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8690B1 - 우수한 항균효과 및 가려움완화에 도움을 주는 저자극 외음부 세정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우수한 항균효과 및 가려움완화에 도움을 주는 저자극 외음부 세정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8690B1
KR102228690B1 KR1020200105114A KR20200105114A KR102228690B1 KR 102228690 B1 KR102228690 B1 KR 102228690B1 KR 1020200105114 A KR1020200105114 A KR 1020200105114A KR 20200105114 A KR20200105114 A KR 20200105114A KR 102228690 B1 KR102228690 B1 KR 1022286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ulvar
composition
extract
cleansing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5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규태
조준형
조혜인
Original Assignee
(주)바이오시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바이오시엠 filed Critical (주)바이오시엠
Priority to KR1020200105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86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8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86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5Ketones, e.g. benzophen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실잎,익모초,약숙, 고삼, 상백피, 어성초에서 추출한 복합 한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여성의 질에서 발생하는 균에 대하여 항균효과가 있는, 천연 추출물을 포함한 외음부 세정제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우수한 항균효과 및 가려움완화에 도움을 주는 저자극 외음부 세정제 조성물{Hypoallergenic vulvar cleaner composition that helps with excellent antibacterial effect and itchiness relief}
본 발명은 바실잎,익모초,약숙, 고삼, 상백피, 어성초에서 추출한 복합 한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여성의 질에서 발생하는 균에 대하여 항균효과가 있고 멘톨 또는 치몰, 캄파를 0.1~0.5%함유해서 피부청량감을 향상시키며, 사과에서 추출한 저자극 계면활성제인 애플워시 계면활성제(sodium cocoyl apple amino acid)를 사용해서 자극이 거의 없고 세정효과가 우수한 우수한 항균효과 및 가려움완화에 도움을 주는 저자극 외음부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수 년간, 여성은 가려움, 통증 및 일반적인 불쾌함을 유발하는 질 감염으로 고통을 겪어왔다. 특히, 여성은 미생물인 캔디다 알비칸(Candida albicans)에 의해 유발되는 질 효모 감염을 겪어왔다. 질 효모 감염의 통상적인 치료는 크림, 좌제, 연질 젤라틴 캡슐제, 질 정제 및 질 연고의 국소 적용을 포함한다. 이들 치료는 일반적으로 1 내지 7일 범위의 치료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보다 최근에는, 전신 치료를 위하여 디플루칸(Diflucan) 정제와 같은 항진균성 조성물의 경구 투여가 환자에게 사용되고 있다.
많은 경우에, 질 효모 감염은 오직 질 부위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사실, 감염은 확장될 수 있고, 내부 뿐만 아니라 외부의 불쾌함과 가려움을 유발하는 외음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외음부의 가려움, 통증 및 불쾌함을 완화시키기 위해 외음부에 외부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내부 삽입을 위한 크림, 좌제 또는 소란(ovule) 및 외부적용을 위한 크림을 포함하여, 다양한 병행 요법이 이러한 감염을 내부적 및 외부적으로 치료하는데 사용되어 왔다.
