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3252B1 -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03252B1 KR102303252B1 KR1020200000223A KR20200000223A KR102303252B1 KR 102303252 B1 KR102303252 B1 KR 102303252B1 KR 1020200000223 A KR1020200000223 A KR 1020200000223A KR 20200000223 A KR20200000223 A KR 20200000223A KR 102303252 B1 KR102303252 B1 KR 10230325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air
- extract
- cosmetic composition
- growth
- spicu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Zo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로서,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스피큘(Spicule)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함에 따라, 모발의 굵기와 모발의 인증강도를 증가시켜 모발을 건강하게 할 뿐 아니라, 실제 탈모를 방지하면서도 발모를 촉진함으로써,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모발은 모낭의 성장과정에 따라 여러 성장 인자들에 의해 복잡하게 조절되는 소기관이다. 모낭의 분화과정 및 이와 관계된 모주기는 모발이 성장하는 단계인 성장기, 모발의 소멸이 연결되는 퇴화기, 성장 정지기인 휴지기 및 신규모발이 발생하여 성장하는 발생기로 나눌 수 있다.
성장기는 모발이 성장하는 단계로, 모발이 모구로부터 모낭으로 나가려고 모발을 생성하는 단계와 딱딱한 케라틴이 모낭 안에서 만들어지는 단계로 구분되며, 퇴화기까지 자기 성장을 계속한다. 성장기의 모발의 수명은 3 ~ 6년 이며, 전체 모발의 80 ~ 90 %를 차지한다.
퇴화기는 성장기가 끝나고, 모발의 형태를 유지하면서 대사과정이 느려지는 시기로서, 모발은 천천히 성장하며 케라틴은 생성되지 않는다. 퇴화기의 수명은 1 ~ 1.5 개월 정도이며, 전체 모발의 약 1 % 정도를 차지한다.
휴지기는 모유두가 위축되고 모낭은 차츰 수축되며, 모근은 위쪽으로 밀려 올라가 빠진다. 모발이 없어지는 시기로 다음 성장기 단계가 시작될 때까지의 수명은 3 ~ 4 개월, 전체 모발의 4 ~ 14 %에 해당되며, 이 시기의 모발은 강한 빗질이나 자극만으로도 쉽게 빠진다.
발생기는 모구부가 모유두와 결합하여 새로운 모발을 성장시키는 시기이다. 다음으로 새로운 모발은 휴지기에 들어간 모발을 위로 밀어 올려서 자연 탈모시킨다.
상기된 바와 같은 모주기는 매번 동일하게 반복되는 것은 아니며, 병, 유전, 체질, 연령 등 모든 상황에 따라 다르게 반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지기에 들어간 채로 발생기를 맞이할 수 있고, 성장기를 맞이하였으나 경모에 이르지 못할 수 있으며, 유연한 경모인 상태로 퇴화기가 되는 등, 여러 요인에 의해 모주기는 다르게 반복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탈모가 발생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환경 오염, 스트레스, 각종 화학물질 등에 의한 탈모나 모발의 손상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탈모나 모발의 손상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강한 햇빛, 열, 산성비, 드라이기, 고대기, 롤기, 퍼머, 염색, 탈색 등 다양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을 위한 모발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일례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93952호에서는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벤토나이트 0.1 ~ 10 중량부와 비오틴 0.1 ~ 5.0 중량부 및 피리미딘옥사이드 유도체 0.1 ~ 5.0 중량부를 혼합하여 리포좀화한, 두피 탈모 방지 및 발모를 촉진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에 개시된 조성물을 포함하는 기존의 탈모 방지용 조성물은 모발의 상태를 건강하게 유지하거나 두피를 건강하게 하는 정도의 효과만을 구현하고 있을 뿐,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할 정도의 탈모 방지 효과 및 발효 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려웠다. 이에 따라, 모발의 상태를 건강하게 유지하면서도 실제 탈모 방지 효과와 발모 효과를 충분히 구현할 수 있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스피큘(Spicule)은 여드름, 블랙헤드 및 과도한 각질 분비를 개선 또는 예방하는 효과를 가지며, 모공을 축소시키는 효과가 있어, 피부의 세정을 위한 성분으로 주로 활용되고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피부의 세정 용도로만 활용되고 있는 스피큘을 이용하되, 스피큘과 특정 조합의 유기용매를 포함하여, 스피큘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면서도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피큘(Spicule)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으로써, 모발을 건강하게 하며, 탈모를 방지하면서도 발모를 촉진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피큘; 유기용매; 알로에베라 추출물, 모란 추출물, 당귀 추출물, 치자 추출물, 율무 추출물, 작약 추출물, 복숭아씨 추출물, 조선현호색 추출물, 유향나무 추출물, 몰약 추출물, 큰매자기 추출물, 효모 추출물, 사발팜 열매 추출물, 바나나 추출물 및 병풀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둘 이상을 포함하는 복합 추출물; 및 정제수를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모발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스피큘 0.1 ~ 5 중량%, 상기 유기용매 3 ~ 15 중량%, 상기 복합 추출물 2 ~ 7 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스피큘 및 상기 유기용매를 1 : 5 ~ 10 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피큘은 입자 크기가 80 ~ 130 메쉬(mesh)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는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및 1,2-헥산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쿠퍼트리 펩타이드(Copper Tripeptid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유화제, 유화안정제, 점증제, pH 조절제, 보습제, 컨디셔닝제, 항균제, 변색 방지제 및 항산화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헤어샴푸, 헤어토닉, 헤어린스, 헤어로션, 모발 영양화장수, 헤어트리트먼트, 헤어에센스, 헤어팩, 헤어리퀴드, 비에어로졸 무스, 비에어로졸 스프레이, 에어로졸 무스 및 에어로졸 스프레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의 제형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스피큘(Spicule)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함에 따라, 모발의 굵기와 모발의 인장강도를 증가시켜 모발을 건강하게 할 뿐 아니라, 실제 탈모를 방지하면서도 발모를 촉진함으로써,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2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로 실험예 2를 평가한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예 10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로 실험예 2를 평가한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예 10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로 실험예 2를 평가한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 또는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 있어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 있어서, "A 및/또는 B"는, A 또는 B, 또는 A 및 B를 의미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스피큘; 유기용매; 알로에베라 추출물, 모란 추출물, 당귀 추출물, 치자 추출물, 율무 추출물, 작약 추출물, 복숭아씨 추출물, 조선현호색 추출물, 유향나무 추출물, 몰약 추출물, 큰매자기 추출물, 효모 추출물, 사발팜 열매 추출물, 바나나 추출물 및 병풀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둘 이상을 포함하는 복합 추출물; 및 잔량의 정제수를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모발을 건강하게 하며, 탈모를 방지하면서도 발모를 촉진함으로써,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스피큘(Spicule)은 해면동물의 골편으로, 해면동물을 건조한 다음, 분말형태로 분쇄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스피큘은 피부 진피층에 침투하여 자극을 주며, 혈액 순환을 촉진하고, 모세관의 막힘 현상을 개선 또는 방지함으로써, 세포 재생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스피큘은 여드름, 블랙헤드 및 과도한 각질 분비를 억제하면서도 모공을 축소시키는 역할을 하여, 피부를 세정하는 용도로서 주로 사용되었다.
