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7607B1 -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7607B1
KR101007607B1 KR1020040012349A KR20040012349A KR101007607B1 KR 101007607 B1 KR101007607 B1 KR 101007607B1 KR 1020040012349 A KR1020040012349 A KR 1020040012349A KR 20040012349 A KR20040012349 A KR 20040012349A KR 101007607 B1 KR101007607 B1 KR 1010076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loride
cosmetic composition
skin
exfoliation
quaternary ammon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2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6028A (ko
Inventor
김송이
경기열
윤명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40012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7607B1/ko
Publication of KR20050086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60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7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76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02Embossing machines
    • A21C11/08Embossing machines with engraved moulds, e.g. rotary machines with die roll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22Apparatus with rollers and cutting discs or blades for shaping nood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칙칙함의 원인이 되는 피부 표면의 불필요한 각질을 자극 없이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염화알킬트리메틸암모늄, 염화디알킬디메틸암모늄, 염화트리알킬메틸암모늄 및 염화벤잘코늄의 제4급 암모늄염의 양이온 계면활성제의 1종 이상을 조성물 전체의 0.05∼1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각질 박리용 화장료 조성물은 각질 박리 효과가 우수한 동시에, 피부 자극감이나 안전성 등의 문제가 없는 저자극성이다.
각질 제거, 화장료, 제4급 암모늄염의 양이온 계면활성제, 폴리아크릴산.

