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4208B1 - 식물 태지 성분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식물 태지 성분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4208B1
KR101934208B1 KR1020170113144A KR20170113144A KR101934208B1 KR 101934208 B1 KR101934208 B1 KR 101934208B1 KR 1020170113144 A KR1020170113144 A KR 1020170113144A KR 20170113144 A KR20170113144 A KR 20170113144A KR 101934208 B1 KR101934208 B1 KR 1019342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oil
moisturizing
cosmetic compositio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3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7375A (ko
Inventor
김연숙
조화연
최치호
김주연
김정윤
이승기
문성호
Original Assignee
(주)셀트리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셀트리온 filed Critical (주)셀트리온
Publication of KR20180027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73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4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4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0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2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six membered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2Poly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3Guanid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45Proteins of vegetable origin;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 태지 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천연 보습 인자, 각질층 유사 성분 및 식물성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장벽 강화를 통해 피부 보습 증진에 효과적이며, 특히 영유아의 피부 보습에 효과적이다.

Description

식물 태지 성분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Compositions for Moisturizing Skin Containing Vegetable Vernix Ingredients}
본 발명은 식물 태지 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천연 보습 인자 혼합물, 각질층 유사 성분 및 식물성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신체 중 가장 큰 기관으로 항상 외부환경과 직접 접하고 있으면서 여러 가지 자극이나 건조한 환경으로부터 생체를 보호하는 보호막의 역할을 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신체 내부의 수분의 손실을 막아주며 태양으로부터 나오는 해로운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해주고, 몸의 체온을 조절해주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일반 성인 피부의 경우 피부가 완전히 발달되어 외부 유해 요소로부터 보호막 역할을 충분히 할 수 있지만, 아기의 경우 피부는 물론이고 땀샘 등의 주요 부속 기관들도 아직 미성숙한 상태이기 때문에 경피 수분 손실량이 높아 쉽게 건조해지고 저항력이 떨어져 피부가 손상되기 쉽다.
또한, 갓 태어난 아기라도 성인과 피부 구조는 같지만 기능상으로 볼 때 미흡하다. 12개월이 지나야 성인 피부의 두께 정도가 되므로 아기에게 있어 피부 보호는 기본 요건이며 중요한 일이다. 이런 아기 피부는 얇고, 연약하여 외부의 자극과 세균 감염에 민감하고 침투가 용이하다. 때문에 피부 위에 남아 있는 땀이나 세균 등이 다시 피부 속으로 침투되어 이로 인해 피부가 짓무르게 되고 피부 트러블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아기 피부는 연약하고 섬세할 뿐 아니라 민감하기 때문에 조그마한 외부 자극에도 피부 트러블이 생기기 쉽다. 따라서 피부면역을 강화시켜 주면서 자극이 없는 원료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도 중요하다.
태지(Vernix Caseosa)는 출산 중 신생아의 전신을 덮고 있는 점성의 백색 크림상의 스킨 크림이다. 태지는 태아 표피의 잔류물로 임신 말기에 형성된다. 태어나기 전, 자궁 속 태아의 피부 구조가 덜 발달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양수 환경에서 피부를 보호할 수 있는 이유는 태아를 감싸고 있는 태지가 태아의 피부를 보호하고 각질층 성숙을 촉진하며 세균의 감염을 방지하기 때문이다. 또한, 출생 후에도 태아의 체온조절과 항균, 세척작용, 수화작용 및 피부의 성숙을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태지를 피부 장벽이 붕괴된 실험 모델에 도포한 결과, 홍반이 없어지고 6시간 후 각질세포(corneocyte) 출현, 표피 두께 감소 및 흉터 완화 등 대조군에 비하여 피부 장벽 회복 효과가 우수하였다(비특허문헌 1. 참조). 이는 태지가 12개월 미만 아기에게 부족한 피부 각질층 형성 촉진과 표피 두께 정상화, 피부 장벽 강화시킬 뿐 아니라 화장품 및 의약품으로 이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기존 태지 성분을 이용하여 화장품에 적용된 예가 있기는 하지만, 동물 유래의 태지 성분을 이용한다는 점에 있어서, 안전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원료 수급의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태지 유사 성분으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이는 단순히 수중유형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충분한 보습 효과를 나타내지는 못하였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95679
1. Oudshoorn, M.H.M. Development of a murine model to evaluate the effect of vernix caseosa on skin barrier recovery. Amsterdam: Experimental Dermatology, volume 18, issue 2, pp. 178 - 184 (2009)
이에 본 발명자들은 더욱 높은 안전성과 보습 효과를 갖는 태지 성분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하여, 보습 태지와 유사한 식물유래 성분을 선정하여 최적의 비율로 조합하였으며, 이를 리포좀 형태로 제조하였다. 본 발명자는 본 발명의 태지 유사 성분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충분한 보습력과 피부장벽강화 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해결하려는 과제는 천연 보습 인자 혼합물(Natural moisturizing factor mixture), 각질층 유사 성분 및 식물성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천연 보습 인자 혼합물, 각질층 유사 성분 및 식물성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본 발명의 천연 보습 인자 혼합물, 각질층 유사 성분 및 식물성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피부 보습력을 증진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천연 보습 인자 혼합물, 각질층 유사 성분 및 식물성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천연 보습 인자 혼합물, 각질층 유사 성분 및 식물성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여 피부 보습력 또는 피부탄력을 증진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식물 유래 성분을 포함하는 태지 기능이 부여된 리포좀 형태의 조성물로, 수상에는 천연 보습 인자 혼합물 및 각질층 유사 성분을 포함하고, 유상에는 식물성 오일을 포함하여 피부 장벽 및 보습력이 강화된 화장료 조성물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식물 태지 성분' 용어는 80% 물, 10% 단백질, 10% 지질 성분으로 구성된 천연 태지의 성분을 식물성 성분으로 대체한 성분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 천연 보습 인자 혼합물, 각질층 유사 성분 및 식물성 오일로 구성되는 조성물을 의미한다.
