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7088B1 - 오존화 오일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오존화 오일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57088B1 KR101657088B1 KR1020150157936A KR20150157936A KR101657088B1 KR 101657088 B1 KR101657088 B1 KR 101657088B1 KR 1020150157936 A KR1020150157936 A KR 1020150157936A KR 20150157936 A KR20150157936 A KR 20150157936A KR 101657088 B1 KR101657088 B1 KR 10165708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zone
- oil
- amount
- peroxide
- stee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40—Peroxid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44—Oils, fats or waxes according to two or more groups of A61K47/02-A61K47/42; Natural or modified natural oils, fats or waxes, e.g. castor oil, polyethoxylated castor oil, montan wax, lignite, shellac, rosin, beeswax or lanol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2—Peroxides; Oxygen; Ozon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rd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존화 오일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해면동물 분쇄물을 포함하여 오일 내 오존용존량이 600 내지 2,500meq/㎏ 과산화물가가 되도록 포함되는 오존화 오일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오존화 오일의 반응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기존 오존화 오일과 대비하여 오일 내 오존의 과산화물가를 현저히 증가된 오존화 오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오존화 오일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해면동물 분쇄물을 포함하여 오일 내 오존용존량이 600 내지 2,500meq/㎏ 과산화물가가 되도록 포함되는 오존화 오일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현대인들은 수질오염 또는 환경오염 등에 노출되어 있으며, 주거 공간에서도 각종 화학물질에 의하여 면역손상으로 인한 피부병과 같은 질환에 시달리고 있다. 따라서 피부병을 치료하기 위해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그 중 오 존이 세균성, 바이러스성 및 진균성 감염증을 포함하는 피부 질환에 강한 안티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빠른 치유 능력을 통한 피부조직 재생에 우수한 치료효과를 가진다는 연구 결과가 알려지면서 오존을 피부 질환 치료에 사용하려는 시도되고 있다.
이러한 오존(Ozone, O3)은 3개의 산소 원자가 결합된 구조를 가진 산소의 동 소체이며 매우 불안정한 기체로 O3에서 O2와 O로 자연해리 되려는 성질이 강하다.
불안정한 구조를 가진 오존은 해리되면서 피부의 바이러스나 세균의 근본적인 RNN/DNN 구조의 전자를 뺏어 순간적으로 균주를 사멸시키는 능력을 가진다. 또한 오존이 분해될 때 생성되는 산소원자는 불안전한 조직구성(Free radical)에 관여하여 강력한 산화력을 지니며, 다른 화합물과 쉽게 반응하여 해당 화합물을 산화분해시키는 작용을 한다. 따라서 이러한 특성을 가진 오존을 친수성 크림 등에 포집시켜 피부질환을 치료하려는 시도가 있기는 하지만, 친수성 재료로부터 오존은 쉽게 탈출하여 공기 중에 방출되므로 오존의 기능을 충분히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위해 최근에는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 제10-1404940호 오존처리 연고 제조장치 및 연고 제조방법'과 같이 친수성 재료가 아닌 소수성 재료인 오일에 오존을 용존화시켜 오존화 오일을 제조하는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오존을 버블화하여 오일 내에 주입하고, 이를 통해 오일에 오존을 용존화 시키는 방법을 통해 오존처리 연고를 제조한다. 또한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 제10-0776538호 오존화물과 과산화물을 함유하는 오일제제 제조장치 및 그 제법'과 같이 오일 내에 산소를 주입하고 여기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산소를 오일로 반응시키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는 종래기술에 기재된 바와 같이 과산화물가가 약 3meq/kg정도 밖에 되지 않는다.
