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0744B1 - 약초추출물을 이용한 여성청결제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약초추출물을 이용한 여성청결제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0744B1
KR102020744B1 KR1020190028723A KR20190028723A KR102020744B1 KR 102020744 B1 KR102020744 B1 KR 102020744B1 KR 1020190028723 A KR1020190028723 A KR 1020190028723A KR 20190028723 A KR20190028723 A KR 20190028723A KR 102020744 B1 KR102020744 B1 KR 1020207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parts
weight
mix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8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시은
Original Assignee
박시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시은 filed Critical 박시은
Priority to KR1020190028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07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07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07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2Angeli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2Artemisia, e.g. wormwood or sagebru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9Sophora, e.g. necklacepod or maman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3Oleaceae (Olive family), e.g. jasmine, lilac or ash tre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0Polygonaceae (Buckwheat family), e.g. spineflower or do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82Acoraceae (Calamus family), e.g. sweetflag or Acorus calam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61K36/9068Zingiber, e.g. garden ging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61P15/02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for disorders of the vagin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docrin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약초추출물을 이용한 여성청결제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약초추출물을 이용한 여성청결제 제조방법은, 정제수와 약쑥, 사상자, 당귀, 소루쟁이, 석창포, 생강나무, 한련초 및 고삼을 혼합하여 1시간 유지시킨 후, 약불에 18시간 가열하고 여과하여 제1 추출물을 획득하는 제1 추출단계; 일정 온도의 정제수와 장미 및 재스민을 혼합하여 3시간 30분간 유지시키고, 여과하여 제2 추출물을 획득하는 제2 추출단계; 및 상기 제1 추출물과 제2 추출물을 혼합하여 약초추출물을 획득하는 제1 혼합단계; 및 상기 약초추출물에 로즈워터, 재스민워터, 유카추출물 및 감초추출물을 1차로 혼합하고, 프로폴리스추출물, 알란토인 및 코코베타인을 2차로 혼합한 후, 로즈마리추출물, 에센셜 오일 및 멘톨을 혼합하고 여과하여 여성청결제로 완성하는 제2 혼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자궁 건강 및 질염 개선에 도움을 주는 약초추출물을 이용하여 여성청결제를 제조함으로써, 여성 비뇨생식기관의 청결유지는 물론 냄새와 염증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약초추출물을 이용한 여성청결제 제조방법{CLEANSER FOR WOMEN VAGINA USING HERB EXTRAC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약초추출물을 이용한 여성청결제 제조방법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궁 건강 및 질염 개선에 도움을 주는 약초추출물을 이용하여 여성청결제를 제조할 수 있는 약초추출물을 이용한 여성청결제 제조방법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성 비뇨생식기관은 난소, 난관, 자궁, 자궁경부, 질, 외음부로 구성되며, 여성 비뇨생식기계 질환에는 골반염, 자궁내막증, 난소낭종, 다낭성 난소 증후군, 난소암, 자궁근종, 자궁폴립, 후굴자궁, 자궁 및 질 탈출증, 자궁암, 융모상피암, 자궁경부 미란, 자궁경부 이형성증, 자궁경부암, 외음부 질염, 질 진균증, 세균성 질염, 바톨린염, 외음부와 질의 암, 성병 (임질, 클라미디아 골반염, 매독, 트리코모나스증, 음부 포진, 외음부사마귀, 음부 이) 등이 있으며, 이러한 질환은 비교적 흔하고 여성 대부분이 일생 동안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질환을 경험한다고 보고된다.
여성 비뇨생식기계에는 비뇨생식기계 pH를 4.5~6.5의 약산성으로 유지하여 주는 유산간균이 상재하여 유해한 세균의 번식을 막아 주는 역할을 하지만 물리적 손상, 호르몬 불균형 외에도 청결하지 않은 비뇨생식기계 환경, 성관계에 따른 세균성 질환 혹은 성병 등에 의해 여성 비뇨생식기계 관련 질환이 발생되기 쉽다. 즉 질과 외음부는 여성 비뇨생식기계 구조의 기능적 특성상 외부 환경에 직접 노출되어 있으며, 양도, 온도, 습도 등 여러가지의 세균집단이 배양되는 조건적 환경을 제공하여 세균성 감염 및 세균성 질증을 야기시킨다.
