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5192A - 며느리밑씻개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며느리밑씻개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5192A
KR20190075192A KR1020170176169A KR20170176169A KR20190075192A KR 20190075192 A KR20190075192 A KR 20190075192A KR 1020170176169 A KR1020170176169 A KR 1020170176169A KR 20170176169 A KR20170176169 A KR 20170176169A KR 20190075192 A KR20190075192 A KR 201900751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soriasis
extract
daughter
law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6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2842B1 (ko
Inventor
김선영
이용준
김영한
박정란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홍천메디칼허브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홍천메디칼허브연구소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홍천메디칼허브연구소
Priority to KR1020170176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2842B1/ko
Publication of KR20190075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51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2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28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0Polygonaceae (Buckwheat family), e.g. spineflower or dock
    • A61K36/704Polygonum, e.g. knotwe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6Antipsori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rd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며느리밑씻개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며느리밑씻개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피부 외용제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및 의약외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며느리밑씻개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건선 유발에 관여하는 IL6 및 Stat3 시그널의 활성을 감소시키고 각질세포의 세포증식을 억제하며 건선 동물모델의 병변에 도포 시 건선 병변을 완화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어 건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며느리밑씻개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mpositions for preventing or treating Psoriasis comprising extract of Persicaria senticosa}
본 발명은 며느리밑씻개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며느리밑씻개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피부 외용제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및 의약외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건선(Psoriasis)은 은백색의 비늘로 덮여 있고, 경계가 뚜렷하며 크기가 다양한 붉은색의 구진이나 판을 이루는 발진이 전신의 피부에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만성 염증성 피부병이다. 세계 인구의 약 3%가 건선환자이며 국내에서도 전 인구의 2% 정도가 해당된다. 건선은 조직학적으로 각질층의 이상 분화를 특징으로 갖는 것으로써, 그 원인이 확실하게 알려져 있지 않아 유전학적 및 면역학적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도 건선의 병변을 일시적으로 사라지게 하는 방법만이 있을 뿐, 재발을 완전히 막는 치료법은 존재하지 않아 건선 치료제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전통적인 피부질환 치료제로써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스테로이드의 경우 당뇨병, 고혈압 등의 부작용을 유발하고, 그 오남용으로 인해 사회적 문제가 되었으며, 최근 개발되고 있는 면역조절제의 경우, 표적이 되는 특정부분에만 작용하여 안전하게 면역억제 작용을 일으킬 것으로 예상되었던 항체 제제들이 면역장애, 감염, 암 등의 예상치 못한 심각한 부작용을 유발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효과적인 건선 치료를 위해서는 많은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Paul, Carle F., et al., Journal of Investigative Dermatology 120.2 (2003): 211-216.).
