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9898A - Egcg와 장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Egcg와 장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9898A
KR20060089898A KR1020050009988A KR20050009988A KR20060089898A KR 20060089898 A KR20060089898 A KR 20060089898A KR 1020050009988 A KR1020050009988 A KR 1020050009988A KR 20050009988 A KR20050009988 A KR 20050009988A KR 20060089898 A KR20060089898 A KR 200600898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egcg
composition
water
r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9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4716B1 (ko
Inventor
이화준
조준철
한상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평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평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평양
Priority to KR1020050009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4716B1/ko
Priority to CN2005800476784A priority patent/CN101111290B/zh
Priority to US11/795,867 priority patent/US8808761B2/en
Priority to PCT/KR2005/003642 priority patent/WO2006083072A1/en
Publication of KR20060089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98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4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47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EGCG(에피가로카테킨 갈레이트: Epigallocatechin gallate)와 장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EGCG와 장미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콜라겐 섬유의 합성을 촉진하여 우수한 피부 탄력 증진 효과와 주름 개선 효과를 갖고 그 효과가 장기간 보존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EGCG * 장미 추출물 * 주름 개선 * 수-안정화 EGCG 캡슐 * 피부 외용제

Description

EGCG와 장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Composition of skin external application containing rose extract and Epigallocatechin gallate(EGCG)}
본 발명은 EGCG(에피가로카테킨 갈레이트: Epigallocatechin gallate)와 장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EGCG 와 장미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콜라겐 섬유의 합성을 촉진하여 우수한 피부 탄력 증진 효과와 주름 개선 효과를 갖고 그 효과가 장기간 보존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인체의 일차 방어막으로서 온도 및 습도의 변화, 자외선, 및 공해물질과 같은 외부환경의 자극으로부터 체내의 기관을 보호해 주는 기능을 한다. 그러나, 내적으로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신진대사를 조절하는 각종 호르몬의 분비가 감소하고, 면역세포의 기능과 세포들의 활성이 저하되어 생체에 필요한 면역 단백질 및 생체 구성 단백질들의 생합성이 줄어들게 되고, 외적으로는 오존층 파괴와 같은 환경오염으로 인한 자외선, 자유 라디칼 및 활성산소의 증가로 인하여 발생하는 물리적, 화학적 자극 및 스트레스로 인해 피부의 정산기능이 약화되고 노화가 촉진된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고 보다 건강하고 아름다운 피부를 유지하기 위해서, 기존에 알려진 각종 동물, 식물, 미생물 등으로부터 얻은 생리 활성 물질들을 화장품에 부가하여 사용함으로써 피부의 고유기능을 유지시키고 피부세포를 활성화시켜 피부노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하기 위한 노력이 있어 왔다.
EGCG는 인체의 면역력을 증가시키고,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갖고 있으며, 경구투여시 우수한 항암 효과 및 항산화 효과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EGCG는 피부에 도포할 경우 연골, 모세혈관, 근육 등의 구성요소인 콜라겐의 생성을 촉진하며 자외선이 피부에 침투하여 생기는 화학물질을 파괴하여 피부 손상을 막아주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주름을 방지하고, 피부를 건강하게 유지시키며, 우수한 미백효과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화장료 조성물 뿐 아니라 의약 조성물, 생활 용품 등에 적용할 경우 우수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EGCG는 폴리페놀의 화학구조로서 강력한 항산화제 기능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그 자체는 공기, 특히 산소와 열, 빛 등의 외부환경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산화에 의해 쉽게 분해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특허 제10-2004-0077823호에는 EGCG, 양극성 고분자, 음극성 고분자 또는 이들의 혼합물, 수불용성 고분자, 양친성 고분자 또는 이들의 혼합물, 