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7769B1 - 임모르뗄꽃 및 로얄젤리의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재생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임모르뗄꽃 및 로얄젤리의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재생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7769B1
KR101047769B1 KR1020090081015A KR20090081015A KR101047769B1 KR 101047769 B1 KR101047769 B1 KR 101047769B1 KR 1020090081015 A KR1020090081015 A KR 1020090081015A KR 20090081015 A KR20090081015 A KR 20090081015A KR 101047769 B1 KR101047769 B1 KR 1010477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royal jelly
immorium
flowers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1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3257A (ko
Inventor
황준영
김유정
이종석
채병근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0900810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7769B1/ko
Publication of KR20110023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32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7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77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61K8/988Honey; Royal jelly, Propol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9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fermentation using yeast, bacteria or both; enzymat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Zo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재생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임모르뗄꽃(Helichrysum Italicum flower) 및 로얄젤리(Royal Jelly)를 유산균(Lactobacillus) 발효 기술을 이용하는 발효 공정으로 추출한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여 우수한 피부 재생 촉진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임모르뗄꽃 * 로얄젤리 * 유산균 * 발효 추출물 * 피부 재생 * 화장료 조성물

Description

임모르뗄꽃 및 로얄젤리의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재생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promoting skin-regeneration containing fermented extract of Helichrysum Italicum flower and Royal Jelly}
본 발명은 피부 재생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임모르뗄꽃(Helichrysum Italicum flower) 및 로얄젤리(Royal Jelly)를 유산균(Lactobacillus) 발효 기술을 이용하는 발효 공정으로 추출한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여 우수한 피부 재생 촉진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인체의 일차 방어막으로서 체내의 기관들을 온도와 습도 변화, 자외선, 공해물질 등 외부환경의 자극으로부터 보호해 주며, 체온조절 등의 생체 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런 피부의 맨 바깥에 있는 각질은 피부의 세포가 변화되어 생긴 조직이며 각질층은 완전히 죽은 세포로 구성되어있다. 진피층에서 피부 결합조직 안에 성기게 형성된 세포층은 표피층으로 올라가면서 세포의 생명력이 없어지고 견고하고 규칙적인 세포층으로 변한다. 핵과 세포질이 빠져나가서 벽돌과 같이 단단한 각질층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각질층은 피부를 견고하게 하면서 피부조직 가장 외부에서 우리 몸의 수분을 지켜주고 밖에서 들어오는 여러 가지 물질들을 방어하는 방어선과 같은 역할을 한다.
