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5100B1 - 항여드름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여드름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5100B1
KR101955100B1 KR1020170087853A KR20170087853A KR101955100B1 KR 101955100 B1 KR101955100 B1 KR 101955100B1 KR 1020170087853 A KR1020170087853 A KR 1020170087853A KR 20170087853 A KR20170087853 A KR 20170087853A KR 101955100 B1 KR101955100 B1 KR 1019551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acne
cosmetic composition
present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7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6757A (ko
Inventor
차웅호
진선미
김민지
Original Assignee
(주)하이메디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이메디코스 filed Critical (주)하이메디코스
Priority to KR1020170087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5100B1/ko
Publication of KR20190006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67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5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51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65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inanimat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2Poly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8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with carboxyl groups directly bound to carbon atoms of aromat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2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A61K8/46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containing sulfonic acid derivatives; Sa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8Sphingolipids, e.g. ceramides, cerebrosides, ganglios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Y10S514/859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항여드름성 화장료 조성물은 온천수, 소듐셰일오일설포네이트(Sodium Shale Oil Sulfonate), 아젤라익애씨드(Azelaic Acid), 락토바이오닉애씨드(Lactobionic Acid), 살리실릭애씨드(salicylic acid), 칼라민(calamine) 및 감초추출물(Glycyrrhiza Glabra (Licorice) Extract)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항여드름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HAVING ANTI-ACNE ACTIVITY}
본 발명은 항여드름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여드름균의 성장억제, 각질 연화/제거 효과 및 피부 진정작용을 위한 여드름 예방 및 개선 기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여드름은 아크네(acne)라는 그리스어로 심상성좌창 및 면포라고도 하며 모공으로부터 화농반응이 일어나 피부의 구조가 파괴되고 손상되는 만성피지선 염증 질환을 말한다. 여드름은 일반적으로 피지의 생산에 비해 배출작용이 원활하지 못해 모공에 피지가 남아 발생하고, 여드름은 피지선이 많이 분포하는 얼굴, 가슴, 등 부분에 흔하게 나타난다. 특히, 모낭의 휴지기인 곳에서 발생하는데, 대부분 남성호르몬인 안드로젠 분비가 가장 현저하게 증가하는 사춘기 10대에서 약 80% 정도 여드름이 발생하고, 성인은 20% 정도가 여드름 증세가 보이는데, 남성보다 여성이 많고, 육식을 하는 서양인들이 동양인에 비해 발생빈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여드름을 일으키는 여러 가지 유발인자로는 내적요인에 피지과잉분비를 대표적으로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성호르몬의 불균형으로 안드로겐에 의해 피지분비 및 각질비후가 촉진되고, 프로게스테론에 의해 월경 후 여드름이 악화되며, 부신피질호르몬 분비뿐만 아니라 혈당치 상승으로도 피지분비가 촉진되어, 여드름이 발생한다. 또한 비타민 등 영양 부족으로도 피지 분비가 촉진되어 여드름이 발생한다. 뿐만 아니라, 외부자극에 의해서도 여드름 발생하는데 여드름에 가장 무서운 적인 스트레스와 세포분열을 증가시키고 피부뿐만 아니라 난포 내 세포가지도 분열을 촉진시키는 태양광선 및 계절, 기후, 화학약품, 다이어트, 약, 월경요소, 임신, 피임약, 화장품, 압력과 마찰, 손으로 쥐어뜯기 등으로 여드름 증상을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볼 수 있다.
