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6166A - 피부장벽 강화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장벽 강화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6166A
KR20210036166A KR1020190118286A KR20190118286A KR20210036166A KR 20210036166 A KR20210036166 A KR 20210036166A KR 1020190118286 A KR1020190118286 A KR 1020190118286A KR 20190118286 A KR20190118286 A KR 20190118286A KR 20210036166 A KR20210036166 A KR 202100361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skin
formula
skin barrier
compound represe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8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은정
최현정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90118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6166A/ko
Publication of KR20210036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61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5Hydroxycarboxylic acids; Keto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Abstract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9

(상기 화학식 1에서, 각 치환기는 명세서에 정의된 바와 같다.)

Description

피부장벽 강화용 조성물 {COMPOSITION FOR SKIN BARRIER}
본 기재는 피부장벽 강화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인체가 생존하는 데 있어 필수적인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환경 변화에 대응하여 인체 내부의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한 장벽 기능, 외부 변화를 인지하기 위한 감각 기능, 체온 조절 기능 등이 가장 대표적인 피부의 기능에 속한다. 상기 다양한 피부의 기능 중, 특히 피부의 장벽 기능은 주로 피부의 가장 외각에 위치하는 각질층에 의해 나타나게 된다. 각질층은 단순한 장벽 기능뿐 아니라 내부의 살아있는 세포층, 즉 표피층이나 진피층의 기능 및 역할, 구조 등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어 그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각질층은 죽은 각질세포와 세포간 지질로 구성되어 있고, 외부 자극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며 내부에서 수분이 증발하는 것을 막아주는 피부 보호막으로서 핵심적인 기능을 담당한다. 또한, 각질층의 각질형성세포는 분화 및 각질화 과정을 통해 피부 장벽을 만든다.
사람의 피부에 노화를 일으키는 요인은 다양하나 특히 자외선에 의해서 피부의 주름 생성, 탄력 저하, 색소 침착 및 피부 장벽 손상으로 인한 피부 수분량 감소가 나타나게 된다.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으로 피부 표면 수분량이 감소하게 되면, 피부 표면 각질층의 유연성이 상실하게 되면서 피부가 건조하게 되며 이는 결국에는 피부가 장벽으로서의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하게 한다. 따라서, 피부 장벽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피부의 보습력을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한편, 다양한 염증성 피부염은 IgE 관련 면역기전에 의해 발생되는데, 이 경우 T세포 이상에 의한 지연성 면역 반응이 관여한다는 보고들이 많다. 특히, 아토피 피부염이 발생한 부위에는 대식세포, Th 림프구, 비만세포 등 면역관련 세포의 침윤이 크게 증가한다. 아토피 피부염의 피부는 아토피 피부염 환자의 경우 혈중 IgE의 농도가 높은데 이는 Th2 세포의 수가 증가하며 이 세포가 분비한 IL-4, 13 등 Th2 사이토카인의 B 림프구 자극을 통해 IgE 분비를 촉진하기 때문이다. 특히 초기 아토피 피부염의 경우 IL-4, IL-13이 중요하게 작용한다(Donald Y.M. Leung et al., J Clin Invest. 2004, 113, 651-657).
상기 아토피 피부염과 같은 염증은 염증해소인자가 능동적으로 관여하게 하는 것이 치료 및 예방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상기 염증해소인자는 염증의 해소 단계(inflammation resolution)에 능동적으로 관여하는 인자로써 염증반응 후기에 조직 내 면역세포(neutrophil, macrophage)로부터 자연적으로 생성 및 분비된다. 상기 염증해소인자는 지질, 단백질, 기체분자 등 다양한 형태가 있는데, 그 중에서도 특히 염증해소 지질 인자(specialized pro-resolving lipid mediator, SPMs)에 대한 연구가 최근들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상기 염증해소 지질 인자는 omega-3 polyunsaturated fatty acid(PUFA)인 eicosapentaenoic acid(EPA) 또는 docosahexaenoic acid(DHA)가 세포 내에서 대사되면서 생성되는 metabolite 이다. 현재까지 상기 염증해소 지질 인자에 의한 염증반응 완화는 다수 보고되었으나, 상기 염증해소 지질 인자의 피부장벽강화 및 피부보습력 향상을 위한 용도는 알려진 바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인체에 안전한 천연 피부장벽강화제를 개발하던 중 상기 염증해소 지질 인자가 이와 같은 효과가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개발하게 되었다.
일 구현예는 손상된 피부장벽, 특히 자외선에 의해 손상된 피부장벽을 강화시켜, 피부보습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히드록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콕시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20 아릴옥시기이되, 상기 R1 내지 R3 중 적어도 하나는 히드록시기이다.