상기 천연 보습 인자 혼합물, 각질층 유사 성분 및 식물성 오일의 중량%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천연 보습 인자 혼합물 5~15 중량%, 각질층 유사 성분 0.01~3 중량% 및 식물성 오일 0.01~10 중량%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천연 보습 인자 혼합물 7~13 중량%, 각질층 유사 성분 0.1~2 중량% 및 식물성 오일 0.1~5 중량%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천연 보습 인자 혼합물은 각질층에 존재하는 수용성 성분을 총칭하는 말로 각질층에서 수분을 붙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천연 보습 인자 혼합물은 소듐피롤리돈카르복실레이트(Sodium Pyrolidonecarboxylate), 소듐 락테이트 (Sodium Lactate), 우레아(Urea) 또는 아미노산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천연 보습 인자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천연 보습 인자 혼합물은 소듐 피롤리돈카르복실레이트, 소듐 락테이트, 우레아 및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아미노산은 세린(Serine), 글리신(Glycin), 아르기닌(Arginine), 글루탐산(Glutamic acid), 타이로신(Tyrosine) 및 알라닌(Alani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천연 보습 인자 혼합물을 구성하는 성분의 구체적인 함량은 천연 보습 인자 혼합물 중량 대비 소듐 피롤리돈카르복실레이트 1~50 중량%, 소듐 락테이트 1~50 중량%, 우레아 1~20 중량%, 아미노산 1~95 중량% 및 정제수 0.001~50 중량%인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소듐 피롤리돈카르복실레이트 3~40 중량%, 소듐 락테이트 1~40 중량%, 우레아 1~15 중량%, 아미노산 10~90 중량% 및 정제수 0.01~40 중량%인 것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소듐 피롤리돈카르복실레이트 5~35 중량%, 소듐 락테이트 1~35 중량%, 우레아 1~12 중량%, 아미노산 20~85 중량% 및 정제수 0.1~35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천연 보습 인자 혼합물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5~1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천연 보습 인자 혼합물의 함량이 5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보습 효과가 미약하며, 15 중량% 초과일 때에는 천연 보습 인자 혼합물 특유의 불쾌한 원료취가 발생하고 구조체의 형성을 방해하여 이를 화장료에 적용했을 때 제품의 안정도에 악영향을 미친다. 가장 바람직하게 천연 보습 인자 혼합물은 7~13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일반 성인 피부의 각질층은 피부를 구조적으로나 기능적으로 온전한 상태로 유지시키고 재생시키기 위한 여러 적응 기전을 갖고 있으나, 온전하게 발달되지 않은 아기 피부는 경피 수분 손실량 증가 및 피부 pH 상승 등 정상적인 기전이 작동 되기 어렵다. 본 발명에서는 각질층이 정상적인 pH 범위로 유지하여 생리학적 장벽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태지의 산성막(Acid Mantle) 역할 할 수 있는 구연산(Citric Acid), 젖산(Lactic Acid) 등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각질층은 피부 표피층이자 외부 자극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1차적인 피부 방어벽인 역할을 하나, 12개월 이하의 영아들은 피부의 구조가 완전히 형성되지 않아 위와 같은 기능이 불완전하다. 그렇게 때문에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각질층 유사성분은 각질층 표면에 부착되어 각질층 기능을 하는 성분들을 모두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각질층 유사 성분은 벤토나이트, 올리브 오일 데실 에스터(Olive Oil Decyl Ester), 시트르산, 젖산 및 스쿠알렌으로 구성될 수 있고, 추가적으로 글리세린, 하이드레이티드실리카, 클로렐라 불가리스 및 바다 소금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로렐라 불가리스(Chlorella bulgaris)는 해조류의 식물성 성분이며, 본 발명에서의 클로렐라 불가리스는 바람직하게는 클로렐라 불가리스 추출물일 수 있다. 클로렐라 불가리스 추출물은 미세조류 부스터 아미노산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각질층 유사 성분을 구성하는데 효과적이다.
상기 각질층 유사 성분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각질이 충분히 두텁게 형성되지 않은 영유아에 도포할 때, 각질이 두텁게 형성된 것과 유사한 효과를 발휘하여, 피부 장벽 강화 및 보습력 강화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식물성 오일은 올리브오일, 블랙커런트씨 오일, 해바라기씨 오일 불검화물, 풍선덩굴 오일, 식물 유래 토코페롤, 해바라기씨 오일, 로즈마리 잎 오일, 쌀겨 오일, 파이토스쿠알렌(Phytosqualane), 그레이프씨드 오일, 호호바 오일 및 매도우폼씨드 오일 등 식물에서 유래한 지방 성분이면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블랙커런트씨 오일, 해바라기씨 오일 불검화물, 풍선덩굴 오일, 식물 유래 토코페롤, 해바라기씨 오일 및 로즈마리잎 오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물성 오일은 총 중량 대비 0.01 ~ 1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1 ~ 8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5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식물성 오일은 식물 태지 리포좀 유상부분에 포함되며, 이는 자극에 대한 진정효과를 추가적으로 부여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식물 태지 리포좀' 용어는 본 발명의 식물 태지 성분을 포함하는 리포좀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실시예 1을 통해 만들어진 리포좀을 의미한다.
블랙 커런트(black current, Ribes nigrum)는 장미목 범의귀과의 낙엽관목으로 '서양 까치밥나무'라고도 한다. 유럽 및 중앙아시아가 원산지이며, 그늘에서 잘 자라고 추위에도 강하며 높이는 1~2 m에 달한다. 이산화탄소 추출법으로 얻어진 블랙커런트 오일은 세라마이드-1 생성에 중요하여 피부 장벽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리놀레익산(Linoleic Acid)과 항염 프로스타글란딘 생성을 촉진하는 감마-리놀렌산(γ-Linolenic Acid)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피부 장벽 강화에 도움을 주는 성분이다.
해바라기씨 오일 불검화물(unsaponifiable material)은 해바라기씨 오일 지방산의 정제 회수과정에서 검화되지 않은 해바라기씨의 분획이다. 해바라기씨 오일 불검화물은 파이토스테롤(Phytosterol), 식물 유래 토코페롤(Tocopherol), 스쿠알렌(Squalane)과 같은 성분을 함유하여 피부에 영양을 공급한다.
풍선덩굴은 쌍떡잎식물 무환자나무목 무환자나무과의 덩굴성 여러해살이풀로, 주로 파이토스테롤, 플라보노이드, 사포닌, 타닌 등이 함유되어 있어 포스포리파아제 A2 (Phospholipase A2)와 사이클로옥시게나제-2(Cyclooxygenase-2)를 억제하여, 가려움증, 따끔거림, 염증 완화 효과가 있으며 자극에 민감한 피부를 보호해 준다. 항염 효과가 있는 스테로이드 성분 중 하나인 하이드로코르티손을 대체할 수 있는 순한 식물성 성분이다.
그 외에도 파이토스쿠알렌, 그레이프씨드 오일, 호호바 오일 또는 매도우폼씨드 오일 등이 식물성 오일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장벽의 지질 성분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피부 장벽의 지질 성분은 트리글리세라이드, 세라마이드 및 파이토스테롤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고, 0.1 ~ 2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
트리글리세라이드는 글리세롤에 3분자의 지방산이 에스테르 결합한 것으로서 자연계에서 찾을 수 있는 지방산 유도체 가운데 가장 분포가 넓은 것이다. 트리글리세라이드는 피부 유사 성분 중 하나이기도 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트리글리세라이드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일 수 있다.
세라마이드는 친수성기와 친유성기를 동시에 가지고 있어서 피부 속 수분 증발을 억제한다. 또한, 이물질의 침투를 저지하는 피부 장벽으로서 작용하여 염증의 조절이나 상처 회복에도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파이토스테롤은 일반적인 콜레스테롤과 구조적으로 유사한 식물성 스테롤을 의미한다. 파이토스테롤은 피부 장벽을 회복시키고 유지시키는 기능을 하며, 식물성 성분이기 때문에 안전성이 높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장벽을 강화시켜 피부 보습 효과를 증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 식물 태지 리포좀과 공리포좀을 각각 피부에 도포하였을 때, 식물 태지 리포좀을 도포한 군에서 수분증가율이 높았으며, 경피 수분 손실량도 적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보습 평가 지표의 발현량을 측정한 결과, 각질 세포막(cornified envelope)을 구성하는 단백질인 필라그린, 아쿠아포린-3의 발현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식물 태지 리포좀은 각질세포막을 강화하여 수분 유지력을 강화시킴으로써, 보습력 증강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리포좀 형태인 것일 수 있다. 리포좀의 수상 부분에는 천연 보습 인자 혼합물과, 산성 성분을 포함하며, 리포좀의 인지질층 내부에는 피부 장벽 지질성분과 식물성 오일 성분을 포함한다.
