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112129A1 - 피부 각질 박리 촉진용 화장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 각질 박리 촉진용 화장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112129A1
WO2019112129A1 PCT/KR2018/007659 KR2018007659W WO2019112129A1 WO 2019112129 A1 WO2019112129 A1 WO 2019112129A1 KR 2018007659 W KR2018007659 W KR 2018007659W WO 2019112129 A1 WO2019112129 A1 WO 201911212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group
skin
present
experi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0765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안병준
이설훈
강내규
고아름
김진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CN201880077982.0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1432792B/zh
Priority to EP18887162.8A priority patent/EP3721864A4/en
Priority to US16/769,559 priority patent/US20210212913A1/en
Priority to JP2020549520A priority patent/JP7186793B2/ja
Publication of WO201911212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11212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5Hydroxycarboxylic acids; Keto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61K8/027Fibers; Fibr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61K8/416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ore than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46Imidazole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benzimidaz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1Cellulose; Quaternized cellulose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5Mucopolysaccharides, e.g.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47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ids; Metal or ammonium salts thereof, e.g. crotonic acid, (meth)acrylic aci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8Rubbing or scrubbing compositions; Peeling or abrasive compositions; Containing exfoli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3Nanosized, i.e. having sizes below 100 n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05Corresponding aspects not provided for by any of codes A61K2800/81 - A61K2800/95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smetic composition for promoting the exfoliation of the skin.
  • the skin is divided into the epidermal layer and the dermal layer, and the epidermal layer is divided into the stratum corneum, the granular layer, the superficial layer, and the basal layer.
  • the skin cells produced from the basal layer are thin and wide cell type with the enucleation process of the cells and the change of the lipid bilayer up to the stratum corneum and become a dead cell form filled with the hydrophobic keratin protein at the stratum corneum .
  • a lamellar layer mainly composed of ceramides is formed between the keratinocytes of the stratum corneum, and the corneodesmosome protein is bonded to the keratinocytes.
  • keratinocyte and ceramidic stratum corneum act as a protective barrier against external substances while at the same time preventing moisture from being released into the interior.
  • the normal stratum corneum has a thickness of about 15-20 layers, and the action of the serine protease activated outside the stratum corneum causes the decomposition of conidia sumosome to proceed and eventually deviate completely from the skin. This process takes about 15-20 days for normal cells.
  • the keratin layering is generally known to be caused by factors such as reduction of skin moisturizing ability, decrease of the expression amount of serine protease or decrease of activity, ultraviolet rays, and cell activity decrease.
  • methods such as keratin peeling through a physical scrub preparation, keratin peeling by a chemical preparation, and increase of physiological cell activity are used.
  • This type of exfoliating method removes the external keratinocyte by artificially removing it and replacing the outermost keratin layer with new keratinocyte from the inside to solve the appearance problem such as roughness and dullness of skin by removing keratin layering.
  • the chemical peeling method is exemplified by using an AHA (Alpha hydroxy acid), and other methods such as BHA (beta hydroxy acid) and PHA (polyhydroxy acid) are also used.
  • the chemical keratin exfoliation method has additional effects such as removal of wrinkles by removing exfoliation, removal of dullness, and improvement of rough skin.
  • the AHA used for chemical keratin exfoliation can be applied to skin for a short time (1 - 15 minutes) with high concentration (30 - 70%) (Clinical, Cosmetic and Investigational Dermatology, 6, 281-288, 2013; J. Sharad), the skin layer was slowly peeled off when used at a concentration of 10% or less (J.
  • AHA is inserted into the stratum corneum and releases hydrogen ions to weaken the connoid sumosome binding, leading to exfoliation.
  • AHA is inserted into the stratum corneum and releases hydrogen ions to weaken the connoid sumosome binding, leading to exfoliation.
  • the penetration of the stratum corneum is smooth and the degree of hydrogen ion transfer is high, . Therefore, low pH causes side effects such as skin burning, itching, and erythema, and studies are being conducted to overcome these side effects.
  • pH adjustment or chemical modification will offset the efficacy. Therefore, a need has arisen for a new exfoliating material capable of exhibiting exfoliation efficacy such as AHA even in weak acid or neutral.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smetic composition having a skin exfoliation effect and a low skin irritation even at a weakly acidic to neutral pH.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smetic composition for promoting skin erosion detachment comprising a calcium-binding substance and a protein structure-changing substance.
  • the calcium-binding substance of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promoting skin erosion exfoli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gluconolactone, serine, carnitine, carnosine, lactobionic acid, citric acid, hydrocaprylic acid, lactic acid, , And the like.
  • the calcium-binding material of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promoting skin erosion exfoli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be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gluconolactone, serine, carnitine and carnosine.
  • the protein structure-altering substance of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promoting peel-off of ski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be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allantoin and creatine.
  • the protein structure-altering substance of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promoting skin erosion exfoli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urea and hydroxyethyl urea.
  •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promoting skin erosion exfoli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further comprising a polymer material.
  • the polymer material of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promoting skin erosion exfoli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be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ellulose nanofiber, carboxymethyl cellulose (CMC), hyaluronic acid and carbomer .
  •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promoting skin erosion exfoli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H of 5 to 7.5.
  • the content of the calcium-binding material in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0.001 to 2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 the content of the protein structure-altering substance in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0.001 to 1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 the content of the polymer material in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0.0001 to 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exhibit a skin-irritating effect even at a weak acid-neutral pH while having an exfoliating effect superior to the efficacy of a conventional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maximizes the exfoliating ability through combination of raw materials having a synergistic effect, which is a side effect inherent in raw materials that can be exhibited when a single raw material is used at a high concentration, thereby enhancing efficiency and lowering side effects.
  • FIG. 1 shows the results of experiments for confirming the exfoliation ability of gluconolactone by concentration and pH.
  • FIG. 2 shows the results of experiments in which the exfoliation ability of allantoin and a polymer substance alone was determined by concentration.