질 효모 감염으로 고통과 불쾌함을 겪고 있는 여성들은 공지된 방법의 치료 과정 중 마침내 완화되지만, 이들은 수 일 동안 이러한 완화를 인지하지 못할 수 있다. 외용 질 크림의 적용이 치료 과정 중 어느 정도의 완화를 제공함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완화는 즉석 또는 즉시적인 것이 아니다. 감염은 감염으로 인한 불쾌함을 높이는 지저분한 덩어리 분비물을 계속적으로 생산한다. 따라서 감염을 예방하거나 치료하기 위하여 화학적으로 합성된 치료제인 트리클로산(triclosan), 글루콘산클로르헥시딘액(gluconate-chlorhexidine), 젖산(lactic acid), 부토코나졸(butoconazole), 클로트리마졸(clotrimazole), 미코나졸(miconazole), 테르코나졸(terconazole), 티오코나졸(tioconazole), 플루코나졸(fluconazole), 케토코나졸(ketoconazole), 이트라코나졸(itraconazole)등의 아졸계(azole) 항진균제제들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약제는 심한 부작용과, 약물 상호작용이 있는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BY Min, one day vaginal suppository treatment of trichomonas vaginitis with 1gm of ornidazole("Tiberal"), Vol 20 No, 12, December, 1977)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노력한 결과, 사과씨앗에서 추출된 아미노산을 이용해서 만든 피부에 저자극이고 환경친화적인 생분해성이 우수한 음이온 계면활성제와, 여성 비뇨생식기계 질환 유발균에 대해 강한 항균력을 가지는 바실잎,익모초,약숙, 고삼, 상백피, 어성초에서 추출한 복합 한방추출물을 함께 사용할 경우, 여성의 외음부 세정제조성물로써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저자극성이고 피부질환 유발에 문제가 없으며 질염, 가려움증 및 악취 등 여성 비뇨생식기계 질환을 일으키는 유발균에 관하여 항균 효능이 우수하여 여성 비뇨생식기계 질환 예방 및 개선/완화 효과를 나타내고 피부 청량감이 우수한 천연물 유래 외음부 세정제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합 한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외음부 세정제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합 한방추출물은 바실잎,익모초,약숙, 고삼, 상백피, 어성초에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하고, 상기 외음부 세정제조성물은, 음이온 계면활성제로서 사과씨앗에서 추출한 아미노산을 이용해 제조한 소듐 코코일 애플 아미노산을 함유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전체 조성물 기준으로 10~30 중량% 함유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외음부 세정제조성물은, 전체 조성물 기준으로 멘톨, 치몰 및 캄파 중 적어도 한가지 이상을 0.1~0.5 중량% 함유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외음부 세정제조성물은, 대장균(Escherichia coli), 캔디다 알비칸스(Candidaalbicans) 및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균에 대하여 항균 활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외음부 세정제조성물은, 염증을 완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외음부 세정제조성물은 천연 추출물을 사용함으로써 피부 자극을 유발하지 않으며, 외부 자극으로 부터 피부를 보호하여 피부를 부드럽고 촉촉하게 해주며, 질 분비물 또는 월경혈의 악취 및 질과 관련된 질병을 일으키는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우수한 항균활성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사과씨앗에서 추출된 아미노산을 이용해서 만든 피부에 저자극이고 환경친화적인 생분해성이 우수한 음이온 계면활성제와 함께 여성비뇨생식기계 질환 유발균에 대해 강한 항균력을 가지는 식물을 함께 사용할 경우, 여성의 외음부 세정제조성물로써 적합할 것이라 예측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항균 활성이 알려지지 않은 신규 식물을 찾기 위하여 50여종의 식물을 물 및 유기용매로 추출하고, 추출된 식물 추출물에 대한 항균 활성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바실잎,익모초,약숙, 고삼, 상백피, 어성초에서 추출한 복합 한방추출물이 질염, 가려움증 및 악취 등 여성 비뇨생식기계 질환을 일으키는 유발균에 대하여 우수한 항균활성을 가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질염, 가려움증 및 악취 등 여성 비뇨생식기계 질환을 일으키는 유발균인 대장균(Escherichia coli), 캔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및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하여 바실잎,익모초,약숙, 고삼, 상백피, 어성초에서 추출한 복합 한방 부틸렌글라이콜 추출물의 항균 활성 실험을 수행하고, 바실잎,익모초,약숙, 고삼, 상백피, 어성초에서 추출한 복합 한방 