이에, 본 출원인은 현재까지 세정 용도로만 활용되었던, 스피큘을 특정 조합의 유기용매와 함께 포함함에 따라, 모발을 건강하게 하면서도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 효과를 가지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였다.
본 실시예의 스피큘은 입자 크기가 80 ~ 130 메쉬, 구체적으로는 95 ~ 120 메쉬, 더 구체적으로는 100 ~ 110 메쉬일 수 있다.
만약, 본 실시예의 스피큘의 입자 크기가 80 메쉬 미만인 경우에는, 스피큘의 입자 크기가 80 ~ 130 메쉬인 경우 보다, 모발 화장료 조성물 내에 스피큘이 안정적으로 용해 또는 분산되지 않아, 모발 건강, 탈모 방지, 발모 촉진 효과가 충분히 구현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의 스피큘의 입자 크기가 130 메쉬 초과인 경우에는, 스피큘의 입자 크기가 80 ~ 130 메쉬인 경우 보다, 모발 건강, 탈모 방지, 발모 촉진 효과가 충분히 구현되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모발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스피큘을 0.1 ~ 5 중량%, 구체적으로는 0.1 ~ 3 중량%, 더 구체적으로는 0.5 ~ 1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만약, 본 실시예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스피큘을 0.1 중량%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에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이 스피큘을 0.1 ~ 5 중량%로 포함하는 경우 보다, 모발 건강,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스피큘을 5 중량% 초과로 포함할 경우에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이 스피큘을 0.1 ~ 5 중량%로 포함하는 경우 보다, 모발 화장료 조성물 내에 스피큘이 안정적으로 용해 또는 분산되지 않아, 오히려 모발 건강,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유기용매는 스피큘을 모발 화장료 조성물 내에 안정적으로 용해 또는 분산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피큘을 특정 조합의 유기용매와 함께 포함하여, 본 실시예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 내에 스피큘을 안정적으로 용해 또는 분산시킴으로써, 스피큘에 의한 모발 건강,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 효과를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유기용매는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및 1,2-헥산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유기용매는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및 1,2-헥산디올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유기용매가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및 1,2-헥산디올을 모두 포함할 때, 상기 세 성분을 모두 포함하지 않는 경우 보다, 모발 건강,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 효과가 더 향상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유기용매는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및 1,2-헥산디올을 1 : 0.1 ~ 2 : 0.25 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유기용매가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및 1,2-헥산디올을 1 : 0.1 ~ 2 : 0.25 의 중량비로 포함할 때, 상기 세 성분을 상기 중량비로 포함하지 않는 경우 보다, 모발 건강,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 효과가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모발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유기용매를 3 ~ 15 중량%, 구체적으로는 3 ~ 13 중량%, 더 구체적으로는 3.5 ~ 1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만약, 본 실시예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유기용매를 3 중량%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에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이 유기용매를 3 ~ 15 중량%로 포함하는 경우 보다, 모발 건강,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 효과가 충분히 향상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유기용매를 15 중량% 초과로 포함할 경우에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이 유기용매를 3 ~ 15 중량%로 포함하는 경우 보다, 모발 건강,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 효과가 충분히 향상되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총 중량 기준으로 스피큘 0.1 ~ 5 중량% 및 유기용매 3 ~ 15 중량%를 포함하되, 스피큘 및 유기용매를 1 : 5 ~ 10 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스피큘 0.1 ~ 5 중량% 및 유기용매 3 ~ 15 중량%를 포함하되, 스피큘 및 유기용매를 1 : 5 ~ 10 의 중량비로 포함할 때, 모발 건강,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 효과는 더욱 우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스피큘 0.1 ~ 5 중량% 및 유기용매 3 ~ 15 중량%를 포함하되, 스피큘 및 유기용매를 1 : 7 ~ 8 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스피큘 0.1 ~ 5 중량% 및 유기용매 3 ~ 15 중량%를 포함하되, 스피큘 및 유기용매를 1 : 7 ~ 8 의 중량비로 포함할 때, 현저히 우수한 모발 건강,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복합 추출물은 알로에베라 추출물, 모란 추출물, 당귀 추출물, 치자 추출물, 율무 추출물, 작약 추출물, 복숭아씨 추출물, 조선현호색 추출물, 유향나무 추출물, 몰약 추출물, 큰매자기 추출물, 효모 추출물, 사발팜 열매 추출물, 바나나 추출물 및 병풀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둘 이상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알로에베라 추출물"은 알로에베라(Aloe Vera L.)의 추출 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추출액, 상기 추출액의 희석액이나 농축액, 상기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상기 추출액의 조정제물이나 정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추출액 자체 및 추출액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추출물은 바람직하게 추출 후 건조 분말 형태로 제조되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알로에베라 추출물은 알로에베라의 잎을 이용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모란 추출물"은 모란(Paeonia suffruticosa)의 추출 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추출액, 상기 추출액의 희석액이나 농축액, 상기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상기 추출액의 조정제물이나 정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추출액 자체 및 추출액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추출물은 바람직하게 추출 후 건조 분말 형태로 제조되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모란 추출물은 모란의 뿌리를 이용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당귀 추출물"은 당귀의 추출 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추출액, 상기 추출액의 희석액이나 농축액, 상기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상기 추출액의 조정제물이나 정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추출액 자체 및 추출액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추출물은 바람직하게 추출 후 건조 분말 형태로 제조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당귀는 산형과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산형과 중국당귀(Angelica sinensis (Oliv.) Diels), 산형과 왜당귀(Angelica acutiloba (Siebold. & Zucc.) Kitag.) 