과산화물가(Peroxide value, POV)란, 생성된 과산화물의 양을 나타내는 값으로, 이는 과산화물의 생성과 분해되는 양의 차이를 통해 값이 결정된다. 과산화물은 생성과 동시에 중합과 분해로 인해 감소하기도 하므로, 실제로 과산화물가로 측정되는 과산화물의 양은 생성된 과산화물의 총량이 아닌 생성량에서 분해, 중합 등에 의해 감소된 양을 제외한 양 즉, 과산화물의 잔존 총량을 의미한다. 이러한 과산화물가가 클수록 오일 내의 오존 용존량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종래에는 오일에 오존을 용존시켜 과산화물가를 증가시킬 때 오존이 어느 정도 주입되면 오일의 점성이 높아지게 되는데, 오일의 점성이 높아져 크림 형태가 되면 오존의 용존이 힘들기 때문에 용존을 종료하고 조성물의 제조를 중단하게 된다. 즉, 오일에 오존을 용존시키는 양에 비례하여 점성이 증가하기 때문에 과산화물가를 증가시키는 데 한계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오존화 오일에 해면동물 분쇄물을 혼합함으로써 오존화 오일의 반응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오존화 오일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오일에 오존을 버블화하여 주입 시 버블화 온도를 증가시켜 오일에 오존을 용존시키는 양에 비례하여 오일의 점성이 증가됨에 따른 문제를 해소하여 기존 오존화 오일과 대비하여 오일 내 오존의 과산화물가를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는 오존화 오일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해면동물 분쇄물을 포함하여 오일 내 오존용존량이 600~2,500meq/㎏ 과산화물가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화 오일 조성물을 제공한다.
특히, 상기 오존은 오일 내에 800 내지 1,500meq/㎏ 과산화물가로 포함된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오일은 불포화지방산을 포함하며, 상기 불포화지방산은 오일 100중량부에 대하여 50중량부 이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해면동물 분쇄물은 담수해면 동물을 50 내지 200㎛의 길이를 갖는 미세침 입자로 분쇄된 분쇄물인 것이 바람직하며, 오존화 오일 100중량부에 대하여30 내지 5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S1)오존생성기를 이용하여 오존을 생성하는 단계; (S2)오일에 상기 (S1)에서 생성된 오존을 5~20℃에서 버블화하여 오일 내 오존 용존량이 600~800meq/㎏ 과산화물가 될 때까지 1차 버블 토출하는 단계; (S3)상기 (S2)의 1차 버블 토출 후 버블화 온도를 30~50℃로 증가시켜 오일의 점성을 변화시킨 후, 버블화 온도를 5~20℃로 감소시켜 오일 내 오존 용존량이 1,700~2,500meq/㎏ 과산화물가가 될 때까지 2차 버블 토출하는 단계; 및 (S4)상기 (S3)의 2차 버블 토출 후 해면동물 분쇄물을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화 오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오존화 오일에 해면동물 분쇄물을 혼합함으로써 오존화 오일의 반응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오일에 오존을 버블화하여 주입 시 버블화 온도를 증가시켜 오일에 오존을 용존시키는 양에 비례하여 오일의 점성이 증가됨에 따른 문제를 해소하여 기존 오존화 오일과 대비하여 오일 내 오존의 과산화물가를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오존화 오일 중 담수해면의 입자크기를 비교한 현미경 사진이다. 도 1a~c는 시중 담수해면 제품이고, 도 1d는 본 발명에서 사용된 담수해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오존화 오일을 피부트러블이 있는 20대 후반 남성의 피부에 적용 전과 후의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오존화 오일을 피부트러블이 있는 30대 후반 남성의 피부에 적용 전과 후의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오존화 오일을 피부트러블이 있는 4세 후반 영아의 피부에 적용 전과 후의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오존화 오일을 피부트러블이 있는 20대 후반 남성의 피부에 적용 전과 후의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오존화 오일을 피부트러블이 있는 30대 후반 남성의 피부에 적용 전과 후의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오존화 오일을 피부트러블이 있는 4세 후반 영아의 피부에 적용 전과 후의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해면동물 분쇄물을 포함하여 오일 내 오존용존량이 600 내지 2,500meq/㎏ 과산화물가로 포함된 오존화 오일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오일은 불포화지방산에 있는 탄소원자(C) 사이에 이중결합 구조와 오존이 반응하여 오존화 오일을 생성하므로 불포화지방산을 포함하는 오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불포화지방산은 올레산(oleic acid), 파미톨레산(pamitoleic acid), 리놀레산(linoleic acid),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불포화지방산은 오일 총 100중량부에 대하여 50중량부 이상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90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다. 그 함량이 50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오일에 장시간 동안 오존을 용존시켜도 용존량, 즉 과산화물가를 증가시키는데 한계가 있으며, 보관할 때에도 용존량을 유지시키기 어려울 수 있다.