상기 R1 내지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히드록시기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0.01 pM 내지 1 μM의 농도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유효 성분으로 에탄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부장벽강화는 피부의 수분손실을 감소시켜 피부보습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피부장벽강화는 자외선에 의해 손상된 피부장벽을 강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피부의 수분손실을 감소시키고, 자외선 조사에 의해 손상된 피부장벽을 개선시킴으로써 피부장벽을 강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에 따른 조성물이, keratinocyte 분화마커 유전자(Keratin 10)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2는 실시예 1에 따른 조성물이, 세포 간 결합체(desmosome) 구성인자인 DSC1(Desmocollin-1)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3은 비교예 2에 따른 조성물이, keratinocyte 분화마커 유전자(Keratin 10)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4는 비교예 2에 따른 조성물이, 세포 간 결합체(desmosome) 구성인자인 DSC1(Desmocollin-1)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현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피부장벽기능 개선이란, 피부의 외각에 위치하는 각질층의 장벽을 강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피부의 1차 방어막인 각질층은 외부 환경에 의해 쉽게 손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조한 피부인 사람의 경우, 각질층의 피부장벽의 기능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거나 손상되어 있다. 건조한 피부에 보습력을 부여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보습제를 바르는 처방을 통해 일시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는 있으나 근본적인 문제까지 해결하기 어렵고, 나아가 자외선에 의해 손상된 피부장벽은 단순히 보습제를 바르는 처방을 통해 개선될 수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특정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여 피부장벽을 강화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본 명세서에서 별도의 정의가 없는 한, "조합"이란 혼합 또는 공중합을 의미한다. 또한 "공중합"이란 블록 공중합 내지 랜덤 공중합을 의미하고, "공중합체"란 블록 공중합체 내지 랜덤 공중합체를 의미한다.
이하 일 구현예에 따른 피부장벽 강화용 조성물에 대해 설명한다.
일 구현예에 따른 피부장벽 강화용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2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히드록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콕시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20 아릴옥시기이되, 상기 R1 내지 R3 중 적어도 하나는 히드록시기이다.
예컨대,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히드록시기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염증해소 지질 인자(specialized pro-resolving lipid mediator, SPMs) 중 하나로서, 자외선에 의한 피부장벽 손상을 개선하고, 피부의 수분손실을 감소시켜 피부보습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외선에 의해 손상된 피부를 보면, 피부 내 keratinocyte 분화마커 유전자 발현 감소 및 세포간 결합(desmosome) 인자 유전자 발현 감소가 관찰됨을 확인할 수 있는데,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R1 내지 R3으로 표시되는 치환기와 직접 결합을 이루는 주골격 내 탄소원자(하기 화학식 1A에서 화살표가 가리키는 탄소원자)가 각각 R 또는 S의 특정 배위(configuration) 가지기에, keratinocyte 분화마커 유전자 발현 및 세포간 결합(desmosome) 인자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켜, 자외선에 의해 손상된 피부방벽을 개선시키는 데 탁월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즉, 일 구현예에 따른 조성물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자외선에 의해 손상된 피부장벽을 강화시키는 데 탁월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하기 화학식 1A로 표시되는 화합물에서, 화살표가 가리키는 탄소원자의 배위가 하나라도 변경될 경우, 그러한 화합물은 상기 화학식 1과 동일한 배위를 가지지 못하기에, keratinocyte 분화마커 유전자 발현 및 세포간 결합(desmosome) 인자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화학식 1A]
Figure pat00003
즉, 일 구현예에 따른 조성물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피부의 수분손실을 감소시켜 피부보습력을 향상시키는 데 탁월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일 구현예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조성물을 제공하며,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단독으로 포함하거나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 내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0.01 pM 내지 1 μM의 농도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0.01 pM 미만의 농도로 사용할 경우에는 keratinocyte 분화마커 유전자 발현 정도가 미미하여 피부장벽 기능 개선 효과를 가질 수 없으며,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1 μM 초과의 농도로 사용할 경우에는 세포독성이 나타나 인체에 해를 끼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나아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에탄올과 함께 사용될 경우, 피부장벽 강화 효과를 더욱 배가시킬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유기용매 등에 용해된 상태에서도 그 효능을 발휘할 수 있는데, 이 때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용해도 또한 상기 효능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에탄올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유기용매에 대한 용해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의한 keratinocyte 분화마커 유전자 발현 및 세포간 결합(desmosome) 인자 유전자 발현의 속도를 크게 개선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이란 상기 생리활성성분이 동물 또는 사람에게 투여되어 목적하는 생리학적 또는 약리학적 활성을 나타내기에 충분한 양을 말한다. 그러나 상기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증상의 정도, 환자의 연령, 체중, 건강상태, 성별, 투여 경로 및 치료기간 등에 따라 적절히 변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이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고 인간에게 투여될 때, 통상적으로 위장 장애, 현기증과 같은 알레르기 반응 또는 이와 유사한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것을 말한다. 