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3381A - 피부 주름 개선 및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 주름 개선 및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3381A
KR20090063381A KR1020070130716A KR20070130716A KR20090063381A KR 20090063381 A KR20090063381 A KR 20090063381A KR 1020070130716 A KR1020070130716 A KR 1020070130716A KR 20070130716 A KR20070130716 A KR 20070130716A KR 20090063381 A KR20090063381 A KR 200900633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weight
cosmetic composition
pine bark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0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렬
강태준
송영숙
김기선
이천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70130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63381A/ko
Publication of KR20090063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33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7Pinaceae [Pine family], e.g. pine or ced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3Coniferophyta (gymnosperms)
    • A61K36/15Pinaceae (Pine family), e.g. pine or ced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소나무 껍질 추출물 및 마치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활성산소에 의한 콜라겐의 분해를 저해함으로써, 피부건조 및 피부탄력 저하에 의해 발생하는 피부 주름을 매우 효과적으로 예방 또는 개선하고, 피부에 도포할 경우 특이취가 적고, 피부자극이 거의 없어 피부 주름 개선 또는 예방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소나무, 마치현, 피부 주름, 화장료 조성물

Description

피부 주름 개선 및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SKIN CARE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AND PREVENTING WRINKLE}
본원 발명은 소나무 껍질 추출물 및 마치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외부로부터 피부 안쪽의 다양한 기관을 보호하고 있는 인체를 구성하는 기관들 중 가장 큰 기관으로서, 내부의 수분 및 유용성 성분의 피부 밖으로의 유출을 막아주는 장벽기능, 온도조절기능, 배설기능, 호흡기능 등 다양한 생리적 역할을 감당하고 있다.
그러나, 나이가 들면 피부의 생리적 기능이 저하되고 피부의 두께가 얇아져 피부장벽으로서의 기능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자외선, 대기오염, 냉난방 시설 등 외적 요인과 과도한 피로, 스트레스 및 연령에 따른 호르몬 변화 등 내적 요인에 의해 피부의 건성화가 이루어지게 되며, 이와 같은 피부 건성화는 역시 피부의 생리적 기능을 떨어뜨려 외부의 작은 자극원에 의해서도 피부자극 및 손상이 쉽게 일어나게 하는 원인이 된다.
통상적으로 성장기에는 내부 및 외부로부터의 노화 요인에 대하여 피부의 다 양한 방어 시스템에 의해 쉽게 대응을 할 수 있으나,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자외선 등의 원인으로 생성된 활성산소종에 의해 항산화 시스템이 파괴되고 이로 인해 방어능력이 현저하게 저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방어능력의 저하된 경우, 피부에 산화적 스트레스가 가해지면, 지질과산화, 단백질 산화, 탄력섬유인 콜라겐과 엘라스틴의 사슬절단 및 비정상적인 교차결합, 히아루론산 사슬의 절단, DNA 산화 등 생체 구성성분의 손상을 가져오게 된다. 상기한 생체 구성성분의 손상으로 인하여, 피부 주름의 초기증상인 피부의 처짐, 거칠어짐, 건조함 등이 유발되며, 결과적으로 피부 주름이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외부의 자극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여 활성산소종의 생성을 억제하고, 생성된 활성산소를 제거하여 피부 주름을 방지할 수 있는 항노화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원 발명은 활성산소에 의한 콜라겐의 분해를 저해함으로써, 피부건조 및 피부탄력 저하에 의해 발생하는 피부 주름을 매우 효과적으로 예방 또는 개선하고, 피부에 도포할 경우 특이취가 적고, 피부 부작용이 없는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 발명은 소나무 껍질 추출물 및 마치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원 발명자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예방을 개선하는 소재를 발굴하기 위하여, 천연의 다양한 원료들을 대상으로 연구하던 중, 천연성분인 소나무 껍질 추출물이 피부 주름을 개선할 뿐만 아니라, 피부에 도포할 경우 특이취가 적고, 피부자극이 거의 없다는 점을 확인하여 본원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세하게는, 소나무 껍질 추출물 및 마치현 추출물의 혼합물을 이용하여 V79-4세포에서 MTT 시험방법으로 실험한 결과, 안전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고, LLNA(Local Lymph Node Assay) 실험법에 의한 알러지 평가, 기니안 피그(Guinea Pig)를 이용한 첩포시험(Patch test)에 의한 피부자극성 실험 및 인체 첩포 실험(Human Patch Test)에서도 피부자극이 거의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한 주름완화효과 실험에서 주름 그림자 면적의 감소율이 뛰어나 주름 개선 효과가 뛰어난 것을 확인하여 본원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하, 본원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원 발명은 소나무 껍질 추출물 및 마치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원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주름 효과가 뛰어날 뿐만 아니라, 특이취가 적고, 피부 부작용이 적은 천연 추출물인 소나무 껍질 추출물 및 마치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원 발명의 소나무 껍질 추출물은 소나무의 껍질을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을 의미하며, 본원 발명의 마치현 추출물은 마치현을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을 의미한다.