및 홋카이당귀(Angelica acutiloba (Siebold. & Zucc.) Kitag. var. sugiyamae Hikino)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치자 추출물"은 치자의 추출 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추출액, 상기 추출액의 희석액이나 농축액, 상기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상기 추출액의 조정제물이나 정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추출액 자체 및 추출액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추출물은 바람직하게 추출 후 건조 분말 형태로 제조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치자는 치자나무(Gardenia jasminoides Ellis)의 익은 열매를 말린 것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율무 추출물"은 율무(Coix lachrymajobi var. mayuen)의 추출 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추출액, 상기 추출액의 희석액이나 농축액, 상기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상기 추출액의 조정제물이나 정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추출액 자체 및 추출액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추출물은 바람직하게 추출 후 건조 분말 형태로 제조되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율무 추출물은 율무의 뿌리를 이용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작약 추출물"은 작약(Paeonia lactiflora)의 추출 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추출액, 상기 추출액의 희석액이나 농축액, 상기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상기 추출액의 조정제물이나 정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추출액 자체 및 추출액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추출물은 바람직하게 추출 후 건조 분말 형태로 제조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복숭아씨 추출물"은 복숭아씨의 추출 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추출액, 상기 추출액의 희석액이나 농축액, 상기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상기 추출액의 조정제물이나 정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추출액 자체 및 추출액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추출물은 바람직하게 추출 후 건조 분말 형태로 제조되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복숭아 추출물은 복숭아(Prunus persica)의 씨를 이용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조선현호색 추출물"은 조선현호색(Corydalis turtschaninovii)의 추출 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추출액, 상기 추출액의 희석액이나 농축액, 상기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상기 추출액의 조정제물이나 정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추출액 자체 및 추출액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추출물은 바람직하게 추출 후 건조 분말 형태로 제조되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조선현호색 추출물은 조선현호색의 뿌리를 이용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유향나무 추출물"은 유향나무(Boswellia carteii)의 추출 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추출액, 상기 추출액의 희석액이나 농축액, 상기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상기 추출액의 조정제물이나 정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추출액 자체 및 추출액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추출물은 바람직하게 추출 후 건조 분말 형태로 제조되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유향나무 추출물은 유향나무의 수액을 건조시켜 만든 약재인 유향을 이용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몰약 추출물"은 몰약의 추출 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추출액, 상기 추출액의 희석액이나 농축액, 상기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상기 추출액의 조정제물이나 정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추출액 자체 및 추출액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추출물은 바람직하게 추출 후 건조 분말 형태로 제조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몰약은 감람나무과의 몰약수 또는 합지수에서 얻은 고무수지의 한약재를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큰매자기 추출물"은 큰매자기(Bolboschoenus fluviatilis (Torr.) Sojαk)의 추출 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추출액, 상기 추출액의 희석액이나 농축액, 상기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상기 추출액의 조정제물이나 정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추출액 자체 및 추출액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추출물은 바람직하게 추출 후 건조 분말 형태로 제조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큰매자기 추출물은 큰매자기의 뿌리를 이용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효모 추출물(Yeast extract)"은 효모세포의 성분인 아미노산(amino acids), 펩타이드(peptides), 카보닐화합물(Carbohydrates) 및 염류인 수용성성분들로 이루어지며, 효모내에 존재하는 효소 또는 효소류의 첨가에 의해 폴리펩타이드 결합이 가수분해되어 만들어진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공지의 효모 추출물을 의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사발팜 열매 추출물"은 사발팜 열매(Serenoa Serrulata Fruit)의 추출 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추출액, 상기 추출액의 희석액이나 농축액, 상기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상기 추출액의 조정제물이나 정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추출액 자체 및 추출액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추출물은 바람직하게 추출 후 건조 분말 형태로 제조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바나나 추출물"은 바나나(Banana)의 추출 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추출액, 상기 추출액의 희석액이나 농축액, 상기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상기 추출액의 조정제물이나 정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추출액 자체 및 추출액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추출물은 바람직하게 추출 후 건조 분말 형태로 제조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병풀 추출물"은 병풀(Centella asiatica)의 추출 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추출액, 상기 추출액의 희석액이나 농축액, 상기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상기 추출액의 조정제물이나 정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추출액 자체 및 추출액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추출물은 바람직하게 추출 후 건조 분말 형태로 제조되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복합 추출물은 알로에베라 추출물, 모란 추출물, 당귀 추출물, 치자 추출물, 율무 추출물, 작약 추출물, 복숭아씨 추출물, 조선현호색 추출물, 유향나무 추출물, 몰약 추출물, 큰매자기 추출물, 효모 추출물, 사발팜 열매 추출물, 바나나 추출물 및 병풀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복합 