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4467A - 플럼코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플럼코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4467A
KR20200104467A KR1020190022531A KR20190022531A KR20200104467A KR 20200104467 A KR20200104467 A KR 20200104467A KR 1020190022531 A KR1020190022531 A KR 1020190022531A KR 20190022531 A KR20190022531 A KR 20190022531A KR 20200104467 A KR20200104467 A KR 202001044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plum
cosmetic composition
coat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2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9259B1 (ko
Inventor
김진구
문명이
윤광희
황문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더스코스메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더스코스메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더스코스메틱
Priority to KR1020190022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9259B1/ko
Publication of KR20200104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44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9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9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11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8Preparations for oil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8Enzyme modulators, e.g. Enzyme agonists
    • A61K2800/782Enzyme inhibitors; Enzyme antagonis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Dermat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럼코트(Plumcot)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지 분비 억제, 모공 수축 및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지 분비를 촉진시키는 효소인 5α-리덕타아제의 활성을 억제하여 우수한 피지 분비 억제 및 모공 축소 효과가 있고, 피부를 구성하는 콜라겐을 분해하는 효소인 콜라게나아제의 활성을 억제하여 피부 주름 개선 효과 또한 기대할 수 있다. 또한, 과실을 이용한 천연추출물을 이용하기 때문에 인체에 대한 부작용이 전혀 없으며, 다양한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로 적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플럼코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Plumcot Extract}
본 발명은 플럼코트(Plumcot)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5α-리덕타아제 활성을 억제하는 피지 분비 억제, 모공 수축 및 주름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신체의 외부를 덮고 있는 하나의 막으로 여러 가지 외부의 자극, 장해, 건조 등의 환경요소로부터 신체를 보호해주는 다양한 생리적 기능을 수행하여 내부 장기와 그 밖의 체내 기관을 보호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내적으로는 신진대사를 조절하는 각종 호르몬의 분비가 감소하고, 면역 세포의 기능과 세포들의 활성이 저하되게 된다. 또한, 외적으로는 오존층 파괴로 인한 자외선 함량 증가, 환경 오염의 심화에 따라 자유 라디칼 및 활성 유해 산소 등이 증가함으로써 생기는 과도한 물리적, 화학적 자극 및 스트레스 등은 피부의 정상기능 저하, 멜라닌 침착에 의한 기미, 탄력 저하, 주근깨 등의 생성 및 피부 노화현상을 촉진하여 피부를 손상시키게 된다.
이러한 내적, 외적 요인에 의한 피부노화 및 손상을 방지하여 보다 건강하고 아름다운 피부를 유지하기 위해 각종 동물, 식물, 미생물 등으로부터 얻어진 생리 활성물질들을 화장품에 부가하여 사용함으로써 피부의 고유 기능을 유지시키고 피부 세포를 활성화시켜 피부 건강을 유지하고자 하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화장품, 피부 외용제 등이 개발되고 있다.
피부 노화 과정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자연히 발생하는 내인성노화(intrinsic aging)와 외인성노화인 주위 환경, 특히 자외선에 의한 광노화(photoaging)가 복합적으로 작용해 나타난다. 진피에 위치하는 콜라겐과 엘라스틴이 서로 강하게 결합하여 피부의 탄력을 유지시키고 있으며, 합성과 분해를 반복하여 새로운 콜라겐으로 교체가 되는 과정을 반복하는데 피부가 강한 자외선에 노출이 되면 피부를 구성하는 주요 성분 중의 하나인 콜라겐을 분해하는 콜라겐 분해효소인 콜라게나아제(collagenase)가 증가하게 되어 콜라겐의 분해가 빠른 속도로 진행되어 콜라겐 합성 속도가 분해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게 되고 진피의 콜라겐의 양이 감소하여 피부의 탄력을 떨어뜨려 주름을 생성하게 된다는 것이 연구에 의해 밝혀진 피부 주름의 생성 원인이다.