여성 비뇨생식기계의 일차적인 기능은 생식이므로 이들 장기에 영향을 미치는 질환은 불임을 초래할 수 있으며, 또한 우울증과 같은 심리적 문제로 삶의 질을 저하시킬수도 있다.
이러한 여성 비뇨생식기계 관련 질환을 예방하기 위하여 예로부터 선조들은 무 잎이나 약쑥을 넣고 끓인 물을 식혀서 좌욕을 하는 방법으로 질염을 치료하였으며, 서양 여성들은 장미, 라벤더, 베르가모 등을 첨가한 물로 ‘뒷물’을 했으나, 이 방법은 매번 사용하기 번거로운 단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비누나 바디클렌져는 합성계면활성제가 포함되어 있으며, pH가 높은 알칼리성 제품으로 세정 효과는 우수하나, 피부 자극 발생 및 질 내 약산성 pH 환경을 알칼리성 환경으로 바꿔 놓아, 유산간균의 생장을 저해하여 유해 세균이 생육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므로, 여성 비뇨생식기계 관련 질병 예방에 효과적이고 저자극성이며 사용이 용이한 여성청결제 혹은 질세정제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비누 및 바디클렌져에 비하여 저자극성이며, 천연성분이 기능성으로 포함되어 사용시 보다 건강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여성청결제에 대한 개발이 필요로 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51530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92699호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자궁 건강 및 질염 개선에 도움을 주는 약초추출물을 이용하여 여성청결제를 제조함으로써, 여성 비뇨생식기관의 청결유지를 통해 냄새와 염증을 방지할 수 있는 약초추출물을 이용한 여성청결제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는, 정제수와 약쑥, 사상자, 당귀, 소루쟁이, 석창포, 생강나무, 한련초 및 고삼을 혼합하여 1시간 유지시킨 후, 약불에 18시간 가열하고 여과하여 제1 추출물을 획득하는 제1 추출단계; 일정 온도의 정제수와 장미 및 재스민을 혼합하여 3시간 30분간 유지시키고, 여과하여 제2 추출물을 획득하는 제2 추출단계; 상기 제1 추출물과 제2 추출물을 혼합하여 약초추출물을 획득하는 제1 혼합단계; 및 상기 약초추출물에 로즈워터, 재스민워터, 유카추출물 및 감초추출물을 1차로 혼합하고, 프로폴리스추출물, 알란토인 및 코코베타인을 2차로 혼합한 후, 로즈마리추출물, 에센셜 오일 및 멘톨을 혼합하고 여과하여 여성청결제로 완성하는 제2 혼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초추출물을 이용한 여성청결제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에센셜오일은, 티트리, 제라늄 및 클라리세이지 오일의 혼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여성청결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 33.33중량부, 로즈워터 16.66중량부, 재스민워터 16.66중량부, 코코베타인 3.66중량부, 유카추출물 3.333중량부, 약쑥 3,333중량부, 감초추출물 2.66중량부, 프로폴리스추출물 2중량부, 알란토인 2중량부, 로즈마리추출물 2중량부, 사상자 2중량부, 고삼 2중량부, 당귀 1.333중량부, 소루쟁이 1.333중량부, 석창포 1.333중량부, 생강나무 1.333중량부, 한련초 1.333중량부, 장미 1.333중량부, 재스민 1.333중량부, 에센셜오일 1중량부 및 멘톨 0.033중량부의 비율로 혼합되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자궁 건강 및 질염 개선에 도움을 주는 약초추출물을 이용하여 여성청결제를 제조함으로써, 여성 비뇨생식기관의 청결유지는 물론 냄새와 염증을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약초추출물을 이용한 여성청결제의 제조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초추출물을 이용한 여성청결제의 제조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추출단계(S10)와, 제2 추출단계(S20)와, 제1 혼합단계(S30)와, 그리고 제2 혼합단계(S40)를 포함한다.
