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5607A - 수중유형 유화조성물 - Google Patents

수중유형 유화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5607A
KR20150095607A KR1020157004368A KR20157004368A KR20150095607A KR 20150095607 A KR20150095607 A KR 20150095607A KR 1020157004368 A KR1020157004368 A KR 1020157004368A KR 20157004368 A KR20157004368 A KR 20157004368A KR 20150095607 A KR20150095607 A KR 201500956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effect
skin
oi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4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3485B1 (ko
Inventor
다카유키 오무라
다이스케 스즈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ublication of KR20150095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56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34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34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8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with carboxyl groups directly bound to carbon atoms of aromat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5Mucopolysaccharides, e.g.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e.g. (meth)acrylic acid ester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mides or imides, e.g. (meth) acrylamide;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6Poly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보습효과 및 피부를 매끄럽게 하는 효과가 높고, 주름의 개선 및 탄력개선효과가 우수하며, 도포시의 발림성이 양호하고, 오일감과 끈적거림이 없는 수중유형 유화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a) 히알루론산 또는 그 염,
(b)(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르산암모늄/베헤네스-25 메타크릴산)크로스폴리머,
(c) 포수성 유분,
(d) 글리세린,
(e) 에탄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유화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수중유형 유화조성물{OIL-IN-WATER EMULSION COMPOSITION}
본 발명은 수중유형 유화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주름의 형성이나 피부의 탄력감의 상실은 많은 여성이 가장 신경쓰는 피부노화의 지표이다. 그러한 이유로 주름에 대한 개선효과나 탄력감의 개선효과가 우수한 화장료의 개발이 절실히 요망되고 있다.
주름 중, 눈가나 입주위에 생기는 잔주름에 대해서는 피부의 건조가 원인이 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고, 잔주름의 정도는 각질 수분량과 관계 있다는 것이 인간에 있어서 보고되어 있다(비특허문헌 1). 그 때문에, 많은 화장료에는 주름의 예방이나 개선효과를 기대하여, 많은 종류의 다양한 보습제가 배합되어 있다. 대표적인 보습제로서, 글리세린, 1,3-부티렌글리콜, 자일리톨, 소르비톨,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글리세린(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 부가물 등의 폴리올이나 폴리에테르류를 들 수 있지만, 이들 화합물만으로는 주름의 예방이나 개선효과를 얻기 어렵고, 또한 다량으로 배합하면 끈적거림을 발생시킨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히알루론산, 뮤코이틴 황산, 카로닌산(charonic acid), 콘트로이틴 황산, 가용성 콜라겐 등의 고분자 화합물도 보습제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피막감에 의한 당김감을 발생시키기 쉽고, 또한 폴리올류보다 끈적거리는 경향이 있었다.
한편, 탄력감에 대해서는 지금까지는 폴리비닐알콜, 아르긴산나트륨, 뮤코 다당이나 콜라겐, 난각 단백질(eggshell protein), 및 이의 분해물, 아크릴계 수지 등의 피막형성성분이나, 구형상의 기타 분말, 가교형 메틸폴리실록산 등을 배합함으로써 개선이 시도되어 왔다(특허문헌 1 및 2). 그러나, 이들 성분을 탄력개선효과가 느껴지는 양으로 배합하면, 도포시의 발림성(spreadability)이 나빠지고, 또한 끈적거림을 발생시키는 것이 알려져 있었다.
이와 같이, 주름이나 탄력감의 개선을 기대하여 상기 보습제 및/또는 피막형성성분 등을 고배합하면, 수중유형 유화조성물이어도 촉촉함이 손상되고, 오일감이나 끈적거림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끈적거림을 해소하기 위해 에탄올을 고배합하면, 유화입자의 안정성이 저하되고, 또한 피부에 대한 자극성도 생기므로, 충분한 양을 배합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보습효과가 충분히 높고 주름개선효과가 인정되며, 피부의 탄력을 개선하는 효과가 우수하고, 도포시의 발림성이 좋고, 오일감이나 끈적거림감이 없는 화장료의 제작이 요구되고 있었다.
일본 공개특허 평5-933호 공보 일본 공개특허 평9-315936호 공보 일본 공개특허 평6-40886호 공보 일본 공개특허 2009-67728호 공보 일본 공개특허 2012-20980호 공보
이모카와 겐지 등, 프레그런스저널, 1992년, 제11권, 제29~42페이지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보습효과 및 피부를 매끄럽게 하는 효과가 높고, 주름의 개선 및 탄력의 개선효과가 우수하며, 도포시의 발림성이 좋고, 오일감과 끈적거림이 없는 수중유형 유화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으로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이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증점제로서 알려진(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르산암모늄/베헤네스-25 메타크릴산)크로스폴리머가 피부를 매끄럽게 하는 효과가 매우 우수한 것을 발견했다. 그리고, 상기 폴리머에 추가하여 또한 히알루론산(염)과 포수성 유분(water-holding oil)을 함께 배합함으로써, 글리세린의 배합량이 적고 에탄올의 배합량이 많아도, 오일감과 끈적거림이 없고, 도포시의 발림성이 좋으며, 도포후에 피부를 촉촉하고 또한 매끄럽게 하는 효과가 우수하며, 주름과 탄력의 개선효과가 우수한 수중유형 유화화장료가 얻어지는 것을 알게 되어 있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에 의해 (a) 히알루론산 또는 그 염, (b) (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르산암모늄/베헤네스-25 메타크릴산)크로스폴리머, (c) 포수성 유분, (d) 글리세린, 및 (e) 에탄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유화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관한 수중유형 유화조성물에는, 또한 알콕시살리실산 및 그 염, 4-알킬레조르시놀 및 그 염, 및 4-알킬레조르시놀 유도체 및 그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습효과 및 피부를 매끄럽게 하는 효과가 매우 높고, 주름 및 탄력의 개선효과가 우수하며, 도포시의 발림성이 좋고, 오일감과 끈적거림이 없는 수중유형 유화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미백제를 배합함으로써, 상기 효과에 추가하여 미백효과도 우수한 수중유형 유화화장료를 제작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 조성물의 도포에 의한 각질 수분량의 경시(輕時)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원 조성물을 도포한 부위(팔)에서는, 각질의 수분유지능력이 장시간에 걸쳐 대폭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2는 큐토미터(cutometer)를 사용한 측정에 의해 얻어지는 피부변위량 (skin deformation)-가압시간 곡선과 각 파라미터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관한 수중유형 유화조성물의 구성성분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기재에서의 POE, PEG는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약칭이고, 상기 약칭의 뒤의 괄호내의 숫자는 각각의 부가몰수를 나타낸다.
