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9417B1 - 노화 피부세포 주변 환경변화 유도 촉진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노화 피부세포 주변 환경변화 유도 촉진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9417B1
KR102299417B1 KR1020190165822A KR20190165822A KR102299417B1 KR 102299417 B1 KR102299417 B1 KR 102299417B1 KR 1020190165822 A KR1020190165822 A KR 1020190165822A KR 20190165822 A KR20190165822 A KR 20190165822A KR 102299417 B1 KR102299417 B1 KR 1022994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cells
formula
skin cells
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5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4770A (ko
Inventor
박필준
최현정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90165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9417B1/ko
Publication of KR20210074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47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9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94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5Hydroxycarboxylic acids; Keto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Abstract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유도체 또는 이의 화장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화 피부세포 주변 환경변화 유도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9128653481-pat00008

(상기 화학식 1에서, 각 치환기는 명세서에 정의된 바와 같다.)

Description

노화 피부세포 주변 환경변화 유도 촉진용 조성물 {COMPOSITION FOR INDUCING ALTERATION OF SURROUNDING ENVIRONMENT OF A AGED CELL}
본 기재는 인체 유래 젊은 피부세포만의 생장을 촉진시키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체를 이루고 있는 가장 큰 기관인 피부는 외부로부터의 물리적, 화학적 자극으로부터 체내를 보호해 주는 기능과 체내의 습도, 체온 등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그러나, 나이가 들거나 외부의 자극에 지속적으로 노출되게 되면 피부가 손상되고 생리 기능이 저하되는 등 피부 노화가 빠르게 진행된다. 이러한 피부 노화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자연스런 현상이나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삶의 질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고, 여러 가지 환경요인에 의해 피부 노화의 발생 요인이 증가한 지금에 들어서는 피부 노화에 대한 대책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피부노화는 유전적, 환경적 등의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데 크게 자연노화 또는 내인성 노화와 외인성 노화로 구분된다. 자연노화 또는 내인성 노화(intrinsic aging)는 유전정보에 따라 시간이 지나면서 일어나는 노화현상으로 햇빛에 노출되지 않는 피부에서 주로 관찰이 되고, 잔주름과 피부탄력감소를 그 특징으로 하며 인위적인 조절이 어렵다. 외인성 노화(extrinsic aging)는 외부환경 요인, 그 중에서도 햇빛에 존재하는 자외선에 의해 일어나는 노화 현상으로 광노화(photoaging)라고도 하며, 햇빛에 노출이 많이 되는 부위에서 나타나며, 깊은 주름, 피부결의 거침, 색소침착, 피부톤 및 피부탄력이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인위적인 조절이 용이하다. 따라서 외인성 노화를 방지하기 위한 연구가 지속되어 왔으며, 특히 장기간 자외선 노출에 의해 진행되는 외인성 광노화에 따른 주름 형성방지에 대한 연구가 주목되고 있다(Gilchre st B.A., J. Am. Acad. Dermatol., 1989:21:610-613).
이에 현재까지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노화라는 용어는 모두 외인성 노화, 특히 외인성 광노화에 의한 피부 노화를 의미하며, 항노화라 함은 외부환경 요인에 의해 노화된 세포가 제거(노화 억제)되거나 다시 젊어지는 회복 현상(세포 회춘)을 보이는 것을 의미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항노화의 개념은 개별적인 세포들의 노화인자 개선을 통하여 확보된 것을 근간으로 하였다. 하지만, 임상학적인 부분을 포함한 다양한 적용에서 원하는 만큼의 실제 효과를 보지 못하였음이 사실이다. 최근 피부학회의 흐름에 따르면, 개별 세포의 항노화 기작을 통한 노화 억제나 세포 회춘보다는, 전반적인 환경의 변화를 추구하는 연구가 트렌드화되고 있으며, 특히 개별 세포보다는 각 개체를 둘러싼 주위의 변화가 더 중요하다고 언급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종래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노화의 정의에 구속되지 않고, 광범위한 노화(내인성 노화 및 외인성 노화)에 모두 적용 가능하며, 노화 억제나 세포 회춘 대신, 노화된 환경에서 이미 노화된 세포는 그대로 둔 채, 아직 노화되지 않은 젊은 세포의 생장만을 촉진시켜, 노화된 환경을 노화되지 않은 환경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조성물을 개발하기에 이르었다.