항산화제 등을 혼합하여 EGCG를 수-안정화 캡슐로 만드는 방안이 개시되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EGCG와 장미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 외용제를 사용할 경우 진피에서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여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할 뿐 아니라, 그 효과 가 장기간 보존된다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하고, 그 효과가 장기간 보존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EGCG 및 장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EGCG는 수-안정화 EGCG 캡슐 제형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장미 추출물은 장미순 추출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수-안정화 EGCG 캡슐은 순수한 EGCG를 0.01~30% 중량 함유하고 있으며, 양극성 고분자, 음극성 고분자 또는 이들의 혼합물, 수불용성 고분자, 양친성 고분자 또는 이들의 혼합물, 항산화제 등을 혼합하여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수-안정화 EGCG 캡슐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상온에서 친수성 용매, EGCG, 양극성 고분자, 음극성 고분자 또는 이들의 혼합물, 항산화제 및 수불용성 고분자, 양친성 고분자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에 물, 친수성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가하여 캡슐을 제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수-안정화된 EGCG 캡슐 조성물을 제조하는 또 다른 방법은 상온에서 친수성 용매, EGCG 및 수불용성 고분자, 양친성 고분자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에 물, 친수성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가하여 용해시키는 단계; 및
상기 용해된 혼합물에 양극성 고분자, 음극성 고분자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항산화제를 혼합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두 방법에서 조성물 중 상기 EGCG는 0.01~30% 중량, 상기 양극성 고분자, 음극성 고분자 또는 이들의 혼합물은 0.1~5.0중량%, 상기 수불용성 고분자, 양친성 고분자 또는 이들의 혼합물은 0.5~25.0중량%, 상기 항산화제는 0.1~10.0중량%, 물과 친수성 용매의 혼합물은 잔량으로서 함유된다.
본 발명의 조성에 있어서, 수-안정화 EGCG 캡슐의 함량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1~50중량%가 바람직하다. 만일 수-안정화 EGCG 캡슐의 함량이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1중량% 미만이라면 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50중량%를 초과한다면 과도한 사용에 따른 피부 부작용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장미순 추출물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50중량%가 바람직하다. 만일 장미순 추출물의 함량이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1중량% 미만이라면 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50중량%를 초과한다면 과도한 사용에 따른 피부 부작용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장미는 열매뿐 아니라 순, 꽃잎, 줄기, 뿌리 등에 우수한 성분이 많아 수천년간 민간치료제로 이용되어 왔다. 특히 장미순 추출물은 비타민 B, C 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자외선이나 산화제에 의한 피부세포의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어하여 피부탄력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여러 실험을 통해 밝혀졌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장미순 추출물은 특히 고산지방에서 자라는 들장미의 순을 부틸렌 글라이콜(Butylene Glycol)로 추출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미순 추출물은 비타민 B, C 등의 생리활성 물질이 다량 포함되어 있어 항산화 효과가 있으며, 손상된 피부세포의 회복을 도와 탄력을 증진시킨다.
본 발명의 EGCG 및 장미 추출물을 함유한 주름 개선용 피부외용제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팩, 젤 또는 피부 점착타입 화장료 형태로 제형화 될 수 있으며, 또한, 로션, 연고, 겔, 크림, 패취 또는 분무제와 같은 경피투여형으로 제형화 될 수 있다.
이하, 시험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예 1] 수-안정화 EGCG 캡슐의 제조
성분 함량(중량%)
글리세린 10
아세톤 50
설탕 1
키토산 1
티로신 2
EGCG 5
폴리에스테르 10
잔량
상기 표 1의 조성으로 수-안정화 EGCG 캡슐을 제조하였다.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플라스크에 친수성 용매인 글리세린 및 아세톤을 투입한 후 EGCG를 첨가하여 용해시켰다.
2) 상온에서 상기1)의 용액에 극성 고분자인 설탕 및 키토산과 항산화제인 티로신을 순차적으로 첨가하여 용해시켰다.
3) 수불용성 고분자인 폴리에스테르를 용해가능한 양의 친수성 용매인 글리세린과 아세톤의 혼합물에 용해시켰다. 필요에 따라 수불용성 고분자의 용해공정은 승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용해 후에는 다시 상온으로 온도를 낮추어준다.
4) 상기 2)의 용액과 상기 3)의 수불용성 고분자 수용액을 혼합하였다.
