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9096A -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9096A
KR20170099096A KR1020160021045A KR20160021045A KR20170099096A KR 20170099096 A KR20170099096 A KR 20170099096A KR 1020160021045 A KR1020160021045 A KR 1020160021045A KR 20160021045 A KR20160021045 A KR 20160021045A KR 20170099096 A KR20170099096 A KR 201700990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cosmetic composition
extract
lotion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1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좌섭
최춘환
김진규
홍성수
안은경
이재연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Priority to KR1020160021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99096A/ko
Publication of KR20170099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90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2Colour properties
    • A61K2800/43Pigments; D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1Chelat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피부에 부작용, 자극이 없어 안전하고, 엘라스타아제(elastase) 활성을 억제하여 피부 주름생성 및 노화를 방지하는 며느리배꼽(Persicaria perfoliata)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기술분야가 개시된다.
또한 본 발명은 며느리배꼽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며느리배꼽에서 유효성분을 추출한 천연 유래 추출물을 이용하여 피부에 부작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피부에 자극적이 않아 발적이 없는 안정하며, 엘라스타아제 활성을 저해함으로써 피부 주름 생성 및 노화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Wrinkle}
본 발명은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피부에 부작용, 자극이 없어 안전하고, 엘라스타아제(elastase) 활성을 억제하여 피부 주름생성 및 노화를 방지하는 며느리배꼽(Persicaria perfoliata)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피부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여러 가지 내적, 외적 요인에 의해 변화를 겪으면서 노화현상이 발생된다. 피부 노화는 크게 신체 내적 요인에 의해 발생되는 내인성 노화(intrinsic aging)와 외적 요인에 의해 발생되는 광노화(photoaging)로 구분된다.
내인성 노화는 피부의 신진 대사를 조절하는 각종 호르몬의 분비가 감소하고, 면역 세포의 기능과 세포들의 활성이 저하되어 생체에 필요한 면역 단백질 및 생체 단백질들의 생합성이 줄어들게 되면서 발생되는 자연적인 노화 현상인 반면, 광노화는 태양 광선에 포함되어 있는 자외선에 의해 피부에 자유 라디칼 및 유해 활성 산소 등이 증가함으로써 발생하는 피부주름으로 기미, 주근깨, 검버섯 등의 피부병리 현상을 동반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피부 주름은 피부의 수분 함유량, 콜라겐(collagen)의 함유량 등 여러 요소들에 의해 유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중 콜라겐이 피부 주름 형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콜라겐은 피부의 유연성을 주는 섬유 조직으로서 피부의 진피층에 존재하는 섬유아세포(fibroblast)에서 주로 생성되며 진피 조직의 약 70%를 차지하는 주요 구성 요소이다. 콜라겐 섬유의 폴리펩타이드 사슬은 섬유아세포에서 합성된 뒤, 3중 나선 구조로 조합된 프로콜라겐 형태로 세포 밖으로 분비된다. 분비된 프로콜라겐은 특정 효소에 의해 프로콜라겐(pro-collagen)이 생성되고, 이들은 세포외 기질에서 서로 조합되어 콜라겐 섬유로 합성된다.
콜라겐의 주된 기능으로는 피부의 기계적 견고성, 결합조직의 저항력과 조직의 결합력, 세포 접착의 지탱, 세포 분할과 분화(유기체의 성장 혹은 상처 치유시)의 유도 등이 알려져 있다(Van der Rest et al., 1990). 이러한 콜라겐 섬유의 합성은 피부 노화가 진행되면서 급격히 감소하며, 또한 외부 환경에 의해 콜라겐 섬유가 변형 또는 분해되면서 피부에 주름이 많이 생성되고 깊어지게 된다. 이러한 콜라겐의 분해에는 콜라겐 분해효소인 콜라게나아제(collagenase)가 관여한다.
