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4029A - 알로에베라잎즙 및 할미꽃, 병풀, 쇠비름 및 위치하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알로에베라잎즙 및 할미꽃, 병풀, 쇠비름 및 위치하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4029A
KR20200114029A KR1020190035111A KR20190035111A KR20200114029A KR 20200114029 A KR20200114029 A KR 20200114029A KR 1020190035111 A KR1020190035111 A KR 1020190035111A KR 20190035111 A KR20190035111 A KR 20190035111A KR 20200114029 A KR20200114029 A KR 202001140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kin
weight
parts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5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0941B1 (ko
Inventor
이수혜
이명오
Original Assignee
이수혜
이명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수혜, 이명오 filed Critical 이수혜
Priority to KR1020190035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0941B1/ko
Publication of KR20200114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40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0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09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5Preparations for sensitiv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할미꽃(Pulsatilla koreana) 추출물, 병풀(Centella asiatica) 추출물, 쇠비름(Portulaca oleracea) 추출물, 위치하젤(Hamamelis virginiana) 추출물 및 알로에베라잎즙(Aloe barbadensis Leaf Juice)을 포함하는 겔 타입의 피부 보습 또는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할미꽃 추출물, 병풀 추출물, 쇠비름 추출물, 위치하젤 추출물 및 알로에베라잎즙을 특정 조성비로 함유함에 따라서, 피부 보습 및 피부 진정 효능이 현저히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알로에베라잎즙 및 할미꽃, 병풀, 쇠비름 및 위치하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Skin moisturizing and skin soothing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loe barbadensis leaf juice and extracts of Pulsatilla koreana, Centella asiatica, Portulaca oleracea and Hamamelis virginiana}
본 발명은 할미꽃(Pulsatilla koreana) 추출물, 병풀(Centella asiatica) 추출물, 쇠비름(Portulaca oleracea) 추출물, 위치하젤(Hamamelis virginiana) 추출물 및 알로에베라잎즙(Aloe barbadensis Leaf Juice)을 포함하는 겔 타입의 피부 보습 또는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체에 있어서 피부는 외부환경으로부터 생체를 보호하는 보호막의 기능을 하는 기관으로서, 인체 내의 생체성분 즉, 물이나 전해질 등의 손실을 방지하는 동시에 외부로부터 유해물질이 인체 내로 침입하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피부는 크게 표피층, 진피층 및 피하지방층으로 구분된다. 표피층은 각질세포와 멜라닌 세포로 구성되는데, 피부 최외곽의 각질세포층은 외부환경과 직접 접촉하기 때문에 물리적, 화학적 혹은 물질의 투과에 대한 강한 저항성이 요구되며, 인체로부터 외부로 수분이 손실되는 것을 막아줌과 동시에 자체로도 적당한 수분을 보유함으로써 유연성을 유지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피부의 수분량은 진피층에서는 70% 정도이나 표피층으로 갈수록 감소하여 각질세포층에서는 약 10 내지 30%가 된다. 진피층에서 공급된 물은 주로 수동적 확산에 의해 각질층 상부로 이동하며 최종적으로는 외부로 배출된다. 이를 경피수분손실(Trans Epidermal Water Loss:TEWL)이라 하며, 이러한 경피수분손실을 적절한 수준으로 유지시켜주는 것이 각질세포층의 지질막 성분인 피지성분과 표피지질이라고 알려져 있다. 그리고 각질 세포층에는 천연보습 인자(Natural Moisturizing Factor:NMF)라고 하는 친수성의 수분 보유능을 가진 물질이 존재하여 피부의 보습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상적인 각질세포층의 수분이 10 내지 30% 정도가 유지되면 피부는 매끄럽고 부드러우며, 신체 보호기능을 정상적으로 발휘하게 된다. 그러나 각질세포층의 수분함량이 10% 이하가 되면 피부는 거칠어지고 신체의 보호기능을 잃게 되어 노화현상이 일어난다. 예를 들어, 건성피부의 경우에는 각질세포의 결집력이 약화되어 피부표면으로부터 비늘조각과 같이 각질세포가 허옇게 벗겨져 나오는 스케일링(Scaling) 현상이 나타나는 바, 이와 같이 피부가 건성화되는 것은 각질세포층의 수분함량이 정상피부에 비해 적기 때문이다. 이 밖에, 건강한 피부라 할지라도 혹독한 외부환경, 즉, 바람, 추운 날씨, 햇빛, 세안, 면도 등에 의해 수분 부족현상이 일어나 피부상태가 나빠지기도 한다. 따라서 피부의 각질세포층의 수분함량을 적절히 유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각질층의 수분이 10 % 이하일 경우, 피부는 건성화되고 피부트러블의 원인이 된다고 알려져 있다. 규칙적인 각질화(keratinization)로 생성된 각질층 안의 수분의 양은 항상 10 ~ 20 %를 유지한다.
