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4948B1 -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4948B1
KR100904948B1 KR1020020057148A KR20020057148A KR100904948B1 KR 100904948 B1 KR100904948 B1 KR 100904948B1 KR 1020020057148 A KR1020020057148 A KR 1020020057148A KR 20020057148 A KR20020057148 A KR 20020057148A KR 100904948 B1 KR100904948 B1 KR 1009049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skin
exfoliation
sea water
fibrous cellul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7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5267A (ko
Inventor
김송이
경기열
조완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20057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4948B1/ko
Publication of KR20040025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52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4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49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1Cellulose; Quaternized cellulose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65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inanimat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8Rubbing or scrubbing compositions; Peeling or abrasive compositions; Containing exfoli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2Microsized, i.e. having sizes between 0.1 and 100 micr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0Biologic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72Hypo-allergeni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양 심층수를 함유한 저자극성의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섬유상 셀룰로오스에 의한 물리적 각질 탈락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에 해양 심층수를 첨가하여 피부 자극 부작용을 현저하게 감소시킨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각질, 심층수, 셀루로오스, 피부자극

Description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Low irritating crnium care cosmetic composition}
본 발명은 해양 심층수를 함유한 저자극성의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섬유상 셀룰로오스에 의한 물리적 각질 탈락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에 해양 심층수를 첨가하여 피부 부작용을 현저하게 감소시킨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고운 피부를 갖고자 하는 것은 모든 여성들의 한결 같은 소망으로, 고운 피부라 함은 윤기 있고 맑은, 탄력 있는 피부를 말한다. 인간의 피부는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탄력과 윤기를 잃어가며 각질화가 되어 거칠어 지게 되는 일련의 과정을 거쳐 미세한 잔주름이 생기게 되고 결국은 피부 노화가 진행된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피부는 전신을 둘러싸며 외부로부터 여러 가지 자극 및 장해, 혹은 건조로부터 생체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부분으로 위에서부터 차례로 표피, 진피, 피하조직의 세 개 층으로 크게 나누어 지며 표피는 다시 각질층, 과립층, 유극층, 기저층으로 분류되는데 이 중 각질층은 표피의 맨 바깥층으로 화장품이 직접 접촉하는 곳이며 물리적, 화학적 저항성을 가지며 미용상 얼굴의 성질과도 관련이 매우 큰 부분이다. 표피세포의 분화 과정을 각화라고 하는데 각화 과정을 통하여 세포가 기저층, 유극층, 과립층, 각질층을 거쳐 최외층의 오래된 각질세포로 탈락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각질층에 도착한 세포들은 각질(keratin)이 되어 납작하게 죽은 세포들로서 하루에 수백만개의 죽은 각질 세포가 피부에서 떨어져 나가고 새 각질 세포로 교체된다. 납작하게 된 각질 세포는 마치 벽돌을 쌓아 놓은 듯 층층이 단단하게 연결되어 있어 각질층은 강하게 됨과 동시에 자유로운 움직임으로 설명되는 유연성을 획득하고, 방어벽으로서 기능을 나타내게 되는 것이다. 각질 세포는 차례차례로 계속해서 만들어지는 바, 최외층의 오래된 각질세포가 때로 이탈해가기 때문에 표피는 일정한 두께를 유지한다. 이렇게 통상적으로 새로운 세포층으로 바뀌어 가는 것을 Turnover 라고 하며, 부위나 나이에 따라 다르지만, 정상적인 피부에서 이 표피의 Turnover는 대략 4주일간이라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각화 과정이 순조롭지 못하면 비정상적인 각질 세포가 생성되고 피부 표면에 쌓여 각질층이 두꺼워지며 피부가 거칠어지고, 피부가 칙칙해져 화장을 잘 안 받게 한다든지 또는 생기 없어 보이게 하므로 여성들은 이러한 현상을 극복하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더불어 화장품 업체들은 피부의 칙칙함을 해소하고자 노폐 각질의 박리와 보습을 이용한 여러 가지 화장품을 출시하고 있다.