(a) 히알루론산 또는 그 염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a)히알루론산은 통상 화장료에 사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조류의 볏(cockscomb) 등의 동물 조직으로부터 단리 추출한 것, 및 미생물을 사용한 발효법에 의해 얻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바이오히알로9(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사제), 히알루론산(가부시키가이샤 기분푸드케미파사제) 등과 같은 시판의 히알루론산을 사용해도 좋다. 그리고, 히알루론산염으로서는 히알루론산 나트륨, 히알루론산 칼륨 등의 히알루론산 금속염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히알루론산의 히드록실기, 카르복실기 등을 에테르화, 에스테르화, 아미드화, 아세탈화, 케탈화시켜 얻어지는 히알루론산 유도체 등을 사용해도 좋다.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히알루론산 또는 그 염의 분자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분자량 10만 이상이 바람직하고, 분자량 50만~300만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a)히알루론산 또는 그 염의 바람직한 배합량은, 조성물 중에 0.3~0.7 질량%이다.
(b) (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르산암모늄/베헤네스-25 메타크릴산)크로스폴리머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b)(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르산암모늄/베헤네스-25 메타크릴산)크로스폴리머로서는, 아리스토플렉스 HMB(Aristoflex HMB, 클라리언트재팬사제) 등의 시판품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b)(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르산암모늄/베헤네스-25 메타크릴산)크로스폴리머의 바람직한 배합량은, 조성물 중에 0.3~0.7 질량%이다.
(c) 포수성 유분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포수성 유분이라는 것은, 이하의 포수성 시험 방법을 실시하여, 수학식 1에 의해 계산되는 포수율 50% 이상의 유분이다.
·포수성 시험방법: 포수율을 측정하는 시료(유분)을 칭량(초기량)하고, 70℃로 가온한 후, 70℃로 가열한 물을 각 시료에 서서히 첨가하면서 교반한다. 상기 시료 표면 상에 물이 뜬(float out) 시점을 종료점으로 하여, 종료점까지 첨가한 물의 양을 측정했다.
Figure pct00001
본 발명의 포수성 유분으로서는, 소프티산 649(Softisan 649, Sasol사제, 포수율 170%), 테트라(베헨산/벤조산/에틸헥산산)펜타에리스리톨(포수율 50%), 마카데미아넛츠유 지방산 피토스테릴(YOFCO-MAS, 닛폰세이카고교(주)사제, 포수율 250%), 다이머디리놀레산 다이머디리놀레일비스(피토스테릴/베헤닐/이소스테아릴) (PLANDOOL-G, 닛폰세이카고교(주)사제, 포수율 200%) 등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N-라우로일-L-글루탐산디(피토스테릴/2-옥틸도데실)(엘듀 PS-203, 포수율 170%), N-라우로일-L-글루탐산디(콜레스테릴/베헤닐/옥틸도데실)(엘듀 CL-301, 포수율 120%), N-라우로일-L-글루탐산디(콜레스테릴/옥틸도데실)(엘듀 CL-202, 포수율 130%), N-라우로일-L-글루탐산디(피토스테릴/베헤닐/2-옥틸도데실)(엘듀 PS-304, 포수율 125%), N-라우로일-L-글루탐산디(피토스테릴/베헤닐/2-옥틸도데실)(엘듀 PS-306, 포수율 135%), N-라우로일사르코신산이소프로필(엘듀SL-205, 포수율 115%), N-미리스토일-N-메틸β알라닌산(피토스테릴/데실테트라데실) (엘듀 APS-307, 포수율 165%) 등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모두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제). 이 중 가장 바람직하게는 소프티산 649이다.
본 발명에서의 (c) 포수성 유분의 바람직한 배합량은, 조성물 중에 1.0~2.0 질량%이다.
(d) 글리세린
본 발명에 관한 수중유형 유화조성물에는, 보습제로서 (d)글리세린을 배합할 수 있다. 글리세린은 화장료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보습제로, 다량(통상은 10 질량% 이상) 배합함으로써 충분한 보습효과를 갖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수중유형 유화조성물은 매우 우수한 보습효과를 가지므로, 글리세린의 배합량을 5 질량% 이하로 억제할 수 있다.
(e) 에탄올
본 발명에 관한 수중유형 유화조성물에는, 끈적거림을 경감시키는 성분으로서 (e) 에탄올을 배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에탄올의 고배합은 수중유형 유화조성물의 안정성을 손상시키므로 바람직하지 않지만, 본 발명에서는 에탄올을 조성물 전체에 대해서 5 질량% 이상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중유형 유화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통상 화장료에 사용되는 그 밖의 성분을 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유화제, 포수성이 아닌 유분, 보습제, 증점제, 약효 성분, 경피흡수촉진제, pH 조정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항균제, 중화제, 향료 등을 들 수 있다.
유화제로서는, 통상 화장료에 사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유화력을 갖는 알킬 변성 카르복시비닐 폴리머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화력을 갖는 상기 폴리머로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알킬 공중합체를 예시할 수 있고, 시판품으로서는 페뮬렌 TR-1, 페뮬렌 TR-2(Pemulen TR-1, Pemulen TR-2, 모두 BF Goodrich사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친수성 비이온 계면활성제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고, 예로서 POE 알킬에테르형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들 수 있다. 시판품으로서는, POE(20)세틸에테르(에마렉스 120, 니혼에멀전사제), POE(25)세틸에테르(에마렉스 125, 니혼에멀전사제), POE(30)세틸에테르(에마렉스 130, 니혼에멀전사제), POE(30) 베헤닐에테르(니코르 BB-30, 닛코 케미칼즈사제), POE(20) 베헤닐에테르(니코르 BB-20, 닛코케미칼즈사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중, 가장 바람직한 유화제는 페뮬렌 TR-2이다. 예를 들어, 본원 조성물에 대해서 0.01~0.1 질량% 배합할 수 있다.
포수성이 아닌 유분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탄화수소유, 실리콘유 등의 비극성유, 모노에스테르유 등의 저극성유 등을 배합할 수 있다.
탄화수소유로서는, 예를 들어 올레핀 올리고머, 유동 파라핀, 지랍 (ozokerite), 스쿠알란, 프리스테인(pristane), 파라핀, 세레신, 스쿠알렌, 바세린, 미세결정질 왁스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유로서는, 예를 들어, 사슬형 폴리실록산(예를 들어,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디페닐폴리실록산 등); 고리형 폴리실록산(예를 들어,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헥사실록산 등), 3차원 그물망 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실리콘 수지, 실리콘 고무, 각종 변성 폴리실록산(아미노 변성 폴리실록산, 폴리에테르 변성 폴리실록산, 알킬 변성 폴리실록산, 불소 변성 폴리실록산 등), 아크릴실리콘류 등을 들 수 있다.