현재 피부내 수분 유지방법 은폐색제(occlusive agent)를 사용하고 있으며, 폐색제는 수분손실을 막는 장벽을 피부위에 형성함으로써, 수분보유를 촉진하는 소수성 물질이다.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폐색제에는, 바세린, 라놀린, 코코아버터, 미네랄 오일 및 실리콘이 포함된다. 또한 화장품을 만들기 위해서는 이외에도 소듐라우릴설페이트 (Sodium Lauryl Sulfate), 디메틸 술폭사이드(Dimethyl Sulfoxide), 크로톤오일(Croton Oil), 수산화나트륨등과 같이 일반적으로 20종에서 50여종의 다양한 원료들이 사용되며, 이들 원료들이 제품에 적용됨으로써 피부에 염증, 가려움증, 알러지 등의 자극을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배경하에 본 발명자들은 피부 자극 등 인체 부작용이 적고, 피부 트러블 및 피부 손상에 대한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면서 우수한 피부 보습 효과를 나타내는 물질을 개발하기 위해 계속 연구를 진행한 결과, 피부 보습 및 피부 진정 효과를 동시에 갖는 천연 추출물 조합 및 이의 최적 배합비를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82644호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 보습 또는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할미꽃(Pulsatilla koreana) 추출물, 병풀(Centella asiatica) 추출물, 쇠비름(Portulaca oleracea) 추출물, 위치하젤(Hamamelis virginiana) 추출물 및 알로에베라잎즙(Aloe barbadensis Leaf Juice)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 또는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할미꽃(Pulsatilla koreana) 추출물, 병풀(Centella asiatica) 추출물, 쇠비름(Portulaca oleracea) 추출물, 위치하젤(Hamamelis virginiana) 추출물 및 알로에베라잎즙(Aloe barbadensis Leaf Juice)을 혼합한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의 혼합물을 10-25℃에서 2-10시간 동안 1차 숙성한 1차 숙성물을 준비하는 단계(단계 2); 및 상기 단계 2의 1차 숙성물을 1-9℃에서 4-24시간 동안 2차 숙성한 2차 숙성물을 준비하는 단계(단계 3);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 또는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보습 또는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은 할미꽃 추출물, 병풀 추출물, 쇠비름 추출물, 위치하젤 추출물 및 알로에베라잎즙을 특정 조성비로 함유함에 따라서, 피부 보습 및 피부 진정 효능이 현저히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자들은 할미꽃(Pulsatilla koreana) 추출물, 병풀(Centella asiatica) 추출물, 쇠비름(Portulaca oleracea) 추출물, 위치하젤(Hamamelis virginiana) 추출물 및 알로에베라잎즙(Aloe barbadensis Leaf Juice)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 또는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피부 보습 효과 및 피부 진정 효과를 나타낸다는 사실을 발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할미꽃(Pulsatilla koreana) 추출물, 병풀(Centella asiatica) 추출물, 쇠비름(Portulaca oleracea) 추출물, 위치하젤(Hamamelis virginiana) 추출물 및 알로에베라잎즙(Aloe barbadensis Leaf Juice)을 특정 조성비로 혼합한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할 경우 이들 성분의 일부를 포함하는 조성물 또는 다른 조성비로 포함하는 조성물보다 미백 효과가 현저하게 향상된다는 사실을 실험적으로 입증하였다(실험예 1 내지 2 참조).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피부 보습 또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은 할미꽃(Pulsatilla koreana) 추출물, 병풀(Centella asiatica) 추출물, 쇠비름(Portulaca oleracea) 추출물, 위치하젤(Hamamelis virginiana) 추출물 및 알로에베라잎즙(Aloe barbadensis Leaf Juice)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 또는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추출물'이란, 당업계에 공지된 추출 및 분리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유효성분 원료로부터 추출물을 분리 및 수득한 것을 의미하며, 본 발명에서 정의된 추출물은 적절한 용매를 이용하여 상기의 방법으로 준비된 유효성분 원료를 그대로 또는 분쇄하여 추출한 것일 수 있다. 이때 추출물을 수득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적절한 용매로는 당업계에서 허용되는 용매라면 어느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며, 물 또는 유기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수, 메탄올(methanol), 에탄올(ethanol), 프로판올(propanol),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부탄올(butanol) 등을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아세톤(acetone), 에테르(ether), 벤젠(benze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메틸렌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헥산(hexane) 및 시클로헥산(cyclohexane) 등의 각종 용매를 단독으로 혹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추출물은 각각 물, 탄소수 1 내지 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다가 알코올, 탄화수소계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추출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 것일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에탄올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추출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 것일 수 있다.
