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3861A - 프로바이오틱스 발효물을 포함하는 항여드름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프로바이오틱스 발효물을 포함하는 항여드름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3861A
KR20200053861A KR1020180137282A KR20180137282A KR20200053861A KR 20200053861 A KR20200053861 A KR 20200053861A KR 1020180137282 A KR1020180137282 A KR 1020180137282A KR 20180137282 A KR20180137282 A KR 20180137282A KR 20200053861 A KR20200053861 A KR 202000538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ne
cosmetic composition
present
fermentation filtrate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7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5668B1 (ko
Inventor
차웅호
진선미
김정인
김아현
Original Assignee
(주)하이메디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이메디코스 filed Critical (주)하이메디코스
Priority to KR1020180137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5668B1/ko
Publication of KR20200053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38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5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56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microorganisms other than algae or fungi, e.g. protozo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A61K8/46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containing sulfonic acid derivatives; Sa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항여드름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은 소듐셰일오일설포네이트(Sodium Shale Oil Sulfonate), 락토바이오닉애씨드(Lactobionic acid), 살리실릭애씨드(salicylic acid), 및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 발효 여과물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프로바이오틱스 발효물을 포함하는 항여드름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HAVING ANTI-ACNE ACTIVITY COMPRISING PROBIOTICS FERMENTATION PRODUCT}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여드름균 성장억제, 각질연화효과를 위한 여드름 예방 및 개선 기능을 갖는 항여드름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여드름은 아크네(acne)라는 그리스어로, 심상성좌창 및 면포라 하며 모공으로부터 화농반응이 일어나 피부의 구조가 파괴되고 손상되는 만성피지선 염증 질환을 말한다. 피지의 생산에 비해 배출작용이 따르지 못하고 모공에 피지가 남아서 여드름이 되고 모낭의 휴지기인 곳에서만 생기게 되는데 대부분 남성호르몬인 안드로젠 분비가 가장 현저하게 증가하는 사춘기 10대에서 약 80%가 감염되고 피지선이 많이 분포하는 얼굴, 가슴, 등 부분에 흔하게 나타나며, 성인은 20%정도가 여드름 증세가 보이는데 남성보다 여성이 많고, 육식을 하는 서양인들이 동양인에 비해 발생빈도가 높다.
여드름을 일으키는 여러 가지 유발인자로는 내적요인에 피지과잉분비를 대표적으로 들 수 있는데 성호르몬의 불균형으로 안드로겐에 의해 피지분비 촉진과 각질비후 작용을 하며 프로게스테론에 의해 월경 후 여드름이 악화되고 부신피질호르몬 분비 뿐 아니라 혈당치 상승으로도 분비가 촉진된다. 또한 비타민 등 영양 부족으로도 촉진되어 여드름이 발생한다. 외부자극에 의해서도 여드름 발생하는데 여드름에 가장 무서운 적인 스트레스와 세포분열을 증가시키고 피부 뿐 만 아니라 난포 내 세포가지도 분열을 촉진시키는 태양광선 및 계절, 기후, 화학약품, 다이어트, 약, 월경요소, 임신, 피임약, 화장품, 압력과 마찰, 손으로 쥐어뜯기 등으로 여드름 증상을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볼 수 있다.