추출물이 상기 알로에베라 추출물, 모란 추출물, 당귀 추출물, 치자 추출물, 율무 추출물, 작약 추출물, 복숭아씨 추출물, 조선현호색 추출물, 유향나무 추출물, 몰약 추출물, 큰매자기 추출물, 효모 추출물, 사발팜 열매 추출물, 바나나 추출물 및 병풀 추출물을 모두 포함할 때, 모발 건강,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 효과는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복합 추출물은 알로에베라 추출물, 모란 추출물, 당귀 추출물, 치자 추출물, 율무 추출물, 작약 추출물, 복숭아씨 추출물, 조선현호색 추출물, 유향나무 추출물, 몰약 추출물, 큰매자기 추출물, 효모 추출물, 사발팜 열매 추출물, 바나나 추출물 및 병풀 추출물을 7 ~ 8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복합 추출물이 알로에베라 추출물, 모란 추출물, 당귀 추출물, 치자 추출물, 율무 추출물, 작약 추출물, 복숭아씨 추출물, 조선현호색 추출물, 유향나무 추출물, 몰약 추출물, 큰매자기 추출물, 효모 추출물, 사발팜 열매 추출물, 바나나 추출물 및 병풀 추출물을 7 ~ 8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의 중량비로 포함할 때, 현저히 우수한 모발 건강,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모발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복합 추출물을 2 ~ 7 중량%, 구체적으로는 3 ~ 6 중량%, 더 구체적으로는 3.5 ~ 5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만약, 본 실시예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복합 추출물을 2 중량%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에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이 복합 추출물을 2 ~ 7 중량%로 포함하는 경우 보다, 모발 건강,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 효과가 충분히 향상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복합 추출물을 7 중량% 초과로 포함할 경우에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이 복합 추출물을 2 ~ 7 중량%로 포함하는 경우 보다, 모발 건강,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 효과가 충분히 향상되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쿠퍼트리 펩타이드(Copper Tripeptid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쿠퍼트리 펩타이드를 포함함으로써, 모발 건강,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 효과가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쿠퍼트리 펩타이드는 구리이온이 세가지 펩타이드에 결합한 쿠퍼펩타이드로, 사람의 혈액이나 침 등에서 발견되는 인체 유래 성분이며, 현재까지 상처 치유 활성화, 면역 세포 촉진, 항산화, 항염증, 피부 섬유아세포의 콜라겐과 글리코사미노글리칸 합성 촉진, 혈관 성장 촉진, 모발 성장 촉진 효과에 대한 효능이 알려져 있다.
본 실시예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모발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쿠퍼트리 펩타이드를 0.1 ~ 1 중량%, 구체적으로는 0.1 ~ 0.7 중량%, 더 구체적으로는 0.2 ~ 0.5 중량%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만약, 본 실시예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쿠퍼트리 펩타이드를 0.1 중량%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에는, 쿠퍼트리 펩타이드를 0.1 ~ 1 중량%로 포함하는 경우 보다, 쿠퍼트리 펩타이드를 포함함에 따르는 모발 건강,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 효과가 미미한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쿠퍼트리 펩타이드를 1 중량% 초과로 포함할 경우에는, 쿠퍼트리 펩타이드를 0.1 ~ 1 중량%로 포함하는 경우 보다, 모발 건강,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쿠퍼트리 펩타이드를 포함하되, 스피큘 및 쿠퍼트리 펩타이드를 1 : 0.3 ~ 0.5 의 중량비로 포함함으로써, 현저히 우수한 모발 건강,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의 스피큘, 유기용매, 복합추출물 및 쿠퍼트리 펩타이드 이외에, 시스틴, 히스티딘, 트립토판, 프롤린, 케라틴, 엘라스틴, 라놀린, 히알루론산 및 판테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유효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유화제, 유화안정제, 점증제, pH 조절제, 보습제, 컨디셔닝제, 항균제, 변색 방지제 및 항산화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화제로는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 가능한 공지의 유화제가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화제는 폴리글리세릴-10 라우레이트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유화안정제는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 가능한 공지의 유화안정제가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화안정제는 카보머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점증제는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 가능한 공지의 점증제 또는 증점게가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점증제는 카보머, 하이드록시에칠셀룰로오스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pH 조절제는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 가능한 공지의 pH 조절제가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pH 조절제는 알지닌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보습제는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 가능한 공지의 보습제가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보습제는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베타인,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컨디셔닝제는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 가능한 공지의 컨디셔닝제가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컨디셔닝제는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카프릴릴글라이콜, 레불린산, 소듐레불리네이트,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항균제는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 가능한 공지의 항균제가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항균제는 레불린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변색 방지제는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 가능한 공지의 변색 방지제가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변색 방지제는 디소듐이디티에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항산화제는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 가능한 공지의 항산화제가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항산화제는 비타민 C, 당귀 추출물, 율무 추출물, 작약 추출물, 효모 추출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헤어샴푸, 헤어토닉, 헤어린스, 헤어로션, 모발 영양화장수, 헤어트리트먼트, 헤어에센스, 헤어팩, 헤어리퀴드, 비에어로졸 무스, 비에어로졸 스프레이, 에어로졸 무스 및 에어로졸 스프레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의 제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 실시예 ]
실시예 1 내지 4
표 1[단위 : 중량%]에 따라, 스피큘, 유기용매, 복합추출물 및 정제수를 포함하는 샴푸 제형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스피큘은 100 ~ 110 메쉬의 입자 크기를 가지는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유기용매로는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및 1,2-헥산디올을 1 : 0.5 : 0.25의 중량비로 혼합한 것을 사용하였다.