상기 오존(Ozone, O3)은 통상적으로 오존생성기를 이용하여 생성된 오존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오일 내 오존이 용존된 본 발명의 오존화 오일 조성물은 오일 내 오존용존량이 600 내지 2,500meq/㎏ 과산화물가로 포함된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800 내지 1,500meq/㎏ 과산화물가로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 오일 내 오존용존량이 600meq/㎏ 과산화물가 미만일 경우에는 오존화 오일 조성물을 통한 피부 재생작용 및 항염작용 효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할 수 있으며, 2,500meq/㎏ 과산화물가를 초과할 경우에는 사용자에 따라서 세포 독성이 유발되어 피부 과민반응이 일어날 수 있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오존화 오일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자세히 설명한다.
(S1) 오존 생성
먼저, 오존생성기를 이용하여 오존을 생성한다.
이때, 오존생성기만으로는 2,500meq/㎏ 과산화물가 나타내는 제품에 필요한 오존량을 제공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본 단계에서는 오존 생성에 앞서 추가적으로 액화산소 및 산소발생기를 부착하여 고농도 산소를 주입함으로서 오존 생성기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이렇게 고농도로 준비된 산소 기체를 이용하여 통상의 오존생성기에 주입하여 플라즈마, 고전압방전, 코로나 무선방전, uv 방식을 이용하여 오존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오존 생성 시 수분이 오존 안에 존재하게 되면 이후 오존화 오일 제조 시 오존과 함께 오일 내에 주입되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수분여과기를 이용하여 오존 내 수분을 완전히 제거하는 과정을 추가로 더 실시할 수 있다.
(S2) 1차 버블 토출
이어서, 상기 단계에서 생성된 오존을 버블화하여 오일에 주입한다.
일반적으로 친수성 용액에 용해된 오존의 경우 해리 시간이 짧기 때문에 친수성 용액에 오존을 용존시킬 경우 친수성 용액에 용해된 오존의 해리 시간이 짧기 때문에, 오존의 장기보관이 가능하도록 점성이 높은 오일에 오존을 버블화하여 용존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일은 전술한 바와 같이 불포화지방산을 포함하는 오일로, 상기 오일에 오존을 버블화(bubbling)하여 주입한다.
상기 오일은 올레산(oleic acid), 파미톨레산(pamitoleic acid), 리놀레산(linoleic acid),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 등의 불포화지방산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불포화지방산은 오일 총 100중량부에 대하여 50중량부 이상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90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다. 그 함량이 50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오일에 장시간 동안 오존을 용존시켜도 용존량, 즉 과산화물가를 증가시키는데 한계가 있으며, 보관할 때에도 오존의 해리(환원) 작용이 보다 쉽게 일어날 수 있다.
상기 오일 내에 용존되는 오존은 기체 상태로 오일에 용존되기 때문에 오일이 저장된 저장부의 하단면으로부터 오존 기체를 버블화하여 주입하는 것이 좋다.
상기 오존의 주입은 오일 내 오존이 완전히 포화될 때까지 수행한다. 즉, 오일 내에 오존을 지속적으로 버블화하여 주입함으로써 오일 내 과산화물가가 더 이상 증가하지 않고 최대치를 유지할 때까지 오존을 용존시킨다.