의학적 측면에서 여드름의 치료는 항생제나 부신피질 호르몬제를 투여하여 우선적으로 염증발생과 진행 그리고 미생물 형성 억제를 기본 방향으로 하지만 이는 항생제에 대한 내성과 소화 장애, 2차 감염, 체중증가, 고혈압 등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미용학적 측면에서는 항염, 항균작용, 세정, 각질제거작용, 피지 조절하는 작용이 있는 성분을 함유한 화장품의 사용으로 여드름 관리를 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화장품의 여드름 개선 효과는 크지 않은 실정이며,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으면서도 효과적으로 여드름성 피부를 개선하고 여드름을 예방할 수 있는 화장품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더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효과적으로 여드름을 개선 및 예방할 수 있는 항여드름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을 위한 항여드름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은 소듐셰일오일설포네이트(Sodium Shale Oil Sulfonate), 락토바이오닉애씨드(Lactobionic acid), 살리실릭애씨드(salicylic acid), 및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 발효 여과물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소듐셰일오일설포네이트 0.1 내지 2 중량%, 락토바이오닉애씨드 0.1 내지 3 중량%, 살리실릭애씨드 0.1 내지 0.5 중량%, 및 프로바이오틱스 발효 여과물 0.3 내지 3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바이오틱스 발효 여과물은 락토바실러스 발효 여과물, 갈락토미세스 발효 여과물, 및 비피다 발효 여과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락토바실러스 발효 여과물 0.1 내지 10 중량%, 갈락토미세스 발효 여과물 0.1 내지 10 중량%, 비피다 발효 여과물 0.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세정제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따르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여드름 발병의 주 원인균으로 알려진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P. acnes)의 생육을 강력하게 저해 및 사멸시키고, 피부의 불필요한 각질을 연화시켜주어 원활한 피지의 배출을 도와 여드름균의 생육을 저해함과 동시에 약해져있는 피부에 진정작용을 주어, 피부 자극 등의 부작용 없이 여드름 피부의 복합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피부에 여드름 예방 및 개선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세정제, 비누, 크림 등의 다양한 제형으로 제형화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우수한 항여드름 활성을 갖는 다양한 화장료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여드름 원인균에 대해 뛰어난 항균력을 갖고 피부의 각질을 제거 및 연화시켜 모공을 막히지 않게 도와주는 유효성분을 함유하여, 피부 진정 작용과 우수한 여드름 개선 및 예방 효과를 나타내는 항여드름 활성을 갖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소듐셰일오일설포네이트(Sodium Shale Oil Sulfonate), 락토바이오닉애씨드(Lactobionic acid), 살리실릭애씨드(salicylic acid), 및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 발효 여과물을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총 중량 100%에 대하여 소듐셰일오일설포네이트 0.1 내지 2 중량%, 락토바이오닉애씨드 0.1 내지 3 중량%, 살리실릭애씨드 0.1 내지 0.5 중량%, 및 프로바이오틱스 발효 여과물 0.3 내지 3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바이오틱스란 체내에서 건강에 좋은 효과를 주는 살아있는 균을 말한다. 일례로, 본 발명의 프로바이오틱스는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갈락토미세스(Galactomyces), 비피다(Bifida) 등일 수 있다. 상기 프로바이오틱스 발효 여과물은 프로바이오틱스 균주를 이용하여 발효된 발효물의 여과물로서, 일례로, 본 발명의 프로바이오틱스 발효 여과물은 락토바실러스 발효 여과물, 갈락토미세스 발효 여과물, 비피다 발효 여과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총 중량 100%에 대하여 락토바실러스 발효 여과물 0.1 내지 10 중량%, 갈락토미세스 발효 여과물 0.1 내지 10 중량%, 비피다 발효 여과물 0.