피부 세포의 생성과 각질화 과정은 피부 건강을 유지하는 중요한 사이클이다. 피부 세포의 재생 능력이 좋을 경우에는 피부 세포가 진피층에서 빨리 생성되어 빨리 각질화되게 되고 외부 자극에 의해 손상되고 노화된 각질이 빨리 새롭게 생성된 각질로 대체되어 건강한 피부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게 된다. 피부 역시 인체의 다른 장기와 마찬가지로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재생 능력이 떨어지게 되고 점차 노화가 진행되게 되어서, 그 결과로서 피부의 탄력이 손실되고, 오래된 각질이 교체되지 않아 피부가 각질화되며, 탄력을 유지해주는 구조와 섬유가 줄어들어 주름이 생성되며, 피부가 위축되는 등의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피부 노화 현상의 원인은 크게 두 가지로 세포의 유전자 변이, 조직 변화 등 내적 요인과 자외선, 습도 등 외적 요인으로 분류될 수 있다(Masamitsu Ichihashi, Fragrance Journal, Vol. 32, No. 5, 24~30). 다른 인체조직과 마찬가지로 세포의 조직 변화와 인체 활력 저하 등의 내적 요인은 피부 조직의 활력을 떨어뜨려 정상적인 피부 세포의 재생 능력을 약화시킨다. 또한 자외선 등의 외부 요인은 세포 내부에 라디칼이라 불리는 활성 산소를 생성하고, 이 활성 산소는 염증성 반응을 일으키는 신호전달 체계를 통하여 진피층의 탄력 섬유인 콜라겐, 엘라스틴 등의 단백질 분해 효소(MMP-1, MMP-3, MMP-9, etc.)의 합성을 촉진하여(Fisher G.J. et al., Nature, Vol. 379, 335~339) 진피층의 탄력을 감소시킴으로써 피부의 주름을 유발하고는 피부 활력을 떨어뜨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러한 피부 재생 능력을 높여 건강한 피부를 유지시키고 건강하고 탄력 있는 피부를 유지하기 위하여 피부 재생 촉진 효과가 있는 생리활성물질을 개발하고자 하는 노력이 꾸준히 있어 왔다. 트레티노인(tretinoin, trans-retinoic acid)이나 레티놀이 화장품 원료에 사용되기 시작하였고 그 이후로 여성 호르몬 유사 물질, 각종 식물에서 추출한 항산화제 등이 이러한 효능의 원료로서 화장품에 도입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화장품 원료들은 대부분 효능이 미진하거나 피부 자극 같은 부작용을 유발하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피부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으면서도 피부 재생 증진 효과를 갖는 원료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미생물을 이용한 발효 기술이 발전되면서 식물이나 기타 천연원료로부터 유래되는 물질을 발효 기술을 통해서 얻어낸 2차 대사산물을 생리 활성 물질로 이용하는 경우가 많이 늘어나고 있다. 이 성분들은 다양한 생리활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어 고기능성 화장품의 신원료로 주목을 받고 있다. 이 기술을 이용하면 천연에 존재하는 물질이지만 그 양이 매우 적거나 피부에 적용하기는 어려웠던 고기능성 활성물질을 경제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지금까지 사용하지 못했던 신성분들을 개발하고 응용할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특히 기능성 화장품에 대한 고객들의 요구가 증대하는 것만큼 신기능성 소재나 관련 기술의 발전이 충분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무수히 많은 신 기능성 성분들을 만들어낼 수 있는 미생물 발효 기술을 이용한 화장품은 다양한 피부 효능, 특히 항노화 효능 부분에서 큰 인기를 끌게 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피부 자극이 없는 천연 유래 성분이면서 피부 재생 촉진 효과 및 피부 노화 예방 효과가 뛰어난 화장료 개발을 위해 연구를 거듭한 결과, 임모르뗄꽃과 로얄젤리의 발효 추출물이 피부 재생 촉진 효과가 우수하여 피부 노화를 막고 피부 수분량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임모르뗄꽃 및 로얄젤리의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여 피부 재생 촉진 및 피부 노화 방지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임모르뗄꽃 및 로얄젤리의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재생 촉진용 화장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임모르뗄꽃 및 로얄젤리의 발효 추출물은 피부 세포의 활성을 높여주고 피부 재생 능력과 직결되는 피부 수분량을 늘려주며 활성 산소를 제거함으로써 콜라겐 합성 촉진, 각질 형성 세포의 분화 촉진, 손상된 피부 장벽 기능의 회복, 피부 보습력 증가 및 피부 주름 개선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임모르뗄꽃 및 로얄젤리의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재생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임모르뗄꽃(Helichrysum Italicum flower) 및 로얄젤리(Royal Jelly)의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재생 촉진용 화장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임모르뗄꽃(Helichrysum Italicum flower)은 오래 전부터 널리 사용되어온 허브 플라워로 플로리스트들 사이에서 에버레스팅 꽃으로도 불리는 식물이다. 오랜 세월 향수의 재료로 사용된 헬리크리섬 오일의 원료이기도 하다. 지중해 연안이 원산지인 이 식물은 은빛의 길쭉한 모양의 잎사귀와 작은 황색의 꽃망울이 있는 식물이다. 노란 꽃이 피게 되면 커리향이 난다고 하여 커리플라워라는 별칭도 가지고 있다. 헬리크리섬(Helichrysum)이라는 이름의 유래는 꽃이 마치 태양을 닮았다고 하여 그리스어로 태양을 뜻하는 helios와 황금을 의미하는 chrysos의 합성어이다. 임모르뗄꽃은 일반적인 꽃과 다르게 꽃이 시든 이후에도 모양과 색깔이 변하지 않는다고 하여 예로부터 에버레스팅 플라워라고 불려졌으며, 이 식물을 증기로 추출하여 증류한 것이 헬리크리섬 오일이고, 이 오일은 매우 소량만 얻을 수 있어 매우 비싼 오일에 속한다. 피부에 거의 부작용이 없는 고급 오일로 알려져 있으며 최근 다양한 연구와 실험으로 그 동안 밝혀지지 않은 효능 및 효과들이 하나씩 알려지고 있는 중이다.
