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6747A - 피부 각질세포의 항노화 물질 스크리닝 방법, 스크리닝 키트 및 피부 각질세포의 항노화 물질 함유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 각질세포의 항노화 물질 스크리닝 방법, 스크리닝 키트 및 피부 각질세포의 항노화 물질 함유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6747A
KR20210036747A KR1020190119154A KR20190119154A KR20210036747A KR 20210036747 A KR20210036747 A KR 20210036747A KR 1020190119154 A KR1020190119154 A KR 1020190119154A KR 20190119154 A KR20190119154 A KR 20190119154A KR 20210036747 A KR20210036747 A KR 202100367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ing
skin keratinocytes
skin
substance
scre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9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민정
김형준
손의동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90119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6747A/ko
Publication of KR20210036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67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005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 G01N33/500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 G01N33/5044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involving specific cell typ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3/00Treatment of microorganisms or enzymes with electrical or wave energy, e.g. magnetism, sonic wav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25Epidermal cells, skin cells; Cells of the oral mucosa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3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iseases caused by alterations of genetic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G01N33/6881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from ski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3/00Use of cells in diagnostics
    • C12N2503/02Drug screen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29/00Culture proces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omagnetic stimulation
    • C12N2529/10Stimulation by light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36Screening for pharmacological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48Screening for cosmet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58Expression mark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Immu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Hemat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Toxi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리핀-1(Lipin-1) 단백질 및 노화 유전자를 함유하는 피부 각질세포에 시험 물질을 처리하는 단계; 상기 시험 물질을 처리한 피부 각질세포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단계; 및 상기 자외선 조사 전후의 피부 각질세포의 노화 유전자의 발현 정도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노화 유전자는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티네이즈-1(Matrix metalloproteinase-1), 인산화된 피65(phosphorylated p65)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피부 각질세포의 항노화 물질 스크리닝 방법, 피부 각질세포의 항노화 물질 스크리닝 키트 및 피부 각질세포의 항노화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피부 각질세포의 항노화 물질 스크리닝 방법, 스크리닝 키트 및 피부 각질세포의 항노화 물질 함유 조성물 {SCREENING METHOD OF MATERIAL FOR ANTI-AGING OF KERATINOCYTE, SCREENING KIT AND COMPOSITION COMPRISING MATERIAL FOR ANTI-AGING OF KERATINOCYTE}
본 기재는 피부 각질세포의 항노화 물질 스크리닝 방법, 스크리닝 키트 및 피부 각질세포의 항노화 물질 함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인체가 생존하는 데 있어 필수적인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환경 변화에 대응하여 인체 내부의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한 장벽 기능, 외부 변화를 인지하기 위한 감각 기능, 체온 조절 기능 등이 가장 대표적인 피부의 기능에 속한다. 상기 다양한 피부의 기능 중, 특히 피부의 장벽 기능은 주로 피부의 가장 외각에 위치하는 각질층에 의해 나타나게 된다. 각질층은 단순한 장벽 기능뿐 아니라 내부의 살아있는 세포층, 즉 표피층이나 진피층의 기능 및 역할, 구조 등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어 그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각질층은 죽은 각질세포와 세포간 지질로 구성되어 있고, 외부 자극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며 내부에서 수분이 증발하는 것을 막아주는 피부 보호막으로서 핵심적인 기능을 담당한다. 또한, 각질층의 각질형성세포는 분화 및 각질화 과정을 통해 피부 장벽을 만들어, 외부로부터의 다양한 자극을 방어하고, 체내에서 발산되는 수분을 보유할 수 있다. 각질 형성 세포는 피부 최하층인 기저층(basal layer)에서 증식(proliferation)하면서, 점차 유극층(spinous layer), 과립층(Granular layer)을 거쳐 분화된다. 이러한 각화 과정(keratinization)을 통하여, 각질 세포는 천연 보습인자(NMF; Natural Moisturizing factor)와 지질(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또는 지방산)을 형성하면서 각질층(stratum corneum)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각질층이 정상적으로 형성되어야, 피부 장벽(skin barrier) 기능이 제대로 수행될 수 있다.