콜라게나아제는 다형핵성호중구(Polymorphonuclear neutrophil), 대식세포(Macrophage), 치은섬유아세포(Fibroblast), 골세포(Bone cell) 등과 같은 세포로부터 분비되는 칼슘 및 아연의존성 MMP(matrix metalloproteinase)로 중성 pH에서 작용하며, 기질로서 여러 가지 세포외기질을 이용한다.
이러한 단백질분해효소는 배발생, 조직의 형성, 암전이, 치주질환, 류마토이드 관절염, 염증, 당뇨병, 각막궤양, 골다공증, 위궤양, 외상, 피부노화 및 주름, 화상 및 상처 치료와 같은 병리학적 과정과 각종 질환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많은 화장품 연구기관에서 주름개선을 위해 종래에는 콜라겐의 피부 보습 효과를 이용하기 위하여 화장품 등에 콜라겐을 배합한 제품들이 출시되어 있으나, 이들 화장품 등은 콜라겐을 피부 표면에 도포하는 것으로서 고분자 물질인 콜라겐의 경피 흡수가 어려워 보습작용을 기대할 수 없으므로 본질적인 피부 기능 개선이라고 말할 수 없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콜라겐 합성 촉진 물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으며, 종래에 알려진 콜라겐 합성 촉진 물질로는 비타민 C, 레티노익산(retinoic acid), 발암증식인자(TGF: transforming growth factor) (Cardinale et al., Adv. Enzymol., 41, p.425, 1974), 동물 태반 유래의 단백질(일본공개특허공보 H08-231370호), 베툴린산(betulinic acid)(일본공개특허공보 H08-208424호), 클로렐라 추출물(일본공개특허공보 H09-40523호, H10-36283호) 등이 있다.
그러나 이들 물질은 피부적용 시 자극과 발적 등의 안정성의 문제로 사용량의 제한이 있거나 효과가 미미하여 실질적으로 피부 기능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따라서 기존의 피부 주름 개선 화장료 조성물보다 생체에 안전하고 효과가 높은 새로운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개발이 절실히 요망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13148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204858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2-0058910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합성물질을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적용 시 자극과 발적 등의 안전성의 문제가 발생하여, 엘라스타아제(elastase)의 활성을 억제하여 피부 주름 생성 및 노화를 방지하고자 며느리배꼽(Persicaria perfoliata)에서 유효성분을 추출하여 함유시킨 며느리배꼽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며느리배꼽(Persicaria perfoliat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합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시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상기 며느리배꼽 추출물은 며느리배꼽 잎, 줄기, 꽃 및 뿌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물,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중 어느 하나 또는 어느 하나 이상의 용매로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킨, 스킨 소프트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로션, 영양로션,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아이 크림, 모이스쳐 크림, 핸드크림,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클렌징폼, 클렌징 워터, 클렌징 로션, 클렌징 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져, 비누 및 파우더 중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 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보조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며느리배꼽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며느리배꼽에서 유효성분을 추출한 천연 유래 추출물을 이용하여 피부에 부작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피부에 자극적이 않아 발적이 없는 안정하며, 엘라스타아제 활성을 저해함으로써 피부 주름 생성 및 노화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며느리배꼽을 메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의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피부는 외부 환경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며, 내부의 수분 및 유용 성분이 밖으로 유출되는 것을 막아주는 장벽기능, 체온조절, 배설 등 다양한 생리적 기능을 담당하고 있는 중요한 기관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나이가 들면서 이러한 기능들이 점차 약화되고 피부의 노화가 진행되며, 특히 피부 장벽의 기능을 수행하는 지질층의 지질 조성과 함량이 변화하면서 그 기능이 급격히 저하되어 피부 수분 함량이 감소하게 되면 피부가 건조해지고 기미, 주근깨, 색소 침착 및 다양한 피부 병변이 유발된다.