의학적 측면에서 여드름의 치료는 항생제나 부신피질 호르몬제를 투여하여 우선적으로 염증발생과 진행 그리고 미생물 형성 억제를 기본 방향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여드름 치료는 항생제에 대한 내성과 소화 장애, 2차 감염, 체중증가, 고혈압 등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미용학적 측면에서는 항염, 항균작용, 세정, 각질제거작용, 피지 조절하는 작용이 있는 성분을 함유한 화장품의 사용으로 여드름 관리를 하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효과적으로 여드름을 관리할 수 있는 화장품에 대한 연구 개발이 더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효과적으로 여드름을 개선 및 예방할 수 있는 동시에 피부를 진정시킬 수 있는 항여드름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을 위한 항여드름성 화장료 조성물은 온천수, 소듐셰일오일설포네이트(Sodium Shale Oil Sulfonate), 아젤라익애씨드(Azelaic Acid), 락토바이오닉애씨드(Lactobionic Acid), 살리실릭애씨드(salicylic acid), 칼라민(calamine) 및 감초추출물(Glycyrrhiza Glabra (Licorice) Extract)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항여드름성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해, 온천수 25 내지 80 중량%, 소듐셰일오일설포네이트 0.1 내지 2 중량%, 아젤라익애씨드 0.1 내지 1 중량%, 락토바이오닉애씨드 0.1 내지 3 중량%, 살리실릭애씨드 0.1 내지 0.5 중량%, 칼라민 0.1 내지 10 중량% 및 감초추출물 0.1 내지 1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항여드름성 화장료 조성물은 세정제로 제형화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항여드름성 화장료 조성물은, 판테놀(panthenol), 말티톨(maltitol), 부틸렌글리콜(butylene glycol), 글리세린(glycerin), 카보머(carbomer), 트로메타민(tromethamine), 코코-글루코사이드(coco-glucoside), 세라마이드3(ceramide3), 에탄올(ethanol), 1,2-헥산디올(1,2-hexandiol) 및 향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항여드름성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해, 판테놀 0.1 내지 1 중량%, 말티톨 1 내지 10 중량%, 부틸렌글리콜 1 내지 10 중량%, 글리세린 10 내지 20 중량%, 카보머 0.1 내지 3 중량%, 트로메타민 0.1 내지 1 중량%, 코코-글루코사이드 10 내지 20 중량%, 세라마이드3 0.005 내지 0.05 중량%, 에탄올 0.1 내지 3 중량%, 1,2-헥산디올 0.1 내지 3 중량% 및 향료 0.1 내지 1 중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여드름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은 여드름 원인균에 대해 뛰어난 항균력을 갖는 항균 성분과 피부의 각질을 연화시켜 모공을 막히지 않게 도와주는 성분과 자극받은 피부를 진정해주는 성분을 함유함으로써,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적용 시 여드름 발병의 주 원인균으로 알려진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s, P. acnes)과 같은 여드름 균의 생육을 강력하게 저해하고, 또한, 피부의 불필요한 각질을 연화시켜주어 원활한 피지의 배출을 도와 여드름 균의 생육을 저해함과 동시에 약해져있는 피부에 진정작용을 주어 여드름 피부의 복합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항여드름성 화장료 조성물은 항균 성분, 피부 각질완화/제거 성분, 및 피부 진정 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항여드름성 화장료 조성물은 온천수, 소듐셰일오일설포네이트(Sodium Shale Oil Sulfonate), 아젤라익애씨드(Azelaic Acid), 락토바이오닉애씨드(Lactobionic Acid), 살리실릭애씨드(salicylic acid), 칼라민(calamine) 및 감초추출물(Glycyrrhiza Glabra (Licorice) Extract)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항여드름성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해, 온천수 25 내지 80 중량%, 소듐셰일오일설포네이트 0.1 내지 2 중량%, 아젤라익애씨드 0.1 내지 1 중량%, 락토바이오닉애씨드 0.1 내지 3 중량%, 살리실릭애씨드 0.1 내지 0.5 중량%, 칼라민 0.1 내지 10 중량% 및 감초추출물 0.1 내지 1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항균 성분은 여드름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진, 예를 들어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s, P. acnes)와 같은 여드름균의 생장을 억제하거나 사멸시킬 수 있는 성분으로서, 상기 본 발명의 항여드름성 화장료 조성물에서, 예를 들어, 소듐셰일오일설포네이트, 아젤라익애씨드와 같은 성분일 수 있다.
피부 각질 완화/제거 성분은 피부의 각질을 연화하거나 제거할 수 있는 AHA(알파 하이드록시애씨드, alpha hydroxy acid)나 BHA(베타 하이드록시애씨드, beta hydroxy acid)와 같은 성분으로, 상기 본 발명의 항여드름성 화장료 조성물에서 예를 들어, 락토바이오닉애씨드, 살리실릭애씨드과 같은 성분일 수 있다.