일반적으로 오존은 빛, 습도, 온도 등과 같은 외부 자극에 민감하기 때문에 수분을 제거하고 저온에서 버블화하며, 오존의 용존 반응에 의해 오일의 온도가 증가할 수 있기 때문에 온도 증가를 방지하기 위해서도 저온에서 버블화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상기 1차 버블 토출에 따른 오존 주입은 5~20℃의 저온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10~15℃에서 수행하는 것이 과산화물가의 증가 효율에 있어 가장 바람직하다. 이때, 오존이 버블화되는 온도가 전술한 온도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별도의 냉각장치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1차 용존 시 버블화 온도가 5℃ 미만일 경우에는 버블화 과정에서 오일이 반고체 상태로 빠르게 응고되어 오존의 과산화물가가 제대로 나오지 않을 수 있으며, 반고체 상태인 오일에 의해 버블화가 용이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20℃를 초과할 경우에는 오존이 용존되는 양에 비해 기체 상태로 배출되는(배오존) 양이 증가할 수 있다. 즉, 점성이 있는 오일을 쓰더라도 오일 자체가 액체이기 때문에 20℃를 초과할 경우 오존이 기체로 배출되는 양이 많아진다. 따라서, 오일 내 오존의 용존 상태는 오일의 응고 상태에 따른 과산화물가의 산출을 통해 수시로 확인하여, 오일의 응고 상태에 따라 오존의 버블화 온도를 5~20℃ 내에서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1차 버블 토출에 따른 오존 주입은 80~120시간 정도의 장시간 동안 수행하는데, 장시간 동안 오일을 버블화하여 주입하게 되면 유동성 있는 오일이 반고체 상태의 크림으로 변하게 된다. 오일이 점성이 높은 크림 형태로 변하게 되면 더 이상 오존의 강제적인 버블화 효과를 기대할 수 없게 된다. 즉 오일에 오존을 버블화하여도 과산화물가의 증가폭이 현저히 떨어져 효율성에 따른 경제성이 없게 된다.
따라서, 1차 버블 토출 단계에서는 오일 내 과산화물가는 보통 600~800meq/kg 정도가 되도록 오존을 용존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S3) 2차 버블 토출
본 단계에서는 버블화 온도를 증가시켜 오일의 점성을 낮추고, 오일 내 오존용존량이 목적하는 수치까지 용존되도록 2차 버블 토출시킨다.
앞선 (S2)의 1차 버블 토출 단계에서 장시간의 오존 주입에 따라 점성이 높은 크림 형태로 변화한 오일의 점성을 낮추기 위하여 오존의 버블화 온도를 일정시간 동안 증가시켜 오일 내에 오존이 추가로 용존되도록 한다.
상기 버블화 온도의 증가는 장치의 온도 증가 또는 별도의 가열장치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가열 된 상태에서 오존이 오일 내에 버블화 되도록 한다.
이때, 버블화 온도는 30~50℃가 바람직하다. 버블화 온도가 30℃ 미만일 경우에는 오일이 반고체 크림 타입에서 액상 타입으로 변화하지 않기 때문에 오존의 용존이 잘 이루어지지 않으며, 50℃를 초과할 경우 과산화물가 수치의 보존이 어려울 수 있다.
즉, 1차 버블 토출 후에는 오일이 액상 형태인 1차와 달리 오일이 반고체인 크림 형태이기 때문에 온도를 증가시키게 되면 크림보다 점도가 낮으면서 초기의 오일보다는 점도가 높은 액상 형태로 바뀌게 되며, 오존의 용존 효율은 더욱 좋아지게 된다. 따라서, 1차 버블 토출 후에는 반고체인 오일에 전술한 고온(30~50℃)에서 일정시간 오존을 버블화함으로써 최종 수득되는 오존화 오일의 과산화물가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고온에서 계속하여 오존을 버블화할 경우에는 기체로 배출되는 오존의 양이 많아지기 때문에, 오일의 점성이 변화된 후에는 작업 효율을 위해 오존의 버블화 온도를 낮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오일의 점성 변화 후 오존의 버블화 온도는 1차 버블 토출 시와 동일한 온도(5~20℃)로 낮추어 오일에 오존을 버블화하여 주입하는 작업을 계속 수행하여 과산화물가를 증가시킨다.
본 2차 버블 토출 단계를 거쳐 얻어진 오존화 오일은 오일 내에 존재하는 오존용존량이 1,700~2,500meq/㎏ 과산화물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존 내 오존용존량이 1,700meq/kg 과산화물가 미만일 경우에는 최종 제조된 오존화 오일에서 원하는 범위 내의 과산화물가가 나오지 않으며, 오존화 오일을 통한 피부 재생작용 및 항염작용 효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할 수 있으다. 또한 오존용존량이 2,500meq/㎏ 과산화물가를 초과할 경우 오일 내에 오존을 주입하기는 어려울 수 있으며, 사용자에 따라서 세포 독성이 유발되어 피부 과민반응이 일어날 수 있다.
