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1148B1 - 피부장벽 손상 회복 및 피부 세포 재생 효과가 우수한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장벽 손상 회복 및 피부 세포 재생 효과가 우수한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1148B1
KR102601148B1 KR1020200132010A KR20200132010A KR102601148B1 KR 102601148 B1 KR102601148 B1 KR 102601148B1 KR 1020200132010 A KR1020200132010 A KR 1020200132010A KR 20200132010 A KR20200132010 A KR 20200132010A KR 102601148 B1 KR102601148 B1 KR 1026011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cosmetic composition
barrier
effect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2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48755A (ko
Inventor
성민규
박보경
최원석
정영필
박지현
나형종
박재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셀아이콘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셀아이콘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셀아이콘랩
Priority to KR1020200132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1148B1/ko
Publication of KR20220048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87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1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11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5Preparations for sensitiv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스크 원단의 마찰 등의 이유로 발생된 피부장벽의 손상 및 피부 상처, 트러블에 작용하는 것으로 피부장벽 회복 및 피부 재생 효과가 우수한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 혼합물은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면서 피부장벽의 손상을 회복시키고 항염증 효과와 피부 재생 효과가 탁월하여 마스크 원단의 마찰 등에 의해 손상된 피부를 빠르게 개선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피부장벽 손상 회복 및 피부 세포 재생 효과가 우수한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TROUBLES CONTAINING PEPTIDES WITH EXCELLENT SKIN BARRIER DAMAGE RECOVERY AND SKIN CELL REGENERATION EFFECTS}
본 발명은 마스크 원단의 마찰 등의 이유로 발생된 피부장벽의 손상 및 피부 상처, 트러블에 작용하는 것으로 피부장벽 회복 및 피부 재생 효과가 우수한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면서 피부장벽의 손상을 회복시키고 항염증 효과와 피부 재생 효과가 탁월하여 마스크 원단의 마찰 등에 의해 손상된 피부를 빠르게 개선시킬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 온도 1도 상승은 피부에 피지 분비가 10% 정도 증가하며 마스크 착용시 피부 온도가 1.9도 상승된다는 보고(Antonio S. et al., Int. J. Environ. Res. Public Health 2020, 17, 4624; DOI:10.3390/ijerph17134624)가 있다.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마스크로 인해 피부의 피비 분비는 20%이상 급격히 상승되고(Changxu H. et al., Dermatologic Therapy. 2020, 33;e13704. DOI:10.1111/dth.13704) 이로 인해 다양한 트러블, 여드름, 뾰루지 등의 피부 문제가 심해지고 있다. 또한, 코로나 바이러스 19(COVID 19)의 방역의 일환으로 마스크 사용이 의무화되고 있는 추세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마스크 원단은 피부에 물리화학적인 자극을 지속적으로 야기하여 피부 장벽의 심각한 손상을 유발한다. 이런 피부장벽의 손상으로 인해 이차적인 미생물들의 침입이 가능해져 트러블, 여드름, 뾰루지 등의 피부 문제가 심화되고 있다.
피부는 표피(epidermis), 진피(dermis), 피하조직(subcutaneous tissue, hypodermis)으로 구성된 기관으로써 수분 유지 및 병원균을 포함한 외부 감염원의 침입을 방어하는 장벽기능(barrier function)을 수행한다. 주로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로 구성된 표피는 두께가 0.05 - 1.5 mm 정도 밖에 되지 않지만 낮은 투과성으로 외부 환경에서 인체를 보호하는 물리적 장벽은 물론, 체내 수분을 보호하는 보습장벽, 항균 펩타이드(antimicrobial peptide)로 구성된 화학적 장벽 등 대부분의 피부장벽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마스크를 쓰는 행위 같은 물리적, 화학적 자극을 받게 되면 피부장벽기능이 손상되고 염증 반응이 증가하여 각종 피부 트러블이 발생하게 되어 불편감을 호소하게 된다. 이러한 대부분의 피부 트러블 증상을 호전시키기 위해 염증 반응을 억제하는 국소부신피질 호르몬 제제를 사용하지만, 국소부신피질 호르몬 제제의 장기간 사용은 피부 위축 및 역치값 상승에 따른 다양한 전신 부작용을 유발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부작용이 적고 피부 친화적인 활성 소재 개발을 필요로 한다.