리포좀의 인지질층 내부에 포집될 수 있는 포집 물질로는 세라마이드, 풍선덩굴잎 오일, 블랙커런트씨 오일, 해바라기씨 오일 또는 파이토스테롤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리포좀 형태의 조성물은 경피에 쉽게 흡수될 수 있어, 더욱 효과적인 보습력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일 예로 계면활성제, pH 조절제, 향료, 보존제, 점증제, 금속이온 봉쇄제, 유화제, 가용화제, 보습제, 살균제, 색소, 안료,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청량화제, 방취제, 등의 각종 첨가물 이외에, 자외선 흡수제, 자외선 산란제, 비타민류, 식물 추출물, 피부 수렴제, 항염증제, 세포 부활제, 혈관 확장제, 혈행 촉진제, 및 피부기능 항진제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제형 및 첨가성분이 상기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성분들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의 예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고급 지방산 비누, 알킬 황산 에스테르염,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황산염, 알킬 에테르 인산 에스테르염, N-아실아미노산염, 아실 N-메틸타우린염 등의 음이온 계면활성제; 염화 알킬트리메틸 암모늄, 염화 디알킬디메틸 암모늄 등의 양이온 계면활성제; 알킬 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 베타인, 알킬 아미도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 베타인, 2-알킬-N-카복시-N-하이드록시이미다졸리늄 베타인 등의 양성 계면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형, 다가 알콜 에스테르형,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 블럭 공중합체 등의 비이온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특별하게 제한됨 없이 고분자 계면활성제나 천연 계면활성제에 속하는 계면활성제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pH 조절제는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 타르타르산(tartaric acid), 소듐 실리케이트(sodium silicate), 소듐 하이드록시(sodium hydroxide), 소듐 시트레이트(Sodium citrate), 소듐 카보네이트(sodium carbonate), 소듐 보레이트(sodium borate), 세바식산(sebacic acid), 포타슘 하이드록사이드(potassium hydroxide), 인산(phosphoric acid), 말릭산(malic acid), 마그네슘 하이드록사이드(magnesium hydroxide), 마그네슘 카보네이트(magnesium carbonate), 락토바이오산(lactobionic acid), 젖산(lactic acid), 글리콜산(glycolic acid), 감마 리놀렌산(gamma linolenic acid), 푸마르산(fumaric acid), 디타놀아민(diethanolamine), 구연산(citric acid), 보레이트 (borate), 벤조익애씨드(benzoic acid), 아젤라익산(azelaic acid),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아미노메칠프로판올(aminomethyl propanol), 및 아세트산 (acetic acid)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향료의 예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꽃, 잎, 가지, 과피 등으로부터 분리한 식물성 향료; 머스크, 시빗 등의 동물성 향료; 모노테르펜 등의 탄화수소류; 지방족 알코올, 방향족 알코올 등의 알코올류; 테르펜알데히드, 방향족 알데히드 등의 알데히드류; 지환식 케톤 등의 케톤류; 테르펜계 에스테르 등의 에스테르류; 락톤류; 페놀류; 옥시드류; 질소 함유 화합물류; 아세탈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특별하게 제한됨 없이 상기 예시된 것 이외의 천연향료나 합성향료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보존제로는 파라옥시 안식향산 에틸, 살리실산, 및 소르빈산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점증제로는 예를 들면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Hydroxymethylcellulose),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Hydroxyethylcellulose),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Hydroxypropylcellulose), 카르복시비닐 폴리머(Carboxyvinylpolymer), 알킬 변성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폴리아크릴아미드(Polyacrylamide), 아르긴산 나트륨(Sodium Alginate), 아르긴산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Alginate), 한천, 폴리아크릴산 나트륨(Sodium Polyacrylate), 숙시노글루칸(Succinoglucan), 덱스트란(Dextran), 만난(mannan), 펙틴(Pectin), 젤란검(Gellan Gum), 카라기난(Carrageenan),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 벤토나이트(Bentonite), 규산 알루미늄(Aluminum Silicate, 규산 마그네슘(Magnesium Silicate), 라포나이트(Laponite), 헥토라이트(hectorite), 무수 규산(Silicic acid Anhydride)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금속이온 봉쇄제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디아민 사초산 이나트륨, 에데트산, 에데트산나트륨염 등의 에데트산염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유화제로는 포스파티딜콜린(phosphatidylcholine), 리소포스파티딜콜린 (lysophosphatidylcholine),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phosphatidylethanolamine), 팔미트산(palmitic acid), 하이드로지 네이티드포스파티딜콜린 (hydrogenated phophatidylcholine - 콩 유래), 포스파티딜세린 (phosphatidylserine), 포스파티딜글리세롤 (phosphatidylglycerol), 포스파티딜이노시톨(phosphatidylinositol)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인지질이 사용될 수 있다.
기타 유화제로서 세테아릴올리베이트(Cetearylolivate), 소르비탄올리베이트(Sobitanolivate - 올리브유래)가 사용될 수 있다.
유화제로는 2 이상의 유화제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유화제로서포스파티딜콜린 (phosphatidylcholine), 리소포스파티딜콜렌(lysophosphatidylcholine),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phosphatidylethanolamine), 제2 유화제로서 하이드로지네이티드포스파티딜콜린(hydrogenated phosphatidylcholine - 콩 유래)이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유화제 성분은 1 ~ 5 중량%, 제2 유화제 성분은 0.5 ~ 2 중량%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1 유화제, 제2 유화제 외에 제3 유화제로서 세테아릴올리베이트(Cetearylolivate) 및 소르비탄올리베이트 (sorbitanolivate - 올리브유래)의 조성물이 추가로 사용될 수 있다.이 경우 제1 유화제 성분은 1 ~ 5 중량%, 제2 유화제 성분은 0.5 ~ 2 중량%, 제3 유화제 성분은 0.5 ~ 2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가용화제로는 예를 들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및 모노스테아린산프로필렌 글리콜 등의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류,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 3-부틸렌글리콜 등의 다가(多價)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보습제로서는 예를 들면, 히알루론산, 콘드로이틴 황산, 피롤리돈카르복실산염, 폴리옥시에틸렌메틸글루코시드, 폴리옥시프로필렌메틸글루코시드, 레시틴, 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세린, 포스파티딜글리세롤, 포스파티딜이노시톨 및 스핑고인지질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용매로는 증류수,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에탄올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증류수, 글리세린이, 더 바람직하게는 증류수가 사용될 수 있다. 용매의 함량은 유화제, 포집 가능 물질 및 방부제의 함량의 잔량이다.
이외에 색소, 안료,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청량화제, 방취제, 자외선 흡수제, 자외선 산란제, 비타민류, 식물 추출물, 피부 수렴제, 항염증제, 세포 부활제, 혈관 확장제, 혈행 촉진제, 피부기능 항진제 및 담체 등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일 구체예로 고점도 유화제형, 저점도 유화제형 및 가용화 제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조하고자 하는 제형에 따라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화장료 조성물 배합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팩, 마사지크림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선로션, 선크림, 메이크업 베이스, 비비크림, 클렌징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스틱상 제품, 밤(Balm) 타입 제품,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 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춰 로션, 영양로션,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춰 크림, 핸드크림,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렌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가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일 예로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 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가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계면활성제 함유된 클렌징 제형 또는 계면활성제 비 함유 클렌징 제형 또는 비누일 경우, 피부에 도포한 후 닦아내거나 떼거나 물로 씻어낼 수도 있다. 일 예로, 상기 비누는 액상비누, 가루비누, 고형비누 및 오일비누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제형은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클렌징 수건 및 클렌징 팩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비 함유 클렌징 제형은 클렌징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워터 및 클렌징 겔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의 도 1로 도식화 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실시에서, 본 발명자는 상기 예시된 유상 성분 (B) 또는 수상 성분(A)을 각각 용해조에 투입하고 이들을 적절한 온도로 가온, 용해 시킴으로써 각각의 수상 또는 유상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이와 같이 각각의 유상 혼합물 및 수상 혼합물을 제조한 후,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는 (d) 단계에서 상기 수상 혼합물에 유상 혼합물을 투입하여 1차 유화 조성물을 제조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화 시에는 호모지나이저(homogenizer)를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은 (e) 단계에서 상기 1차 유화 조성물에 첨가 성분을 첨가한 후, 마이크로플루다이저(Microfludizer, M/F)를 사용하여 2차로 유화시킴으로써, 기존보다 유화능을 상승시켜 조성물 중의 입자들이 균일하고 미세한 나노 크기를 가지면서 안정하게 하여 식물 태지 리포좀을 제조한다. 바람직한 2차 유화시의 압력은 500 ~ 2,000 bar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 bar이다.
이와 같은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나노 유화 화장료 조성물은 평균 입자 크기가 바람직하게는 30 ~ 500 나노미터 정도인 미세하고 균일한 나노 입자로 구성되게 된다. 더욱 바람직한 평균 입자 크기는 30 ~ 300 나노미터로 구성되게 된다.