Description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SKIN PEELING COSMETIC COMPOSITION}
본 발명은 피부 칙칙함의 원인이 되는 피부 표면의 불필요한 각질을 자극 없이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고운 피부를 갖고자 하는 것은 모든 여성들의 한결 같은 소망으로, 고운 피부라 함은 윤기가 있고 맑으며 탄력 있는 피부를 말한다. 인간의 피부는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탄력과 윤기를 잃어가며 각질화되어 거칠어지는 일련의 과정을 거쳐 미세한 잔주름이 생기게 되고 결국은 피부 노화가 진행된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피부는 전신을 둘러싸며 외부로부터 여러 가지 자극 및 장해, 혹은 건조로부터 생체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부분으로, 밖으로부터 차례로 표피, 진피 및 피하조직의 세 개 층으로 크게 나누어진다. 표피는 다시 각질층, 과립층, 유극층 및 기저층으로 분류되는데, 이 중 각질층은 표피의 맨 바깥층으로 화장품이 직접 접촉하는 곳이며 물리적, 화학적 저항성을 갖고 미용상 얼굴의 성질과도 관련이 매우 큰 부분이다.
표피 세포의 분화 과정을 각화라고 하는데 각화 과정을 통해 세포가 기저층, 유극층, 과립층 및 각질층을 거쳐 최외층의 오래된 각질 세포로 탈락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각질층에 도착한 세포들은 각질(keratin)이 되어 납작하게 죽은 세포들로서 하루에 수백만 개의 죽은 각질 세포가 피부에서 떨어져 나가고 새 각질 세포로 교체된다. 납작하게 된 각질 세포는 마치 벽돌을 쌓아 놓은 듯 층층이 단단하게 연결되어 있어 각질층을 강하게 만드는 동시에, 자유로운 움직임으로 설명되는 유연성을 획득하고 방어벽으로서 기능을 나타내는 것이다. 각질 세포는 차례차례로 계속해서 만들어지고, 최외층의 오래된 각질세포가 때로 이탈해가기 때문에 표피는 일정한 두께를 유지한다. 이렇게 통상적으로 새로운 세포층으로 바뀌어 가는 것을 턴오버(turnover)라고 하며, 부위나 나이에 따라 다르지만 정상적인 피부에서 이 표피의 turnover는 대략 4 주일간이라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각화 과정이 순조롭지 못하면 비정상적인 각질 세포가 생성되고 피부 표면에 쌓여 각질층이 두꺼워지고 피부가 거칠어지며, 피부가 칙칙해져 화장을 잘 안 받게 한다든지 또는 생기 없어 보이게 한다. 따라서, 여성들은 이러한 현상을 극복하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더불어 화장품 업체들은 피부의 칙칙함을 해소하고자 노폐 각질의 박리와 보습을 이용한 여러 가지 화장품을 출시하고 있다.
각질 제거의 방법으로는 물리적인 방법과 생리적인 방법이 있는데, 물리적인 방법을 통한 각질 제거용 화장품으로 가장 대표적인 품목은 팩 제품이다. 팩은 일반적으로 타입에 따라 필 오프(peel off) 팩과 워시 오프(wash off) 팩으로 나눌 수 있다. 필 오프 타입은 팩제를 얼굴에 바르고 일정 기간이 경과하여 피막이 건조되면 떼어내는 형태를 말하며, 워시 오프 타입은 팩제를 얼굴에 바르고 난 후 물에 씻어내는 형태의 제품을 말한다. 각질 제거 효과는 강한 피막을 형성하여 각질을 뜯어내는 형태의 제품인 필 오프 타입의 팩이 훨씬 우수하지만 피부 자극 등의 문제점이 있고, 워시 오프 타입의 제품은 자극의 문제점은 없으나 각질 제거 효과에 대한 소비자의 만족도가 매우 떨어진다. 이외에도 물리적인 마찰로 각질을 제거하도록 하는 스크럽제 함유 제품 등이 있는데, 이들은 뜯어내는 팩 제품에 비하여 자극도는 떨어지지만 역시 피부 자극의 문제점이 있다.
화장품은 의약품과는 달리 일상 생활에서 매일 또는 장기간에 걸쳐 연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여러 가지 조건을 염두에 두어 사용상 안전해야 하고 부작용은 허용되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각질 박리 효과와 자극성이라는 점에서 서로 상반되는 효과를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연구를 거듭한 결과, 일반적으로 점증 및 유화 안정성을 위해 사용되는 원료인 폴리아크릴산과 제4급 암모늄염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각질 박리 효과가 우수한 피부 화장료를 얻을 수 있었으며, 본 발명의 완성에 이르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의 칙칙함의 원인이 되는 불필요한 각질 세포를 유효하게 제거하는 동시에, 피부 자극감이나 안전성 등의 문제가 없는 각질 제거용 피부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1종 이상의 제4급 암모늄염의 양이온 계면활성제를 조성물 전체의 0.05∼1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각질 제거용 