  • FIG. 3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an experiment for confirming the exfoliating ability of a combination of allantoin and cellulose nanofibers at different concentrations.
  • Fig. 4 shows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for confirming the exfoliating ability of carnitine, creatine and carnosine alone at different concentrations.
  • FIG. 5 shows the results of an experiment in which the exfoliating ability of a combination of carnitine, creatine, allantoin and carnosine was determined.
  • FIG. 6 shows the results of an experiment in which the exfoliation ability of keratin was determined by serine concentration.
  • FIG. 7 shows the results of an experiment in which the exfoliating ability of each combination of serine, creatine, and allantoin was determined.
  • FIG. 8 shows the results of experiments confirming the exfoliating ability of various combination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smetic composition for accelerating delamination of the skin comprising a calcium-binding substance and a protein structure-changing substance.
  •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promoting skin erosion exfoli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alcium binding material and a protein structure change material.
  • the term "exfoliated” means that the keratin deposited on the stratum corneum of the skin is removed or removed from the stratum corneum of the skin. Is a concept including both a case where the skin is removed by applying physical force, and a case where the skin is separated from the stratum corneum by treatment of the cosmetic composition without applying any additional force.
  • the calcium-binding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means a substance that weakens keratinocyte protein binding through binding with calcium in the skin.
  • the calcium-binding substance may be any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erine, carnitine, carnosine, lactobionic acid, citric acid, hydrocaprylic acid, lactic acid and azelaic acid.
  • the calcium binding material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glucoronolactone, serine, carnitine and carnosine, and more preferably carnitine.
  • the protein structure-altering subst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ubstance that affects the structure of a binding protein, thereby inducing the weakening of keratinocyte binding.
  • the protein structure change material may preferably be allantoin and / or creatine, and still more preferably allantoin.
  • a component for protein structure change for example, one or more selected from urea and hydroxyethylurea.
  • the above-mentioned protein structure change materials have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s in their structures in common.
  •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promoting peel-off of the skin may further comprise a polymer material capable of weakening inter-keratinocyte binding physiochemically.
  • the polymer material may be any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ellulose nanofiber, carboxymethyl cellulose (CMC), hyaluronic acid, and carbomer.
  • CMC carboxymethyl cellulose
  • hyaluronic acid a carbomer
  • carbomer a cellulose nanofiber
  • the calcium-binding substances were found to be inferior in calcium ion activity in the presence of calcium ions through the evaluation of the exfoliation evaluation method.
  • calcium binding in the stratum corneum was classified into the above- Phosphorus, protein structure change materials and macromolecules were not influenced by calcium.
  • the polymer has a unique needle-like structure having a short axis of nanometer size and a long axis of micrometer size, and has been mentioned in the disclosure of Korean Patent No. 10-2017-0103698. It is expected that this unique structure may cause cracks between keratinocytes.
  •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raw material acting in other ways, Which is a synergistic effect of keratin exfoliation through the use of substances that weaken the keratinocyte binding force.
  •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promoting skin erosion exfoli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pH of 5 to 7.5, preferably 5.5 to 7.
  • the content of the calcium-binding material in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0.001 to 20 wt%, preferably 0.01 to 17 wt%, more preferably 0.05 to 15 wt% . If the content is less than 0.001% by weight, the desired effect may be difficult to obtain. If the content is more than 20% by weight,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content may be insufficient.
  • the content of the protein structure change material in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0.001 to 10% by weight, preferably 0.01 to 5% by weight, more preferably 0.05 to 1% by weight, Lt; / RTI > If the content is less than 0.001% by weight, the desired effect may be difficult to obtain. If the content is more than 10% by weight,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content may be insufficient.
  • the content of the polymer material in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0.0001 to 5 wt%, preferably 0.001 to 1 wt%, more preferably 0.01 to 0.1 wt% have. If the content is less than 0.0001% by weight, the desired effect may be difficult to obtain. If the content is more than 5% by weight,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content may be insufficient.
  • a more specific example of a combination exhibiting excellent exfoliating effect even in weakly acidic and neutral in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A) to (H).
  • each of the relatively low corneal exfoliation efficacy exhibits a synergistic effect, so that the exfoliating effect is superior to the 10% gluconolactone of pH 4 to 6 It exhibits irritation and high efficiency at the same time.
  •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cosmetics, quasi-drugs, and external skin preparations of any kind that require exfoliation efficacy.
  • the porcine skin horny evalu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used by modifying the exfoliated evaluation method mentioned in Journal of the European Academy of Dermatology and Venereology, 2014, 28, 415-423.
  • PBS phosphate-buffered saline
  • This sample is obtained by measuring the number of exfoliated keratin cells after storage at 37 ° C and 50% humidity for one day in a cell counter.
  • the water-only sample is visualized as a negative control and the 10% gluconolactone pH 4 is visualized as a positive control.
  •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gluconolactone 10% pH 6 for relative comparison and expressed as Fold increase.
  • the keratinolactone concentration and the keratolytic activity by pH were confirmed by the pig skin skin evaluation described above.
  • the materials and composition used in this experiment are shown in the following table.
  • Serum, creatine, and allantoin levels were compared by the pig skin skin evaluation described above.
  • the combination ratio used in this experiment is shown in the following table.
  • the color of the inner part of the upper arm of the subject and the upper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subject were measured with a chroma meter. About 0.4 ml of a 10% dihydroxy acetone (DHA) Lt; / RTI > After 24 hours, the color of the brown colored area was measured by DHA, and the color difference was compared with that before the application of the sample. Then, the sample was applied twice a day, and the degree of discoloration of each sample was measured with a chromometer to measure the time taken to return to the original skin color.