사람의 피부에 노화를 일으키는 요인은 다양하나 특히 자외선에 의해서 피부의 주름 생성, 탄력 저하, 색소 침착 및 피부 장벽 손상 등이 발생하게 된다.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이 일어나면, 피부 표면 각질층의 유연성이 상실하게 되면서 피부가 건조하게 되며 이는 결국에는 피부가 장벽으로서의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하게 한다. 따라서, 피부 장벽을 강화하기 위한, 즉 항노화 효과를 꾀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계속되고 있는데, 현재까지는 자외선에 의해 손상된 피부 각질세포가 더이상 자외선에 의해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즉 추가 손상을 방지하는 방향으로 항노화 효과를 꾀하려는 시도가 대부분이었고, 자외선이 조사되더라도 피부 각질세포 스스로 방어기작을 활성화시켜 자외선에 의한 손상을 최소화하는 방향, 즉 처음부터 손상 자체를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항노화 효과를 꾀하려는 시도는 없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오랜 연구 끝에 리핀-1(Lipin-1) 단백질 및 노화 유전자를 함유하는 피부 각질세포를 특정 물질로 처리할 경우, 자외선 등의 외부 자극을 받은 상기 피부 각질세포는 세포 자기방어 기작을 스스로 활성화시켜 항노화 효과를 꾀할 수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개발하게 되었다.
일 구현예는 자외선 등의 자극이 있을 경우, 피부 각질세포의 자기방어 기작을 촉진시켜 항노화 효과를 꾀할 수 있게 하는, 피부 각질세포의 항노화 물질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다른 구현예는 상기 스크리닝 방법으로 이용한, 피부 각질세포의 항노화 물질 스크리닝 키트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또 다른 구현예는 피부 각질세포의 항노화 조성물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리핀-1(Lipin-1) 단백질 및 노화 유전자를 함유하는 피부 각질세포에 Propranolol 처리하는 단계; 상기 시험 물질을 처리한 피부 각질세포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단계; 및 상기 자외선 조사 전후의 피부 각질세포의 노화 유전자의 발현 정도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노화 유전자는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티네이즈-1(Matrix metalloproteinase-1), 인산화된 피65(phosphorylated p65)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피부 각질세포의 항노화 물질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피부 각질세포의 항노화 물질 스크리닝 방법은 상기 시험 물질 처리 후의 상기 노화 유전자의 발현 정도가 처리 전의 정도에 비해 낮은 물질을, 피부 각질세포의 항노화 물질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은 290nm 내지 400nm의 파장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조사량은 15 mJ/cm2 내지 25 mJ/cm2 일 수 있다.
상기 스크리닝 방법은 피부 각질세포의 자기방어 기작 촉진용 물질 스크리닝 방법일 수 있다.
다른 구현예는 피부 각질세포; 및 지시서를 포함하며, 상기 지시서에는 상기 스크리닝 방법이 기재되어 있는, 피부 각질세포의 항노화 물질 스크리닝 키트를 제공한다.
또 다른 구현예는 리핀-1(Lipin-1) 단백질 발현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각질세포의 항노화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리핀-1(Lipin-1) 단백질 및 노화 유전자를 함유하는 피부 각질세포에 시험물질을 처리하고, 자외선 조사 전후의 상기 피부 각질세포의 노화 유전자의 발현 정도를 확인함으로써, 간편하면서도 신속하게 피부 각질세포의 자기방어 기작을 활성화시키는 항노화 물질을 효율적으로 스크리닝할 수 있다.