본 발명의 식물 태지 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은 천연 태지와 유사한 식물성 성분을 구성으로 하여 영유아의 피부에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리포좀 내에 수성 성분과 유성 성분을 모두 담지하고 있어, 피부에 도포 시 우수한 피부 보습효과 및 피부장벽 강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식물 태지 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하는 방법을 도식화한 것이다.
도 2는 유사 태지 성분을 포함하는 리포좀의 제조하는 방법을 도식화한 것이다.
도 3은 식물 태지 성분을 포함하는 리포좀 형태 조성물의 세포 독성을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4는 식물 태지 성분을 포함하는 리포좀 형태 조성물의 보습력을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5는 보습력 평가 지표인 Filaggrin(a)과 Involucrin(b)의 발현량을 RT-PCR을 통해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6은 보습력 평가 지표인 Aquaporin-3(a)과 HAS-1(b)의 발현량을 RT-PCR을 통해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7은 보습력 평가 지표인 HAS-2(a)와 HAS-3(b)의 발현량을 RT-PCR을 통해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8은 각질층 유사 성분 함량에 따른 경피수분 손실량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9는 실시예 1과 비교예 1의 pH 완충 효과 그래프이다.
도 10은 식물성 오일 함량에 따른 피부 자극 완화 그래프이다.
도 11은 성인을 대상으로 제형예 1과 대조군의 경피수분 손실량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12는 성인을 대상으로 제형예 2와 대조군의 경피수분 손실량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13은 유아를 대상으로 제형예 2와 대조군의 피부 수분 함유량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14는 유아를 대상으로 제형예 2와 대조군의 피부 수분 함유 변화율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이하,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 및 비교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어떤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식물 태지 리포좀의 제조
천연 태지의 성분은 80 %의 물, 10 % 단백질, 10 %의 지질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본 발명은 그와 구조적으로 유사한 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과 기능성으로 유사한 젖산, 천연 보습 인자 혼합물, 식물성 오일 및 스쿠알렌 등으로 태지 유사 성분을 구성하였다.
실시예 1(식물 태지 리포좀) 및 대조군(공리포좀)의 제조 방법과 유사 태지 리포좀의 제조방법은 도 1과 도 2에 구체적으로 도시하였다. 구성 성분의 차이는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유상 성분(A, 구체적으로 에스테르계 오일) 또는 수상 성분(B, 구체적으로 천연 보습 인자 혼합물, 글리세린, 젖산, 유화제 및 보존제)을 각각 용해조에 투입하고 이들을 70 ~ 80 ℃ 온도로 가온, 용해 시킴으로써 각각의 수상 또는 유상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수상성분 중 천연 보습 인자 혼합물의 조성은 하기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다.
(단위: 중량%)
형태 성분 실시예 1
(식물 태지 리포좀)
비교예 1
(공리포좀)
비교예 2
(유사 태지 리포좀)
수상(B)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천연 보습 인자 혼합물 10 - -
각질층 유사 성분(벤토나이트, 올리브 오일 데실 에스터, 시트르산, 젖산 및 스쿠알렌) 2 - -
글리세린 25 25 -
수첨레시틴 4 4 2
유상(A)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15 15 -
트리글리세라이드 - - 4
콜레스테롤 에스터 - - 10
세라마이드 - - 5
스쿠알렌 - - 1
첨가(C) 자유 지방산 - - 2
세라마이드 2 - 2
파이토스테롤 1 - -
식물성 오일(블랙커런트씨 오일, 해바라기씨 오일 불검화물, 풍선덩굴 오일) 2 - -
원료 명 함량(중량%)
소듐 피롤리돈카르복실레이트 12.0
소듐 락테이트 5.0
우레아 7.0
세린 18.2
글리신 9.1
아르기닌 3.2
글루탐산 2.3
티로신 0.5
알라닌 6.6
정제수 To 100
상기처럼 마련한 수상 혼합물에 유상 혼합물을 투입하여 1차 유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그 후, 상기 1차 유화 조성물에 첨가 성분(C, 구체적으로, 세라마이드, 식물성 오일 및 파이토스테롤)을 첨가한 후 마이크로플루다이저(Microfluidizer, M/F)를 사용하여 1,000 bar의 압력하에 2차 유화를 실시하여, 입자를 균일하고 미세한 나노 크기로 제조하였다. 이는 식물 태지 리포좀을 안정하게 유지시켜 주었다.
[실험예 1]
식물 태지 리포좀의 세포독성 확인
실시예 1(식물 태지 리포좀)의 세포독성을 확인하기 위해 HaCaT (Human Skin Keratinocytes)세포주를 37 ℃, 5 %의 CO2, 10 %의 소태아혈청(FBS, Lonza), 50 μg/mL의 스트렙토마이신(Sigma)을 첨가한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DMEM, Invitrogen)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지를 제거하고,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식물 태지 리포좀을 0~2 %의 농도가 되도록 배지에 희석하여 제조한 희석용액을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다음, 배지를 제거한 후 3 mg/ml의 MTT(3-[4,5- 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Sigma, U.S.A) 용액을 첨가한 후 4시간 동안 더 배양하였다. 이후 상층액을 제거하고, 150 ㎕의 디메틸설폭시드를 첨가한 후, 30분간 혼합하여 생성된 포르마잔을 녹여 멀티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기 (Molecular device Spectra max190)를 이용하여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세포생존율은 아래의 식에 따라 계산하였다.
[수식]
세포생존율(%) = 시료첨가군의 흡광도 / 대조군의 흡광도 X 100
그 결과,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식물 태지 리포좀 1~2 % 농도까지 세포 독성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식물 태지 리포좀의 보습력 확인
(1) 도포 직후의 보습력 측정
피부 보습력은 Corneometer CM825(Courage-Khazaka eletronic GmbH, Germany) 를 사용하여 전박 부위를 측정하였다. 측정은 시험제품 사용 전, 직후, 사용 120분 후에 동일한 부위 촬영하였고, 측정 시 Corneometer probe를 피부에 접촉시켜 센서를 통해 3회 실시하여 그 평균값을 피부 보습력 평가 자료로 사용하였다. 단위는 단위상수인 A.U로 표현되며, 피부 보습량과 측정값은 비례한다.
그 결과,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무도포 군에서는 2.99 %의 보습 증가율, 공리포좀(비교예 1)에서는 95.24 %의 보습 증가율 및 유사 태지 조성물(비교예 2)에서는 134.8 %의 보습 증가율을 보였으나, 식물 태지 리포좀(실시예 1)에서는 178.53 보습 증가율을 보였다. 즉, 식물 태지 리포좀(실시예 1)은 공리포좀(비교예 1)과 유사 태지 조성물(비교예 2)보다 공리포좀(비교예 1)과 유사 태지 조성물(비교예 2) 대비 식물 태지 리포좀(실시예 1)에서 도포 120분 후 보습력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2) 보습력 평가 지표의 발현량 측정
식물 태지 리포좀의 보습 효과를 확인 해보기 위해 보습 인자인 필라그린(Filaggrin), 인볼루크린(Involucrin), 아쿠아포린-3(Aquaporin-3), HAS-1, HAS-2, HAS-3 생성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았다.