  • 50% TT Teurnover Tim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각질 박리 촉진용 화장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칼슘결합물질 및 단백질 구조 변화 물질을 포함하며, 이를 통해 약산성-중성 pH에서도 기존 효능 원료의 효능보다 우수한 각질 박리 효과를 가지면서도 피부 자극이 낮고 원료간의 조합을 통해 각질 박리능은 극대화하여 효율은 높이고 부작용은 낮춘 화장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피부 각질 박리 촉진용 화장용 조성물
본 출원은 2017년 12월 4일 출원된 대한민국출원 제10-2017-0165268호에 기초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해당 출원의 명세서 및 도면에 개시된 모든 내용은 본 출원에 원용된다.
본 발명은 피부 각질 박리 촉진용 화장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부는 표피층과 진피층으로 나뉘며, 그 중 표피층은 각질층, 과립층, 유극층, 기저층으로 나뉜다. 기저층을 통해 생성된 피부 세포는 각질층에 이르기 까지 세포의 탈핵 과정과 지질 이중층의 변화가 동반되어 얇고 넓은 세포 형태를 취하며, 각질층에 이르면 소수성 케라틴(keratin) 단백질로 내부가 채워진 죽은 세포 형태가 된다. 또한 각질층의 각질 세포 사이 사이에는 세라마이드를 주 구성성분으로 하는 라멜라 층이 형성되고, 각질 세포간 코니오데스모좀(Corneodesmosome) 단백질로 결합된 구조를 취하게 된다. 이러한 각질 세포와 세라마이드로 이루어진 각질층은 외부 물질로부터의 보호 효과를 나타내며 동시에 내부로의 수분 이탈 등을 방지할 수 있는 방어막으로 기능하게 된다. 정상적인 각질층의 경우 15-20층 정도의 두께를 가지며, 각질층 외부에서 활성화되는 세린 프로테아제의 작용으로 코니오데스모좀의 분해가 진행되어 결국 피부로부터 완전히 이탈되는 과정을 겪게 된다. 이 과정은 정상 세포의 경우 15-20일 정도 소요된다. (Britsh J. of Dermatology, 86, 14-19, 1974; K.M.Halprin 및 향장회지, 12(4), 265-271, 1988; M.Takahash) 어린선(ichthyosis)과 같은 유전적 질환이 아니어도 노화, 건조, 여드름의 피부 등은 위 각질 이탈 과정의 기간이 정상보다 길어져 각질층이 두꺼워지는 각질중층화 현상을 보이게 된다.
각질중층화는 일반적으로 피부 보습력 감소, 세린 프로테아제의 발현량 감소 또는 활성 감소, 자외선, 세포 활성 저하 등의 요인에 의해 유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렇게 생성된 각질 중층화를 해소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물리적 스크럽 제제 등을 통한 각질 박피, 화학적 제제에 의한 각질 박리, 생리적인 세포 활성 증가 등의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의 각질 박리 방식은 외부 각질 세포를 인위적으로 제거하여, 내부로부터 새로운 각질 세포로 최 외곽 각질층이 대체됨을 통해 각질 중층화를 해소하여 피부의 거칠감이나 칙칙함과 같은 외관적인 문제를 해결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각질 중층화를 해소하기 위한 방법 중 특히 화학적 각질 박리 방식은 AHA(Alpha hydroxy acid)를 이용하는 방법이 대표적이며, 그 외 BHA(beta hydroxy acid), PHA(poly hydroxy acid) 또한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방법이다. 화학적 각질 박리 방식은 각질 박리를 통한 잔주름 제거, 잡티 제거, 거친 피부 개선 등의 부가적인 효과도 있다. 화학적 각질 박리에 사용되는 AHA는 높은 농도 (30 - 70%)로 짧은 시간 (1 - 15분) 피부에 처리하여 효과를 볼 수 있으나 (Clinical, Cosmetic and Investigational Dermatology, 6, 281-288, 2013; J. Sharad), 10% 이하의 농도로 사용시 각질층을 서서히 박리시키고 (J.AM.Acad.Dermatol., 11, 867-879, 1984; Van Scott), 피부 보습 증진 (happi, jully, 66-68, 1994), 잔주름 완화(Cutis, 43, 222-228, 1989; Van Scott) 등의 효과도 보여 화장품 등에 사용되고 있다. AHA의 작용 방식은 각질층 내로 삽입되어 수소 이온을 방출해 코니오데스모좀 결합을 약화시켜 각질 박리에 이르게 하는 것으로 낮은 pH에서 적용 시 각질층 삽입이 원활하고 수소 이온의 전달 정도가 높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낮은 pH를 요구하게 된다. 따라서 낮은 pH에 의해 피부 따가움, 가려움, 홍반 등의 부작용을 야기하게 되어 이러한 부작용을 극복하기 위해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 pH를 조절하거나 화학적 변형을 거치게 되면 그 효능이 상쇄되게 되므로, 약산성 혹은 중성에서도 AHA와 같은 각질 박리 효능을 보일 수 있는 새로운 각질 박리 소재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어 왔다.
이러한 효능을 갖기 위한 종래의 노력으로는 하이드록실기(Hydroxyl)와 카르복실기(Carboxylic)를 갖는 PHA(Polyhydroxy acid)를 이용하여 큰 분자량에 의한 피부 투과 속도를 늦춰 자극을 줄이고, 각질 박리 효능은 유지하거나 높이려는 시도가 진행되었었다(한국등록특허 10-1388052). 하지만 이 경우에도 pH가 높아질 때 급격히 그 효능을 잃어, 산성 조건에서 사용되어야 하므로 따라서 여전히 피부에 자극이 될 소지가 남아있다.