피지선(sebaceous gland)의 피지세포(sebocytes)에서 분비되는 분비되는 피지(sebum)는 유해 물질의 침투를 막아주고 유수분을 조절하는 순기능을 한다. 그러나, 피지가 과잉 분비될 경우, 역기능을 초래하여 다양한 피부장애를 야기하게 된다. 피지 과다분비(seborrhea)는 피지의 과도한 분비를 특징으로 하는 피지선의 질환 또는 피부 트러블로서, 피부 상에 번들거림(oil coating), 피딱지(crusts 혹은 scales) 등을 야기한다.
피지가 과잉 분비되는 원인에는 여러가지가 있으나, 그 중에서도 과량 생성된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ihydrotestosterone; DHT)이 피지세포에서 피지 과잉 분비를 유발하는 경우가 있다. 이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은 피지선, 모낭세포 등에서 5α-리덕타아제(5α-reductase)가 남성 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을 환원시켜 생성된다. 생성된 과량의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은 피지선내의 수용체 단백질(receptor)과 결합하여 핵 내로 이동하여 피지선 세포를 활성시켜 피지를 과분비 시킨다.
모공이란 피부 속에서 분비되는 피지와 노폐물을 배출하는 통로를 말한다. 모공은 피지가 과다하게 분비되는 경우 이를 배출하기 위해 넓어지며 또한 모공이 밖으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피지가 모공 안에서 머물게 되면 정체된 피지가 모공을 더욱 넓힌다. 모공이 넓어지는 또 다른 이유로는 피부의 노화를 들 수 있는데, 피부의 노화는 모공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콜라겐 섬유와 탄력 섬유의 변성이나 감소에 영향을 주게 되어 모공을 지지해주는 힘이 약해지면서 모공이 자연스럽게 넓어진다. 즉, 모공은 피지의 과잉 분비나 노화와 관련이 있다.
한편, 플럼코트(plumcot)는 영어로 자두를 뜻하는 '플럼(plum)'과 살구를 뜻하는 '아프리코트(apricot)'의 합성어로, 유전적으로 자두와 살구의 비율이 각각 50:50으로 교잡된 과일을 일컫는다. 이는 살구와 자두의 장점만을 수용하여 자두의 강한 생명력과 살구의 고기능성을 두루 갖는 과일이다. 플럼코트에는 비타민 A와 C가 다량 함유되어 있어 시력 보호 및 야맹증 예방, 감기 예방, 면역력 개선 등에도 효과가 있고, 베타카로틴이 자두나 살구에 비하여 20 내지 30배 더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과일과 같은 천연물 유래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련된 문헌으로서,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10-2018-0093560호에는 적과자두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피부미백, 수렴 또는 주름개선을 위한 조성물에 대해 밝히고 있고,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10-2018-0024481호에서는 살구 추출물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살구 추출물 및 이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피부미용 또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밝히고 있으나, 플럼코트 추출물의 피지 분비 억제, 모공 수축 및 피부 주름 개선의 효과에 대해서는 밝혀져 있지 않다.
본 발명에서는 플럼코트에 5α-리덕타아제의 활성을 억제하여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의 과량 생성을 막아 피지분비를 억제하고, 피부장벽을 이루는 콜라겐을 분해하는 콜라게나아제의 활성을 억제하여 주름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5α-리덕타아제 활성을 억제시키고, 이로 인해 피지 과잉분비를 유발하는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의 생성을 저해시키고, 콜라겐을 분해하는 콜라게나아제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피지 분비 억제, 모공 수축 및 피부 주름 개선의 효과를 갖는, 플럼코트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플럼코트(Plumcot)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플럼코트 추출물은 전체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0001 내지 1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플럼코트 추출물은 감태, 다시마 및 페퍼민트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감태, 다시마 및 페퍼민트 중 하나 이상은 플럼코트의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40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플럼코트 추출물은 플럼코트의 중량에 대하여 감태 1 내지 100중량부, 다시마 2 내지 200중량부 및 페퍼민트 1 내지 10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지 분비 억제용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모공 수축용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또한, 피부 주름 개선용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럼코트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5α-리덕타아제의 활성을 억제하여 피지 분비 억제 및 모공 수축의 효과를 나타내고 또한, 피부장벽을 이루는 콜라겐을 분해하는 효소인 콜라게나아제의 활성을 억제하여 피부 주름을 개선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나아가, 과실을 이용한 천연추출물을 이용하기 때문에 인체에 대한 부작용이 전혀 없으며, 다양한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로 적용이 가능하다.