도 1은 인간 피부 각질세포에서 리핀-1 단백질의 발현 억제 여부에 따른, 자외선 조사 전후의 피부 각질세포 내 노화 유전자인 메탈로프로티네이즈-1(Matrix metalloproteinase-1)의 발현 변화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인간 피부 각질세포에서 리핀-1 단백질의 발현 억제 여부에 따른, 자외선 조사 전후의 피부 각질세포 내 노화 유전자인 인산화된 피65(phosphorylated p65)의 발현 변화를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현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리핀(Lipin)은 지질대사 및 글루코스 수치의 항상성 조절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단백질로서, 피부를 포함하여, 지방조직, 골격근, 간 등의 조직에 다양하게 분포한다. 리핀은 크게 리핀-1(Lipin -1), 리핀-2(Lipin-2), 리핀-3(Lipin-3)로 3종류로 나뉜다. 특히, 리핀-1을 코딩하는 유전자는 LPIN1 이라고 한다. 리핀-1 단백질은 자외선에 피부가 노출되면, 그 발현이 감소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피부라 함은, 동물의 체표를 덮는 조직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얼굴 또는 바디 등의 체표를 덮는 조직뿐만 아니라, 두피와 모발을 포함하는 최광의의 개념이다. 이와 같은 측면에서, 상기 피부 각질세포는 사람의 정상 피부 각질세포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피부 각질세포의 항노화란, 피부의 외각에 위치하는 각질층의 장벽을 강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피부의 1차 방어막인 각질층은 외부 환경에 의해 쉽게 손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조한 피부인 사람의 경우, 각질층의 피부장벽의 기능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거나 손상되어 있다. 건조한 피부에 보습력을 부여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보습제를 바르는 처방을 통해 일시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는 있으나 근본적인 문제까지 해결하기 어렵고, 나아가 자외선에 의해 손상된 피부장벽은 단순히 보습제를 바르는 처방을 통해 개선될 수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리핀-1(Lipin-1) 단백질 및 노화 유전자를 함유하는 피부 각질세포는 특정 물질로 처리될 경우 피부 각질세포 스스로 자기방어 기작을 촉진시켜 노화 유전자의 발현이 감소됨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피부 각질세포의 자기방어 기작을 활성화시키는 물질을 스크리닝하여 이를 피부 각질세포의 항노화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발현 정도는 시험 물질을 처리한 피부 각질세포에서의 노화 유전자의 발현 정도를, 시험 물질을 처리하지 않은 피부 각질세포에서의 노화 유전자의 발현 정도와 비교하였을 때의 발현 정도일 수 있다.
상기 발현 정도는 발현량 및 발현 질(quality)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발현 정도는, 예컨대, 단백질의 발현정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본 명세서에서 별도의 정의가 없는 한, "조합"이란 혼합 또는 공중합을 의미한다. 또한 "공중합"이란 블록 공중합 내지 랜덤 공중합을 의미하고, "공중합체"란 블록 공중합체 내지 랜덤 공중합체를 의미한다.
