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5485A - 대나무 수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대나무 수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5485A
KR20030005485A KR1020010040792A KR20010040792A KR20030005485A KR 20030005485 A KR20030005485 A KR 20030005485A KR 1020010040792 A KR1020010040792 A KR 1020010040792A KR 20010040792 A KR20010040792 A KR 20010040792A KR 20030005485 A KR20030005485 A KR 200300054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bamboo
skin
cosmetic composition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0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영호
김영택
김광수
박성순
Original Assignee
나드리화장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드리화장품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나드리화장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40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05485A/ko
Publication of KR20030005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548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대나무 수액을 0.01 내지 90 중량% 함유하여 피부 거칠음 개선, 피부 미백, 여드름 치유, 피부 노화 개선 및 피부 보습력 증진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피부거칠음 개선, 피부미백, 여드름 치유, 피부 보습력 증진, 주름 및 피부 탄력 증진에 따른 피부노화 개선 효과가 매우 우수하다.

Description

대나무 수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BAMBOO SAP}
본 발명은 대나무 수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대나무 수액을 함유함으로써 피부 거칠음 개선, 피부 미백효과 부여, 여드름 치유, 피부 노화 개선 및 피부 보습력을 증진시키는 피부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한국에 천연적으로 분포, 생육되고 있는 대나무의 종류는 모두 13종이 있다. 그러나, 유용죽종(有用竹種)으로 취급되는 죽종은 왕대(若竹 ; Phyllostchys bambusoides), 솜대(淡竹 ; Phyllostchhys nigra) 및 맹종죽(孟宗竹 ; Phyllostchys pubescens)의 3종이다.
이러한 대나무는, 수액을 채취할 때 대나무 뿌리부에서 첫째마디 혹은 둘째마디(높이: 10∼20㎝)의 마디 바로 윗부위를 절단하고 용기를 부착하여 채취하고, 이를 200메쉬 여과포로 여과하여 사용한다. 이의 채취시기는 5∼6월 경으로 한다.
한편, 대나무의 추출물은 피부상태를 개선하는데 유용하며, 피부 보습력을 증진시켜 피부의 건조함과 거칠어짐을 개선하고, 티로시나제의 저해효과와 멜라닌 색소의 생성을 억제하며, 아토픽 증상을 치료하는데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있다. 예를 들면, 일본 특허출원 공개 평5-124930호에서는 대나무 잎, 줄기, 뿌리에서 추출한 유효성분을 함유함으로써 피부 보습력, 피부의 건조함과 갈라짐을 효과적으로 개선시키는 화장료에 대해서 서술하고 있으며, 일본 특허출원 공개 평11-199501호에서는 대나무 추출물과 요소, 항염증 조성물을 혼합하여 피부의 보습력을 증진시켜 피부의 건조함과 거칠어짐을 개선시킨 피부 외용제를 언급하고 있다.
또한, 한국 특허출원 공개 제2001-007943호에서는 대나무 속내피를 이용하여 만든 죽내피 추출물을 화장료에 함유시켜 티로시나제 활성을 저해하고 멜라닌 색소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고 제안하고 있으며, 일본 특허출원 공개 평11-080011호에서는 대나무 증류액을 함유하여 아토픽 증상을 치료할 수 있는 욕용제를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문헌에서 언급하고 있는 대나무 추출물들은 친수성 유기용제,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i-프로판올 등의 저급알콜이나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등의 저급 케톤,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등의 다가 알콜 및 정제수 등을 이용하여 대나무의 각 부위를 추출한 것으로서 천연 그대로 얻는 대나무 수액과는 다르다.
