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9234A - 왕호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왕호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9234A
KR20150089234A KR1020140009615A KR20140009615A KR20150089234A KR 20150089234 A KR20150089234 A KR 20150089234A KR 1020140009615 A KR1020140009615 A KR 1020140009615A KR 20140009615 A KR20140009615 A KR 20140009615A KR 20150089234 A KR20150089234 A KR 201500892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skin wrinkles
cream
impr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9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4248B1 (ko
Inventor
성준엽
박성하
박병준
김진준
Original Assignee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콜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9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4248B1/ko
Publication of KR20150089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92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42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42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0Polygonaceae (Buckwheat family), e.g. spineflower or do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왕호장(Reynoutria sachalinensi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왕호장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자외선 회복 효능이 우수하고, 자외선에 의한 주름 생성의 원인이 되는 MMP-1 콜라겐 분해효소를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며,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화장료 베이스에 첨가하였을 때 피부 주름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피부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왕호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Reynoutria sachalinensis extracts for skin anti-wrinkle effect}
본 발명은 왕호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외선 회복 효능이 우수하고, 자외선에 의한 주름 생성의 원인이 되는 MMP-1 콜라겐 분해효소를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며,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화장료 베이스에 첨가하였을 때 피부 주름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왕호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노화는 생명의 필수불가결한 부분이다. 모든 생명체는 동물이든 식물이든 태어나면서부터 노화의 길로 들어선다. 위생과 보건 의료 덕택에 인간 수명은 지난 세기 동안 상당히 연장되었다. 그 결과로서 노인 비율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노화의 과정은 신체의 전 기관에서 일어나는데 노화와 더불어 고혈압, 만성 관상 동맥 질환이나 당뇨와 같은 질병 등과 같이 장기들의 생리적 기능이 변화되어 간다. 피부 역시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노화가 진행된다.
피부 노화는 크게 생물학적인 과정에 의해 시간이 지나면서 누구에게나 나타나는 내인성 노화와 햇볕과 같은 환경요인에 지속적으로 노출되어 얼굴, 목, 손등 등에 나타나는 광노화로 분류할 수 있다. 내인성 노화와 광노화 모두 유해한 활성 산소에 의해 우리 몸의 구성 성분에 생기는 손상 누적이 원인이라는 점에서 동일하나 광노화는 이 활성산소가 자외선에 의해 만들어진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자외선은 피부 노화의 주요 원인으로 파장의 길이에 따라 UVA(320~400nm), UVB(280~320nm), UVC(200~280nm)로 나뉘는데, 지구 대기의 오존층이 UVC를 흡수하게 되어 피부에 직접 닿는 파장은 UVA와 UVB가 된다. 이 중, UVA는 진피층까지 깊숙히 침투하여 피부 탄력을 유지하는 콜라겐을 생성하는 섬유아세포를 손상시키는 가장 큰 원인이 되며, 피부 내에 프리라디칼을 활성화 시켜 생체 내 항산화 방어망을 파괴하고 세포와 조직을 손상시키는데 이때 피부의 주요 구성물질인 지질과 단백질, 다당류 등이 산화되게 된다. 그 중 단백질의 산화는 콜라겐과 같은 피부 결합조직을 분해하며, 심할 경우 암을 유발하거나 면역기능 저하를 촉발한다. 생체 내 프리라디칼의 활성화는 활성 산소에 의해 콜라겐을 분해하는 효소인 기질금속단백질분해효소(MMP; matrix metalloprotease)를 증가시켜 세포외기질의 분해를 가속화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피부 탄력이 감소하여 주름이 형성된다.