도 1은 자두, 살구 및 플럼코트 추출물의 5α-리덕타아제 활성 억제 효능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2는 자두, 살구 및 플럼코트 추출물의 콜라게나아제 활성 억제 효능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3은 플럼코트, 감태, 다시마 및 페퍼민트 복합 추출물의 5α-리덕타아제 활성 억제 효능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4는 플럼코트, 감태, 다시마 및 페퍼민트 복합 추출물의 콜라게나아제 활성 억제 효능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적용하기 전후의 피지분비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적용하기 전후의 포피린 및 피지의 양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은 본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플럼코트 추출물의 신규 용도에 관한 것으로서, 플럼코트 단독 추출물 또는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지 분비 억제, 모공 수축 및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남성 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은 5α-리덕타아제의 작용에 의해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ihydrotestosterone; DHT)으로 전환되며, 과잉 생성된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이 피지세포에서 피지를 과잉 분비시킨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피지 과잉 분비를 유발하는 5α-리덕타아제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플럼코트 추출물이 사람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피지 분비를 촉진시키는 5α-리덕타아제 활성을 억제하고, 이로 인해 피지 과잉 분비에 원인이 되는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HT)의 생성을 저해하여 피지 분비 억제 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궁극적으로는 모공을 수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플럼코트 추출물이 피부를 구성하는 주요 성분 중의 하나인 콜라겐을 분해시키는 효소 콜라게나아제(collagenase)의 활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는 사실도 확인하였다.
플럼코트는 자두(Plum)와 살구(apricot)가 같은 비율로 종간 교잡된 과일을 의미하고, 자두와 살구의 장점만을 수용하여 자두의 강한 생명력과 살구의 고기능성을 갖는 과일로서 비타민 A와 C가 다량함유되어 있으며,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인체에 무해하며 부작용이 없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자두와 살구의 교잡 과일인 플럼코트 추출물이 자두와 살구 각각에 비하여 현저히 우수한 5α-리덕타아제 억제 효과 및 콜라게나아제 활성 억제 효과를 발휘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플럼코트 추출물은 또한 감태, 다시마 및 페퍼민트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복합 추출물의 형태일 수 있으며, 특히 플럼코트, 감태, 다시마 및 페퍼민트의 복합 추출물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감태(학명: Ecklonia cava)는 흔히 ‘김’이라고 불리는 한국의 남해안, 제주도 및 일본 등지에 분포하는 갈조류에 속한 미역과의 다년생 해초로서 전복의 주 먹이이면서 알긴산, 요오드 및 칼륨과 같은 영양소가 많이 함유되어 있고, 후코이단 및 플로로탄닌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항산화, 항암, 항염, 노화억제 및 고혈압 억제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시마(학명: Laminaria)는 갈조식물 다시마목 다시마과에 속하는 바닷말로서, 앞은 띠 모양으로 길고 가운데 부분보다 약간 아래쪽이 넓다. 다시마에는 알긴산, 엽록소 등이 풍부하고 요오드, 칼륨, 칼슘 등의 무기염류가 많이 들어있고 라미닌이라는 아미노산이 들어있어 혈압을 낮추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페퍼민트(학명: Mentha piperita)는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인 서늘한 곳에서 잘 자라는 허브로서, 워터민트(Mentha aguatica)와 스피어민트(Mentha spicata)의 교잡종으로, 향기가 후추(pepper)의 톡 쏘는 성질과 닮았다고 하여 페퍼민트라는 이름으로 불리고, 항균과 통증 완화에 효과적이고 피부와 점막을 시원하게 해주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감태, 다시마 및 페퍼민트를 플럼코트와 혼합한 복합 추출물을 사용하는 경우 플럼코트의 5α-리덕타아제 및 콜라게나아제의 활성 억제 효과를 증폭시켜 더 뛰어난 피지 분비 억제, 모공 수축 및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합 추출물은 감태, 다시마 및 페퍼민트 중 하나 이상을 플럼코트의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400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으며, 50 내지 250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80 