(1) 제1 추출단계
제1 추출단계(S10)는 여성청결제의 제조를 위해 사용되는 약초를 1차로 추출하는 공정이다. 이를 위해 제1 추출단계(S10)에서는 일정량의 정제수와 약쑥, 사상자, 당귀, 소루쟁이, 석창포, 생강나무, 한련초 및 고삼을 혼합하여 1시간 유지시킨 후, 약불에 18시간 가열하여 여과한다.
즉, 제1 추출단계(S10)는 일정량의 정제수에 계량된 약쑥, 사상자, 당귀, 소루쟁이, 석창포, 생강나무, 한련초 및 고삼을 담가 1시간 유지시킨 후, 약불에 18시간 가열하여 약초 성분을 우려낸 후, 미세한 여과망으로 여과하여 제1 추출물을 획득한다.
상기 약쑥은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인체 자연 생리기능 강화, 약리작용, 살균효과, 면역력증강, 해독, 진통, 소염, 부인병의 하열및 대하냉증에 효능이 있다.
상기 사상자는 쌍떡잎식물 산형화목 미나리과의 두해살이풀로서, 습한기운 및 균제거, 낭습증, 냉대하, 음부소양증 및 음부가려움증 제거에 효능이 있다.
상기 당귀는 대표적인 약용 식물로서, 보혈기능, 혈액순환촉진, 어혈제거, 생리통, 자궁수축 및 강화에 효능이 있다.
상기 소루쟁이는 굵은 뿌리줄기를 가지고 있는 여러해살이풀로서, 피부염, 자궁출혈, 옴, 종기, 음부습진의 치료에 도움을 준다.
상기 석창포는 천남성과 창포속에 속하는 식물로서, 따뜻한 성질로 혈액순환을 돕고, 특히 진균 억제, 악창, 종기에 도움을 준다.
상기 생강나무는 쌍떡잎식물 녹나무목 녹나무과의 낙엽관목으로서, 따뜻한 성질로 어혈을 풀어주고, 산후통에 탁월한 효능이 있다.
상기 한련초는 국화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로서, 항균효과는 물론 대하증, 소변이 희고 걸쭉한 증세, 음부가 습하고 간지러운 증세 등을 다스리는데 도움을 준다.
상기 고삼은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살균작용, 살충작용, 자궁출혈, 여성 성기능 강화, 트리코모나스질염과 습진 및 가려움해소에 효능이 있다.
이와 같은 제1 추출단계(S10)는 정제수에 약쑥, 사상자, 당귀, 소루쟁이, 석창포, 생강나무, 한련초 및 고삼을 담가 1시간 유지시킨 후, 약불에 18시간 가열하여 약초 성분을 우려내고 미세한 여과망으로 여과함으로써 제1 추출물을 획득하는 것이다.
(2) 제2 추출단계
제2 추출단계(S20)는 여성청결제의 제조를 위해 사용되는 약초를 2로 추출하는 공정이다. 이를 위해 제2 추출단계(S20)에서는 일정 온도의 정제수와 장미 및 재스민을 혼합하여 3시간 30분간 유지시키고 여과한다.
즉, 제2 추출단계(S20)는 일정 온도의 정제수에 계량된 장미 및 재스민을 담가 3시간 30분간 유지시켜 약초 성분을 우려낸 후, 미세한 여과망으로 여과하여 제2 추출물을 획득한다. 여기서 일정 온도의 정제수는 미온수를 말한다.
상기 장미는 쌍떡잎식물 장미목 장미과 장미속에 속하는 식물로서, 혈액순환, 생리불순, 생리통 및 변비개선에 효능이 있다.
상기 재스민은 쌍떡잎식물 용담목 물푸레나무과 영춘화속에 속하는 식물로서, 피부탄력, 생리 정상화, 냉증, 생리통, 생리불순, 불임 및 성기능강화에 효능이 있다.
이와 같은 제2 추출단계(S20)는 일정 온도의 정제수에 장미 및 재스민을 담가 3시간 30분간 유지시켜 약초 성분을 우려내고, 미세한 여과망으로 여과함으로써 제2추출물을 획득하는 것이다.