그러므로 주름 형성 억제를 위한 광범위한 노력이 행해지고 있으며 대표적인 콜라겐 분해 억제제로 EGCG(Epigallocatechin gallate), 레티노이드 및 그 유도체 등이 있으나 제형상 안정성의 문제점 등으로 인해 이를 대체할 새로운 천연 물질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옛날에는 화학 성분의 화장품이 대세였지만 최근에는 웰빙 시대의 도래로 피부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어 자극이 심한 화학 성분의 화장품보다 저자극성이면서 화장료로서의 효능을 기대할 수 있는 다양한 식물 추출물을 사용한 기능성 화장품(Cosmeceuticals)들이 제조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피부에 자극이 있는 화학 성분을 대체하기 위하여 저자극성이면서 주름 개선 효능을 나타낼 수 있는 식물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품 조성물에 관련된 종래 특허로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 10-0429590 호「감태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한국등록특허공보 제 10-0670238 호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및 그 제조방법」, 한국공개특허공보 제 10-2007-0111025 호 「녹두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화장료 조성물」, 한국등록특허공보 제 10-1009766 호「하고초 추출물 및 개사철쑥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등이 다수 존재한다. 그러나 아직까지 왕호장(Reynoutria sachalinensis)의 추출물을 주요성분으로 포함한 화장료 조성물은 존재하지 않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 10-0429590 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 10-0670238 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 10-2007-0111025 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 10-1009766 호
본 발명자들은 다양한 천연 식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피부 주름개선 효과가 우수한 피부 주름개선 화장료를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왕호장(Reynoutria sachalinensis) 추출물을 사용하는 경우 자외선에 의한 섬유아세포의 생존율 개선 효과가 현저하게 상승되고, MMP-1 콜라겐 분해효소를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며,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화장료 베이스에 첨가하였을 때 피부 주름개선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 주름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왕호장 추출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술한 왕호장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은 왕호장(Reynoutria sachalinensi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왕호장은 지상부, 꽃, 잎, 줄기, 뿌리, 열매, 종자 및 전초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왕호장 추출물은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이다.
상기 유기용매는 탄소수가 1 내지 30개의 탄화수소화합물, 탄화수소유도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기용매이다.
상기 왕호장 추출물은 45~120℃에서 30분~24시간 가열하여 가온 추출하거나, 5~40℃에서 30분~15일간 침지하여 진탕 추출하는 방법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추출 방법을 사용하여 추출된다.
상기 왕호장 추출물은 피부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1~30중량% 포함한다.
상기 왕호장 추출물은 자외선 회복 효능 및 MMP-1 콜라겐 분해효소 억제 효능을 갖는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아이크림, 에센스,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바디크림,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파우더 및 팩 중 어느 하나이다.
본 발명의 왕호장(Reynoutria sachalinensis) 추출물은 자외선 회복 효능이 우수하고, 자외선에 의한 주름 생성의 원인이 되는 MMP-1 콜라겐 분해효소를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여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상기 왕호창 추출물을 화장료 베이스에 첨가하였을 때 피부탄력이 비약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주름의 면적 또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줄어들어 피부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로서의 효과가 우수하다.
도 1은 왕호장 추출물의 MMP-1 억제 효능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왕호장(Reynoutria sachalinensi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추출물'이라 함은 왕호장(Reynoutria sachalinensis)을 용매를 이용하여 가온 추출하거나, 유기용매에 침지하여 추출하는 방법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추출 방법을 사용하여 추출한 다음, 여과하여 추출물을 수득하거나, 또는 여과한 후 회전 진공 증발기(Rotary vacuum evaporator)로 농축함으로써 용매를 최대한 증발시킨 후 동결 건조하여 수득한 추출물을 의미한다.
왕호장(Reynoutria sachalinensis)은 쌍떡잎식물 이판화군 마디풀목 마디풀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산지의 계곡에서 자란다. 줄기는 곧고 높이가 2~3미터이며, 원주형으로 속이 비어 있고 녹색이지만 햇빛이 닿은 부분은 붉어진다. 어린순은 죽순처럼 생겼다. 어린 줄기에 호피 모양으로 자주색 반점이 퍼져 있다. 잎은 어긋나고 삼각형의 달걀 모양으로 호장근보다 크고 뒷면에 흰빛이 돈다. 덩이줄기는 굵고 널리 퍼지는데 겉은 갈색, 안쪽은 누런색이다. 암수딴그루로 꽃은 8~9월에 잎겨드랑이와 가지 끝에 흰색으로 피며 단성화이다. 열매는 수과(瘦果)를 맺는다. 뿌리줄기는 이뇨제, 통경제로 쓰이고 한국의 울릉도와 일본, 러시아의 사할린 등지에 분포하고, 호장근보다 훨씬 크기 때문에 왕호장이라 부른다. 겉으로 보기에 호장근과 비슷하지만 보다 크고 잎의 밑부분이 심장의 밑처럼 생겼으며 뒷면에 흰빛이 도는 것이 다르다.