내지 150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플럼코트와 감태, 다시마 및 페퍼민트의 혼합 비율을 3:4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복합추출물이 플럼코트 단독 추출물보다 월등히 향상된 5α-리덕타아제 및 콜라게나아제 활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감태, 다시마 및 페퍼민트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감태는 플럼코트의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10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10 내지 50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시마는 1 내지 20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20 내지 100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페퍼민트는 1 내지 10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10 내지 50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감태, 다시마 및 페퍼민트를 약 1:2: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추출물이라 함은, 적절한 용매를 사용하여 천연물로부터 그 안의 유효 활성 성분들을 추출 및 분리하여 얻은 물질로, 추출방법이나 성분의 종류와 무관하며, 바람직하게는 플럼코트의 에탄올 추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플럼코트 추출물, 또는 플럼코트, 감태, 다시마 및 페퍼민트의 복합 추출물의 추출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공지의 어떠한 방법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수추출법, 냉침추출법, 환류냉각추출법, 초음파추출법, 용출법 및 압착법 중 어느 한 가지 방법을 이용하여 추출될 수 있다.
상기 플럼코트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하기 위한 적절한 용매로는 당업계에서 허용되는 용매라면 어느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며, 물 또는 유기 용매를 사용할 수 있고, 특히 물, 알코올(alcohol),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및 글리세린 중 1종 이상을 혼합한 용매로부터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70%(v/v) 에탄올을 이용하여 환류 냉각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추출과정에서 추가로 통상의 분획 공정 또는 통상의 정제방법을 이용하여 정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 제조방법에는 제한이 없으며, 공지되어 있는 어떠한 방법도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럼코트, 감태, 다시마 및 페퍼민트의 복합 추출물을 제조하는 경우, 준비된 플럼코트, 감태, 다시마 및 페퍼민트의 혼합물을 70%(v/v) 에탄올 1000ml를 이용하여 상기한 환류 냉각 추출법으로 1시간동안 추출하는 과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물은 여과지 등을 이용하여 여과하고 농축기 등을 이용하여 감압 농축 후 동결건조 과정을 거쳐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추출물을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추가로 정제된 분획을 얻어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추출물은 추출, 분획 또는 정제의 각 단계에서 얻어지는 모든 추출액, 분획 및 정제물, 그들의 희석액, 농축액 또는 건조물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의 플럼코트 추출물 또는 플럼코트, 감태, 다시마 및 페퍼민트의 복합 추출물은 전체 조성물의 부피에 대하여 50㎍/mL 이상의 농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100㎍/mL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플럼코트 추출물은 전체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0001 내지 1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또는 스프레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화장료 제형일 수 있으며, 상기 제형에 대하여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제형은 또한, 용액, 유화물, 점성형 혼합물 등의 형상을 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주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바람직하게는 주 효과에 상승 효과를 줄 수 있는 다른 성분 등을 화장료의 제형 또는 사용목적에 따라 어려움 없이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술한 플럼코트 추출물뿐만 아니라,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제조예 1: 유효성분 추출물의 제조
자두, 살구 및 플럼코트를 각각 100g씩 준비하여 70%(v/v) 에탄올 1,000ml를 첨가해 1시간 동안 환류 냉각 추출하여 추출물을 얻었다.
얻은 추출물을 여과지(Whatman, Dassel)로 여과하고 농축기(EYELA)를 사용해 감압 농축한 후 동결건조시켜 분말화하였다.