임모르뗄꽃의 경험적으로 알려진 효능에 따르면 정서적으로는 심신의 안정과 혈액순환 촉진 등의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피부에 적용했을 경우 피부재생 능력을 향상시켜주며, 종기, 여드름, 피부염, 상처 및 습진 등에 효과가 있어 상처 재생, 항염 및 항박테리아 기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근육통이 나 관절의 통증 등을 완화시켜주는 효과도 알려져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로얄젤리(Royal Jelly)는 왕유(王乳)라고도 하는 물질로 꿀벌 중 일벌이 유충을 기르는 시기에만 타선(唾腺)이 포육선(哺育腺)으로 발달하여 분비되는 유상물질로서, 일벌의 유충에게 4일간만 먹이고 주로 여왕벌을 기르기 위하여 저장된다. 이것을 먹은 여왕벌은 약 120만 개의 알을 낳고 일벌의 약 20배나 장수한다. 그러므로 예로부터 불로장수, 정력의 묘약으로 알려져 있다. 담황색의 버터 상태로 된 액체로 특이한 향기가 있으며, 성분으로 단백질 20~30%, 탄수화물 15%, 지방 10~15%, 수분 50~60%를 함유하고, 그 밖에도 여러 종류의 비타민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다. 여왕벌의 유충을 기르는 왕대(王臺) 1개에 0.1~0.5g의 로얄젤리가 저장되어 있다. 강장·강정·영양제, 피로, 권태, 쇠약, 빈혈, 체질개선, 갱년기 장애, 성기능부전, 피부미용 및 노화방지 등에 애용된다. 특히, 여성의 피부를 윤택하게 하는 아세틸 콜린계 신경전달 물질과 근육 피부 등을 젊게 하는 타액선 호르몬인 파로틴 유사물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고 한다. 이외에 10-HAD(10-Hydroxy-2-decenoic Acid) 등이 포함되어 있어 다양한 효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임모르뗄꽃과 로얄젤리를 추출한 추출물 자체로 효능을 낼 수 있지만, 유산균(Lactobacillus)을 이용한 발효 공정을 거치게 되면 더 효율적으로 피부에 적용할 수 있다. 즉, 효능 물질이 유산균 발효 공정을 거치게 되면 유산균이라는 생체 친화적인 미생물의 생체 대사과정을 거치게 되고, 이러한 유산균의 대사과정을 통해 생체에 유해한 성분들이 분해 혹은 중화됨으로써 생체에 유익한 성분 들만이 인체에 친화적으로 입자가 작고 안정한 형태로 남게 되어 인체에 적용할 때 보다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산균 발효 공정은 일반적인 발효공정과 달리 유산균을 발효시키는 배지(culture media)를 첨가하지 않고 물과 유산균 균체, 발효의 소재로 사용될 임모르뗄꽃과 로얄젤리 추출물만을 투입하여 발효를 진행하게 된다. 인체에 적용했을 경우 문제가 생길 요소와 취, 색상 문제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이러한 발효액을 구성하여 발효를 진행하게 된다. 유산균 발효 공정의 구체적인 예를 들면, 발효액의 조성은 임모르뗄꽃 추출물을 45중량%, 로얄젤리 5중량%, 유산균 균체 10중량%, 물 40중량%로 하고, 37℃ 가 유지되는 항온 반응조에서 400rpm의 속도로 교반하여 공기 중의 산소를 이용하여 발효 반응이 일어날 수 있는 조건을 만들어 준다. 최소 48시간에서 최장 72 시간 동안의 발효 공정을 거친 후 반응액을 수집하여 초고속 원심분리(3600rpm), 울트라 필터레이션(pore size = 10㎛) 등의 정제 과정을 거쳐 순수한 발효 상등액만을 취한다. 