왕호장(Reynoutria sachalinensis)은 혈액순환을 촉진시켜 어혈(瘀血)을 풀어주며 월경폐색 동통을 치료하고 풍한습이 경락에 정체되어 나타난 사지마비동통, 타박상 등에 활용된다. 습열이 쌓여서 발생한 황달, 담낭결석과 대하에도 응용되며 종기나 피부가 헐어 생긴 발진에 내복하고, 외용으로는 뱀에 물린 데나 불이나 뜨거운 물에 데였을 때 등에 생것을 짓찧어 환부에 붙여 치료한다. 또한, 지혈작용이 있어서 치질출혈 또는 외상출혈에 쓰이고 열을 내리고 변비를 다스리며 녹농균 감염증 치료에 쓰여 항균, 항바이러스작용, 사하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이에 대한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으로 이용 될 수 있으나 아직까지 주름개선 화장품으로서 사용될 수 있음을 보고한 사례가 없다. 따라서 상기의 식물에 대한 연구 수행하던 중, 왕호장 추출물이 자외선 회복 및 콜라겐 분해 효소 억제 효능이 뛰어난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에 착안하여 피부 주름개선 활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왕호장은 지상부, 꽃, 잎, 줄기, 뿌리, 열매, 종자 및 전초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왕호장은 왕호장을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추출용매에 넣어 45~120℃에서 30분~24시간 가열하여 가온 추출하거나, 5~40℃에서 30분~15일간 침지하여 진탕 추출하는 방법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추출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추출물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용매는 탄소수가 1 내지 30개의 탄화수소화합물, 탄화수소유도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기용매일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의 중량은 각별히 한정이 있는 것은 아니나, 왕호장 식물 대비 과소량을 사용하면 추출물이 충분히 추출될 수 없고, 과다량을 사용하면 추출용매를 제거하고 건조 추출물을 얻는 데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게 된다. 이때, 가온 추출을 할 경우 왕호장 시료가 충분히 포함되도록 하고, 추출 효율을 높이기 위해 가온된 상태로 추출을 행하는 것이 필요하며, 온도가 너무 낮으면 가온의 이점을 충분히 살리기 어렵고 많은 시간을 추출해야 하며, 온도가 너무 높으면 유용물질의 분해가 생길 수 있다. 또한, 진탕 추출 할 경우 상온에서 추출할 수 있으며, 분말 상태의 시료를 충분한 시간, 가령 3일 정도의 시간 동안 충분한 추출용매에 침지하여 추출이 충분히 이루어지도록 하며, 추출이 충분하지 못한 경우 반복 공정을 통하거나 추출 시간을 증가시켜 추출량을 늘릴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부터 추출된 왕호장은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1~30중량%를 포함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1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왕호장 추출물이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1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피부 주름개선의 활성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기 때문에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로서의 기능이 떨어지고, 3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그 이상을 함유하지 않아도 충분한 효능을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비경제적이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부터 제조된 왕호장 추출물은 현저한 자외선 회복 효능 및 MMP-1 콜라겐 분해효소 억제 효능을 나타내어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하고, 상기 왕호창 추출물을 화장료 베이스에 첨가하였을 때 피부탄력이 비약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주름의 면적 또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줄어들어 피부 주름개선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왕호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아이크림, 에센스,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바디크림,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파우더 및 팩 중 어느 하나에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 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물을 추출용매로 이용한 추출물의 제조
왕호장(Reynoutria sachalinensis)을 각각 그 부위별로 전초, 지상부, 꽃, 잎, 줄기, 뿌리, 열매, 종자 시료로 각각 0.1kg 준비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왕호장 시료를 중량대비 5배의 정제수에 넣고 105℃에서 5시간 가온 추출하였다. 추출공정이 종료되면 거름종이(Whatman paper No. 1)로 거르고, 0.45㎛의 멤브레인 필터(TF-450, 60173, PALL Life Sciences)로 재여과한 후 다음으로 물을 제거하기 위해 우선 회전 진공 증발기(Rotary vacuum evaporator)로 농축하고 이어서 동결 건조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로써 물로 추출한 왕호장의 전초 추출물 9.21g, 지상부 추출물 8.07g, 꽃 추출물 8.66g, 잎 추출물 10.13g, 줄기 추출물 9.24g, 뿌리 추출물 7.87g, 열매 추출물 8.80g, 종자 추출물 7.19g을 얻었다.