피부 진정 성분은 피부를 진정시킬 수 있는 성분으로, 상기 본 발명의 항여드름성 화장료 조성물에서, 예를 들어, 온천수, 칼라민, 감초추출물과 같은 성분일 수 있다. 온천수는 땅 표면에 자연 용출되거나 인공적으로 착정 시추하여 끌어올린 지하수로 정의되는 것으로, 수온이 그 지역의 연평균 기온 또는 그 지역의 얕은 지층의 지하수 수온보다 높아야 하고, 이와 비교하여 그 이하의 것은 냉천, 수온과 관계없이 무기물질 또는 가스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것은 광천이라 한다. 온천의 한계 온도는 지역에 따라 다르며, 영국, 독일, 프랑스 등은 섭씨 20℃ 이상을, 미국은 21.1℃ 이상을 온천으로 규정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온천을 지하로부터 용출되는 섭씨 25℃ 이상의 온수로 그 성분이 인체에 해롭지 않은 것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온천학상으로 좁은 뜻의 온천은 물리적, 화학적으로 보통의 물과는 성질이 전혀 다른 천연의 특수한 물이 땅속에서 지표로 나오는 현상이다. 온천수 중에서도 알칼리성 온천수는 피부를 매끄럽게 해주는 효과가 있고, 광물질을 함유한 특정 온천수에 따라 피부미용과 피부노화방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특히, 온천수는 물에 함유되어 있는 용해된 이온, 고체입자, 미생물, 유기물 및 용해된 기체류 등 도펀트가 완벽하게 제거된 정제수와는 달리, 온천수는 나트륨, 칼슘, 칼륨, 리튬, 망간, 아연 등의 미네랄이 주성분으로 이루어져 있고 피부진정효과와 자극완화효과가 있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온천수를 포함함으로써 피부 진정 효과와 자극 완화 효과를 극대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항여드름성 화장료 조성물은 여드름 발병의 주 원인균으로 알려진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P. acnes)의 생육을 강력하게 저해하고, 피부의 불필요한 각질을 연화시켜주어 원활한 피지의 배출을 도와 모공에 피지가 남아 있는 경우 유발될 수 있는 여드름균의 생육을 저해함과 동시에, 약해져있는 피부를 진정시켜, 여드름 피부가 갖는 복합적인 피부 문제를 개선하고 여드름의 재발을 예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피부 진정작용을 통해 항여드름성 화장료 조성물의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소듐셰일오일설포네이트와 아젤라익애씨드를 포함함으로써 이의 항균작용을 통해 여드름 원인균(P. acnes))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이때, 락토바이오닉애씨드와 살리실릭애씨드를 포함함으로써 피부의 각질을 연화 및/또는 제거함과 동시에, 온천수와 칼라민, 감초추출물과 같은 피부 진정제를 포함함으로써, 예민해진 피부를 진정시켜주어 여드름을 예방 및 개선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항여드름성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적용되는 로션, 크림, 세럼, 세정제 등의 다양한 제형으로 제형화하여, 피부의 여드름을 개선 및 예방하고 피부를 진정시킬 수 있는 다양한 제형의 항여드름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본 발명의 항여드름성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세정제(세안제)로 제형화될 수 있고, 이때, 본 발명의 항여드름성 화장료 조성물은 판테놀(panthenol), 말티톨(maltitol), 부틸렌글리콜(butylene glycol), 글리세린(glycerin), 카보머(carbomer), 트로메타민(tromethamine), 코코-글루코사이드(coco-glucoside), 세라마이드3(ceramide3), 에탄올(ethanol), 1,2-헥산디올(1,2-hexandiol) 및 향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항여드름성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해, 판테놀 0.1 내지 1 중량%, 말티톨 1 내지 10 중량%, 부틸렌글리콜 1 내지 10 중량%, 글리세린 10 내지 20 중량%, 카보머 0.1 내지 3 중량%, 트로메타민 0.1 내지 1 중량%, 코코-글루코사이드 10 내지 20 중량%, 세라마이드3 0.005 내지 0.05 중량%, 에탄올 0.1 내지 3 중량%, 1,2-헥산디올 0.1 내지 3 중량% 및 향료 0.1 내지 1 중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세정제로 제형화된 본 발명의 항여드름성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의 여드름균의 생장을 저해하여 피부로부터 여드름균을 제거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피부 각질의 연화 및 탈락을 통해 모공에 피지가 축적되는 것을 방지하여 여드름균의 생장을 방지할 수 있고,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의 항여드름성 화장료 조성물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아젤라익애씨드, 락토바이오닉애씨드, 감초추출물 분말 0.1 g을 온천수 100 ml에 넣고 상온(25℃)에서 분산시킨 후에 3 μm 공극을 갖는 필터에서 여과하였다. 에탄올에 녹인 살리실릭애씨드 0.1 g, 소듐셰일오일설포네이트 0.2 g 및 칼라민 0.5 g을 여과물에 순차적으로 혼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비교예 1 내지 3]
하기 표 1의 시료를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에 따라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혼합액을 제조하여, 비교 조성물 1 내지 3을 준비하였다.