모노에스테르유로서는, 미리스트산 이소프로필, 옥탄산 세틸, 미리스트산 옥틸도데실, 팔미트산 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 부틸, 라우르산 헥실, 미리스트산 미리스틸, 올레산 데실, 디메틸옥탄산 헥실데실, 락트산 세틸, 락트산 미리스틸, 스테아르산 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 이소세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테트라-2-에틸헥산산 펜타에리스리톨, 트리-2-에틸헥산산 글리세릴, 디네오펜탄산 트리프로필렌글리콜, 2-에틸헥산산 세틸, 숙신산 디에틸헥실 등, 그 밖의 에스테르유도 사용해도 좋다.
본 발명의 수중유형 유화조성물에는, 성분 (d) 이외의 보습제를 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보습제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자일리톨, 소르비톨, 말티톨, 콘드로이틴 황산, 뮤코이틴 황산, 카로닌산, 아텔로콜라켄, 콜레스테릴-12-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락트산 나트륨, 담즙산염(bile salt), dl-피롤리돈카르복실산염, 알킬렌옥시드 유도체, 단쇄(short-chain) 가용성 콜라겐, 디글리세린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 부가물, 로사 록스부르기 추출물, 서양 톱풀 추출물, 메리로트 추출물, 아미노산, 핵산, 엘라스틴 등의 단백질, 콘드로이틴 황산 등의 뮤코 다당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중유형 유화조성물에는, 성분 (a), (b) 이외의 증점제를 배합해도 좋다. 이와 같은 증점제로서는, 예를 들어 카르복시비닐폴리머, 숙시노글리칸,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잔탄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중유형 유화조성물에는, 각종 약효성분을 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백제로서 알콕시살리실산 및/또는 그 염(특허문헌 3)을 바람직하게 배합할 수 있다. 구체예로서는, 3-메톡시살리실산, 3-에톡시살리실산, 4-메톡시살리실산, 4-에톡시살리실산, 4-프로폭시살리실산, 4-이소프로폭시살리실산, 4-부톡시살리실산, 5-메톡시살리실산, 5-에톡시살리실산, 5-프로폭시살리실산, 또는 이들의 염을 들 수 있다.
또한, 동일하게 미백제로서, 4-알킬레조르시놀 및/또는 그 염, 또는 4-알킬레조르시놀 유도체 및/또는 그 염을 바람직하게 배합할 수 있다. 4-알킬레조르시놀의 구체예로서는, 4-이소부틸레조르시놀을 들 수 있고(특허문헌 4), 예를 들어 이하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1,3-디히드록시벤젠에 대하여, 포화카르복실산 또는 포화카르복실산 할로겐화물을,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니트로메탄, 니트로벤젠, 클로로벤젠, 디클로로벤젠, 벤젠, 톨루엔, 자일렌 등을 용매로 하여, 염화아연 또는 염화알루미늄 등의 루이스산 존재하에서 반응(프리델-크래프츠 반응, Friedel-Crafts reaction)을 시킨다. 그 후, 또한 아연 아말감/염산으로 환원함으로써, 4-이소부틸레조르시놀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4-알킬레조르시놀 유도체의 예로서는, 4-알킬레조르시놀의 하나 이상의 페놀성 수산기의 수소 원자를 -P(O)(OR1)(OR2)로 치환한 인산 에스테르체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에서, R1, R2는 직쇄 또는 분기한 탄소수 2~5의 알킬기, 또는 수소 원자를 나타내고, R1, R2는 동일해도 좋고 달라도 좋다(특허문헌 5).
상기 알콕시살리실산, 4-알킬레조르시놀, 및 4-알킬레조르시놀 유도체의 염으로서는, 알칼리 금속염(Na 염, K 염 등), 알칼리 토류 금속염(Ca 염, Mg 염 등), 암모늄염, 알칸올아민염, 아미노산염 등을 들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알칼리 금속염이다.
상기 이외에도 예를 들어, 아스코르브산 또는 그 유도체, 구체적으로는 L-아스코르브산 나트륨, L-아스코르브산 에스테르 마그네슘염, L-아스코르브산 글루코시드, 2-O-에틸-L-아스코르브산, 3-O-에틸-L-아스코르브산, 트라넥삼산, 알부틴, 4-메톡시살리실산염, 구체적으로는 4-메톡시살리실산 나트륨염, 4-메톡시살리실산 칼륨염 등을 배합할 수 있다.
또한, 각종 추출물(예를 들어, 로사 록스부르기(Rosa roxburghii), 서양 톱풀, 메리로트, 황벽나무, 황련, 자근, 작약, 월년초, 자작나무, 세이지, 비파나무, 인삼, 알로에, 당아욱, 아이리스, 포도, 율무쌀, 수세미, 백합, 샤프란, 천궁이, 생강, 고추나물, 오노니스, 마늘, 고추, 진피, 잇꽃, 해조 등)을 배합해도 좋다.
본 발명에 관한 수중유형 유화조성물에는, 상기 약효 성분의 흡수를 촉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화장료 및 피부외용제에 통상 사용되는 경피 흡수 촉진제를 배합해도 좋다. 이와 같은 예로서는, 라우릴베타인(상품명: 아논 BL-SF, 니치유가부시키가이샤제), 이소스테아르산(상품명: 이소스테아르산 EX, 고큐알콜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중유형 유화조성물에는 상기 성분 이외에,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자외선 흡수제, 금속 이온 봉쇄제, 분말 성분, pH 조정제, 비타민류, 산화방지제, 방부제, 항균제, 중화제, 향료 등을, 필요에 따라서 적절하게 배합할 수 있다. 단, 이들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수중유형 유화조성물은, 화장수, 유액, 미용액, 크림, 메이크업 베이스(pre-makeup) 등의 제품형태를 취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화장수, 유액, 미용액이다.
그리고, 제품으로서의 취급의 용이함의 측면에서, 본 발명에 관한 수중유형 유화조성물은 B형 회전점도계를 사용하여 30℃에서 측정한 점도가 1000~6000 mPa·s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수중유형 유화조성물은, 종래의 방법에 따라서 제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용성 성분(성분(a), (b), (d), (e)를 포함)을 가열 혼합한 수상에, 유용성 성분(성분(c)를 포함)을 가열 혼합한 유상을 첨가하면서 교반 혼합하여, 균일한 상태로 한다. 그 후, 상기 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함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를 사용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이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배합량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질량%이다.
하기 표 1~4에 기재된 처방의 화장료를 종래의 방법에 따라서 제작하고, 하기 항목 (1)~(8)에 대해서 전문 패널을 이용한 실사용 시험을 실시했다.