이하 일 구현예에 따른 피부 각질세포의 항노화 물질 스크리닝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일 구현예에 따른 피부 각질세포의 항노화 물질 스크리닝 방법은 리핀-1(Lipin-1) 단백질 및 노화 유전자를 함유하는 피부 각질세포에 시험 물질을 처리하는 단계; 상기 시험 물질을 처리한 피부 각질세포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단계; 및 상기 자외선 조사 전후의 피부 각질세포의 노화 유전자의 발현 정도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노화 유전자는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티네이즈-1(Matrix metalloproteinase-1), 인산화된 피65(phosphorylated p65)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일 구현예에 따른 피부 각질세포의 항노화 물질 스크리닝 방법은 상기 시험 물질 처리 후의 상기 노화 유전자의 발현 정도가 처리 전의 정도에 비해 낮은 물질을, 피부 각질세포의 항노화 물질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시험 물질을 처리하지 않은 상기 피부 각질세포에서의 자외선 조사 후 노화 유전자의 발현 정도보다 시험 물질을 처리한 상기 피부 각질세포에서의 자외선 조사 후 노화 유전자의 발현 정도가 낮으면, 처리한 시험 물질이 노화 유전자의 발현 정도를 감소시켰다고 판단할 수 있다. 반대로, 시험 물질을 처리하지 않은 상기 피부 각질세포에서의 자외선 조사 후 노화 유전자의 발현 정도보다 시험 물질을 처리한 상기 피부 각질세포에서의 자외선 조사 후 노화 유전자의 발현 정도가 높거나 유사하면, 처리한 시험 물질이 노화 유전자의 발현 정도를 증가시켰거나 또는 감소시키지 않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처리한 시험 물질이 자외선 조사 후 노화 유전자의 발현 정도를 감소시키면, 자외선과 같은 외부 자극을 받은 피부 각질세포의 자기방어 기작이 촉진됨으로써 상기 노화 유전자의 발현 정도가 감소되었음이 확인이 되고, 이를 피부 각질세포의 자기방어 기작 촉진용 물질, 즉 피부 각질세포의 항노화 물질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티네이즈-1(Matrix metalloproteinase-1), 인산화된 피65(phosphorylated p65)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노화 유전자의 발현 정도는, 공지의 기술, 예를 들어,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RT-PCR), 엘라이자(ELISA), 웨스턴블럿 또는 이뮨 블롯(immune blot)을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티네이즈-1(Matrix metalloproteinase-1)는 인간 피부 각질세포 내에 존재하는 잘 알려져있는 노화 유전자로서, 자외선이 조사되면 상기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티네이즈-1(Matrix metalloproteinase-1)의 발현이 증가하게 되며, 피65(p65)는 노화인자를 조절한다고 알려져 있는 nf-kB를 구성하는 sub-unit 중 하나로서, 자외선이 조사되면 상기 nf-kB의 인산화가 진행되게 된다. 따라서, 인간 피부 각질세포에 자외선을 조사한 후 상기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티네이즈-1(Matrix metalloproteinase-1) 및/또는 인산화된 피65(phosphorylated p65)의 발현 정도를 확인하여, 자외선 조사 전보다 자외선 조사 후에 그 발현 정도가 감소하였다면, 처리한 시험 물질이 피부 각질세포의 자기방어 기작을 촉진시켜, 상기 피부 각질세포 내 리핀-1 단백질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노화 유전자인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티네이즈-1(Matrix metalloproteinase-1) 및/또는 인산화된 피65(phosphorylated p65)의 발현 또한 억제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상기 처리한 시험 물질이 피부 각질세포의 자기방어 기작 촉진용 물질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자외선은 290nm 내지 400nm의 파장길이, 예를 들어 290nm 내지 320nm의 파장길이를 가질 수 있다.
자외선은 파장의 길이에 따라 크게 3가지 종류, 즉 UVA, UVB, UVC로 나뉠 수 있는데, UVA가 가장 긴 파장을 가지고, UVC가 가장 짧은 파장을 가진다. 이 중 파장 길이가 가장 짧은 UVC는 오존층에 대부분 흡수되어 지구 상에는 도달하지 않는 자외선인 바, 상기 자외선은 290nm 내지 400nm의 파장길이를 가지는 UVA(파장길이: 320nm 내지 400nm) 또는 UVB(파장길이: 290nm 내지 320nm)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외선은 UVB 일 수 있다.
상기 시험 물질을 처리한 피부 각질세포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단계에서, 상기 자외선 조사량은 15 mJ/cm2 내지 25 mJ/cm2 일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조사량이 15 mJ/cm2 미만인 경우 피부 각질세포 내 리핀-1 단백질의 발현을 억제시키기 어렵고, 상기 자외선 조사량이 25 mJ/cm2 초과인 경우 피부 각질세포 내 리핀-1 단백질뿐만 아니라 시험 물질까지도 손상을 입어 노화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시키지 못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피부 각질세포 및 지시서를 포함하며, 상기 지시서에는 일 구현예에 따른 스크리닝 방법이 기재되어 있는, 피부 각질세포의 항노화 물질 스크리닝 키트를 제공한다.