실시예 2: 메탄올을 추출용매로 이용한 추출물의 제조
왕호장(Reynoutria sachalinensis)을 각각 그 부위별로 전초, 지상부, 꽃, 잎, 줄기, 뿌리, 열매, 종자 시료로 각각 0.1kg 준비하였다. 다음으로 왕호장 시료 0.1kg에 대한 3배의 추출용매(메탄올)를 가하여 25℃에서 72시간 동안 진탕 추출하는 공정을 3회 진행한 뒤 추출액을 거름종이로 여과하고 0.45㎛의 멤브레인 필터(Suporㄾ-450, 60173, PALL Life Sciences)로 재여과한 후, 회전 진공 증발기(rotary vacuum evaporator)로 농축하고 동결 건조하여 메탄올로 추출한 왕호장의 전초 추출물 8.11g, 지상부 추출물 7.46g, 꽃 추출물 7.01g, 잎 추출물 8.76g, 줄기 추출물 8.98g, 뿌리 추출물 7.09g, 열매 추출물 8.11g, 종자 추출물 8.26g을 얻었다.
실시예 3: 헥산을 추출용매로 이용한 추출물의 제조
왕호장(Reynoutria sachalinensis)을 각각 그 부위별로 전초, 지상부, 꽃, 잎, 줄기, 뿌리, 열매, 종자 시료로 각각 0.1kg 준비하였다. 다음으로 왕호장 시료 0.1kg에 대한 50배의 추출용매(헥산)를 가하여 25℃에서 5일 동안 진탕 추출하는 공정을 1회 진행한 뒤 추출액을 거름종이로 여과하고 0.45㎛의 멤브레인 필터(Suporㄾ-450, 60173, PALL Life Sciences)로 재여과한 후, 회전 진공 증발기(rotary vacuum evaporator)로 농축하고 동결 건조하여 헥산으로 추출한 왕호장의 전초 추출물 10.87g, 지상부 추출물 10.55g, 꽃 추출물 11.19g, 잎 추출물 10.56g, 줄기 추출물 9.13g, 뿌리 추출물 9.12g, 열매 추출물 9.01g, 종자 추출물 8.43g을 얻었다.
실시예 4: 부틸렌글리콜을 추출용매로 이용한 추출물의 제조
왕호장(Reynoutria sachalinensis)을 각각 그 부위별로 전초, 지상부, 꽃, 잎, 줄기, 뿌리, 열매, 종자 시료로 각각 0.1kg 준비하였다. 다음으로 왕호장 시료 0.1kg에 대한 10배의 추출용매(부틸렌글리콜)를 가하여 25℃에서 5일 동안 진탕 추출하는 공정을 1회 진행한 뒤 추출액을 거름종이와 멤브레인 필터(TF-450, 60173, PALL Life Sciences)로 여과하여 부틸렌글리콜로 추출한 왕호장의 전초 추출물 0.711kg(고형분 약 1.8%), 지상부 추출물 0.816kg(고형분 약 1.8%), 꽃 추출물 0.755kg(고형분 약 1.7%), 잎 추출물 0.760kg(고형분 약 2.0%), 줄기 추출물 0.955kg(고형분 약 2.2%), 뿌리 추출물 0.851kg(고형분 약 3.3%), 열매 추출물 0.757kg(고형분 약 3.2%), 종자 추출물 0.981kg(고형분 약 1.4%)을 얻었다.
실험예 1: 자외선 회복 효능 1
상기 실시예 1 내지 4의 방법으로 얻어진 왕호장 추출물의 자외선 회복 효과를 측정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왕호창 추출물들에 대한 세포독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사람 섬유아세포를 37℃, CO2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그 후, 배양액을 제거하고 PBS(Phosphate buffered saline)로 세척한 후, PBS를 넣고 자외선조사기기(UV irradiator system)를 이용하여 자외선을 조사하고 상기 왕호장 추출물을 각각 농도별로 처리한 다음 같은 배양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배양이 끝난 후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solution 시약을 well에 넣고 37℃에서 배양하였다. 그 후 배양액을 제거하고 DMSO(Dimethyl sulfoxide)를 넣고 적당히 흔들어 준 뒤 마이크로플레이트계수기(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흡광도 결과를 측정하였다. 또한 시험결과의 비교를 위해 양성대조구로 100㎍/㎖ 농도의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을 사용하였다.
