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0169A - 글루코노락톤과 락토바이오닉산을 포함하는 피부 각질 제거, 피부 미백 또는 피부 톤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글루코노락톤과 락토바이오닉산을 포함하는 피부 각질 제거, 피부 미백 또는 피부 톤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0169A
KR20130090169A KR1020120011284A KR20120011284A KR20130090169A KR 20130090169 A KR20130090169 A KR 20130090169A KR 1020120011284 A KR1020120011284 A KR 1020120011284A KR 20120011284 A KR20120011284 A KR 20120011284A KR 20130090169 A KR20130090169 A KR 201300901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cosmetic composition
weight
water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1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8052B1 (ko
Inventor
이동원
차미경
박연호
이화현
박준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앤피차앤박화장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앤피차앤박화장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앤피차앤박화장품
Priority to KR1020120011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8052B1/ko
Publication of KR20130090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01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8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8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5Hydroxycarboxylic acids; Keto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8Rubbing or scrubbing compositions; Peeling or abrasive compositions; Containing exfoli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글루코노락톤(Gluconolactone)과 락토바이오닉산(Lactobionic Acid)을 특정 중량비로 포함하여, 피부 각질 제거, 피부 미백 또는 피부톤 개선 효과가 탁월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였다.

Description

화장료 조성물{Composition for cosmetics}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글루코노락톤(Gluconolactone)과 락토바이오닉산(Lactobionic Acid)을 특정 중량비로 포함하여, 피부 각질 제거, 피부 미백, 또는 피부 톤 개선 효과가 탁월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였다.
피부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외부의 세균 침입과 손상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방어 장벽(defense barrier)의 역할을 함과 동시에 내부로부터의 열과 수분 손실을 방지하는 것이다.
피부는 여러 개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가운데 가장 바깥에 위치하는 것을 표피(epidermis)라 하고, 그 아래로 진피, 피하 지방층의 세부분으로 분류된다.
이중 표피는 다시 각질층, 과립층, 유극층, 기저층으로 세분되며, 기저층에서 생성된 표피 세포는 14일 걸려 과립층까지 올라오고 과립층에서 케라토히알린(Keratohyalin)의 작용으로 각질화가 시작된다. 이미 세포 속의 체액은 빠져나가 세포는 납작해진 상태로 각질화가 진행되며, 세포의 핵, 세포질과 세포소기관은 퇴화되고, 케라토히알린으로 교체되어 엘레이딘(Eleidin)으로 다시 변화되었다가 마지막 단계인 각질로 바뀌면서 세포의 일생은 끝나며 각질층으로 밀려 올라간다. 각질층은 분화된 표피 세포(각질세포)와 그 사이를 채우고 있는 세포간 지질(Skin Lipid)로 구성되며 체내 물질이 외부로 나가는 것을 막아주고 외부의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자극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는 방어 기능을 한다. 각질 세포는 데스모좀이라 부리는 단백질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으며, 각질층 상부로 올라갈수록 데스모좀은 분해되어 각질 세포간 응집력이 약화되고 최종적으로 각질 세포는 피부로부터 분리되어 떨어져 나간다. 정상 피부의 경우 각질층은 15~20층으로 구성되고 이들이 완전히 분리되는 데는 15~20일이 소요된다.
그러나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피부 구성 성분인 표피, 진피 및 피하 조직의 두께가 얇아지고 피부의 수분 함량이 급격히 감소하며, 피부에 탄력을 주는 ECM(Extracellular Matrix) 성분의 변화로 인해 피부가 탄력을 잃고 주름이 지게 되며 각질층의 분리가 정상보다 늦어져 각질층이 두꺼워 지고(각질중층화) 피부가 활력을 잃게 된다.
각질중층화는 주로 피부의 보습력 감소, 데스모좀 분해 효소의 생성 및 활성감소, 세포 활성 저하 등에 기인하며 피부노화, 자외선노출, 공해 등이 유발 요인이 된다. 이러한 내,외적인 요인에 의해 두꺼워진 각질층을 외부에서 인위적으로 얇게 해주면 각질층 밑에 있는 살아있는 세포의 활성 혹은 재생이 증가되어 피부가 부드러워지며, 주름제거, 여드름 발생 억제 및 치료 등의 효과가 있어 자극이 유발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각질중층화를 해소하려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각질증충화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피부를 물리적으로 문지르거나 화학적 박피술을 이용한다. 특히 화학적 박피는 잔주름 개선, 거친피부 완화, 잡티제거 등의 부가적인 효과가 있다. 화학적 박피에 사용되는 물질은 기본적으로 AHA(Alpha-Hydroxy Acid)와 BHA(Beta-Hydroxy Acid)가 주로 사용되어 왔다.