본원 발명의 소나무(Pinus densiflora)는 겉씨식물 구과목 소나무과의 상록침엽 교목을 의미하며, 통상의 소나무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프랑스의 남서 해안에서 자생하는 소나무(French Maritime pine tree)일 수 있다.
상기 프랑스의 남서 해안에서 자생하는 소나무(French Maritime pine tree)는 거친 해풍, 바닷가 습지대, 뜨거운 태양열 등 열악한 자연 환경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나무껍질의 두께가 5 내지 7 cm되며, 상기 프랑스의 남서 해안에서 자생하는 소나무의 두꺼운 나무껍질 내부에는 항산화 작용을 할 수 있는 항산화 물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본원 발명의 마치현(Portulaca oleracea)은 쇠비름과의 한해살이풀을 의미하며, 쇠비름이라고도 한다. 상기 마치현은 높이는 15 내지 30 cm이고, 갈적색이고 가지가 많이 갈라져서 비스듬히 옆으로 퍼져 자라며, 뿌리는 백색이지만 손으로 벗기면 원줄기와 같이 적색으로 된다. 잎은 마주나고 쐐기 모양의 타원형이며, 마치 말의 이빨 모양과 닮았다고 하여 마치현이라고 이름이 붙여졌다. 꽃은 5 내지 8월에 피며, 노란 꽃이 가지 끝에 피는데 꽃자루가 없고, 양성이며, 아침에 피었다가 한낮에 오므라진다. 서양에서는 상치와 더불어 샐러드의 재료로 사용되며, 우리나라에서는 나물 등 주로 식용으로 사용되거나 약용으로 사용되었다.
본원 발명의 추출 용매는 정제수 또는 메탄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4의 무수 또는 함수 알콜,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롤,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아세톤 등의 극성용매와, 벤젠, 핵산, 디에틸에테르 또는 디클로로메탄 등의 비극성용매와 같은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일 수 있으며, 상기 유기용매는 2종 이상 사용할 수 있으나, 추출용매의 종류 및 함량은 목적에 따라 적의 선택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추출용매는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50 내지 100%의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콜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100%의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콜일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100%의 에탄올일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소나무 껍질 추출물은 통상의 식물 추출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랑스의 남서 해안에서 자생하는 소나무의 껍질을 4℃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0℃에서 20시간 내지 200시간, 바람직하게는 72시간 내지 144시간 동안 침전 후, 여과하는 용매 추출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일 예로는, 프랑스의 남서 해안에서 자생하는 소나무의 껍질을 물로 세척한 후 이 를 잘게 세절하고, 상기의 세절한 껍질을 96% 에탄올 희석수를 이용하여 4℃에서 5일 동안 침적하고 여과한 후, 상기 여과에 의해 얻은 여과액을 감압농축하여 소나무 껍질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물은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 후에, 추가로 4℃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4℃ 내지 8℃에서 50시간 내지 200시간, 바람직하게는 70시간 내지 120시간 동안 숙성시키는 과정을 수행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소나무 껍질 추출물의 바람직한 예는 피크노제놀일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소나무 껍질 추출물은 프로시아니딘(Procyanidins), 카테킨(Catechin), 에피카테킨(Epicatechin), 탁시폴린(Taxifolin) 또는 과일산(Fruit acids)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마치현 추출물은 통상의 식물 추출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치현을 4℃ 내지 15℃,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0℃에서 20시간 내지 200시간, 바람직하게는 80시간 내지 150시간 동안 침전 후, 여과하는 용매 추출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여과 과정은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상기 여과액을 이온교환수지를 통과시키고 이를 다시 필터로 여과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는, 물로 깨끗이 세척한 마치현을 90% 에탄올 희석수를 이용하여 4℃에서 5일 동안 침적하고 여과한 후, 상기 여과에 의해 얻은 여과액을 감압농축하여 마치현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추출물은 상기 추출방법에 의해 추출된 추출물을 저온에서 숙성시켜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추출방법에 의해 추출된 추출물 또는 숙성과정을 수행한 추출물을 탈수 또는 탈용매화한 후 감압농축 또는 동결 건조하여 액상 또는 분말 형태로 제조할 수 있으나, 추출방법은 추출물의 사용 목적 및 용도에 따라 적의 선택할 수 있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숙성과정은 상기 추출물을 4℃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4℃ 내지 8℃에서 50시간 내지 200시간, 바람직하게는 70시간 내지 120시간 동안 유지하는 과정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의 추출물은 상기 추출방법에 의해 추출된 추출물 또는 숙성과정을 수행한 추출물을 상기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중 1종 이상을 사용하여 분획하거나, 필터 등을 이용하여 여과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여과과정은 매쉬, 규조토 필터 등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소나무 껍질 추출물 및 마치현 추출물은 실험결과 피부건조 및 피부탄력 저하에 의해 발생된 주름 그림자 면적을 감소시키고, 피부자극이 거의 없어 피부 주름 개선 또는 예방에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원 발명에 있어서 소나무 껍질 추출물 및 마치현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은 전체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소나무 껍질 추출물 및 마치현 추출물을 0.001 내지 20.0중량%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0중량% 포함될 수 있으나, 상기 함량은 제형 또는 외용제에 함유되는 그 외 성분의 함량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소나무 껍질 추출물 및 마치현 추출물의 함량이 0.001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기대하는 효과를 얻기 어려울 수 있으며, 상기 소나무 껍질 추출물 및 마치현 추출물의 함량이 1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품의 안정성 및 피부 부작용과 원가 상승으로 인한 효능 대비 경제적 가치의 저하라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 다.