(3) 제1 혼합단계
제1 혼합단계(S30)는 전술한 제1 추출단계(S10)와 제2 추출단계(S20)의 추출물을 서로 혼합하는 공정이다. 이를 위해 제1 혼합단계(S30)에서는 제1 추출단계(S10)에 의해 획득한 제1 추출물과 제2 추출단계(S20)에 의해 획득한 제2 추출물을 서로 혼합한다.
즉, 제1 혼합단계(S30)는 제1 추출단계(S10)에 의해 획득한 제1 추출물과 제2 추출단계(S20)에 의해 획득한 제2 추출물을 서로 혼합한 후, 여성청결제를 제조를 위해 일정량 준비한다.
이와 같은 제1 혼합단계(S30)는 제1 추출단계(S10)에 의해 획득한 제1 추출물과 제2 추출단계(S\20)에 의해 획득한 제2 추출물을 서로 혼합함으로써, 여성청결제의 주성분인 약초추출물을 획득하는 것이다.
(4) 제2 혼합단계
제2 혼합단계(S40)는 약초추출물에 여성 비뇨생식기관의 청결유지에 도움을 주는 보조성분을 혼합하는 공정이다. 이를 위해 제2 혼합단계(S40)에서는 약초추출물에 로즈워터, 재스민워터, 유카추출물, 감초추출물, 프로폴리스추출물, 알란토인, 코코베타인, 로즈마리추출물, 에센셜 오일 및 멘톨을 순차적으로 혼합하고 미세한 여과망으로 여과한다.
즉, 제2 혼합단계(S40)는 제1 혼합단계(S30)에 의해 획득한 약초추출물에 계량된 로즈워터, 재스민워터, 유카추출물, 감초추출물을 1차로 혼합하고, 프로폴리스추출물, 알란토인 및 코코베타인을 2차로 혼합한 후, 로즈마리추출물, 에센셜 오일 및 멘톨을 혼합하고 미세한 여과망으로 여과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여성청결제를 획득한다.
상기 로즈워터는 장미에서 추출한 성분으로서, 따뜻한 성질로 자궁수축, 생리통완화, 산후우을증 및 호르몬 균형에 도움을 준다. 이외에도 로즈워터는 피부의 보습 및 진정에 효능이 있다.
상기 재스민워터는 재스민에서 추출한 성분으로서, 피부탄력, 생리 정상화, 냉증, 생리통, 생리불순, 불임 및 성기능강화에 도움을 준다.
상기 유카추출물은 유카 뿌리를 추출하여 얻어지는 암갈색의 액체로 특이한 냄새가 있는 착향료로서, 천연거품제 및 피부유연제로 사용되고, 특히 악취제거에 도움을 준다.
상기 감초추출물은 감초 뿌리 및 근경에서 침출 및 농축하여 얻은 성분으로서, 피부염, 습진, 땀띠에 효능이 있고, 피부진정에 도움을 준다.
상기 프로폴리스추출물은 꿀벌(Apis Melifers)의 소방(巢房)을 구성하는 소재의 하나로서 꿀벌에 의해 화분 및 식물 분비물(수액 등)과 자신들의 분비물(밀납 등)이 혼합되어 만들어진 성분으로서, 항알레르기, 염증치료 및가려움 완화에 도움을 준다.
상기 알란토인(Allantoin)은 자연에서 얻어지는 질소 혼합물로 상수리나무, 밀의싹, 사탕무, 컴프리, 담재종자에서 추출되는 성분으로서, 세포할성화, 궤양치료, 피부유연, 염증억제, 항염, 항알레르기, 피부진정, 아토피 개선 효능이 있으며, 세포재생을 도와 작은 상처부위, 트러블 치유에 도움을 준다. 또한, 보습 및 각질 효능이 있다.
상기 코코베타인(Cocobetain)은 코코넛오일에서 얻은 천연계면활성제로서, 우수한 컨디셔너, 점성제, 거품촉진제로 사용되고, 피부 점막을 자극하지 않는 매우 순한 성질을 갖고 있어 자극을 줄여 점도를 올려주는데 도움을 주며, 항균력, 세정력, 기포력, 증점력 및 컨디셔닝 등의 효능이 있다.