본 발명자들은 대나무 수액이 예로부터 이뇨, 심신안정 등의 효능으로 음용되어 왔으며, 또한 대나무 수액에는 대나무의 생육에 필요한 무기물, 아미노산, 당류 등 각종 영양소가 다량 함유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는 것에 착안하여 연구를 거듭한 결과, 대나무를 유기 용제 등으로 추출한 추출물과 천연에서 얻은 수액과는활성 면에서 차이가 존재한다는 것을 알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대나무 수액을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대나무 추출물 함유 화장료로는 얻을 수 없는 탁월한 피부보습, 피부거칠음 개선, 피부미백, 피부노화 개선 및 피부 미백 효과 및 여드름 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조성물에 대하여 대나무 수액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대나무 수액은 모든 대나무에서 얻을 수 있으나, 상대적으로 채취량이 많은 유용죽종인 왕대, 솜대 및 맹종죽에서 채취하는 것이 수율 면에서 바람직하다. 채취 방법은 통상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대나무 뿌리부에서 첫째마디 혹은 둘째마디(높이: 10∼20㎝)의 마디 바로 윗부위를 절단하고 용기를 부착하여 채취하고, 이를 여과포로 여과하여 사용한다. 상기 여과물은 멸균처리하여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이를 그대로 사용하거나 분말화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대나무 수액의 채취는 5∼6월 경에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대나무 수액은 피부보습 효과, 피부거칠음 개선, 피부미백 효과, 피부노화 개선 및 피부 미백효과가 일반 추출물보다 현저하게 높으며, 일반 추출물에서는 보고되고 있지 않은 여드름 개선효과를 갖는다.
대나무 수액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9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 중량%의 양으로 첨가한다. 0.01 중량% 미만으로 첨가하면 효과를 얻기 힘들며, 90 중량%를 초과하여 첨가하면 여타 원료를 함유해야 하는 화장료의 특성을 고려할 때 통상적인 화장료 조성물을 얻기가 힘들기 때문이다.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는 없다. 즉, 화장수, 크림, 팩, 젤, 로션, 분무제 등 피부 점착형 및 경피 투여형 등의 제형이 모두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2001년 5월에 대나무 뿌리부의 첫째 마디 또는 둘째 마디(높이:10∼20㎝) 바로 윗부위를 절단하고 용기를 부착하여 대나무 수액을 채취하였다. 이를 200메쉬 여과포로 여과하여 대나무 수액을 얻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얻어진 대나무 수액 100g을 통상적인 감압 농축 방법에 준하여 분말화하여 0.21g의 분말을 얻었다.
(비교예 1)
대나무 잎과 줄기 부위를 분말화하여 100g의 대나무 분말을 얻었다. 이를 1000g의 정제수에 침적시키고, 40℃에서 48시간동안 용출시켰다. 이어서, 원심분리기로 고형분을 분리한 후 분리된 상등액을 취하여 여과하였다. 이를 통상적인 감압 농축 방법에 준하여 대나무 추출물 1.08g을 얻었다.
(비교예 2)
추출 용매로서 정제수 대신에 에탄올(저급알콜)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대나무 추출물 1.24g을 얻었다.
(비교예 3)
추출 용매로서 정제수 대신에 아세톤(저급케톤)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대나무 추출물 1.21g을 얻었다.
(비교예 4)
추출 용매로서 정제수 대신에 프로필렌글리콜(다가알콜)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대나무 추출물 1.05g을 얻었다.
(시험예 1)
인체 첩포 시험
대나무 수액 및 대나무 추출물의 피부 자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인체 첩포 시험을 하였다.
피부가 건강한 여성 30명의 상박 부위에 실시예 2과 비교예 1 내지 4의 수액 또는 추출물 및 대조군으로 프로필렌 글리콜 및 정제수를 각각 일정량(약 40㎍)씩 24시간 동안 첩포하였다. 이어서, 이를 제거하고 피부자극을 측정한 후, 24시간, 48시간 경과 후에 다시 피부 반응을 조사하였다.
피부 자극의 판정 기준 및 자극도 계산 식은 다음과 같으며, 그 결과를 하기표 1에 나타내었다.