한편, 일 구현예에 따른 스크리닝 방법으로 스크리닝된 피부 각질세포의 항노화 물질은 피부 각질세포 내 리핀-1 단백질 발현 억제제로서 기능하여, 피부 각질세포의 자기방어 기작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측면에서, 또 다른 구현예는 리핀-1(Lipin-1) 단백질 발현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각질세포의 항노화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 식품 조성물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목적하는 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세정제, 토닉, 정발제, 영양화장수, 에센스, 세럼, 트리트먼트, 컨디셔너, 샴푸, 로션, 양모제 또는 염모제 등의 화장료 조성물, 수중유(O/W)형, 유중수(O/W)형 등의 기초 화장료로 제형화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쳐 크림, 핸드크림, 연고,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저, 로션, 연고, 겔, 크림, 패취 및 분무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각각의 제형에 있어서 상기한 필수성분 이외에 다른 성분들은 기타 외용제의 종류 또는 사용목적 등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합하게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예컨대, 자외선 차단제, 헤어 컨디셔닝제, 향료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이는 국소적용에 적합한 모든 제형으로,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또는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및/또는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로, 또는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 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들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추가적으로 점증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점증제는 메틸 셀룰로스, 카르복시 메틸 셀룰로스, 카르복시 메틸 하이드록시 구아닌, 하이드록시 메틸 셀룰로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스, 카르복시 비닐 폴리머, 폴리쿼터늄, 세테아릴 알콜, 스테아릭산, 카라기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카르복시 메틸 셀룰로스, 카르복시 비닐 폴리머, 폴리쿼터늄 중에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카르복시 비닐 폴리머가 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적절한 각종의 기제와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이들 성분의 종류와 양은 발명자에 의해 용이하게 선정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허용 가능한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당업계에 통상적인 방부제, 색소, 첨가제 등의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방부제는 구체적으로 페녹시에탄올(Phenoxyethanol) 또는 1,2-헥산디올 (1,2-Hexanediol) 등이 될 수 있고, 향료는 인공향료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다.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른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뿐만 아니라 약학적 조성물로 사용할 수도 있으며, 나아가 건강기능식품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식품의 주원료, 부원료, 식품 첨가제, 기능성 식품 또는 음료로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식품이란, 영양소를 한 가지 또는 그 이상 함유하고 있는 천연물 또는 가공품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어느 정도의 가공 공정을 거쳐 직접 먹을 수 있는 상태가 된 것을 의미하며, 통상적인 의미로서, 식품, 식품 첨가제, 기능성식품 및 음료를 모두 포함하는 것을 말한다.
상기 식품용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체, 기능성 식품 등이 있다. 추가로, 특수영양식품(예, 조제유류, 영, 유아식 등), 식육가공품, 어육제품, 두부류, 묵류, 면류(예, 라면류, 국수류 등), 빵류, 건강보조식품, 조미식품(예, 간장, 된장, 고추장, 혼합장 등), 소스류, 과자류(예, 스낵류), 캔디류, 쵸코렛류, 껌류, 아이스크림류, 유가공품(예, 발효유, 치즈 등), 기타 가공식품, 김치, 절임식품(각종 김치류, 장아찌 등), 음료(예, 과실음료, 채소류 음료, 두유류, 발효음료류 등), 천연조미료(예, 라면스프 등)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식품, 음료 또는 식품첨가제는 통상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능성 식품 또는 건강기능성 식품이란 식품에 물리적, 생화학적, 생물 공학적 수법 등을 이용하여 해당 식품의 기능을 특정 목적에 작용, 발현하도록 부가가치를 부여한 식품군이나 식품 조성이 갖는 생체방어리듬조절, 질병방지와 회복 등에 관한 체내조절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현하도록 설계하여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는 건강 기능성 식품일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식품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 보조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기능성 식품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강보조식품의 종류로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 형태일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본원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시험예: 리핀-1 단백질 발현 억제를 통한 노화 유전자(MMP1, phosphorylated p65)의 발현 억제 확인
인간 정상 피부각질세포 (human neonatal keratinocyte)는 론자사(Lonza)에서 분양 받아 사용하였다. 상기 세포는 계대배양한 후 CO2 배양기(CO2 incubator)에서 37℃, 5% CO2 조건 하에서 배양하였다. 세포 배양은 론자사의 지침서에 따라 배양하였다. 500 ml의 KGM-2 (Clonetics CC-3103) 배지에 KGM-2 불렛 키트(Bullet kit: BPE(Bovine pituitary extract) 2 ml, hEGF(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0.5 ml, 인슐린(Insulin) 0.5ml, 하이드로코티손(Hydrocortisone) 0.5 ml, 트랜스페린(Transferrin) 0.5 ml, 에피네프린(Epinephrine) 0.5ml, 및 젠타마이신 설페이트+암포페리신-B(Gentamycin Suflate + Amphofericin-B: GA-1000) 0.5 ml을 첨가하여 사용하였다.