상기 소나무 껍질 추출물 및 마치현 추출물의 함량비는 중량기준으로 2:1 내지 1:50(소나무 껍질 추출물 : 마치현 추출물)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1:30,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1:2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부 주름 개선 또는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통상의 화장품에 사용가능한 모든 종류의 성분, 예컨대 향료, 색소, 살균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보습제, 점증제, 부형제, 희석제, 무기염류 및 합성 고분자 물질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가된 성분은 인체에 무해하며, 조성물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 성분이어야 한다.
상기 피부 주름 개선 또는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 및 용도에 있어서 특별히 제안이 없으며, 일예로 기초화장품, 메이크업 화장품, 바디 화장품, 두발용 화장품, 두피용 화장품, 면도용 화장품 또는 구강용 화장품의 용도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기초화장품의 예로는 크림, 화장수, 팩, 마사지 크림, 유액 등이 있으며, 상기 메이크업 화장품으로는 파운데이션, 메이크업 베이스, 립스틱, 아이새도, 아이라이너, 마스카라, 아이브로우 펜슬 등이 있으며, 바디 화장품으로는, 비누, 액체 세정제, 입욕제, 선스크린 크림, 선 오일 등이 있으며, 두발용 화장품으로는 샴푸, 린스, 헤어 트리트먼트, 헤어 무쓰, 헤어 리퀴드, 포마드, 헤어 칼라제, 헤어 블릿치제, 칼라 린스가 있으며, 두피용 화장품으로는 헤어 토닉, 스칼프 트리트먼트가 있으며, 면도용 화장품으로는 애프터셰이브로션, 셰이빙 크림 등이 있으며, 구강용 화장품으로는 치약, 마우스 워셔 등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실시예 2의 소나무 껍질 추출물 및 상기 마치현 추출물의 혼합물은 천연성분으로 피부에 대한 부작용 및 독성이 없고 특이취가 적으며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있는 점 특히 천연물로서 인체에 안전하기 때문에 그 사용량을 높일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피부 주름 개선 및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의 원료로서 커다란 산업적 가치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하 본원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이는 본원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원 발명의 보호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소나무 껍질 추출물 및 마치현 추출물의 제조
실시예 1-1 소나무 껍질 추출물의 제조
구입한 프랑스의 남서 해안에서 자생하는 소나무(French Maritime pine tree)((주)주피터 인터내셔널, 대한민국)의 껍질을 물로 세척하여 불순물을 제거하고 잘게 세절한 후에, 상기 세절된 소나무의 껍질 1kg을 96% 에탄올 5kg에 넣고 4℃에서 5일 동안 침적 추출한 다음, 4℃에서 4일간 숙성시켰다. 상기 숙성시킨 추출물을 0.4 ㎛의 필터 CSM PTFE 45((주)새한, 대한민국)으로 1차 여과한 후 이온교환수지 DIAION WK10((주)새한, 대한민국)를 통과시키고, 다시 0.2 ㎛의 필터 CSM PTFE 20((주)새한, 대한민국)로 2차 여과하고, 또 다시 0.1 ㎛ 마이크로 필터 CSM PTFE 10((주)새한, 대한민국)로 여과시킨 후 냉동건조시켜 용매를 제거하여 소나무 껍질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2 마치현 추출물의 제조
대한민국 대전의 야산에서 채취한 신선한 마치현을 물로 세척하여 불순물을 제거하고 잘게 세절한 후에, 상기 세절된 마치현 1kg을 90% 에탄올 희석수 5kg에 넣고 4℃에서 5일 동안 침적 추출한 다음, 상기 추출물을 0.4 ㎛의 필터 CSM PTFE 45((주)새한, 대한민국)으로 1차 여과하고 이온교환수지 DIAION WK10((주)새한, 대한민국)를 통과시킨 후에, 다시 0.2 ㎛의 필터 CSM PTFE 20((주)새한, 대한민국)로 2차 여과하고, 상기 여과과정을 수행한 추출물을 감압농축한 하였다. 상기 농축된 조추출물에 대해 1,3-부틸렌글리콜을 이용하여 분획과정을 수행한 후에, 냉동건조시켜 용매를 제거하여 마치현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안정성 평가Ⅰ - 세포독성 시험
실시예 1-1에서 수득한 소나무 껍질 추출물 및 실시예 1-2에서 수득한 마치현 추출물의 안전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상기 소나무 껍질 추출물 및 상기 마치현 추출물을 1:10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추출물의 세포독성 여부를 확인하였다. 상기 세포독성 여부의 확인은 V79-4세포(차이니스 햄스터, 폐조직 섬유아세포의 연속 세포주)를 대상으로 MTT 시험법(Mossman T. Rapid colorimetric assay for cellular growth & survival : application to proliferation & cytotoxicity assays. Journal of Immunological Methods, 65, 55~63(1983))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상기 MTT 시험법의 결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비교예로 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SLS, 비교예 1) 및 스쿠알란(비교예 2)을 사용하였으며, 상기 시험법에 의한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시료 IC50 (%, w/v)