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소듐셰일오일설포네이트 포함하고 있어 여드름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진, 예를 들어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s, P. acnes)와 같은 여드름균의 생장을 억제하거나 사멸시킬 수 있고, 락토바이오닉애씨드와 살리실릭애씨드로부터 피부의 각질을 제거함과 동시에 예민해진 피부 진정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프로바이오틱스 균주인 락토바실러스, 갈락토미세스, 비피다 각각의 균주를 이용하여 발효된 발효 여과물을 포함함으로써, 이에 다량 함유된 유기산 등에 의해 피부 각질을 연화시켜 모공 막힘을 억제하고 동시에 항균작용을 통해 여드름균의 사멸과 여드름균의 생장을 억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소듐셰일오일설포네이트, 락토바이오닉애씨드, 살리실릭애씨드 및 프로바이오틱스 발효 여과물을 포함함으로써, 여드름 발병의 주 원인균으로 알려진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P. acnes)의 생육을 강력하게 저해하고, 피부의 불필요한 각질을 연화시켜주어 원활한 피지의 배출을 도와 모공에 피지가 남아 있는 경우 유발될 수 있는 여드름균의 생육을 저해함과 동시에 약해져있는 피부를 진정시켜, 여드름 피부가 갖는 복합적인 피부 문제를 개선하고 여드름의 재발을 예방할 수 있다 피부의 복합적인 문제를 해결하고 부작용이 없이 여드름 예방 및 개선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적용되는 로션, 크림, 세럼, 세정제(세안제), 비누 등의 다양한 제형으로 제형화할 수 있고, 이에 피부의 여드름을 개선 및 예방하고 피부를 진정시킬 수 있는 다양한 제형의 항여드름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세정제(세안제)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목적하는 제형을 형성하고 적절한 특성(점도, 향, 색 등)을 갖도록 하는 성분들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세정제로 제형화되는 경우,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소듐셰일오일설포네이트, 락토바이오닉애씨드, 살리실릭애씨드 및 프로바이오틱스 발효 여과물의 유효 성분과 함께 판테놀, 말티톨, 부틸렌글라이콜, 글리세린, 카보머, 트로메타민, 코코-글루코사이드, 세라마이드3, 에탄올, 1,2-헥산디올, 향료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정제수를 총 중량이 100%가 되도록 첨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항여드름 활성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락토바이오닉애씨드와 락토바실러스 발효 여과물, 갈락토미세스 발효 여과물, 비피다 발효 여과물을 정제수 100 mL에 넣고 상온(25℃)에서 분산시킨 후에 3 um 공극을 갖는 필터에서 여과하였다. 상기 여과물에 에탄올에 녹인 살리실릭애씨드 0.1 g, 소듐셰일오일설포네이트 0.2 g을 순차적으로 혼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이하, 조성물 1)을 제조하였다.
또한, 하기 표 1의 시료를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 조성물 1 내지 3을 제조하였다.
혼합액
비교예 1 정제수 100g과 소듐셰일오일설포네이트 0.2g
비교예 2 정제수 100g과 락토바이오닉애씨드, 살리실릭애씨드 용액 0.1g 혼합
비교예 3 정제수 100g과 락토바이오닉애씨드, 살리실릭애씨드 용액 각각 0.1g, 소듐셰일오일설포네이트 0.2g
[실험예 1] 항여드름 혼합액의 여드름균( P. acnes )에 대한 항균력 시험
상기 실시예 1과 비교예 1, 2, 3에 따라 제조한 조성물 각각의 여드름균에 대한 항균력을 측정하였다.
먼저, 실험균주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를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BHI 배지에서 48시간 동안 전배양하였다. 준비한 균배양액을 BHI 고체 배지(Brain-Heart Infusion broth 3.7%, agar 1.5%)에 도말한 후 건조시켰다. 실시예 1과 비교예 1, 2, 3에 따른 조성물 각각을 직경 8 mm의 페이퍼 디스크(paper disc)에 40 ul씩 짐적한 후 앞서 준비한 고체 배지 위에 올려놓았다. 그 다음, 35 ℃ 혐기 배양기에서 3일간 배양하고, 페이퍼 디스크 주변에 생긴 균 성장 저지영역을 관찰하고 저지환의 크기를 측정함으로써 항균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혼합액농도
(ppm)
실시예 1
성장억제환(mm)
비교예 1
성장억제환(mm)
비교예 2
성장억제환(mm)
비교예 3
성장억제환(mm)
1250 2 1 0 1
2500 6 2 1 4
5000 13 8 2 13
10000 20 16 5 18
표 2는 여드름균에 대한 실시예 1에 따른 조성물 1 및 비교예 1 내지 3에 따른 비교 조성물 1 내지 3의 P. acnes에 대한 항균력을 나타낸다.