이렇게 얻은 발효 상등액을 수용액 10중량%와 미생물 오염 방지를 위해 에틸알코올 3중량%, 부틸렌 글라이콜 20중량%를 물과 혼합하여 100중량%가 되도록 하면 발효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임모르뗄꽃과 로얄젤리의 발효 추출물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10중량%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발효 추출물의 함량이 0.0001중량% 미만이면 상기 성분에 의한 피부 재생 촉진 효과를 얻을 수 없고, 10중량%를 초과하면 함량 증가에 비해 효과의 증가가 크지 않아서 오히려 비효율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이는 피부에 적합한 모든 제형으로서,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및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로, 또는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 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들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또한 포말(foam)의 형태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지방 물질, 유기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제는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며, 예를 들면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팩, 젤 또는 피부 점착 타입 화장료의 제형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 명의 범위가 반드시 이들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임모르뗄꽃 및 로얄젤리의 발효 추출물 제조
발효액의 조성은 임모르뗄꽃 추출물(메디오젠, 한국)을 45중량%, 로얄젤리 추출물(메디오젠, 한국) 5중량%, 유산균 균체 10중량%, 물 40중량%로 하였다. 상기의 비율로 혼합된 배양액을 37℃가 유지되는 항온 반응조에서 400rpm의 속도로 교반하여 공기가 반응액 속에 잘 섞여 들어갈 수 있도록 해주고 이 공기중의 산소를 이용하여 발효 반응이 일어날 수 있는 조건을 만들어 주었다. 72시간 동안의 발효 공정을 거친 후 반응액을 수집하여 초고속 원심분리(3600rpm), 울트라 필터레이션(pore size = 10㎛)의 정제 과정을 거쳐 순수한 발효 상등액만을 취하였다. 이렇게 얻은 발효 상등액을 수용액 10중량%와 미생물 오염 방지를 위해 에틸알코올 3중량%, 부틸렌 글라이콜 20중량%를 물과 혼합하여 100중량%가 되도록 하여 임모르뗄꽃 및 로얄젤리의 발효 추출물을 얻었다.
[제조예 2] 임모르뗄꽃 및 로얄젤리의 추출물 제조
임모르뗄꽃 추출물(메디오젠, 한국) 45중량%, 로얄젤리 추출물(메디오젠, 한국) 5중량% 및 물 50중량%을 혼합한 용액을 72시간 숙성하여 초고속 원심분리(3600rpm), 울트라 필터레이션(pore size = 10㎛)의 정제 과정을 거쳐 순수한 상등액만을 취하였다. 이렇게 얻은 상등액을 수용액 10중량%와 미생물 오염 방지를 위해 에틸알코올 3중량%, 부틸렌 글라이콜 20중량%를 물과 혼합하여 100중량%가 되 도록 하여 임모르뗄꽃 및 로얄젤리의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2]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실시예 1 및 비교예 1~2의 에멀젼 제형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예 1~2에서 제조한 임모르뗄꽃 및 로얄젤리의 발효 추출물과 임모르뗄꽃 및 로얄젤리의 추출물을 이용하여 각각의 제형을 제조하였다.