5) 4)의 용액을 천천히 교반하면서 물과 친수성 용매인 글리세린 및 아세톤 혼합물에 혼합하여 캡슐을 제조하였다.
6) 캡슐의 제조가 완료된 후 약 100mHg의 저압, 60℃의온도에서아세톤을제거하였다.
[시험예 1] 인간 피부세포에 대한 콜라겐 생합성 효능 측정
인간 섬유아세포를 24공 평판배양기에서 배양한 다음 하기 표 1에 기재된 물질들을 포함하는 배지로 교체하여 3일간 배양하고 10%의 우태아 혈청이 함유된 DMEM 배지를 각 웰 당 0.5㎖씩 첨가한 후 L[2, 3, 4, 5-3H]-프롤린 10μCi를 첨가하였다. 24시간 경과 후, 각 웰에 들어있는 배지와 세포들을 긁어 모아 5% 트리클로로아세틱 산(TCA; Trichloroacetic acid) 용액에 넣어 수세한 후, 각각 2개의 시험관에 분주하고 그 중 1개의 시험관에는 타입 I 콜라게나제(type I collagenase) 1unit/㎕를 넣고 37℃에서 90분간 배양하였으며 다른 시험관은 4℃에서 보관하였다. 그 후, 모든 시험관에 50% 트리클로로아세틱 산을 0.05㎖씩 첨가하고 4℃에서 20분간 방치한 다음 각각 12,0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각각의 상등액과 침전물을 액체 신틸레이션 계수기(LSC; Liquid Scintillation Counter)로 씨피엠(CPM; counts per minute) 값을 얻어, 하기 수학식 1에 의거하여 대조군과 실험군에 대해 콜라겐 생합성 값(RCB; Relative Collagen Biosynthesis)을 구하였다. 그 결과는 아래 표의 각 물질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대조군을 100으로 하여 비교치를 구한 다음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5006537145-PAT00001
구분 농도(%) 콜라겐 생합성 비율(%)
참고예 1의 수-안정화 EGCG 캡슐 10 146
1 110
장미순 추출물 10 110
1 102
대조군 - 100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수-안정화 EGCG 캡슐과 장미순 추출물은 콜라겐 생합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킴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4 및 비교예 1~5]
하기 표 3의 조성으로 실시예 1~4 및 비교예 1~5을 유액 타입의 크림 제형으로 제조하고 하기 시험예 2에서 그것을 이용하였다. 표 3의 배합성분 중 장미 추출물은 장미의 꽃잎, 줄기, 뿌리 등에서 추출한 것이다.
배합성분 실시예1 (중량%) 실시예2 (중량%) 실시예3 (중량%) 실시예4 (중량%) 비교예1 (중량%) 비교예2 (중량%) 비교예3 (중량%) 비교예4 (중량%) 비교예5 (중량%)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참고예 1의 수-안정화 EGCG 캡슐 5.0 - 5.0 - - 5.0 - - -
Pure EGCG - 0.2 - 0.2 - - 0.2 - -
장미순 추출물 5.0 5.0 - - - - - 5.0 -
장미 추출물 - - 5.0 5.0 - - - - 5.0
식물성 경화유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글리세롤 스테아레이트 0.60 0.60 0.60 0.60 0.60 0.60 0.60 0.60 0.60
세테아닐 알코올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폴리글리세릴-10 펜타스테아레이트, 베헤닐 알코올, 및 소디움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아라키딜 베헤닐 알코올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세틸아릴 알코올, 및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PEG-100 스테아레이트, 글리세롤올레이트, 및 프로필렌글리콜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카프릴릭/카르릭 트리글리세라이드 11.00 11.00 11.00 11.00 11.00 11.00 11.00 11.00 11.00
사이클로메디콘 6.00 6.00 6.00 6.00 6.00 6.00 6.00 6.00 6.00
방부제, 향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트리메탄올 아민 0.10 0.10 0.10 0.10 0.10 0.10 0.10 0.10 0.10