이때, 오일 내 과산화물가를 1,700~2,500meq/㎏로 맞추기 위해 2차 버블 토출과 이후 공정인 해면동물 분쇄물의 첨가 단계는 반복하여 수행할 수도 있다.다.
상기와 같은 단계를 통하여 제조되는 본 발명의 오존화 오일은 2차 버블 토출 후 해면동물 분쇄물을 첨가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오존은 정상피부조직에 비해 비정상적인 조직에서 반응이 극대화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오존화 오일에 해면동물 분쇄물을 첨가하게 되면, 인위적으로 염증반응을 일으켜 세포를 활성화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오존의 반응을 극대화할 수 있어 피부재생 작용, 항염작용 등의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해면동물(Sponge)은 바늘 모양의 골격을 가지는 무척추 동물로, 해면의 깊이에 관계없이 발견되는 원시적인 해양 생물이다. 해면동물의 바늘 모양 골격은 주로 석회질, 규산, 탄산칼슘 등이 주성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바늘 모양 골격인 미세침 입자를 얻기 위해 해면동물을 분쇄하고, 분쇄된 해면동물 중 미세침 입자를 추출하여 획득한다. 획득한 미세침 입자 해면동물을 오일에 첨가하고 이를 혼합한다. 해면동물은 미세침 입자가 피부에 염증반응(Inflammatory)을 일으키는 역할을 하는데, 이를 통해 피부 자극을 주고 피부 자극으로 인해 세포 활성화를 가져오게 된다.
상기 해면동물은 통상의 석회해면(Calcarea)강, 육방해면(Hexactinellida)강, 보통해면(Demospongea)강, 동골해면(Homoscleromorpha)강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보통해면강에 속하는 담수해면류를 사용하여, 해면골격인 실리카(silica) 또는 칼사이트(calcite)로 만들어진 미세침(spicule)을 오존화 오일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해면동물은 50~200㎛의 길이를 갖는 미세침 입자로 분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50㎛ 미만으로 미세침 입자로 분쇄하기는 용이하지 않으며, 미세침 입자가 200㎛를 초과할 경우에는 미세침 입자가 포함된 오존화 오일을 피부에 적용 시 사용자가 불편을 느낄 수 있다.
상기 해면동물 분쇄물은 오존화 오일 총 100중량부에 대하여 30~50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함량이 30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최종 제조된 오존화 오일이 보관될 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서로 층 분리가 되어 조성물을 사용하는 데 있어 일관성이 없을 수 있으며, 5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오일과 해면동물 분쇄물이 서로 믹싱이 되지 않아 균일한 오존화 오일의 생산이 어려울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오일에 오존을 버블화하여 주입 시 버블화 온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오일에 용존되는 오일양에 비례하여 오일의 점성이 증가됨에 따른 문제를 해소하여 기존 오존화 오일과 대비하여 오일 내 오존의 과산화물가를 최소 300~400meq/kg 정도 증가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오존화 오일은 해면동물 분쇄물을 혼합하여 오존화 오일의 반응을 극대화시킴으로써 피부에 대한 반응을 증폭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에 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나. 이들 실시예는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오존화 오일 제조
공냉식으로 코로나 무선방전 방식의 오존발생기를 이용하여 오존을 생성시켰다. 이때, 오존토출가스는 분당 2,000~3,000rpm으로 시간당 오존발생량이 5~10g/h이었다.
이어서, 상기 생성된 오존을 10~15℃에서 80~120시간 동안 버블화하여 올레익산 65%를 포함하는 엑스트라 버진 올리브 오일이 저장된 저장부의 하단면으로부터 주입하여 1차 버블 토출시켰다. 이때, 오일의 응고상태에 따른 과산화물를 산출하여 오일의 점성 변화를 수시로 확인하였다.
이후 올리브 오일의 점성이 증가하여 하얀색 크림타입으로 변하게 되면, 버블화 온도를 상승시켜 크림타입의 오존화 오일이 액상 타입으로 변화되도록 하였다.