판정기준 - : 홍반이나 특이현상 없슴
+- : 주위보다 약간 붉어짐
+ : 주위보다 현저히 붉어짐
++ : 주위보다 심하게 붉어지고 부풀음
상기 표 1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대나무 수액은 피부자극이 전혀 없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시험예 2)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 시험
공지된 방법에 따라, 흑색 세포인 멜라닌을 생성시키는 효소인 티로시나제의 활성 억제 정도를 자외선/가시광선 분광광도계로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시험관에 L-티로신 용액 0.5㎖, pH 6.8의 인산 완충용액 2.0㎖, 황산구리 용액 0.05㎖와, 실시예 2 및 비교예 1 내지 4의 10% 희석액(정제수) 또는 실시예 2의 1% 희석액(정제수) 2.0㎖을 각각 투입하여 완전히 혼합한 후 10분간 방치하였다. 여기에 티로시나제 용액 0.5㎖를 첨가하여 완전히 혼합 후 37℃ 항온조에서 1시간 가온하였다. 이를 냉각 방치한 후, 640㎚의 파장에서 흡광도(At)를 측정하였다. 또한, 대조 시험으로서 정제수 20㎖에 의한 공시험을 실시하여 흡광도(Ab)를 측정하였다. 마지막으로 티로시나제 용액의 대조군으로서 정제수를 첨가하여, 티로시나제 무첨가 용액에 대한 흡광도(A0)를 측정하고, 다음식에 따라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율을 구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의 결과로부터 대나무 수액은 매우 높은 티로시나제 활성억제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제조예 1 및 비교 제조예 1 내지 4)
에센스의 제조
실시예 2에서 얻어진 대나무 수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제조예 1),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4의 대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비교 제조예 1 내지 4)을 각각 통상적인 에센스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그 조성은 하기 표(단위: 중량%)에 나타내었다.
(시험예 3)
피부미백효과 임상시험
안면에 기미가 있는 여성 100명을 대상으로 하여 피부미백효과를 시험하였다. 먼저 100명의 여성을 20명씩 A, B, C, D, E의 5개군으로 나누었다. 각 군에 제조예 1(A군) 및 비교 제조예 1 내지 4(각 B 내지 E군)의 에센스를 각각 1일 2회, 2개월간 도포하였다. 휴대용 색차분석계(Minolta Chroma Meter CR-200)로 도포 직전, 도포 1개월 후, 도포 2개월 후에 각각 결과를 측정하였다. 측정은온도 23℃,상대습도 60% 조건의 항온항습실에서 진행하였다. 측정값에 따른 미백효과(ΔL)는 다음 식에 따라 계산하여 각 군에 배정된 20명의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L값은 색의 명도를 나타내며 L값이 높을수록 색상이 밝다.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측정기간 A군 B군 C군 D군 E군
도포 1개월 후 3.7 2.1 1.9 2.2 2.5
도포 2개월 후 6.4 3.8 3.5 4.0 3.9
상기 표 3의 결과로부터, 대나무 수액이 함유된 에센스는 대나무 추출물이 함유된 에센스에 비하여 미백효과가 탁월함을 알 수 있다.
(제조예 2 및 비교제조예 5 내지 8)
크림의 제조
실시예 2에서 얻어진 대나무 수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제조예 2),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4의 대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비교 제조예 5 내지 8)을 각각 통상적인 크림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그 조성은 하기 표(단위: 중량%)에 나타내었다.
(시험예 4)
피부보습효과 임상시험
건강한 피부를 가진 여성 75명을 대상으로 피부보습효과를 시험하였다. 먼저 75명의 여성을 15명씩 A, B, C, D, E 의 5개군으로 나누었다. 제조예 2(A군) 및 비교 제조예 5 내지 8 (각 B 내지 E군)의 크림을 각각 1일 2회, 2개월간 도포하였다. 코니오미터(Corneometer : CM820, Courage+Khazaka electronic GmbH, Germany)를 이용하여 도포직전, 도포 1개월 후, 도포 2개월 후에 각각 A, B 내지 E 군간의 피부 보습력을 측정하여 각 군에 배정된 15명의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측정은 온도 23℃, 상대습도 60% 조건의 항온항습실에서 진행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측정기간 A군 B군 C군 D군 E군
도포 1개월 후 21% 5% 6% 6% 5%
도포 2개월 후 35% 8% 10% 9% 7%
상기 표 4의 결과로부터, 대나무 수액이 함유된 크림은 대나무 추출물이 함유된 크림보다 피부 보습력 증진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제조예 3 및 비교 제조예 9 내지 12)
로션의 제조
실시예 2에서 얻어진 대나무 수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제조예 3),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4의 대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비교 제조예 9 내지 12)을 각각 통상적인 로션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그 조성은 하기 표(단위: 중량%)에 나타내었다.