·항목 (1)~(7)에 대해서
전문 패널 10명에 대하여, 1일 2회(아침·저녁 한번씩), 28일간, 조성물을 얼굴에 도포하게 하여, (1) 주름개선효과, (2) 탄력개선효과, (3) 도포시의 발림성의 양호, (4) 오일감 없음, (5) 도포 후의 피부의 매끄러움, (6) 끈적거림 없음, (7) 촉촉함에 대해서, 상기 효과의 유무를 회답하게 했다. 회답 결과를 이하의 기준에 따라서 집계하고, 표 안에 기재했다.
◎: 패널 10명 전원이, 효과가 있다고 대답했다.
○: 패널 7명 이상 9명 이하가, 효과가 있다고 대답했다.
△: 패널 3명 이상 6명 이하가, 효과가 있다고 대답했다.
×: 패널 2명 이하가, 효과가 있다고 대답했다.
·항목(8) 미백효과에 대해서
여름철의 태양광에 4시간(1일 2시간씩, 총 2일간) 노출된 패널에 대해서, 1 샘플 당 10명 1군으로 하여, 실시예 또는 비교예의 각 화장료를 얼굴의 한쪽에, 1일 2회(아침·밤 1회씩), 6주간 도포했다. 도포 종료 후, 자외선 조사에 의해 유도되는 색소 침착에 대해서, 상기 화장료를 도포하지 않았던 부위와 비교한 경우의 억제효과의 유무에 대해서 평가하게 했다. 회답 결과를 이하의 기준에 따라서 집계하고, 표 안에 기재했다.
◎: 패널 10명 전원이, 억제 효과가 있다고 대답했다.
○: 패널 7명 이상 9명 이하가, 억제 효과가 있다고 대답했다.
△: 패널 3명 이상 6명 이하가, 억제 효과가 있다고 대답했다.
×: 패널 2명 이하가, 억제 효과가 있다고 대답했다.
또한, 조성물의 점도에 대해서는 각 조성물을 30℃로 보온한 후, B형 회전점도계(비스메트론 점도계, 시바우라 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제)를 사용하여, 1분간 회전(12rpm)한 후의 점도값(mPa·s)을 측정했다.
표 1~4에서(*), 사용한 제품명을 이하에 나타낸다.
* 1: 소프티산 649(Softisan 649, Seasol사제)
* 2: RA-G-308(니혼세이카 가부시키가이샤제)
* 3: 실리콘 KF-96A-6cs(신에츠가가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 4: 페뮬렌 TR-2(Pemulen TR-2, BF Goodrich사제)
* 5: 바이오히알로9(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사제)
* 6: 아리스토플렉스 HMB(Aristoflex HMB, 클라리언트 재팬사제)
*7: 아리스토플렉스 AVC(Aristoflex AVC, 클라리언트 재팬사제)
*8: POE(14)/POP(7) 디메틸에테르(랜덤형)
*9: 아논 BL-SF(니치유가부시키가이샤제)
*10: 이소스테아르산 EX(고급알콜고교가부시키가이샤제).
[시험예 1: 성분 (a)-(e) 배합효과의 검토]
하기 표 1에 기재된 처방의 화장료를 종래의 방법에 따라서 제작하여, 표 중의 항목에 대해서 평가했다.
Figure pct00002
성분 (a)~(e)를 모두 포함하는 화장료(실시예 1 및 2)는, 오일감과 끈적거림이 없고, 도포시의 발림성이 좋으며, 도포후에 피부를 촉촉하고 또한 매끄럽게 하는 효과가 우수했다. 그리고, 탄력개선효과와 주름개선효과가 매우 우수했다.
이에 대하여, 성분 (a)히알루론산 나트륨을 포함하지 않는 화장료(비교예 1)는, 도포 후의 피부의 매끄러움과 촉촉함이 충분하지 않았고, 탄력개선·주름개선효과가 떨어졌다. 또한, 성분 (b)(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르산암모늄/베헤네스-25 메타크릴산)크로스폴리머를, 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르산암모늄과 비닐피롤리돈(VP)의 코폴리머로 대신한 화장료(비교예 2)에서는, 도포 후의 피부의 매끄러움이 얻어지지 않았고, 오일감도 느껴졌다. 그리고, (c) 포수성 유분을 포함하지 않거나(비교예 3) 또는 포수성이 아닌 유분으로 대신한 화장료(비교예 4)에서는, 피부의 매끄러움이 떨어지고 오일감이 느껴지며, 촉촉함이 손상되는 경향이 있고, 탄력개선·주름개선효과가 떨어졌다. 또한, 성분 (a)와 (c)의 양쪽을 포함하지 않는 화장료(비교예 5)에서는, 도포 후의 피부의 매끄러움·촉촉함이 떨어지고, 오일감이 느껴지며 탄력개선·주름개선효과가 얻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성분 (b)(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르산암모늄/베헤네스-25 메타크릴산)크로스폴리머는, 도포 후의 피부를 매끄럽게 하는 효과가 매우 우수하고, 성분 (a)히알루론산 또는 그 염과 (c)포수성 유분과의 공(共)배합은 피부에 촉촉함과 매끄러움을 부여하고, 우수한 탄력개선·주름개선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분 (d)글리세린을 포함하지 않는 화장료(비교예 6)에서는, 끈적거림감과 오일감이 강하게 느껴지고, 도포시의 발림성과 도포 후의 매끄러움도 떨어졌다. 그리고, 성분 (e)에탄올을 포함하지 ?는 화장료(비교예 7)에서도, 끈적거림이 강하게 느껴지고 도포시의 발림성이 떨어지는 결과가 되었다.
이들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관한 성분 (a)~(e)를 배합함으로써, 오일감과 끈적거림이 없고, 도포시의 발림성이 좋으며, 도포 후에 피부를 촉촉하고 또한 매끄럽게 하는 효과가 우수하고, 탄력개선과 주름개선효과가 높은 수중유형 유화조성물을 제작할 수 있는 것이 명백해졌다.
[시험예 2: 성분 (a)-(e)의 배합량의 검토]
다음에, 본 발명의 성분 (a)-(e)의 배합량을 검토했다. 하기 표 2에 기재한 처방의 화장수를 제작하고, 표 중의 항목에 대해서 평가했다.
Figure pct00003
표 2로부터, 성분 (a)를 0.1~0.7 질량%(실시예 3, 4), 성분 (b)를 0.1~1.0 질량%(실시예 4-6), 성분 (c)를 0.5~3.0 질량%(실시예 6-8), 성분 (d)를 3.0~10.0질량%(실시예 8-10), 성분 (e)를 3.0~10.0 질량%(실시예 10-12) 포함하는 화장료에서는, 어떤 것에서도 오일감과 끈적거림이 없고, 도포시의 발림성이 좋으며, 도포 후에 피부를 촉촉하고 또한 매끄럽게 하는 효과가 우수하고, 탄력개선과 주름개선효과도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에 관한 성분 (a)~(e)의 바람직한 배합량은, 성분 (a)가 0.3~0.7 질량%, 성분 (b)를 0.3~0.7 질량%, 성분 (c)를 1.0~2.0 질량%, 성분 (d)를 4.0~8.0 질량%, 성분 (e)를 5.0~8.0 질량%인 것을 알았다.