종래의 AHA나 PHA 같은 화학적 각질 박리제는 낮은 pH를 통해 수소 이온의 전달로 인한 각질 세포간 결합 단백질의 약화를 기반으로 그 효과를 나타낸다. 이에 따른 피부 자극으로 인한 부작용을 완화하고자 약산성-중성의 pH로 조절하게 되면 그 활성이 80% 이상 감소하게 되어 실질적 각질 박리에 따른 이점을 제공하기 어렵다는 문제를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약산성-중성 pH에서도 기존 효능 원료의 효능보다 우수한 각질 박리 효과를 가지면서도 피부 자극이 낮은 화장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칼슘결합물질 및 단백질 구조 변화 물질을 포함하는 피부 각질 박리 촉진용 화장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의 피부 각질 박리 촉진용 화장용 조성물의 칼슘결합 물질은 글루코노락톤, 세린, 카르니틴, 카르노신, 락토바이오닉산, 시트르산, 하이드로카프릴릭산, 젖산 및 아젤라익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의 피부 각질 박리 촉진용 화장용 조성물의 칼슘결합물질은 글루코노락톤, 세린, 카르니틴 및 카르노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의 피부 각질 박리 촉진용 화장용 조성물의 단백질 구조 변화 물질은 알란토인 및 크레아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의 피부 각질 박리 촉진용 화장용 조성물의 단백질 구조 변화 물질은 우레아 및 하이드록시에틸우레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의 피부 각질 박리 촉진용 화장용 조성물은 고분자 물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의 피부 각질 박리 촉진용 화장용 조성물의 고분자 물질은 셀룰로오스 나노파이버,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MC), 히알루론산 및 카보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의 피부 각질 박리 촉진용 화장용 조성물은 pH 5 내지 7.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 조성물 내 칼슘결합물질의 함량은 총 조성물 중량 대비 0.001 내지 2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 조성물 내 단백질 구조 변화 물질의 함량은 총 조성물 중량 대비 0.001 내지 1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 조성물 내 고분자 물질의 함량은 총 조성물 중량 대비 0.0001 내지 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조성물은 약산성-중성 pH에서도 기존 효능 원료의 효능보다 우수한 각질 박리 효과를 가지면서도 피부 자극이 낮은 나타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한 가지 원료를 고농도로 사용시 나타날 수 있는 원료 고유의 부작용을 시너지 효과를 갖는 원료간의 조합을 통해 각질 박리능을 극대화하여 효율은 높이고 부작용을 낮추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글루코노락톤의 농도 및 pH별 각질 박리능을 확인한 실험 결과이다.
도 2는 알란토인 및 고분자 물질 단독의 농도별 각질 박리능을 확인한 실험 결과이다.
도 3은 알란토인 및 셀룰로오즈 나노파이버의 농도별 조합물의 각질 박리능을 확인한 실험 결과이다.
도 4는 카르니틴, 크레아틴 및 카르노신 단독의 농도별 각질 박리능을 확인한 실험 결과이다.
도 5는 카르니틴, 크레아틴, 알란토인 및 카르노신의 농도별 조합물의 각질 박리능을 확인한 실험 결과이다.
도 6은 세린 농도별 각질 박리능을 확인한 실험 결과이다.
도 7은 세린, 크레아틴 및 알란토인 조합의 농도별 각질 박리능을 확인한 실험 결과이다.
도 8은 다양한 조합예의 각질 박리능을 확인한 실험 결과이다.
상기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칼슘결합물질 및 단백질 구조 변화 물질을 포함하는 피부 각질 박리 촉진용 화장용 조성물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각질 박리 촉진용 화장용 조성물은 칼슘결합물질 및 단백질 구조 변화 물질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각질 박리" 라는 용어는 피부의 각질층에 쌓여있는 각질이 피부의 각질층에서 탈락 또는 제거되는 것을 의미한다. 물리적인 힘을 가하여 제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별도의 힘을 가하지 않고 화장용 조성물의 처리만으로도 피부의 각질층에서 떨어져 나가는 경우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의 칼슘 결합 물질은 피부에서 칼슘과의 결합을 통해 각질 세포간 단백질 결합을 약화시키는 물질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칼슘 결합 물질은 세린, 카르니틴, 카르노신, 락토바이오닉산, 시트르산, 하이드로카프릴릭산, 젖산 및 아젤라익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칼슘 결합 물질은, 글루코로노락톤, 세린, 카르니틴 및 카르노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카르니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단백질 구조 변화 물질은 결합 단백질의 구조에 영향을 주는 물질로서 이를 통해 각질 세포간 결합의 약화를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상기 단백질 구조 변화 물질은 바람직하게는 알란토인 또는/및 크레아틴일 수 있으며,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알란토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단백질 구조 변화를 위한 성분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우레아 및 하이드록시에틸우레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언급된 단백질 구조 변화 물질들은 그 구조 내에 공통적으로 다음의 화학식을 가진다.
Figure PCTKR2018007659-appb-C000001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의 피부 각질 박리 촉진용 화장용 조성물은 물리 화학적으로 각질 세포간 결합을 약화시켜줄 수 있는 고분자 물질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상기 고분자 물질은 셀룰로오스 나노파이버,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MC), 히알루론산 및 카보머(carbome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셀룰로오스 나노파이버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확인한 바에 따르면, 상기 칼슘 결합 물질들은 각질 박리 평가법 실험을 통해 칼슘 이온 존재 시 그 활성이 떨어지는 것을 확인하여 각질층 내 칼슘 결합이 주된 각질 박리 작용 기작임을 밝혀 위 군으로 분류하였으며, 다른 두 부류인, 단백질 구조 변화 물질 및 고분자 물질들은 칼슘의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고분자들은 단축이 나노미터 사이즈를 지니며, 장축은 마이크로 미터 사이즈를 지니는 독특한 침상 구조로 국내공개특허 제10-2017-0103698호의 발명 내용에 언급된 바 있다. 이러한 독특한 구조에 의해 각질 세포 사이의 균열을 야기할 수 있는 것으로 예상된다.