한편, 며느리밑씻개(Persicaria senticosa)는 여뀌속(Persicaria)의 덩굴성 한해살이풀로, 우리나라 전역에 나며, 중국, 일본, 러시아 극동부 등에 분포한다. 가지가 많이 갈라지면서 잎줄기가 1~2m 뻗어가고 붉은빛이 돌며 네모진 줄기와 더불어 갈고리 같은 가시가 있어 다른 물체에 잘 붙어 물체를 타고 오르는데 유리하다. 잎은 어긋나고 삼각형으로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잎 같은 턱잎이 있다. 꽃은 양성꽃으로서 7-8월에 피며 줄기나 가지 꼭대기 또는 잎겨드랑이에 두상으로 달리고 화경에 잔털과 샘털이 있다. 꽃받침은 깊게 5개로 갈라지며 길이 4mm 정도로서 연한 홍색이지만 끝부분은 적색이고 꽃잎은 없으며 수술은 8개이다. 암술은 1개이며 암술대는 3개이다. 한방에서는 며느리밑씻개의 전초를 자삼(刺蔘)이라 하고 해독작용을 가지고 있으며 습진, 치질, 피부병, 자궁하수에 대한 치료효과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며느리밑씻개의 건선 관련 효과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이와 같은 배경 하에, 본 발명자들은 합성약물보다 안정성이 있는 천연물 추출물을 이용해 건선을 개선 및 치료하는 방법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며느리밑씻개 추출물이 건선을 치료하는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며느리밑씻개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며느리밑씻개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선 예방 또는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며느리밑씻개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선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며느리밑씻개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선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며느리밑씻개 추출물을 인간을 제외한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선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며느리밑씻개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의 며느리밑씻개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의 용어, “며느리밑씻개(Persicaria senticosa)”는 여뀌속(Persicaria)의 덩굴성 한해살이풀로, 우리나라 전역에 나며, 중국, 일본, 러시아 극동부 등에 분포한다. 잎은 어긋나기하고 긴 엽병이 있으며 삼각형이고 길이와 폭이 각각 4-8cm로서 양면에 털이 있으며 탁엽은 잎같지만 작고 녹색이다. 엽병과 잎맥에 거슬러 난 갈고리가시가 있다. 꽃은 양성꽃으로서 7-8월에 피며 줄기나 가지 꼭대기 또는 잎겨드랑이에 두상으로 달리고 화경에 잔털과 샘털이 있다. 꽃받침은 깊게 5개로 갈라지며 길이 4mm 정도로서 연한 홍색이지만 끝부분은 적색이고 꽃잎은 없으며 수술은 8개이다. 암술은 1개이며 암술대는 3개이다. 한방에서는 전초를 자삼(刺蔘)이라 하고 소화기능 및 순환계 질환에 효능이 있으며 습진, 치질, 피부병, 자궁하수에 대한 치료효과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의 용어, “건선(Psoriasis)”은 은백색의 비늘로 덮여 있고, 경계가 뚜렷하며 크기가 다양한 붉은색의 구진이나 판을 이루는 발진이 전신의 피부에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만성 염증성 피부병으로, 조직학적으로 표피의 증식과 진피의 염증을 특징으로 하며, 인구의 1 내지 2%의 빈도로 나타난다. 건선은 피부에 있는 면역세포인 T세포의 활동성이 증가되어 그 결과 분비된 면역 물질이 피부의 각질세포를 자극하여 각질세포의 과다한 증식과 염증을 일으키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피부 세포가 빠르게 자라나기 때문에 피부 위에 비듬 같은 각질이 겹겹이 쌓여서 보이게 된다. 그 외에도 유전적 요인, 환경적 요인, 약물, 피부자극, 건조, 상기도 염증, 정신적 스트레스 등이 건선을 일으키거나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증명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며느리밑씻개 추출물이 건선 예방 또는 치료 효과가 있음을 최초로 규명하였다.
본 발명의 건선 예방 또는 치료는 각질세포의 세포 증식 억제를 통해 달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각질세포의 세포 증식은 면역 물질에 의해 자극받는 것일 수 있고, 상기 면역 물질은 사이토카인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IL6일 수 있다.
상기 IL6은 피부의 면역반응에 관여하여 외부의 자극에 의해 염증반응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상기 염증 반응은 피부 상처 치유와 관련된 단백질인 Stat3의 활성과도 연관이 있으며, 상기 Stat3의 과활성으로 인해 피부 상처 치유 효과에 의한 피부 세포 증식이 계속되면서 피부 세포가 필요 이상으로 증식되어 각질이 생겨나고 건선이 유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건선 예방 또는 치료는 IL6의 활성 감소를 통해 달성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IL6의 활성 감소는 Stat3의 활성 감소를 통해 달성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M5를 처리하여 사이토카인 발현을 증가시킨 각질세포에 며느리밑씻개 추출물을 처리한 후 IL6의 수준을 확인한 결과, 대조군 대비 IL6가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도 3).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M5를 처리하여 사이토카인 발현을 증가시킨 각질세포에 며느리밑씻개 추출물을 처리한 후 Stat3의 활성을 분석한 결과, M5를 처리한 대조군에서는 활성화된 Stat3(pStat3)가 증가한 반면, 며느리밑씻개 처리군에서는 pStat3가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도 4).