인간 피부 각질세포를 60 mm 배양접시에 70-80% 차게 분주한 후 24시간 배양하였다.
24시간 경과 후 phosphote-buffered saline (PBS)로 교체하여 Propranolol 10 nM 첨가하고 배양해 리핀-1 단백질의 발현을 억제시킨 후, UVB(20 mJ/cm2)를 조사하였다. 이후, 배지를 KGM-Gold 배지로 교체하고 24시간 경과 후에 세포에 용해버퍼(lysis buffer)를 처리하여 세포추출물을 준비하였다. 동량의 단백질의 세로추출물을 4-12% SDS PAGE에 로딩한 후 분리하여 웨스턴 블랏으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시험 물질로는 프로프라놀롤(propranolol)을 사용하였다.
도 1을 보면, 시험 물질인 프로프라놀롤(propranolol)로 처리된 피부 각질세포(Lipin-1i)는 시험 물질인 프로프라놀롤(propranolol)로 처리되지 않은 피부 각질세포(Control)와 비교하여, 자외선 조사 후 노화 유전자인 MMP1의 발현이 억제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를 보면, 시험 물질인 프로프라놀롤(propranolol)로 처리된 피부 각질세포(Lipin-1i)는 시험 물질인 프로프라놀롤(propranolol)로 처리되지 않은 피부 각질세포(Control)와 비교하여, 자외선 조사 후 노화인자를 조절한다고 알려진 nf-kB의 인산화를 통해 인산화된 피65(p65)의 발현이 감소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2로부터 시험 물질인 프로프라놀롤(propranolol)이 리핀-1 단백질의 발현을 억제함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 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7)

  1. 리핀-1(Lipin-1) 단백질 및 노화 유전자를 함유하는 피부 각질세포에 시험 물질을 처리하는 단계;
    상기 시험 물질을 처리한 피부 각질세포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단계; 및
    상기 자외선 조사 전후의 피부 각질세포의 노화 유전자의 발현 정도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노화 유전자는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티네이즈-1(Matrix metalloproteinase-1), 인산화된 피65(phosphorylated p65)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피부 각질세포의 항노화 물질 스크리닝 방법.
  2. 제1항에서,
    상기 시험 물질 처리 후의 상기 노화 유전자의 발현 정도가 처리 전의 정도에 비해 낮은 물질을, 피부 각질세포의 항노화 물질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피부 각질세포의 항노화 물질 스크리닝 방법.
  3. 제1항에서,
    상기 자외선은 290nm 내지 400nm의 파장길이를 가지는, 피부 각질세포의 항노화 물질 스크리닝 방법.
  4. 제3항에서,
    상기 자외선 조사량은 15 mJ/cm2 내지 25 mJ/cm2인, 피부 각질세포의 항노화 물질 스크리닝 방법.