즉, 본 발명은 칼슘 결합에 의해 효과를 나타내는 종래 화학적 각질 박리제의 피부 자극 단점 및 pH 증가에 따른 효과 감소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른 방식으로 작용하는 원료, 구체적으로 단백질 구조 변화를 통하거나 물리화학적 작용을 통해 각질 세포간 결합력을 약화시키는 물질들을 함께 사용함을 통해 각질 박리 시너지 효과를 이루어냈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의 피부 각질 박리 촉진용 화장용 조성물은 pH 5 내지 7.5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7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 조성물 내 칼슘결합물질의 함량은 총 조성물 중량 대비 0.001 내지 20 중량%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7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5 중량%일 수 있다. 이들의 함량이 0.001 중량% 보다 적으면 목적으로 하는 효과를 얻기 어려울 수 있고, 2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함량 증가에 따른 효과가 미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 조성물 내 단백질 구조 변화 물질의 함량은 총 조성물 중량 대비 0.001 내지 10 중량%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 중량% 일 수 있다. 이들의 함량이 0.001 중량% 보다 적으면 목적으로 하는 효과를 얻기 어려울 수 있고, 1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함량 증가에 따른 효과가 미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 조성물 내 고분자 물질의 함량은 총 조성물 중량 대비 0.0001 내지 5 중량%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1 중량% 일 수 있다. 이들의 함량이 0.0001 중량% 보다 적으면 목적으로 하는 효과를 얻기 어려울 수 있고, 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함량 증가에 따른 효과가 미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중 약산성 및 중성에서도 우수한 각질 박리 효과를 나타내는 조합의 조금 더 구체적인 일례는 다음 (A) 내지 (H)와 같다.
조합 칼슘 결합 물질 단백질 구조 변화 물질 고분자 pH
글루코로노락톤(%) 세린(%) 카르니틴(%) 카르노신(%) 알란토인(%) 크레아틴(%) 셀룰로오스나노파이버(%)
A 0.1~15 0.01~0.5 0.01~0.5 5~7
B 0.01~5 0.01~0.5 6~7
C 0.1~10 0.01~0.5 6~7
D 0.01~5 0.01~5 0.01~0.5 6~7
E 0.01~5 0.01~5 6~7
F 0.1~10 0.01~5 6~7
G 0.01~5 0.01~0.5 0.01~5 6~7
H 0.1~10 0.01~0.5 0.01~5 6~7
특히 상기 조합들은 모두 비교적 낮은 농도 및 높은 pH를 적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각각의 비교적 낮은 각질 박리 효능이 시너지 효과를 발휘하여 각질 박리 효과가 pH 4 ~ 6의 10% 글루코노락톤에 비해서도 우수한 효과를 가지고 낮은 자극성과 높은 효율을 동시에 발휘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각질박리 효능이 필요한 어떠한 종류의 화장품, 의약외품, 피부외용제 제품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이하, 실시 예를 통해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지만, 이들은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 방법]
본 발명의 돼지 피부 각질 평가는 Journal of the European Academy of Dermatology and Venereology, 2014, 28, 415-423에서 언급된 각질 박리 평가법을 변형하여 사용하였다. 자세하게는 1 mm 두께의 돼지 등 피부를 바이옵시 도구로 6 mm 지름의 샘플을 취하여, 96웰 플레이트에 두고, 인산완충식염수(PBS)로 1회 세척 후 테스트하고자 하는 시료를 100 ul 첨가한다. 본 샘플은 37℃, 50 % 습도 조건에서 하루 보관 후 이탈된 각질의 수를 셀카운터로 측정하여 물만 넣은 샘플을 음성 대조군으로, 10 % 글루코노락톤 pH 4를 양성 대조군으로 하여 도식화 한다. 그 결과를 상대 비교하기 위해 글루코노락톤 10% pH 6의 결과 값과 비교하여 배수 증가(Fold increase)로 나타내었다.
[실시예 1] 글루코노락톤의 농도 및 pH별 각질 박리능
글루코노락톤의 농도 및 pH별 각질 박리능을 상술한 돼지 피부 각질 평가를 통해 확인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물질 및 구성은 다음 표와 같다.
글루코노락톤(%) pH
실험군 11 10 4
실험군 12 10 5
실험군 13 10 6
실험군 14 5 4
실험군 15 5 5
실험군 16 5 6
실험군 17 2 4
실험군 18 2 5
실험군 19 2 6
[실시예 2] 알란토인 및 고분자 물질 단독의 농도별 각질 박리능
알란토인 및 고분자 물질 단독의 농도별 각질 박리능을 상술한 돼지 피부 각질 평가를 통해 확인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물질 및 구성은 다음 표와 같다.
글루코노락톤(%) 알란토인(%) 셀룰로오즈 나노파이버(%) 카보머(%) 히알루론산(%) CMC(%) pH
무처리군(물) - - - - - - 6
대조군 10 - - - - - 6
실험군 21 - 0.5 - - - - 6
실험군 22 - 0.1 - - - - 6
실험군 23 - - 0.15 - - - 6
실험군 24 - - 0.03 - - - 6
실험군 25 - - - 0.15 - - 6
실험군 26 - - - - 0.15 - 6
실험군 27 - - - - - 0.15 6
실험 결과는 대조군의 값을 1로 한 상대 비교값으로 도 2에 나타내었다. 이를 통해, 알란토인은 단독 사용시 효능이 높지 않으며, 셀룰로오즈 나노파이버를 제외한 각 고분자에서는 각질 박리 효능이 전혀 나타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글루코노락톤, 알란토인 및 셀룰로오즈 나노파이버의 농도별 조합물의 각질 박리능
글루코노락톤, 알란토인 및 셀룰로오즈 나노파이버의 최적 조합을 찾기 위해, 이들의 농도별 조합물의 각질 박리능을 상술한 돼지 피부 각질 평가를 통해 비교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조합비는 다음 표와 같다.
글루코노락톤(%) 셀룰로오즈 나노파이버(%) 알란토인(%) pH
대조군 10 - - 6
실험군 31 10 0.15 0.5 6
실험군 32 10 0.15 0.1 6
실험군 33 10 0.03 0.1 6
실험군 34 2 0.15 0.1 6
실험군 35 2 0.03 0.1 6
실험 결과는 도 3에 나타내었다. 이를 통해, 여러 번의 조합비 변경과 pH 변화 등에 따르면 실험군 35에서 최고 박리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발견하였으며, 이는 각각의 원료별 효능의 시너지로서 나타나는 결과이다.