혼합액
비교예 1 온천수 100g과 소듐셰일오일설포네이트, 아젤라익애씨드 각각 0.1g, 0.2g 혼합
비교예 2 온천수 100g과 락토바이오닉애씨드, 살리실릭애씨드 용액 0.1g 혼합
비교예 3 정제수 100g과 아젤라익애씨드, 락토바이오닉애씨드, 감초추출물, 살리실릭애씨드 용액 각각 0.1g, 소듐셰일오일설포네이트 0.2g, 칼라민 0.5g 혼합
[실험예 1]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여드름균(P. acnes)에 대한 항균력 시험
상기 실시예 1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과 비교예 1, 2 및 3에 따른 비교 조성물 1 내지 3의 여드름균을 이용한 항균력 효과를 측정하였다.
먼저, 실험균주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를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BHI 배지에서 48시간 동안 전배양하였다. 이렇게 준비한 균배양액을 BHI 고체 배지(Brain-Heart Infusion broth 3.7%, agar 1.5%)에 도말한 후 건조시켰다. 이후, 실시예 1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과 비교예 1, 2, 3에 따른 비교 조성물 1 내지 3 각각을 직경 8mm의 페이퍼 디스크(paper disc)에 40μl씩 점적한 후 앞서 준비한 고체 배지 위에 올려놓은 다음, 35℃ 혐기 배양기에서 3일간 배양하였다. 이어서, 페이퍼 디스크 주변에 생긴 균 성장 저지영역을 관찰하고 저지환의 크기를 측정함으로써 항균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표 2는 여드름균에 대한 상기 시료들의 항균력에 대한 결과이다.
혼합액농도
(ppm)
실시예 1
성장억제환(mm)
비교예 1
성장억제환(mm)
비교예 2
성장억제환(mm)
비교예 3
성장억제환(mm)
1250 2 1 0 1
2500 5 3 1 5
5000 12 9 2 12
10000 20 16 5 18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한 경우, 비교예 1, 2, 3에 따른 비교 조성물 1 내지 3에 비해 여드름균의 성장억제환의 크기가 더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비교 조성물 1 내지 3에 비해 여드름균의 생장을 더 저해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항균력을 온천수와 각각 소듐셰일오일설포네이트, 아젤라익애씨드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교예 1에 따른 비교 조성물 1, 락토바이오닉애씨드, 살리실릭애씨드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교예 2에 따른 비교 조성물 2, 그리고 정제수를 이용한 비교예 3과 각각 비교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이 비교 조성물 1 내지 3 보다 우수한 효과로 여드름균의 성장을 억제함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것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이 각각의 성분들을 사용하였을 때 보다 우수한 항균 특성을 나타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이 상기와 같은 성분들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향상된 항균력을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자극완화효과 시험
상기 실시예 1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과 비교예 1, 2, 3에 따른 비교 조성물 1 내지 3에 대하여 자극완화효과를 측정하였다.