그 다음, 버블화 온도를 다시 10~15℃ 정도로 낮추어 오존을 버블화하여 주입하여 원하는 과산화물가의 수치에 맞도록 장시간 버블 토출시켰다. 이 과정에서 수시로 과산화물가를 체크하여 오일 내 1,700meq/kg 과산화물가의 오존을 함유한 오존화 오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오존화 오일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오존화 오일에 100~150㎛의 미세침 입자를 가진 담수해면 분쇄물을 6:4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교반기를 통하여 교반하면서 균일하게 혼합시켜 담수해면 분쇄물을 함유한 오존화 오일을 제조하였다.
상기 담수해면 분쇄물은, 담수해면의 불순물을 제거하고 1차 분쇄한 후 50메쉬(mesh)의 필터링하여 1차 분급작업하였다. 그 다음, 2차 분쇄한 후 100메쉬의 필터로 분급작업을 하여 담수해면 미세침 입자를 제조하였다.
도 1에는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오존화 오일 중 담수해면의 현미경 사진으로, 상기 실시예 2에서 사용된 본 발명의 담수해면(도 1d)은 시중에 알려진 담수해면 제품인 도 1a~c와 대비하여 미세침 입자가 매우 작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본 발명의 오존화 오일의 제조에는 미세침 입자가 50 내지 200㎛인 담수해면 분쇄물을 포함함으로써 피부에 적용 시 이물감 없이 세포 활성화를 통해 오존의 반응을 더욱 극대화하여 피부재생, 항염 등에 더욱 현저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것임을 예측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관능시험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오존화 오일을 일정량 칭량하고, 이를 균질화하기 위하여 20~25℃에서 200~300rpm으로 60분 정도 교반하였다. 균질화된 오존화 오일을 충전 탱크에 투입시키고, 보관할 용기에 충전 작업을 거친 후 고주파 실링작업을 통해 용기를 밀봉시킨 다음 관능시험에 사용하였다.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오존화 오일을 피부트러블이 있는 20대 후반 남성, 30대 초반 남성, 4세 영아에게 각각 적용하고, 그 결과를 도 2 내지 4에 나타내었다.
실험결과, 오존화 오일을 사용하기 전과 대비하여 오존화 오일을 사용한 후의 피부상태는 적용 대상에 무관하게 육안상으로도 확연히 호전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같은 결과를 통하여 본 발명의 오존화 오일이 항염 작용을 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설명되었으나,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첨부된 청구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한다.
Claims (9)
- 해면동물 분쇄물을 포함하여 올리브 오일 내 오존용존량이 600~2,500meq/㎏ 과산화물가인 오존화 올리브 오일을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존용존량은 800 내지 1,500meq/㎏ 과산화물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올리브 오일은 올레산(oleic acid), 파미톨레산(pamitoleic acid), 리놀레산(linoleic acid) 및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불포화지방산을 포함하며, 상기 불포화지방산은 오일 100중량부에 대하여 50중량부 이상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면동물 분쇄물은 석회해면(Calcarea)강, 육방해면(Hexactinellida)강, 보통해면(Demospongea)강 및 동골해면(Homoscleromorpha)강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해면동물 분쇄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면동물 분쇄물은 50 내지 200㎛의 길이를 갖는 미세침 입자로 분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면동물 분쇄물은 오존화 올리브 오일 100중량부에 대하여 30 내지 50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 (S1)오존생성기를 이용하여 오존을 생성하는 단계;
(S2)올리브 오일에 상기 (S1)에서 생성된 오존을 5~20℃에서 버블화하여 올리브 오일 내 오존 용존량이 600~800meq/㎏ 과산화물가 될 때까지 1차 버블 토출하는 단계;
(S3)상기 (S2)의 1차 버블 토출 후 버블화 온도를 30~50℃로 증가시켜 올리브 오일의 점성을 변화시킨 후, 버블화 온도를 5~20℃로 감소시켜 올리브 오일 내 오존 용존량이 1,700~2,500meq/㎏ 과산화물가가 될 때까지 2차 버블 토출하는 단계; 및
(S4)상기 (S3)의 2차 버블 토출 후 해면동물 분쇄물을 첨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화 올리브 오일의 제조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해면동물 분쇄물은 석회해면(Calcarea)강, 육방해면(Hexactinellida)강, 보통해면(Demospongea)강 및 동골해면(Homoscleromorpha)강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해면동물 분쇄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화 올리브 오일의 제조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해면동물 분쇄물은 50 내지 200㎛의 길이를 갖는 미세침 입자로 분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화 올리브 오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50075864 | 2015-05-29 | ||