실험에 사용된 세포는 HaCaT(Human Skin Keratinocytes cell line)을 사용하였으며, 이에 각각 1 %, 2 % 또는 4 %의 대조군 또는 실시예 1을 처리한 후, RT-PCR을 통해 보습력 평가 지표들의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HaCaT 세포주의 배양은 37 ℃, 5 %의 CO2, 10 %의 소태아혈청(FBS, Lonza), 50 μg/mL의 스트렙토마이신 (Sigma)을 첨가한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DMEM, Invitrogen)에서 배양하였다. RNA 분석을 위해 세포 내의 total RNA를 세포 배양으로부터 Trizol reagent(Invitrogen, USA)를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RNA의 순도와 무결성은 A260 nm/A280 nm비율 측정을 통해 확인하였고, RNA 수율은 260 nm에서 흡광도로 측정하였다.
cDNA합성은 3 ㎍의 total RNA를 Oligo dT 15(500 ng/㎕) primer, dNTP (10 mM), RTase inhibitor(40 U/㎕), Powerscript Ⅱ RTase(Clontech, USA)를 첨가하여 25 ℃에서 10분간 primer annealing, 42 ℃에서 60분간 cDNA를 합성하고 95 ℃에서 5분간 RTase denaturation 시켰다. PCR은 cDNA로부터 필라그린(Filaggrin), 인볼루크린(Involucrin), 아쿠아포린-3(Aquaporin-3), HAS-1, HAS-2, HAS-3 및 GAPDH를 증폭하기 위하여 cDNA 3㎕, 10X taq polymerase buffer 5 ㎕, 10 mM dNTP 2 ㎕, 10 pmol primer 각각 2 ㎕, taq polymerase 0.5 ㎕를 혼합하고 증류수를 더하여 50 ㎕로 조정한 후 증폭시켰다. 프라이어 서열은 표 3에 나타내었다. PCR에 의하여 생성된 산물은 1 % 아가로우스 겔(agarose gel)에서 전기 영동하여 image analyzer(UGEN, U: Genius)로 확인하였으며 각 밴드의 밀도는 밀도계측프로그램(Gene Tools from Syngene)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Gene Primer
GAPDH F: 5'- AAC GAA TTT GGT CGA ACA GC -3'
R: 5'- TGA GGA GGG ATT CAG TG -3'
HAS-1 F: 5'- GAA TCC TTC GAC TGG GTC CTC AG -3'
R: 5'- GAC ACG ACG CAG ACA AGA TG -3'
HAS-2 F: 5'- GCA AAC CTA TTT GAC CAT CG -3'
R: 5'- GCC ACT TCT GTC TAC TCA GTG -3'
HAS-3 F: 5'- GAG GAC TGG TAC CAT CAG AA -3'
R: 5'- CGA TGG TAG TTG TTT AGA CCG -3'
Filaggrin F: 5'- GTT ACA ATT CCA ATC CTG TTG TTT TC -3'
R: 5'- CGT TGC ATA ATA CCT TGG ATG ATC -3'
Involucrin F: 5'- GTG GGG GAG AGA GGG AAT TA -3'
R: 5'- CTC ACC TGA GGT TGG GAT TG -3'
Aquaporin-3 F: 5'- TCA TTA TGC TGA GGA TTT -3'
R: 5'- GGC CTC CCA TCT CCT TCA -3'
그 결과, 도 5 내지 7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두 실험군에서 모두 HAS-1, HAS-2, HAS-3 및 인볼루크린의 발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고, 필라그린과 아쿠아포린-3의 발현에 대해서는 실시예 1 처리군의 경우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키나, 대조군의 경우 발현량에 변화가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보습력에 영향을 주는 히알루론산의 합성 증가를 통한 보습 증진 효과는 없을 것으로 사료되나, 각질세포막(cornified envelope)을 구성하는 단백질인 필라그린, 아쿠아포린-3의 발현 증가에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In vitro 결과 식물 태지 리포좀은 각질세포막을 강화하여 수분 유지력을 강화시킴으로써, 보습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3]
천연보습인자 혼합물의 함량에 따른 보습력 확인
천연보습인자 혼합물의 함량에 따른 식물 태지 리포좀의 보습력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하기 표 4에 기재된 성분비로 식물 태지 리포좀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상기 실험예 2-1 방식으로 보습력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정리하였다.
그리고, 각 시험제품 사용에 의한 피부 보습 지속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 전과 직후, 피부 수분함유량을 측정하였다. 피부 수분함유량 측정값의 변화를 통계적 방법으로 유의성 여부를 검정하였다.
(단위: 중량%)
형태 성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수상
(A)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천연보습 인자 혼합물 10 0 3 5 15 20
각질층 유사 성분(벤토나이트, 올리브 오일 데실 에스터, 시트르산, 젖산 및 스쿠알렌) 2 2 2 2 2 2
글리세린 25 25 25 25 25 25
수첨레시틴 4 4 4 4 4 4
유상
(B)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15 15 15 15 15 15
첨가
(C)
세라마이드 2 2 2 2 2 2
파이토스테롤 1 1 1 1 1 1
식물성 오일(블랙커런트씨 오일, 해바라기씨 오일 불검화물, 풍선덩굴 오일) 2 2 2 2 2 2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보습력 개선률 (%) 137% 88% 107% 120% 138% 133%
정규성 검정에 따라 모수적 방법인 repeated measures ANOVA(사후검정:Bonferroni correction)와 Independent samples t-test로 검정한 결과, 피부 수분함유량 측정값이 사용 전과 비교하여 사용 직후 유의하게 증가(p<0.05) 했고, 무도포 부위와 비교하여 사용 직후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천연보습인자 혼합물이 5 중량% 미만일 경우(실시예 2~3) 보습력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5 ~ 15 중량%(실시예 1, 4~5)일 때, 우수한 보습 개선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단, 15 중량% 초과일 경우, 보습 개선 효과가 있으나, 특유의 불쾌한 원료취 발생 및 구조체의 형성을 방해하여 이를 화장료에 적용했을 때 제품 안정성을 떨어트리는 문제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각질층 유사 성분의 함량에 따른 피부장벽 강화 효과
(1) 성인대상 경피수분 손실량 측정
각질층 유사 성분의 함량에 따른 식물 태지 리포좀의 피부 장벽 강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하기 표 6에 기재된 성분비로 식물 태지 리포좀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실시예 1, 7, 8 및 비교예 1, 2의 피부 장벽 개선 효과를 성인을 대상으로 경피수분 손실량 측정실험을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7에 정리하였다. (단, 실시예 9의 경우, 각질층 유사성분을 3 % 초과 함유한 처방에서는 제형이 뭉쳐서 불안정하여 실험에서는 제외하였다.)
실험 방법은 전박 부위에 제품 미사용 부위(대조군)와 사용 부위를 나누어 각각 1 % SLS(Sodium Lauryl Sulfate)를 24시간 폐쇄 첩포하여 피부 장벽을 일시적으로 약하게 하여 피부 손상을 가한 후 각각 지정된 시험 도포 부위에만 도포한 후 4시간 후 전박 부위를 측정하였다. 경피 수분 손실량(TEWL) 측정은 Vapometer를 사용하였고, 측정은 한 부위당 1회 측정하였으며 측정값의 단위는 g/m2h이다. 경피수분 손실량과 피부 장벽 손상 정도는 비례하므로 측정값이 낮아질수록 피부 장벽 개선 효과를 의미한다.
(단위: 중량%)
형태 성분 실시예 1
(식물 태지 리포좀)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비교예 1
(공리포좀)
비교예 2
(유사 태지 리포좀)
수상
(A)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천연 보습 인자 혼합물 10 10 10 10 - -
각질층 유사 성분(벤토나이트, 올리브 오일 데실 에스터, 시트르산, 젖산 및 스쿠알렌) 2 - 0.01 5 - -
글리세린 25 25 25 25 25
수첨레시틴 4 4 4 4 4 2
유상
(B)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15 15 15 15 15 -
트리글리세라이드 - - - - - 4
콜레스테롤 에스터 - - - - - 10
세라마이드 - - - - - 5
스쿠알렌 - - - - - 1
첨가
(C)
자유 지방산 - - - - - 2
세라마이드 2 2 2 2 - 2
파이토스테롤 1 1 1 1 - -
식물성 오일(블랙커런트씨 오일, 해바라기씨 오일 불검화물, 풍선덩굴 오일) 2 2 2 2 - -
구분 대조군 실시예 1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비교예 1 비교예 2
TEWL (g/m2h) -2.7 -17.8 -8.8 -10.5 X -5.8 -6.9
※ TEWL: Transepidermal water loss(경피 수분 손실도)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경우 경피수분 손실량이 시험제품 미사용 부위 (대조군), 비교예 1, 2, 실시예 7, 8 대비 사용 부위 4시간 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p<0.05)
따라서, 실시예 1, 8은 대조군, 비교예 1, 2 및 실시예 7보다 즉각적으로 손상된 피부 장벽 개선 효과에 있어 시너지 효과를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2) pH 완충효과
각질층 유사 성분이 함유된 식물 태지 리포좀의 pH 완충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예 1과 비교예 1의 pH 완충 효과를 실험 통해 확인 하였다.