[실시예 4] 카르니틴, 크레아틴 및 카르노신 단독의 농도별 각질 박리능
카르니틴, 크레아틴 및 카르노신 단독의 농도별 각질 박리능을 상술한 돼지 피부 각질 평가를 통해 비교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조합비는 다음 표와 같다.
글루코노락톤(%) 카르니틴(%) 크레아틴(%) 카르노신(%) pH
대조군 10 - - - 6
실험군 41 - 0.5 - - 7
실험군 42 - 1 - - 7
실험군 43 - 5 - - 7
실험군 44 - 10 - - 7
실험군 45 - - 1 - 6
실험군 46 - - - 0.2 7
실험군 47 - - - 1 7
실험군 48 - - - 3 7
[실시예 5] 카르니틴, 크레아틴, 알란토인 및 카르노신의 농도별 조합물의 각질 박리능
카르니틴, 알란토인, 크레아틴 및 카르노신의 최적 조합을 찾기 위해, 이들의 농도별 조합물의 각질 박리능을 상술한 돼지 피부 각질 평가를 통해 비교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조합비는 다음 표와 같다.
글루코노락톤(%) 카르니틴(%) 알란토인(%) 크레아틴(%) 카르노신(%) pH
대조군 10 - - - - 6
실험군51 - 0.5 0.1 - - 6
실험군52 - 0.5 - 0.1 - 6
실험군53 - 5 0.1 - - 6
실험군54 - 5 0.1 - - 7
실험군55 - 5 - 1 - 7
실험군56 - 5 0.1 1 - 7
실험군57 - 0.5 0.1 - 0.2 6
실험군58 - 0.5 0.1 - 0.2 7
실험 결과는 도 5에 나타내었다. 이를 통해, 카르니틴 0.5~5% + 알란토인 0.1% pH 7, 카르니틴 0.5~5% + 크레아틴 1% + 알란토인 0.1% pH 6, 카르니틴 0.5~5% + 카르노신 0.2~3% + 알란토인 0.1% pH 7 조합에서 효율의 최적화가 이루어짐을 발견하였다. 특히 실험군 57 및 58의 경우는 낮은 농도의 카르니틴과 카르노신을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최고 농도 이상의 효율을 보이며, 각 원료 독자 효능보다 크게 시너지 효과를 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6] 세린 농도별 각질 박리능
세린의 농도별 각질 박리능을 상술한 돼지 피부 각질 평가를 통해 확인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조합비는 다음 표와 같다.
글루코노락톤(%) 세린(%) pH
대조군 10 - 6
실험군61 - 1 6
실험군62 - 2 6
실험군63 - 5 6
실험군64 - 10 6
[실시예 7] 세린, 크레아틴 및 알란토인 조합의 농도별 각질 박리능
세린, 크레아틴 및 알란토인의 농도별 조합물의 각질 박리능을 상술한 돼지 피부 각질 평가를 통해 비교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조합비는 다음 표와 같다.
글루코노락톤(%) 세린(%) 크레아틴(%) 알란토인(%) pH
대조군 10 - - - 6
실험군 71 - 1 - 0.1 6
실험군 72 - 1 1 - 6
실험군 73 - 1 1 0.1 6
실험 결과는 도 7에 나타내었다. 이를 통해, 세린과 조합을 이루었을 때 시너지 효과가 최적화 되는 조합은 세린 1%+크레아틴 1%+알란토인 0.1% pH 6 임을 발견하였다.
[실시예 8] 다양한 조합예의 각질 박리능
상술한 실험 결과를 토대로 하여, 다음 표와 같은 다양한 조합물을 제조하고 이에 대한 각질 박리능을 상술한 돼지 피부 각질 평가를 통해 직접 비교하였다.
글루코로노락톤(%) 세린(%) 카르니틴(%) 카르노신(%) 알란토인(%) 크레아틴(%) 셀룰로오스나노파이버(%) pH
대조군 10 - - - - - - 6
실험군 81 2 - - - 0.1 - 0.03 6
실험군 82 - 1 - - 0.1 1 - 6
실험군 83 - - 5 - 0.1 1 - 7
실험군 84 - - 0.5 0.2 0.1 - - 7
실험 결과는 도 8에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실험군 조합 4개 모두 pH 6 또는 7의 약산성 및 중성에서 우수한 각질 박리능을 보였으며, 이를 통해, 각 원료의 각질 박리능은 그 성질에 따른 분류에 의해 조합하였을 때 시너지 효과를 보이는 조합과 비율이 존재하며, 이를 통해 각질 박리능을 극대화 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한 가지 원료를 고농도로 사용시 나타날 수 있는 원료 고유의 부작용을 시너지 효과를 갖는 원료간의 조합을 통해 더 높은 효율과 더 낮은 부작용을 내는 것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9] DHA 염색법에 의한 각질 턴오버 증진 평가법
피시험자는 20세에서 40세 사이의 건강한 남성, 여성 14명을 대상으로 DHA 염색법에 의한 각질 턴오버 증진 평가법을 실시하였다.
시료 도포 전 피시험자의 팔 하박부, 상박부 안쪽 색상을 크로마 미터(Chroma meter)로 측정한 후, 10 % 농도의 디히드록시 아세톤(Dihydroxy acetone: DHA) 약 0.4 ml를 팔 상하박부 안쪽에 6시간 동안 부착하였다. 24시간 경과 후, DHA에 의해 갈색으로 착색된 부위의 색상을 측정하여 시료 도포 전과의 색상 차이를 비교하였다. 이 후 1일 2회씩 시료를 도포 하면서 매일 탈색되는 정도를 크로마 미터로 측정하여 원래의 피부색으로 돌아오는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50 % TT(Turnover Time)는 기존의 각질층이 새로운 각질층으로 50 % 대체되는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하는데, 본 실험에서는 DHA에 의해 착색된 피부가 50 % 원상 복귀되는데 걸리는 시간을 회귀분석법에 의한 상대비교 분석을 통해 나타낸다. 음성대조군의 결과를 10일로 산정하고, 가상의 양성대조군 (하루 만에 50 % 원상 복귀되는 시료)을 1일로 산정하고 계산하여 상대 값을 비교하였다.