부틸렌글라이콜 추출물이 대장균(Escherichia coli), 캔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및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하여 우수한 항균활성을 갖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사과씨앗에서 추출된 아미노산을 이용해서 만든 음이온 계면활성제인 소듐코코일애플아미노산 및 바실잎,익모초,약숙, 고삼, 상백피, 어성초에서 추출한 복합 한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외음부 세정제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추출물을 얻는 방법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방법이면 어느 것이나 이용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사과씨앗, 바실잎,익모초,약숙, 고삼, 상백피, 어성초를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용매는 사과씨앗, 바실잎,익모초,약숙, 고삼, 상백피, 어성초로부터 유효성분을 분리할 수 있고, 독성이 없는 용매라면 제한없이 이용될 수 있고, 부틸렌글라이콜,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헥산, 에테르, 벤젠,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제조 시, 상기 추출 용매는 단독 또는 혼합용매를 이용할 경우 모두 건조된 식물의 10 중량부에 대하여 150 내지 300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외음부 세정제조성물은, 음이온 계면활성제로서 사과씨앗에서 추출된 아미노산을 이용해서 만든 소듐 코코일 애플 아미노산(Sodium cocoyl apple amino Acids)을 사용한다. 소듐 코코일 애플 아미노산은 사과씨앗에서 얻은 필수 아미노산 계열의 계면활성제로 눈에 들어가도 자극이 없을 정도로 순하고 촉감이 매우 부드러우며 밀도가 높고 풍성한 기포가 형성되며 다른 계면활성제와 달리 단백질을 변성시키지 않아서 피부 각질 방어 체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분해성이 뛰어난 환경 친화적 원료로 (하수에서 28일 이내 95%분해) 민감한 피부와 환경보호에 유익한 원료입니다. 음이온 계면제와 복합 한방추출물을 함께 사용하면 시너지 효과로 인하여 더욱 우수한 질 세정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외음부 세정제조성물은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소듐 코코일 애플 아미노산을 10~30 중량%의 양으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듐 코코일 애플 아미노산의 함량이 10 중량% 미만이면 계면활성 효과가 저하되어 층분리 현상이 나타날 수 있고, 30 중량%를 초과하면 피부 안전성 또는 제형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외음부 세정제조성물은 사용 후 청량감을 주기 위해서 멘톨(Menthol), 치몰 및 캄파 중 적어도 한가지 이상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외음부 세정제조성물은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멘톨(Menthol), 치몰 및 캄파 중 적어도 한가지 이상을 0.1~0.5 중량%의 양으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피부청량감이 우수하다. 함량이 0.1 중량% 미만이면 사용시 청량감이 저하되고, 0.5 중량%를 초과하면 피부 안전성 또는 제형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외음부 세정제조성물은 또한,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하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화장료에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각종 성분, 예를 들면, 수용성 성분, 분말 성분, 유분, 계면활성제, 보습제, 점도 조절제, 방부제, 산화방지제, 향료, 색소, 합성 항균소재, 피부 보호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피부를 보호함은 조성물이 감염 부위를 부드럽게 하는것 뿐만 아니라 추가의 손상 및 통증을 방지하기 위해 피부를 온전하게 보전함을 의미한다. 피부 보호제는 알란토인, 코코아 버터, 디메티콘, 카올린, 상어간유, 바셀린, 채유, 산화아연 및 당해 분야에 공지된 다른 것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외음부 세정제조성물은 크림, 로션, 연고, 분말, 미세결정, 리포솜과 같은 에멀젼 형태이거나 젤 또는 액체일 수 있다. 