어떤 용액이나 피부의 완충능력은 생리적인 장벽에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로 산성물질과 접촉하더라도 기존의 pH를 유지하는 능력을 말한다. 실시예 1과 비교예 1의 완충능력을 구연산을 추가하여 시험하였다.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교예 1의 pH는 구연산을 추가하자마자 2단계 감소된 반면 실시예 1은 4~6 단계에서 안정적인 pH를 유지한다는 것을 알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각질층 유사 성분이 함유된 실시예 1은 피부의 특징적인 pH 단계에서 강한 완충능력을 갖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5]
식물성 오일의 함량에 따른 피부 자극 완화 및 리포좀 안정성 효과 확인
식물성 오일의 함량에 따른 식물 태지 리포좀의 피부 자극 완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하기 표 8에 기재된 성분비로 식물 태지 리포좀을 제조하였다.
실험방법은 피부 자극을 유도할 수 있는 1 % SLS (Sodium Lauryl Sulfate)를 처리한 후, 식물성 오일의 함량이 다른 식물 태지 리포좀을 각각 피부에 도포한 뒤 7일 동안 피부 발진(Redness) 완화 효과를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9에 정리하였다.
피부를 붉은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Minolta Chromameter CR 400 (L * a * b 색상 시스템)을 사용하였고, L * a * b 시스템에서는 3차원으로 색상이 표시되는데, 피부 붉어짐에 따라 a* 값 (녹색 - 적색)이 상승된다.
(단위: 중량%)
형태 성분 실시예 1
(식물 태지 리포좀)
실시예 10 실시예 11 실시예 12 실시예 13 실시예 14 비교예 2
(유사 태지 리포좀)
수상
(A)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천연 보습 인자 혼합물 10 10 10 10 - - -
각질층 유사 성분(벤토나이트, 올리브 오일 데실 에스터, 시트르산, 젖산 및 스쿠알렌) 2 2 2 2 2 2 -
글리세린 25 25 25 25 25 25
수첨레시틴 4 4 4 4 4 4 2
유상
(B)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15 15 15 15 15 15 -
트리글리세라이드 - - - - - - 4
콜레스테롤 에스터 - - - - - - 10
세라마이드 - - - - - - 5
스쿠알렌 - - - - - - 1
첨가
(C)
자유 지방산 - - - - - - 2
세라마이드 2 2 2 2 - - 2
파이토스테롤 1 1 1 1 - - -
식물성 오일(블랙커런트씨 오일, 해바라기씨 오일 불검화물, 풍선덩굴 오일) 2 0 0.1 0.5 5 10 -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10 실시예 11 실시예 12 실시예 13 실시예 14 비교예 2
피부 자극 완화
(MeanΔChromameter readings (a*))
1 1.4 1.3 1.14 0.93 0.87 1.32
리포좀 안정성
(오일 베어 나옴)

(오일 베어 나옴)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0 및 비교예 2에서는 피부 자극 완화 효과가 크지 않았고, 실시예 11에서 피부 자극 완화 효과가 나타나기 시작하였으며, 실시예 1, 12~14에서는 피부 자극 완화 효과가 향상되었다. 특히, 실시예 1, 12~13에서 피부 자극 완화 효과가 우수하였다. 다만, 실시예 14에서도 피부 자극 완화 효과는 나타났으나, 식물 태지 리포좀 제조 시 오일이 조금 베어 나와 리포좀 안정성이 약간 불안한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6]
식물 태지 리포좀이 함유된 제품의 피부 장벽 개선 및 보습 효능 평가
식물 태지 리포좀이 함유된 제품의 보습 식물성 오일의 함량에 따른 식물 태지 리포좀의 피부 장벽 개선 및 보습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로션(제형예 1)과 크림(제형예 2)을 제조하였다. 그 구체적인 구성은 하기 표 10과 11에 기재하였다.
[제형예 1]
로션 제조
구분 성분 함량(중량%)
식물 태지 리포좀 실시예 1 2.0
유상 세틸포스페이트 1.3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1.0
세틸알코올 4.5
쉐어버터 1.5
부틸렌글라이콜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5.0
세틸에칠헥사노에이트 5.0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에칠헥사노에이트 2.0
디메치콘 2.0
수상 정제수 To 100
프로판디올 10.0
글리세린 5.0
알란토인 0.1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0.1
디소듐이디티에이 0.02
점증 폴리아크릴레이트-13 0.5
첨가 1,2-헥산디올 1.5
향료 0.2
합계 100.0
[제형예 2]
크림 제조
구분 성분 함량(%)
식물 태지 리포좀 실시예 1 2.0
수상 정제수 To 100
디소듐이디티에이 0.02
글리세린 5.0
프로판디올 10.0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0.1
카보머 0.06
유상 부틸렌글라이콜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5.0
스테아릭애씨드 1.0
베헤닐알코올 2.3
C14-22알코올, C12-20알킬글루코사이드 1.0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이소스테아레이트 6.0
세틸에칠헥사노에이트 3.0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사이클로헥사실록산 3.0
중화 트로메타민 0.04
점증 폴리아크릴레이트-13 0.6
첨가 1,2-헥산디올 1.5
향료 0.12
합계 100.0
(1) 성인대상 경피수분 손실량 측정
식물 태지 리포좀이 함유된 제형예 1 및 제형예 2의 피부 장벽 개선 효과에 대한 제품의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성인을 대상으로 경피 수분 손실량 측정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방법은 전박 부위에 제품 미사용 부위와 사용 부위를 나누어 각각 1 % SLS(Sodium Lauryl Sulfate)를 24시간 폐쇄 첩포하여 피부 장벽을 일시적으로 약하게 하여 피부 손상을 가한 후 각각 지정된 제품 도포 부위에만 1일 1회 2주동안 시험제품을 도포하도록 하였다.
경피 수분 손실량 측정은 Vapometer를 사용하여 시험제품 사용 전(SLS 첩포 전), 첩포 제거 후, 시험제품 사용 1일 후, 7일 후, 14일 후 전박 부위를 측정하였다. 측정은 한 부위당 1회 측정하였으며 측정값의 단위는 g/m2h이다. 경피수분 손실량과 피부 장벽 손상 정도는 비례하므로 측정값이 낮아질수록 피부 장벽 개선 효과를 의미한다.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형예 1의 경우 경피수분 손실량이 시험제품 미사용 부위 대비 사용 부위 간에 제품 사용 1일 후, 7일 후, 14일 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p<0.05)
또한,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형예 2의 경우에도 경피수분 손실량이 시험제품 미사용 부위 대비 사용 부위 간에 제품 사용 1일 후, 14일 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p<0.05)
따라서, 시험제품인 제형예 1과 제형예 2는 모두 2주 사용으로 손상된 피부 장벽 개선 효과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제품으로 판단되었다.
(2) 유아대상 120분 보습 지속력 측정
만 5~6세 유아를 대상으로 제형예 2의 제품을 피부에 도포한 후 120분 보습 지속력 효과를 평가하고자 실시하였다.