이는 기존에 통용되던 항노화의 개념을 완전히 벗어나는 것으로서, 노화 세포를 그대로 둔 채 주변의 젊은 세포의 세포수만을 특이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노화 환경을 비노화 환경으로 변화시키는 것은, 기존의 항노화 기작(노화 억제 기작 또는 세포 회춘 기작)과는 전혀 다른 기작을 가질 것으로 예상된다.
일 구현예는 이미 노화된 환경에서 노화 세포의 수는 그대로 유지한 채, 아직 노화되지 않은 젊은 세포만의 생장을 특이적으로 촉진시킴으로써, 노화 세포의 수보다 젊은 세포의 수를 상대적으로 크게 늘리는 기작을 통해, 노화된 환경을 변화시킬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유도체 또는 이의 화장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SA-β-gal(senescence associated-beta galactosidase) 염색이 되지 않는 인체 유래 피부세포의 생장만을 촉진시키는, 노화 피부세포 주변 환경변화 유도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9128653481-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히드록시기 또는 카르복실기이고,
n은 1 내지 3의 정수이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1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1-1]
Figure 112019128653481-pat00002
상기 화학식 1-1에서,
R1은 히드록시기이고,
R2는 카르복실기이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상기 조성물 총량을 기준으로 0.01 중량%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피부세포는 색소형성세포일 수 있다.
상기 피부세포는 섬유아세포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SA-β-gal(senescence associated-beta galactosidase) 염색이 되지 않는 인체 유래 젊은 피부세포만의 세포수를 늘리고, SA-β-gal(senescence associated-beta galactosidase) 염색이 되는 인체 유래 노화세포의 세포수는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른 조성물은 노화된 피부를 구성하는 노화 세포와 노화되지 않은 젊은 세포 중 노화 세포의 수는 그대로 유지시킨 채, 젊은 세포의 수만을 특이적으로 생장시켜, 노화된 세포를 제거하거나 노화된 세포를 젊은 세포로 회귀하지 않으면서도 노화된 피부 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다.
도 1은 UVB 처리 전과 후의 색소형성세포의 형태와 세포수를 보여주는 광학현미경 사진이다.
도 2는 화학식 E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농도 증가에 따른 UVB 처리된 색소형성세포의 형태 및 세포수의 변화를 관찰한 광학현미경 사진이다.
도 3은 화학식 E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농도별로 전체 색소형성세포수, 노화 색소형성세포수, 전체 색소형성세포수에 대한 노화 색소형성세포수의 비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UVB 처리 전과 후의 섬유아세포의 형태와 세포수를 보여주는 광학현미경 사진이다.
도 5는 화학식 E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농도 증가에 따른 UVB 처리된 섬유아세포의 형태 및 세포수의 변화를 관찰한 광학현미경 사진이다.
도 6은 화학식 E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농도별로 전체 섬유아세포수, 노화 섬유아세포수, 전체 섬유아세포수에 대한 노화 섬유아세포수의 비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현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노화 세포라 함은 SA-β-gal(senescence associated-beta galactosidase) 염색이 되는 세포를 의미하고, 젊은 세포라 함은 SA-β-gal(senescence associated-beta galactosidase) 염색이 되지 않는 세포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본 명세서에서 별도의 정의가 없는 한, "조합"이란 혼합 또는 공중합을 의미한다. 또한 "공중합"이란 블록 공중합 내지 랜덤 공중합을 의미하고, "공중합체"란 블록 공중합체 내지 랜덤 공중합체를 의미한다.
이하 일 구현예에 따른 SA-β-gal(senescence associated-beta galactosidase) 염색이 되지 않는 인체 유래 젊은 피부세포 생장 촉진용 조성물에 대해 설명한다.
일 구현예에 따른 SA-β-gal(senescence associated-beta galactosidase) 염색이 되지 않는 인체 유래 피부세포의 생장만을 촉진시키는 노화 피부세포 주변 환경변화 유도 촉진용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유도체 또는 이의 화장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9128653481-pat00003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히드록시기 또는 카르복실기이고,
n은 1 내지 3의 정수이다.
예컨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1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1-1]
Figure 112019128653481-pat00004
상기 화학식 1-1에서,
R1은 히드록시기이고,
R2는 카르복실기이다.