성분 실시예 1
(중량%)
비교예 1
(중량%)
비교예 2
(중량%)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글리세린 5 5 5
부틸렌글라이콜 5 5 5
카보머 0.02 0.02 0.02
트리에탄올아민 0.02 0.02 0.02
디소듐이디티에이 0.02 0.02 0.02
임모르뗄꽃 및 로얄젤리의 발효
추출물(제조예 1)
5 - -
임모르뗄꽃 및 로얄젤리의
추출물(제조예 2)
- 5 -
페녹시에탄올 0.3 0.3 0.3

하이드로제네이티드C6-14올레핀폴리머 2 2 2
세틸옥타노에이트 5 5 5
스테아릭애씨드 1.5 1.5 1.5
세테아릴알코올 2 2 2
폴리소르베이트 60 1.2 1.2 1.2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0.5 0.5 0.5
향료 0.1 0.1 0.1
<실시예 1 및 비교예 1~2의 제조방법>
1. 글리세린(용매), 부틸렌글라이콜, 페녹시에탄올, 트리에탄올아민 및 디소듐이디티에이를 첨가한 후, 70℃로 가온하며 용해시켜 수상 파트를 제조하였다.
2. 하이드로제네이티드 C6-14 올레핀 폴리머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데센), 세틸옥타노에이트 오일에 스테아릭애씨드, 세테아릴알코올과 유화제인 폴리소르베이트 60,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및 향료를 첨가하고 70℃로 가온하면서 천천히 용해시켜 유상 파트를 제조하였다.
3. 상기 1의 수상 파트와 상기 2의 유상 파트를 70℃에서 믹서(Homogenizer)를 이용하여 5분간 70,000rpm으로 함께 섞어주었다.
4. 상기 3의 혼합물에 카보머를 첨가하여 점증 및 안정화하고, 임모르뗄꽃과 로얄젤리의 추출물 또는 발효 추출물을 투입하여 고루 섞어주고 완전히 혼합된 후에는 냉각시키면서 천천히 저어주었다.
[시험예 1]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
인체 섬유아세포를 24 웰(well) 평판배양기에 배양한 후, 각각 0.1, 0.5, 1.0중량% 농도의 임모르뗄꽃 및 로얄젤리의 발효 추출물(제조예 1)이 포함된 배지로 교체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상기 발효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는 무처리군을 사용하였다. 배양 3일째에 10%의 우태아 혈청이 함유된 DMEM 배지를 각 well 당 0.5㎖씩 첨가한 후, L[2,3,4,5-3H]-프롤린 10μCi를 첨가하였다. 24 시간 경과 후, 각 웰(well)에 들어있는 배지와 세포들을 긁어 모아 5% 트리클로로아세트산 (TCA; Trichloroacetic acid) 용액에 넣어 수세한 후, 2개의 시험관에 분주하고 1개의 시험관에는 타입 I 콜라게나제(type I collagenase) 1unit/㎕를 넣고, 37℃에서 90분간 배양하였으며, 다른 시험관은 4℃에서 보관하였다. 그 후, 모든 시험관에 50% 트리클로로아세트산을 0.05㎖씩 첨가하고 4℃에서 20분간 방치한 다음, 각각 12,0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각각의 상등액과 침전물을 액체 신틸레이션 계수기(LSC; Liquid Scintillation Counter)로 씨피엠(CPM; Count Per Minute) 값을 얻어, 하기 수학식 1에 의거하여 대조군과 실험군에 대해 콜라겐 생합성 값(RCB; Relative Collagen Biosynthesis)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9053291890-pat00001
임모르뗄꽃 및 로얄젤리의
발효 추출물 농도(중량%)
콜라겐 생합성 비율(RCB)(%)
1.0
148
0.5
132
0.1
109
무처리 대조군
100
상기 표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임모르뗄꽃 및 로얄젤리의 발효 추출물이 섬유아세포의 콜라겐 생합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킴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임모르뗄꽃 및 로얄젤리의 발효 추출물은 콜라겐의 생합성을 촉진하여 진피층의 탄력을 증가시킴으로써 피부의 주름을 예방하고 피부 활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시험예 2] 각질형성세포 분화 촉진 효과