피부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제4급 암모늄염 양이온 계면활성제는 염화알킬트리메틸암모늄 (alkyl trimethyl ammonium chloride, (RN+(CH3)3)Cl-, R은 탄소수 16∼22의 알킬), 염화디알킬디메틸암모늄(dialkyl dimethyl ammonium chloride, (R1R2N+(CH 3)2)Cl-,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6∼22의 알킬), 염화트리알킬메틸암모늄(trialkyl ammonium chloride, (R1R2R3N+(CH3))Cl-, R1, R2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6∼22의 알킬) 및 염화벤잘코늄(benzalconium chloride, C6H5CH2RN+ (CH3)2Cl-, R은 탄소수 16∼22의 알킬)의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이들 제4급 암모늄염 양이온 계면활성제는 조성물 전체의 0.1∼5.0 중량%인 것이 피부에 대한 각질 제거 효과, 자극 등의 안전성 등을 고려할 때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각질 제거용 피부 화장료 조성물은 아크릴산 구조를 갖는 수용성 고분자를 조성물 전체의 0.01∼10 중량%로 더욱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4급 암모늄염 양이온 계면활성제에 대한 고분자의 중량비는 0.01∼50인 것이 각질 제거 효과와 투명감이라는 면에서 바람직하고, 0.1∼2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0.1∼10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각질 제거용 피부 화장료 조성물은 제4급 암모늄염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폴리아크릴산(일반적으로 카보머 라고 알려져 있는 것으로 수용성 고분자를 의미한다)을 더욱 포함하며, 통상의 젤 제조 방법에 따라 반투명 또는 투명의 젤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저자극의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의 화장료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수상 보습제, 유상 오일, 유화제 및 점증제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여기에서, 수상 보습제의 예로는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글리세레스-26, 프로필렌글리콜, 트랜스큐톨 및 솔비톨 등을 들 수 있으며, 유상 오일의 예로는 디메티콘, 사이클로메티콘, 유동 파라핀 등 화장료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상 원료를 들 수 있으나,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밖에,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추가로 통상의 향 및 방부제, 색소와 같은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및 2
폴리아크릴산과 제4급 암모늄염 양이온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실시예 1 내지 5의 각질 제거용 젤과, 비교예 1 및 2의 젤을 비교하여 각질 박리 효과를 측정하였다.
하기 표 1의 처방에 따라 상온에서 유상 및 수상 원료들을 혼합하고, 향과 첨가제를 가한 후 탈포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젤 제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내지 5에서는 폴리아크릴산과 제4급 암모늄염 양이온 계면활성제인 디세틸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세트리모늄 클로라이드 및 베헨트리모늄 클로라이드 중에서 1종 내지 2종을 첨가하여 제조하였으며, 비교예 1은 폴리아크릴산만을, 그리고 비교예 2는 폴리아크릴산과 적정 함량에 미달하는 양이온 계면활성제(디세틸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0.01%)만을 넣고 제조하였다.
구분 원료명 함량(중량부)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비교예1 비교예2
수상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카보머
에탄올
정제수를 가하여
2.0
5.0
5.0
10.0
100으로
0
2.0
5.0
0.5
10으로
0
2.0
5.0
0.1
10으로
2.0
5.0
1.0
10.0
100으로
2.0
5.0
1.0
10.0
100으로
0
2.0
5.0
5.0
10으로
2.0
5.0
5.0
10.0
10으로
유상 세틸옥타노이드
사이클로메티콘
디메티콘
디세틸디메틸
암모늄클로라이드
세트리모늄
클로라이드
베헨트리모늄
클로라이드
0.5
1.0
1.0
0.5