또한, 표 1의 실시예 1 내지 4에서 스피큘 및 유기용매의 총량은 4 중량%이며, 실시예 1 내지 4에서 스피큘 및 유기용매의 혼합 중량비를 정리하여 표 2[단위 : 중량비]에 나타내었다. 이때, 표 2에서 유기용매의 중량비는 소수점 이하 두 번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소수점 이하 첫 번째 자리까지만 표기하였다.
실시예1 | 실시예2 | 실시예3 | 실시예4 | ||
스피큘 | 0.3 | 0.5 | 0.6 | 1.0 | |
유기용매 | 3.7 | 3.5 | 3.4 | 3.0 | |
복합 추출물 | 알로에베라 추출물 | 1.5 | 1.5 | 1.5 | 1.5 |
모란 추출물 | 0.2 | 0.2 | 0.2 | 0.2 | |
당귀 추출물 | 0.2 | 0.2 | 0.2 | 0.2 | |
치자 추출물 | 0.2 | 0.2 | 0.2 | 0.2 | |
율무 추출물 | 0.2 | 0.2 | 0.2 | 0.2 | |
작약 추출물 | 0.2 | 0.2 | 0.2 | 0.2 | |
복숭아씨 추출물 | 0.2 | 0.2 | 0.2 | 0.2 | |
조선현호색 추출물 | 0.2 | 0.2 | 0.2 | 0.2 | |
유향나무 추출물 | 0.2 | 0.2 | 0.2 | 0.2 | |
몰약 추출물 | 0.2 | 0.2 | 0.2 | 0.2 | |
큰매자기 추출물 | 0.2 | 0.2 | 0.2 | 0.2 | |
효모 추출물 | 0.2 | 0.2 | 0.2 | 0.2 | |
사발팜 열매 추출물 | 0.2 | 0.2 | 0.2 | 0.2 | |
바나나 추출물 | 0.2 | 0.2 | 0.2 | 0.2 | |
병풀 추출물 | 0.2 | 0.2 | 0.2 | 0.2 | |
폴리글리세릴-10 라우레이트 | 0.5 | 0.5 | 0.5 | 0.5 | |
소듐히알루로네이트 | 0.5 | 0.5 | 0.5 | 0.5 | |
카보머 | 0.5 | 0.5 | 0.5 | 0.5 | |
알지닌 | 0.5 | 0.5 | 0.5 | 0.5 | |
베타인 | 0.5 | 0.5 | 0.5 | 0.5 | |
카프릴릴글라이콜 | 0.5 | 0.5 | 0.5 | 0.5 | |
레불린산 | 0.5 | 0.5 | 0.5 | 0.5 | |
소듐레불리네이트 | 0.5 | 0.5 | 0.5 | 0.5 | |
하이드록시에칠셀룰로오스 | 0.5 | 0.5 | 0.5 | 0.5 | |
알란토인 | 0.5 | 0.5 | 0.5 | 0.5 | |
디소듐이디티에이 | 0.3 | 0.3 | 0.3 | 0.3 | |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 0.3 | 0.3 | 0.3 | 0.3 | |
향료 | 0.05 | 0.05 | 0.05 | 0.05 | |
정제수 | to.100 |
실시예1 | 실시예2 | 실시예3 | 실시예4 | |
스피큘 | 1 | 1 | 1 | 1 |
유기용매 | 12.3 | 7 | 5.7 | 1.6 |
상기 표 1에서 알로에베라(잎) 추출물은 알로에베라를 세절하여 준비한 후, 상기 세절된 알로에베라에 상기 세절된 알로에베라 무게의 10 배의 증류수를 가한 뒤, 2 ~ 6 시간 끓인 다음, 추출하는 열수 추출을 3회 반복하여 수득물을 얻었다. 상기 수득물을 여과하고 감압 농축기로 농축하여 동결건조함으로써, 분말 상태의 알로에베라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모란(뿌리) 추출물, 상기 당귀 추출물, 상기 치자 추출물, 상기 율무(뿌리) 추출물, 상기 작약 추출물, 상기 복숭아씨 추출물, 상기 조선현호색(뿌리) 추출물, 상기 유향나무 추출물, 상기 몰약 추출물, 상기 큰매자기(뿌리) 추출물, 상기 효모 추출물, 사발팜 열매 추출물, 바나나 추출물 및 병풀 추출물은 상기 알로에베라 추출물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되었다.
실시예 5 내지 8
유기용매로 하기 표 3[단위 : 중량비]의 조성에 따라 글리세린, 부틸렌 글리콜 및 1,2-헥산디올을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이때, 실시예 2와 동일하게 글리세린, 부틸렌 글리콜 및 1,2-헥산디올의 총량은 모발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3.5 중량% 였다.