표피세포의 95%를 차지하는 각질형성세포는 기저층(basal layer)에서 증식(proliferation)하면서, 점차 상부인 유극층(spinous layer), 과립층(granular layer)을 거쳐 각질세포(corneocyte)로 최종 분화(differentiation)한다. 이러한 분화과정에서 각질형성세포는 납작한 모양의 핵이 없는 각질세포로 변형되고, 동시에 표피의 과립층과 유극층 상부에서 인볼루크린(involucrin), 표피의 과립층과 각질층에서 로리크린(loricrin), 필라그린(filaggrin) 등 분화를 촉진하는 인자들이 발현하여 각질 내 케라틴 세섬유(keratin filament)를 응집함으로써 단단하고 편평한 구조인 각질세포막(cornified cell envelope)을 형성, 피부의 강력한 물리적인 장벽과 투과장벽기능에 기여하게 된다. 특히, filaggrin은 분해과정을 통해 pyrrocarboxylic acid나 trans-urocanic acid등의 천연함습인자(natural moisturizing factors)를 형성하여 피부 보습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함은 물론, 각질층 pH의 정상화, 항염작용 등도 수행한다. 피부는 또한 화학적 장벽의 기능도 갖고 있다. 이러한 화학적 장벽 기능은 각질세포 간 지질의 투과 장벽 기능과 피부 표면의 낮은 산성도(pH 5.5), 각질층 내 항균 펩타이드 등에 의해 유지된다. 이러한 항균 펩타이드는 감염이나 염증반응에 의해 급격하게 증가하면서 일차적인 방어기능을 수행하고, 2차적으로 호중구, 비만세포, 단핵구 등과 같은 면역 세포를 활성화하여 면역을 증진하는 화학장벽 기능을 수행한다. 만성 피부질환에서 높은 세균 감염율을 보이는 것은 이러한 항균성 펩타이드의 발현의 저하와 관련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이후 마스크는 일상의 필수품이 됐다. 동시에 마스크로 인한 여드름, 일명 '마드름'을 호소하는 이들도 부쩍 늘었다. 영어권 나라에선 마스크(mask)와 여드름(acne)을 합쳐 '마스크네(maskne)'라는 말도 생겨났다. 마스크가 피부에 계속 마찰을 일으키며 미세한 상처를 유발하는데 이는 박테리아가 살기 좋은 데다 모공에 이물질이 끼기 쉬운 환경이 된다. 또한, 숨을 쉬는 동안 마스크 안에 뜨겁고 축축한 환경이 조성되는데, 이는 곧 땀과 유분, 박테리아 생성으로 이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가장 큰 목표는 이러한 피부 자극으로 인하여 장벽 손상으로 발생되는 각종 피부 트러블을 개선하고 진정시키기 위한 다양한 화장료를 개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마스크 원단의 마찰 등의 이유로 발생된 피부장벽의 손상 및 피부 상처, 트러블에 작용하는 것으로 피부장벽 회복 및 피부 재생 효과가 우수한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 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카퍼트리펩타이드-1 0.0001~1% 중량, 헥사펩타이드-22 다이머 0.0001~1% 중량, 아세틸테트라펩타이드-15 0.0001~1% 중량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 된다.