본 발명에서의 용어, “추출물”은 어떤 물질을 추출 처리하여 얻어지는 물질을 의미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상기 본 발명의 며느리밑씻개의 추출처리에 의하여 얻어지는 추출액, 상기 추출액의 희석액이나, 농축액, 상기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상기 추출액의 조정제물이나 정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추출액 자체 및 추출액을 이용하여 형성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상기 며느리밑씻개를 추출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며느리밑씻개 추출물은 며느리밑씻개의 뿌리, 줄기, 잎, 꽃, 또는 열매로부터 추출한 것일 수 있으며, 이에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며느리밑씻개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콜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로 추출한 것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의 용어, "예방"이란, 본 발명에 따른 며느리밑씻개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투여로 안구건조증의 증상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본 발명에서의 용어, "치료"란, 본 발명에 따른 며느리밑씻개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투여로 상기 안구건조증의 증상이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본 발명에서의 용어, "약학 조성물"이란,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를 목적으로 제조된 것을 의미하며, 각각의 통상의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등의 제형으로 제형화할 수 있고,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부에 도포하기 적합한 형태, 예를 들어, 크림제, 연고제, 겔제 또는 로션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건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는데, 상기 담체는 비자연적 담체(non-naturally occuring carrier)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약학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상엽 추출물과 이의 분획물들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 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투여량은 사용목적, 질환의 중독도, 환자의 연령, 체중, 성별, 기왕력, 또는 유효성분으로서 사용되는 물질의 종류 등을 고려하여 당업자가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성인 1인당 약 0.1 ng 내지 약 1,000mg/kg, 구체적으로 1 ng 내지 약 1,000mg/kg로 투여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빈도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1일 1회 투여하거나 또는 용량을 분할하여 수회 투여할 수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며느리밑씻개 추출물을 1 내지 500μg/ml, 구체적으로 5 내지 400μg/ml, 보다 구체적으로 10 내지 250μg/ml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며느리밑씻개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선 예방 또는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의 용어, “며느리밑씻개”, “추출물”, “건선”은 상기에서 기재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이는 국소적용에 적합한 모든 제형으로서,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및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로, 또는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팩 또는 콘실 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포말(foam)의 형태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지방 물질, 유기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제는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된다.
또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며느리밑씻개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선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의 용어, “며느리밑씻개”, “추출물”, “건선”은 상기에서 기재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외용 연고, 크림, 폼, 영양 화장수, 유연 화장수, 팩, 유연수, 유액, 메이크업 베이스, 에센스, 비누, 액체 세정료, 입욕제, 선 스크린 크림, 선 오일,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 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패취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 피부 화장료에 배합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 종 이상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의 성분으로 예를 들면 유분, 물, 계면 활성제, 보습제, 저급 알코올,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향료 등을 적절히 배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에 따라 다양하다.
본 발명의 제형이 연고,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 유, 식물성 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 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사이드, 칼슘 실케이트, 폴리아미드 파우더 등이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하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등이 이용될 수 있고, 특히, 목화씨 오일, 땅콩 오일, 옥수수 배종 오일, 올리브 오일, 피마자 오일 및 참깨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하이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는 상기 필수 성분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구체적으로,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며느리밑씻개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선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의 용어, “며느리밑씻개”, “추출물”, “건선”은 상기에서 기재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의 용어, "의약외품"은 사람이나 동물의 질병을 진단, 치료, 개선, 경감, 처치 또는 예방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물품들 중 의약품보다 작용이 경미한 물품들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약사법에 따른 의약외품은 의약품의 용도로 사용되는 물품을 제외한 것으로, 사람/동물의 질병 치료나 예방에 쓰이는 제품, 인체에 대한 작용이 경미하거나 직접 작용하지 않는 제품 등이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의약외품은 피부외용제 및 개인위생용품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소독청결제, 샤워폼, 가그린, 물티슈, 세제비누, 핸드워시, 또는 연고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성물을 의약외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의약외품 또는 의약외품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량은 사용 목적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또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며느리밑씻개 추출물을 인간을 제외한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선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의 용어, "개체"란, 건선이 발병되었거나 발병할 가능성이 있는 인간을 포함한 모든 동물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동물은 인간뿐만 아니라 이와 유사한 증상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소, 말, 양, 돼지, 염소, 낙타, 영양, 개, 고양이 등의 포유동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상기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은 구체적으로, 건선이 발병하였거나 발병할 위험이 있는 개체에 상기 조성물을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용어, "투여"는 어떠한 적절한 방법으로 환자에게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도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경구 또는 비경구의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며느리밑씻개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건선 유발에 관여하는 IL6 및 Stat3 시그널의 활성을 감소시키고 각질세포의 세포증식을 억제하며 건선 동물모델의 병변에 도포 시 건선 병변을 완화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어 건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며느리밑씻개 추출물의 세포독성을 분석한 그래프이다; CTL, 대조군; DMSO, 음성대조군.