상기 추출물 분말을 정량하여 디메틸설폭시드(dimethyl sulfoxide)에 녹여 아래의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예 1: 유효성분 추출물에 따른 5α-리덕타아제 활성 억제 시험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추출물들의 5α-리덕타아제 억제 효과를 사람 피부 섬유아세포(fibroblast)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사람 피부 섬유아세포를 60㎜ 배양접시에 각각 4x105개씩 분주하고 C02 인큐베이터에서 온도 37℃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자두, 살구 및 플럼코트 추출물을 각각 50㎍/mL 및 100㎍/mL의 농도로 처리한 후 같은 배양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이 완료된 후 인산화 완충용액(phosphate buffersaline; PBS)으로 씻어내고 RNA 추출 키트를 이용해 전체 RNA를 추출한 후 역전사효소를 이용해 cDNA(complementary DNA)를 합성하여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실험(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도 1 및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1
도 1 및 표 1은 사람 피부 섬유아세포에서의 상기 자두, 살구 및 플럼코트 추출물에 의한 5α-리덕타아제 활성 억제 변화를 나타낸다.
자두 추출물의 경우, 50㎍/mL의 농도에서는 5α-리덕타아제 활성을 100을 기준으로 86까지 미미한 억제 효과를 보였고, 100㎍/mL의 농도를 사용했을 때는 72까지의 억제효과를 보였으며, 살구 추출물은 50㎍/mL의 농도에서 86까지의 억제 효과를 보였고, 100㎍/mL의 농도를 사용해야 74까지의 억제 효과를 보여 자두 추출물과 비슷한 수준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한편, 플럼코트 추출물의 경우에는 50㎍/mL의 농도에서도 75까지의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고, 100㎍/mL의 농도에서는 47까지 5α-리덕타아제 활성을 억제하여 현저히 우수한 5α-리덕타아제 활성 억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수치는 자두 및 살구 각각의 5α-리덕타아제 활성 억제 수치의 평균치와 비교했을 경우는 물론이고, 이들의 단순 합과 비교하여도 현저히 우수한 수치이다.
이와 같은 결과는 플럼코트 추출물이 자두 및 살구의 추출물의 5α-리덕타아제 활성 억제 효과로부터 예측할 수 있는 범위를 벗어나는 현저히 우수한 5α-리덕타아제 활성 억제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뛰어난 피지 분비 억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험예 2: 유효성분 추출물에 따른 콜라게나아제 활성 억제 시험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추출물들의 콜라게나아제 활성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96웰 플레이트(96-Well Microplate with Lid)에 자두, 살구 및 플럼코트 추출물을 100㎍/mL의 농도로 각각 준비하여 0.2units/mL의 콜라게나아제(Sigma)와 함께 400mM의 NaCl 및 10mM CaCl2가 포함된 50mM 트리신완충액(tricine buffer, pH 7.5)에서 15분간 반응 시켰다.
그 후 기질로서 0.6mM의 FALGPA(furyl acryloyl-LEU-GLY-PRO-ALA)를 각각 첨가한 후 345nm의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첨가한 기질이 콜라게나아제에 의해 분해가 억제되는지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2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여기서, 양성 대조군으로서 콜라게나아제 활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진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GCG)를 20㎛M로 사용하였으며, 음성 대조군은 트리신완충액만 넣은 블랭크를 의미한다.