에멀젼은 수중유 또는 유중수 에멀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외음부 세정제조성물은 또한 크림, 연고, 젤, 젤라틴 캡슐, 좌제 등과 같은 질내 투여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에멀젼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 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하이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비누,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제형 또는 계면활성제 비함유 클렌징 제형일 경우, 피부에 도포한 후 닦아내거나 떼거나 물로 씻어낼 수도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비누는 액상비누, 가루비누, 고형비누, 오일비누일 수 있고, 상기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제형은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클렌징 수건, 클렌징 팩일 수 있으며, 상기 계면활성제 비 함유 클렌징 제형은 클렌징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워터 또는 클렌징 겔일 수 있으나, 제형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외음부 세정제조성물은 질염, 가려움증 및 악취 등 여성 비뇨생식기계 질환을 일으키는 유발균, 예를 들면 대장균(Escherichia coli), 프로테우스 미라빌리스(Proteus mirabilis), 캔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슈도모나스 에루기노사(Pseudomonas aeruginosa), 클레브시엘라 종(Klebsiella spp.), 프로비덴시아 종(Providencia spp.), 스타필로코커스 종(Staphylococcus spp.), 스트렙토코커스 종(Streptococcus spp.), 박테로이드 종(Bacteroide spp.), 모빌런커스 종(Mobiluncus spp.), 트리코모나스 종(Trichomonas spp.), 푸조박테리움 종(Fusobacterium spp.), 바람직하게는, 대장균(Escherichia coli), 캔디다알비칸스(Candida albicans),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등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복합 한방 추출물 제조
경동약재시장에서 건조된 바실잎,익모초,약숙, 고삼, 상백피, 어성초를 구입하고, 건조체 2㎏을 고르게 마쇄한 후, 10ℓ의 부틸렌글라이콜에 2일 동안 침지시켜 얻은 추출액을 2회에 걸쳐 여과하고, 그 여과액을 농축기로 농축하여 각각의 부틸렌글라이콜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2] 사과씨앗으로부터 음이온 계면활성제 제조
사과에서 분리한 사과씨앗을 건조하고, 건조된 사과씨앗 2㎏을 고르게 마쇄한 후, 10ℓ의 부틸렌글라이콜에 2일 동안 침지시켜 얻은 추출액을 2회에 걸쳐 여과하고, 그 여과액을 농축기로 농축하여 각각의 부틸렌글라이콜 추출물을 얻었다. 부틸렌글라이콜 추출물을 감압 농축하고, 정제과정을 통하여 코코일 애플 아미노산을 분리한 후, 염화물인 소듐 코코일 애플 아미노산을 제조하였다.
이 발명에 따른 복합 한방 추출물, 소듐 코코일 애플 아미노산 및 기타 보조성분들을 사용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난 조성비로 외음부 세정제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원료명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복합
한방
추출물
바실잎 추출물 5 5 5 5 5 - 3 7
익모초 추출물 5 5 5 5 5 - 3 7
약숙 추출물 5 5 5 5 5 - 3 7
고삼 추출물 5 5 5 5 5 - 3 7
상백피 추출물 5 5 5 5 5 - 3 7
어성초 추출물 5 5 5 5 5 - 3 7
알킬아미도베타인 10 30 - - - - - -
소듐 코코일 애플 아미노산 - - 10 30 - 30 30 30
멘톨 0.1 0.5 0.1 0.5 0.5 0.5 0.5 0.5
정제수 59.9 39.5 59.9 39.9 71.5 69.5 51.5 27.5
[실험예 1] 항균 효과 실험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외음부 세정제조성물의 항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외음부 세정제조성물(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을 준비하여 균 검출 시험을 수행하였다.
각 시료 1g에 멸균수 9mL을 넣고 균질기를 이용하여 고르게 혼합한 10배 희석용액을 만든다. 멸균된 시험관에 시료 희석용액을 옮긴 후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대장균(Escheria coli), 캔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를 각각 3.0×102 CFU/mL 농도가 되도록 접종하고 Voltex Mixer를 사용하여 혼합한다. 완성된 시료용액의 1mL를 건조필름 배지에 접종한 후 인큐베이터로 옮겨 35℃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한다. 48시간 뒤 건조필름 배지에 형성되는 집락수를 판독하여 균수의 변화율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균 농도
(CFU/mL)
S. aureus <10 <10 <10 <10 <10 3.2×102 3.6×10 <10
E. coli <10 <10 <10 <10 <10 3.7×102 1.1×10 <10
C. albicans <10 <10 <10 <10 <10 3.6×102 1.2×10 <10
균수의 변화율 -99% -99% -99% -99% -99% +6%~+23% -88%~-96% -99%
상기 결과와 같이, 실시예에서 균수 감소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의 외음부 세정제조성물은 유해 균을 제거하여 항균 효과를 나타낸다.