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SLS) 0.005
스쿠알란 0.05
소나무 껍질 추출물 및 마치현 추출물의 혼합물 5.00
상기 표 1의 IC50 값(Inhibitory Concentration 50)은 전체 세포의 50%를 사멸시킬 수 있는 농도를 의미한다.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소나무 껍질 추출물 및 상기 마치현 추출물의 혼합물의 IC50 값은 5.00 %로 비교예 1인 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에 비하여 1,000 배, 안정성이 우수한 유용성 원료로 알려진 비교예 2인 스쿠알란보다도 100 배 이상 높은 값을 나타내어 세포독성이 매우 낮은 것으로 즉, 안전성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 실시예 3> 안정성 평가Ⅱ - 알러지 평가( LLNA )
실시예 1-1에서 수득한 소나무 껍질 추출물 및 실시예 1-2에서 수득한 마치현 추출물의 안전성을 검증하고자, 상기 실시예 2의 소나무 껍질 추출물 및 상기 마치현 추출물의 혼합물의 알러지 유발여부를 확인하였다. 상기 알러지 유발여부의 확인은 아세톤과 올리브 오일을 중량비를 기준으로 4:1(아세톤:올리브오일)로 혼합한 용매를 사용하는 LLNA(local lymph node assay) 실험법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OECD GUIDELINE FOR THE TESTING OF CHEMICALS ; DRAFT NEW GUIDELINE 429: Skin Sensitization ; Local Lymph Node Assay).
상세하게는, 상기 실시예 2의 소나무 껍질 추출물 및 마치현 추출물의 혼합물을 상기 아세톤과 올리브 오일을 혼합한 용매에 20 중량%(실시예 3-1), 40 중량%(실시예 3-2), 60 중량%(실시예 3-3)로 용해하여 시료를 제조하고, 마우스(Balb/c)의 양쪽 귀에 50 ㎕씩 3 일간 도포한 후, 최종 도포 후 30 일 후에 상기 마우스를 희생시켰다. 상기 희생된 마우스로부터 이개림프절(auricular lymph node)을 분리하였다. 상기 분리된 임파절을 분쇄하여 단일세포 상태로 만든 후, 방사성 동위원소 [3H]-메틸티미딘(methyl thymidine)을 첨가하여 24 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세포 증식의 DPM(disintegraions per minute) 및 증폭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2의 결과와 관련하여, 상기 용매인 아세톤과 올리브 오일을 혼합한 용매를 대조예 1로 사용하였으며, 하기 표 2의 DPM(disintegraion per minute)값은 [3H]-메틸티미딘이 세포내로 삽입되는 양을 의미하는 것이고, S.I.(stimulation index)값은 시료의 평균 DPM값을 대조예의 평균 DPM으로 나눈 값을 의미하는 것이다.
알러지 평가(LLNA)는 대조예 1과 비교한 특정 시료의 임파구 증폭 정도로 나타내었으며, 어느 특정 농도에서라도 시료의 증폭도(S.I.)가 3 이상이고, 상기 증폭도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일 경우에는 상기 특정 시료를 알러젠(allegen) 즉, 알러지를 유발하는 물질로 간주하였다.
구분 소나무 껍질 추출물 및 마치현 추출물의 혼합물 농도 (%) 임파절세포 수 (세포/mL × 107) DPM (평균) S.I. (증폭도)
대조예 1 0 1.90 3011 -
실시예 3-1 20 2.04 3667 1.20
실시예 3-2 40 2.07 3671 1.21
실시예 3-3 60 3.01 5750 1.90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3-1 내지 3-3 모두 증폭도(S.I)가 2 이하로 나타나, 소나무 껍질 추출물 및 마치현 추출물의 혼합물은 알러지 유발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4> 안정성 평가Ⅲ - 피부자극성 시험
실시예 1-1에서 수득한 소나무 껍질 추출물 및 실시예 1-2에서 수득한 마치현 추출물의 안전성을 검증하고자, 상기 실시예 2의 소나무 껍질 추출물 및 상기 마치현 추출물의 혼합물의 피부자극성 여부를 확인하였다. 상기 피부자극성 여부의 확인은 기니아 피그(Guinea Pig)를 사용하는 첩포 시험법(Patch test)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① Draize, J.H.: Dermal toxicity. Assoc. Food and Drug officials, US. Appraisal of the safety of chemicals in Food, Drugs and Cosmetics., pp46-59(1959), Texas State Dept of Health, Austin, Texas. ② Federal Register: Method of testing primary irritant substances 38(187) pp1500-1541(1973)).