  5. 제1항에서,
    상기 스크리닝 방법은 피부 각질세포의 자기방어 기작 촉진용 물질 스크리닝 방법인, 피부 각질세포의 항노화 물질 스크리닝 방법.
  6. 피부 각질세포; 및
    지시서를 포함하며,
    상기 지시서에는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스크리닝 방법이 기재되어 있는, 피부 각질세포의 항노화 물질 스크리닝 키트.
  7. 리핀-1(Lipin-1) 단백질 발현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각질세포의 항노화 조성물.
KR1020190119154A 2019-09-26 2019-09-26 피부 각질세포의 항노화 물질 스크리닝 방법, 스크리닝 키트 및 피부 각질세포의 항노화 물질 함유 조성물 KR202100367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9154A KR20210036747A (ko) 2019-09-26 2019-09-26 피부 각질세포의 항노화 물질 스크리닝 방법, 스크리닝 키트 및 피부 각질세포의 항노화 물질 함유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9154A KR20210036747A (ko) 2019-09-26 2019-09-26 피부 각질세포의 항노화 물질 스크리닝 방법, 스크리닝 키트 및 피부 각질세포의 항노화 물질 함유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6747A true KR20210036747A (ko) 2021-04-05

Family

ID=75461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9154A KR20210036747A (ko) 2019-09-26 2019-09-26 피부 각질세포의 항노화 물질 스크리닝 방법, 스크리닝 키트 및 피부 각질세포의 항노화 물질 함유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3674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48255B1 (en) Extracts of tetraselmis sp. for cosmetic and therapeutic purposes
KR20100094614A (ko) 흑마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56884A (ko) 마그네슘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map) 및 메틸설포닐메탄(msm)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용 조성물
KR20210036747A (ko) 피부 각질세포의 항노화 물질 스크리닝 방법, 스크리닝 키트 및 피부 각질세포의 항노화 물질 함유 조성물
KR20210033785A (ko) 피부 각질세포의 항염 물질 스크리닝 방법, 스크리닝 키트 및 피부 각질세포의 항염 물질 함유 조성물
JP4169814B2 (ja) リュウゼツラン又はサイザル抽出物含有皮膚外用剤
KR102200546B1 (ko) 노화 피부세포 주변 환경변화 유도 촉진용 조성물
CN105726351A (zh) 降低紫外线引起的脂质过氧化的协同组合物、制剂及相关方法
KR102299417B1 (ko) 노화 피부세포 주변 환경변화 유도 촉진용 조성물
US20180353403A1 (en) Skin-whitening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rosemary-derived verbenone as active ingredient
JP2010530412A (ja) 皮膚皺改善用キサントリゾールの使用
KR20210036166A (ko) 피부장벽 강화용 조성물
KR102371680B1 (ko) 노화 피부세포 주변 환경변화 유도 촉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시트
KR102673270B1 (ko) 피부장벽 강화용 조성물
US11564875B2 (en)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regeneration
US20210378929A1 (en) Composition and method of enhancing skin barrier using the same
EP4344696A1 (en) Functional composition for alopecia comprising centipeda minima-derived extract
US20220000734A1 (en) Composition and method of strengthening skin barrier
US20210393496A1 (en) Composition and method of inhibiting cortisone reductase by applying it to the skin
KR20220058751A (ko) 표고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230140430A (ko) 미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미백방법
CN116172996A (zh) 络丝蛋白和/或vegf-c的生产和/或活性促进剂及利用其的皮肤外用剂
KR20200053931A (ko) 색소 침착 모델 세포용 세포배양액, 이를 이용한 색소 침착 모델 세포, 색소 침착 모델 세포 제조방법, 색소 침착 모델 세포를 이용한 피부 미백 물질 스크리닝 방법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CN116262122A (zh) 络丝蛋白和/或vegf-c的生产和/或活性促进剂及利用其的皮肤外用剂
CN115212121A (zh) 用于制备美白用组合物的化合物的用途以及利用其的皮肤美白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