그 중에서도 알파히드록시산(AHA: α-Hydroxy Acid)은 카르복시산(Carboxylic Acid)의 α 위치에 있는 탄소에 알코올기 (Alcohol Group) 또는 히드록시기 (Hydroxy Group)를 첨가한 화합물로 각질 세포의 이온결합 에너지를 낮추어 과각질을 제거하거나 새로운 세포의 형성을 촉진하여 피부가 노화되면서 길어지는 각질화과정의 주기를 짧게 하여 피부 세포의 활성을 촉진시켜 피부를 개선하는 것이다. 또한, 섬유아세포(Fibroblast)에 의한 콜라겐(Collagen)과 엘라스틴(Elastin)의 생성을 촉진하여 피부를 탄력있고, 부드럽게 하고 진피의 중요한 세포외 기질 성분인 뮤코폴리사카라이드 (Mucopolysaccharide)의 생성을 촉진하여 피부보습을 증진시킨다. 알파 히드록시산을 유효 성분으로 하여 피부 각질을 제거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개발이 활발히 진행 중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0731700호 등을 참조한다. 그러나, 알파 히드록시산은 피부에 대한 자극이 커서 각질 제거 용도로 사용하기에는 문제점이 있었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 2011-0067863호(공개일:2011.06.22,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등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 각질 제거, 피부 미백 또는 피부톤 개선 효과가 탁월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글루코노락톤(Gluconolactone)과 락토바이오닉산을 1:1.5 내지 1:2.0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각질 제거용, 피부 미백용 또는 피부톤 개선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혼합물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중 0.01~4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 중 글루코노락톤은 1-20중량%, 락토바이오닉산은 1-4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표피 최외각층인 각질세포에 작용하여 피부 각질 제거 효과가 탁월하며, 색소 침착 및 피부톤 개선에 효과가 월등하면서도 피부에 보습 효과가 뛰어나고 피부자극이 거의 없어 부작용이 없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피부 각질 제거, 색소침착 및 피부톤 개선에을 위한 화장료 제조시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4 사용 전후의 피부 각질 제거 개선 정도를 PSI WELL-BEING사의 APHRODITE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2는 실시예 4 사용 전후의 피부톤 개선 정도를 PSI WELL-BEING사의 JANUS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3은 실시예 4 사용 전후의 피부 기미 주근깨 개선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정도를 PSI WELL-BEING 사의 JANUS로 촬영한 사진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글루코노락톤(Gluconolactone)과 락토바이오닉산(Lactobionic Acid)을 1:1.5 내지 1:2.0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피부 각질 제거 효과가 탁월하며, 피부 미백 또는 색소 침착 및 피부톤 개선에 효과가 더욱 증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글루코노락톤:락토바이오닉산은 1:2.0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글루코노락톤은 식품 첨가물로 사용되는 인공 화합물로, 부드러운 신맛을 나타낸다. 저온에서 반응하는 일이 적고, 균일하게 기포를 생성하여 식품에 사용하고 있는 원료로 pH를 낮추는 용도로도 사용된다.
글루코노락톤은 광노화 증세 및 민감한 피부에 효과적이며, 수분 보습력을 증대시켜 피부 방어막 역할의 컨디셔닝 효과를 주고, 주름 부위, 피부 퍼밍, 모공관리에 효과적인 적인 원료이다.
락토바이오닉산은 Milk Sugar로부터 유도된 PHA이며, 물분자를 끌어당겨 결합하는 기능이 강력하여 수분공급 능력이 탁월한 잠재적인 항산화제이다. 이 성분은 잔주름과 주름을 감소시켜주고 피부 조직을 탱탱하게 만들어 주며, 노화현상을 감소시켜주고, 피부의 조직과 강도를 유지하는 기능을 저하시키는 파괴효소 (MMP)의 기능을 억제 함으로써 피부를 햇빛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보호해 준다.
글루코노락톤은 화장료 조성물 중 1-20중량%, 락토바이오닉산은 1-4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피부 자극 없이 피부 각질 제거, 색소 침착 개선, 주름 및 피부톤 개선에 효과를 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화장료 조성물 중 글루코노락톤은 1-10중량%, 락토바이오닉산은 1-20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화장료 조성물 중 글루코노락톤은 1-4중량%, 락토바이오닉산은 2-8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글루코노락톤과 락토바이오닉산을 포함하는 혼합물은 화장료 조성물 중 0.01-4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피부 자극 없이 증진된 피부 각질 제거 및 피부톤 개선 효과를 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2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각질 제거용, 피부 미백용 또는 피부톤 개선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각질 제거, 피부 색소 침착 피부 및 피부톤 개선 효과가 현저하다.