추출 방법으로는 열수추출법, 냉침추출법, 환류냉각추출법, 용매추출법, 수증기증류법, 초음파추출법, 용출법, 압착법 등의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목적하는 추출물은 추가로 통상의 분획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통상의 정제 방법을 이용하여 정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제조방법에는 제한이 없으며, 공지되어 있는 어떠한 방법도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추출물은 상기한 용매 추출법으로 추출된 1차 추출물을, 원심분리, 여과, 농축후 동결 건조하여 냉장실에 보관하면서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고, 상기 1차 추출물을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1차 추출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hin layer chromatography),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등과 같은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추가로 정제된 분획을 얻을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추출물은 추출, 분획 또는 정제의 각 단계에서 얻어지는 모든 추출액, 분획 및 정제물, 그들의 희석액, 농축액 또는 건조물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보습 또는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쇠비름 추출물 0.01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할미꽃 추출물 0.005-0.055 중량부, 병풀 추출물 0.050-0.150 중량부, 알로에베라잎즙 0.010-0.050 중량부 및 위치하젤 추출물 0.050-0.150 중량부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쇠비름 추출물 0.01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할미꽃 추출물 0.010-0.050 중량부, 병풀 추출물 0.060-0.140 중량부, 알로에베라잎즙 0.015-0.045 중량부 및 위치하젤 추출물 0.060-0.140 중량부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쇠비름 추출물 0.01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할미꽃 추출물 0.020-0.040 중량부, 병풀 추출물 0.080-0.120 중량부, 알로에베라잎즙 0.020-0.040 중량부 및 위치하젤 추출물 0.080-0.120 중량부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쇠비름 추출물 0.01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할미꽃 추출물 0.025-0.035 중량부, 병풀 추출물 0.090-0.110 중량부, 알로에베라잎즙 0.025-0.035 중량부 및 위치하젤 추출물 0.090-0.110 중량부 포함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겔, 세럼, 화장수, 에센스, 페이스트, 마스크팩, 패치, 크림, 로션, 영양로션, 영양크림, 수분크림, 마사지크림, 파우더, 비누, 클렌저, 오일, 파운데이션, 메이크업 베이스, 왁스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제형인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겔 제형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한다. 이는 국소적용에 적합한 모든 제형으로,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또는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 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및/또는 바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로, 또는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 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포말(foam)의 형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과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함으로써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국소적용 또는 전신적용할 수 있는 보조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들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는 각 제형의 외용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한 필수 성분 이외의 다른 성분들은 기타 제형 또는 사용 목적 등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외에 피부보습제, 피부유연화제, 수분차단제 등 피부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피부컨디셔닝제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유연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pH 조정제, 발포제,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유화제, 점증제, 충전제, 금속이온 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향료,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이들 보조제는 화장품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보습 또는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진정 또는 트러블 개선 활성을 나타내는 성분으로서 판테놀,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녹차추출물, 감초잎추출물 및 알란토인, 보습제로서 글리세린 및 우레아, 피부 개선을 위한 피부 컨디셔닝 성분으로서 부틸렌글라이콜, 서양장미꽃수, 코코넛추출물, 구주소나무잎추출물, 초피나무열매추출물, 어스니어추출물, 베타-글루칸 및 캐모마일꽃추출물, 기타 성분으로서 카보머, 펜틸렌글라이콜, 1,2-헥산디올, 포타슘하이드록사이드, 스클레로튬검, 디소듐이디티에이 및 페녹시에탄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성분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용제로서는 정제수, 디프로필렌글라이콜, 프로판디올 및 에칠헥산디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성분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쇠비름 추출물 0.01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피부 진정 또는 트러블 개선 활성을 나타내는 성분 0.300 내지 0.400 중량부, 보습제 7.150 내지 7.250 중량부, 피부 컨디셔닝 성분 12.680 내지 12.780 중량부, 기타 성분 0.880 내지 0.980 중량부, 용제 78.000 내지 79.000 중량부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피부 진정 또는 트러블 개선 활성을 나타내는 성분 0.330 내지 0.350 중량부, 보습제 7.195 내지 7.215 중량부, 피부 컨디셔닝 성분 12.715 내지 12.735 중량부, 기타 성분 0.920 내지 0.940 중량부, 용제 78.520 내지 78.540 중량부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할미꽃(Pulsatilla koreana) 추출물, 병풀(Centella asiatica) 추출물, 쇠비름(Portulaca oleracea) 추출물, 위치하젤(Hamamelis virginiana) 추출물 및 알로에베라잎즙(Aloe barbadensis Leaf Juice)을 혼합한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의 혼합물을 10-25℃에서 2-10시간 동안 1차 숙성한 1차 숙성물을 준비하는 단계(단계 2); 및
상기 단계 2의 1차 숙성물을 1-9℃에서 4-24시간 동안 2차 숙성한 2차 숙성물을 준비하는 단계(단계 3);
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2의 1차 숙성은 13-21℃에서 4-8시간 동안 숙성하는 것이고, 상기 단계 3의 2차 숙성은 3-7℃에서 10-20시간 동안 숙성하는 것일 수 있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2의 1차 숙성은 16-18℃에서 5-7시간 동안 숙성하는 것이고, 상기 단계 3의 2차 숙성은 4-6℃에서 14-16시간 동안 숙성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단계 1의 혼합물은 상기 쇠비름 추출물 0.01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할미꽃 추출물 0.005-0.055 중량부, 병풀 추출물 0.050-0.150 중량부, 알로에베라잎즙 0.010-0.050 중량부 및 위치하젤 추출물 0.050-0.150 중량부 혼합한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쇠비름 추출물 0.01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할미꽃 추출물 0.010-0.050 중량부, 병풀 추출물 0.060-0.140 중량부, 알로에베라잎즙 0.015-0.045 중량부 및 위치하젤 추출물 0.060-0.140 중량부 혼합한 것일 수 있으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쇠비름 추출물 0.01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할미꽃 추출물 0.020-0.040 중량부, 병풀 추출물 0.080-0.120 중량부, 알로에베라잎즙 0.020-0.040 중량부 및 위치하젤 추출물 0.080-0.120 중량부 혼합한 것일 수 있고, 쇠비름 추출물 0.01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할미꽃 추출물 0.025-0.035 중량부, 병풀 추출물 0.090-0.110 중량부, 알로에베라잎즙 0.025-0.035 중량부 및 위치하젤 추출물 0.090-0.110 중량부 혼합한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 제조예 1> 할미꽃, 병풀 , 쇠비름 및 위치하젤 추출물의 준비
할미꽃(Pulsatilla k oreana) 동결건조분말 100g에 추출용매로 정제수 1L를 넣고 shaking water bath(KMC-1205SW1, Vision, Daejeon, Korea)에서 70℃, 6~12시간 추출하여 추출액을 얻었다. 상기 추출액을 mesh filter(stainless steel filter mesh, R&K, China, 4~400mesh)로 여과하였다. 상기 여과한 여과액을 rotary evaporator(DL10-3000, Greatwall, 20L)를 이용하여 감압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여 할미꽃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추출물을 멸균 처리(KRS A-1,Health up, Korea)된 용기에 옮겨 담아 5℃에서 냉장보관하였다.