실시예2 | 실시예5 | 실시예6 | 실시예7 | 실시예8 | |
글리세린 | 1 | 1 | 1 | 1 | 1 |
부틸렌 글리콜 | 0.5 | 0.01 | 2.5 | 0.5 | 0.5 |
1,2-헥산디올 | 0.25 | 0.25 | 0.25 | 0.001 | 0.5 |
실시예 9 내지 11
모발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쿠퍼트리 펩타이드를 표 4[단위 : 중량%]의 함량으로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2 | 실시예9 | 실시예10 | 실시예11 | |
쿠퍼트리 펩타이드 | - | 0.1 | 0.2 | 0.8 |
[ 비교예 ]
비교예 1 내지 4
표 5[단위 : 중량%]에 따르도록 모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1 | 비교예2 | 비교예3 | 비교예4 | ||
스피큘 | 0.05 | 10 | 0.5 | 0.5 | |
유기용매 | 3.5 | 3.5 | 1.0 | 20.0 | |
복합 추출물 | 알로에베라 추출물 | 1.5 | 1.5 | 1.5 | 1.5 |
모란 추출물 | 0.2 | 0.2 | 0.2 | 0.2 | |
당귀 추출물 | 0.2 | 0.2 | 0.2 | 0.2 | |
치자 추출물 | 0.2 | 0.2 | 0.2 | 0.2 | |
율무 추출물 | 0.2 | 0.2 | 0.2 | 0.2 | |
작약 추출물 | 0.2 | 0.2 | 0.2 | 0.2 | |
복숭아씨 추출물 | 0.2 | 0.2 | 0.2 | 0.2 | |
조선현호색 추출물 | 0.2 | 0.2 | 0.2 | 0.2 | |
유향나무 추출물 | 0.2 | 0.2 | 0.2 | 0.2 | |
몰약 추출물 | 0.2 | 0.2 | 0.2 | 0.2 | |
큰매자기 추출물 | 0.2 | 0.2 | 0.2 | 0.2 | |
효모 추출물 | 0.2 | 0.2 | 0.2 | 0.2 | |
사발팜 열매 추출물 | 0.2 | 0.2 | 0.2 | 0.2 | |
바나나 추출물 | 0.2 | 0.2 | 0.2 | 0.2 | |
병풀 추출물 | 0.2 | 0.2 | 0.2 | 0.2 | |
폴리글리세릴-10 라우레이트 | 0.5 | 0.5 | 0.5 | 0.5 | |
소듐히알루로네이트 | 0.5 | 0.5 | 0.5 | 0.5 | |
카보머 | 0.5 | 0.5 | 0.5 | 0.5 | |
알지닌 | 0.5 | 0.5 | 0.5 | 0.5 | |
베타인 | 0.5 | 0.5 | 0.5 | 0.5 | |
카프릴릴글라이콜 | 0.5 | 0.5 | 0.5 | 0.5 | |
레불린산 | 0.5 | 0.5 | 0.5 | 0.5 | |
소듐레불리네이트 | 0.5 | 0.5 | 0.5 | 0.5 | |
하이드록시에칠셀룰로오스 | 0.5 | 0.5 | 0.5 | 0.5 | |
알란토인 | 0.5 | 0.5 | 0.5 | 0.5 | |
디소듐이디티에이 | 0.3 | 0.3 | 0.3 | 0.3 | |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 0.3 | 0.3 | 0.3 | 0.3 | |
향료 | 0.05 | 0.05 | 0.05 | 0.05 | |
정제수 | to.100 |
비교예 5
유기용매로 글리세린만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6
유기용매로 부틸렌 글리콜만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7
유기용매로 1,2-헥산디올만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8 내지 9
스피큘의 입자 크기가 표 6[단위 : 메쉬(mesh)]과 같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2 | 비교예8 | 비교예9 | |
스피큘의 입자크기(mesh) | 100 ~ 110 | 70 ~ 75 | 135 ~ 450 |
[ 실험예 ]
실험예 1 : 모발 건강 효과 평가
(1)모발 굵기 평가
10 명(나이 : 25 ~ 30 세, 성별 : 남성 10 명)에게, 약 24 주 동안 실시예 1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샴푸)로 1일 1회(저녁) 머리를 감도록 한 다음, 약 24 주 후의 모발 직경(마이크로미터)을 측정하였다. 상기에 따라 평가된 모발 직경의 결과를 표 7[단위 : μm]에 나타내었다.
이때, 시험 전 및 시험 후, 그룹의 모발 직경은 그 그룹을 구성하는 각 개인의 모발 직경(5 개 모발의 평균값)의 평균값을 나타낸 것이며, 모발의 직경은 모발 최하단 부분부터 약 7 cm 가 되는 부분에서 측정하였다.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상기 실시예 2 내지 11 및 비교예 1 내지 9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모발 굵기를 평가한 뒤, 그 결과를 표 7에 나타태었다.
모발의 굵기 | 시험 전 | 시험 후(24 주 경과) |
실시예1 | 0.163 | 0.175 |
실시예2 | 0.162 | 0.179 |
실시예3 | 0.160 | 0.174 |
실시예4 | 0.160 | 0.172 |
실시예5 | 0.166 | 0.178 |
실시예6 | 0.161 | 0.172 |
실시예7 | 0.167 | 0.179 |
실시예8 | 0.165 | 0.177 |
실시예9 | 0.164 | 0.178 |
실시예10 | 0.161 | 0.181 |
실시예11 | 0.165 | 0.179 |
비교예1 | 0.161 | 0.165 |
비교예2 | 0.163 | 0.169 |
비교예3 | 0.160 | 0.166 |
비교예4 | 0.160 | 0.167 |
비교예5 | 0.158 | 0.166 |
비교예6 | 0.163 | 0.170 |
비교예7 | 0.161 | 0.166 |
비교예8 | 0.164 | 0.170 |
비교예9 | 0.166 | 0.171 |
표 7을 보면,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 모발 굵기가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다.
(2)모발 인장강도 평가
상기 실험예 1의 (1)과 동일하게 실험을 진행하되, 모발의 인장강도를 평가한 후, 그 결과를 표 8[단위 : Kg]에 나타내었다. 이때, 시험 전 및 시험 후, 그룹의 모발 인장강도는 그 그룹을 구성하는 각 개인의 모발 인장강도(5 회 평균)의 평균값을 나타낸 것이다. 모발의 인장강도 측정은 일정한 속도로 가하는 힘에 대한 물질의 저항성을 측정하는 시험으로서, 모발에 힘을 가하여 당기면 점차 늘어나 모발은 가늘어지다가 결국 끊기게 되는데, 이때 모발에 가한 무게를 인장강도라고 한다
이때, 각 모발은 육안으로 관찰 시 굵기와 손상 정도가 최대한 유사한 것으로 선별하였다.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상기 실시예 2 내지 11 및 비교예 1 내지 9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모발의 인장강도를 평가한 뒤, 그 결과를 표 8에 나타태었다.