임모르뗄꽃 및 로얄젤리의 발효 추출물을 포함한 화장료(실시예 1)와 발효 공정을 거치지 않은 추출물을 포함한 화장료(비교예 1)의 각질형성세포의 분화 촉진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하기와 같이 각질형성 세포의 분화시 생성되는 CE(Cornified Envelop)양을 흡광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먼저, 신생아의 표피로부터 분리해 일차 배양한 사람의 각질형성세포를 배양용 플라스크에 넣어 바닥에 부착시킨 뒤, 하기 표 3의 시험물질을 배양액에 각각 1중량% 농도로 처리한 후 세포가 바닥 면적의 70~80% 정도 자랄 때까지 5일간 배양하였다. 이때, 저칼슘(0.03mM) 처리군과 고칼슘(1.2mM) 처리군을 각각 음성 대조군, 양성 대조군으로 하였다. 그 다음 상기 배양한 세포를 수확하여 PBS(Phophate buffered saline)로 세척한 뒤 2% SDS(sodium dodecyl sulfate)와 20mM 농도의 DTT(Dithiothreitol)를 함유한 10mM 농도의 트리스-염산 완충액(Tris-HCl, pH 7.4) 1ml를 가하여 소니케이션(sonication), 보일링(boiling), 원심 분리한 후 침전물을 다시 PBS 1ml에 현탁시켜 340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와 별도로 상기 소니케이션 후의 용액을 일부 취하여 단백질 함량을 측정하고, 세포 분화 정도 평가시 기준으로 삼았다.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시험물질 각질형성세포에서의 분화능(%)
저칼슘(0.03mM) 용액(음성 대조군) 100
고칼슘(1.2mM) 용액(양성 대조군) 210
비교예 1 136
실시예 1 148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은 모두 각질형성세포의 분화를 촉진하지만, 임모르뗄꽃과 로얄젤리의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실시예 1이 발효 공정을 거치지 않은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교예 1보다 각질형성세포의 분화를 더 많이 촉진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임모르뗄꽃 및 로얄젤리의 발효 추출물은 피부 각질 형성 세포의 분화를 촉진시킴으로써 노화된 각질을 새롭게 생성된 각질로 빠르게 대체시켜 건강한 피부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
[시험예 3] 무모생쥐 피부에서의 피부 장벽 기능 회복 및 피부 보습력 증가 효과 측정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이 피부 손상으로 인해 손상된 피부 장벽 기능의 회복 및 피부 보습력 증가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 측정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출생 후 8 내지 10 주 경과한 무모생쥐(Charles River, Japan)의 등에 아세톤을 1일 2회씩 5일 동안 주기적으로 도포하여 실험동물 등 피부의 장벽 기능 손실을 유도한 다음 증발계(Evaporimeter)로 TEWL(Transepidermal water loss, 경피수분손실)을 측정하여 40g/m2/hr 이상의 경피 수분 손실을 나타내는 피부를 가진 실험동물만을 대상으로 시험물질인 실시예 1 및 비교예 1~2를 피부면적 5cm2 당 200㎕의 용량으로 1일 2회씩 3일 동안 연속 도포하면서 일정 시간마다 TEWL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또한, 코니오미터(Corneometer, 독일 Courage Khazaka사)를 사용하여 피부 수분량을 동시에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이 비교예 2보다 더 빠르게 장벽 손상이 회복되었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부 수분량에 있어서도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이 비교예 2보다 높았다. 그러므로 임모르뗄꽃과 로얄젤리의 추출물 및 발효 추출물이 손상된 피부 장벽을 회복시키는 능력이 높고 피부 수분량을 증가시킴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과 비교예 1을 비교했을 경우, 본 발명의 임모르뗄꽃 및 로얄젤리의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실시예 1의 피부 장벽기능 회복 속도와 피부 수분량 증가가 보다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임모르뗄꽃 및 로얄젤리의 발효 추출물은 손상된 피부 장벽의 회복능이 높고 피부 수분량을 증가시켜 피부 재생 능력이 매우 우수하였다.
[시험예 4] 주름 개선 효과
실시예 1 및 비교예 1~2의 주름개선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30대 여성 20명을 아침 저녁 매일 2회씩 4주간 하박 내측에 도포하게 한 후, 주름의 상태를 화상분석기인 스킨터치 시스템(Skin touch system: STS, True System, Korea)으로 측정하였다. 측정한 결과를 평균하여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이 값은 주름이 적음과 많음을 6분위로 나타내며 숫자가 높을수록 주름이 많은 것을 나타낸다.