상기와 같은 피부의 주름 형성에 관련이 있는 결합 조직은 주로 콜라겐 섬유(collagen fiber), 세망섬유(reticular fiber), 엘라스틴 섬유(elastic fiber) 등의 섬유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진피 조직 내에 있는 콜라겐과 엘라스틴은 서로 긴밀하게 관련되어 작용함으로써 피부의 유연성과 탄력을 유지하게 하는 중요한 섬유 조직이다.
상기 콜라겐은 피부의 유연성을 주는 섬유 조직으로서 진피 조직의 약 70%를 차지하는 주요 구성 요소이며, 콜라겐 섬유의 폴리펩타이드 사슬은 섬유아세포의 과립형질세망 내에서 양끝에 확장펩타이드(telepeptide)를 가지고 있는 상태로 합성된 뒤, 3중 나선 구조로 조합된 프로콜라겐 형태로 세포 외로 분비된다.
이렇게 분비된 프로콜라겐은 특정 효소에 의해서 확장펩타이드가 절단되어 트로포콜라겐이 생성되고 이들은 세포외 기질에서 서로 조합되어 콜라겐 섬유가 합성되며, 콜라겐 섬유의 합성은 피부 노화가 진행되면서 급격히 감소하여, 또한 외부환경에 의해 콜라겐 섬유가 변형되면서 피부에 주름이 많이 생성되고 깊어지게 된다. 이러한 콜라겐의 분해에는 콜라겐 분해 효소인 콜라게나아제(collagenase)가 관여한다.
상기 엘라스틴은 콜라겐과 마찬가지로 피부의 탄력성을 좌우하는 주요 섬유 조직으로서 그 양은 약 2%정도로 콜라겐과 비교하여 적은 양이지만 표피를 지탱하는 연결망 조직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피부 탄력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은 엘라스틴은 엘라스타아제(Elastase)라는 분해 효소에 의하여 분해되며, 18~19세까지는 섬유아세포에 의하여 계속 생성되지만 그 이후부터는 생성이 중단되고 이미 생성된 엘라스틴만으로 피부 탄력을 담당해야 하므로 엘라스틴이 한번 약화되면 그 탄력성을 회복하기가 매우 어렵다.
즉, 엘라스틴 섬유의 결핍과 응집, 엘라스타아제의 활성도의 현격한 증가는 피부 주름 생성의 주요 요인이므로, 엘라스틴을 분해할 수 있는 유일한 효소로서 이에 대한 저해는 피부 주름 개선을 근본적으로 줄여 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며느리배꼽(Persicaria perfoliata)는 마디풀과에 딸린 덩굴성 한해살이풀로서, 턱잎 안에 열매가 들어 있는 모양이 배꼽을 닮았다고 해서 이름이 붙었으며, 며누리배꼽, 참가시덩굴여뀌라고도 불리운다.
상기 며느리배꼽은 길가나 빈터에서 흔하게 자라고, 줄기는 길이 2미터 정도 길게 뻗어 가지가 갈라지며 밑으로 난 가시가 있어 다른 물체를 타고 오르며, 잎은 삼각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길이 3~6㎝, 폭 3~8㎝로서 가장자리가 물결 모양이며 잎맥 위에 거슬러 난 잔가시가 있다. 또한 잎자루가 잎 아래에 붙고, 턱잎은 잎모양으로 푸르고 지름 2~3㎝의 둥굴고 얕은 깔때기 모양이며 줄기를 감싼다.
상기 며느리배꼽의 꽃은 7~9월에 피며 줄기와 가지 끝이나 잎겨드랑이에 술 모양 꽃차례로 달리고, 열매는 수과로 길이와 지름이 3㎜이고 난상 구형이며 약간 세모가 지고 윤기가 나며 남색이다. 다육질의 하늘색 꽃받침으로 싸여 있어 장과처럼 보이며 8~9월에 검게 익는다.