상기 로즈마리추출물은 로즈마리를 침출 및 농축하여 얻은 성분으로서, 천연 항상화제로 방부제 역할을 해주기 ?문에 천연 화장품, 화장수, 크림, 비누 등에 많이 사용되고, 또한, 피부의 윤기와 탄력을 유지하면서 피부 재생, 원기 회복 및 피로회복에 도움을 준다.
상기 에센셜오일(Essential Oil)은 방향성 약용식물에서 추출하는 특유의 향과 살균, 진정, 이완 등 치유효능을 가진 고농도의 천연 식물성 오일이다. 제2 혼합단계에서 에센셜오일은 티트리, 제라늄 및 클라리세이지 오일의 혼합으로 형성된다.
상기 티트리 오일(Tea Tree Oil)은 티트리의 잎과 잔가지에서 추출한 에센셜 오일로서, 항균작용, 면역력증강, 살균, 향곰팡이, 질염 가려움증 완화에 효능이 있다.
상기 제라늄 오일(Geranium Oil)은 제라늄의 꽃과 잎, 줄기를 모두 사용하여 증기증류법(수증기로 식물의 방향유효성분을 추출하고 냉각수로 식혀 응축하는 방법)으로 추출한 에센셜 오일로서, 피부 청결, 이뇨작용, 요도염 등의 감염증 완화에 효능이 있다.
상기 클라리세이지 오일(Clary Sage Oil)은 클레어리 세이지 꽃과 줄기에서 추출한 에센셜 오일로서, 여성호르몬의 균형을 도와주며 몸과 마음을 진정시킬 뿐만 아니라, 피부재생, 자궁수축 및 산후우울증에 효능이 있다.
상기 멘톨(Menthol)은 박하의 잎이나 줄기를 수증기로 증류하여 얻을 수 있는 방향 성분으로서, 피부에 청량감을 부여하고, 지성피부의 진정 관리와 피부 보호에 도움을 준다.
이와 같은 제2 혼합단계(S40)는 제1 혼합단계(S30)에 의해 획득한 약초추출물에 계량된 로즈워터, 재스민워터, 유카추출물, 감초추출물, 프로폴리스추출물, 알란토인, 코코베타인, 로즈마리추출물, 에센셜 오일 및 멘톨을 순차적으로 혼합한 후, 미세한 여과망으로 여과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여성청결제를 완성하는 것이다.
상기 제2 혼합단계(S40)에 의해 완성한 여성청결제는, 여성청결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 33.33중량부, 로즈워터 16.66중량부, 재스민워터 16.66중량부, 코코베타인 3.66중량부, 유카추출물 3.333중량부, 약쑥 3,333중량부, 감초추출물 2.66중량부, 프로폴리스추출물 2중량부, 알란토인 2중량부, 로즈마리추출물 2중량부, 사상자 2중량부, 고삼 2중량부, 당귀 1.333중량부, 소루쟁이 1.333중량부, 석창포 1.333중량부, 생강나무 1.333중량부, 한련초 1.333중량부, 장미 1.333중량부, 재스민 1.333중량부, 에센셜오일 1중량부 및 멘톨 0.033중량부의 비율로 혼합되어 제조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약초추출물을 이용한 여성청결제를 하기 표 1의 성분비율에 따라 제조하였다.
N0 원료명 성분비율(중량부)
1 정제수 33.33
2 로즈워터 16.66
3 재스민워터 16.66
4 코코베타인 3.66
5 유카추출물 3.333
6 약쑥 3.333
7 감초추출물 2.66
8 프로폴리스추출물 2
9 알란토인 2
10 로즈마리추출물 2
11 사상자 2
12 고삼 2
13 당귀 1.333
14 소루쟁이 1.333
15 석창포 1.333
16 생강나무 1.333
17 한련초 1.333
18 장미 1.333
19 재스민 1.333
20 에센셜오일 1
21 멘톨 0.033
여성청결제의 관능평가
상기 실시예 1에 의해 제조된 약초추출물을 이용한 여성청결제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종래의 여성청결제를 여성 소비자 30명을 대상으로 하여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관능평가는 세정력, 향 및 전체적인 기호도 등에 대해 실시하였다. 관능평점은(1: 매우 나쁨, 2: 나쁨, 3: 보통, 4: 좋음, 5: 매우 좋음)으로 평가하였고, 그 값을 하기의 표 2에 나타냈었다. 한편 하기의 지수는 그 숫자가 높을수록 우수한 것이다.