20 내지 40세의 남녀 10명씩 20명을 선정하여 상박부내측 연한 피부에 0.3ml의 실시예 1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과 비교예 1, 2, 3에 따른 비교 조성물 1 내지 3 각각을 직경 2cm 정도 되도록 각각 도포하였다. 도포 30분 후 자극물질인 10% 소듐라우릴설페이트 핀챔버 (직경 12mm, Epitest Ltd Oy, Finland)로 30분간 부착한 후 제거하였다. 제거 1시간 후에 육안관찰 및 홍반지수측정을 통해 자극완화정도를 평가하였다.
(1) 육안관찰
평가방법은 다음과 같이 6등급으로 나누어 평가하였으며 등급에 따라 20명의 평균치를 내어 평가하였다. 평가한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0: 아무 반응 없음
1: 아주 경미한 홍반
2: 경미한 홍반
3: 홍반, 경계부위 부종, 구진
4: 홍반, 부종
5: 심한홍반, 부종, 수포
구분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육안관찰 평가
(자극완화정도)
1.0±0.5 2.2±0.4 2.35±0.4 1.35±0.7
(2) 홍반지수측정
피부가 자극을 받게되면 홍반, 수포 등이 생기면서 피부가 붉어지게 되는데 붉은 정도를 색차계(Chromameter CR-300, Minolta, Japan)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홍반지수는 적색과 녹색 사이의 값인 a*값을 측정하였으며 a*값이 클수록 홍반정도가 심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홍반지수 2.34±0.5 6.0±0.7 6.21±0.5 2.88±0.8
상기 표 3 및 4를 함께 참조하면, 표 3 및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이 비교예 1, 2, 3에 따른 비교 조성물 1 내지 3에 비해 육안관찰에 따른 피부 자극 완화 정도가 더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비교 조성물 1 내지 3과 비교하여, 피부 자극을 완화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고, 이것은 각각의 성분들을 사용하였을 때 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이 피부에 자극적이지 않고 피부 자극을 완화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이 우수한 피부 자극 완화/진정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세정제의 제조
하기 표 5의 조성에 따라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세정제로 제형화하였고, 마찬가지로 하기 표 5의 조성에 따라 비교 세정제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세정제 비교 세정제
1. 온천수 총 조성물 중량이 100이 되도록 첨가
(to 100)
-
2. 정제수 - 총 조성물 중량이 100이 되도록 첨가
(to 100)
3. 판테놀 0.5 0.5
4. 말티톨 5 5
5. 부틸렌글라이콜 5 5
6. 글리세린 15 15
7. 락토바이오닉애씨드 0.1 -
8. 아젤라익애씨드 0.1 -
9. 카보머 1 1
10. 트로메타민 0.5 0.4
11. 코코-글루코사이드 14 14
12. 세라마이드3 0.01 0.01
13. 에탄올 1 -
14. 살리실릭애씨드 0.5 -
15. 1,2-헥산디올 1 1
16. 소듐셰일오일설포네이트 0.5 -
17. 칼라민 0.5 -
18. 감초추출물 0.1 -
19. 향료 0.2 0.2
<본 발명의 세정제 및 비교 세정제의 제조방법>
1) 상기 표 5의 성분 1 또는 성분 2에 성분 3 내지 8을 분산하여 수상 1을 제조하였다.
2) 별도의 비커에서 성분 1 또는 성분 2에 성분 9를 분산하여 수상 2를 제조하였다.
3) 상기 수상 1과 수상 2를 혼합한 뒤 60℃까지 가열하였다.
4) 상기 3)단계 수상에 성분 1 또는 성분 2에 녹여준 성분 10을 첨가?? 혼합하였다.
5) 상기 4)단계에 각각 혼합해둔 성분 11 및 12, 성분 13 및 14, 및 성분 15 내지 19를 첨가?? 혼합하였다.
6) 상기 5)의 혼합물의 기포를 제거하여 세정제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3] 본 발명의 세정제와 비교 세정제의 여드름균 살균효과 시험
본 발명의 세정제와 비교 세정제에 대하여 여드름균을 이용한 살균효과를 측정하였다.