(시험예 5)
피부 거칠음 개선시험
건강한 피부를 가진 여성75명을 대상으로 피부 거칠음 개선효과를 시험하였다. 먼저75명의 여성을 15명씩 A, B, C, D, E의 5개군으로 나누었다. 제조예 3(A군) 및 비교 제조예 9 내지 12 (각 B 내지 E군)의 로션을 각각 1일 2회, 2개월간 도포하였다. 도포 직전, 도포 1개월 후, 도포 2개월 후에 각각 피부 레플리카를 취하여 현미경으로 관찰하고, 하기의 판정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 판정기준 >
1. 피부홈, 피부돌기의 소실, 광범위한 각층의 벗겨짐이 인정된다.
2. 피부홈, 피부돌기가 불선명, 각층의 벗겨짐이 인정된다.
3. 피부홈, 피부돌기는 인정되지만 평탄.
4. 피부홈, 피부돌기가 선명.
5. 피부홈, 피부돌기가 선명하고 정리되어 있다.
※ 5번 기준항목 쪽으로 갈수록 피부상태가 고르고 매끄럽다고 볼 수 있다.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5의 결과로부터, 대나무 수액이 함유된 로션은 대나무 추출물이 함유된 로션에 비하여 피부 거칠음 개선효과가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제조예 4 및 비교 제조예 13 내지 16)
로션의 제조
실시예 2에서 얻어진 대나무 수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제조예 4),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4의 대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비교 제조예 13 내지 16)을 각각 통상적인 로션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그 조성은 하기 표(단위: 중량%)에 나타내었다.
(시험예 6)
여드름 치유 효과 시험
17세 이상의 여드름이 있는 여성 75명을 대상으로 하여 여드름 치유 효과를 시험하였다. 먼저 75명의 여성을 15명씩 A, B, C, D, E의 5개군으로 나누었다. 제조예 4(A군) 및 비교예 13 내지 16(각 B 내지 E군)의 에센스를 각각 1일 2회, 2개월간 도포하였다. 도포 직전, 도포 1개월 후, 도포 2개월 후에 여드름의 개선정도를 2명의 숙련자에 의해 육안 평가를 실시하였다. 아울러, 피검자의 주관적 육안 평가를 병행하여 참고로 하였으며, 그 평가 방법은 아래의 기준에 따랐다.
< 판정기준 >
1. 매우 악화 2. 악화
3. 약간 악화 4. 변화없슴
5. 약간 개선 6. 개선
7. 매우 개선
※ 7번 기준항목 쪽으로 갈수록 여드름 개선효과가 우수하다고 볼 수 있다.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6의 결과로부터, 대나무 수액이 함유된 로션은 대나무 추출물이 함유되어 있는 로션보다 여드름 개선효과가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제조예 5 및 비교 제조예 17 내지 20)
크림의 제조
실시예 2에서 얻어진 대나무 수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제조예 5),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4의 대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비교 제조예 17 내지 20)을 각각 통상적인 크림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그 조성은 하기 표(단위: 중량%)에 나타내었다.
(시험예 7)
피부노화 개선효과 시험
30 내지 40대 여성 60명의 피험자를 선정하여 피부노화 개선효과를 시험하였다. 먼저 60명의 여성을 15명씩 A, B, C, D의 4개군으로 나누었다. 제조예 5와 비교 제조예 17 내지 20의 크림을 각각 1일 2회, 2개월간 도포하되, 제조예 5의 크림을 얼굴의 좌측부위에, 비교 제조예 17 내지 20의 크림을 각각 군 별로 우측부위에 도포하였다.