[시험예 2]동물에서의 콜라겐 생합성 효능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피부 콜라겐 생합성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무모 생쥐의 등 부위에 상기 실시예 1~4 및 비교예 1~5의 조성을 갖는 크림 제형을 제조 직후, 제조 후 10주, 및 제조 후 20주 시점에서 일주일 동안 도포한 후 생검하여 콜라겐 면역 조직염색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상기 시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처리군인 비교예 1을 100으로 한 비교치로 구하여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구분 콜라겐 생합성(%)
제조 직후 10주 경과 20주 경과
실시예 1 138 138 137
실시예 2 122 119 116
실시예 3 119 114 112
실시예 4 115 112 110
비교예 1(대조군) 100 100 100
비교예 2 112 111 110
비교예 3 110 110 105
비교예 4 105 102 101
비교예 5 101 101 100
상기 표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2, 3, 4를 도포한 군이 비교예 1을 도포한 군보다 각각 38%, 22%, 19%, 15%정도 콜라겐 생합성이 증가한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특히, 수-안정화 EGCG 캡슐과 장미순 추출물을 사용한 실시예 1의 경우 콜라겐 생합성이 38% 정도로 크게 증가하였으며 그 효과가 20주 후에도 보존되었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은 수-안정화 EGCG 캡슐과 장미순 추출물을 혼합하여 사용하였을 때 훨씬 그 효과가 증가할 뿐 아니라 그 효과도 장기간 보존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시험예 3] 인체에서의 피부 탄력 개선 효과 측정
상기 표 3에서 제조한 유액 타입 크림의 피부 탄력 개선 효과를 측정하였 다. 온도 24∼26℃, 습도 75% 조건에서 30세 이상의 건강한 여성 30명을 3개조로 나누고, 각 조에 실시예 1, 2과 비교예 1의 외용제를 매일 2회씩 12주간 안면에 도포한 후 피부 탄력 측정기(Cutometer SEM 575, C+K Electronic Co., Germany)를 이용하여 피부 탄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피부 탄력 측정기의 R8[R8(왼쪽)-R8(오른쪽)]값으로 구하여 하기 표 5에 나타내었으며 R8(왼쪽)은 콘트롤(control), 오른쪽은 측정하고자 하는 피부의 탄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R8값은 피부 점탄성(viscoelasticity)의 정도를 나타낸다.
구분 피부 탄력 효과 (R8값)
비교예 1 0.05
실시예 1 0.38
실시예 2 0.20
상기 표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안정화 EGCG 캡술 및 장미순 추출물이 함유된 실시예 1의 물질을 도포한 군은 비교예 1, 실시예 2을 도포한 군에 비해 피부 탄력성이 더 증가하였다.
이와 별도로, 시험을 종료한 시점에 시험 대상자들로 하여금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여 기기적인 평가와 동시에 주관적인 효능 평가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구분 응답자 수 (명)
매우 양호 양호 보통 미흡
비교예 1 1 1 5 3
실시예 1 1 3 6 0
실시예 2 3 6 1 0
상기 표 6를 통해서 본 발명에 따른 수-안정화 EGCG 캡슐과 장미순 추출물을 함유한 실시예 1을 도포한 경우 피부탄력성이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4] 사람에서의 주름생성 개선효과 측정
상기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에 대하여 주름개선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30대 여성 80명을 각각 20명씩 4개조로 나누어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 중 하나를 매일 1회 8주간 도포하게 한 후, 실리콘을 이용하여 모사판(replica)를 떠서 주름의 상태를 노화도 측정기(visiometer; SV600, Courage+Khazaka electronic GmbH, Germany)로 측정하여 화상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으며, 각각의 수치는 도포 8주 후 각각의 변수(parameter)값에서 도포 전 변수값을 뺀 것의 평균을 나타낸 것이다. 하기 표 7에서 R1은 주름 등고선의 최고치와 최저치의 차이값, R-2는 주름 등고선을 임의로 5칸씩 나눈 후 그 중 R1값 들의 평균, R3는 5개씩 나눈 R1값 중 최고치, R4는 주름 등고선의 기선(baseline)에서 각각의 꼭대기와 계곡의 값을 뺀 평균값, R5는 주름 등고선의 기선에서 각각의 주름 윤곽을 뺀 차이값을 나타낸 것이다.