실험균주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 균액을 페트리디쉬에 접종한 후 3일간 혐기성 배양조에서 배양하고 여드름균의 집락수(N1)를 측정하였으며, 제형예 및 비교제형예의 세정제 조성물에 균액을 접종하여 7일 경과 후 시료를 채취하여 희석 후 패트리디쉬에 접종한 후 3일간 혐기성 배양조에서 배양하여 집락수(N2)를 측정하였다. 집락수 N1 및 N2를 사용하여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여드름균에 대한 살균율을 구하였다.
[수학식 1]
Figure 112017066255411-pat00001
여드름균에 대한 살균율이 90% 이상으로 나타나는 경우에만 살균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며, 실험결과는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세정제 비교 세정제
처음 배양한 여드름균 수 (N1) 2.3x104 2.3x104
균액 접종 후 7일 후의 여드름균 수 (N2) 1.4x101 8.5x103
여드름균 살균율(%) 99.9 63.0
표 6을 참조하면,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여드름을 접종 후 7일 후 비교 세정제의 경우 여드름균 수가 현저히 증가한 반면, 본 발명의 세정제는 여드름균 접종 7일 후 여드름균 수가 감소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본 발명의 세정제의 경우, 7일 후 여드름균의 살균율이 99.9%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항여드름성 화장료 조성물를 제형화한 세정제가 비교 세정제에 비해 여드름 균에 대한 살균력(항균성)이 더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고, 이것은 본 발명에 따른 세정제가 여드름균을 사멸시켜 여드름을 치료하는데 효과적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실험예 4] 본 발명의 세정제와 비교 세정제의 각질연화효과 시험
20 내지 40세의 남녀 10명씩 20명을 선정하여 본 발명의 세정제와 비교 세정제를 2일에 1회씩 1주일 간 사용 후, 각질연화효과의 정도를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7에 나타내었다.
※ 평가기준(각질연화효과의 정도)
매우 있다 : 1점, 있다 : 2점, 보통이다 : 3점, 없다 : 4점, 전혀 없다 : 5점
구분 세정제 비교 세정제
각질연화효과 4.3±0.2 2.8±0.4
상기 표 7을 참조하면,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세정제가 비교 세정제에 비해 약 1.5배 우수한 각질 연화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세정제가 우수한 각질연화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것은 본 발명의 세정제가 피부의 각질을 연화시켜 피부에 자극적이지 않게 각질의 탈락을 유도할 수 있고, 이로부터 여드름균이 막힌 모공 등에 성장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여드름의 개선 및 예방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항여드름성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의 유효 성분들을 포함함으로써, 우수한 항여드름 특성 및 피부 진정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본 발명의 항여드름성 화장료 조성물을 세정제로 제형화하여도, 우수한 항균성, 각질 완화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라 여드름 피부에 대해 탁월한 개선 효과 및 예방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항여드름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고, 또한, 이를 세정제와 같은 다양한 제형으로 제형화하여 여드름 피부에 효과적인 다양한 제품을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온천수;
    소듐셰일오일설포네이트(Sodium Shale Oil Sulfonate);
    아젤라익애씨드(Azelaic Acid);
    락토바이오닉애씨드(Lactobionic Acid);
    살리실릭애씨드(salicylic acid);
    칼라민(calamine); 및
    감초추출물(Glycyrrhiza Glabra (Licorice) Extract)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여드름성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여드름성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해,
    온천수 25 내지 80 중량%;
    소듐셰일오일설포네이트 0.1 내지 2 중량%;
    아젤라익애씨드 0.1 내지 1 중량%;
    락토바이오닉애씨드 0.1 내지 3 중량%;
    살리실릭애씨드 0.1 내지 0.5 중량%;
    칼라민 0.1 내지 10 중량%; 및
    감초추출물 0.1 내지 1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여드름성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여드름성 화장료 조성물은 세정제로 제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여드름성 화장료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항여드름성 화장료 조성물은,
    판테놀(panthenol);
    말티톨(maltitol);
    부틸렌글리콜(butylene glycol);
    글리세린(glycerin);
    카보머(carbomer);
    트로메타민(tromethamine);
    코코-글루코사이드(coco-glucoside);
    세라마이드3(ceramide3);
    에탄올(ethanol);
    1,2-헥산디올(1,2-hexandiol); 및
    향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여드름성 화장료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항여드름성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해,
    판테놀 0.1 내지 1 중량%;
    말티톨 1 내지 10 중량%;
    부틸렌글리콜 1 내지 10 중량%;
    글리세린 10 내지 20 중량%;
    카보머 0.1 내지 3 중량%;
    트로메타민 0.1 내지 1 중량%;
    코코-글루코사이드 10 내지 20 중량%;
    세라마이드3 0.005 내지 0.05 중량%;
    에탄올 0.1 내지 3 중량%;
    1,2-헥산디올 0.1 내지 3 중량%; 및
    향료 0.1 내지 1 중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여드름성 화장료 조성물.