또 다른 형태로서, 본 발명은 1종 이상 선택되는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펩타이드는 화장료 조성물에 0.0001~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는 화장수, 유액, 젤, 크림, 에센스, 팩, 앰플, 로션, 세정료, 비누, 바디제품류, 비누, 오일, 립스틱 및 파운데이션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피부 진정 및 재생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그 유효성분인 펩타이드 뿐만 아니라,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담체로서, 정제수, 일가 알코올류(에탄올 또는 프로필 알코올), 다가알코올류(글리세롤, 1,3-부티렌글리콜 또는 프로필렌글리콜), 고급지방산류(팔미틸산 또는 리놀렌산), 유지류(소맥 배아유, 동백기름, 호호바유, 올리브유, 스쿠알렌, 해바라기유, 마카데미아땅콩유, 아보가드유, 또는 지방산 글리세라이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필요에 따라, 계면활성제, 보습제, 방부제, 산화방지제 등을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계면활성제로는,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로서, 알킬벤젠설폰산염, 폴리옥시알킬렌알킬황산 에스테르염, 알킬황산 에스테르염, 올레핀설폰산염, 알킬인산염,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테르인산염, 디알킬설포석신산염, 지방산염 등을 들 수 있고,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 에스테르, 다가 알콜지방산 부분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다가 알콜지방산 부분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유도체, 지방산디에탄올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3급 지방족 아민염, 알킬트리메틸암모늄할라이드, 디알킬디메틸암모늄할라이드 등을 들 수 있고, 양쪽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아미드베타인형, 이미다졸리늄 베타인형, 설포베타인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보습제로서는,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소르비톨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방부 제로서는, 벤조산, 데하이드로아세트산, 파라옥시벤조산에스테르(파라옥시벤조산메틸, 파라옥시벤조산부틸 등), 페녹시에탄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산화방지제로서는, 아스코르브산, BHA 등을 들 수 있으며, 이외에도, 자외선 흡수제, 소염제 및 청량제 등을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001~10.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0.001~10.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001~0.1% 중량%가 함유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화장료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화장수, 유액, 젤, 크림, 에센스, 팩, 앰플, 로션, 세정료, 비누, 바디제품류, 비누, 오일 등의 스킨케어 화장료, 립스틱, 파운데이션 등의 메이크업 화장료 등을 들 수 있고, 그 제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매일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정해지지 않은 기간 동안 에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연령, 피부상태 또는 피부타입, 펩타이드의 농도에 따라 사용량, 사용횟수 및 기간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마스크 원단의 마찰 등의 이유로 발생된 피부장벽의 손상 및 피부 상처, 트러블에 작용하는 것으로 피부장벽 회복 및 피부 재생 효과가 우수한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면서 피부장벽의 손상을 회복시키고 항염증 효과와 피부 재생 효과가 탁월하여 마스크 원단의 마찰 등에 의해 손상된 피부를 빠르게 개선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제조예 1~4에 대한 화학적 피부 장벽 방어 및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항균펩타이드인 LL37 및 염증물질인 IP-10의 mRNA 발현량을 그래프로 도식화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제조예 1~4에 대한 물리적 피부 장벽 방어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Involucrin, Loricrin, Filaggrin의 mRNA 발현량을 그래프로 도식화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제조예 1~4에 대한 피부 상처치유 및 재생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Wound healing test 결과를 도식화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제조예 5~7에 대한 피부 상처치유 및 재생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Wound healing test 결과를 도식화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제조예 7에 대한 물리적 자극으로 손상된 피부의 진정 및 붉은톤 개선 효과율을 인체적용시험으로 평가하여 그래프로 도식화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지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 히 전달하기 위해 제공하는 것이다.