Figure pat00002
상기 표에서, 자두 추출물의 경우 콜라게나아제의 활성을 100에서 72까지 낮추었고, 살구 추출물은 콜라게나아제의 활성을 100에서 86까지 낮추는데 그친 반면, 플럼코트 추출물은 콜라게나아제의 활성을 100에서 52까지 낮추어, 플럼코트 추출물이 현저히 우수한 콜라게나아제 활성 억제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수치는 자두 및 살구 추출물의 콜라게나아제 활성 억제 효과로부터 예측할 수 있는 범위를 벗어나는 현저히 우수한 것으로서, 피부의 콜라겐의 분해를 억제해 피부 주름 개선에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조예 2: 플럼코트, 감태, 다시마 및 페퍼민트 복합 추출물의 제조
플럼코트, 감태, 다시마 및 페퍼민트의 복합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플럼코트, 감태, 다시마 및 페퍼민트를 각각 아래 표 3의 함량으로 혼합한 후,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복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03
실험예 3: 플럼코트, 감태, 다시마 및 페퍼민트의 복합 추출물의 5α-리덕타아제 활성 억제 시험
사람 피부 섬유아세포를 이용하여 제조예 2에서 제조된 복합 추출물들의 5α-리덕타아제 억제 효과를 비교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사람 피부 섬유아세포를 60ml 배양접시에 각각 4x105개씩 분주하였고 C02 인큐베이터에서 온도 37℃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실시예 1, 2 및 3에서 얻어진 플럼코트, 감태, 다시마 및 페퍼민트의 복합 추출물을 각각 처리한 후 같은 배양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이 완료된 후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RT-PCR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도 3 및 표 4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4
도 3 및 표 4에서, 플럼코트, 감태, 다시마 및 페퍼민트를 1:1:2: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추출한 100㎍/mL 농도의 복합 추출물의 경우, 100을 기준으로 61의 5α-리덕타아제 활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어, 살구 및 자두 추출물의 억제 활성에 비하여 더욱 우수하지만 플럼코트 단독 추출물보다는 다소 부족한 5α-리덕타아제 활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한편, 플럼코트, 감태, 다시마 및 페퍼민트의 중량비가 2:1:2:1인 경우 5α-리덕타아제 활성이 44까지 감소하였고, 중량비가 3:1:2:1인 경우는 5α-리덕타아제 활성이 10까지 감소하여, 살구 및 자두 추출물뿐만 아니라 플럼코트 단독 추출물과 비교할 때도 더욱 향상된 5α-리덕타아제 활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험예 4: 플럼코트, 감태, 다시마 및 페퍼민트의 복합 추출물의 콜라게나아제 활성 억제 시험
제조예 2에서 제조된 복합 추출물들의 콜라게나아제 활성 억제 효과를 0.6mM FALGPA 기질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96웰 플레이트(96-Well Microplate with Lid)에 실시예 1, 2, 및 3의 중량비로 플럼코트, 감태, 다시마 및 페퍼민트의 복합 추출물을 100㎍/mL의 농도로 각각 준비하여 0.2units/mL의 콜라게나아제(Sigma)와 함께 400mM의 NaCl 및 10mM CaCl2가 포함된 50mM 트리신완충액(tricine buffer, pH 7.5)에서 15분간 반응 시켰다.
그 후 기질인 0.6mM의 FALGPA(furyl acryloyl-LEU-GLY-PRO-ALA)를 각각 첨가한 후 실험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345nm의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첨가한 기질이 콜라게나아제에 의해 분해가 억제되는지 측정하여 도 4 및 표 5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5
상기 복합 추출물 중 실시예 3의 플럼코트, 감태, 다시마 및 페퍼민트의 중량비가 3:1:2:1인 경우가 콜라게나아제의 활성을 100에서 44까지로 낮추어 가장 높은 콜라게나아제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수치는 실험예 2의 플럼코트 단일 추출물과 비교하였을 때도 더욱 우수한 콜라게나아제 활성 억제 효과로서 감태, 다시마 및 페퍼민트가 플럼코트의 콜라가네아제 활성 억제 효능을 증폭시켰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제조예 3: 플럼코트 추출물을 포함하는 유연 화장수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플럼코트 추출물 및 실시예 3의 플럼코트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유연화장수를 표 6에 기재한 바와 같은 제형으로 제조하였으며, 비교예로 플럼코트 추출물을 포함하지 않는 화장료 조성물을 함께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06
제조예 4: 플럼코트 추출물을 포함하는 유연 에센스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플럼코트 추출물 및 실시예 3의 플럼코트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유연 에센스를 표 7의 제형으로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07
실험예 5: 플럼코트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안정도 시험
상기 제조예 4에서 제조한 실시예 6 및 7의 화장료 조성물의 안정도를 평가하였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들을 3개의 항온조(Incubator, Hanbeak 社)에서 50℃, 실온 및 -15℃의 온도 조건에서 각각 보관한 후, 1일, 1주, 2주, 1달, 2달 및 3달 후에 각각 시험 샘플을 꺼내어 실온으로 복원하여 실험 후, 재보관하는 방법으로 안정도를 확인하였다. 시험 결과는 표 8에 나타난 바와 같다.