[시험예 3: 미백제 배합에 의한 미백 효과의 검토]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수중유형 유화조성물에 미백제를 배합하여, 미백효과에 대해서 검토했다.
Figure pct00004
미백제로서 4-이소부틸레조르시놀(실시예 14) 또는 4-메톡시살리실산칼륨(실시예 15)를 배합한 화장료에서는, 미백제를 포함하지 않는 화장료(실시예 13)에 비하여 미백효과가 우수했다. 그리고, 4-이소부틸레조르시놀과 4-메틸살리실산칼륨을 모두 배합한 화장료(실시예 16)에서는, 단독 배합보다 한층 미백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14~16의 화장료는 모두, 오일감이나 끈적거림이 없고, 도포시의 발림성이 좋으며, 도포 후에 피부를 촉촉하고 또한 매끄럽게 하는 효과가 우수하며, 탄력개선과 주름개선효과도 우수한 것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성분 (a)~(e)에 추가하여 미백제를 첨가함으로써, 오일감과 끈적거림이 없고 도포시의 발림성이 좋으며, 도포 후에 피부를 촉촉하고 또한 매끄럽게 하는 효과가 우수하며, 탄력개선과 주름개선효과가 우수한 것에 추가하여, 또한 미백효과도 우수한 수중유형 유화조성물을 제작할 수 있는 것이 명백해졌다.
[시험예 4: 피부 수분량에 미치는 효과의 검토]
상술한 바와 같이, 각질 수분량의 저하와 잔주름의 형성에는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그래서, 본원 조성물의 우수한 주름개선효과를 이해하기 위해, 본원 조성물이 각질 수분량에 주는 영향을 조사해 보았다.
하기 표 4에 기재한 처방의 화장료를 제작하여, 상기 화장료가 오일감과 끈적거림이 없으며, 도포시의 발림성이 좋고, 도포후에 피부를 촉촉하고 매끄럽게 하는 효과가 우수하며, 탄력개선과 주름개선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했다.
Figure pct00005
다음에, 실시예 17의 화장료에 대해서, 코네오미터(Corneometer, 등록상표)를 사용한 생체내(in vivo) 측정을 실시함으로써, 각질 수분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코네오미터는 각질층의 커패시턴스(capacitance, 정전용량: 전기에너지 저장용량)을 측정함으로써, 각질 중에 포함되는 수분량을 비침습적으로 구하는 방법이다. 이하에, 해석방법의 상세한 내용을 나타낸다.
<측정방법>
건조피부증상을 나타내는 44~61세(평균 54세)의 건강한 여성 20명을 피험자로 하고, 한쪽 팔을 도포 팔, 또 한쪽 팔을 비도포 팔로 하여, 각 팔의 상완 내측에 이하의 4 영역을 설정했다.
C1: 컨트롤 부위(1 부위), 2×2㎠
Z1 ~3: 도포 부위(3 부위), 각 2×4㎠
·도포 팔에 대한 처치
피험자에게 온도 21±1℃·상대습도 45±5℃의 환경에서 20분간 있게 하여, 피험자의 환경을 조정했다. 그 후, 상기 C1과 각 Z1 ~3 영역 간에서 코네오미터(코네오미터 CM825(Courage and Khazaka Electronics사제, 독일))에 의한 측정을 실시하고, 도포 전의 커패시턴스(=T0)를 Z1 ~3 각각에서 계측했다. 다음에, Z1 ~3 영역에 본원 조성물을 각 영역당 16㎕씩 도포했다.
피험자에게는 그 후에도 상기 환경에서 있게 하고, 도포로부터 30분 후에 Z1영역에서, 4시간 후에 Z2 영역에서, 8시간 후에 Z3 영역에서 상술과 동일한 측정을 실시하여, 도포로부터 30분, 4시간, 8시간 후의 캐퍼시턴스(각각 T0.5, T4, T8)를 계측했다. 측정은 각 영역당 3회씩 실시하여, 3회의 평균값을 산출했다.
·비도포 팔에 대한 처치
상기 도포 팔에 대한 처치에 대해서 본원 조성물을 도포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완전히 동일한 처치를 실시하여, T0 .5, T4, T8을 계측했다.
<각질 수분량의 평가>
코네오미터에 의해 얻어지는 캐퍼시턴스 값은, 각질 수분량과 정적(正的)으로 상관 관계를 갖는 값이다. 따라서, 도포 전의 캐퍼시턴스 값(T0)을 100%로 하고, 도포 후의 각 캐퍼시턴스 값(= T0 .5, T4, T8)을 상기 T0 값에 대한 상대값(%)으로 나타냄으로써, 각 각질 수분량을 상대적으로 평가했다.
<결과>
상기 방법에 의해 얻어진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낸다. 또한, 각 측정시각에서 (1) 도포 팔과 (2) 비도포 팔에서 얻어진 값의 차는, 모두 유의 수준 5%로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Figure pct00006
표 5에서, (1) 도포 팔에서의 각질 수분량으로부터 (2) 비도포 팔에서의 각질 수분량을 뺀 값(=(3))이, 본원 조성물을 도포함에 의한 각질 수분량의 증가분, 즉 본원 조성물에 의한 보습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실시예 17의 화장료를 도포함으로써, 30분후의 각질 수분량이 도포전에 비하여 45.2%나 증가하고 4시간 후에 34.3%, 8시간후에도 30.4%나 증가한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에 관한 수중유형 유화조성물은 매우 높은 보습효과를 갖고 있고, 1회 도포하는 것만으로 피부의 수분유지능력이 장시간에 걸쳐 대폭 향상되는 것이 명백해졌다.
[시험예 5: 표피탈락 억제효과의 검토]
표피 탈락(표피각질세포의 박리)는 각질 수분량과 관련된 생리현상이고, 각질 수분량이 증가하면 표피 탈락이 감소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래서, 본원 조성물이 표피탈락에 미치는 영향을 해석하기로 했다.
<측정방법>
여성피험자 32명에 대해서, 실시예 17의 화장료를 한쪽 다리에만, 매일 아침과 밤 2회씩, 28일간 도포하게 했다.
