613A (ja) 抗老化用皮膚外用剤及び抗老化用化粧料
DE10360503A1 (de) Kombinations- Set und Verfahren zur bioregenerativen Behandlung von Haut
KR20090105222A (ko) 모공 축소용 화장료 조성물
FR2729079A1 (fr) Nouvelles compositions cosmetiques contenant des ceramides et autres lipides complexes
KR20210018595A (ko) 피부 침투력 및 보습력이 우수한 베시클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FR2835429A1 (fr) Utilisation d'acide ascorbique pour renforcer la cohesion de la jonction dermo-epidermique
JP4222973B2 (ja) エラスターゼの活性阻害剤および化粧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