구분 평균
실시예 1 1.4
비교예 1 1.8
비교예 2 3.2
상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은 비교예 2에 비하여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탁월하였으며, 특히 임모르뗄꽃 및 로얄젤리의 발효 추출물을 함유한 실시예 1의 조성물을 도포하였을 경우에는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가장 우수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임모르뗄꽃 및 로얄젤리의 발효 추출물은 콜라겐 합성 촉진, 피부 세포의 분화 촉진과 각질형성세포의 분화 촉진, 손상된 피부 장벽 회복, 피부 보습력 증가 및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매우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 및 비교예 1~2에 대해 별도로 실시한 피부 안전성 평가에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대한 안전성 역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임모르뗄꽃 및 로얄젤리의 발효 추출물이 손상된 피부 장벽의 회복에 미치는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임모르뗄꽃 및 로얄젤리의 발효 추출물이 피부 수분량에 미치는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Claims (3)

  1. 임모르뗄꽃(Helichrysum Italicum flower) 및 로얄젤리(Royal Jelly)의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재생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 추출물이 유산균 발효 기술을 이용하는 발효 공정을 통해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재생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임모르뗄꽃 및 로얄젤리의 발효 추출물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10중량%의 양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재생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90081015A 2009-08-31 2009-08-31 임모르뗄꽃 및 로얄젤리의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재생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477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1015A KR101047769B1 (ko) 2009-08-31 2009-08-31 임모르뗄꽃 및 로얄젤리의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재생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1015A KR101047769B1 (ko) 2009-08-31 2009-08-31 임모르뗄꽃 및 로얄젤리의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재생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3257A KR20110023257A (ko) 2011-03-08
KR101047769B1 true KR101047769B1 (ko) 2011-07-07

Family

ID=43931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1015A KR101047769B1 (ko) 2009-08-31 2009-08-31 임모르뗄꽃 및 로얄젤리의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재생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776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3412B1 (ko) 2011-11-08 2012-08-10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유기농 에버라스팅의 미생물 발효를 통한 저분자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보호 및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KR20160118146A (ko) 2015-04-01 2016-10-11 (주)아모레퍼시픽 소듐 2-메르캅토에탄 설포네이트를 함유하는 피부 재생 촉진용 조성물
US9913799B2 (en) 2014-07-11 2018-03-13 Mary Kay Inc. Cosmetic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heir use
KR102010404B1 (ko) 2018-06-04 2019-08-13 주식회사 익스플즌 피부 재생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PI20110101A1 (it) 2011-09-23 2013-03-24 Corso Simone Del Estratto di helichrysum in olio di jojoba e composizioni a base di tale estratto, in particolare, per trattare condizioni della pelle
CN106265465A (zh) * 2016-11-04 2017-01-04 梁丽 面膜膏及制备方法
FR3079144B1 (fr) * 2018-03-20 2020-12-25 Laboratoires M&L Composition cosmetique comprenant une huile essentielle d'immortelle et un extrait huileux de dreches d'immortelle
KR102534977B1 (ko) * 2020-09-15 2023-05-22 한국콜마주식회사 로얄젤리의 락토바실러스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2773742A (zh) * 2021-01-07 2021-05-11 潘伟 一种二氧化硅水凝胶蛋白肽面膜及其制备方法
KR102493601B1 (ko) * 2022-05-19 2023-01-31 (주)유알지 에버라스팅 꽃수를 이용한 미스트용 조성물 제조방법 및 그 미스트용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85972A (en) 1997-01-10 1998-07-28 Tyler; Kathleen A. Colloidal silver, honey, and helichrysum oil antiseptic composition and method of application
US20040115163A1 (en) 2001-01-22 2004-06-17 Antoine Gedouin Cosmetic product
US20040258783A1 (en) 2001-08-29 2004-12-23 L'occitane, A Corporation Of France, Z.I. Saint -Maurice, F-04100 Manosque-En-Provence, France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n essential oil extracted from Helichrysum italicum