상세하게는, 상기 실시예 2의 소나무 껍질 추출물 및 마치현 추출물의 혼합물을 0.001 중량%(실시예 4-1), 0.1 중량%(실시예 4-2), 5 중량%(실시예 4-3), 10 중량%(실시예 4-4)의 세안료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실시예 4-1 내지 실시예 4-4의 세안료의 조성은 하기 표 3과 같다. 하기 표 3의 단위는 중량%이다.
실시예 4-1 실시예 4-2 실시예 4-3 실시예 4-4
소나무 껍질 추출물 및 마치현 추출물의 혼합물 0.001 0.1 5.0 10.0
글리세린 5.0 5.0 5.0 5.0
디프로필렌글리콜 3.0 3.0 3.0 3.0
히아루론산 0.5 0.5 0.5 0.5
폴리옥시에틸렌 0.1 0.1 0.1 0.1
경화 피마자유 0.1 0.1 0.1 0.1
폴리에틸렌 올레일에틸 5.0 5.0 5.0 5.0
에탄올 0.15 0.15 0.15 0.15
색소 0.1 0.1 0.1 0.1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상기 제조한 세안료를 도포할 상기 기니아 피그의 등의 털을 제거하고, 피부 자극을 최소화한 상태에서 실험하기 위하여 환경에 적응할 수 있도록 24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24시간 동안 방치한 후, 세안료 도포 부위(1.5 ㎝ × 1.5 ㎝)를 설정하여 상기 세안료를 세안료로 적신 가아제를 이용하여 도포하였다. 상기 세안료를 도포한 후, 세안료의 증발 및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고형 재질의 박지로 상기 가아제를 밀봉하고, 가아제를 탄력 붕대를 이용하여 48시간 동안 고정하였다. 48 시간 동안 고정한 후, 폐쇄 첩포 즉, 가아제를 제거하고, 자극 정도를 판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4의 결과와 관련하여, 1,3-부틸렌글리콜 10 중량% 수용액을 대조예 2로 사용하였으며, 하기 표 4의 PII(Primary cutaneous Irritation Index)값을 자극지수로 사용하였다. 상기 자극지수(PII)가 0.50 이하인 경우 비자극으로 판단하였고, 0.5 초과 내지 1.0 미만인 경우 미세자극으로 판단하였으며, 1.0 이상인 경우에는 자극적인 것으로 판단하였다.
구분 소나무 껍질 추출물 및 마치현 추출물의 혼합물 농도 (%) 자극지수 (PII) 자극도
대조예 2 0 0.50 비자극
실시예 4-1 0.001 0.58 미세자극
실시예 4-2 0.1 0.68 미세자극
실시예 4-3 5 0.76 미세자극
실시예 4-4 10 0.82 미세자극
상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4-1 및 실시예 4-2 뿐만 아니라, 5 중량% 또는 10 중량%과 같이 과량의 소나무 껍질 추출물 및 마치현 추출물의 혼합물을 사용한 실시예 4-3 및 실시예 4-4의 경우에도 미세한 피부자극만이 확인되어, 소나무 껍질 추출물 및 마치현 추출물의 혼합물은 안전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 실시예 5> 안정성 평가Ⅳ - 인체에 대한 1차 자극성 시험
실시예 1-1에서 수득한 소나무 껍질 추출물 및 실시예 1-2에서 수득한 마치현 추출물을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할 경우의 안전성을 검증하고자, 실시예 2의 소나무 껍질 추출물 및 상기 마치현 추출물의 혼합물 및 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 또는 에탄올을 추가하여 제조한 수용액을 이용하여 인체에 대한 1차 자극성 시험을 수행하였다.