표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조성물 1이 비교예 1, 2, 3에 따른 비교 조성물 1, 2, 3 각각과 비교하여 균 성장이 저지된 성장 억제환의 크기가 더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조성물 1이 비교예 1 내지 3에 따른 비교 조성물 1 내지 3과 보다 대표적인 여드름균인 P. acnes에 대하여 더 우수한 항균력을 나타냄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 1은 소듐셰일오일설포네이트를 단독 사용 시, 또한, 락토바이오닉애씨드, 살리실릭애씨드 혼합 사용 시 보다 더 우수한 항균력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소듐셰일오일설포네이트, 락토바이오닉애씨드, 살리실릭애씨드 혼합 사용 시 보다 균의 성장을 저지하는 능력, 즉, 항균력을 나타내는 성장 억제환의 크기가 더 큰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조성물 1이 소듐셰일오일설포네이트, 락토바이오닉애씨드, 살리실릭애씨드와 함께 프로바이오틱스 발효 여과물을 포함함으로써, 이들 성분들 각각 사용 시 보다 시너지적 효과를 가져 더 우수한 항균력을 나타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소듐셰일오일설포네이트, 락토바이오닉애씨드, 살리실릭애씨드 및 프로바이오틱스 발효 여과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조성물 1은 성분들의 시너지 효과로부터 우수한 항균력을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고,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이를 통해 피부에서 효과적으로 여드름균을 사멸시키고 이의 성장을 억제할 수 있다.
[실험예 2] 자극완화효과 시험
상기 실시예 1과 비교예 1, 2, 3에 따라 제조한 조성물들 각각의 자극완화효과를 측정하였다.
먼저, 20 내지 40세의 남녀 10명씩 20명을 선정하여 상박부내측 연한 피부에 0.3 mL의 실시예 1에 따른 조성물 1 및 비교예 1, 2, 3에 따른 비교 조성물 1, 2, 3을 직경 2cm 정도 되도록 각각 도포하였다.
도포 30분 후 자극물질인 10% 소듐라우릴설페이트 핀 챔버(직경 12mm, Epitest Ltd Oy, Finland)로 30분간 부착한 후 제거하였다. 제거 1시간 후에 육안관찰 및 홍반지수 측정을 통해 자극완화정도를 평가하였다.
(1) 육안관찰
평가방법은 다음과 같이 6등급으로 나누어 평가하였으며 등급에 따라 20명의 평균치를 내어 평가하였다. 평가한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0: 아무 반응 없음
1: 아주 경미한 홍반
2: 경미한 홍반
3: 홍반, 경계부위 부종, 구진
4: 홍반, 부종
5: 심한홍반, 부종, 수포
구분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자극완화정도 0.9±0.6 2.1±0.5 2.25±0.5 1.25±0.8
(2) 홍반지수측정
피부가 자극을 받게 되면 홍반, 수포 등이 생기면서 피부가 붉어지게 되는데 붉은 정도를 색차계(Chtomameter CR-300, Minolta, Japan)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홍반지수는 적색과 녹색 사이의 값인 a*값을 측정하였으며 a*값이 클수록 홍반정도가 심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홍반지수 2.00±0.7 2.1±0.5 2.25±0.6 6.81±0.9
표 3 및 표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 1은 피부 도포 시 거의 아무 반응이 없을 정도로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는 반면, 비교예 1, 2, 3에 따른 비교 조성물 1, 2, 3은 피부에 자극을 주어 피부 홍반이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자극완화효과 시험 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이 비교예 1, 2, 3에 따른 비교 조성물 1, 2, 3과 비교하여 피부 자극 완화 정도가 더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세정제의 제조
하기 표 5의 조성에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라 세정제로서 제형화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하, 세정제 조성물)과 비교예 4에 따른 비교 세정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2 비교예 4
1. 정제수 총중량 100이 되도록 첨가 총중량 100이 되도록 첨가
2. 판테놀 0.5 0.5
3. 말티톨 5 5
4. 부틸렌글라이콜 5 5
5. 글리세린 15 15
6. 락토바이오닉애씨드 0.1 -
7. 카보머 1 1
8. 트로메타민 1 1
9. 코코-글루코사이드 14 14
10. 세라마이드3 0.1 0.1
11. 에탄올 1 -
12. 살리실릭애씨드 0.5 -
13. 1,2-헥산디올 1 1
14. 소듐셰일오일설포네이트 0.6 -
15. 락토바실러스 발효 여과물 1 -
16. 갈락토미세스 발효 여과물 1 -
17. 비피다 발효 여과물 1 -
18. 향료 0.1 0.1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세정제 조성물의 구체적인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고,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예 4에 따른 비교 세정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1) 상기 표 5의 원료 1에 원료 2~6을 분산하여 수상 1을 제조.
2) 별도의 비커에서 원료 1에 원료 7를 분산하여 수상 2를 제조.