피부 보습력은 Corneometer CM825(Courage-Khazaka eletronic GmbH, Germany)를 사용하여 전박 부위를 측정하였다. 측정은 시험제품 사용 전, 직후, 사용 120분 후에 동일한 부위 촬영하였고, 측정 시 Corneometer probe를 피부에 접촉시켜 센서를 통해 3회 실시하여 그 평균값을 피부 보습력 평가 자료로 사용하였다. 단위는 단위상수인 A.U로 표현되며, 피부 보습량과 측정값은 비례한다.
시험대상자 21명은 남아 13명, 여아 8명으로 평균 연령은 만 5.14세였으며, 21명 모두 시험을 정상적으로 종료하였다. 제형예 2 제품 사용 후 피부 수분 함유량을 측정한 결과(도 13 참조), 사용 전과 비교하여 사용 직후, 사용 120분 후 모두 유의적으로 증가(p<0.05)하였으며, 무도포 부위와 비교하여 사용 직후, 사용 120분 후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도 14 참조).
[제형예 3]
화장료 조성물의 안정성 확인을 위한 제형의 제조
식물 유래 리포좀 함유 화장료 조성물의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식물 태지 리포좀이 함유된 제형(가용화 제형, 에센스 제형, 크림 제형)을 하기 제형예 (3-1) 내지 (3-3)에 따라 제조하였다.
(3-1) 가용화 제형의 제조
1) 수상과 가용화상을 각각 균일하게 혼합 및 용해시켰다.
2) 수상에 가용화상을 넣고 혼합 및 가용화 시켰다.
3) 첨가 I은 실시예 1의 식물 태지 리포좀을 함유한 상으로 가용화 한 후 투입하여 혼합시킨 후 첨가 II를 혼합하여 완료하였다.
구분 성분 함량 (중량%)
첨가 I 실시예 1 0.5
수상 정제수 To 100
글리세린 10 ~ 25
디프로필렌글라이콜
베타인
D-판테놀
소디움히알루로네이트
점증제 적량
금속이온 봉쇄제 적량
가용화상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0 ~ 2
피이지-4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0 ~ 2
다가알코올 0 ~ 10
향료 적량
에탄올 0 ~ 20
첨가 II 보존제 적량
기타 첨가제 적량
(3-2) 에센스 제형의 제조
1) 수상과 유상을 가온 하여 각각 균일하게 혼합 및 용해시켰다.
2) 75 ℃에서 수상에 유상을 넣고 혼합시켜 유화시켰다.
3) 첨가 I은 식물 태지 리포좀을 함유한 상으로 50 ℃에서 투입하고 혼합시킨 후 첨가 II를 혼합하였다.
구분 성분 함량 (중량%)
첨가 I 실시예 1 0.5
수상 정제수 To 100
세테아리스-6올리베이트 0.1 ~ 3
글리세린 10 ~ 25
1,2-프로판디올
소디움히알루로네이트
점증제 적량
금속이온 봉쇄제 적량
유상 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0.1 ~ 1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0.1 ~ 1
폴리소르베이트 60 0.1 ~ 1
세틸알코올 0.1 ~ 1
베헤닐알코올 0.1 ~ 1
스쿠알렌 5 ~ 20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1 ~ 0.5
첨가 II 적량
보존제 적량
기타 첨가제 적량
(3-3) 크림 제형의 제조
1) 수상과 유상을 가온 하여 각각 균일하게 혼합 및 용해시켰다.
2) 75 ℃에서 수상에 유상을 넣고 혼합시켜 유화시켰다
3) 첨가 I은 식물 태지 리포좀을 함유한 상으로 50 ℃에서 투입하고 혼합시킨 후 첨가 II를 혼합하였다.
구분 성분 함량 (중량%)
첨가 I 실시예 1 0.5
수상 정제수 To 100
글리세린 10 ~ 25
베타인
소디움히알루로네이트
점증제 적량
금속이온 봉쇄제 적량
유상 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0.1 ~ 2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0.1 ~ 2
폴리소르베이트 60 0.1 ~ 2
스테아릭애씨드 0.1 ~ 2
세테아릴알코올 0.1 ~ 2
카프릭카프릴릭트리글리세라이드 10 ~ 30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1 ~ 0.5
첨가 II 적량
보존제 적량
기타 첨가제 적량
[실험예 7]
식물 태지 리포좀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안정성 확인
제형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제형예 (3-1) 내지 (3-3)의 가용화 제형, 에센스 제형, 크림 제형을 4 ℃, 30 ℃, 45 ℃, 일광의 조건에 12주 동안 보관한 후, 육안평가와 관능평가를 통해 색, 취, 제형 변화를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5 내지 표 17에 나타내었다. 이때, 색, 취 제형 변화 정도는 하기의 평가 기준에 따라 분류하여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변화 무: ○ / 약간의 변화: △ / 유의적 변화: X
경과
시간
제형예 (3-1) 가용화 제형
취 변화 색 변화 제형 변화
4 ℃ 30 ℃ 45 ℃ 일광 4 ℃ 30 ℃ 45 ℃ 일광 4 ℃ 30 ℃ 45 ℃ 일광
1주
2주
4주
8주
12주
경과
시간
제형예 (3-2) 에센스 제형
취 변화 색 변화 제형 변화
4 ℃ 30 ℃ 45 ℃ 일광 4 ℃ 30 ℃ 45 ℃ 일광 4 ℃ 30 ℃ 45 ℃ 일광
1주
2주
4주
8주
12주
경과
시간
제형예 (3-3) 크림 제형
취 변화 색 변화 제형 변화
4 ℃ 30 ℃ 45 ℃ 일광 4 ℃ 30 ℃ 45 ℃ 일광 4 ℃ 30 ℃ 45 ℃ 일광
1주
2주
4주
8주
12주
그 결과, 상기 표 15 내지 표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용화 제형, 에센스 제형 및 크림 제형 모두 고온 조건 및 일광 조건에서 안정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8]
식물 태지 리포좀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자극 확인
식물 태지 리포좀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자극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제형예 2의 크림 제형의 피부 자극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성인 30명을 대상으로 등 부위에 5×20 cm 크기로 상기 제형예 (3-3)에서 제조한 식물 태지 리포좀을 농도 의존적으로 함유하는 크림 제형의 일정량(20 ㎕)을 24시간 동안 첩포한 후, 제거하고, 1시간, 24시간 경과 후 육안으로 피부 상태 변화를 판독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12에 나타내었다. 이 때, 피부상태의 변화 정도는 하기의 피부상태 평가 기준에 따라 분류하여 평가하였다.