각질 제거의 방법으로는 물리적인 방법 및 생리적인 방법이 있으며 물리적 방법을 통한 각질 제거용 화장품으로 가장 대표적인 품목은 팩 제품이다. 팩은 일반적으로 타입에 따라 필 오프 팩과 워시 오프 팩으로 나눌 수 있으며, 필 오프 팩은 팩제를 얼굴에 바르고 일정기간이 경과하여 피막이 건조되면 떼어내는 형태를 말하며, 워시 오프 타입은 팩제를 얼굴에 바르고 난 후 물에 씻어내는 형태의 제품을 말한다. 각질 제거 효과는 강한 피막을 형성하여 각질을 뜯어내는 형태의 제품인 필 오프 타입의 팩이 훨씬 우수하나 피부 자극 등의 문제점이 있고 워시 오프 타입의 제품은 자극의 문제점은 없으나 각질제거 효과에 대한 소비자의 만족도가 매우 떨어진다. 이외에도 스크럽제 함유 제품(물리적으로 마찰하여 각질을 제거) 등이 있으나 뜯어내는 팩 제품에 비하여 자극도는 떨어지나 역시 피부 자극의 문제점이 있다.
해양 심층수는 대륙붕으로부터 충합에 심해의 해수를 말한다. 수심 200m이상의 물을 해양 심층수라고 부른다. 태양광이 도달하지 않는 수심 200m이상의 깊은 곳에 존재하여 유기물이나 병원균이 거의 없을 뿐만 아니라, 연중 안정된 저온을 유지하고 있으며, 해양 식물의 생장에 필수적인 영양 염류가 풍부하고 장기간 숙성된 해수 자원으로 최근 일본 등지에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해양 심층수에는 60여종의 미네랄 성분들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를 이용한 식품의 제조 방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된 바 있다(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2002-045598). 본 발명에 사용한 해양 심층수는 일본 북해도 라우스 오키 해역(오오츠크해와 북태평양의 경계) 심해의 심층수를 탈염 시켜 인체의 체액과 유사하게 가공한 것으로 피부에 관한 효과로는 아토피를 비롯한 피부 질환 및 피부 보수 기능 활성화 등의 효과가 알려져 있다.(Jadowa News,Vol.5,No.1,2001)
화장품은 의약품과는 달리 일상생활에서 매일 또는 장기간에 걸쳐 연용 하는 것이기 때문에 여러 가지 조건을 염두에 두고 사용상에 있어서 안전해야 하고 부작 용은 허용되지 않는다는 점을 고려할 때, 각질 박리 효과와 피부 자극적인 면에 있어서 서로 상반되는 효과를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연구를 거듭한 결과, 섬유상 셀룰로오스에 의한 물리적 각질 박리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에 해양 심층수를 첨가하여 피부 부작용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 표면의 각질을 자극 없이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화장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각질 제거 화장료는 물리적 자극에 의한 각질 박리 효과를 가지는 섬유상 셀룰로오스와 피부 자극 완화를 위한 해양 심층수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더욱 자세하게는 각질 박리 효과를 가지는 섬유상 셀룰로오스 섬유장의 길이가 평균 1마이크로미터 내지 500마이크로미터인 것으로 1-40 중량% 함유하고, 수심 200m이상에서 채취하여 탈염 처리한 해양 심층수를 0.005-50 중량% 함유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저자극성의 각질 박리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의 화장료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수상 보습제, 유상 오일, 유화제 및 점증제를 포함하고 있다. 수상 보습제의 예로는 부틸렌 글리콜, 글리세린, 글리세레스-26, 프로필렌글리콜, 트랜스큐톨 및 솔비톨 등이 있으며, 유상원료의 예로는 세틸옥타노에이트, 사이클로메티 콘, 유동 파라핀 등 화장료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상원료가 해당되나 꼭 위의 원료 만으로 한정한다고 볼 수는 없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추가로 통상의 향 및 방부제, 색소와 같은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제조예 및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조예 :해양 심층수의 탈염처리방법
본 발명에서 사용한 해양 심층수의 제조방법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본 북해도 라우스 오키 해역(오오츠크해와 북태평양의 경계) 심해의 수심 200m이상의 심층수를 채취하여(염분 농도 약 3.3%) 역삼투압 장치와 이온교환 장치를 통과하여 염분 농도가 인체의 체액과 유사한 0.9%로 탈염한다.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4
실시예 1 내지 3에서 섬유상 셀룰로오스와 제조예에 의해 가공처리한 해양 심층수를 함유하는 각질 제거 로션을 제조하여 비교예 1 내지 4의 로션과 비교하여 각질박리 효과를 측정하였다. 본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는 로션을 이용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것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효능 물질의 경우 유사한 비율로 젤, 마사지 등 다양한 화장품의 제형에 적용이 가능하다.