자외선 회복 효능에 대한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시료(100㎍/㎖) UVA 양성대조구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자외선회복효능
(%)
전초 56 68 85 91 72 78
지상부 56 68 88 86 90 75
56 68 63 60 54 56
56 68 70 85 87 62
줄기 56 68 75 90 93 90
뿌리 56 68 73 96 71 92
열매 56 68 86 97 75 80
종자 56 68 75 81 66 82
그 결과,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가장 우수한 자외선 회복효능을 나타내고 있는 실시예 2를 선정하여 세포독성을 측정하였다.
실험예 2: 세포 독성 시험(Neutral red assay)
상기 실시예 2의 방법으로 얻어진 왕호창 추출물의 세포독성을 측정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왕호창 추출물에 대한 세포독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사람 섬유아세포를 37℃, CO2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배양 후 상기 왕호장 추출물을 각각 농도별로 처리한 후 같은 배양 조건에서 더욱 배양하였다. 배양이 끝난 후 MTT solution 시약을 넣고 배양하고, 그 후 배양액을 제거하고 DMSO(Dimethyl sulfoxide)를 넣고 적당히 흔들어 준 뒤 마이크로플레이트계수기(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다.
여기서, 세포독성실험에서의 대조구는 상기 추출물을 넣지 않은 blank를 의미한다.
시료(㎍/㎖) 부위 대조구 1 5 10 25 50 75 100
실시예 2
증식률(%)
전초 100 99.00 96.87 95.13 90.25 - - -
지상부 100 98.46 100.07 96.31 94.09 - - -
100 103.33 99.94 100.62 94.11 89.38 - -
100 101.01 97.70 96.65 92.78 86.57 - -
줄기 100 105.52 104.51 100.77 96.34 - - -
뿌리 100 109.75 104.05 95.92 - - - -
열매 100 98.66 95.12 93.98 91.23 - - -
종자 100 99.46 97.97 95.08 - - - -
* -: 세포 독성을 나타냄
그 결과,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실시예 2의 왕호장 전초, 지상부, 줄기, 그리고 열매 추출물에서 25㎍/㎖ 이하의 농도를 세포에 처리하였을 경우 독성을 나타내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왕호장 꽃과 잎 추출물에서 50㎍/㎖, 왕호장 뿌리와 종자 추출물에서는 10㎍/㎖ 이하의 농도에서 독성을 나타내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자외선 회복 효능 2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최대 농도를 기준으로 왕호장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자외선 회복 효능을 상기 실험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시료(㎍/㎖) UVA 대조구 50 25 10 5 1







(%)
전초 51 60 - 63 61 55 47
지상부 51 60 - 67 60 52 46
51 60 59 60 49 46 50
51 60 70 62 59 50 52
줄기 51 60 - 53 54 50 43
뿌리 51 60 - - 73 66 62
열매 51 60 - 94 83 60 51
종자 51 60 - - 70 64 53
* -: 세포 독성을 나타냄
그 결과,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실시예 2의 왕호장 열매 추출물의 경우, 자외선 회복 효능이 농도 유의적으로 증가함으로써 매우 우수한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대조구인 아스코르브산(100㎍/㎖)의 경우, 60%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4: MMP-1 억제 효능 측정
상기 표 3에서 가장 우수한 효능을 나타낸 실시예 2인 왕호장의 부위 중 열매에 대하여 콜라겐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Western blot 방법을 사용하여 추출물에 의한 MMP-1 억제 효능을 알아보았다. 사람 섬유아세포를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양액을 제거하고 PBS(Phosphate buffered saline)로 세척한 후, 다시 PBS를 넣고 자외선조사기기(UV irradiator system)를 이용하여 UVA를 조사하였다. 그 후, 상기 왕호장 열매 추출물을 각각 농도별로 처리하고 같은 배양 조건에서 배양하였으며, 세포를 모으고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제거하였다. Pellet에 Pro-PREPTM Solution(Intron)으로 현탁 시킨 후 다시 고속으로 원심분리하여 상등액 수거하여 세포의 단백질을 획득하였다. 다음, Western blot을 수행하기 위해 샘플을 마커와 함께 전기영동을 하였다. 완료 후 겔을 분리하여 멤브레인으로 단백질을 이송하였으며 Blocking 후, MMP-1(Matrix metalloproteinase 1)(R&D Systems)과 Actin(Santacruz) 1차 항체를 처리하고 Tween 20을 첨가한 TBS(Tris buffered saline)로 세척을 실시하였다. 세척 후에는 2차 항체를 처리 하였으며, Chemiluminescent horseradish peroxidase substrate(Immobilon, Millipore)를 넣고 Chemidoc(Atto corporation) 기기와 CS Analyzer(Atto corporation) 이미지 분석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단백질의 밴드를 확인하였다.