상기와 같은 며느리배꼽은 신맛이 나는 어린잎을 살짝 데쳐 나물로 무쳐먹을 수 있고, 꽃과 열매를 포함한 모든 부분을 약재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수작용이 있어 전신이 붓고 소변을 잘 못보는 증상에 효력이 있는 한편, 황달형간염, 설사, 이질에 쓰며 백일해, 피부가 벌겋게 되면서 화끈 달아오르고 열이 나는 증상 및 ㅅ습진 옴, 버짐에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며느리배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며느리배꼽 추출물은 며느리배꼽 잎, 줄기, 꽃 및 뿌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전초(식물의 전체) 추출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며느리배꼽 추출물은 건조된 며느리배꼽에 물,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중 어느 하나 또는 어느 하나 이상의 혼합 용매 추출물일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건조된 며느리배꼽에 메탄올 추출물을 사용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며느리배꼽 추출물은 작두를 사용하여 2~3 cm로 자른 며느리배꼽을 30~50℃의 온도에서 2~4일간 건조시킨 후, 400~600 g의 건중량에 75~85 중량% 메탄올을 넣고 초음파 기기를 이용하여 추출하고 여과하여 제조한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며느리배꼽 추출물은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0.001~97% 함유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01~20% 함유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며느리배꼽 추출물은 주름 개선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상기 주름 개선은 엘라스타아제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피부 탄력을 유지하는 단백질인 엘라스틴 분해를 방지하여 피부 탄력이 저하되지 않도록 하여 주름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 스킨 소프트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아이 크림, 모이스쳐 크림, 핸드크림,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클렌징 로션, 클렌징 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져, 비누 및 파우더 중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의 며느리배꼽 추출물에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 며느리배꼽 추출물 제조>
며느리배꼽(Persicaria perfoliata)의 추출물은 며느리배꼽 전초를 이용하였다. 며느리배꼽의 전초를 작두를 이용하여 2.54㎝ 정도로 고르게 자른 후, 건조 오븐에서 40℃로 3일간 건조시켰다. 약 500 g의 식물 건중량을 이용하여, 80 중량% 메탄올에서 초음파 기기를 이용하여 추출하였으며, 이들 액체를 멤브레인 필터(0.2 ㎛)에 통과시켜 여과한 후, 진공상태에서 용매를 제거하여 메탄올 추출물을 남겼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며느리배꼽의 구성성분 중 섬유소 등은 정제 과정을 통해 걸러지고, 며느리배꼽 추출물은 며느리배꼽의 미량성분을 주로 포함하는 메탄올 추출물이 된다. 사용한 모든 용매들은 분석용 등급으로써, Sigma-Aldrich(미국)나 Merck(미국)에서 구입하였다.
<실험예 : 주름 개선 효과 검증>
엘라스타아제(Elastase) 저해 활성 측정
50 mM Tris-Cl buffer (pH 8.5)에 농도별로 희석한 시료를 첨가한 후 50mM Tris-Cl buffer (pH 8.5) 에 기질 1㎎/㎖ N-succinyl-(Ala)3-p-nitroanilide를 첨가하였다. 0.6U/㎖ porcine pancreas elastase (PPE)를 첨가하여 잘 섞은 후 25℃에서 반응시켜 405㎚에서 ELISA reader를 이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양성대조군으로 우르솔산(ursolic acid)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 며느리배꼽 추출물의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
엘라스타아제는 진피 내 피부 탄력을 유지하는 기질 단백질인 엘라스틴의 분해에 관여하며, 엘라스틴을 분해할 수 있는 비특이적 가수분해효소이다. 또한, 체내의 엘라스틴을 분해하는 백혈구 과립 효소 중의 하나로 이상조직에서는 활성이 높아져 조직파괴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며, 피부의 주름 및 탄력성 소실 등을 유발한다. 따라서 엘라스타아제 저해제는 피부의 주름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며느리배꼽을 메탄올로 추출한 추출물의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 검증을 위해, 100, 500 및 1000 ㎍/㎖ 농도의 엘라스타아제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며느리배꼽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이 증가함을 확인하였고, 100㎍/㎖ 농도에서는 양성대조구인 우르솔산과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표 1, 도면 1)
샘플 엘라스타아제 저해활성 IC50(㎍/㎖)
며느리배꼽 추출물 <100
우르솔산(ursolic acid) 43.3
이러한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며느리배꼽 추출물은 피부 주름 개선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6)

  1. 며느리배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며느리배꼽 추출물은
    며느리배꼽 잎, 줄기, 꽃 및 뿌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며느리배꼽 추출물은
    물,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중 어느 하나 또는 어느 하나 이상의 용매로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며느리배꼽 추출물은