제조예 1~4. 화장품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제조
펩타이드를 하기 표 1의 중량비율로 함유하는 액상 조성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화장품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의 중량비율
시료명 중량비율
제조예 1 제조예 2 제조예 3 제조예 4
헥사펩타이드-22 다이머 1 2 3 2
아세틸 테트라펩타이드-15 5 3 3 2
카퍼트리펩타이드-1 1 2 1 3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예 1~4에 대한 화학적 피부 장벽 방어 및 항염증 효과
상기 제조예 1~4의 액상 조성물 시료 처리가 각질형성세포(HaCaT cell)에서 화학적 장벽 방어 및 항염증에 어떠한 영향을 나타내는지 평가하였다. HaCaT 세포를 10% FBS가 첨가된 DMEM 배지를 이용하여 2.5×105cells/ml 로 6 well plate에 분주하고 24시간동안 배양 한 뒤, 샘플을 처리하고 24시간동안 배양하였다. IP-10 분석용 샘플에서는 샘플처리 한 시간 후에 TNF-a와 IFN-r를 처리하여 세포를 자극시켰다. 세포를 회수하여 RNA를 얻은 후 cDNA를 제작하고 Human LL37, IP-10, GAPDH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이하 PCR 분석 실험법으로 실험하였다. PCR 분석 실험에 사용한 프라이머 종류와 서열은 하기 표 2와 같다.
PCR에 사용된 프라이머 종류 및 염기서열
유전자 서열
정방향 프라이머 ( 5' -> 3' ) 역방향 프라이머 ( 5' -> 3' )
LL37 GGCGGTAGAGGTTAGCATCC (서열번호 1) ATCAGGAAGGCTCCTGGTTG (서열번호 2)
IP-10 TGCAAGCCAATTTTGTCCACGTGTTG (서열번호 3) GCAGCTGATTTGGTGACCATCATTGG (서열번호 4)
Involucrin ACCTAGCGGACCCGAAATAA (서열번호 5) TGGAACAGCAGGAAAAGCAC (서열번호 6)
Loricrin CACTGGGGTTGGGAGGTAGT (서열번호 7) GCTCTCATGATGCTACCCGA (서열번호 8)
Filaggrin AAGCTTCATGGTGATGCGAC (서열번호 9) TCAAGCAGAAGAGGAAGGCA (서열번호 10)
GAPDH CGAGATCCCTCCAAAATCAA (서열번호 11) TGTGGTCATGAGTCCTCCCA (서열번호 12)
모든 제조예 1~4에서 항균펩타이드인 LL37의 mRNA 증가를 확인하였으며, 그 중 제조예 4가 정상군(Normal; N) 대비 각각 520%로 가장 효과가 좋았다. 또한, 모든 제조예 1~4에서 TNF-a와 IFN-r로 자극되어 분비된 염증물질인 IP-10 mRNA 감소를 확인하였으며 그 중 제조예 4가 대조군(Control; C) 대비 억제율이 70%로 가장 효과가 좋았다(P<0.05)(도 1).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예 1~4에 대한 물리적 피부 장벽 방어 효과
상기 제조예 1~4의 액상 조성물 시료 처리가 HaCaT 세포에서 물리적 장벽 방어에 어떠한 영향을 나타내는지 평가하였다. HaCaT 세포를 10% FBS가 첨가된 DMEM 배지를 이용하여 2.5×105cells/ml 로 6 well plate에 분주하고 24시간동안 배양 한 뒤, 상기 제조예의 시료를 처리하고 24시간동안 배양하였다. 세포를 회수하여 RNA를 얻은 후 cDNA를 제작하고 Human Involucrin, Loricrin, Filaggrin, GAPDH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이하 PCR 분석 실험법으로 실험하였다. PCR 분석 실험에 사용한 프라이머 종류와 서열은 상기 표 2와 같다.