도 2는 각질세포에 대한 며느리밑씻개 추출물의 세포증식 억제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며느리밑씻개 추출물 처리에 따른 건선 관련 사이토카인의 활성을 분석한 그래프이다; M5, M5(IL22, IL1a, TNF-α, Oncostatin M, IL17A) 처리군.
도 4는 며느리밑씻개 추출물 처리에 따른 Stat3의 활성을 분석한 도면이다; vehicle, 음성대조군.
도 5는 건선 동물모델에 대한 실험 설계 개략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건선 동물모델의 등에서 며느리밑씻개 추출물이 포함된 크림 도포에 따른 건선 병변의 변화를 분석한 도면이다; IMQ, 이미퀴모드; CLO, 클로베타솔(Clobetasol, 더모베이트).
도 7은 건선 동물모델의 귀에서 며느리밑씻개 추출물이 포함된 크림 도포에 따른 건선 병변의 변화를 분석한 도면이다.
도 8은 며느리밑씻개 추출물의 건선 개선 효능을 PASI 점수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며느리밑씻개 추출물 제조
본 발명에서 사용한 며느리밑씻개 추출물은 메틸알코올 99.9%로 추출한 추출물을 한국식물추출물은행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DMSO로 녹여 사용하였다.
실험예 1. 각질세포에서 며느리밑씻개 추출물의 효능 평가
실험예 1-1. 며느리밑씻개 추출물의 세포독성 분석
며느리밑씻개 추출물의 세포독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DMEM(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에 10%(v/v) 소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FBS, Gibco) 과 항생제(Antibiotic antimycotic)를 첨가한 후 37℃, 5% CO2의 배양기에서 인간유래 피부 각질세포(keratinocyte)인 HaCaT 세포주를 배양하였다. 세포는 100mm 배양디쉬의 80% 정도 자랐을 때 세포의 탈착을 위하여 PBS로 가볍게 세척한 다음, 트립신-EDTA(Gibco/BRL)를 처리한 후, 37℃에서 8분간 방치하였다가 세포를 채집하였다. 계대 배양은 2 내지 3일에 1회씩 시행하였다.
배양 후, 세포독성 분석은 WST 1 어세이를 통해 확인하였다. 96웰 플레이트에 3×104 cell/ml의 농도로 분주하여 배양기에서 37℃, 5% CO2를 유지하며 24시간 동안 사전배양 시킨 후 25 내지 400μg/ml의 농도로 며느리밑씻개 추출물을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그 후 수용성 테트라졸륨 염(water-soluble tetrazolium salt, WST-1)을 처리하여 WST-1이 생존 세포의 효소작용에 의해 환원되도록 1시간을 배양하였다. 그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를 이용하여 450nm에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400ug/ml까지도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아 며느리밑씻개 추출물의 안전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1-2. 며느리밑씻개 추출물의 각질세포 증식 억제 효과 확인
건선의 대표적 증상 중 하나로 각질세포의 이상 증식이 알려져 있다. 이와 관련하여, 며느리밑씻개 추출물이 각질세포 증식률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WST 1 어세이를 이용하여 각질세포의 증식률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96웰 플레이트에 피부 각질세포 HaCaT를 3×104 cells/ml의 농도로 분주하여 배양기에서 37℃, 5% CO2를 유지하며 24시간 동안 사전배양 시킨 후 20 내지 160ug/ml의 농도로 며느리밑씻개 추출물을 처리하여 48, 72시간 배양하였다. 그 후 WST-1을 처리하여 WST-1이 생존 세포의 효소작용에 의해 환원되도록 1시간을 배양하였다. 그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를 이용하여 450nm에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48시간 배양 후 160ug/ml의 농도에서 10% 정도의 세포 증식이 억제 되는 것을 보였으며 72시간 배양 후 80 및 160ug/ml의 농도에서 10 내지 30% 정도의 세포 증식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에 따라, 며느리밑씻개 추출물의 각질세포 증식 억제를 통한 건선 치료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1-3. 며느리밑씻개 추출물의 M5 유도 사이토카인 감소 효과 확인