KR1020150075864 | 2015-05-29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57088B1 true KR101657088B1 (ko) | 2016-09-19 |
Family
ID=57103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57936A KR101657088B1 (ko) | 2015-05-29 | 2015-11-11 | 오존화 오일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57088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63010A (ko) | 2022-11-02 | 2024-05-09 | 주식회사 우신라보타치 | 오존화 오일을 포함하는 미백용 기능성 패치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262120A (ja) * | 2006-03-27 | 2007-10-11 | Otech Labo:Kk | オゾン化植物油の製造方法 |
KR100776538B1 (ko) | 2006-05-18 | 2007-11-16 | 장일 | 오존화물과 과산화물을 함유하는 오일제제 제조장치 및 그제법 |
KR100937389B1 (ko) * | 2009-01-23 | 2010-01-19 | (주)스킨메디언스 | 해면 골편을 이용한 피부 관리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
KR101404940B1 (ko) | 2013-11-29 | 2014-06-10 |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 오존처리 연고 제조장치 및 연고제조방법 |
-
2015
- 2015-11-11 KR KR1020150157936A patent/KR10165708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262120A (ja) * | 2006-03-27 | 2007-10-11 | Otech Labo:Kk | オゾン化植物油の製造方法 |
KR100776538B1 (ko) | 2006-05-18 | 2007-11-16 | 장일 | 오존화물과 과산화물을 함유하는 오일제제 제조장치 및 그제법 |
KR100937389B1 (ko) * | 2009-01-23 | 2010-01-19 | (주)스킨메디언스 | 해면 골편을 이용한 피부 관리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
KR101404940B1 (ko) | 2013-11-29 | 2014-06-10 |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 오존처리 연고 제조장치 및 연고제조방법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63010A (ko) | 2022-11-02 | 2024-05-09 | 주식회사 우신라보타치 | 오존화 오일을 포함하는 미백용 기능성 패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48093B1 (ko) | 수소수와 오존이 함유된 피부 보습용 미스트 조성물 | |
US20070287917A1 (en) | Method for Collapsing Microbubbles | |
CN114146009B (zh) | 一种dha抗衰抗炎纳米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 |
KR101657088B1 (ko) | 오존화 오일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
JP5596276B2 (ja) | 超微細気泡水 | |
CA3086543A1 (en) | Stable redox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 |
KR101854840B1 (ko) | 포조란이 함유된 마스크 팩 | |
JP2009055884A (ja) | ブルーベリー飲料物の製造方法 | |
JPWO2008087774A1 (ja) | 抗酸化剤 | |
JP2004002517A (ja) | 生姜成分を含む石鹸の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 |
JP4741878B2 (ja) | コラーゲン加工方法 | |
JP2007244316A (ja) | プロポリス飲料の製造方法 | |
JP2004181349A (ja) | 汚泥処理装置及び汚泥処理方法 | |
EP2774655A1 (en) | Composition comprising chicken eggshell particles, preparation and use | |
CN112352797A (zh) | 一种复合消毒剂生产方法 | |
KR101136839B1 (ko) | 알긴산과 화산석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워시오프타입의 유화형 미용팩용 화장료 조성물 | |
JP2004155684A (ja) | 化粧料 | |
JP2005305406A (ja) | 薬用炭、薬用炭を配合した化粧料又は口腔洗浄剤、並びに薬用炭の製造方法 | |
JP3938381B2 (ja) | 化粧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JPH1135472A (ja) | 活性水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JP6336729B2 (ja) | 溶岩石を含有した化粧基材とこれを用いた化粧品 | |
JP2009055883A (ja) | 乾燥粉末食品を原料とする飲料物の製造方法 | |
CN101347392B (zh) | 凹凸棒啤酒花去头屑洗发香波 | |
JP3611420B2 (ja) | 化粧品用精製水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KR20140115074A (ko) | 탄산수가 포접된 폴리머 매트릭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클렌저 화장료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18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