모든 제조예 1~4에서 각질세포 분화촉진 인자인, 인볼루크린, 로리크린, 필라그린의 농도의존적인 mRNA 증가를 확인하였으며 그 중 제조예 4가 정상군(Normal; N) 대비 각각 약 370%, 약 620%, 약 350%로 가장 효과가 좋았다(P<0.05)(도 2).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예 1~4에 대한 피부 상처치유 및 재생 효과
상기 제조예 1~4의 액상 조성물 시료 처리가 HaCaT 세포에서 상처에 대한 치유효과 및 재생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평가하였다. HaCaT 세포를 10% FBS가 첨가된 DMEM 배지를 이용하여 2.5×105cells/ml 로 12 well plate에 분주하고 24시간동안 배양 하였다. 12 well plate에 가득 자란 세포에 스크래치를 내어 세포의 일부분을 제거한 뒤, 상기 제조예 1~4의 시료를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모든 제조예 1~4에서 정상군(Normal; N) 대비 물리적으로 세포를 제거한 곳에서 시간에 따른 세포 이동 및 재생활성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제조예 4가 가장 효과가 좋았다(도 3).
제조예 5~7. 화장품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크림 제조
제조예 4의 액상 조성물을 함유하는 크림을 하기 표 2의 조성 및 함량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화장품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크림의 성분 및 함량
성 분 함량 (중량%)
제조예5 제조예6 제조예7
헥사펩타이드-22 다이머 0.0002 0.02 0.2
아세틸 테트라펩타이드-15 0.0002 0.02 0.2
카퍼트리펩타이드-1 0.0003 0.03 0.3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2.0 2.0 2.0
스테아릴알콜 2.2 2.2 2.2
스테아린산 1.5 1.5 1.5
밀납 1.0 1.0 1.0
폴리솔베이트 60 1.5 1.5 1.5
솔비탄스테아레이트 0.6 0.6 0.6
정화식물유 1.0 1.0 1.0
스쿠알란 3.0 3.0 3.0
광물유 5.0 5.0 5.0
트리옥타노인 5.0 5.0 5.0
디메치콘 1.0 1.0 1.0
소듐마그네슘실리케이트 0.1 0.1 0.1
글리세린 5.0 5.0 5.0
베타인 3.0 3.0 3.0
트리에탄올아민 1.0 1.0 1.0
소듐히아루로네이트 4.0 4.0 4.0
방부제, 향, 색소 미량 미량 미량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예 5~7에 대한 피부 상처치유 및 재생 효과
상기 제조예 5~7의 화장료 조성물의 처리가 HaCaT 세포에서 상처에 대한 치유효과 및 재생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평가한 결과, 모든 제조예 5~7에서 정상군(Normal; N) 대비 물리적으로 세포를 제거한 곳에서 시간에 따른 세포 이동 및 재생활성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제조예 7이 가장 효과가 좋았다(도 4).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예 7에 대한 물리적 자극으로 손상된 피부의 진정 및 붉은톤 개선 효과
상기 제조예 7의 화장료 조성물의 처리가 물리적 자극에 대한 피부 진정 효과 및 붉은톤 완화 효과가 있는지 평가하기위해 인체적용시험으로 확인하였다. 현재 알레르기 증상이 없는 만20~60세의 건강한 시험대상자(평균나이 39.3세)를 대상으로 시험을 실시하였고, 최종 20명(중도탈락:0명)이 시험을 종료하였다. 측정 부위 및 측정 방법으로는 왼쪽 전박부를 시험군과 대조군으로 나누어 마스크 자극 후 각각 Tewameter 및 Mexameter 기기를 사용하여 측정 하였다. 기기측정 후 시험군 부위에만 시험제품을 20㎕/cm2씩 도포 후 시험군과 대조군 부위를 각각 기기로 측정하였다. 무도포 부위와 시험 제품 도포 부위에 시간(time)과 처리(treatment) 2개의 반복요인을 사용하여 비교한 결과, 제품 도포 부위의 TEWL이 통계적으로 42.42% 유의하게 개선되었으며(P<0.05), 제품 도포 부위의 Erythema 또한, 통계적으로 33.85% 유의하게 개선되었음을 확인하였다(P<0.05)(도 5).