또한, 시험결과의 비교를 위해 양성대조구로 10μM 농도의 EGCG(Epigallocatechin gallate)를 사용하였다.
왕호장 추출물의 MMP-1 억제효능을 측정한 결과는 도 1 및 표 4와 같다.
시료(㎍/㎖) 대조구 실시예2(왕호장 열매 추출물)
25 10 5
MMP-1 inhibition activity (%) 40 72 65 47
그 결과, 도 1 및 표 4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2의 왕호장 열매 추출물은 자외선에 의한 주름 생성의 원인이 되는 MMP-1 콜라겐 분해효소를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는 유의성을 나타내며, 25㎍/㎖ 처리시 대조구보다 주름개선 효과가 월등히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이하는 각 화장품 제형에 있어서 왕호장 추출물을 함유하여 주름개선 효과를 갖는 제형으로서의 화장료 조성예를 보여주며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추출물은 효과가 가장 좋은 실시예 2의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처방예 1: 유연화장수
실시예 2의 왕호장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유연화장수의 처방예는 하기 표 5와 같다.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2 0.05
폴리옥시에칠렌경화피마자유 0.5
글리신 3.0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0.1
1,3-부틸렌 글리콜 3.0
소듐히아루로네이트 0.1
에탄올 5.0
항산화제 0.1
트리에탄올아민 0.1
EDTA 0.1
방부제 0.05
정제수 To 100
소듐히아루로네이트는 정제수에 프로펠러믹서 3000rpm으로 분산하여 1% solution 으로 준비하였다. 수상 용해조에 원료 1~8을 프로펠러믹서 500rpm으로 균일화 및 75℃ 가온 하여 완전 용해 한 후,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별도 용해조에 원료 9~11을 완전 용해 하여 상기 수상 용해조에 투입 한 후, 교반 혼합하였다. 여기에 실시예 2의 왕호장 열매 추출물을 투입하여 충분히 교반 혼합하여, 실시예 2의 추출물을 함유한 유연화장수를 제조 하였다.
처방예 2: 영양 화장수
실시예 2의 왕호장 추출물을 하나 이상 함유한 화장료 중 영양화장수의 처방예는 하기 표 6과 같다.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2 0.05
글리세린 7.0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슈크로오즈코코에이트 2.0
미네랄 오일 4.0
트리옥타노인 1.0
스테아릭에씨드 1.0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0.5
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1.0
디메치콘 0.5
항산화제 0.3
트리에탄올아민 0.1
카보머 0.2
EDTA 0.1
방부제 0.05
정제수 To 100
카보머는 정제수에 프로펠러믹서 4000rpm으로 분산하여 2% solution으로 준비하였다. 수상용해조에 원료 1~6을 투입하여 호모 2000rpm으로 교반하여 분산 후, 75℃까지 가온하였다. 유상 용해조에 원료 7~13을 투입하여 75℃까지 가온 용해하였다. 수상 용해조에 용해된 유상을 투입하여 유화(3000rpm/5분) 시킨 후,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여기에 실시예 2의 왕호장 열매 추출물을 투입하여 충분히 교반 혼합하여, 실시예 2의 추출물을 함유한 영양화장수를 제조 하였다.
처방예 3: 에센스
실시예 2의 왕호장 추출물을 하나 이상 함유한 화장료 중 에센스의 처방에는 하기 표 7과 같다.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2 0.05
글리세린 5.0
1,3-부틸렌 글리콜 2.0
폴리에칠렌 글리콜 2.0
카보머 1.0
소듐히아루로네이트 0.1
글리신 3.0
폴리아크릴아마이드 2.0
히드록시에칠셀룰로이즈 0.2
에탄올 3.0
항산화제 0.3
트리에탄올아민 0.1
폴리옥시에칠렌경화피마자유 1.0
EDTA 0.1
방부제 0.05
정제수 To 100
소듐히아루로네이트, 히드록시에칠셀룰로이즈는 각각 정제수에 프로펠러믹서 2000rpm으로 분산하여 1% solution으로 준비하였다. 카보머는 정제수에 프로펠러믹서 4000rpm으로 분산하여 2% solution으로 준비하였다. 수상 용해조에 원료 1~12를 투입하여, 호모 2000rpm으로 교반하여 분산 후, 75℃까지 가온하였다. 가온 된 수상을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별도의 용해조에 원료 13~15를 완전 용해 시킨 후, 상기 수상 용해조에 투입하여 교반 혼합하였다. 여기에 실시예 2의 왕호장 열매 추출물을 투입하여 충분히 교반 혼합하여, 실시예 2의 추출물을 함유한 에센스를 제조 하였다.