[실험예 2] 염증 완화 확인 실험
본 발명에 따른 외음부 세정제조성물이 염증 완화 효과를 나타내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외음부 세정제조성물(실시예 1, 실시예 4,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을 준비하여 염증 완화 효과를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실험에 앞서 흰쥐의 발바닥에 피부자극을 유도하기 위해 0.1 중량% 사과에서 추출한 저자극 계면활성제인 애플워시 계면활성제(sodium cocoyl apple amino acid)를 사용하였고, 각 외음부 세정제조성물을 동량의 애플워시 계면활성제제와 함께 1 중량%로 피부에 첩포하였다. 피부 첩포는 24시간 동안 진행하였고, 첩포를 제거한 후에는 표시용 펜(Marking Pen)으로 시험부위를 표시하여 각각 30분, 24시간째에 시험부위의 피부자극 여부를 판정하였다. 피부반응은 CTFA(The Cosmetic, Toiletry and Fragrance Association) 가이드라인에 제시된 하기의 표 3에 따른 방법에 의거하여 검사하였다. 각 조성물마다 5마리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여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피부첩포시험 결과 판정표에 따라 자극 정도를 판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반응등급 임상적 관찰
0.0 염증성의 징후를 보이지 않는다; 건강하고 정상적 피부
0.5 부위 외관에 광택이 있거나 또는 겨우 인지될 정도의 홍반
1.0 약간의 홍반
2.0 중등도의 홍반, 가장자리에 겨우 인지될 정도의 부종을 수반하는 가능성, 구진(丘疹)의 가능성
3.0 전체에 부종을 수반하는 중등도의 홍반
4.0 강도의 부종을 수반하는 강도의 홍반, 작은 수포를 수반하거나 수반하지 않는다
5.0 첩포부위를 넘어서 퍼진 강도의 반응
피부반응도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반응등급 0.2±0.1 0.0±0.0 0.1±0.1 0.0±0.0 0.1±0.1 3.4±0.4 1.2±0.3 0.0±0.0
상기 결과와 같이, 복합 한방 추출물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비교예 2에서 부종을 수반하는 홍반이 발견되었으며, 복합 한방 추출물의 함량이 다음으로 적은 비교예 3에서 약간의 홍반이 발견되었다. 반면에 이 발명에 따른 복합 한방 추출물이 함유된 경우 모두 염증성 징후를 보이지 않았다. 특히, 복합 한방 추출물의 함량이 가장 많은 비교예 4에서 반응등급이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나 함량은 실시예에 따라 제조해도 충분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이 발명의 외음부 세정제조성물은 염증 완화 효과를 나타낸다.

Claims (2)

  1. 복합 한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외음부 세정제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복합 한방추출물은 바실잎, 익모초, 약숙, 고삼, 상백피 및 어성초 각각으로부터 추출된 부틸렌글라이콜 추출물이 1:1:1:1:1:1의 비율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외음부 세정제조성물은, 음이온 계면활성제로서 사과씨앗에서 추출한 아미노산을 이용해 제조한 소듐 코코일 애플 아미노산을 함유하고,
    상기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전체 조성물 기준으로 10~30 중량% 함유하고,
    상기 외음부 세정제조성물은, 전체 조성물 기준으로 치몰 및 캄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0.1~0.5 중량% 함유하고,
    상기 외음부 세정제조성물은, 감염 부위의 피부를 보호하기 위한 피부 보호제로서 알란토인, 디메티콘, 카올린, 상어간유 및 채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외음부 세정제조성물은, 대장균(Escherichia coli), 캔디다 알비칸스(Candidaalbicans) 및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균에 대하여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외음부 세정제조성물.