Claims (5)

  1. 카퍼트리펩타이드-1 0.0001~1% 중량, 헥사펩타이드-22 다이머 0.0001~1% 중량, 및 아세틸 테트라펩타이드-15 0.0001~1% 중량을 포함하는 피부 상처치유 또는 재생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카퍼트리펩타이드-1, 헥사펩타이드-22 다이머 및 아세틸 테트라펩타이드-15는 2:2:3 중량비율로 혼합된 것이 특징인,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유액, 젤, 크림, 에센스, 팩, 앰플, 로션, 세정료, 비누, 바디 제품류, 비누, 오일, 립스틱 및 파운데이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KR1020200132010A 2020-10-13 2020-10-13 피부장벽 손상 회복 및 피부 세포 재생 효과가 우수한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011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2010A KR102601148B1 (ko) 2020-10-13 2020-10-13 피부장벽 손상 회복 및 피부 세포 재생 효과가 우수한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2010A KR102601148B1 (ko) 2020-10-13 2020-10-13 피부장벽 손상 회복 및 피부 세포 재생 효과가 우수한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8755A KR20220048755A (ko) 2022-04-20
KR102601148B1 true KR102601148B1 (ko) 2023-11-13

Family

ID=81395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2010A KR102601148B1 (ko) 2020-10-13 2020-10-13 피부장벽 손상 회복 및 피부 세포 재생 효과가 우수한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114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76274A (zh) * 2016-08-26 2016-12-07 深圳市维琪医药研发有限公司 一种具有抗敏作用的多肽组合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76274A (zh) * 2016-08-26 2016-12-07 深圳市维琪医药研发有限公司 一种具有抗敏作用的多肽组合物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웹페이지, Inventory of Ingredients,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8755A (ko) 2022-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024703A1 (zh) 一种水溶性富勒烯外用组合物
KR101047769B1 (ko) 임모르뗄꽃 및 로얄젤리의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재생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114029A (ko) 알로에베라잎즙 및 할미꽃, 병풀, 쇠비름 및 위치하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KR20060089898A (ko) Egcg와 장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220114509A (ko) 세정제 조성물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올인원 세정제
KR101986513B1 (ko) 토코페릴아세테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입술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80688B1 (ko) 피부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JP5154762B2 (ja) インターロイキン6産生抑制剤
KR102601148B1 (ko) 피부장벽 손상 회복 및 피부 세포 재생 효과가 우수한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025339A (ko) 플로레틴, 프로태티아마이신 항생펩타이드 유도체, 고안정성 상피세포 성장인자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드름 피부케어 화장품 조성물
KR20170010499A (ko) 달팽이 점액 발효여과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장벽 개선 및 높은 피부 흡수율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과 기능성 화장품
KR102283326B1 (ko) 락토바실러스발효물, 락토코쿠스발효물, 효모폴리펩타이드,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 포도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48466B1 (ko)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33132B1 (ko) 프랜지패니 오일 또는 프랜지패니 오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396476B1 (ko) 화장품용 크림 조성물
KR20190017420A (ko)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0528033B1 (ko) 4-하이드록시-5-메톡시-4-[2-메틸-3-(3-메틸-2-부테닐)-2-옥시란닐]-1-옥사스피로[2,5]옥탄-6-온을 함유한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2211761B1 (ko) 미네랄 복합체를 포함하는 체취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424726B1 (ko) 안정화시킨 비타민 c와 파이토스핑고신을 함유하는 피부보호화장료 조성물
KR102566925B1 (ko) 함박꽃나무, 자목련꽃나무, 천궁뿌리, 동아씨, 복숭아씨, 황기뿌리 및 복령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57422B1 (ko) 때죽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정 또는 세척제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KR102202210B1 (ko) 육두구 추출물, 히알루론산 및 세리신을 포함하는 수분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60900B1 (ko) 에피프리델라놀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재생 또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125492A (ko) 뱀딸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30016929A (ko) 박하잎 추출물, 밀싹 추출물 및 길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공 축소 또는 피지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