3) 상기 수상 1과 수상 2를 혼합한 뒤 60℃까지 가열.
4) 상기 3)단계 수상에 원료 1에 녹여준 원료 8을 첨가·혼합.
5) 상기 4)단계에 각각 혼합한 원료 9~10, 원료 11~12, 원료 13~18를 첨가·혼합.
6) 상기 5)의 혼합물의 기포를 제거하여 조성물을 제조.
[실험예 3]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과 비교 세정제 조성물의 여드름균 살균효과 시험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세정제 조성물과 비교예 4에 따른 비교 세정제 조성물의 여드름균 살균 효과를 측정하였다.
실험균주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 균액을 페트리디쉬에 접종한 후 3일간 혐기성 배양조에서 배양하고 여드름균의 집락수(N1)를 측정하였고, 실시예 2 및 비교예 4에 따른 세정제 조성물에 균액을 접종하여 7일 경과 후 시료를 채취하여 희석 후 패트리디쉬에 접종한 후 3일간 혐기성 배양조에서 배양하여 집락수(N2)를 측정하였다. 집락수 N1 및 N2를 사용하여 하기 식 1에 따라 여드름균에 대한 살균율을 구하였다.
[식 1]
Figure pat00001
여드름균에 대한 살균율이 90% 이상으로 나타나는 경우에만 살균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며, 실험결과는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비교예 4
처음 배양한 여드름균 수 (N1) 2.3 X 104 2.3 X 104
균액 접종 후 7일 후의 여드름균 수 (N2) 1.4 X 101 8.8 X 103
여드름균 살균율(%) 99.9 61.7
표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세정제 조성물이 비교예 4에 따른 비교 세정제 조성물과 비교하여, 균액 접종 7일 후 여드름 균의 수가 매우 적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균율을 비교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세정제 조성물은 99.9%의 살균율을 갖는 반면, 비교예 4에 따른 비교 세정제 조성물의 살균율은 61.7%로,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세정제 조성물이 비교예 4에 따른 비교 세정제 조성물에 비해 여드름균에 대하여 살균력이 더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4]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과 비교 세정제 조성물의 각질연화효과 시험
20 내지 40세의 남녀 10명씩 20명을 선정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세정제 조성물 및 비교예 4에 따른 비교 세정제 조성물을 2일에 1회씩 1주일 간 사용 후, 각질연화효과의 정도를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은 하기와 같고 그 결과를 표 7에 나타내었다.
※ 평가기준(각질연화효과의 정도)
매우 있다 : 1점, 있다 : 2점, 보통이다 : 3점, 없다 : 4점, 전혀 없다 : 5점
구분 실시예 2 비교예 4
각질연화효과 4.2±0.3 2.7±0.5
표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세정제 조성물이 비교예 4에 따른 비교 세정제 조성물에 비해 각질연화효과가 더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상기 확인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항여드를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자극 없이 우수한 항균력을 가져 여드름 피부에 대해 탁월한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고, 이를 세정제로 제형화하여도 우수한 항균력 및 각질연화효과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피부 진정 가능하고 효과적으로 여드름의 예방 및 개선 가능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고, 이를 세안제(세정제), 비누, 크림 등의 다양한 제형으로 제형화하여 목적하는 용도에 적합한 항여드름 활성을 갖는 화장료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소듐셰일오일설포네이트(Sodium Shale Oil Sulfonate), 락토바이오닉애씨드(Lactobionic acid), 살리실릭애씨드(salicylic acid), 및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 발효 여과물을 포함하는,
    항여드름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소듐셰일오일설포네이트 0.1 내지 2 중량%, 락토바이오닉애씨드 0.1 내지 3 중량%, 살리실릭애씨드 0.1 내지 0.5 중량%, 및 프로바이오틱스 발효 여과물 0.3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여드름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바이오틱스 발효 여과물은 락토바실러스 발효 여과물, 갈락토미세스 발효 여과물, 및 비피다 발효 여과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여드름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락토바실러스 발효 여과물 0.1 내지 10 중량%, 갈락토미세스 발효 여과물 0.1 내지 10 중량%, 비피다 발효 여과물 0.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여드름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세정제로 제형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여드름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80137282A 2018-11-09 2018-11-09 프로바이오틱스 발효물을 포함하는 항여드름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156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7282A KR102115668B1 (ko) 2018-11-09 2018-11-09 프로바이오틱스 발효물을 포함하는 항여드름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7282A KR102115668B1 (ko) 2018-11-09 2018-11-09 프로바이오틱스 발효물을 포함하는 항여드름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3861A true KR20200053861A (ko) 2020-05-19
KR102115668B1 KR102115668B1 (ko) 2020-06-17