사이토카인인 IL6는 염증 반응을 통해 건선을 유발하는 물질로 알려져 있다. 이와 관련하여, 며느리밑씻개 추출물의 사이토카인에 대한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HaCaT 세포에 M5 (IL22, IL1a, TNF-α, Oncostatin M, IL17A; J Immunol 2010, 184:5263-5270)를 처리하여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증가시킨 후, 며느리밑씻개 추출물(20ug/ml 또는 80ug/ml)을 처리하여 IL6의 수준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M5를 처리한 경우 사이토카인이 증가하였으며, M5 처리 후 며느리밑씻개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IL6가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에 따라, 며느리밑씻개 추출물의 IL6 감소를 통한 건선 치료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1-4. 며느리밑씻개 추출물의 Stat3 활성 억제 효과 확인
상기 실험예 1-3의 결과에서 M5에 의해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수준이 증가됨을 확인하였는데, 이러한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원인으로서 pStat3의 활성이 알려져 있다. 즉, 상기 Stat3가 인산화되어 활성화되면 이에 의하여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수준이 증가된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며느리밑씻개 추출물이 Stat3의 활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HaCaT 세포를 5×105 cell/well 로 60mm 배양접시에 분주한 뒤 24시간 배양하였다. 그 후 M5 및/또는 각 후보 천연물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4시간 동안 배양 하고 PBS로 세척 한 후 용해 완충액(lysis buffer)을 이용하여 단백질을 추출하였으며, 단백질 샘플은 분석이 진행되기 전까지 -70 ℃에 보관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단백질 정량은 BCA 어세이를 사용하였으며 10% SDS-PAGE 겔에 30μg의 단백질을 로딩하여 100V, 2시간 전기영동을 실시하고, 니트로셀룰로오스 블로팅 멤브레인(nitrocellulose blotting membrane)으로 이동시켰다. 한 시간 동안 5% 탈지유로 반응을 정지시킨 후, pSTAT3와 Stat3 항체를 4℃에서 18시간 반응 시켰으며, TBS-T 용액(0.2% Tween 20 함유한 TBS) 으로 10분씩, 3번 세척 후 2차 항체 anti-rabbit IgG HRP linked항체를 1시간 동안 상온에서 반응시킨 후 TBS-T 용액으로 10분씩, 3번 세척하고 ECL 키트를 이용하여 단백질 발현정도를 측정하였다.
도 4에서 보듯이 M5 처리에 의해 HaCaT 세포에서 pStat3의 활성이 확연히 증가하였고, 며느리밑씻개 추출물의 처리에 의하여 유의적으로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그에 따라, 며느리밑씻개 추출물이 건선과 같은 IL6 또는 Stat3 관련 염증성 질환에 대한 효과가 있을 것임을 예측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동물모델에서 며느리밑씻개 추출물의 효능 평가
실험예 2-1. 건선 동물모델 등 피부에서의 며느리밑씻개 추출물 효능 검증
며느리밑씻개 추출물의 건선 치료 효능을 In vivo에서 검증하기 위해, 이미퀴모드(imiquimod, IMQ)를 마우스 피부에 도포하여 건선을 유발한 동물 모델을 이용하였다. 시험에 사용된 이미퀴모드는 알다라 크림(Aldara cream: 5% imiquimod, 3M Health Care Ltd. UK)을 사용하였고, 대조군은 더모베이트(Dermovate, clobetasol 17-propionate 0.5mg/1g, Glaxo Operation, UK)를 사용하였다.
마우스의 등과 귀를 제모하고 시험물질을 도포하여 등과 귀의 두께와 홍반정도를 0, 2, 4, 6일째 각각 측정하였으며, 피부의 두께는 Digimatic Thickness Gage(Mitutoyo, Japan)를 사용하였고, 홍반은 Dermacatchⓡ (Colorix, Swiss)를 사용하여 수치를 측정하여 나타내었다. 알다라 크림을 7주령 Balb/c 마우스의 제모 된 등과 귀 부위에 7일 동안 62.5 mg/day로 도포하여 건선 유사 피부를 유도하였다.