Figure pat00008
○: 양호(pH, 점도, 특이취 이상없음)
△: 보통(pH, 점도, 특이취 약간의 변동은 있으나 규격내 적합)
X: 분리(pH, 점도, 특이취 이상있음)
실험 결과, 플럼코트 단독 추출물 및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모두 3달 후에도 pH, 점도 및 특이취에 있어서 이상이 없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플럼코트의 단독 추출물 및 복합추출물이 화장료 조성물의 안정도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6: 플럼코트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인체 피부 일차 자극 평가
본 발명의 플럼코트 추출물 또는 플럼코트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자극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제조예 3에서 제조한 실시예 4 및 5의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여 피부 첩포 시험(Human Patch Test)를 수행하였다.
본 시험은 임상시험 기관을 통해 진행하였다. 만 20 내지 55세의 성인남녀 30명을 대상으로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피험자들은 측정 조건을 동일하게 하고자 시험 부위를 70% 에탄올로 닦아낸 뒤 건조시킨 다음, 상기 실시예 4 및 실시예 5의 화장수를 25㎕씩 핀 챔버(Finn chamber)에 적하시킨 후 피험자의 등 부위에 얹어 고정시켰다. 첩포는 24시간 후 제거하였으며, 첩포를 제거한 후에는 마킹펜으로 시험 부위를 표시하여 30분, 24시간 및 48시간 경과 후에 시험 부위를 각각 관찰하고 피부 반응을 평가하였다.
피부 상태의 변화 정도는 하기의 피부상태 평가 기준에 따라 분류하여 평가하였고, 평가 기준과 자극 지수의 계산은 표 9과 같으며, 결과를 표 10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10
실험 결과 실시예 4 및 5의 화장료 조성물 모두 무자극성으로 피부에 자극이 거의 없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7: 플럼코트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피지 분비 억제 평가 실험
본 발명의 플럼코트 추출물 또는 플럼코트 복합추출물의 피지 분비 억제 효과를 직접적으로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우선, 피지량 측정기인 세버미터(Sebumeter SM815, Courage + Khazaka Electronic GmbH)를 이용하여 피지분비량(유분량)을 비교하였다. 상기 세버미터는 특수한 반투명 지질 흡수 테잎을 일정한 압력으로 피부에 접촉시킨 후(약 20초), 획득되는 피지량을 광학적 반사원리(photometric reflection)로 단위면적당 유분량(㎍/㎠)으로 측정하는 장비로써, 측정값과 유분량은 서로 비례한다.
만 25 내지 45세의 성인 12명을 대상으로 얼굴 중 유분량이 많은 T-존인 이마에 대하여 실험 전 피지량(유분량)을 측정한 후, 상기 제조예 3에서 제조한 비교예 1 및 실시예 4의 유연화장수를 함침시켜 제조한 마스크팩을 이마에 각각 붙이고 일정시간 경과 후 피지분비량(유분량)을 재측정하여 도 5와 표 11에 비교하여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11
상기 표에서 확인 가능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플럼코트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은 비교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지 억제율이 오히려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플럼코트 추출물을 함유하는 실시예 4의 화장료 조성물은 이마의 피지 분배를 16.5% 가량 억제하여 우수한 피지분비량 억제 효능을 나타내었다.
또한, 피부측정기(Clreo-I)를 이용하여 포피린(porphyrin) 및 피지(Sebum) 수 비교 실험을 진행하였다.