무처리 군의 결과를 10일로 산정하였을 때, 다음 실험군에 대하여 실험한 결과는 표와 같다.
글루코노락톤(%) 세린(%) 카르니틴(%) 알란토인(%) 셀룰로오스나노파이버(%) pH 50%TT(일)
대조군(무처리) - - - - - - 10
실험군 91 2 - - 0.1 0.03 5.5 8.7
실험군 92 - - 5 0.1 - 7 8.3
실험군 93 - 5 - 0.1 - 6 6.8
실험군 94* - 1 - 0.1 - 6 7.9
실험군 95* - - 0.5 0.1 - 7 7.9
(* 실험군 94 및 95의 경우는 에센스 제형임)
실험 결과, 실험군 91의 경우 50%TT는 8.7일로 1.3일 정도 각질 턴오버 일자가 앞당겨졌으며, 실험군 92의 경우 8.3일로 1.7일 앞당겨지며, 실험군 93의 경우 6.8일로 3.2일 앞당겨졌다. 또, 조합 중 에센스 제형에 적용시킨 경우 실험군 94 및 실험군 95의 경우 모두 7.9일로 동일하게 2.1일 앞당겨졌다. 모든 조합군은 실험 기간과 이후 홍반, 가려움, 타는 듯한 느낌 등의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았다.
이를 통해 돼지 피부 각질 박리 평가법에 의해 효능이 밝혀진 조합은 임상 실험에서도 각질 턴오버 증진 소재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제형에 적용시에도 그 효능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1)

  1. 칼슘 결합 물질 및 단백질 구조 변화 물질을 포함하는 피부 각질 박리 촉진용 화장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칼슘결합물질은 글루코노락톤, 세린, 카르니틴, 카르노신, 락토바이오닉산, 시트르산, 하이드로카프릴릭산, 젖산 및 아젤라익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각질 박리 촉진용 화장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칼슘결합물질은 글루코노락톤, 세린, 카르니틴 및 카르노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각질 박리 촉진용 화장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 구조 변화 물질은 알란토인 및 크레아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각질 박리 촉진용 화장용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 구조 변화 물질은 우레아 및 하이드록시에틸우레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각질 박리 촉진용 화장용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용 조성물은 고분자 물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각질 박리 촉진용 화장용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물질은 셀룰로오스 나노파이버,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MC), 히알루론산 및 카보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각질 박리 촉진용 화장용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용 조성물은 pH 5 내지 7.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각질 박리 촉진용 화장용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칼슘결합물질의 함량은 총 조성물 중량 대비 0.001 내지 2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각질 박리 촉진용 화장용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 구조 변화 물질의 함량은 총 조성물 중량 대비 0.001 내지 1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각질 박리 촉진용 화장용 조성물.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물질의 함량은 총 조성물 중량 대비 0.0001 내지 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각질 박리 촉진용 화장용 조성물.
PCT/KR2018/007659 2017-12-04 2018-07-05 피부 각질 박리 촉진용 화장용 조성물 WO2019112129A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80077982.0A CN111432792B (zh) 2017-12-04 2018-07-05 组合物在制备用于促进皮肤角质剥离的化妆品中的应用
EP18887162.8A EP3721864A4 (en) 2017-12-04 2018-07-05 COSMETIC COMPOSITION INTENDED TO PROMOTE EXFOLIATION OF THE SKIN
US16/769,559 US20210212913A1 (en) 2017-12-04 2018-07-05 Cosmetic composition for promoting skin exfoliation
JP2020549520A JP7186793B2 (ja) 2017-12-04 2018-07-05 肌角質剥離促進用化粧用組成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5268A KR101934022B1 (ko) 2017-12-04 2017-12-04 피부 각질 박리 촉진용 화장용 조성물
KR10-2017-0165268 2017-12-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12129A1 true WO2019112129A1 (ko) 2019-06-13

Family

ID=64959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07659 WO2019112129A1 (ko) 2017-12-04 2018-07-05 피부 각질 박리 촉진용 화장용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10212913A1 (ko)
EP (1) EP3721864A4 (ko)
JP (1) JP7186793B2 (ko)
KR (1) KR101934022B1 (ko)
CN (1) CN111432792B (ko)
WO (1) WO20191121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3135B1 (ko) 2018-07-17 2021-05-1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각질 박리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EP3824872A4 (en) * 2018-07-17 2022-04-27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COSMETIC COMPOSITION INTENDED TO INCREASE SKIN EXFOLIATION
JP7234007B2 (ja) * 2019-03-29 2023-03-07 株式会社ナリス化粧品 皮膚外用剤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5331A (ja) * 1997-02-28 1998-09-14 Shiseido Co Ltd 皮膚外用剤
KR20040043596A (ko) * 2002-11-19 2004-05-24 이경식 셀룰로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각질 조성물
KR100678864B1 (ko) * 2005-08-30 2007-02-05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천궁 추출물 및 카르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061881A (ko) * 2008-12-01 2010-06-10 주식회사 더페이스샵 각질 박리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090169A (ko) * 2012-02-03 2013-08-13 주식회사 씨앤피차앤박화장품 글루코노락톤과 락토바이오닉산을 포함하는 피부 각질 제거, 피부 미백 또는 피부 톤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49801A (ko) * 2013-10-31 2015-05-08 (주) 리바인코리아 피부 각질 박리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103698A (ko) 2016-03-03 2017-09-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바이오셀룰로오스 미세섬유 수분산체 네트워크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94466B1 (fr) * 1999-06-02 2001-06-29 Oreal Composition sous forme d'emulsion huile-dans-eau contenant des fibrilles de cellulose et ses utilisations notamment cosmetiques