며느리밑씻개 추출물을 연고제형으로 만들어 피부에 도포하였으며, 조성은 다음과 같다. 총 5g제형에 백색바셀린: 4521.6mg, 소르비탄 세스퀴올리에이트: 23.86mg, 프로필렌글리콜: 204.50mg, 며느리밑씻개 추출물(5%):250mg (추출물은 0.5% DMSO에 녹임)을 넣고 50℃에서 중탕하며 섞어 주었다. 음성대조군에 사용된 연고는 백색바셀린, 소르비탄 세스퀴올리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을 포함하여 제조하였다. 며느리밑씻개 추출물 연고제형은 6일 동안 IMQ를 도포 후 5시간 뒤 80mg을 등과 귀에 도포하였다. 상기 실험 과정의 개략도를 도 5로 나타내었다.
상기 준비된 각 군의 피부조직을 적출한 후 10% 포르말린을 사용하여 24시간 동안 고정시킨 다음, 함수-탈수 처리를 거쳐 파라핀 블록을 제작하여 4um 두께의 미세절편을 만들어 슬라이드글라스에 부착하였다. 제작된 슬라이드는 헤마톡실린 및 에오신(hematoxylin and eosin, H & E) 염색을 시행하여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여 피부 조직의 손상정도를 비교하고 표피의 두께도 정량분석 하였다.
그 결과,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IMQ를 도포한 군은 vehicle 군에 비하여 홍반과 각질이 현저히 증가하여 건선이 유발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던 반면, IMQ 도포 후 며느리밑씻개 추출물을 처리한 그룹은 IMQ 도포군 대비 각질층의 두께가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에 따라, 며느리밑씻개 추출물은 각질층의 두께를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건선 질환에 효과가 있음을 예측할 수 있었다.
실험예 2-2. 건선 동물모델 귀 피부에서의 며느리밑씻개 추출물 효능 검증
실험예 2-1과 같은 방법으로 마우스의 귀에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IMQ를 도포한 군은 vehicle 군에 비하여 홍반, 각질 및 귀의 두께가 현저히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반대로, IMQ 도포 후 며느리밑씻개 추출물을 처리한 그룹은 IMQ 도포군 대비 홍반, 각질 및 귀의 두께가 모두 유의적으로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그에 따라, 며느리밑씻개 추출물이 건선 관련 증상을 완화시키는 것을 확인하여 건선 질환에 효과가 있음을 예측할 수 있었다.
실험예 2-3. PASI 점수를 통한 건선 개선 효능 평가
며느리밑씻개 추출물의 건선 개선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건선 병변의 중증도를 등 피부의 두께, 홍반, 그리고 인설에 대해 PASI 지표(http://pasi.corti.li, ver 1.7.1)에 따라 0점 내지 4점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 도 8a 내지 8c에 나타낸 바와 같이, IMQ 군에 비해 며느리밑씻개 추출물을 처리한 군에서 등 피부의 두께, 홍반, 인설 각각의 수준이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8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등 피부의 두께, 홍반, 인설의 점수를 더한 PASI 그래프에도 IMQ 군에 비해 며느리밑씻개 추출물 처리군에서 PASI 점수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건선병변 중증도가 개선되었음을 보여주었다.
종합하면, 건선의 주요 증상중 하나인 각질세포의 과형성 및 염증반응에 대해 시험관내 및 동물실험모델에서 며느리밑씻개 추출물의 효능을 평가한 결과, HaCaT 세포에서는 며느리밑씻개 추출물에 의해 각질세포의 세포증식률이 감소하여 각질세포의 증식 억제를 통해 건선 치료 효과를 예측할 수 있었으며, IL6와 Stat3의 인산화가 유의적으로 감소함을 확인하여 염증반응 매개 건선 유발 억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IMQ로 유도한 건선 동물모델에서 며느리밑씻개 추출물에 의해 피부의 건선 병변의 정도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건선 관련 증상을 직접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을 이용하면 건선에 대한 개선 및 치료 효율을 상당히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8)

  1. 며느리밑씻개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선 예방 또는 치료는 각질세포의 세포 증식 억제를 통해 달성되는 것인, 약학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선 예방 또는 치료는 IL6 또는 Stat3의 활성 감소를 통해 달성되는 것인, 약학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며느리밑씻개 추출물을 10 내지 250μg/ml로 포함하는 것인, 약학 조성물.
  5. 며느리밑씻개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선 예방 또는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6. 며느리밑씻개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선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7. 며느리밑씻개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선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
  8. 며느리밑씻개 추출물을 인간을 제외한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선 예방 또는 치료 방법.