하기 표 1의 조성에 따라 유상 및 수상을 각각 70도 내지 80도에서 제조한 후 혼합하고, 50도 이하에서 냉각시킨 후 향 및 첨가제를 혼합한 후 28도까지 냉각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내지 3은 상기 해양 심층수와 섬유상 셀룰로오스를 포함하며, 비교예 1 내지 3은 섬유상 셀룰로오스만을 비교예 4는 효능물질을 전혀 넣지 않고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4의 조성
구 분 원 료 명 함 량 (중량부)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수상 정제수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카보머 에탄올 섬유상셀룰로오스 해양 심층수 To100 2.0 5.0 0.2 10.0 2.0 0.1 To100 2.0 5.0 0.2 10.0 10.0 1.0 To100 2.0 5.0 0.2 10.0 20.0 5.0 To100 2.0 5.0 0.2 10.0 2.0 - To100 2.0 5.0 0.2 10.0 10.0 - To100 2.0 5.0 0.2 10.0 20.0 - To100 2.0 5.0 0.2 10.0 - -
유상 세틸옥타노에이트 사이클로메티콘 유동파라핀 폴리솔베이트 60 솔비탄스테아레이트 4.0 3.0 4.0 5.0 3.0 4.0 3.0 4.0 5.0 3.0 4.0 3.0 4.0 5.0 3.0 4.0 3.0 4.0 5.0 3.0 4.0 3.0 4.0 5.0 3.0 4.0 3.0 4.0 5.0 3.0 4.0 3.0 4.0 5.0 3.0
첨가제 향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각질 박리 효과 측정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4의 시료에 대한 각질박리 효과를 측정하였다. 먼저 각 그룹 당 10명의 20-30대 건강한 피시험자의 팔 상부 안쪽에 DHA(dihydroxy acetone) 10%용액을 약 7시간 동안 폐쇄 첩포 하여 갈색으로 착색시킨다. 24시간 후부터 상기 실시예 1-3, 비교예 1-4의 제품을 착색된 부위에 1일 1회씩 사용하게 한 후 15일간 탈색 정도를Colorimeter로 측정하여 각질 박리 정도를 평가하였다. 15일간 매일 Colorimeter로 탈색정도를 측정하여 시료 적용에 따른 Turnover day(갈색으로 착색된 피부가 각질 박리에 의해 원래 상태로 돌아오는 데 걸리는 시간을 외삽)를 측정하여 각 시료의 각질 박리 정도를 비교하였다.