    엘라스타아제 활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 스킨 소프트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로션, 영양로션,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아이 크림, 모이스쳐 크림, 핸드크림,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클렌징폼, 클렌징 워터, 클렌징 로션, 클렌징 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져, 비누 및 파우더 중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 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보조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60021045A 2016-02-23 2016-02-23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0990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1045A KR20170099096A (ko) 2016-02-23 2016-02-23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1045A KR20170099096A (ko) 2016-02-23 2016-02-23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9096A true KR20170099096A (ko) 2017-08-31

Family

ID=59761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1045A KR20170099096A (ko) 2016-02-23 2016-02-23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9909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58949A (zh) * 2018-03-05 2018-06-15 贵州泛特尔细胞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抗衰除皱精华液及其制备方法
KR20190075192A (ko) * 2017-12-20 2019-07-01 재단법인 홍천메디칼허브연구소 며느리밑씻개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2030803A1 (ko) * 2020-08-07 2022-02-10 재단법인 전남바이오산업진흥원 며느리밑씻개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노화방지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5192A (ko) * 2017-12-20 2019-07-01 재단법인 홍천메디칼허브연구소 며느리밑씻개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8158949A (zh) * 2018-03-05 2018-06-15 贵州泛特尔细胞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抗衰除皱精华液及其制备方法
WO2022030803A1 (ko) * 2020-08-07 2022-02-10 재단법인 전남바이오산업진흥원 며느리밑씻개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노화방지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129428A1 (ja) ウメ抽出物を含む、化粧用組成物
US8557795B2 (en) Composition containing Chamaecyparis obtusa polysaccharides to be externally applied to the skin
JP2013502380A (ja) 皮膚清澄複合体、前記複合体の使用、前記複合体を含む化粧又は医薬組成物及びその適用のための方法
EP1003538B1 (fr) Utilisation d&#39;extraits de polygonatum pour stimuler la synthese de l&#39;elastine cutanee
KR101853743B1 (ko) 음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20129600A (ko) 양파, 컴프리, 한련초 및 카카오 추출물을 함유하는 탄력 증진 및 주름 개선 화장용 조성물
FR2755367A1 (fr) Utilisation d&#39;un extrait de potentille erecta dans le domaine de la cosmetique et de la pharmacie, notamment de la dermatologie
KR102063686B1 (ko) 콩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70099096A (ko)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6437297B2 (ja) 特定の波長域を有する光を照射して栽培したセージの抽出物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や内用剤
KR101639578B1 (ko) 바실씨앗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26179B1 (ko)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JPH1160496A (ja) ヒアルロン酸産生能増強剤
KR101095609B1 (ko) 미백 복합물을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678864B1 (ko) 천궁 추출물 및 카르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44947B1 (ko) 천궁 추출물 및 프로테아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JP5689552B1 (ja) 特定の波長域を有する光を照射して栽培したカモミールの抽出物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や内用剤。
KR20040052318A (ko) 암백채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103604A (ko) 피부보호 및 개선용 조성물
KR100678865B1 (ko) 상지 추출물 및 카르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13557B1 (ko) 상지 추출물 및 헥사노일트리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FR3030273A1 (fr) Composition comprenant un extrait de lotus, un extrait d&#39;hamamelis et du zinc, et son utilisation cosmetique
KR101131488B1 (ko)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89234A (ko) 왕호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79244B1 (ko) 배롱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