  2. 삭제
KR1020200105114A 2020-08-21 2020-08-21 우수한 항균효과 및 가려움완화에 도움을 주는 저자극 외음부 세정제 조성물 KR1022286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5114A KR102228690B1 (ko) 2020-08-21 2020-08-21 우수한 항균효과 및 가려움완화에 도움을 주는 저자극 외음부 세정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5114A KR102228690B1 (ko) 2020-08-21 2020-08-21 우수한 항균효과 및 가려움완화에 도움을 주는 저자극 외음부 세정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8690B1 true KR102228690B1 (ko) 2021-03-16

Family

ID=75223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5114A KR102228690B1 (ko) 2020-08-21 2020-08-21 우수한 항균효과 및 가려움완화에 도움을 주는 저자극 외음부 세정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869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0744B1 (ko) * 2019-03-13 2019-09-11 박시은 약초추출물을 이용한 여성청결제 제조방법
KR102103568B1 (ko) * 2018-11-30 2020-04-23 주식회사 라이프 투게더 타블릿 제형의 여성 청결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62598A (ko) * 2018-11-27 2020-06-04 소현미 백모화 및 쑥을 함유하는 여성청결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2598A (ko) * 2018-11-27 2020-06-04 소현미 백모화 및 쑥을 함유하는 여성청결제 조성물
KR102103568B1 (ko) * 2018-11-30 2020-04-23 주식회사 라이프 투게더 타블릿 제형의 여성 청결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20744B1 (ko) * 2019-03-13 2019-09-11 박시은 약초추출물을 이용한 여성청결제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인터넷 게시물: https://blog.naver.com/xsangraalx/22202077907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69389C2 (ru) Вагинальная композиция
WO2008140200A1 (en) External compositions for the skin
EP1827433B2 (en) A composition comprising at least 3 different diols
JP2002512615A (ja) 微生物感染を予防または制御するための共生Bacillus芽胞の局所的使用
US7879372B2 (en) Method and composition for treating ear inflammation caused by dry ear
US5888523A (en) Topical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 composition
HUE026862T2 (en) Combined vegetable extracts for use in the treatment of microbiological infections
KR101253374B1 (ko)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EP0953345B1 (fr) Utilisation d'au moins un hydroxystilbène en tant qu'agent diminuant l'adhésion des micro-organismes
CN112048402B (zh) 一种抑菌去渍除异味的内衣皂及其制备方法
KR102148808B1 (ko) 천연 항균제를 포함하는 여성청결제 조성물
KR101924822B1 (ko) 렌틸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 조성물
KR102228690B1 (ko) 우수한 항균효과 및 가려움완화에 도움을 주는 저자극 외음부 세정제 조성물
KR20020075632A (ko) 크립토탄시논을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화장료
KR100754748B1 (ko) 느릅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5α-리덕테이즈활성 억제용 조성물 및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EP0909557B1 (fr) Utilisation du miel en tant qu'agent diminuant l'adhésion des micro-organismes
KR100702329B1 (ko) 백굴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5α-리덕테이즈활성 억제용 조성물 및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73422B1 (ko) 기능성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질 세정용 조성물
KR102115668B1 (ko) 프로바이오틱스 발효물을 포함하는 항여드름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120005260A (ko) 해당근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청결용 화장료 조성물
EP2238981A1 (en) Composition comprising mucilaginous polysaccharides derived from aloe barbadensis combined with liposomes, method for obtaining same and use thereof as a sun protector, an anti-acne agent, an epidermal regenerator and a moisturiser
KR101790250B1 (ko) 약용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누 조성물
KR102292487B1 (ko) 코파이바 수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위생 관리용 조성물
KR100368126B1 (ko) 피지 분비 억제용 조성물
KR20030027482A (ko) 유효 성분으로서 마누카 벌꿀을 포함하는 피부 보호용화장품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