화장료 조성물은 글루코노락톤, 락토바이오닉산 외에도 유효 활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피부 각질 제거 또는 피부톤 개선 및 주름 개선 효과를 위한 공지의 천연물 성분이나 기타 성분을 추가로 포함시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들, 예를 들면,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나 담체를 포함하여 특정 제형으로 성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파우더, 팩트, 립글로즈, 립스틱, 섀도우, 샴푸 및 린스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Oil-in-Water(O/W), Water-in-Oil(W/O), Water-in-Silicone(W/S), Oil-in-Water-in-Oil(O/W/O) 및 Water-in-Oil-in-Water(W/O/W)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폴리소르베이트 60,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스테아릭산, 세틸알코올, 스쿠알란, 글리세린, 부틸렌글라이콜, 알지닌, 카보머, 토코페릴아세테이트, 1,2-헥산디올, 정제수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 1~6과 비교예 1~5.
하기 표 1에 기재된 성분 및 함량을 이용하여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실시예 1-6 및 비교예 1-5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 함량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글루코노락톤 1.0 3.0 4.0 2.0 2.0 3.0 1.0 2.0 4.0 3.0 2.0
락토바이오닉산 2.0 6.0 8.0 4.0 3.0 4.5 0.5 2.0 2.0 3.0 5.0
폴리소르베이트 60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스테아릭산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세틸알코올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
스쿠알란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
글리세린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부틸렌글라이콜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
알지닌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카보머 0.3 0.3 0.3 0.3 0.3 0.3 0.3 0.3 0.3 0.3 0.3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3 0.3 0.3 0.3 0.3 0.3 0.3 0.3 0.3 0.3 0.3
1,2-헥산디올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합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상기 실시예 1~6 및 비교예 1~5의 조성으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통상의 크림 제조방법으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 피부 각질 제거, 기미, 주근깨 등 색소 침착 피부 및 피부톤 개선 효과 평가
상기 실시예 1~6 및 비교예 1~5의 화장료 조성물(크림)을 사용한 경우, 피부 각질 제거, 기미, 주근깨 등 색소 침착 피부 및 피부톤 개선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18~40세의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각 제품에 대하여 1주일간 사용 후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였다. 가장 낮은 점수를 1로 하고 가장 높은 점수를 5로 하여 테스트를 진행하고 평가 결과의 평균값을 구하였다.
평가 항목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5 실시예6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각질제거 효과 4.2 3.9 3.8 4.5 3.5 3.6 2.5 2.6 2.3 2.8 2.3
기미,주근깨
제거 효과
3.0 3.5 4.0 4.2 3.0 3.0 1.8 2.0 2.0 2.3 2.5
피부톤개선 효과 4.5 4.3 4.3 4.7 4.0 3.8 2.0 2.1 2.2 2.5 2.5
보습 효과 3.8 3.5 3.6 3.9 3.0 3.2 3.0 3.1 3.0 3.1 3.0
미백 효과 3.6 3.8 4.0 4.2 3.4 3.3 2.5 2.5 2.2 2.1 2.3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6을 사용하였을 경우 비교예 1~5보다 각질 제거 효과, 피부톤 개선 효과, 보습효과 및 미백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시험예 2. 피부 각질제거 및 피부 톤 개선 효과 비교
상기 실시예 4 및 비교예 4를 화장료를 사용한 경우 피부 각질 제거 및 피부톤 개선 정도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구체적으로 임상단 40명을 대상으로 동일인에게 20명은 실시예 4를 20명은 비교예 4를 각각 나누어 화장료를 각각 펴 바르도록 하였으며, 6일 동안 1일 2회(아침/저녁으로) 도포하도록 하였다. 이후 피부 각질 제거, 피부톤 및 피부미백개선 정도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하였으며, 각 대상자의 피부 상태를 촬영하거나, PSI WELL-BEING 사의 JANUS로 측정해 보았다. 그 결과를 하기 표 3 및 도 1~3에 나타내었다.