KR100465971B1 (ko) 2001-12-07 2005-01-13 주식회사 태평양 항염효과를 갖는 커리플랜트로부터 추출한 헤리크리섬오일 및 그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85972A (en) 1997-01-10 1998-07-28 Tyler; Kathleen A. Colloidal silver, honey, and helichrysum oil antiseptic composition and method of application
US20040115163A1 (en) 2001-01-22 2004-06-17 Antoine Gedouin Cosmetic product
US20040258783A1 (en) 2001-08-29 2004-12-23 L'occitane, A Corporation Of France, Z.I. Saint -Maurice, F-04100 Manosque-En-Provence, France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n essential oil extracted from Helichrysum italicum
KR100465971B1 (ko) 2001-12-07 2005-01-13 주식회사 태평양 항염효과를 갖는 커리플랜트로부터 추출한 헤리크리섬오일 및 그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3412B1 (ko) 2011-11-08 2012-08-10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유기농 에버라스팅의 미생물 발효를 통한 저분자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보호 및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US9913799B2 (en) 2014-07-11 2018-03-13 Mary Kay Inc. Cosmetic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heir use
US10123968B2 (en) 2014-07-11 2018-11-13 Mary Kay Inc. Cosmetic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heir use
US10231922B2 (en) 2014-07-11 2019-03-19 Mary Kay Inc. Cosmetic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heir use
US10617633B2 (en) 2014-07-11 2020-04-14 Mary Kay Inc. Cosmetic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heir use
US11969498B2 (en) 2014-07-11 2024-04-30 Mary Kay Inc. Cosmetic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heir use
KR20160118146A (ko) 2015-04-01 2016-10-11 (주)아모레퍼시픽 소듐 2-메르캅토에탄 설포네이트를 함유하는 피부 재생 촉진용 조성물
KR102010404B1 (ko) 2018-06-04 2019-08-13 주식회사 익스플즌 피부 재생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3257A (ko) 2011-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7769B1 (ko) 임모르뗄꽃 및 로얄젤리의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재생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ES2234537T3 (es) Composicion cosmetica que comprende al menos un hidroxiestilbeno y acido ascorbico.
ES2214689T3 (es) Composicion cosmetica que contiene floroglucinol.
KR102265730B1 (ko) 피부 주름 개선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34208B1 (ko) 식물 태지 성분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19337B1 (ko) 피부 보습 및 피부 진정용 허브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EP0938891A1 (fr) Composition cosmétique contenant de l&#39;acide cinnamique ou de ses dérivés et son utilisation
KR100794518B1 (ko) 팬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045187A (ko) 오이씨 초음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 및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CA3235725A1 (en) Biosurfactant formulations for use in skincare and wound treatment
KR20090105222A (ko) 모공 축소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67938B1 (ko) 병풀추출물, 지모초뿌리추출물, 살구씨오일 및 항산화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피부흡수를 증진시킨 수분 화장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83326B1 (ko) 락토바실러스발효물, 락토코쿠스발효물, 효모폴리펩타이드,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 포도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78167B1 (ko) 지질산화 방지, 자외선에 의한 손상 피부 개선 및 피부 진정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100532633B1 (ko) 혼합 식물추출물을 함유한 항염증효과, 피부보호효과와피부탄력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07193B1 (ko) 금잔화 흑효모 발효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72297B1 (ko) 식물성 단백질 유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97570B1 (ko) 한드로안수스 임페티기노수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추출방법
KR102018512B1 (ko) 단삼 흑효모 발효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90075281A (ko)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028275A (ko) 에센셜 오일 조합을 주성분으로 하는피부 노화방지와주름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및 그 제조방법
KR102202210B1 (ko) 육두구 추출물, 히알루론산 및 세리신을 포함하는 수분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70859B1 (ko) 피부 보습 및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11761B1 (ko) 미네랄 복합체를 포함하는 체취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47786B1 (ko) 항산화 및 안색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