또한, 상기와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병풀 잎(Centella aiatica Leaf) 동결건조분말, 쇠비름 꽃, 잎 및 줄기(Portulaca o leracea Flower/Leaf/Stem) 혼합물의 동결건조분말 및 위치하젤 잎(Hamamelis v irginiana Leaf) 동결건조분말로부터 각각 병풀 추출물, 쇠비름 추출물 및 위치하젤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 제조예 2> 알로에베라잎즙의 준비
알로에베라잎을 압착하여 얻은 즙으로서, 시중에서 유통되는 알로에베라잎즙(Aloe barbadensis Leaf Juice)을 구입하여 이용하였다.
< 제조예 3> 알로에베라잎즙 및 4종 추출물의 복합물의 준비
상기 제조예 2의 알로에베라잎즙과 상기 제조예 1의 방법으로 제조된 할미꽃 추출물, 병풀 추출물, 쇠비름 추출물 및 위치하젤 추출물을 정제수에 녹여 혼합물을 준비하고, 상기 혼합물을 10 내지 25℃에서 4 내지 12시간 동안 방치하여 1차 숙성시켜 1차 숙성물을 얻은 후, mesh filter(stainless steel filter mesh, R&K, China, 4~400mesh)로 여과하였다. 상기 1차 숙성물을 여과한 여과액을 다시 1 내지 5℃에서 4 내지 24시간 동안 방치하여 2차 숙성시켜 2차 숙성물을 얻었고, 이를 mesh filter(stainless steel filter mesh, R&K, China, 4~400mesh)로 여과한 후, rotary evaporator(DL10-3000, Greatwall, 20L)를 이용하여 용매를 제거하여 알로에베라잎즙 및 4종 추출물의 복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복합물은 멸균 처리(KRS A-1,Health up, Korea)된 용기에 옮겨 담아 5℃에서 냉장보관하였다.
< 실시예 비교예 > 알로에베라잎즙 및 4종 추출물의 복합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알로에베라잎즙 및 4종 추출물의 복합물을 함유하는 겔(gel) 형태의 화장료 조성물을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제조하였다.
이때, 알로에베라잎즙과 상기 제조예 1의 할미꽃 추출물, 병풀 추출물, 쇠비름 추출물 및 위치하젤 추출물을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혼합한 복합물 또는 개별추출물을 상기 제조예 3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17℃에서 8시간 동안 1차 숙성, 3℃에서 15시간 동안 2차 숙성시켜 제조하였다.
이때, 하기 정제수(73.08 중량부, 표 2 참조)를 중량부의 기준으로 하여 나머지 성분의 함량을 중량부로 표기하였다.
(단위:
중량부)
할미꽃
추출물
병풀
추출물
쇠비름
추출물
알로에베라잎즙 위치하젤
추출물
실시예 1-1 0.01 0.10 0.01 0.03 0.10
실시예 1-2 0.02 0.10 0.01 0.03 0.10
실시예 1-3 0.03 0.10 0.01 0.03 0.10
실시예 1-4 0.04 0.10 0.01 0.03 0.10
실시예 1-5 0.05 0.10 0.01 0.03 0.10
실시예 2-1 0.03 0.06 0.01 0.03 0.10
실시예 2-2 0.03 0.08 0.01 0.03 0.10
실시예 2-3 0.03 0.10 0.01 0.03 0.10
실시예 2-4 0.03 0.12 0.01 0.03 0.10
실시예 2-5 0.03 0.14 0.01 0.03 0.10
비교예 1 0.03 0.10 - - -
비교예 2 0.03 - 0.01 0.03 0.10
비교예 3 - 0.10 0.01 0.03 0.10
비교예 4 0.03 - - - -
비교예 5 - 0.10 - - -
비교예 6 - - 0.01 0.03 0.10
상기 표 1의 유효성분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첨가되는 기타성분은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다.
기타성분 중량부
피부 진정 및 트러블 개선 판테놀,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녹차추출물, 감초잎추출물, 알란토인 0.339
보습제 글리세린, 우레아 7.205
피부 컨디셔닝 부틸렌글라이콜, 서양장미꽃수, 코코넛추출물, 구주소나무잎추출물, 초피나무열매추출물, 어스니어추출물, 베타-글루칸, 캐모마일꽃추출물 12.726
기타 카보머, 펜틸렌글라이콜, 1,2-헥산디올, 포타슘하이드록사이드, 스클레로튬검, 디소듐이디티에이, 페녹시에탄올 0.931
용제1 정제수 73.080
용제2 디프로필렌글라이콜, 프로판디올, 에칠헥산디올 5.449
< 실험예 1> 수분 보유능 평가
상기 실시예 1-1 내지 2-5 및 비교예 1 내지 6에서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의 수분보유능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페트리 디쉬에 각각 상기 각 화장료 조성물을 첨가하고 적당한 크기의 종이를 적신 다음 종이의 무게를 재었다. 각각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함유하는 종이를 빈 페트리 디쉬에 넣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종이의 무게를 측정하여 수분 보유능을 확인하였다. 음성 대조군으로 정제수를 사용하였다.