구분 피부 각질제거 및 피부톤 개선 효과
비율(%)
실시예 4 매우 만족 12 60
만족 6 30
보통 1 5
약간 불만족 1 5
불만족 0 0
비교예 4 매우 만족 8 40
만족 7 35
보통 3 15
약간 불만족 1 5
불만족 1 5
그 결과, 상기 표 2 및 도 1~3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함유한 실시예 4의 화장료를 사용한 경우, 시판 제품에 비해 피부 각질제거 및 피부톤 개선 효과에 대한 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예 3. 피부 자극 시험
상기 실시예1~6 및 비교예1~5의 조성물로 제조된 화장료 각각에 대한 피부 자극 시험을 조사하기 위해 피부 첩포 시험을 실시하였다. 피검자는 15~30세의 시험 부위에 피부 질환이 없는 사람으로 선정하였으며 총 18명에게 실시하였다. 첩포부위인 상박부를 70% 에탄올로 닦아내고 건조시킨 후, 제품을 0.1g씩 가하여 인체 상박부에 24시간 첩포하고, 첩포 제거 후 1시간 이내에 피부 반응을 검사하고, 다음날(48시간 후) 다시 검사하였다. 피부 반응 판정은 하기 검사기준에 의해 판정하였다. 피부 첩포 시험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 피부 반응 검사기준
- 반응 없음
± 미약한 양성 반응 (홍반)
+ 양성 반응 (홍반)
++ 강한 양성 반응 (홍반, 부종)
+++ 심한 양성 반응 (홍반, 부종, 수포)
처방 시험자수(명) 판정결과
- ± + ++ +++
실시예 1 18 16 2 0 0 0
실시예 2 18 16 1 1 0 0
실시예 3 18 17 1 0 0 0
실시예 4 18 17 1 0 0 0
실시예 5 18 16 1 1 0 0
실시예 6 18 15 2 1 0 0
비교예 1 18 14 2 2 0 0
비교예 2 18 13 2 3 0 0
비교예 3 18 13 2 2 1 0
비교예 4 18 13 3 1 0 0
비교예 5 18 12 3 1 1 0
상기 표 4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화장료는 실시예가 비교예에 비해 피부 자극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예 4. 안정성 평가
상기 실시예 1~6 및 비교예 1~5의 화장료(크림)에 대해 분리 및 변색 정도에 대한 안정성을 측정하기 위해, 45℃와 25℃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항온조 4℃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냉장고 및 일광 조건으로 실시예 및 비교예 조성물을 샘플 용기에 담아 8주 동안 보관 후 분리 및 변색 정도를 비교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이때 제품의 분리 및 변색 정도는 하기의 6등급으로 분류하여 평가하였다.
평가 항목 분리 및 변색정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5 실시예6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5
45℃ 1 0 0 0 1 1 1 1 2 1 1
25℃ 0 0 0 0 0 0 0 0 0 0 0
4℃ 0 0 0 0 0 0 0 0 0 0 0
일광 0 1 0 0 0 1 1 1 0 2 1
* 분리 및 변색 평가 기준 :
0 : 변화없음, 1: 극히 조금 분리(변색), 2: 조금 분리(변색)
3: 조금 심하게 분리(변색), 4: 심하게 분리(변색), 5: 극히 심하게 분리(변색)상기 표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가 변색 및 분리 현상이 적어 안정한 제형임을 알수 있다.