구분 R1 R2 R3 R4 R5
실시예 1 -0.26 -0.25 -0.13 -0.03 -0.03
실시예 2 -0.10 -0.10 -0.07 -0.01 -0.02
비교예 1 0.28 0.27 0.22 0.04 0.04
비교예 2 0.27 0.26 0.21 0.03 0.02
상기 표 7에서 알 수 있듯이, 실시예 1, 2는 피부주름개선효과를 나타내며, 특히 실시예 1의 피부주름개선효과는 아주 뛰어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EGCG와 장미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하고 그 효과가 장기간 보존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하고 그 효과가 장기간 보존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8)

  1. 에피가로카테킨 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 EGCG)와 장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피가로카테킨 갈레이트는 수-안정화 EGCG 캡슐 제형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안정화 EGCG 캡슐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50중량%로 함유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안정화 EGCG 캡슐은 EGCG, 양극성 고분자, 음극성 고분자 또는 이들의 혼합물, 수불용성 고분자, 양친성고분자 또는 이들의 혼합물, 항산화제 등을 혼합하여 EGCG를 수-안정화 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미 추출물은 장미순 추출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장미순 추출물은 고산지대에서 서식하는 들장미의 순 을 채취하여 부틸렌 글라이콜로 추출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장미순 추출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50중량%로 함유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주름 개선용인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0050009988A 2005-02-03 2005-02-03 Egcg와 장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1347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9988A KR101134716B1 (ko) 2005-02-03 2005-02-03 Egcg와 장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N2005800476784A CN101111290B (zh) 2005-02-03 2005-11-01 含有蔷薇提取物和表没食子儿茶素没食子酸酯的皮肤外用组合物
US11/795,867 US8808761B2 (en) 2005-02-03 2005-11-01 Composition of skin external application containing rose extract and epigallocatechin gallate(EGCG)
PCT/KR2005/003642 WO2006083072A1 (en) 2005-02-03 2005-11-01 Composition of skin external application containing rose extract and epigallocatechin gallate(egc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9988A KR101134716B1 (ko) 2005-02-03 2005-02-03 Egcg와 장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9898A true KR20060089898A (ko) 2006-08-10
KR101134716B1 KR101134716B1 (ko) 2012-05-24

Family

ID=36777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9988A KR101134716B1 (ko) 2005-02-03 2005-02-03 Egcg와 장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808761B2 (ko)
KR (1) KR101134716B1 (ko)
CN (1) CN101111290B (ko)
WO (1) WO200608307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90588A1 (ko) * 2017-04-10 2018-10-18 주식회사 크릴랜드 장미숙성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MI20091320A1 (it) * 2009-07-24 2011-01-25 Intercos Italiana Emulsionante comprendente sostanze presenti in un fiore e composizioni cosmetiche che lo contengono.
KR20110035459A (ko) * 2009-09-30 2011-04-06 (주)이그잭스토너 Egcg/폴리에스터 수지 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FR2991169B1 (fr) * 2012-06-05 2016-07-29 Laboratoires M & L Composition cosmetique ou dermatologique et son utilisation
CN102809592B (zh) * 2012-07-13 2014-03-12 江苏大学 一种快速检测egcg的电化学传感器的电聚合制备方法
WO2014158797A1 (en) * 2013-03-14 2014-10-02 Avon Products, Inc Calotropis gigantea extracts and methods of use
DE102014010826A1 (de) 2014-07-23 2016-01-28 Innotec Research Ug (Haftungsbeschränkt) Optimierte chemische oder physikalische Kombination von Grüntee-Extrakt mit weiteren Hilfsstoffen zur gleichzeitigen Stabilisierung des Grüntee-Extrakts und zur Modulierung körpereigener Prozesse.