이때, 모발의 인장강도는 디지털 포스 게이지(DSP-5R)로 측정하였다.
모발의 인장강도 | 시험 전 | 시험 후(24 주 경과) |
실시예1 | 0.100 | 0.115 |
실시예2 | 0.101 | 0.127 |
실시예3 | 0.102 | 0.121 |
실시예4 | 0.100 | 0.114 |
실시예5 | 0.098 | 0.112 |
실시예6 | 0.095 | 0.109 |
실시예7 | 0.097 | 0.112 |
실시예8 | 0.096 | 0.111 |
실시예9 | 0.100 | 0.119 |
실시예10 | 0.101 | 0.130 |
실시예11 | 0.099 | 0.117 |
비교예1 | 0.099 | 0.106 |
비교예2 | 0.098 | 0.106 |
비교예3 | 0.104 | 0.112 |
비교예4 | 0.101 | 0.110 |
비교예5 | 0.099 | 0.108 |
비교예6 | 0.100 | 0.106 |
비교예7 | 0.098 | 0.106 |
비교예8 | 0.099 | 0.107 |
비교예9 | 0.097 | 0.104 |
표 8을 보면,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 모발의 인장강도가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상기 표 7 및 8의 내용을 종합하여 볼 때, 본 실시예에 따르면, 모발의 굵기가 증가하면서도 인장강도가 증가하는 바, 모발이 건강해짐을 의미한다.
실험예 2 :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 효과 평가
(1) 탈모 방지능 평가
정수리 탈모 정도가 유사한 남성 10 명에게, 약 24 주 동안 실시예 1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샴푸)로 머리를 감게 한 후, 탈모 방지 효과를 하기 기준에 따라 1 ~ 5 점으로 평가하도록 하여, 그 평균값을 표 9[단위 : 점수]에 나타내도록 하였다.
이때, 탈모 방지 효과는 1)시험을 실시하기 전의 세발 시, 빠진 모발의 정도와 2)시험을 실시한 후 약 24 주가 지난 후의 세발 시, 빠진 모발의 정도를 비교하여, 하기 [평가 기준]에 따라 1 ~ 5 점법으로 평가하도록 하였다.
[평가 기준]
1 점 : 탈모 증상이 악화 되었다.
2 점 : 탈모 방지 효과가 없는 것 같다.(탈모 정도에 변화가 없다.)
3 점 : 탈모 방지 효과가 있는 것 같은 느낌이 든다.(탈모가 되지는 않는다.)
4 점 : 탈모 방지 효과가 약간 있다.(탈모 증상이 개선되는 것 같다)
5 점 : 탈모 방지 효과가 매우 좋다.(발모가 된다.)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예 2 내지 11 및 비교예 1 내지 9에 따르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탈모 방지 효과를 평가한 후, 그 결과를 표 9에 함께 나타내었다.
이때, 각 실시예 또는 비교예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을 적용하는 그룹의 사람은 각각 달랐으나, 정수리의 탈모 정도가 유사한 남성 10 명을 대상으로 계속해서 실험하였다.
탈모 방지 효과 | 탈모 방지 효과 | ||
실시예1 | 3.0 | 비교예1 | 1.5 |
실시예2 | 3.8 | 비교예2 | 2.5 |
실시예3 | 3.3 | 비교예3 | 2.0 |
실시예4 | 3.0 | 비교예4 | 2.5 |
실시예5 | 3.0 | 비교예5 | 2.0 |
실시예6 | 3.0 | 비교예6 | 2.0 |
실시예7 | 3.0 | 비교예7 | 2.0 |
실시예8 | 3.0 | 비교예8 | 2.5 |
실시예9 | 3.4 | 비교예9 | 2.0 |
실시예10 | 4.2 | ||
실시예11 | 3.3 |
표 9를 보면,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 탈모 방지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2) 발모 개선능 평가
상기 실험예 2의 (1)을 실시함과 동시에, 발모 자각 만족도를 1 ~ 5 점법으로 평가하도록 한 후, 그 평균값을 표 10[단위 : 점수]에 나타내었다.
표 10에서 5 점에 가까울수록 발모 개선 효과가 우수함을 의미하며, 1 점에 가까울수록 발모 개선 효과가 없음을 의미한다.