DE10032964B4 (de) * 2000-07-06 2017-10-12 Beiersdorf Ag Verwendung von Kreatin in kosmetischen oder dermatologischen Zubereitungen
AU2001238511A1 (en) * 2000-08-07 2002-02-18 Juvenon, Inc. Cosmetics to support skin metabolism
KR100904948B1 (ko) * 2002-09-19 2009-06-2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CA2519998A1 (en) * 2003-03-28 2004-10-14 Lonza Inc. Topical l-carnitine compositions
FR2888494B1 (fr) * 2005-07-13 2014-03-14 Oreal Utilisation de composes d'uree pour favoriser la desquamation
US7999008B2 (en) * 2005-07-13 2011-08-16 L'oreal Urea compounds that promote desquamation
GB0912481D0 (en) * 2009-07-17 2009-08-26 Reckitt Benckiser Healthcare I Skincare compositions
JP2011098901A (ja) * 2009-11-05 2011-05-19 Noevir Co Ltd アクネ用皮膚外用剤
GB2543818A (en) * 2015-10-30 2017-05-03 Boots Co Plc Skin care composition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5331A (ja) * 1997-02-28 1998-09-14 Shiseido Co Ltd 皮膚外用剤
KR20040043596A (ko) * 2002-11-19 2004-05-24 이경식 셀룰로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각질 조성물
KR100678864B1 (ko) * 2005-08-30 2007-02-05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천궁 추출물 및 카르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061881A (ko) * 2008-12-01 2010-06-10 주식회사 더페이스샵 각질 박리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090169A (ko) * 2012-02-03 2013-08-13 주식회사 씨앤피차앤박화장품 글루코노락톤과 락토바이오닉산을 포함하는 피부 각질 제거, 피부 미백 또는 피부 톤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88052B1 (ko) 2012-02-03 2014-04-25 주식회사 씨앤피코스메틱스 글루코노락톤과 락토바이오닉산을 포함하는 피부 각질 제거, 피부 미백 또는 피부 톤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49801A (ko) * 2013-10-31 2015-05-08 (주) 리바인코리아 피부 각질 박리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103698A (ko) 2016-03-03 2017-09-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바이오셀룰로오스 미세섬유 수분산체 네트워크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 SHARAD: "Clinical, Cosmetic and Investigational Dermatology", vol. 6, 2013, pages: 281 - 288
JOURNAL OF THE EUROPEAN ACADEMY OF DERMATOLOGY AND VENEREOLOGY, vol. 28, 2014, pages 415 - 423
K.M.HALPRIN, BRITSH J. OF DERMATOLOGY, vol. 86, 1974, pages 14 - 19
M.TAKAHASH, COSMETICAL BULLETIN, vol. 12, no. 4, 1988, pages 265 - 271
VAN SCOTT, J.AM.ACAD.DERMATOL., vol. 11, 1984, pages 867 - 87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4022B1 (ko) 2018-12-31
JP7186793B2 (ja) 2022-12-09
JP2021505664A (ja) 2021-02-18
CN111432792A (zh) 2020-07-17
EP3721864A4 (en) 2021-10-13
EP3721864A1 (en) 2020-10-14
US20210212913A1 (en) 2021-07-15
CN111432792B (zh) 2023-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52168B2 (en) Methods of using cosmetic compositions comprising exopolysaccharides derived from microbial mats
WO2019112129A1 (ko) 피부 각질 박리 촉진용 화장용 조성물
US20220000760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reventing, slowing, and reversing skin aging
WO2011159071A2 (ko) 항균 또는 항염증 활성을 가지는 펩타이드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CN1243536C (zh) 鞘磷脂酶在制备用于增大皮肤和粘膜神经酰胺的含量的药物和化妆品组合物中的应用
MXPA99004749A (en) Sphingomyelinase compositions and use thereof
JP2022535875A (ja) 細菌株ラクトバチルス・パラカゼイおよびヒアルロン酸を含む組成物および皮膚の治療のためのその使用
CN110755345A (zh) 一种益生元组合物及其应用
KR20200013599A (ko) 줄기세포 유래 엑소좀의 동결건조제제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드름의 예방, 억제, 완화,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11525495A (ja) ヒトデ体液を含んでなる化粧組成物及びその使用方法。
WO2021006490A1 (ko) 그래핀 양자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22031124A1 (ko) 브로콜리 엑소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품
WO2022149634A1 (ko) 저온 고압 효소 반응시킨 컬러 베이스 및 추출액을 함유하는 색조 화장료 조성물
WO2016208823A1 (ko) 아미노글리코시드계 항생제 및 프로바이오틱스를 포함하는 아프타 구내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21010596A1 (ko) 산화 그래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20027467A1 (ko) 줄기세포 유래 엑소좀의 동결건조제제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조성물
KR20090001265A (ko) 주름개선용의 이데베논 및 이데베논을 포함하는 주름개선용화장료 조성물
WO2018056581A1 (ko) Tnfrsf14 억제 물질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tnfrsf14 억제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
KR20180124438A (ko) 아쿠아포린-3 발현촉진 및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는 올리고 히알루론산 함유 화장료 조성물
WO2020017760A1 (ko) 각질 박리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WO2022211587A1 (ko) 신규한 스핑고모나스 파우치모빌리스 균주 및 이의 용도
WO2019190010A1 (ko) 피부 주름 개선, 보습, 항산화 및 염증 완화 효과가 증가된 진피, 후박, 현호색, 아선약의 에탄올 추출 조성물
WO2023008768A1 (ko) 레코플라본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WO2024096553A1 (ko) 피부 개선용 복합체
WO2021162448A1 (ko) 수용성 카테킨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아토피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88716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0549520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8887162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00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