Family

ID=70913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7282A KR102115668B1 (ko) 2018-11-09 2018-11-09 프로바이오틱스 발효물을 포함하는 항여드름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56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1640B1 (ko) * 2022-11-07 2023-10-20 주식회사 비아르랩 여드름 개선 및 예방과 여드름 상처 치유를 위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0169A (ko) * 2012-02-03 2013-08-13 주식회사 씨앤피차앤박화장품 글루코노락톤과 락토바이오닉산을 포함하는 피부 각질 제거, 피부 미백 또는 피부 톤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70342A (ko) * 2016-12-16 2018-06-26 한국식품연구원 프로바이오틱스 혼합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레르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15463B1 (ko) * 2018-05-02 2018-11-06 (주)잇츠한불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펜토서스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프로바이오틱스 제제 또는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0169A (ko) * 2012-02-03 2013-08-13 주식회사 씨앤피차앤박화장품 글루코노락톤과 락토바이오닉산을 포함하는 피부 각질 제거, 피부 미백 또는 피부 톤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70342A (ko) * 2016-12-16 2018-06-26 한국식품연구원 프로바이오틱스 혼합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레르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15463B1 (ko) * 2018-05-02 2018-11-06 (주)잇츠한불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펜토서스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프로바이오틱스 제제 또는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 블로그]"신기한 여드름 관리 제품 비교!"(2011.4.14. 공개) 1부.*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1640B1 (ko) * 2022-11-07 2023-10-20 주식회사 비아르랩 여드름 개선 및 예방과 여드름 상처 치유를 위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5668B1 (ko) 2020-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8140200A1 (en) External compositions for the skin
CN109044915B (zh) 一种婴幼儿护臀膏及其制备工艺
EP2575971B1 (en) Combined plant extracts for use in the treatment of microbial infections
US10792258B2 (en) Antiseptic, antiseborrheic and exfoliating composition to remove or prevent acne
KR101864409B1 (ko) 한방 추출물 및 미생물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살균 또는 항진균용 조성물
WO2016084078A1 (en) Antimicrobial preservative compositions
WO2011119247A2 (en) Topical skincare composition
KR102148808B1 (ko) 천연 항균제를 포함하는 여성청결제 조성물
KR101274811B1 (ko) 소엽추출물 및/또는 해금사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및 치료용 조성물
KR102115668B1 (ko) 프로바이오틱스 발효물을 포함하는 항여드름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40646B1 (ko) 벌노랑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91640B1 (ko) 여드름 개선 및 예방과 여드름 상처 치유를 위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KR101876744B1 (ko) 홍삼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을 이용하여 피부를 3단계로 관리 개선하는 방법
WO2022233441A1 (en) Novel bacterial ferment of lactobacillus species
KR101363028B1 (ko) 레몬밤, 베르가못, 박하잎, 한련초 및 지구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화장용 조성물
KR20210020817A (ko) 망고스틴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원인균에 대한 항균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여드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제제
KR101326164B1 (ko) 항균성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955100B1 (ko) 항여드름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20038A (ko) 프랜지패니 오일 또는 프랜지패니 오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50116504A (ko) 티트리 추출물 및 소금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063798A (ko) 퀘르세틴, 제니스테인 및 알파리포산을 함유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228690B1 (ko) 우수한 항균효과 및 가려움완화에 도움을 주는 저자극 외음부 세정제 조성물
RU2786973C1 (ru) Антибактериальное сред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рук
KR20110068203A (ko)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82580B1 (ko) 죽여 추출물의 안정화 방법 및 안정화된 죽여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