-

-
0.5
1.0
1.0
-

3.0

-
0.5
1.0
1.0
-

-

2.0
0.5
1.0
1.0
0.1

0.5

-
0.5
1.0
1.0
-

0.5

1.0
0.5
1.0
1.0
-

-

-
0.5
1.0
1.0
0.01

-

-
첨가제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효과실험예: 각질 박리 효과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및 2에 따라 제조한 조성물에 대한 각질 박리 효과를 측정하였다. 먼저, 각 그룹 당 10명의 20∼30대 건강한 피시험자의 팔 상부 안쪽에 DHA(dihydroxy acetone) 10% 용액을 약 7시간 동안 폐쇄 첩포하여 갈색으로 착색시켰다. 24시간 후부터 상기 실시예 1 내지 5와 비교예 1 및 2의 조성물을 착색된 부위에 1일 1회씩 사용하게 한 후 15일 간의 탈색 정도를 색도계 (colorimeter)로 측정하여 각질 박리 정도를 평가하였다. 즉, 15일 간 매일 색도계 로 탈색 정도를 측정하여 시료 적용에 따른 Turnover day(갈색으로 착색된 피부가 각질 박리에 의해 원래 상태로 돌아오는 데 걸리는 시간을 외삽)를 계산하여 각 시료의 각질 박리 정도를 비교하였다.
그룹 1 내지 5는 각각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의 시료를 사용하였고, 그룹 6은 비교예 1의 시료를, 그리고 그룹 7은 비교예 2의 시료를 사용하였다.
그룹 1 그룹 2 그룹 3 그룹 4 그룹 5 그룹 6 그룹 7
Turnover day 18.2 19.9 19.2 17.3 17.8 28.3 24.5
위 표 2에서 보듯이, 적정량의 폴리아크릴산과 제4급 암모늄염 양이온 계면활성제를 1종 내지 2종 함유하는 실시예 1 내지 5에 따른 조성물을 매일 1회 사용한 그룹 1 내지 5와, 폴리아크릴산만을 함유한 비교예 1에 따른 조성물을 매일 1회 사용함 그룹 6, 그리고 폴리아크릴산과 함께 적정 함량 미달의 제4급 암모늄염 양이온 계면활성제를 함유한 비교예 2에 따른 조성물을 매일 1회 사용한 그룹 7에서 각질 박리 효과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폴리아크릴산과 함께 1종의 제4급 암모늄염 양이온 계면활성제을 함유한 실시예 1 내지 3에 따른 조성물을 사용한 그룹 1 내지 3의 결과와, 2종의 제4급 암모늄염 양이온 계면활성제를 함유한 실시예 4 내지 5에 따른 조성물을 사용한 그룹 4 및 5에서는 모두 각질 박리 효과가 증진된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특히 2종의 계면활성제를 같이 사용한 경우 각질 박리 효과가 더 증진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제4급 암모늄염 양이온 계면활성제를 함유하지 않는 비교예 1에 따른 조성물을 사용한 그룹 6에서는 각질 박리 효과가 전혀 관찰되지 않았으며, 적정량 미달의 제4급 암모늄염 양이온 계면활성제를 함유한 비 교예 2에 따른 조성물을 사용한 그룹 7에서는 어느 정도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사료되지만, 그 효과가 매우 미미한 것으로 나왔다.
실험예 2
폴리아크릴산 및 1종 또는 2종의 제4급 암모늄염 양이온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각질 박리용 화장료 조성물의 자극도 및 각질 박리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실험하였다. 먼저, 각질로 인한 고민을 갖고 있는 10명의 여성 피시험자들 대상으로 사용 직후 느껴지는 각질 박리 효과와 자극도에 대한 관능 검사를 5점 척도를 기준으로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 표 3에 나타낸다.
여기에서, 5점 척도로 평가시 만족도가 높은 경우(각질 박리 효과 우수, 자극 없음)는 5점, 만족도가 낮은 경우(각질 박리 효과 없음, 자극 강함)를 1점으로 하여 평가하도록 하였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비교예1 비교예2
각질박리효과 4.2 3.9 4.1 4.5 4.3 1.8 2.5
자극도 4.2 4.5 3.9 3.4 3.2 4.5 4.2
위 표 3에서 보듯이, 폴리아크릴산 및 1종 또는 2종의 제4급 암모늄염 양이온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실시예 1 내지 5에 따른 조성물의 관능에 의한 각질 박리 효과는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며 자극감도 낮아 소비자 만족도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자극도에 있어서는, 2종의 계면활성제를 사용한 경우가 1종의 계면활성제만을 사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좀더 자극적인 것을 알 수 있었으나, 두 경우 모두 양호한 수준인 것으로 판단된다. 폴리아크릴산만을 사용한 비교예 1과, 폴리아크릴 산과 함께 적정 함량 미달의 제4급 암모늄염 양이온 계면활성제를 함유한 비교예 2에 따른 조성물의 경우 자극감은 매우 낮으나 각질 박리 효과 역시 낮아 각질 박리용 화장료로서는 적절치 않은 수준으로 판단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1 종 이상의 제4급 암모늄염 양이온 계면활성제를 폴리아크릴산과 함께 함유하는 본 발명에 따른 각질 박리용 화장료 조성물은 각질 박리 효과가 우수한 동시에, 피부 자극감이나 안전성 등의 문제가 없는 저자극성임을 알 수 있다.