상세하게는, 상기 인체에 대한 1차 자극성 시험을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상기 자극성 시험의 시료를 상기 실시예 2의 소나무 껍질 추출물 및 마치현 추출물의 혼합물 1.0 중량%, 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 1.0 중량% 및 에탄올 10 중량%를 함유한 시료(실시예 5)와 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 1.0 중량% 수용액(대조예 3) 및 에탄올 10 중량% 수용액(대조예 4)으로 제조하였으며, 상기 자극성 실험은 건강한 성인 남녀 50 명을 대상으로 CTFA 가이드라인(The Cosmetic, Toility and Fragrance Association. Inc. Washington, D.C., 20036 (1991))에 따라 인체 첩포 시험(Human patch test)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상기 인체 첩포 실험은 핀 챔버(Finn Chamber)에 상기 제조한 실시예 5, 대조예 3 및 대조예 4의 시료를 각각 20 ㎕씩 적하시킨 후, 이를 시험부위인 피시험자의 등에 얹어 테이프를 이용하여 24시간 동안 고정시켰다. 24시간 동안 고정한 후, 첩포를 제거하고 다시 4 시간이 경과한 다음, 하기 표 5의 기준에 따라 자극 정도를 판정하였으며, 판정된 결과를 하기 계산식 1에 의해 계산하여 자극도를 구하였다.
Figure 112007089971274-PAT00001
자극도 = ((± )수 × 1) + ((+)수 × 2) + ((++)수 × 3) / 피시험자 수
상기 표 6 및 상기 계산식 1에 의해 구하여진 자극도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7089971274-PAT00002
상기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5의 조성물이 가장 낮은 자극도를 나타내어, 소나무 껍질 추출물 1.0 중량%, 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 1.0 중량% 및 에탄올 10 중량%를 혼합한 시료는 피부에 안전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6> 주름완화효과 시험
실시예 6-1.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에 소나무 껍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한 예를 기재하였다.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기의 제조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원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제조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아니된다.
제조예 1. 영양크림 제조
영양크림은 실시예 2의 소나무 껍질 추출물 및 상기 마치현 추출물의 혼합물 1.0 중량%, 세토스테아릴알코올 2.0 중량%,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 2.0 중량%,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 1.0 중량%, 밀납 2.0 중량%, 유동파라핀 5.0 중량%, 스쿠알란 7.0 중량%, 이소세틸옥타노에이트 4.0 중량%, 정제호호바유 4.0 중량%, 디메틸실록산 0.5 중량%, 모노스테아린산소르비탄 1.0 중량%, 모노스테아린산폴리에틸렌글리콜 1.2 중량%, 글리세린 6.0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4.0 중량%, 베타인 2.0 중량%, 잔탄검 0.06 중량%, 트리에탄올 아민 0.10 중량%, 방부제 0.25 중량%와 적량의 향료 및 색소와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제조예 2. 화장수 제조
화장수는 실시예 2의 소나무 껍질 추출물 및 상기 마치현 추출물의 혼합물 0.01 중량%, 글리세린 3.0 중량%, 디프로필렌글리콜 3.0 중량%, 히알루론산 1.0 중량%, 폴리옥시에틸렌 0.1 중량%, 경화피마자유 0.1 중량%, 폴리에틸렌 올레일에틸 5.0 중량%, 에탄올 0.15 중량%, 색소 0.1 중량%, 적량의 방부제및 색소와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제조예 3. 에센스 제조
에센스는 실시예 2의 소나무 껍질 추출물 및 상기 마치현 추출물의 혼합물 2.0 중량%, 세토스테아릴알코올 1.0 중량%,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 1.0 중량%, 밀납 0.5 중량%, 스쿠알란 5.0 중량%, 이소세틸옥타노에이트 3.0 중량%, 디메틸실록산 0.3 중량%, 모노스테아린산소르비탄 0.5 중량%, 모노스테아린산폴리에틸렌글리콜 8.0 중량%, 글리세린 5.0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0.2 중량%,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 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 0.22 중량%, 트리에탄올아민 0.25 중량%, 적량의 방부제, 향료, 및 색소와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제조예 4. 로션 제조
로션은 실시예 2의 소나무 껍질 추출물 및 상기 마치현 추출물의 혼합물 0.5 중량%, 세토스테아릴알코올 0.8 중량%,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 0.5 중량%, 밀납 0.5 중량%, 스테아린산 0.5 중량%, 유동파라핀 7.0 중량%, 스쿠알란 5.0 중량%, 마카데미아오일 3.0 중량%, 이소세틸옥타노에이트 2.0 중량%, 디메틸실록산 0.3 중량%, 모노스테아린산소르비탄 0.5 중량%, 모노스테아린산폴리에틸렌글리콜 1.2 중량%, 글리세린 4.0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4.0 중량%, 베타인 4.0 중량%,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 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 0.12 중량%, 트리에탄올아민 0.15 중량%, 방부제 0.25 중량%, 적량의 향료와 색소, 및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제조예 5. 젤 제조
젤은 실시예 2의 소나무 껍질 추출물 및 상기 마치현 추출물의 혼합물 5.0 중량%, 글리세린 10.0 중량%, 디프로필렌글리콜 10.0 중량%, 에탄올 10 중량%,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0.1 중량%,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 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 0.30 중량%, 트리에탄올아민 0.30 중량%, 적량의 방부제, 향료, 및 색소와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제조예 6. 연고 제조
연고는 실시예 2의 소나무 껍질 추출물 및 상기 마치현 추출물의 혼합물 10.0 중량%, 세토스테아릴알코올 3.0 중량%,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 2.0 중량%, 밀납 4.0 중량%, 스쿠알란 7.0 중량%, 모노스테아린글리세린 3.0 중량%, 모노스테아린산소르비탄 1.0 중량%, 폴리솔베이트 80 3.0 중량%, 글리세린 5.0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5.0 중량%, 적량의 향료와 색소, 및 잔량의 바세린을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6-2. 주름완화효과 시험Ⅰ
실시예 1-1에서 수득한 소나무 껍질 추출물 및 실시예 1-2에서 수득한 마치현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주름완화효과를 제조예 1의 영양크림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상세하게는 30 내지 40대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종래 사용하고 있는 영양크림의 사용을 중단하고, 제조예 1의 영양크림을 하루에 2회씩 아침과 취짐 전에 사용하도록 하였다. 상기 주름완화효과의 확인은 제조예 1의 영양크림을 사용한 후 4주 후에, 제조예 1의 영양크림을 사용한 피시험자들의 Replica 제작 및 촬영을 통하여 수행하였다.