·도포 다리에 대한 처치
피험자에게 온도 21±1℃·상대습도 45±5℃의 환경에서 20분간 있게 한다. 피험자의 환경조정을 실시했다. 그 후, 투명한 점착성 물질인 D’Squames(등록상표)를, 도포 다리에 5~20초간 점착하게 하고 나서 잘 떼어냈다. 떼어낸 D’Squames를 현미경용 슬라이드 유리에 얹고, 흑색의 평활한 지지체 위에 놓고, 광학기기를 사용하여 화상을 취득했다. 상기 화상의 그레이 이미지에서의 픽셀 밀도(=이하, 그레이 레벨이라고 부름)는, 상기 D’Squames와 함께 박리된 각질 세포의 수에 상관하고 있다. 그래서, 본원에서는 상기 화상 중의 임의의 영역(면적 1.4㎠)에서의 그레이 레벨을 해석하여, 도포 다리에서의 표피 탈락의 수준을 나타내는 값(T28)으로 했다.
·비도포 다리에 대한 처치
상기 도포 다리와 완전히 동일한 처치를 실시하여, 비도포 다리에서의 표피 탈락의 수준을 나타내는 값(T0)을 얻었다.
<조성물에 의한 표피탈락 억제효과의 산출>
본원 조성물의 도포에 의한 표피탈락 억제효과로서, 비도포 다리의 표피탈락수준(=T0)에 대한 도포 다리의 표피탈락수준(=T28)의 감소율을 이하의 식에 의해 구했다.
Figure pct00007
<결과>
상기 방법에 의해 얻어진 결과(평균값±표준편차)를 하기 표 6에 나타낸다. 또한, T0와 T28 값의 차는 유의수준 5%로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Figure pct00008
본 발명의 화장료를 도포한 다리에서는, 도포하지 않은 다리에 비하여 표피탈락수준이 8.3%나 감소하고 있었다. 따라서, 본원 조성물을 도포함으로써, 표피탈락, 즉 각질세포의 박리가 유의하게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원 조성물을 계속 사용함으로써, 각질층의 수분유지능력이 각질세포의 박리를 억제할 수 있을 만큼 항상적으로(prolonged) 항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6: 피부점탄성에 미치는 효과의 검토]
다음에, 본원 조성물의 우수한 탄력개선효과를 이해하기 위해, 큐토미터(Cutometer, 상표)를 사용하여 피부점탄성에 미치는 효과를 해석했다. 큐토미터는 측정부위에 센서를 밀착시켜 흡인과 개방을 실시하고, 피부의 탄성회복률을 구함으로써 피부점탄성을 평가하는 방법이다.
<측정방법>
45~67세의 건강한 여성 33명을 피험자로 하고, 측정부위로서 좌우 어느 한 쪽의 관자놀이를 랜덤으로 선택하였다. 실시예 17의 화장료를 도포하기 전(T0)과, 매일 아침과 밤의 2회씩 28일간 도포하게 한 후 (T28)의 피부점탄성을,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했다.
피험자에게는 온도 21±1℃·상대습도 45±5℃의 환경에서 20분간 뒤로 젖혀 위를 보게 한 상태로 있게 하여, 환경조정을 실시했다. 그 후 큐토미터(큐토미터 SEM575 (Courage and Khazaka Electronics사제, 독일))을 사용하여 측정을 실시했다(프로브 구경: 2㎜, 큐토미터에서의 음압: 300mbar). T0, T28 모두 3회씩 측정을 실시하고, 그 3회로 얻어진 값의 평균값과 표준편차를 산출했다.
<피부점탄성의 평가>
도 2에 큐토미터에 의해 측정되는 파라미터를 나타낸다. 이 중 Ur값(순발적 탄성회복: ㎜)를 Uf값(최대신장길이: ㎜)로 나눈 값(Ur/Uf)이 탄성회복률이다. 탄성회복률이 클수록, 피부의 점탄성이 높은 것을 나타낸다.
<결과>
상기 방법에 의해 얻어진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낸다(평균값±표준편차). 또한, 도포전(T0)과 도포 28일째(T28)에서 얻어진 값의 차는, 모든 평가항목에 대해서도 유의수준 5%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Figure pct00009
표 7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실시예 17의 화장료를 도포하기 전(T0)과 28일간 도포한 피부(T28)에서는, 순간 탄성회복값(Ur) 및 최대신장길이(Uf) 모두에 있어서도 유의차가 인정되었다. 그리고, 탄성회복률(Ur/Uf)은 도포전(100.0%)에 비하여 도포후의 피부(110.4%)에서는 10.4%나 증가했다.
따라서, 본원 조성물에는 피부점탄성을 현저하게 높이는 효과가 있고, 그런 이유로 우수한 탄력개선효과가 얻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예 7: 그밖의 효과감·사용감의 검토]
본원 조성물에 대해서는, 상술한 피부에 대한 효과(보습효과, 피부를 매끄럽게 하는 효과, 주름 및 탄력개선효과), 및 조성물의 사용성(도포시의 발림성의 양호, 오일감의 없음과 끈적거림의 없음)의 이외에도, 여러가지 바람직한 효과 및 사용성이 확인되어 있다. 이하에 그 일단을 나타낸다.
<시험방법>
여성 피험자 33명에 대해서, 실시예 17의 화장료를 얼굴 전면에 매일 아침과 밤의 2회씩 28일간 도포하게 하고, 다음의 13항목에 대해서 하기 4 기준(A~D)에 따라 평가하게 했다.
A: 완전히 동의
B: 약간 동의
C: 약간 동의하지 않음
D: 전혀 동의하지 않음
이 중 평가 A와 B를 「동의」, 평가 C와 D를 「동의하지 않음」으로 간주하고, 피험자 전체에 대해서 「동의」로 대답한 피험자의 비율(%)을 집계했다. 그리고, 상기 비율의 우위성을 카이제곱검정(chi-square test, 유의수준 5%)으로 판정했다.
<평가항목>
·피부에 대한 효과감에 대해서
(1) 피부가 보다 부드럽다.
(2) 피부가 보다 유연하다
(3) 피부에 보다 탄력성이 있다
(4) 피부가 보다 복원되고 있다
(5) 피부의 구조가 좋아져 있다
(6) 피부의 색·윤기가 보다 균일하다
(7) 피부가 보다 생기있다
(8) 피부 처짐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9) 피부에 활력을 주는 효과가 있다
(10) 피부가 보다 강해진 듯하다
·조성물의 사용성에 대해서
(11) 빠르게 침투한다
(12) 텍스쳐(texture)가 마음에 든다
(13) 종합적으로 만족한다.
<결과>
Figure pct00010
표 8에서 명백해진 바와 같이, 피부의 상태에 관한 10의 평가항목((1)~(10)) 전체에 대해서, 70~91%의 피험자로부터 개선되었다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회답이 얻어졌다. 또한, 조성물의 사용성에 대해서도, 모든 평가항목((11)~(13))에서 91~88%의 피험자로부터 유의성이 있는 높은 평가를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본원 조성물에는 상술한 효과 이외에도, 피부를 부드럽고 또한 탄력성이 풍부한 상태로 하여((1)~(3)), 피부의 구조를 정리하고((4)~(6)), 피부에 활력과 강함을 부여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원 조성물은 피부에 빠르게 침투하여 텍스쳐가 우수하고, 사용감에 관한 종합적인 만족도가 매우 높은 것도 명백해졌다.