그룹 1 : 실시예 1의 시료를 사용
그룹 2 : 실시예 2의 시료를 사용
그룹 3 : 실시예 3의 시료를 사용
그룹 4 : 비교예 1의 시료를 사용
그룹 5 : 비교예 2의 시료를 사용
그룹 6: 비교예 3의 시료를 사용
그룹 7: 비교예 4의 시료를 사용
시료 적용에 따른 Turn over day 측정
그룹 1 그룹 2 그룹 3 그룹 4 그룹 5 그룹 6 그룹 7
Turnover day(일) 19.3 17.9 14.9 19.9 17.5 15.3 28.5
표 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해양 심층수와 섬유상 셀룰로오즈을 함유하는 실시예 1 내지 3을 매일 1회 사용한 그룹 1 내지 3과, 섬유상 셀룰로오즈 만을 함유한 비교예 1 내지 3을 매일 1회 사용한 그룹 4 내지6, 효능 물질을 전혀 함유하지 않은 비교예 4를 매일 1회 사용한 그룹 7의 각질 박리 효과를 측정하였다. 해양 심층수와 섬유상 셀룰로오즈를 모두 함유한 실시예 1 내지 3를 함유한 제품을 사용한 그룹 1 내지 3의 결과와 셀룰로오즈 만을 함유한 실시예 4 내지 6을 함유한 제품을 사용한 그룹 4 내지 6의 결과를 비교시 Turnover day가 셀룰로오즈 함량에 따른 각질 박리 효과가 유사한 경향으로 증가함을 보여 해양 심층수를 첨가함으로 인한 각질 박리 효과의 감소는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나 섬유상 셀룰로오즈만을 비교적 높은 함량 포함하는 비교예 3을 사용한 그룹 6의 시험자 중 시험부위의 홍반 내지는 따끔거림 등을 호소하는 경우가 다소 있어 각질 박리 효과는 우수하나 자극의 문제가 있음이 다시 증명되었다.
실험예 2
해양 심층수와 섬유상 셀룰로오즈를 함유한 각질 박리 화장료의 자극도 및 각질 박리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실험하였다. 각질로 인한 고민을 갖고 있는 10명의 여성 피시험자들 대상으로 사용 직후 느껴지는 각질 박리 효과와 자극도에 대한 관능검사를 5점 척도를 기준으로 평가한 결과는 다음의 표 2와 같다.
단 5점 척도로 평가시 만족도가 높은 경우(각질 박리 효과 우수, 자극 없음) 5점, 만족도가 낮은 경우(각질 박리 효과 없음, 자극 강함)를 1점으로 하여 평가하도록 하였다.
소비자 관능검사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각질박리 효과 3.2 3.9 4.5 3.3 3.5 4.2 1.9
자극도 4.2 3.9 3.7 3.7 3.2 2.5 4.8
위의 결과에서 해양 심층수와 섬유상 셀룰로오즈를 함유한 실시예 1 내지 3과 비교예 1 내지 3의 관능에 의한 각질 박리 효과는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나, 자극도에 있어서는 해양 심층수를 함유한 실시예 1 내지 3의 경우가 비교예 1 내지 3에 비교하여 월등히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섬유상 셀룰로오스의 함량이 비교적 높아 각질 박리 효과가 우수하나 자극도 역시 가장 높은 비교예 3의 경우와 해양 심층수를 첨가한 실시예 3의 경우를 비교해 볼 때 실시예 3의 경우 자극도가 현저히 낮아 해양심층수가 물리적 각질 박리에 의한 자극을 낮추어 주는 효과가 있 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효과 물질을 적용하지 않은 비교예 4의 경우 각질 박리 효과도 없는 반면 자극도도 낮아 비교예의 시료를 사용시 느껴지는 자극감은 셀룰로오즈에 의한 물리적 자극으로 인해 각질이 제거된 후 느껴지는 자극감이 확실함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섬유상 셀룰로오스를 이용한 각질 박리용 화장료 조성물에 해양 심층수를 적용시 각질 박리 효과는 유지하면서 문제점인 피부 자극은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해양 심층수를 함유한 저자극성의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섬유상 셀룰로오스에 의한 물리적 각질 탈락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에 해양 심층수를 첨가함으로써 피부 부작용을 현저하게 감소시킬수 있다.