평가항목 세정력 전첸적인 기호도
실시예 1 5.6 5.3 5.4
종래의 여성청결제 3.5 3.1 3.3
상기 관능평가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에 의해 제조된 약초추출물을 이용한 여성청결제는 세정력, 향 및 전체적인 기호도 측면에서 종래의 여성청결제에 비해 현저히 뛰어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약초추출물을 이용한 여성청결제 제조방법은, 자궁 건강 및 질염 개선에 도움을 주는 약초추출물을 이용하여 여성청결제를 제조함으로써, 여성 비뇨생식기관의 청결유지는 물론 냄새와 염증을 방지할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3)

  1. 정제수와 약쑥, 사상자, 당귀, 소루쟁이, 석창포, 생강나무, 한련초 및 고삼을 혼합하여 1시간 유지시킨 후, 약불에 18시간 가열하고 여과하여 제1 추출물을 획득하는 제1 추출단계;
    일정 온도의 정제수와 장미 및 재스민을 혼합하여 3시간 30분간 유지시키고, 여과하여 제2 추출물을 획득하는 제2 추출단계; 및
    상기 제1 추출물과 제2 추출물을 혼합하여 약초추출물을 획득하는 제1 혼합단계; 및
    상기 약초추출물에 로즈워터, 재스민워터, 유카추출물 및 감초추출물을 1차로 혼합하고, 프로폴리스추출물, 알란토인 및 코코베타인을 2차로 혼합한 후, 로즈마리추출물, 에센셜 오일 및 멘톨을 혼합하고 여과하여 여성청결제를 완성하는 제2 혼합단계;를 포함하며,
    정제수 33.33중량부, 로즈워터 16.66중량부, 재스민워터 16.66중량부, 코코베타인 3.66중량부, 유카추출물 3.333중량부, 약쑥 3.333중량부, 감초추출물 2.66중량부, 프로폴리스추출물 2중량부, 알란토인 2중량부, 로즈마리추출물 2중량부, 사상자 2중량부, 고삼 2중량부, 당귀 1.333중량부, 소루쟁이 1.333중량부, 석창포 1.333중량부, 생강나무 1.333중량부, 한련초 1.333중량부, 장미 1.333중량부, 재스민 1.333중량부, 에센셜오일 1중량부 및 멘톨 0.033중량부의 비율로 혼합되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초추출물을 이용한 여성청결제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센셜오일은,
    티트리, 제라늄 및 클라리세이지 오일의 혼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초추출물을 이용한 여성청결제 제조방법.