수분 보유능은 하기 식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수분 보유능(%)=(경과시간 후 무게-종이무게)×100/(최초 무게-종이무게)
수분 보유능(%)
0분 30분 60분 90분 120분 150분 180분
실시예 1-1 100 72.4 64.1 52.2 48.4 37.1 32.9
실시예 1-2 100 93.7 89.4 73.4 68.9 61.4 55.3
실시예 1-3 100 100 94.1 83.5 79.8 70.8 64.2
실시예 1-4 100 94.4 88.6 72.5 67.6 60.7 54.9
실시예 1-5 100 73.2 63.8 51.4 44.6 38.4 31.6
실시예 2-1 100 71.0 62.7 55.1 50.9 39.8 34.1
실시예 2-2 100 92.6 87.6 72.1 66.7 60.6 55.1
실시예 2-3 100 100 94.1 83.5 79.8 70.8 64.2
실시예 2-4 100 95.8 88.2 73.2 67.9 62.4 56.5
실시예 2-5 100 72.1 64.9 52.6 48.6 35.6 31.4
비교예 1 100 59.6 47.8 42.7 30.1 25.0 20.8
비교예 2 100 69.2 59.8 49.5 42.3 29.9 25.4
비교예 3 100 67.1 56.5 48.3 41.7 28.5 24.7
비교예 4 100 52.4 42.3 35.4 22.4 19.9 17.2
비교예 5 100 51.7 44.2 31.1 21.2 19.4 16.0
비교예 6 100 55.8 41.5 38.6 26.4 21.5 18.9
Con(정제수) 100 0 0 0 0 0 0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할미꽃 추출물, 병풀 추출물, 쇠비름 추출물, 알로에베라잎즙 및 위치하젤 추출물의 복합물을 포함하는 실시예 1-1 내지 2-5의 화장료 조성물이 동일 시간에 대해 일부 조합을 포함하는 비교예 1 내지 6보다 수분보유능이 뛰어난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실시예 1-3 및 2-3에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이 가장 우수한 수분보유능을 보였다.
<실험예 2> 피부 장벽기능 회복 효과 측정
피부 손상으로 인해 손상된 피부 장벽기능의 회복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성인 남녀 30명의 상박을 SLS 10% 수용액을 fin-chamber에 20㎕ 적용하여 16시간 첩포함으로써 피부 장벽에 손상을 주고 실시예 1-1 내지 2-5 및 비교예 1 내지 6의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하면서 7일 동안 하루에 한번씩 경피수분손실량(TEWL,transdermal water loss)을 측정하였고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경피수분손실랑(TEWL)변화 (%)
처리전 1일 2일 3일 4일 5일
실시예 1-1 100 96 89 77 54 41
실시예 1-2 100 93 79 60 38 22
실시예 1-3 100 91 75 52 31 17
실시예 1-4 100 92 80 58 37 21
실시예 1-5 100 95 88 78 55 42
실시예 2-1 100 96 89 78 54 42
실시예 2-2 100 92 80 59 38 22
실시예 2-3 100 91 75 53 30 17
실시예 2-4 100 93 78 57 36 20
실시예 2-5 100 94 87 76 53 40
비교예 1 100 100 93 83 60 49
비교예 2 100 97 91 80 58 46
비교예 3 100 98 91 82 59 48
비교예 4 100 100 97 88 63 54
비교예 5 100 103 96 86 64 52
비교예 6 100 99 95 84 62 51
상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 1 내지 6 대비 실시예 1-1 내지 2-5의 화장료 조성물을 처리할 경우 빠른 속도로 경피 수분 손실량이 정상으로 돌아오며 장벽 손상이 회복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실시예 1-3 및 2-3의 화장료 조성물이 피부 장벽기능 회복 효과가 가장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 실험예 3>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진정 및 피부 트러블 완화 효능 분석
상기 실시예 1-1 내지 2-5 및 비교예 1 내지 6에서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진정 및 피부 트러블 완화 효과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피부트러블이 심한 지원자를 대상으로 평가 그룹당 5명이 되도록 그룹을 나눈 후, 각 그룹당 해당하는 상기의 실시예 1-1 내지 3-5 및 비교예 1 내지 6에서 제조한 에센스를 지급하고 4주일간 매일 1회 이상 제품을 사용하게 하였다. 사용전과 사용 4주일 후의 피부 상태를 평가하게 하고, 그 평균을 산출하여 각 시험물질의 피부트러블 완화 효과 및 피부진정 효과를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은 0~10점 척도를 사용하였고, 건조감, 가려움, 따가움 등 피부상태가 '매우 민감해짐'은 10점에서부터, '매우 진정됨'은 0점으로 표기하도록 하였다. 실험결과는 하기 표 5에 평가 대상자 5명의 평균점수로 표기하였다.