<피부 상태 평가 기준>
0: 변화 없음 / 1: 극히 조금 변함 / 2: 조금 변함 / 3: 조금 심하게 변함
4: 심하게 변함 / 5: 극히 심하게 변함
피검자(성별, 피부타입) 경과시간 식물 태지 리포좀 함량에 따른 피부 상태
2.0 중량%
1(남, 중성) 1시간 0
24시간 0
2(여, 중성) 1시간 0
24시간 0
3(여, 중성) 1시간 0
24시간 0
4(여, 중성) 1시간 0
24시간 0
5(여, 중성) 1시간 0
24시간 0
6(여, 중성) 1시간 0
24시간 0
7(남, 중성) 1시간 0
24시간 0
8(여, 중성) 1시간 0
24시간 0
9(여, 중성) 1시간 0
24시간 0
10(여, 중성) 1시간 0
24시간 0
11(여, 중성) 1시간 0
24시간 0
12(여, 중성) 1시간 0
24시간 0
13(여, 중성) 1시간 0
24시간 0
14(여, 중성) 1시간 0
24시간 0
15(여, 중성) 1시간 0
24시간 0
16(여, 중성) 1시간 0
24시간 0
17(여, 중성) 1시간 0
24시간 0
18(여, 중성) 1시간 0
24시간 0
19(여, 중성) 1시간 0
24시간 0
20(여, 중성) 1시간 0
24시간 0
21(남, 중성) 1시간 0
24시간 0
22(여, 중성) 1시간 0
24시간 0
23(여, 중성) 1시간 0
24시간 0
24(여, 중성) 1시간 0
24시간 0
25(여, 중성) 1시간 0
24시간 0
26(여, 중성) 1시간 0
24시간 0
27(여, 중성) 1시간 0
24시간 0
28(여, 중성) 1시간 0
24시간 0
29(여, 중성) 1시간 0
24시간 0
30(여, 중성) 1시간 0
24시간 0
그 결과, 상기 표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식물 태지 리포좀을 포함한 크림 제형에서도 피부 자극이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110> CELLTRION INC. <120> Compositions for Moisturizing Skin Containing Vegetable Vernix Ingredients <130> CPD2017044KR <150> KR 10-2016-0114684 <151> 2016-09-06 <160> 14 <170> KoPatentIn 3.0 <210> 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APDH forward primer <400> 1 aacgaatttg gtcgaacagc 20 <210> 2 <211> 1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APDH reverse primer <400> 2 tgaggaggga ttcagtg 17 <210> 3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AS-1 forward primer <400> 3 gaatccttcg actgggtcct cag 23 <210> 4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AS-1 reverse primer <400> 4 gacacgacgc agacaagatg 20 <210> 5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AS-2 forward primer <400> 5 gcaaacctat ttgaccatcg 20 <210> 6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AS-2 reverse primer <400> 6 gccacttctg tctactcagt g 21 <210> 7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AS-3 forward primer <400> 7 gaggactggt accatcagaa 20 <210> 8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AS-3 reverse primer <400> 8 cgatggtagt tgtttagacc g 21 <210> 9 <211> 2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ilaggrin forward primer <400> 9 gttacaattc caatcctgtt gttttc 26 <210> 10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ilaggrin reverse primer <400> 10 cgttgcataa taccttggat gatc 24 <210> 1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nvolucrin forward primer <400> 11 gtgggggaga gagggaatta 20 <210> 1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nvolucrin reverse primer <400> 12 ctcacctgag gttgggattg 20 <210> 13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quaporin-3 forward primer <400> 13 tcattatgct gaggattt 18 <210> 14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quaporin-3 reverse primer <400> 14 ggcctcccat ctccttca 18

Claims (12)

  1. 천연 보습 인자(Natural Moisturizing Factor) 0.75~15 중량%, 각질층 유사 성분 0.01~3 중량%, 식물성 오일 0.01~10 중량% 및 피부장벽 지질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천연 보습 인자는 소듐 피롤리돈카르복실레이트(Sodium Pyrolidonecarbosylate), 소듐 락테이트(Sodium Lactate), 우레아(Urea), 세린, 글리신, 아르기닌, 글루탐산, 타이로신 및 알라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고, 상기 각질층 유사 성분은 벤토나이트, 올리브오일 데실 에스터(Olive Oil Decyl Ester), 시트르산, 젖산 및 스쿠알렌을 포함하고, 상기 피부장벽 지질성분은 트리글리세라이드, 세라마이드 및 파이토스테롤을 포함하고, 상기 조성물은 리포좀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질층 유사 성분은 글리세린, 하이드레이티드실리카, 클로렐라 불가리스 및 바다 소금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오일은 블랙커런트씨 오일, 해바라기씨 오일 불검화물, 풍선덩굴 오일, 식물 유래 토코페롤, 해바라기씨 오일, 로즈마리 잎 오일, 쌀겨 오일, 파이토스쿠알렌, 그레이프씨드 오일, 호호바 오일 및 매도우폼씨드 오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필라그린 또는 아쿠아포린-3 발현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천연 태지와 유사한 기능으로 피부 보습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장벽을 강화시켜 피부 보습 효과를 증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자극을 진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11. 삭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유아용 화장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70113144A 2016-09-06 2017-09-05 식물 태지 성분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342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114684 2016-09-06
KR1020160114684 2016-09-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7375A KR20180027375A (ko) 2018-03-14
KR101934208B1 true KR101934208B1 (ko) 2018-12-31

Family

ID=61660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3144A KR101934208B1 (ko) 2016-09-06 2017-09-05 식물 태지 성분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420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0978B1 (ko) * 2020-02-25 2020-09-29 오가닉브릿지 주식회사 피부 트러블 캐어 및 진정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화장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104456A (ko) * 2020-02-17 2021-08-25 오가닉브릿지 주식회사 피부 항산화 및 피부 진정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화장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92975B1 (ko) * 2020-02-17 2021-08-26 오가닉브릿지 주식회사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진정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화장료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88734B (zh) * 2018-11-30 2021-09-03 广州市科能化妆品科研有限公司 免洗海藻油卸妆膏及其制备方法
KR102248265B1 (ko) * 2018-12-20 2021-05-04 (주)아담네이처 안정성이 우수한 세라마이드 볼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안정성이 우수한 세라마이드 볼
KR102653968B1 (ko) * 2021-08-17 2024-04-03 코스맥스 주식회사 고함량의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안정성이 개선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350773B1 (ko) * 2021-10-29 2022-01-13 이민혜 피부 진정 및 보습 효과를 나타내는 저자극성 피부온도 감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CN116035944B (zh) * 2022-12-29 2023-09-22 植然天成(北京)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仿生胎脂组合物、化妆品及其制备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4456A (ko) * 2020-02-17 2021-08-25 오가닉브릿지 주식회사 피부 항산화 및 피부 진정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화장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92975B1 (ko) * 2020-02-17 2021-08-26 오가닉브릿지 주식회사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진정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화장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26796B1 (ko) 2020-02-17 2021-11-18 오가닉브릿지 주식회사 피부 항산화 및 피부 진정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화장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60978B1 (ko) * 2020-02-25 2020-09-29 오가닉브릿지 주식회사 피부 트러블 캐어 및 진정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화장료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7375A (ko) 2018-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4208B1 (ko) 식물 태지 성분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JP6231624B2 (ja) オレアノール酸が捕集された化粧料用ナノリポソームの製造方法
KR102229247B1 (ko) 칠엽담으로부터 분리된 지페노사이드를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95530B1 (ko) 피부 주름 개선 및 미백 효과가 우수한 경피 흡수 촉진용 리포좀 조성물
KR101317430B1 (ko) 진달래꽃, 사과꽃 및 함박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 및 진정 화장용 조성물
KR101176523B1 (ko) 성상 변화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76530B1 (ko) 슬리밍 화장료 조성물
KR20120068707A (ko) 마르타곤 나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080090741A (ko) 아미노 레불리닉산을 배합시킨 액정 유화 베이스를포함하는 피부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58628B1 (ko)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소루쟁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JP6834084B2 (ja) ゲンチオピクロシドを含まないゲンチアナ抽出物
KR20110115719A (ko) 라파콜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83326B1 (ko) 락토바실러스발효물, 락토코쿠스발효물, 효모폴리펩타이드,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 포도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16426B1 (ko) 태지유사지질복합체와 우엉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가려움 완화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JP6474227B2 (ja) 植物エキスを含有するトイレタリー製品用組成物
KR20030085941A (ko) 디팔미토일하이드록시프롤린과 소이이소플라본을 함유한리포좀 또는 나노에멀젼 및 이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및그 제조방법
KR20050091162A (ko) 비타민 에이, 비, 씨이, 이 및 그들의 유도체를 함유한나노에멀전과 리포좀의 제조방법 및 이을 함유한 화장료조성물
KR100878026B1 (ko)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백리향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070008270A (ko)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감초, 황백, 백하수오 및 상백피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JP4488933B2 (ja) シワ改善剤及び皮膚外用組成物
KR101557422B1 (ko) 때죽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정 또는 세척제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KR102281403B1 (ko) 비자 세라마이드와 울금 및 동백유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11761B1 (ko) 미네랄 복합체를 포함하는 체취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430606B1 (ko) 락트산 및 알부틴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0515951B1 (ko) 괴화 추출물 및 알부틴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