상기 Replica의 제작은 치과용 실리콘 접착제(Provil, Germany)를 이용하여 제작하였으며, 상기 제작된 Replica의 분석은 제조예 1의 영양크림을 사용하기 전의 Replica와 4주 후의 Replica에 평면으로부터 24 °의 각도로 빛을 조사하고, Replica의 주름의 굴곡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그림자를 CCD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한 후에, 컴퓨터 영상 분석 프로그램인 Image-Pro Plus(version 4.0 for windows, Adept Electronic Solution Pty Ltd., USA)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을 분석하여 주름 그림자의 2차원적인 면적을 측정하였다.
상기 측정된 면적을 이용하여, 전체 측정 면적에 대한 상기 측정한 주름 그림자의 2차원적인 면적의 비율 즉, 주름의 밀도를 계산한 후, 특정 부위에 대하여 영양크림을 사용하기 전과 4주 후에 측정된 주름의 밀도의 비율을 도 1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예 1의 영양 크림을 4 주간 사용한 경우, 영양크림을 사용하기 전과 비교하여, 주름의 밀도가 34% 감소되었으며, 상기 결과는 95% 수준으로 통계학적 유의함이 있었다(p=0.015). 상기한 결과로부터 제조예 1의 영양 크림, 즉 실시예 2의 소나무 껍질 추출물 및 상기 마치현 추출물의 혼합물은 주름예방효과가 매우 탁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6-3. 주름완화효과 시험Ⅱ
실시예 1-1에서 수득한 소나무 껍질 추출물 및 실시예 1-2에서 수득한 마치현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주름완화효과를 제조예 2 내지 제조예 6의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상세하게는 35 내지 50대 여성 50명을 무작의로 10 명씩 5개의 군으로 구분하고, 종래 사용하고 있던 제품의 사용을 중지하고 1군은 화장수(제조예 2), 2군은 에센스(제조예 3), 3군은 로션(제조예 4), 4군은 젤(제조예 5), 5군은 연고(제조예 6)를 1일 2회씩 3개월 동안 도포하도록 하였다.
상기 주름완화효과의 확인은 상기 제조예 2 내지 제조예 6의 화장료 조성물 도포 3개월 후, 피시험자의 설문과 Replica 제작 및 촬영을 통해 수행하였다.
상기 피시험자의 설문은 주름개선에 관하여 사용전과 비교하여 개선없음, 약간의 개선, 중등도의 개선, 상당한 개선의 4 단계로 나누어 판정하도록 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구분 개선없음 약간의 개선 중등도의 개선 상당한 개선
제조예 2 3 3 3 1
제조예 3 1 3 4 2
제조예 4 1 2 4 3
제조예 5 1 1 4 4
제조예 6 0 1 5 4
상기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2의 소나무 껍질 추출물 및 상기 마치현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제조예 2 내지 제조예 6의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한 경우, 피시험자의 80 % 이상이 인지가 가능한 정도의 주름개선 효과가 있다고 설문하였으며, 연고 형태로 사용하는 경우에 가장 좋은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한 결과에 의하면, 제조예 2 내지 제조예 6의 화장료 조성물은 주름개선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상기 Replica 제작 및 촬영에 의한 평가는 상기 실시예 6-2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으며, 상기 Replica 제작 및 촬영에 의한 평가결과를 이용하여 주름 밀도에 대한 감소율(%)을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구분 주름 밀도 감소율 (%)
제조예 2 15
제조예 3 18
제조예 4 30
제조예 5 33
제조예 6 37
상기 표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2의 소나무 껍질 추출물 및 상기 마치현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제조예 2 내지 제조예 6의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한 경우, 우수한 주름 밀도의 감소율이 인정되었으며, 연고 형태로 사용하는 경우에 가장 좋은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한 결과에 의하면, 제조예 2 내지 제조예 6의 화장료 조성물은 주름개선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실험결과를 참조하면, 소나무 껍질 추출물 및 상기 마치현 추출물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주름의 감소에 뛰어난 효과가 인정되고, 천연물로서 인체에 안전하기 때문에 그 사용량을 높일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피부 주름 개선 또는 예방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의 원료로서 바람직하게 적용 가능하다고 할 수 있었다.