  직후 4주 후
실시예 1-1 7.5 3.4
실시예 1-2 7.6 1.0
실시예 1-3 7.8 0.4
실시예 1-4 7.5 1.2
실시예 1-5 7.8 3.3
실시예 2-1 7.7 3.5
실시예 2-2 7.6 1.3
실시예 2-3 7.8 0.4
실시예 2-4 7.7 1.1
실시예 2-5 7.8 3.2
비교예 1 7.6 4.3
비교예 2 7.9 4.2
비교예 3 7.8 4.1
비교예 4 7.7 5.5
비교예 5 7.8 5.6
비교예 6 7.9 5.6
상기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할미꽃 추출물, 병풀 추출물, 쇠비름 추출물, 알로에베라잎즙 및 위치하젤 추출물을 단독 또는 일부의 조합만을 포함하는 비교예 1 내지 6의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한 경우보다 할미꽃 추출물, 병풀 추출물, 쇠비름 추출물, 알로에베라잎즙 및 위치하젤 추출물 모두를 포함하는 실시예 1-1 내지 2-5의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한 경우에 건조감, 가려움, 따가움 등 피부 상태가 더 진정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실시예 1-3 및 2-3의 화장료 조성물을 적용한 경우, 피부진정 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4> 피부 보습력 개선 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 1-1 내지 2-5 및 비교예 1 내지 3의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보습력 개선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을 하였다. 피부질환이 없는 20~40대 39명을 선정한 후 전박부위에 유성펜을 이용하여 가로 세로 3×3cm의 크기로 나누어 매일 2회씩 4주간 도포하게 하였다. 이 때, 도포 시작 전 미리 항온, 항습 조건(24도, 습도 40%)에서 Corneometer(CM820 Corage Khazaka Electronic GmbH, Germany)를 이용하여 피부 전도도를 측정하여 기본 값(100%)을 삼고, 1주, 2주, 4주 경과 후의 피부 전도도를 측정하여 그 증가율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피부 전도도 증가율(%)
도포 전 1주 후 2주 후 4주 후
실시예 1-1 100 108 111 120
실시예 1-2 100 112 119 136
실시예 1-3 100 116 123 142
실시예 1-4 100 114 120 139
실시예 1-5 100 107 113 122
실시예 2-1 100 106 110 121
실시예 2-2 100 113 120 137
실시예 2-3 100 116 123 142
실시예 2-4 100 115 121 138
실시예 2-5 100 108 112 123
비교예 1 100 103 107 113
비교예 2 100 106 109 116
비교예 3 100 105 107 117
상기 표 6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할미꽃 추출물, 병풀 추출물, 쇠비름 추출물, 알로에베라잎즙 및 위치하젤 추출물을 모두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인 실시예 1-1 내지 2-5의 경우 일부 조합만을 포함하는 비교예 1 내지 3에 비하여 피부 전도도 증가율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피부 전도도는 피부 수분량에 비례하므로, 상기 결과로 본 발명의 할미꽃 추출물, 병풀 추출물, 쇠비름 추출물, 알로에베라잎즙 및 위치하젤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보습력 개선 효과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으며, 특히, 실시예 1-3 및 2-4의 화장료 조성물이 피부 보습력 개선 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실험예 5> 숙성 조건에 따른 피부 진정, 홍반 완화 및 피부 보습력 개선 효능 평가
상기 제조예 2의 숙성 조건을 달리하여 제조한 복합 추출물의 피부 진정, 홍반 완화 효능 및 피부 보습력 개선 효능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1-3(=2-3)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제조예 2의 알로에베라잎즙 0.03 중량부 및 제조예 1의 할미꽃 추출물 0.03 중량부, 병풀 추출물 0.1 중량부, 쇠비름 추출물 0.03 중량부 및 위치하젤 추출물 0.1 중량부 혼합한 혼합물을 하기 표 5의 온도(℃) 및 시간(h) 조건으로 1차 및 2차 숙성을 실시하여 복합물을 제조하였고, 상기 복합물 및 상기 표 2의 기타 성분을 혼합하여 실시예 3-1 내지 3-23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현재 피부 알레르기 증상이 없는 20~30대 남녀를 대상으로 각 평가 그룹당 10명이 되도록 그룹을 나눈 다음, 하완의 안쪽 부위에 테입 스트리핑 법(Tape Stripping Method)을 통한 피부자극을 유발한 후, 본 발명의 실시예 1-1 내지 3-5 및 비교예 1 내지 6에서 제조한 에센스를 도포하여 유발된 자극이 진정되는 정도를 상대평가 하였다. 먼저, 하완의 안쪽 부위 두 곳에 일반 스카치 테잎으로 30회 테이핑을 하여 피부 홍반을 유발하였다. 홍반 유발된 후,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1 내지 3-5 및 비교예 1 내지 6의 에센스를 각각 도포하였다. 도포 후 3시간 후 피부진정 정도를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은 0~5점 척도를 사용하였고, '무반응'은 0점, '매우 경미한 홍반흔적'은 1점, '희미한 또는 가벼운 홍반'은 2점, '경계가 뚜렷하나 약한 홍반'은 3점, '뚜렷한 홍반'은 4점, '심한 홍반'은 5점으로 표기하도록 하였다. 실험결과는 하기 표 3에 평가 대상자 10명의 평균점수로 표기하였다.