이하에, 본 발명에 관한 수중유형 유화조성물의 처방예를 들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 처방예에 의해 얻어진 수중유형 유화조성물은 모두, 보습효과 및 피부를 매끄럽게 하는 효과가 매우 높고, 주름 및 탄력의 개선효과가 우수하고, 도포시의 발림성이 좋고 오일감과 끈적거림이 없으며, 미백효과도 우수한 것이었다.
[처방예 1: 미백미용액]
<처방>
성분 배합량(질량%)
(1) N-라우로일-L-글루탐산디(피토스테릴/2-옥틸도데실)
(엘듀 PS-203,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제) 1.5
(2) 네오펜탄산 이소데실 3.0
(3) 메틸폴리실록산(1.5cs) 1.0
(4) 아크릴산/메타크릴산 알킬 공중합체(*4) 0.05
(5) 히알루론산 나트륨(*5) 0.3
(6) (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르산암모늄/베헤네스-25 메타크릴산)
크로스폴리머(*6) 0.3
(7) (아크릴산나트륨/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르산나트륨)코폴리머
(SIMULGEL EG, SEPIC사제) 0.1
(8) 글리세린 6.0
(9) 1,3-부티렌글리콜 3.0
(10) 에탄올 6.0
(11) 4-이소부틸레조르시놀 0.25
(12) 4-메톡시살리실산 칼륨염 1.0
(13) 향료 적량
(14) 수산화칼륨 적량
(15) 피로아황산나트륨 적량
(16) 이온교환수 잔여
<제법>
성분 (4)~(16)을 균일하게 용해한 수상에, (1)~(3)을 균일하게 용해한 유상을 첨가하고, 호모믹서를 사용하여 유화를 실시함으로써, 점도 2500 mPa·S(30℃)의 미백미용액을 얻었다.
[처방예 2: 종합 미용액]
<처방>
성분 배합량(질량%)
(1) N-라우로일-L-글루탐산디(피토스테릴/2-옥틸도데실)
(엘듀 PS-203,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제) 1.5
(2) 이소노난산 이소노닐 1.0
(3) 시클로펜타실록산 1.0
(4) 아크릴산/메타크릴산 알킬 공중합체(*4) 0.05
(5) 히알루론산 나트륨(*5) 0.3
(6) (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르산암모늄/베헤네스-25 메타크릴산)
크로스폴리머(*6) 0.3
(7) 폴리아크릴산 암모늄(SIMULGEL A, SEPIC사제) 0.1
(8) 글리세린 5.0
(9) 디프로필렌글리콜 3.0
(10) 에탄올 6.0
(11) 4-이소부틸레조르시놀 0.25
(12) 4-메톡시살리실산 칼륨 1.0
(13) 크리핑 타임(mother-of thyme) 추출액 0.1
(14) 녹차 추출액 0.1
(15) 로사 록스부르기 과실 엑기스 0.1
(16) 향료 적량
(17) 수산화칼륨 적량
(18) 피로아황산나트륨 적량
(19) 이온 교환수 잔여
<제법>
성분 (4)~(19)을 균일하게 용해한 수상에, (1)~(3)을 균일하게 용해한 유상을 첨가하고, 호모믹서를 사용하여 유화를 실시함으로써, 점도 2500mPa·S(30℃)의 종합미용액을 얻었다.
[처방예 3: 종합미용액]
<처방>
성분 배합량(질량%)
(1) N-라우로일-L-글루탐산디(피토스테릴/2-옥틸도데실)
(엘듀 PS-203,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제) 1.5
(2) 에틸헥산산 세틸 1.0
(3) 메틸폴리실록산 1.0
(4) 아크릴산/메타크릴산 알킬 공중합체(*4) 0.05
(5) 히알루론산나트륨(*5) 0.3
(6) (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르산암모늄/베헤네스-25 메타크릴산)
크로스폴리머(*6) 0.3
(7) 아크릴산나트륨/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르산나트륨)코폴리머
(SIMULGEL EG, SEPIC사제) 0.1
(8) 글리세린 5.0
(9) 1,3-부티렌글리콜 3.0
(10) 에탄올 6.0
(11) 4-이소부틸레조르시놀 나트륨염 0.3
(12) 4-메톡시살리실산 칼륨 1.0
(13) 크리핑 타임 추출액 0.1
(14) 효모 엑기스 0.1
(15) 수련 엑기스 0.1
(16) 향료 적량
(17) 수산화칼륨 적량
(18) 피로아황산나트륨 적량
(19) 이온교환수 잔여
<제법>
성분 (4)~(19)를 균일 용해한 수상에, (1)~(3)을 균일하게 용해한 유상을 첨가하고, 호모믹서를 사용하여 유화를 실시함으로써, 점도 4400mPa·S(30℃)의 종합미용액을 얻었다.

Claims (3)

  1. (a) 히알루론산 또는 그 염,
    (b)(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르산암모늄/베헤네스-25 메타크릴산)크로스폴리머,
    (c) 포수성 유분,
    (d) 글리세린,
    (e) 에탄올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유화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d) 글리세린의 배합량이 5 질량% 이하; 및
    (e) 에탄올의 배합량이 5 질량% 이상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유화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추가로, 알콕시살리실산 및 그 염, 4-알킬레조르시놀 및 그 염, 및 4-알킬레조르시놀 유도체 및 그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유화조성물.