상기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의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또한, 충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및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화장료"는, 미용 기능뿐만 아니라, 미용 기능 외에 추가적으로 의학적 기능을 가질 수 있는 모든 물질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목적하는 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세정제, 토닉, 정발제, 영양화장수, 에센스, 세럼, 트리트먼트, 컨디셔너, 샴푸, 로션, 양모제 또는 염모제 등의 화장료 조성물, 수중유(O/W)형, 유중수(O/W)형 등의 기초 화장료로 제형화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쳐 크림, 핸드크림, 연고,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저, 로션, 연고, 겔, 크림, 패취 및 분무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각각의 제형에 있어서 상기한 필수성분 이외에 다른 성분들은 기타 외용제의 종류 또는 사용목적 등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합하게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예컨대, 자외선 차단제, 헤어 컨디셔닝제, 향료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이는 국소적용에 적합한 모든 제형으로,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또는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및/또는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로, 또는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 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들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추가적으로 점증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점증제는 메틸 셀룰로스, 카르복시 메틸 셀룰로스, 카르복시 메틸 하이드록시 구아닌, 하이드록시 메틸 셀룰로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스, 카르복시 비닐 폴리머, 폴리쿼터늄, 세테아릴 알콜, 스테아릭산, 카라기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카르복시 메틸 셀룰로스, 카르복시 비닐 폴리머, 폴리쿼터늄 중에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카르복시 비닐 폴리머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적절한 각종의 기제와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이들 성분의 종류와 양은 발명자에 의해 용이하게 선정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허용 가능한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당업계에 통상적인 방부제, 색소, 첨가제 등의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방부제는 구체적으로 페녹시에탄올(Phenoxyethanol) 또는 1,2-헥산디올 (1,2-Hexanediol) 등이 될 수 있고, 향료는 인공향료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본원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서 화장료 조성물은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다.
나아가 일 구현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약학적 조성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강기능식품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식품의 주원료, 부원료, 식품 첨가제, 기능성 식품 또는 음료로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식품"이란, 영양소를 한 가지 또는 그 이상 함유하고 있는 천연물 또는 가공품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어느 정도의 가공 공정을 거쳐 직접 먹을 수 있는 상태가 된 것을 의미하며, 통상적인 의미로서, 식품, 식품 첨가제, 기능성식품 및 음료를 모두 포함하는 것을 말한다.
상기 식품용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체, 기능성 식품 등이 있다. 추가로, 특수영양식품(예, 조제유류, 영, 유아식 등), 식육가공품, 어육제품, 두부류, 묵류, 면류(예, 라면류, 국수류 등), 빵류, 건강보조식품, 조미식품(예, 간장, 된장, 고추장, 혼합장 등), 소스류, 과자류(예, 스낵류), 캔디류, 쵸코렛류, 껌류, 아이스크림류, 유가공품(예, 발효유, 치즈 등), 기타 가공식품, 김치, 절임식품(각종 김치류, 장아찌 등), 음료(예, 과실음료, 채소류 음료, 두유류, 발효음료류 등), 천연조미료(예, 라면스프 등)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식품, 음료 또는 식품첨가제는 통상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능성 식품" 또는 "건강기능성 식품"이란 식품에 물리적, 생화학적, 생물 공학적 수법 등을 이용하여 해당 식품의 기능을 특정 목적에 작용, 발현하도록 부가가치를 부여한 식품군이나 식품 조성이 갖는 생체방어리듬조절, 질병방지와 회복 등에 관한 체내조절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현하도록 설계하여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는 건강 기능성 식품일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식품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 보조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기능성 식품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강보조식품의 종류로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 형태일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본원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시험예: keratinocyte 분화마커(KRT10) 및 desmosome 구성인자(DSC1) 발현 정도 확인
(실시예 1)
인간 각질형성세포(normal human epidermal keratinocyte, NHEK)를 6-well 평판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phosphote-buffered saline (PBS)로 교체하여 UVB(25 mJ/cm2)를 조사하고 NHEK 배양배지에 하기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화합물(Cayman chemical) 10 nM 및 에탄올 760nM을 첨가하고 배양하였다. 배양 4일째에 세포를 수확하여 RNA를 분리하고 RT-PCR(reverse transcriptional polymerase chain reaction)을 통해 cDNA를 합성한 후, 상기 합성된 cDNA을 사용해 Taqman real-time PCR을 수행하여 keratinocyte 분화마커인 KRT10과 desmosome 구성인자인 DSC1의 유전자 발현양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 표 2, 도 1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화학식 1-1]
Figure pat00004
(비교예 1)
'상기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화합물(Cayman chemical) 10 nM'을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그 결과를 하기 도 1 내지 도 4, 표 1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상기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화합물 대신 하기 화학식 C-1로 표시되는 화합물(Cayman chemical)을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 표 2, 도 3 및 도 4에 나타내었다.