본원은 개별 세포의 노화 억제 혹은 개별 노화 인자의 개선에 초점을 맞추었던 기존 항노화 기술과는 달리, 환경의 변화에 초점을 맞춘 발명이다. UV 등에 의해 노화된 세포가 제거되거나 다시 젊어지는 회복 현상을 본원에서는 보이지는 않지만, 노화된 세포들 사이에서 젊은 세포(노화인자가 드러나지 않는 세포)의 생장이,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유도체 또는 이의 화장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특성이 있어, 기존 항노화하는 전혀 다른 기작으로 노화 현상을 대체한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노화된 인체 유래 색소형성세포(primary melanocytes; MC) 및 노화되지 않은 인체 유래 색소형성세포(primary melanocytes)들 사이에서 노화되지 않은 젊은 색소형성세포만을 선택적으로 생장 촉진시킬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노화된 인체 유래 섬유아세포 (primary fibroblast; FB) 및 노화되지 않은 인체 유래 섬유아세포(primary fibroblast)들 사이에서 노화되지 않은 젊은 섬유아세포만을 선택적으로 생장 촉진시킬 수 있다.
즉, 상기 피부세포는 색소형성세포 또는 섬유아세포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 내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유도체 또는 이의 화장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상기 조성물 총량을 기준으로 0.01 중량% 내지 5 중량%의 함량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유도체 또는 이의 화장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0.01 중량% 미만의 함량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그 함량이 너무 적어 노화된 세포들 사이에서 젊은 세포(노화인자가 드러나지 않는 세포)의 생장을 촉진하는 효과가 매우 미미하며, 5 중량% 초과의 함량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5 중량%이하의 함량으로도 이미 충분히 젊은 세포(노화인자가 드러나지 않는 세포)의 생장을 촉진시키는 효과를 가지기에 비경제적일 수 있다.
즉, 일 구현예에 따른 조성물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유도체 또는 이의 화장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기에, SA-β-gal(senescence associated-beta galactosidase) 염색이 되지 않는 인체 유래 젊은 피부세포만의 세포수를 늘리고, SA-β-gal(senescence associated-beta galactosidase) 염색이 되는 인체 유래 노화세포의 세포수는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 "화장학적으로 유효한 양"이란 상기 생리활성성분이 동물 또는 사람에게 투여되어 목적하는 생리학적 또는 화장학적 활성을 나타내기에 충분한 양을 말한다. 그러나 상기 화장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증상의 정도, 환자의 연령, 체중, 건강상태, 성별, 투여 경로 및 사용기간 등에 따라 적절히 변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화장학적으로 허용되는"이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고 인간에게 투여될 때, 통상적으로 피부 트러블이나 현기증과 같은 알레르기 반응 또는 이와 유사한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것을 말한다.
한편, 상기 조성물은 담체, 부형제, 희석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의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또한, 충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및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화장료"는, 미용 기능뿐만 아니라, 미용 기능 외에 추가적으로 의학적 기능을 가질 수 있는 모든 물질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목적하는 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세정제, 토닉, 정발제, 영양화장수, 에센스, 세럼, 트리트먼트, 컨디셔너, 샴푸, 로션, 양모제 또는 염모제 등의 화장료 조성물, 수중유(O/W)형, 유중수(O/W)형 등의 기초 화장료로 제형화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쳐 크림, 핸드크림, 연고,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저, 로션, 연고, 겔, 크림, 패취 및 분무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각각의 제형에 있어서 상기한 필수성분 이외에 다른 성분들은 기타 외용제의 종류 또는 사용목적 등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합하게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예컨대, 자외선 차단제, 헤어 컨디셔닝제, 향료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이는 국소적용에 적합한 모든 제형으로,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또는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및/또는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로, 또는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 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들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추가적으로 점증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점증제는 메틸 셀룰로스, 카르복시 메틸 셀룰로스, 카르복시 메틸 하이드록시 구아닌, 하이드록시 메틸 셀룰로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스, 카르복시 비닐 폴리머, 폴리쿼터늄, 세테아릴 알콜, 스테아릭산, 카라기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카르복시 메틸 셀룰로스, 카르복시 비닐 폴리머, 폴리쿼터늄 중에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카르복시 비닐 폴리머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적절한 각종의 기제와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이들 성분의 종류와 양은 발명자에 의해 용이하게 선정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허용 가능한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당업계에 통상적인 방부제, 색소, 첨가제 등의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방부제는 구체적으로 페녹시에탄올(Phenoxyethanol) 또는 1,2-헥산디올 (1,2-Hexanediol) 등이 될 수 있고, 향료는 인공향료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본원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서 화장료 조성물은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화장품으로 제형화할 경우 활성 성분에 대한 담체로서 작용하는 피부적으로 허용 가능한 공지의 부형제를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International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 6th ed., The cosmetic, Toiletry and Fragrance Association, Inc., Washington, 1995에 개시되어 있는 내용을 참조할 수 있다. 상기 문헌들은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포함된다.