KR1020170176169A 2017-12-20 2017-12-20 며느리밑씻개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628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6169A KR102162842B1 (ko) 2017-12-20 2017-12-20 며느리밑씻개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6169A KR102162842B1 (ko) 2017-12-20 2017-12-20 며느리밑씻개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5192A true KR20190075192A (ko) 2019-07-01
KR102162842B1 KR102162842B1 (ko) 2020-10-08

Family

ID=67255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6169A KR102162842B1 (ko) 2017-12-20 2017-12-20 며느리밑씻개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284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1286B1 (ko) * 2019-07-29 2020-12-16 재단법인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사광이아재비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253894B1 (ko) * 2020-01-20 2021-05-18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규조토를 포함하는 피부재생, 피부보습 및 피부미백용 조성물
WO2022030803A1 (ko) * 2020-08-07 2022-02-10 재단법인 전남바이오산업진흥원 며느리밑씻개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노화방지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8567B1 (ko) 2023-02-24 2023-11-07 재단법인 전남바이오진흥원 가시모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8311A (ko) * 2011-02-28 2012-09-05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강판귀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KR20140101570A (ko) * 2013-02-12 2014-08-20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여뀌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및 여뀌 추출물의 경피 흡수를 증진시키는 리포좀
KR20170099096A (ko) * 2016-02-23 2017-08-31 재단법인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8311A (ko) * 2011-02-28 2012-09-05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강판귀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KR20140101570A (ko) * 2013-02-12 2014-08-20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여뀌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및 여뀌 추출물의 경피 흡수를 증진시키는 리포좀
KR20170099096A (ko) * 2016-02-23 2017-08-31 재단법인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ull. Natl. Mus. Nat. Sci., Vol. 39, No. 1, pp. 25-51 (2013)* *
International Immunopharmacology, Vol. 48, pp. 110-117 (2017.05.10.)*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1286B1 (ko) * 2019-07-29 2020-12-16 재단법인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사광이아재비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253894B1 (ko) * 2020-01-20 2021-05-18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규조토를 포함하는 피부재생, 피부보습 및 피부미백용 조성물
WO2022030803A1 (ko) * 2020-08-07 2022-02-10 재단법인 전남바이오산업진흥원 며느리밑씻개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노화방지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2842B1 (ko) 2020-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2842B1 (ko) 며느리밑씻개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166109A (ko) 식물 유래 엑소좀-유사 나노소포 또는 엑소좀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의 사용 방법
KR102302304B1 (ko) 2-푸코실락토오스를 포함하는 자가포식 활성 유도용 조성물
KR100702327B1 (ko) 자극완화 효과를 갖는 동백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JP6556720B2 (ja) 皮膚症の治療におけるダフネ・ラウレオラ抽出物
KR101530415B1 (ko) 굴피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0754748B1 (ko) 느릅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5α-리덕테이즈활성 억제용 조성물 및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20040004374A (ko) 양모제 및 이의 스크리닝 방법
KR100702329B1 (ko) 백굴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5α-리덕테이즈활성 억제용 조성물 및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029359A (ko)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US8309142B1 (en) Formulations and methods for preventing eyebrow hair loss
KR101990707B1 (ko) 갈퀴나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ES2960906T3 (es) Extracto de Lespedeza capitata para uso en el campo capilar
KR102149957B1 (ko) 진토닌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2141039B1 (ko) 애기수영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528033B1 (ko) 4-하이드록시-5-메톡시-4-[2-메틸-3-(3-메틸-2-부테닐)-2-옥시란닐]-1-옥사스피로[2,5]옥탄-6-온을 함유한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2282246B1 (ko) 갈락토스를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RU2799324C2 (ru) Экстракт леспедецы головчатой для применения в области ухода за волосами
CA2794919C (en) Formulations and methods for preventing eyebrow hair loss
KR102577970B1 (ko) 켈로이드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EP2730270B1 (en) Formulations and methods for preventing eyebrow hair loss
KR20220114397A (ko) 배롱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튼살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EP4326305A1 (en) Acetyl sh-hexapeptide-5 amide acetate for use in the treatment of hair loss disorders and as a hair care agent
KR20210123895A (ko) 노화세포 회춘용 조성물 및 노화세포 회춘방법
CN116115547A (zh) 一种含有牛胎盘组织来源外泌体的祛斑组合物及其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