  3. 삭제
KR1020190028723A 2019-03-13 2019-03-13 약초추출물을 이용한 여성청결제 제조방법 KR1020207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8723A KR102020744B1 (ko) 2019-03-13 2019-03-13 약초추출물을 이용한 여성청결제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8723A KR102020744B1 (ko) 2019-03-13 2019-03-13 약초추출물을 이용한 여성청결제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0744B1 true KR102020744B1 (ko) 2019-09-11

Family

ID=67949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8723A KR102020744B1 (ko) 2019-03-13 2019-03-13 약초추출물을 이용한 여성청결제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074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6049B1 (ko) * 2020-04-08 2020-09-16 문주현 락토바실러스플란타룸과 프리바이오틱스를 함유한 항염 항균 기능 증진 여성청결제 및 그 제조방법
KR102228690B1 (ko) * 2020-08-21 2021-03-16 (주)바이오시엠 우수한 항균효과 및 가려움완화에 도움을 주는 저자극 외음부 세정제 조성물
KR102255810B1 (ko) 2021-01-12 2021-05-25 유한회사 엠비즈 락토바실러스 발효용해물 유산균을 함유하고, 초음파 분산을 통해 항균력을 가지는 유효성분을 함유시킨 여성청결제 제조방법
CN113491765A (zh) * 2020-03-20 2021-10-12 创技公司株式会社 含蜂胶及天然萃取物的女性清洁剂用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2376074B1 (ko) 2021-08-19 2022-03-18 제이엔씨벤자롱주식회사 보습과 살균효과를 제공하는 피부 청결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응용제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1530B1 (ko) 2015-10-26 2016-08-26 한방약초힐링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약초추출물을 이용한 여성청결제 제조방법
KR20180092699A (ko) 2017-02-10 2018-08-20 이창재 한약재 조성물을 이용한 여성 청결제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1530B1 (ko) 2015-10-26 2016-08-26 한방약초힐링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약초추출물을 이용한 여성청결제 제조방법
KR20180092699A (ko) 2017-02-10 2018-08-20 이창재 한약재 조성물을 이용한 여성 청결제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URL : https://blog.naver.com/wndls1004/221446601903 (2019.01.20.)* *
URL : https://joojoojoo77.blog.me/221456104355 (2019.02.01.)* *
URL : https://joowon0208.blog.me/220927692330 (2017.02.05.)* *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91765A (zh) * 2020-03-20 2021-10-12 创技公司株式会社 含蜂胶及天然萃取物的女性清洁剂用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2156049B1 (ko) * 2020-04-08 2020-09-16 문주현 락토바실러스플란타룸과 프리바이오틱스를 함유한 항염 항균 기능 증진 여성청결제 및 그 제조방법
KR102228690B1 (ko) * 2020-08-21 2021-03-16 (주)바이오시엠 우수한 항균효과 및 가려움완화에 도움을 주는 저자극 외음부 세정제 조성물
KR102255810B1 (ko) 2021-01-12 2021-05-25 유한회사 엠비즈 락토바실러스 발효용해물 유산균을 함유하고, 초음파 분산을 통해 항균력을 가지는 유효성분을 함유시킨 여성청결제 제조방법
KR102376074B1 (ko) 2021-08-19 2022-03-18 제이엔씨벤자롱주식회사 보습과 살균효과를 제공하는 피부 청결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응용제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0744B1 (ko) 약초추출물을 이용한 여성청결제 제조방법
CN109078165B (zh) 一种用于女性私处护理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101125893B1 (ko) 한방 화장비누 조성물
KR101651530B1 (ko) 약초추출물을 이용한 여성청결제 제조방법
CN104983616A (zh) 一种人体润滑液及其制备方法
CN110613839A (zh) 一种作用于女性生殖系统的中药生物制剂及其制备方法
CN101417068A (zh) 一种中药抑菌洗液及其制备方法
CN111109762A (zh) 非对称湿度控制的中草药抑菌鞋垫及其制备方法
KR20180092699A (ko) 한약재 조성물을 이용한 여성 청결제 제조방법
CN104288552A (zh) 一种洁阴护理液及其制备方法
CN104306841A (zh) 一种治疗妇科炎症、皮肤炎症、瘙痒症的中药洗液
KR20210074820A (ko) 선택적 항균활성을 갖는 질세정제
CN103239676A (zh) 一种用于防治细菌性阴道病的外用药物组合物
CN106943618B (zh) 一种艾草保健卫生巾及其制备方法
CN106075251B (zh) 中药组合物、其制剂及制备方法
KR102150787B1 (ko) 한방 여성청결제
CN110403978B (zh) 含碰碰香提取物的婴幼儿用消肿止痒组合物
CN104206444B (zh) 一种含有薰衣草天然芳香的电热液体蚊香及制备方法
CN111035684A (zh) 一种臭氧油复方鼻炎凝胶及其制备方法
CN112843196A (zh) 一种女性阴道紧致胶囊及其制备工艺
CN105708769A (zh) 一种保健沐浴液及其制备方法
KR20170017184A (ko) 한방조성물을 함유한 일회용 흡수제품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한 흡수제품
CN112022947A (zh) 基于传统中草药及小分子化合物的抑菌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110035497A (ko) 팔각회향을 이용한 항균 비누 조성물
CN104922449A (zh) 一种中药消毒液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