나아가 일 구현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로 사용할 수도 있고, 건강기능식품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식품의 주원료, 부원료, 식품 첨가제, 기능성 식품 또는 음료로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식품"이란, 영양소를 한 가지 또는 그 이상 함유하고 있는 천연물 또는 가공품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어느 정도의 가공 공정을 거쳐 직접 먹을 수 있는 상태가 된 것을 의미하며, 통상적인 의미로서, 식품, 식품 첨가제, 기능성식품 및 음료를 모두 포함하는 것을 말한다.
상기 식품용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체, 기능성 식품 등이 있다. 추가로, 특수영양식품(예, 조제유류, 영, 유아식 등), 식육가공품, 어육제품, 두부류, 묵류, 면류(예, 라면류, 국수류 등), 빵류, 건강보조식품, 조미식품(예, 간장, 된장, 고추장, 혼합장 등), 소스류, 과자류(예, 스낵류), 캔디류, 쵸코렛류, 껌류, 아이스크림류, 유가공품(예, 발효유, 치즈 등), 기타 가공식품, 김치, 절임식품(각종 김치류, 장아찌 등), 음료(예, 과실음료, 채소류 음료, 두유류, 발효음료류 등), 천연조미료(예, 라면스프 등)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식품, 음료 또는 식품첨가제는 통상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능성 식품" 또는 "건강기능성 식품"이란 식품에 물리적, 생화학적, 생물 공학적 수법 등을 이용하여 해당 식품의 기능을 특정 목적에 작용, 발현하도록 부가가치를 부여한 식품군이나 식품 조성이 갖는 생체방어리듬조절, 질병방지와 회복 등에 관한 체내조절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현하도록 설계하여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는 건강 기능성 식품일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식품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 보조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기능성 식품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강보조식품의 종류로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 형태일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본원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시험예 1: UVB 처리에 의한 색소형성세포 형태 변화 및 세포수 변화
UVB를 색소형성세포에 유도하여 색소형성세포를 노화시켰으며, 그 결과 형태학적으로 세포의 모습이 변화하였고, 급작스런 노화에 의해 세포의 사멸이 발생하여 약 50% 수준의 세포가 사멸함을 확인하였다. 이 후, 하기 화학식 E로 표시되는 화합물(Sigma-Aldrich)을 처리하였다. 그 결과 상기 화학식 E로 표시되는 화합물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의 수가 다시 증가함을 확인하였다(도 1 및 도 2 참고). 또한, 전체 세포수(도 3의 (A)) 및 노화된 세포수(도 3의 (B))를 측정하여, 전체 세포수 대비 SA-β-gal 염색이 된 노화 세포수의 비율(도 3의 (C))을 계산하였는데, 상기 화학식 E로 표시되는 화합물 농도 의존적으로 전체 세포수 대비 노화된 세포수의 비율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도 3 참고).
[화학식 E]
Figure 112019128653481-pat00005
시험예 2: UVB 처리 후 섬유아세포 세포수 변화
UVB를 섬유아세포에 유도하여 섬유아세포를 노화시켰으며, 그 결과 형태학적으로 세포의 모습이 변화하였고, 급작스런 노화에 의해 세포의 사멸이 발생하여 약 60% 수준의 세포가 사멸함을 확인하였다. 이 후, 상기 화학식 E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처리하였다. 그 결과 상기 화학식 E로 표시되는 화합물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의 수가 다시 증가함을 확인하였다(도 4 및 도 5 참고). 또한, 전체 세포수(도 6의 (A)) 및 SA-β-gal 염색이 된 노화 세포수(도 6의 (B))를 측정하여, 전체 세포수 대비 노화된 세포수의 비율(도 6의 (C))을 계산하였는데, 상기 화학식 E로 표시되는 화합물 농도 의존적으로 전체 세포수 대비 노화된 세포수의 비율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도 6 참고).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 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7)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유도체 또는 이의 화장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SA-β-gal(senescence associated-beta galactosidase) 염색이 되지 않는 인체 유래 피부세포의 생장만을 촉진시키는,
    노화 피부세포 주변 환경변화 유도 촉진용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9128653481-pat00006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히드록시기 또는 카르복실기이고,
    n은 1 내지 3의 정수이다.