KR1020157004368A 2012-12-14 2013-07-01 수중유형 유화조성물 KR1020434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273056 2012-12-14
JPJP-P-2012-273056 2012-12-14
PCT/JP2013/004073 WO2013132878A2 (en) 2012-12-14 2013-07-01 Oil-in-water emulsion composi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5607A true KR20150095607A (ko) 2015-08-21
KR102043485B1 KR102043485B1 (ko) 2019-11-11

Family

ID=49117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4368A KR102043485B1 (ko) 2012-12-14 2013-07-01 수중유형 유화조성물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913788B2 (ko)
EP (1) EP2931242B1 (ko)
JP (1) JP6313961B2 (ko)
KR (1) KR102043485B1 (ko)
CN (1) CN105050579B (ko)
ES (1) ES2723788T3 (ko)
HK (1) HK1214157A1 (ko)
TW (1) TWI627968B (ko)
WO (1) WO201313287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22976B (zh) * 2013-10-15 2015-05-27 辽宁省食品药品检验所 一种测定化妆品中4-甲氧基水杨酸钾的方法
CN104288058A (zh) * 2014-10-31 2015-01-21 秦富英 一种爽肤水
WO2017103235A1 (en) * 2015-12-16 2017-06-22 L'oreal Composition for coating keratin fibers with at least one ester of oligomer glycerol
JP6762553B2 (ja) * 2016-07-06 2020-09-30 日本メナード化粧品株式会社 乳化化粧料
JP6925793B2 (ja) * 2016-09-02 2021-08-25 株式会社ディーエイチシー 水中油型化粧料
JP2019048782A (ja) * 2017-09-11 2019-03-28 株式会社日本バリアフリー しわ改善用化粧料
KR20220002298A (ko) * 2019-04-30 2022-01-06 로레알 수중유형 에멀젼 형태의 화장료 조성물
JP2021059514A (ja) * 2019-10-08 2021-04-15 横浜油脂工業株式会社 ヒアルロン酸オイルからなる油性化粧料及びその製造方法
FR3115992B1 (fr) * 2020-11-06 2023-04-21 Oreal Composition sous forme d'émulsion comprenant des saponines et une huile végétale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0886A (ja) 1992-05-15 1994-02-15 Shiseido Co Ltd 皮膚外用剤
JPH09315936A (ja) 1996-05-28 1997-12-09 Kanebo Ltd 化粧料
WO2006056246A1 (en) * 2004-11-23 2006-06-01 Unilever Plc Hydroalcoholic cosmetic compositions based on ethyl alcohol containing menthol
JP2009067728A (ja) 2007-09-14 2009-04-02 Shiseido Co Ltd 皮膚外用剤
JP2010229068A (ja) * 2009-03-26 2010-10-14 Shiseido Co Ltd 皮膚外用剤
KR20110013502A (ko) * 2008-05-29 2011-02-09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피부 외용제
JP2012020980A (ja) 2010-07-16 2012-02-02 Shiseido Co Ltd 4−アルキルレゾルシノール誘導体及びこ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33A (ja) 1990-03-19 1993-01-08 Ken Prod Kk しわ伸ばし化粧用液状組成物
JPH07304629A (ja) 1994-05-13 1995-11-21 Noevir Co Ltd 油中水型乳化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010946A (ja) 1999-07-02 2001-01-16 Fancl Corp 皮膚化粧料
JP2005097123A (ja) 2003-09-22 2005-04-14 Kanebo Ltd 水中油型乳化化粧料
DE102006055044A1 (de) * 2006-11-17 2008-05-21 Beiersdorf Ag Kosmetische Formulierung mit Glucosylglyceriden und Harnstoff
JP5507803B2 (ja) * 2007-08-08 2014-05-28 花王株式会社 皮膚外用剤
WO2009150852A1 (ja) * 2008-06-12 2009-12-17 株式会社 資生堂 油中油型化粧料
ES2640164T3 (es) 2008-12-03 2017-11-02 Shiseido Co., Ltd. Producto cosmético tipo aceite en agua
KR101784028B1 (ko) 2010-03-12 2017-10-10 닛신 오일리오그룹 가부시키가이샤 피부외용 조성물, 화장료 및 세정제
WO2013006336A2 (en) 2011-07-07 2013-01-10 Elc Management Llc Methods and compositions useful for treating fitzpatrick type iv, v or vi skin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0886A (ja) 1992-05-15 1994-02-15 Shiseido Co Ltd 皮膚外用剤
JPH09315936A (ja) 1996-05-28 1997-12-09 Kanebo Ltd 化粧料
WO2006056246A1 (en) * 2004-11-23 2006-06-01 Unilever Plc Hydroalcoholic cosmetic compositions based on ethyl alcohol containing menthol
JP2009067728A (ja) 2007-09-14 2009-04-02 Shiseido Co Ltd 皮膚外用剤
KR20110013502A (ko) * 2008-05-29 2011-02-09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피부 외용제
JP2010229068A (ja) * 2009-03-26 2010-10-14 Shiseido Co Ltd 皮膚外用剤
JP2012020980A (ja) 2010-07-16 2012-02-02 Shiseido Co Ltd 4−アルキルレゾルシノール誘導体及びこ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이모카와 겐지 등, 프레그런스저널, 1992년, 제11권, 제29~42페이지
일본 공개특허 평5-933호 공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133737A (ja) 2014-07-24
EP2931242A2 (en) 2015-10-21
CN105050579A (zh) 2015-11-11
US9913788B2 (en) 2018-03-13
HK1214157A1 (zh) 2016-07-22
CN105050579B (zh) 2017-05-31
JP6313961B2 (ja) 2018-04-18
TWI627968B (zh) 2018-07-01
ES2723788T3 (es) 2019-09-02
WO2013132878A2 (en) 2013-09-12
EP2931242B1 (en) 2019-02-27
TW201422242A (zh) 2014-06-16
WO2013132878A3 (en) 2013-11-07
KR102043485B1 (ko) 2019-11-11
EP2931242A4 (en) 2016-08-03
US20150328124A1 (en) 2015-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13961B2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
JP6843863B2 (ja) (ポリ)グリセロールの少なくとも2つの脂肪酸エステルを含む組成物、および化粧品におけるその使用
KR101940472B1 (ko) 화장 조성물
JP5143354B2 (ja) オリゴマーエステル及びこれらを含有する化粧料及び皮膚外用剤
EP2389920B1 (en) Emulsion cosmetic
JP5966003B2 (ja) フィッツパトリックiv型、v型またはvi型皮膚を処置するために有用な方法および組成物
US20210015719A1 (en) Stable emulsified gel composition having a high concentration of active components
US20180344609A1 (en) Stable emulsified gel composition having a high concentration of active components
BR102013024429B1 (pt) Composições de óleo baixo compreendendo resorcinol 4-substituído e um éster de cadeia carbônica grande
JP2002241254A (ja) 美白化粧料
KR102472483B1 (ko) 각질제거효과와 보습효과를 동시에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120057360A (ko) 보습지속력이 우수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EP3075375B1 (en) Skin external preparation
JP2003342159A (ja) 皮膚老化防止化粧料
EP3614996A1 (en) Association and methods for fighting against the signs of ageing
KR20200136447A (ko) 피부증상 개선제
JP2005179238A (ja) 皮膚外用剤
JP2010059115A (ja) スキンケア方法
JP7137924B2 (ja) 水中油乳化組成物
JP4685718B2 (ja) 美白化粧料
JP6487636B2 (ja) 皮膚化粧料
JP2022138175A (ja) 皮膚外用組成物
JP2024005458A (ja) 皮膚製剤用の組成物及び皮膚用製剤
JP2018076301A (ja) 皮膚外用剤又は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