CN105997702A (zh) * 2016-07-05 2016-10-12 上海相宜本草化妆品股份有限公司 一种刺玫果提取物及其应用
CN106334071A (zh) * 2016-10-14 2017-01-18 苏州药基美研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egcg和芦荟提取物的外用制剂
CN106390195B (zh) * 2016-11-16 2019-08-23 四川大学 一种胶原膜的改性方法
CN112912057B (zh) * 2018-11-06 2023-12-22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含有聚酯型儿茶素a的化妆料组合物
FR3090380B1 (fr) * 2018-12-20 2021-09-17 Lvmh Rech Extrait de bois de rose
CN111529434B (zh) * 2020-05-11 2021-09-03 山东农业大学 一种含egcg的唇部预防保健产品及其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99603B2 (ja) * 1989-10-12 1998-09-21 株式会社コーセー 美白化粧料
US5670154A (en) * 1994-01-10 1997-09-23 Mitsui Norin Co., Ltd. Reducing tyrosinase activity
JP3532244B2 (ja) * 1994-05-20 2004-05-31 株式会社ナリス化粧品 ムコ多糖類断片化抑制剤、活性酸素消去剤および化粧料
WO2000000162A1 (en) * 1998-06-30 2000-01-06 Avon Products, Inc. Skin whitening composition
JP4233734B2 (ja) * 2000-07-19 2009-03-04 株式会社資生堂 美白用皮膚外用剤
KR100389096B1 (ko) * 2001-01-22 2003-06-25 한국화장품주식회사 피부미백기능을 가지는 장미꽃잎추출물 및 이를 함유한피부미백화장료 조성물
TWI238068B (en) * 2001-03-06 2005-08-21 Kao Corp Composition for external application
US7314634B2 (en) * 2002-02-22 2008-01-01 Steven Hernandez Use of polyphenols to treat skin conditions
KR20040043971A (ko) * 2002-11-20 2004-05-27 동방에프티엘 주식회사 자연산 상황버섯, 녹차, 정향, 영실 추출물의 추출방법 및그 혼합 추출물을 사용한 미백 화장품의 제조 방법
KR20050011889A (ko) * 2003-07-24 2005-01-31 주식회사 태평양 피부세포간 정보전달능에 대한 보호작용을 갖는 물질을함유하는 항노화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90588A1 (ko) * 2017-04-10 2018-10-18 주식회사 크릴랜드 장미숙성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114578A (ko) * 2017-04-10 2018-10-19 주식회사 크릴랜드 장미숙성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808761B2 (en) 2014-08-19
CN101111290B (zh) 2012-08-08
KR101134716B1 (ko) 2012-05-24
US20080160114A1 (en) 2008-07-03
WO2006083072A1 (en) 2006-08-10
CN101111290A (zh) 2008-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4716B1 (ko) Egcg와 장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US8101214B2 (en) Composition for skin external application containing complex of herbal extracts
KR101868263B1 (ko)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90762B1 (ko) 오크라 다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114029A (ko) 알로에베라잎즙 및 할미꽃, 병풀, 쇠비름 및 위치하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17430B1 (ko) 진달래꽃, 사과꽃 및 함박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 및 진정 화장용 조성물
KR20130045451A (ko) 드래곤블러드수지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78888B1 (ko) 조직배양한 에키네시아 부정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6333886B (zh) 一种具有保湿和美白亮肤作用的组合物及其应用
KR100930873B1 (ko) 피부 주름 개선용 또는 피부 탄력 증진용 피부 외용제조성물
KR20090063381A (ko) 피부 주름 개선 및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34976B1 (ko) 고욤나무 잎 및 울금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장벽강화용 조성물
KR100667182B1 (ko) 오소리 오일을 함유하는 피부 건조증 개선용 화장료
KR100816265B1 (ko) 대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자극 완화용화장료 조성물
KR102229259B1 (ko) 플럼코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52553B1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00067700A (ko) 관동화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210093498A (ko) 타나카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00318A (ko) 전나무 오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678865B1 (ko) 상지 추출물 및 카르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116504A (ko) 티트리 추출물 및 소금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57422B1 (ko) 때죽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정 또는 세척제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KR20140071716A (ko) 으름덩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19399B1 (ko) 시카케어 크림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RU2454217C1 (ru) Косметическое средство для ухода за кожей лица, тела и волосами (вариант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