  2. 제1항에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노화 피부세포 주변 환경변화 유도 촉진용 조성물:
    [화학식 1-1]
    Figure 112019128653481-pat00007

    상기 화학식 1-1에서,
    R1은 히드록시기이고,
    R2는 카르복실기이다.
  3. 제1항에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상기 조성물 총량을 기준으로 0.01 중량% 내지 5 중량%로 포함되는, 노화 피부세포 주변 환경변화 유도 촉진용 조성물.
  4. 제1항에서,
    상기 피부세포는 색소형성세포인, 노화 피부세포 주변 환경변화 유도 촉진용 조성물.
  5. 제1항에서,
    상기 피부세포는 섬유아세포인, 노화 피부세포 주변 환경변화 유도 촉진용 조성물.
  6. 제1항에서,
    상기 조성물은
    SA-β-gal(senescence associated-beta galactosidase) 염색이 되지 않는 인체 유래 젊은 피부세포만의 세포수를 늘리고,
    SA-β-gal(senescence associated-beta galactosidase) 염색이 되는 인체 유래 노화세포의 세포수는 그대로 유지시키는, 노화 피부세포 주변 환경변화 유도 촉진용 조성물.
  7. 제1항에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인, 노화 피부세포 주변 환경변화 유도 촉진용 조성물.
KR1020190165822A 2019-12-12 2019-12-12 노화 피부세포 주변 환경변화 유도 촉진용 조성물 KR1022994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5822A KR102299417B1 (ko) 2019-12-12 2019-12-12 노화 피부세포 주변 환경변화 유도 촉진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5822A KR102299417B1 (ko) 2019-12-12 2019-12-12 노화 피부세포 주변 환경변화 유도 촉진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4770A KR20210074770A (ko) 2021-06-22
KR102299417B1 true KR102299417B1 (ko) 2021-09-07

Family

ID=76600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5822A KR102299417B1 (ko) 2019-12-12 2019-12-12 노화 피부세포 주변 환경변화 유도 촉진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9417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5532B1 (ko) * 2013-10-17 2020-04-29 (주)아모레퍼시픽 만능 줄기세포의 유도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만능줄기세포
KR20170076351A (ko) * 2015-12-24 2017-07-0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브루세인 디를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70078259A (ko) * 2015-12-29 2017-07-0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아이소스테비올을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494611B1 (ko) * 2015-12-29 2023-01-3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에틸 페룰레이트를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70080084A (ko) * 2015-12-31 2017-07-1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네포딘을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4770A (ko) 2021-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9417B1 (ko) 노화 피부세포 주변 환경변화 유도 촉진용 조성물
KR102371680B1 (ko) 노화 피부세포 주변 환경변화 유도 촉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시트
KR102200546B1 (ko) 노화 피부세포 주변 환경변화 유도 촉진용 조성물
KR20210036166A (ko) 피부장벽 강화용 조성물
KR20210117027A (ko) 미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미백방법
KR20200048225A (ko) 화합물 수득 방법
JP2020189816A (ja) ビタミンc誘導体組成物
KR102540980B1 (ko)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EP3871657A1 (en) Composition for enhancing skin barrier
JP2003176232A (ja) 皮膚外用剤及び飲食品
US20220000734A1 (en) Composition and method of strengthening skin barrier
US20210393496A1 (en) Composition and method of inhibiting cortisone reductase by applying it to the skin
KR20230140430A (ko) 미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미백방법
KR20220143509A (ko)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미백방법
US20210353658A1 (en) Composition and method of inhibiting cortisone reductase
KR20210033785A (ko) 피부 각질세포의 항염 물질 스크리닝 방법, 스크리닝 키트 및 피부 각질세포의 항염 물질 함유 조성물
KR20210117028A (ko) 미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미백방법
KR20210036747A (ko) 피부 각질세포의 항노화 물질 스크리닝 방법, 스크리닝 키트 및 피부 각질세포의 항노화 물질 함유 조성물
KR20220159751A (ko) 미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미백방법
KR20200053931A (ko) 색소 침착 모델 세포용 세포배양액, 이를 이용한 색소 침착 모델 세포, 색소 침착 모델 세포 제조방법, 색소 침착 모델 세포를 이용한 피부 미백 물질 스크리닝 방법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