2개월 후 실리콘을 이용하여 레플리카를 뜨고 비지오미터(Skin Visiometer : SV500, Courage+Khazaka electronic GmbH, Germany)를 이용한 화상분석을 통하여 좌, 우측부위의 주름의 깊이를 측정하여 우측부위에 대한 좌측부위의 주름깊이 감소율을 다음 식에 따라 구하여 각 군별 인원의 평균값으로서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또한, 큐토미터(Cutometer : SEM 575, Courage+Khazaka electronic GmbH, Germany)를 이용하여 우측부위에 비하여 좌측부위의 탄력이 증진된 정도를 측정한 후 우측 부위에 대한 좌측부위의 탄력증진도를 다음식에 따라 구하여, 그 결과를 각 군별 인원의 평균값으로서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측정항목 A군 B군 C군 D군
주름감소(%) 31.8 3.4 4.1 3.8
피부탄력증진도(%) 42.9 5.3 4.9 5.6
상기 표 7의 결과로부터, 대나무 수액이 함유된 크림은 대나무 추출물이 함유된 크림보다 주름개선 및 피부탄력 증진효과가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즉, 대나무 수액이 함유된 크림이 피부노화의 개선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제조예 6)
에센스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어진 대나무 수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통상적인 에센스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그 조성은 하기 표(단위: 중량%)에 나타내었다.
(제조예 7)
크림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어진 대나무 수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통상적인 크림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그 조성은 하기 표(단위: 중량%)에 나타내었다.
(제조예 8)
로션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어진 대나무 수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통상적인 로션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그 조성은 하기 표(단위: 중량%)에 나타내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피부거칠음 개선, 피부미백, 여드름 치유, 피부 보습력 증진, 주름 및 피부 탄력 증진에 따른 피부노화 개선 효과가 매우 우수한 대나무 수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Claims (1)

  1.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대나무 수액을 0.01 내지 90 중량% 함유하여 피부 거칠음 개선, 피부 미백, 여드름 치유, 피부 노화 개선 및 피부 보습력 증진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010040792A 2001-07-09 2001-07-09 대나무 수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300054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0792A KR20030005485A (ko) 2001-07-09 2001-07-09 대나무 수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0792A KR20030005485A (ko) 2001-07-09 2001-07-09 대나무 수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5485A true KR20030005485A (ko) 2003-01-23

Family

ID=27713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0792A KR20030005485A (ko) 2001-07-09 2001-07-09 대나무 수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05485A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5754B1 (ko) * 2006-02-22 2007-01-30 나드리화장품주식회사 파우더 타입 색조 화장료 조성물
US20070184012A1 (en) * 2005-11-17 2007-08-09 Eric Perrier HAS2-stimulating plant extracts
KR20100066822A (ko) * 2008-12-10 2010-06-18 (주)아모레퍼시픽 미백용 또는 주름개선용 피부 화장료 조성물
WO2010077971A3 (en) * 2008-12-17 2010-11-04 Harmony Laboratories, Inc. Acne treatment powder foundation
KR101050613B1 (ko) * 2008-11-24 2011-07-19 (주)웰바이코리아 항산화 효과와 항주름 및 보습 효과를 가지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41802B1 (ko) * 2009-10-30 2012-05-04 (주)아모레퍼시픽 남성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73698B1 (ko) * 2011-06-28 2013-06-12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오미자 추출물과 대나무 수액을 함유하는 피부의 열을 조절해주는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방법
KR101724530B1 (ko) * 2016-07-04 2017-04-07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아쿠아포린 3의 생합성 촉진과 피부 보습에 영향을 주는 오죽즙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JP2019038767A (ja) * 2017-08-24 2019-03-14 佐藤 隆 皮脂産生抑制剤
KR20190063549A (ko) 2017-11-30 2019-06-10 코스맥스 주식회사 대나무 발효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4288227A (zh) * 2021-12-28 2022-04-08 中华全国供销合作总社南京野生植物综合利用研究所 一种具有祛痘抗炎功效的植物提取物及其应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7990A (ja) * 1993-12-24 1995-07-25 Toshiko Yamamoto 化粧料
KR20000037133A (ko) * 2000-04-08 2000-07-05 강태욱 대나무 수액의 살균제조방법
KR20010096634A (ko) * 2001-04-18 2001-11-08 서경배 대나무수액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020074275A (ko) * 2001-03-19 2002-09-30 애경산업(주) 대나무 수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7990A (ja) * 1993-12-24 1995-07-25 Toshiko Yamamoto 化粧料