KR1020170087853A 2017-07-11 2017-07-11 항여드름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551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7853A KR101955100B1 (ko) 2017-07-11 2017-07-11 항여드름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7853A KR101955100B1 (ko) 2017-07-11 2017-07-11 항여드름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6757A KR20190006757A (ko) 2019-01-21
KR101955100B1 true KR101955100B1 (ko) 2019-03-06

Family

ID=65277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7853A KR101955100B1 (ko) 2017-07-11 2017-07-11 항여드름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510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53090A (ja) * 2010-01-27 2011-08-11 Unitika Ltd 皮膚老化防止・改善剤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1978B1 (ko) * 2007-03-22 2008-10-07 한국콜마 주식회사 아젤라산을 이용한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92079B1 (ko) * 2011-11-18 2018-08-28 (주)아모레퍼시픽 여드름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용 키트
KR20160123619A (ko) * 2015-04-16 2016-10-26 남상범 바다제비집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1774348B1 (ko) * 2015-11-30 2017-09-12 재단법인 경북해양바이오산업연구원 세포 성장촉진 및 피부보습 개선기능을 가진 덕구온천수와 올리고키토산을 함유한 화장품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53090A (ja) * 2010-01-27 2011-08-11 Unitika Ltd 皮膚老化防止・改善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6757A (ko) 2019-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044915B (zh) 一种婴幼儿护臀膏及其制备工艺
WO2008140200A1 (en) External compositions for the skin
BRPI0802524A2 (pt) usos de pelo menos um extrato de bacteria filamentosa, composição e processo cosmético de tratamento das peles, mucosas, semimucosas e/ou couro cabeludo sensìveis
CN112915055A (zh) 一种舒缓多效除螨组合物及其应用
KR100750206B1 (ko) 광합성세균을 이용한 피부질환 치료제
CA2882392A1 (en) Antiseptic, antiseborrheic and exfoliating composition to remove or prevent acne
KR102214985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210018388A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840646B1 (ko) 벌노랑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EP2238981B1 (en) Composition comprising mucilaginous polysaccharides derived from aloe barbadensis combined with liposomes, method for obtaining same and use thereof as a sun protector, an anti-acne agent, an epidermal regenerator and a moisturiser
KR101955100B1 (ko) 항여드름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15668B1 (ko) 프로바이오틱스 발효물을 포함하는 항여드름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080018624A (ko) 유기 셀레늄이 강화된 발아콩 추출물의 용도
JP2007137768A (ja) 皮膚若しくは毛髪用化粧料
KR20040056079A (ko)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20038A (ko) 프랜지패니 오일 또는 프랜지패니 오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50116504A (ko) 티트리 추출물 및 소금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38366B1 (ko)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41072B1 (ko) 립밤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여 제조된 립밤
JP2005015375A (ja) Alteromonasmacleodiiから得られる外分泌性ポリサッカライドを含有することを特徴とする皮膚外用剤
KR960004498B1 (ko) 풍년화 추출액을 함유하는 화장비누 조성물
KR102420354B1 (ko) 순환 활성 로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14062058A (ja) 抗菌剤及び皮膚外用剤
CN111631997B (zh) 一种含地肤果和蛇床果复合提取物的组合物及其应用
KR100847729B1 (ko) 광합성세균 배양액의 악취제거방법 및 악취가 제거된광합성세균 배양액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