처방예 4: 영양크림
실시예 2의 왕호장 추출물을 하나 이상 함유한 화장료 중 영양크림의 처방예는 하기 표 8과 같다.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2 0.05
1,3-부틸렌글리콜 3.0
글리세린 3.0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레시친 1.0
옥틸도데카놀 3.0
트리옥타노인 2.0
스테아릭에씨드 1.5
세토스테아릴알콜 2.0
폴리솔베이트60 1.5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2.0
디메치콘 3.0
항산화제 0.3
산탄검 0.2
트리에탄올아민 0.1
EDTA 0.1
방부제 0.05
정제수 To 100
수상용해조에 원료 1~8을 투입하여 호모 2000rpm으로 교반하여 분산 후, 75℃까지 가온하였다. 유상 용해조에 원료 9~16을 투입하여 80℃까지 가온 용해하였다. 수상 용해조에 용해된 유상을 투입하여 유화(3000rpm/10분) 시킨 후,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여기에 실시예 2의 왕호장 열매 추출물을 투입하여 충분히 교반 혼합하여, 실시예 2의 추출물을 함유한 영양크림을 제조 하였다.
실험예 5: 피부 주름개선 효과
상기 실험에서 나타난 주름개선 효과가 실제적으로 사람의 피부 주름개선에 도움을 주는 지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2가 함유된 처방예 4에 대하여 인체 적용시험을 실시하였다. 모든 시험은 피시험자 10명(대조구 5명, 시험구 5명)으로 진행되었고 모두 여성으로 연령은 평균 37세로 구성되었다. 20~24℃, 습도 45~55%인 항온항습실에서 진행되었고 세안 후 항온항습실에서 최소 1시간 이상 적응 시킨 후 측정하였다. 피부탄력도 측정은 제품을 사용하기 전과, 사용 4, 8 및 12주 후에 피부탄력측정기(Cutometer MPA 580)를 이용하여 정확성을 위해 10회 이상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하였다. 주름 개선도 측정은 역시 사용전과, 사용 4, 8 및 12주 후에 로보스킨 분석기(Roboskin analyser) 장비를 이용하여 피험자의 눈가를 중심으로 주름의 그림자 면적을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사용전 4주 8주 12주
대조구 시험구 대조구 시험구 대조구 시험구 대조구 시험구
전초 피부탄력도(E/mm) 0.12 0.14 0.11 0.16 0.14 0.25 0.15 0.26
% 면적 37.3 39.6 35.6 33.7 33.7 32.1 35.8 32.6
지상부 피부탄력도(E/mm) 0.10 0.19 0.09 0.16 0.15 0.23 0.16 0.22
% 면적 39.9 42.3 41.6 37.5 43.0 34.6 36.8 37.1
피부탄력도(E/mm) 0.08 0.12 0.09 0.16 0.16 0.08 0.18 0.22
% 면적 32.5 29.6 35.1 32.3 30.0 35.6 28.4 34.2
피부탄력도(E/mm) 0.08 0.11 0.14 0.20 0.16 0.26 0.24 0.29
% 면적 41.2 45.8 37.7 48.0 38.8 40.1 37.3 32.5
줄기 피부탄력도(E/mm) 0.18 0.15 0.13 0.22 0.20 0.27 0.18 0.19
% 면적 35.6 34.0 36.9 31.2 30.7 33.3 32.5 39.4
뿌리 피부탄력도(E/mm) 0.09 0.13 0.08 0.09 0.15 0.21 0.15 0.24
% 면적 44.2 46.8 38.3 42.0 41.2 43.5 41.6 37.7
열매 피부탄력도(E/mm) 0.12 0.15 0.15 0.26 0.16 0.32 0.17 0.41
% 면적 38.7 40.9 40.5 37.7 41.4 31.2 36.9 21.8
종자 피부탄력도(E/mm) 0.12 0.12 0.16 0.20 0.18 0.24 0.20 0.26
% 면적 28.6 27.4 36.4 34.1 32.6 31.7 33.0 21.3
왕호장의 부위별 추출물이 함유된 처방예 4에 대한 피부 주름개선 효과 측정 결과, 가장 우수한 효능을 나타낸 왕호장 열매의 경우, 12주 경과시 피부탄력이 비약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주름의 면적 또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줄어드는 것을 알 수 있어 피부 주름개선에 도움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수행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왕호장(Reynoutria sachalinensi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왕호장은 지상부, 꽃, 잎, 줄기, 뿌리, 열매, 종자 및 전초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왕호장 추출물은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는 탄소수가 1 내지 30개의 탄화수소화합물, 탄화수소유도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기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왕호장 추출물은 45~120℃에서 30분~24시간 가열하여 가온 추출하거나, 5~40℃에서 30분~15일간 침지하여 진탕 추출하는 방법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추출 방법을 사용하여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왕호장 추출물은 피부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1~30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왕호장 추출물은 자외선 회복 효능 및 MMP-1 콜라겐 분해효소 억제 효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아이크림, 에센스,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바디크림,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파우더 및 팩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40009615A 2014-01-27 2014-01-27 왕호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742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9615A KR101574248B1 (ko) 2014-01-27 2014-01-27 왕호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9615A KR101574248B1 (ko) 2014-01-27 2014-01-27 왕호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9234A true KR20150089234A (ko) 2015-08-05