KR20000037133A (ko) * 2000-04-08 2000-07-05 강태욱 대나무 수액의 살균제조방법
KR20020074275A (ko) * 2001-03-19 2002-09-30 애경산업(주) 대나무 수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KR20010096634A (ko) * 2001-04-18 2001-11-08 서경배 대나무수액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75313B2 (en) * 2005-11-17 2020-06-09 BASF Beauty Care Solutions France HAS2-stimulating plant extracts
US20070184012A1 (en) * 2005-11-17 2007-08-09 Eric Perrier HAS2-stimulating plant extracts
KR100675754B1 (ko) * 2006-02-22 2007-01-30 나드리화장품주식회사 파우더 타입 색조 화장료 조성물
KR101050613B1 (ko) * 2008-11-24 2011-07-19 (주)웰바이코리아 항산화 효과와 항주름 및 보습 효과를 가지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00066822A (ko) * 2008-12-10 2010-06-18 (주)아모레퍼시픽 미백용 또는 주름개선용 피부 화장료 조성물
WO2010077971A3 (en) * 2008-12-17 2010-11-04 Harmony Laboratories, Inc. Acne treatment powder foundation
US9125919B2 (en) 2008-12-17 2015-09-08 Ei Llc Acne treatment powder foundation
KR101141802B1 (ko) * 2009-10-30 2012-05-04 (주)아모레퍼시픽 남성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73698B1 (ko) * 2011-06-28 2013-06-12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오미자 추출물과 대나무 수액을 함유하는 피부의 열을 조절해주는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방법
KR101724530B1 (ko) * 2016-07-04 2017-04-07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아쿠아포린 3의 생합성 촉진과 피부 보습에 영향을 주는 오죽즙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JP2019038767A (ja) * 2017-08-24 2019-03-14 佐藤 隆 皮脂産生抑制剤
JP2021181494A (ja) * 2017-08-24 2021-11-25 隆 佐藤 皮脂産生抑制剤
KR20190063549A (ko) 2017-11-30 2019-06-10 코스맥스 주식회사 대나무 발효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4288227A (zh) * 2021-12-28 2022-04-08 中华全国供销合作总社南京野生植物综合利用研究所 一种具有祛痘抗炎功效的植物提取物及其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5031B1 (ko) 유자씨 및 망고씨 혼합오일을 함유하는 피부 자극완화 및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61803B1 (ko) 피부 보습 화장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화장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90056521A (ko) 람부탄 및 리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용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A2721196C (fr) Utilisation d&#39;un extrait de myrte comme depigmentant
CA2139253C (en) Skin external agent
KR20030005485A (ko) 대나무 수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19997B1 (ko) 분홍바늘꽃 및 구슬꽃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53186B1 (ko) 생약추출 혼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조성물
KR101078888B1 (ko) 조직배양한 에키네시아 부정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20043339A (ko) 매실의 다알코올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FR3051369B1 (fr) Extraits de faine de hetre, compositions et utilisations
KR102130243B1 (ko) 글루타치온, 미세침, 아세틸헥사펩타이드, 닥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 주름개선, 항노화, 항산화 효능의 화장료 조성물
KR101056756B1 (ko)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099096A (ko)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46545B1 (ko) 비비추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피부장벽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30860B1 (ko) 닥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36348B1 (ko) 팩조성물
KR101002797B1 (ko) 연잎, 지부자, 지골피의 추출물과 피탄트리올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30140853A (ko) 아세틸 헥사펩타이드-8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두피 및 모발 케어 조성물
KR101969684B1 (ko) 천연 미세침 분말과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개선 및 모공축소 기능의 화장료 조성물
KR101081585B1 (ko) 광나무 및 원추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083236A (ko) 탈모 방지 및 두피 개선용 조성물
KR101574248B1 (ko) 왕호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143993A (ko) 독도해국 오일을 함유하는 피부용 외용제 조성물
KR20060133608A (ko) 피부노화방지 및 주름억제 기능을 갖는 생약재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