Claims (6)

  1. 글루코노락톤(Gluconolactone)과 락토바이오닉산(Lactobionic Acid)을 1:1.5 내지 1:2.0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각질 제거용, 피부 미백용 또는 피부 톤 개선용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중 0.01~40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 중 글루코노락톤은 1-20중량%, 락토바이오닉산은 1-40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Oil-in-Water(O/W), Water-in-Oil(W/O), Water-in-Silicone(W/S), Oil-in-Water-in-Oil(O/W/O) 및 Water-in-Oil-in-Water(W/O/W)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20011284A 2012-02-03 2012-02-03 글루코노락톤과 락토바이오닉산을 포함하는 피부 각질 제거, 피부 미백 또는 피부 톤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880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1284A KR101388052B1 (ko) 2012-02-03 2012-02-03 글루코노락톤과 락토바이오닉산을 포함하는 피부 각질 제거, 피부 미백 또는 피부 톤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1284A KR101388052B1 (ko) 2012-02-03 2012-02-03 글루코노락톤과 락토바이오닉산을 포함하는 피부 각질 제거, 피부 미백 또는 피부 톤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0169A true KR20130090169A (ko) 2013-08-13
KR101388052B1 KR101388052B1 (ko) 2014-04-25

Family

ID=49215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1284A KR101388052B1 (ko) 2012-02-03 2012-02-03 글루코노락톤과 락토바이오닉산을 포함하는 피부 각질 제거, 피부 미백 또는 피부 톤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805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2830B1 (ko) * 2013-12-04 2014-07-24 주식회사 씨앤피코스메틱스 피부 pH 조절 및 유지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20160019632A (ko) 2014-08-11 2016-02-2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WO2019112129A1 (ko) * 2017-12-04 2019-06-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 각질 박리 촉진용 화장용 조성물
KR20200022646A (ko) * 2018-08-23 2020-03-04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유산 및 글루코노락톤을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53861A (ko) * 2018-11-09 2020-05-19 (주)하이메디코스 프로바이오틱스 발효물을 포함하는 항여드름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CN112438899A (zh) * 2020-12-16 2021-03-05 广东丸美生物技术股份有限公司 具有粉刺调理功效的护肤组合物及其应用
IT202000029813A1 (it) * 2020-12-04 2022-06-04 Medspa S R L Formulazione per il peel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6183A (ko) 2018-08-06 2020-02-14 주식회사 엑소코바이오 피부 필링과 줄기세포 유래의 엑소좀 처리를 병용한 피부 미용방법
KR102472483B1 (ko) 2022-01-14 2022-12-01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각질제거효과와 보습효과를 동시에 갖는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52545B2 (en) 2001-11-13 2008-11-18 Yu Ruey J Oligosaccharide aldonic acids and their topical use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2830B1 (ko) * 2013-12-04 2014-07-24 주식회사 씨앤피코스메틱스 피부 pH 조절 및 유지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CN104688617A (zh) * 2013-12-04 2015-06-10 Cnp化妆品有限公司 皮肤pH调节及维持效果优秀的化妆品组合物
KR20160019632A (ko) 2014-08-11 2016-02-2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WO2019112129A1 (ko) * 2017-12-04 2019-06-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 각질 박리 촉진용 화장용 조성물
KR20200022646A (ko) * 2018-08-23 2020-03-04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유산 및 글루코노락톤을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53861A (ko) * 2018-11-09 2020-05-19 (주)하이메디코스 프로바이오틱스 발효물을 포함하는 항여드름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IT202000029813A1 (it) * 2020-12-04 2022-06-04 Medspa S R L Formulazione per il peeling
WO2022118275A1 (en) * 2020-12-04 2022-06-09 Medspa S.R.L. Peeling formulation
CN112438899A (zh) * 2020-12-16 2021-03-05 广东丸美生物技术股份有限公司 具有粉刺调理功效的护肤组合物及其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8052B1 (ko) 2014-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8052B1 (ko) 글루코노락톤과 락토바이오닉산을 포함하는 피부 각질 제거, 피부 미백 또는 피부 톤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04337705B (zh) 含有葡糖酸内酯和乳糖酸的化妆品组合物
KR102227355B1 (ko) 비자극성 약산성 각질제거 및 상피세포 영양 공급을 위한 복합 화장료 조성물
KR20130108805A (ko) 황금 누에 유래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32839B1 (ko) 피부 각질 제거 및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JP2017114814A (ja) 化粧料
CN109350591A (zh) 一种美颜干面膜及其制备方法
KR20130107386A (ko) 달팽이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화장료
JP5329830B2 (ja) Scf分泌抑制剤、及び皮脂分泌抑制剤
KR101980068B1 (ko) 발효 식초의 향미 개선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진주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870377B1 (ko) 오이씨 초음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 및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KR20140042587A (ko) 제니포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115566A (ko) 두족류 추출물 및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화장료
KR20160024675A (ko) 수국차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EP3517599B1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condition including fermented pearl product
JP2009242310A (ja) インボルクリン産生促進剤、トランスグルタミナーゼ−1産生促進剤、e−カドヘリン産生促進剤、及び毛穴目立ち軽減用皮膚外用剤
KR101481226B1 (ko) 레바우디오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97918B1 (ko) 리퀴리틴 아피오시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H09255546A (ja) 皮膚外用剤
KR102371680B1 (ko) 노화 피부세포 주변 환경변화 유도 촉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시트
KR100722675B1 (ko) 글루콘산 및 헥사노일트리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78103B1 (ko) 노니 및 마카뿌리의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48087B1 (ko) 엑토인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 진정 및 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KR20180108251A (ko) ligustroflavone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99417B1 (ko) 노화 피부세포 주변 환경변화 유도 촉진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