발모 자각 만족도 | 발모 자각 만족도 | ||
실시예1 | 3.2 | 비교예1 | 1.0 |
실시예2 | 4.0 | 비교예2 | 2.0 |
실시예3 | 3.5 | 비교예3 | 1.2 |
실시예4 | 3.2 | 비교예4 | 1.5 |
실시예5 | 3.2 | 비교예5 | 1.2 |
실시예6 | 3.2 | 비교예6 | 1.5 |
실시예7 | 3.2 | 비교예7 | 1.5 |
실시예8 | 3.2 | 비교예8 | 2.0 |
실시예9 | 3.5 | 비교예9 | 2.0 |
실시예10 | 4.0 | ||
실시예11 | 3.5 |
표 10을 보면,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 발모 개선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에 따라 실험예 2의 (1) 및 (2)를 실시함에 있어서, 실시예 2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한 남성 중 한명의 두피 상태를 촬영하여 도 1에 나타내었으며, 실시예 10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한 남성 중 한명의 두피 상태를 촬영하여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1 및 도 2를 보면,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 약 24 주가 지난 뒤, 육안으로 확인 가능할 정도로 발모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 효과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상기 내용을 종합하여 볼 때,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에는 모발이 건강해지면서도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 효과를 구현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8)
- 스피큘;
유기용매;
알로에베라 추출물, 모란 추출물, 당귀 추출물, 치자 추출물, 율무 추출물, 작약 추출물, 복숭아씨 추출물, 조선현호색 추출물, 유향나무 추출물, 몰약 추출물, 큰매자기 추출물, 효모 추출물, 사발팜 열매 추출물, 바나나 추출물 및 병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복합 추출물; 및
정제수를 포함하되,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스피큘 0.1 ~ 5 중량%, 상기 유기용매 3 ~ 15 중량%, 상기 복합 추출물 2 ~ 7 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를 포함하며,
상기 스피큘은 입자 크기가 80 ~ 130 메쉬(mesh)인 것이고,
상기 유기용매는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및 1,2-헥산디올을 1 : 0.1 ~ 2 : 0.25 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스피큘 및 상기 유기용매를 1 : 5 ~ 10 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쿠퍼트리 펩타이드(Copper Tripeptide)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유화제, 유화안정제, 점증제, pH 조절제, 보습제, 컨디셔닝제, 항균제, 변색 방지제 및 항산화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헤어샴푸, 헤어토닉, 헤어린스, 헤어로션, 모발 영양화장수, 헤어트리트먼트, 헤어에센스, 헤어팩, 헤어리퀴드, 비에어로졸 무스, 비에어로졸 스프레이, 에어로졸 무스 및 에어로졸 스프레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00223A KR102303252B1 (ko) | 2020-01-02 | 2020-01-02 |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00223A KR102303252B1 (ko) | 2020-01-02 | 2020-01-02 |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87226A KR20210087226A (ko) | 2021-07-12 |
KR102303252B1 true KR102303252B1 (ko) | 2021-09-16 |
Family
ID=76859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00223A KR102303252B1 (ko) | 2020-01-02 | 2020-01-02 |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03252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68903B1 (ko) * | 2021-08-03 | 2022-03-03 | 주식회사 뷰티채널 | 속눈썹, 눈썹 및 모발의 굵기 증대 및 성장촉진용 조성물 |
KR102463511B1 (ko) * | 2022-07-20 | 2022-11-03 | 조미경 | 어성초 쿨링 스피큘 샴푸 조성물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37389B1 (ko) | 2009-01-23 | 2010-01-19 | (주)스킨메디언스 | 해면 골편을 이용한 피부 관리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
KR101762594B1 (ko) | 2016-11-10 | 2017-08-02 | 주식회사 에스파코 | 담수 해면 골편을 이용한 피부 치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54149B1 (ko) * | 2001-10-31 | 2004-10-26 | 나드리화장품주식회사 | 해면추출액을 함유하는 모발화장료 조성물 |
KR101193952B1 (ko) | 2012-02-09 | 2012-10-24 | 주식회사 태후코스메틱 | 두피 탈모 방지 및 발모를 촉진하는 화장료 조성물 |
KR102076653B1 (ko) * | 2017-12-20 | 2020-02-12 |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 유전자 맞춤형 헤어케어 조성물 제공방법 및 제공시스템 |
-
2020
- 2020-01-02 KR KR1020200000223A patent/KR10230325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37389B1 (ko) | 2009-01-23 | 2010-01-19 | (주)스킨메디언스 | 해면 골편을 이용한 피부 관리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
KR101762594B1 (ko) | 2016-11-10 | 2017-08-02 | 주식회사 에스파코 | 담수 해면 골편을 이용한 피부 치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87226A (ko) | 2021-07-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90056397A (ko) | 복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조성물 | |
KR101196523B1 (ko) | 천연물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발모제 조성물 | |
CN113318043A (zh) | 一种具有固发、生发功效的精华液及其制备方法 | |
KR101111132B1 (ko) |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 | |
CN110944720A (zh) | 红毛丹提取物的新的美容化妆用途 | |
KR20120012904A (ko) | 유방확대 또는 피부탄력 향상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 |
KR102303252B1 (ko) |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 | |
JP2011207769A (ja) | 化粧料及び皮膚外用剤 | |
KR102032873B1 (ko) | 항산화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2369387B1 (ko) |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 |
CN115590795A (zh) | 包含虎杖根提取物的皮肤弹性增强或皱纹改善用化妆料组合物 | |
JPH07126146A (ja) | 皮膚外用剤 | |
JP2010241762A (ja) | 化粧料 | |
KR102300581B1 (ko) |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 |
KR102671809B1 (ko) | 자주천인국 및 보리지 혼합 추출물과 아미노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콜라겐 생성 촉진용 조성물 | |
KR20140145278A (ko) | 피부 수렴 및 탄력 효과를 갖는 승마 추출물, 산수유 추출물 및 현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1547758B1 (ko) | 탈모 예방 및 양모, 육모 촉진용 조성물 | |
KR101775074B1 (ko) | 퍼머넌트 웨이브 조성물 | |
KR20080077762A (ko) |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 효과를 가지는 생약화장료조성물 | |
KR20030005485A (ko) | 대나무 수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
JP4738682B2 (ja) | 脱毛促進剤 | |
KR102382002B1 (ko) | 펩타이드 복합체 및 천연 성분을 함유하는 주름 및 피부탄력 개선, 타이로시네이즈 억제 등 다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 |
KR102281606B1 (ko) | 펩타이드 복합체를 함유하는 주름 및 피부탄력 개선, 타이로시네이즈 억제 등 다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 |
KR102337357B1 (ko) | 인삼(Panax Ginseng) 뿌리 추출물, 마데카소사이드(Madecassoside), 달맞이꽃(Oenothera Biennis) 종자유 및 홍화(Carthamus Tinctorius) 종자유를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1728306B1 (ko) | 퍼머넌트용 모발보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퍼머넌트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