피부 보습력 개선효과는 상기 실험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여, 도포 전 및 4주 후의 피부 전도도 증가율(%)을 하기 표 7에 기재하였다.
1차숙성조건 2차숙성조건 피부자극(홍반) 정도 피부 전도도 증가율(%)
온도 시간 온도 시간 도포 전 4주 후
실시예 4-1 17 8 1 15 1.8 2.0 100 122
실시예 4-2 17 8 2 15 0.9 0.8 100 137
실시예 4-3 17 8 3 15 0.1 0.1 100 142
실시예 4-4 17 8 4 15 0.8 0.9 100 138
실시예 4-5 17 8 5 15 1.9 1.8 100 121
실시예 4-6 17 8 3 4 2.0 1.9 100 120
실시예 4-7 17 8 3 10 0.8 0.9 100 135
실시예 4-8 17 8 3 15 0.1 0.1 100 142
실시예 4-9 17 8 3 20 0.9 0.8 100 139
실시예 4-10 17 8 3 24 1.8 2.0 100 122
실시예 4-11 10 8 3 15 2.0 1.9 100 121
실시예 4-12 13 8 3 15 0.9 0.8 100 138
실시예 4-13 17 8 3 15 0.1 0.1 100 142
실시예 4-14 21 8 3 15 0.8 0.8 100 137
실시예 4-15 25 8 3 15 1.9 1.9 100 122
실시예 4-16 17 4 3 15 1.9 2.0 100 120
실시예 4-17 17 6 3 15 0.8 0.8 100 136
실시예 4-18 17 8 3 15 0.1 0.1 100 142
실시예 4-19 17 10 3 15 0.9 0.8 100 139
실시예 4-20 17 12 3 15 1.8 1.9 100 123
실시예 4-21 17 8 미수행 미수행 2.3 2.3 100 116
실시예 4-22 미수행 미수행 3 15 2.3 2.4 100 117
실시예 4-23 미수행 미수행 미수행 미수행 2.5 2.5 100 111
상기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13 내지 21℃에서 6 내지 10시간 동안 1차 숙성한 후, 2 내지 4℃에서 10 내지 20시간 동안 2차 숙성하여 제조된 복합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한 경우, 상기 외의 조건으로 제조된 복합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1차 숙성 또는 2차 숙성의 조건으로 숙성을 1회만 수행하거나 숙성 단계를 거치지 않은 복합물로 제조된 실시예 4-21 내지 4-23의 화장료 조성물보다 피부 자극이 더 감소되었으며, 피부 전도도가 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17℃에서 8시간 동안 1차 숙성한 후, 3℃에서 15시간 동안 2차 숙성하여 제조된 복합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적용한 경우, 홍반이 유발된 피부를 진정시키는 효과 및 피부 보습력 개선 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6)

  1. 할미꽃(Pulsatilla koreana) 추출물, 병풀(Centella asiatica) 추출물, 쇠비름(Portulaca oleracea) 추출물, 위치하젤(Hamamelis virginiana) 추출물 및 알로에베라잎즙(Aloe barbadensis Leaf Juice)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 또는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쇠비름 추출물 0.01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할미꽃 추출물 0.005-0.055 중량부, 병풀 추출물 0.050-0.150 중량부, 알로에베라잎즙 0.010-0.050 중량부 및 위치하젤 추출물 0.050-0.150 중량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쇠비름 추출물 0.01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할미꽃 추출물 0.010-0.050 중량부, 병풀 추출물 0.060-0.140 중량부, 알로에베라잎즙 0.015-0.045 중량부 및 위치하젤 추출물 0.060-0.140 중량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겔, 세럼, 화장수, 에센스, 페이스트, 마스크팩, 패치, 크림, 로션, 영양로션, 영양크림, 수분크림, 마사지크림, 파우더, 비누, 클렌저, 오일, 파운데이션, 메이크업 베이스, 왁스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할미꽃(Pulsatilla koreana) 추출물, 병풀(Centella Asiatica) 추출물, 쇠비름(Portulaca Oleracea) 추출물, 위치하젤(Hamamelis Virginiana) 추출물 및 알로에베라잎즙(Aloe Barbadensis Leaf Juice)을 혼합한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의 혼합물을 10-25℃에서 2-10시간 동안 1차 숙성한 1차 숙성물을 준비하는 단계(단계 2); 및
    상기 단계 2의 1차 숙성물을 1-9℃에서 4-24시간 동안 2차 숙성한 2차 숙성물을 준비하는 단계(단계 3);
    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 또는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의 1차 숙성은 13-21℃에서 4-8시간 동안 숙성하는 것이고, 상기 단계 3의 2차 숙성은 3-7℃에서 10-20시간 동안 숙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90035111A 2019-03-27 2019-03-27 알로에베라잎즙 및 할미꽃, 병풀, 쇠비름 및 위치하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809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5111A KR102280941B1 (ko) 2019-03-27 2019-03-27 알로에베라잎즙 및 할미꽃, 병풀, 쇠비름 및 위치하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5111A KR102280941B1 (ko) 2019-03-27 2019-03-27 알로에베라잎즙 및 할미꽃, 병풀, 쇠비름 및 위치하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4029A true KR20200114029A (ko) 2020-10-07
KR102280941B1 KR102280941B1 (ko) 2021-07-23

Family

ID=72883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5111A KR102280941B1 (ko) 2019-03-27 2019-03-27 알로에베라잎즙 및 할미꽃, 병풀, 쇠비름 및 위치하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0941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9527B1 (ko) * 2020-10-28 2022-03-25 한채원 마치현 추출물, 병풀 추출물 및 커큐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20121139A (ko) * 2021-02-24 2022-08-31 황지연 줄기세포를 이용한 성장인자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KR20220121138A (ko) * 2021-02-24 2022-08-31 황지연 줄기세포를 이용한 성장인자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CN114983905A (zh) * 2022-05-19 2022-09-02 珠海积家世纪日化有限公司 一种含芦荟的植物修护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5414294A (zh) * 2022-09-06 2022-12-02 南京天其美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草本舒缓修护精华及其制备方法