Claims (3)

  1. 염분농도를 체액과 동등하게 가공 처리한 해양 심층수 0.1-50 중량%, 섬유상 셀룰로오즈 1.0-40.0 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해양 심층수는 수심 200m이상에서 채취하여 탈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섬유상 셀룰로오스는 섬유장의 길이가 평균 1마이크로미터 내지 500마이크로미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20057148A 2002-09-19 2002-09-19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049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7148A KR100904948B1 (ko) 2002-09-19 2002-09-19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7148A KR100904948B1 (ko) 2002-09-19 2002-09-19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5267A KR20040025267A (ko) 2004-03-24
KR100904948B1 true KR100904948B1 (ko) 2009-06-29

Family

ID=37328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7148A KR100904948B1 (ko) 2002-09-19 2002-09-19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49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212913A1 (en) * 2017-12-04 2021-07-15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Cosmetic composition for promoting skin exfoli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3596A (ko) * 2002-11-19 2004-05-24 이경식 셀룰로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각질 조성물
KR101506296B1 (ko) * 2013-06-20 2015-03-27 전라남도 배석세포를 포함하는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6809A (ja) * 1989-09-19 1991-05-07 Asahi Chem Ind Co Ltd セルローススクラブ材料
KR920009968A (ko) * 1990-11-12 1992-06-26 최근선 고흡수성 수지가 함유된 스크럽 화장비누 조성물
JP2001072526A (ja) * 1999-09-07 2001-03-21 Kochi Prefecture 海洋深層水乾燥物及び/又は海洋深層水由来ミネラルを配合した化粧料
JP2001122766A (ja) * 1999-10-22 2001-05-08 Rengo Co Ltd スクラブ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6809A (ja) * 1989-09-19 1991-05-07 Asahi Chem Ind Co Ltd セルローススクラブ材料
KR920009968A (ko) * 1990-11-12 1992-06-26 최근선 고흡수성 수지가 함유된 스크럽 화장비누 조성물
JP2001072526A (ja) * 1999-09-07 2001-03-21 Kochi Prefecture 海洋深層水乾燥物及び/又は海洋深層水由来ミネラルを配合した化粧料
JP2001122766A (ja) * 1999-10-22 2001-05-08 Rengo Co Ltd スクラブ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212913A1 (en) * 2017-12-04 2021-07-15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Cosmetic composition for promoting skin exfoli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5267A (ko) 2004-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8359B1 (ko) 다목적 화장품 조성물
KR20080025036A (ko) 피부 미백 조성물
CN109350591B (zh) 一种美颜干面膜及其制备方法
KR101839013B1 (ko) 모자반 추출물, 청각 추출물 및 참미역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8434021B (zh) 一种具有润肤防裂功效的驼峰脂护手霜及其制备方法
CN113081934A (zh) 一种富勒烯焕活精萃精华露
JPS61271205A (ja) 皮膚化粧料
KR101189991B1 (ko) 백련초 추출물, 자작나무 수액, 엑스트라 버진 올리브 오일및 폴리올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US20070031367A1 (en) Composition and method for neck skin firming
KR100904948B1 (ko)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CN107213062B (zh) 一种皙透亮白洁面乳及其制备方法
KR100795877B1 (ko) 꿀 추출물 및 호박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조성물
CN111297780A (zh) 一种备长炭净透水润面膜
KR101605324B1 (ko) 각질 제거 및 수분량 증가를 통한 건조 및 가려움 완화 효과를 가지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59947B1 (ko) 보습 복합물을 함유한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CN112587431A (zh) 一种红糖磨砂膏及其制备方法
KR101901859B1 (ko) 모자반 추출물, 청각 추출물 및 참미역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2137927A (zh) 高渗透、重现光感初生肌的纤连蛋白精华乳及其制备方法
KR100611884B1 (ko) 모공 축소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RU2210359C1 (ru) Косметическое средство
KR100836037B1 (ko) 꿀 제형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CN111714392A (zh) 具有亮丽肌肤功效的化妆品精华液及其制备方法
KR101007607B1 (ko)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JP2553474B2 (ja) 皮膚化粧料
WO2013092872A2 (en) Cosmetic processes with glucosamine-based hydroge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