상기 피부측정기를 이용하여 비교예 1 및 실시예 4의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 전과 후의 포피린 및 피지의 수치를 측정하였으며, 피지 및 포피린의 생성 억제율(%)을 아래의 수학식 1로 계산하여 그 결과를 도 6과 표 12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12
Figure pat00013
실험 결과, 본 발명의 플럼코트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은 비교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은 포피린을 29.4% 억제하고 피지를 21.00%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플럼코트 추출물을 함유하는 실시예 4의 화장료 조성물은 포피린 및 피지를 모두 30% 이상 억제하여, 비교예 1의 화장료 조성물에 비하여 현저히 우수한 포피린 및 피지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Claims (9)

  1. 플럼코트(Plumcot)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럼코트 추출물을 전체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0001 내지 10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럼코트 추출물이 감태, 다시마 및 페퍼민트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감태, 다시마 및 페퍼민트 중 하나 이상이 플럼코트의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400중량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럼코트 추출물이 플럼코트의 중량에 대하여 감태 1 내지 100중량부, 다시마 2 내지 200중량부 및 페퍼민트 1 내지 10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피지 분비 억제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모공 수축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9.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피부 주름 개선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90022531A 2019-02-26 2019-02-26 플럼코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292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2531A KR102229259B1 (ko) 2019-02-26 2019-02-26 플럼코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2531A KR102229259B1 (ko) 2019-02-26 2019-02-26 플럼코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4467A true KR20200104467A (ko) 2020-09-04
KR102229259B1 KR102229259B1 (ko) 2021-03-19

Family

ID=72471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2531A KR102229259B1 (ko) 2019-02-26 2019-02-26 플럼코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92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0471A (ko) 2021-07-12 2023-01-19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남극 메켈 빙어 추출물 또는 남극 대리석무늬 암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9625A (ko) * 2005-12-28 2007-07-03 (주)아모레퍼시픽 레티노이드에 의한 피부자극을 완화시키는 페퍼민트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10111745A1 (en) * 2009-04-02 2010-10-07 Jurlique International Pty Ltd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ncreasing vitamin c uptake into cells and methods for retarding skin ageing, lightening skin and modulating hair colour
KR20180118563A (ko) * 2017-04-21 2018-10-31 유씨엘 주식회사 펩타이드와 해조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나노에멀젼 및 그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9625A (ko) * 2005-12-28 2007-07-03 (주)아모레퍼시픽 레티노이드에 의한 피부자극을 완화시키는 페퍼민트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10111745A1 (en) * 2009-04-02 2010-10-07 Jurlique International Pty Ltd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ncreasing vitamin c uptake into cells and methods for retarding skin ageing, lightening skin and modulating hair colour
KR20180118563A (ko) * 2017-04-21 2018-10-31 유씨엘 주식회사 펩타이드와 해조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나노에멀젼 및 그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0471A (ko) 2021-07-12 2023-01-19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남극 메켈 빙어 추출물 또는 남극 대리석무늬 암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9259B1 (ko) 2021-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08761B2 (en) Composition of skin external application containing rose extract and epigallocatechin gallate(EGCG)
JPH08119825A (ja) ヒドロキシチロソール、皮膚外用剤又は浴用剤への応用
KR101189989B1 (ko) 문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12172199A1 (fr) Composition a base de camellia japonica et polygonum hydropiper pour protection de la peau
KR101319997B1 (ko) 분홍바늘꽃 및 구슬꽃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2015155394A (ja) 光老化抑制剤
KR101220903B1 (ko) 피부주름개선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1078888B1 (ko) 조직배양한 에키네시아 부정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14985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229259B1 (ko) 플럼코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018388A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JP7075177B2 (ja) 化粧料
KR20090063381A (ko) 피부 주름 개선 및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
JP4035481B2 (ja) 皮膚外用剤
KR101934976B1 (ko) 고욤나무 잎 및 울금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장벽강화용 조성물
KR101894747B1 (ko) 공진단 성분 추출물과 연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78167B1 (ko) 지질산화 방지, 자외선에 의한 손상 피부 개선 및 피부 진정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20110081514A (ko) 마디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JP5155543B2 (ja) エンドセリン−1産生抑制剤、ヘキソサミニダーゼ遊離抑制剤、抗炎症用/美白用皮膚外用剤、エンドセリン−1の産生抑制方法及びヘキソサミニダーゼの遊離抑制方法
KR101117560B1 (ko) 보양액을 포함하는 피부 유연성 개선 화장료 조성물
KR20160003916A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또는 안색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57422B1 (ko) 때죽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정 또는 세척제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KR101457972B1 (ko)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19399B1 (ko) 시카케어 크림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5144048B2 (ja) ラジカル消去剤、抗酸化用皮膚外用剤、及びラジカルの消去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