KR20220169745A (ko) * 2021-06-21 2022-12-28 이상훈 천연 식물 혼합 추출물 및 발효여과물로 제조되며 통증완화, 진정 및 재생을 가능하게 하는 전처리 화장품
KR102593089B1 (ko) * 2023-05-30 2023-10-24 주식회사 시즌 수딩젤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27900B1 (ko) * 2023-10-20 2024-01-24 주식회사 제이헤븐 수딩젤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2644B1 (ko) 2004-04-16 2011-11-10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78564A (ko) * 2016-12-30 2018-07-10 김미정 피부 진정 및 보습 유지 효과가 우수한 천연 화장료 조성물
KR20180097880A (ko) * 2017-02-24 2018-09-03 김종삼 편백수와 이산화염소수를 포함하며, 각종 피부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2644B1 (ko) 2004-04-16 2011-11-10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78564A (ko) * 2016-12-30 2018-07-10 김미정 피부 진정 및 보습 유지 효과가 우수한 천연 화장료 조성물
KR20180097880A (ko) * 2017-02-24 2018-09-03 김종삼 편백수와 이산화염소수를 포함하며, 각종 피부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팩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9527B1 (ko) * 2020-10-28 2022-03-25 한채원 마치현 추출물, 병풀 추출물 및 커큐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20121139A (ko) * 2021-02-24 2022-08-31 황지연 줄기세포를 이용한 성장인자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KR20220121138A (ko) * 2021-02-24 2022-08-31 황지연 줄기세포를 이용한 성장인자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KR20220169745A (ko) * 2021-06-21 2022-12-28 이상훈 천연 식물 혼합 추출물 및 발효여과물로 제조되며 통증완화, 진정 및 재생을 가능하게 하는 전처리 화장품
CN114983905A (zh) * 2022-05-19 2022-09-02 珠海积家世纪日化有限公司 一种含芦荟的植物修护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4983905B (zh) * 2022-05-19 2024-02-09 珠海积家世纪日化有限公司 一种含芦荟的植物修护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5414294A (zh) * 2022-09-06 2022-12-02 南京天其美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草本舒缓修护精华及其制备方法
KR102593089B1 (ko) * 2023-05-30 2023-10-24 주식회사 시즌 수딩젤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27900B1 (ko) * 2023-10-20 2024-01-24 주식회사 제이헤븐 수딩젤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0941B1 (ko) 2021-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0941B1 (ko) 알로에베라잎즙 및 할미꽃, 병풀, 쇠비름 및 위치하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33549B1 (ko) 사자발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71133B1 (ko) 병풀 추출물 및 개양귀비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060089898A (ko) Egcg와 장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227355B1 (ko) 비자극성 약산성 각질제거 및 상피세포 영양 공급을 위한 복합 화장료 조성물
KR102236253B1 (ko) 천연물 유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04200B1 (ko) 꿀풀잎 추출물 및 알로에 베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20536B1 (ko) 오이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87522A (ko) 알로에 베라 추출물 및 마쉬맬로우 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 보습용 또는 진정용 인체 세정제 조성물
KR102058294B1 (ko) 달팽이점액, 인도유향수지 및 알로에베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크림
KR101708459B1 (ko) 다시마추출물, 미역추출물 및 차전자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탄력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52095A (ko) 흰목이 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02041B1 (ko) 위치하젤, 병풀 및 인도유향수지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팩
KR20200092724A (ko) 항염 진정효과가 우수한 병풀추출물 함유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공정
KR20070008831A (ko) 피부 보습 효과를 가지는 올리브 추출물, 귀리 추출물 및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10013000A (ko) 각질 제거 및 수분량 증가를 통한 건조 및 가려움 완화 효과를 가지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48466B1 (ko)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20009147A (ko) 백화사설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162377B1 (ko) 천연물 유래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37357B1 (ko) 인삼(Panax Ginseng) 뿌리 추출물, 마데카소사이드(Madecassoside), 달맞이꽃(Oenothera Biennis) 종자유 및 홍화(Carthamus Tinctorius) 종자유를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24534B1 (ko) 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7349B1 (ko) 잎새버섯 다당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322850B1 (ko) 박하잎 추출물, 밀싹 추출물 및 길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공 축소 또는 피지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100574233B1 (ko) 피부 보습 및 항자극 효과를 가지는 식물 혼합추출물을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25599B1 (ko) 백화사설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