도 1은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나무 껍질 추출물 및 마치현 추출물을 포함하는 크림을 이용한 경우, 주름 그림자 면적 감소율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Claims (6)

  1. 소나무 껍질 추출물 및 마치현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나무 껍질 추출물은 4℃ 내지 20℃에서 20 내지 200시간 동안 용매 추출법을 수행하여 제조한 것인 피부 주름 개선 또는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치현 추출물은 4℃ 내지 15℃에서 20 내지 200시간 동안 용매 추출법을 수행 하여 제조한 것인 피부 주름 개선 또는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나무 껍질 추출물과 마치현 추출물의 함량비가 중량기준으로 2:1 내지 1:50인 피부 주름 개선 또는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제1항의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소나무 껍질 추출물 및 마치현 추출물의 혼합물을 0.001 내지 20중량%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맛사지크림, 에센스, 팩, 젤, 로션, 연고, 패취 및 분무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70130716A 2007-12-14 2007-12-14 피부 주름 개선 및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0633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0716A KR20090063381A (ko) 2007-12-14 2007-12-14 피부 주름 개선 및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0716A KR20090063381A (ko) 2007-12-14 2007-12-14 피부 주름 개선 및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3381A true KR20090063381A (ko) 2009-06-18

Family

ID=40992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0716A KR20090063381A (ko) 2007-12-14 2007-12-14 피부 주름 개선 및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63381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641B1 (ko) * 2012-10-31 2013-04-29 노세응 피부미백 및 주름개선용 생약성분 화장품 제조 방법
WO2013098449A1 (es) * 2011-12-28 2013-07-04 Tudini Roberto Composición de productos naturales para aplicación tópica
KR20210004158A (ko) * 2019-07-03 2021-01-13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노화용 조성물
WO2021243259A1 (en) * 2020-05-29 2021-12-02 Waller Edmund Hair growth compositions
KR20230106251A (ko) 2022-01-06 2023-07-13 문진옥 소나무 껍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98449A1 (es) * 2011-12-28 2013-07-04 Tudini Roberto Composición de productos naturales para aplicación tópica
ES2416804A1 (es) * 2011-12-28 2013-08-02 Roberto TUDINI Composición de productos naturales para aplicación tópica
KR101257641B1 (ko) * 2012-10-31 2013-04-29 노세응 피부미백 및 주름개선용 생약성분 화장품 제조 방법
KR20210004158A (ko) * 2019-07-03 2021-01-13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노화용 조성물
WO2021243259A1 (en) * 2020-05-29 2021-12-02 Waller Edmund Hair growth compositions
KR20230106251A (ko) 2022-01-06 2023-07-13 문진옥 소나무 껍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0700B1 (ko) 복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조성물
KR101928386B1 (ko) 피부색보정, 자외선차단, 주름개선 및 미백 기능을 가지는 크림 제형 화장품의 혼합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1425031B1 (ko) 유자씨 및 망고씨 혼합오일을 함유하는 피부 자극완화 및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89989B1 (ko) 문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60089898A (ko) Egcg와 장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319997B1 (ko) 분홍바늘꽃 및 구슬꽃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78888B1 (ko) 조직배양한 에키네시아 부정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90063381A (ko) 피부 주름 개선 및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85224B1 (ko) 금불초, 삼지구엽초 및 마디풀 복합 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0638053B1 (ko) 소루쟁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자극 완화용화장료 조성물
KR20150112103A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080061080A (ko) 트러플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34976B1 (ko) 고욤나무 잎 및 울금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장벽강화용 조성물
KR20130102712A (ko) 따나카 발효 추출물을 이용한 열노화 방지 및 피부 개선 조성물
KR20110089793A (ko) 화장료 조성물
KR101617730B1 (ko) 인삼열매, 포도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JP4757157B2 (ja) 皮膚外用剤
KR101286140B1 (ko) 연근 다당체를 함유하는 피부보습 및 피부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46584B1 (ko) 지실 추출물 및 블루로터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렴 및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81514A (ko) 마디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63912A (ko) 길경, 홍삼 및 시호 사포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 및 주름 생성 억제효과를 나타내는 피부 외용 조성물
KR20210001045A (ko) 지질산화 방지, 자외선에 의한 손상 피부 개선 및 피부 진정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20200104467A (ko) 플럼코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43001B1 (ko) 키토산 및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44064B1 (ko) 포도, 올리브잎 및 몰약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