Claims (4)

  1. 다음 제4급 암모늄염의 양이온 계면활성제의 1종 이상을 조성물 전체의 0.05∼1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질 제거용 피부 화장료 조성물:
    염화알킬트리메틸암모늄(alkyl trimethyl ammonium chloride, (RN+(CH3)3)Cl -, R은 탄소수 16∼22의 알킬);
    염화디알킬디메틸암모늄(dialkyl dimethyl ammonium chloride, (R1R2N+(CH3)2)Cl-,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6∼22의 알킬);
    염화트리알킬메틸암모늄(trialkyl ammonium chloride, (R1R2R3N+(CH 3))Cl-, R1, R2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6∼22의 알킬); 및
    염화벤잘코늄(benzalconium chloride, C6H5CH2RN+(CH3 )2Cl-, R은 탄소수 16∼22의 알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4급 암모늄염의 양이온 계면활성제를 조성물 전체의 0.1∼5.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아크릴산 구조를 갖는 수용성 고분자를 조성물 전체의 0.01∼10 중량%로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4급 암모늄염의 양이온 계면활성제에 대한 상기 고분자의 중량비가 0.01 내지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040012349A 2004-02-24 2004-02-24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076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2349A KR101007607B1 (ko) 2004-02-24 2004-02-24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2349A KR101007607B1 (ko) 2004-02-24 2004-02-24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6028A KR20050086028A (ko) 2005-08-30
KR101007607B1 true KR101007607B1 (ko) 2011-01-12

Family

ID=37269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2349A KR101007607B1 (ko) 2004-02-24 2004-02-24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76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9100B1 (ko) * 2007-03-22 2008-07-30 한국콜마 주식회사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279159B1 (ko) 2015-01-05 2021-07-1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각질제거용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5848A (ja) 1996-10-18 1998-06-30 Shiseido Co Ltd 粉末状皮膚洗浄料
KR100460949B1 (ko) 2001-12-11 2004-12-09 주식회사 태평양 에어로졸 타입의 클렌징 폼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5848A (ja) 1996-10-18 1998-06-30 Shiseido Co Ltd 粉末状皮膚洗浄料
KR100460949B1 (ko) 2001-12-11 2004-12-09 주식회사 태평양 에어로졸 타입의 클렌징 폼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6028A (ko) 2005-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24504B1 (en) Composition and method for reducing wrinkles
KR20180081814A (ko) 적어도 2종의 (폴리)글리세롤의 지방산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화장품에서의 용도
KR20150095607A (ko) 수중유형 유화조성물
EP0197358B1 (en) Topical use of 3-phenylacetylamino-2,6-piperidinedione for treatment of skin wrinkles and hyperpigmentation
JPS61271205A (ja) 皮膚化粧料
KR20160131387A (ko) 피부관리용 화장품 조성물
KR101986513B1 (ko) 토코페릴아세테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입술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US20030095991A1 (en) Treatment for skin
Akhtar et al. Formulation and in-vivo evaluation of a cosmetic multiple emulsion containing vitamin C and wheat protein
KR20190105383A (ko) 자가발포 기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07607B1 (ko)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05324B1 (ko) 각질 제거 및 수분량 증가를 통한 건조 및 가려움 완화 효과를 가지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72483B1 (ko) 각질제거효과와 보습효과를 동시에 갖는 화장료 조성물
JPS62209010A (ja) 化粧料
KR101690144B1 (ko) 한천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피부 각질형성 세포 분화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KR101288498B1 (ko) 보습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100532698B1 (ko) 미네랄복합체를 함유하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
JP7343885B2 (ja) 皮膚化粧料
KR100611884B1 (ko) 모공 축소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100904948B1 (ko)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01148B1 (ko) 피부장벽 손상 회복 및 피부 세포 재생 효과가 우수한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0172664B1 (ko) 세안용 화장료조성물
KR20180064075A (ko) 피부보습용 멀티밤 화장료 조성물
KR20230058762A (ko) 피부 보습 및 미백 기능을 갖는 마이크로 니들 화장료 조성물
KR101014652B1 (ko)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