KR101574248B1 KR101574248B1 (ko) 2015-12-03

Family

ID=53885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9615A KR101574248B1 (ko) 2014-01-27 2014-01-27 왕호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42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7444A (ko) 2019-03-08 2020-09-16 주식회사 위노바 천연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항산화 및 주름개선용 피부화장료 조성물
KR102599295B1 (ko) 2023-09-01 2023-11-06 이상협 호장근, 보골지(바쿠치올) 및 뽕나무잎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39618B2 (ja) * 1999-05-13 2006-11-01 株式会社ノエビア エラスターゼ阻害剤、及びこれを含有して成る老化防止用皮膚外用剤
JP2013028580A (ja) * 2011-07-26 2013-02-07 Makoto Kaneko オオイタドリの雄花の抽出液を使用した化粧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4248B1 (ko) 2015-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8916B1 (ko) 피부 생기 부여 및 활력 증대를 위한 식물세포 컴플렉스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25031B1 (ko) 유자씨 및 망고씨 혼합오일을 함유하는 피부 자극완화 및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87308B1 (ko) 황칠나무 발효산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0443588B1 (ko) 목단피추출물과 자귀나무추출물을 함유하는 노화방지화장료 조성물
KR101664025B1 (ko) 천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16489B1 (ko) 상동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98530B1 (ko) 아쿠아포닉스 재배기술을 이용한 병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74556B1 (ko) 둥근마, 신선초, 오크라 및 토란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조성물
KR102343166B1 (ko) 티트리잎, 쑥, 메밀 및 카프릴로일살리실릭애씨드를 함유한 항산화, 항염, 피부진정, 재생, 탄력 및 보습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22092B1 (ko) 알로에베라 잎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열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02012B1 (ko) 산딸나무, 찔레나무, 비자나무, 파초 및 죽절초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85224B1 (ko) 금불초, 삼지구엽초 및 마디풀 복합 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1574248B1 (ko) 왕호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26179B1 (ko)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102100345B1 (ko) 제주광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10089793A (ko) 화장료 조성물
KR101093901B1 (ko) 조직배양한 금선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상기 조직배양한 금선련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2227874B1 (ko) 아토피와 각종 피부염증을 개선할 수 있는 화장품조성물
KR101618180B1 (ko) 조직배양한 라울리아 오스트라리스 신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81585B1 (ko) 광나무 및 원추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46584B1 (ko) 지실 추출물 및 블루로터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렴 및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072354A (ko) 추출 수율 및 미네랄 함량이 증진된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102289943B1 (ko) 구절초, 겨우살이, 바위손, 쇠비름 및 소엽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04878B1 (ko) 능소화 꽃, 매화 꽃, 붉가시나무의 가지 또는 잎의 혼합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염, 피부진정 및 가려움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19823B1 (ko) 가새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