[화학식 C-1]
Figure pat00005
(비교예 3)
상기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화합물 대신 하기 화학식 C-2로 표시되는 화합물(Cayman chemical)을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화학식 C-2]
Figure pat00006
(비교예 4)
상기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화합물 대신 하기 화학식 C-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Cayman chemical)을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화학식 C-3]
Figure pat00007
(단위: Fold change)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UVB 조사 후 KRT10 발현량 0.4 0.2 0.1 0.1 0.1
(UVB 조사 전 KRT10 발현량: 1 Fold change)
(단위: Fold change)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UVB 조사 후 DSC1 발현량 0.7 0.4 0.4 0.4 0.4
(UVB 조사 전 DSC1 발현량: 1 Fold change)
표 1, 표 2 및 도 1 내지 도 4를 보면, 자외선 조사 후 keratin 10(KRT10) 및 DSC1의 유전자 발현량이 감소되나, 상기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화합물 처리 후, keratin 10(KRT10) 및 DSC1의 유전자 발현량의 감소폭이 최소화됨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로부터 상기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자외선에 의해 손상된 피부장벽을 개선시킴을 알 수 있고, 에탄올을 유효 성분으로 더 포함할 경우 자외선에 의해 손상된 피부장벽 개선효과가 더욱 배가됨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상기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처리하지 않거나, 상기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화합물 대신 상기 화학식 C-1 내지 화학식 C-3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처리한 후에는, keratin 10(KRT10) 및 DSC1의 유전자 발현량 감소폭이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 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7)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8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히드록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콕시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20 아릴옥시기이되, 상기 R1 내지 R3 중 적어도 하나는 히드록시기이다.
  2. 제1항에서,
    상기 R1 내지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히드록시기인 조성물.
  3. 제1항에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0.01 pM 내지 1 μM의 농도범위로 포함되는 조성물.
  4. 제1항에서,
    상기 조성물은 에탄올을 유효성분으로 더 포함하는 조성물.
  5. 제1항에서,
    상기 피부장벽강화는 피부의 수분손실을 감소시켜 피부보습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1항에서,
    상기 피부장벽강화는 자외선에 의해 손상된 피부장벽을 강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1항에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인 조성물.
KR1020190118286A 2019-09-25 2019-09-25 피부장벽 강화용 조성물 KR202100361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8286A KR20210036166A (ko) 2019-09-25 2019-09-25 피부장벽 강화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8286A KR20210036166A (ko) 2019-09-25 2019-09-25 피부장벽 강화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6166A true KR20210036166A (ko) 2021-04-02

Family

ID=75466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8286A KR20210036166A (ko) 2019-09-25 2019-09-25 피부장벽 강화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3616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97125A1 (ko) 2021-03-19 2022-09-2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 전지용 양극 슬러리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양극 및 상기 양극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97125A1 (ko) 2021-03-19 2022-09-2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 전지용 양극 슬러리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양극 및 상기 양극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7638B1 (ko) 용암해수염을 함유하는 조성물
JP6902329B2 (ja) 皮脂腺細胞の活性化の抑制剤
KR20210036166A (ko) 피부장벽 강화용 조성물
JP4722595B2 (ja) 抗炎症剤、抗酸化剤及び美白剤、並びに皮膚化粧料
KR20210117027A (ko) 미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미백방법
KR101819670B1 (ko)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EP3871657A1 (en) Composition for enhancing skin barrier
JP5689247B2 (ja) セラミド産生促進剤及び保湿剤
KR102299417B1 (ko) 노화 피부세포 주변 환경변화 유도 촉진용 조성물
US20220000734A1 (en) Composition and method of strengthening skin barrier
KR102371680B1 (ko) 노화 피부세포 주변 환경변화 유도 촉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시트
KR20200048225A (ko) 화합물 수득 방법
JP2020189816A (ja) ビタミンc誘導体組成物
KR102200546B1 (ko) 노화 피부세포 주변 환경변화 유도 촉진용 조성물
JP2003176232A (ja) 皮膚外用剤及び飲食品
US20220387277A1 (en) Method for whitening skin using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KR102540980B1 (ko)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KR20230140430A (ko) 미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미백방법
KR20210117028A (ko) 미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미백방법
JP3747223B2 (ja) 活性酸素消去剤
JP2005035981A (ja) 抗炎症剤及び抗老化剤
KR20240005279A (ko) 톳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지분비 억제용 조성물
KR20210033785A (ko) 피부 각질세포의 항염 물질 스크리닝 방법, 스크리닝 키트 및 피부 각질세포의 항염 물질 함유 조성물
CN112804985A (zh) 可的松还原酶阻碍用组合物
JP2022509002A (ja) 組成物及びこれを皮膚に塗布してコルチゾン還元酵素を阻害させる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