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6251A - 소나무 껍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소나무 껍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6251A
KR20230106251A KR1020220001934A KR20220001934A KR20230106251A KR 20230106251 A KR20230106251 A KR 20230106251A KR 1020220001934 A KR1020220001934 A KR 1020220001934A KR 20220001934 A KR20220001934 A KR 20220001934A KR 20230106251 A KR20230106251 A KR 202301062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smetic composition
mixture
pine bark
bark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1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진옥
이성권
Original Assignee
문진옥
이성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진옥, 이성권 filed Critical 문진옥
Priority to KR1020220001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6251A/ko
Publication of KR20230106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62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7Pinaceae [Pine family], e.g. pine or ced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9Derivatives containing from 2 to 10 oxyalkylene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천연물질인 소나무 껍질 추출물 0.1~1 중량%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인체에 유해한 UV-A 및 UV-B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나아가 용매 성분과의 혼화성(miscibility) 및 제제 안정성이 우수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소나무 껍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Cosmetic composition for UV protection containing pine bark extract and its preparing method}
본 발명은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천연물질인 소나무 껍질 추출물 0.1~1 중량%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인체에 유해한 UV-A 및 UV-B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나아가 용매 성분과의 혼화성(miscibility) 및 제제 안정성이 우수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유기계 원료 또는 무기계 원료를 포함한다. 상기 유기계 원료로는 벤조페논, 시녹세이트, 옥토크릴렌, 옥틸디메틸파바, 옥틸살리실레이트, 옥틸트리아존 등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들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대체로 자외선 차단 효과의 지속시간이 짧고, 자극이 강하여 심하면 피부나 눈에 트러블을 야기할 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무기계 원료로는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실리카 등이 있고, 이들은 빛을 물리적으로 산란시켜서 피부에 도달하는 자외선의 양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한다. 그러나 이러한 무기계 원료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얼굴이 허옇게 들뜨는 소위 백탁 현상을 일으키는 문제가 있고, 또한 피부 모공을 막아서 피지의 원활한 분비를 방해 할 우려가 있다.
종래 유기계 및 무기계 원료의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등록특허 제10-1148978호(2012년 05월 16일) 및 제10-1463962호(2014년 11월 14일) 등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천연 추출물을 이용한 자외선 차단제의 연구가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천연 자외선 차단제는 지속적인 효과나 합리적인 가격 또는 제제 안정성 등을 확보하지 못하는 어려움이 있어서 상용화가 늦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소나무 껍질 추출물(pine bark extract)은 소나무 껍질을 통상적인 방법으로 추출, 가공한 분말 형태의 천연 물질로서 고품질의 천연 폴리페놀 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서, 항염증 및 항균 활성 뿐만 아니라 항산화, 항바이러스, 면역증진, 천식개선, 혈액순환 촉진, 동맥경화 개선, 혈전방지, 운동력 증진 등의 다양한 생리활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소나무 껍질 추출물은 원료가 되는 소나무의 산지 및 제조회사에 따라 여러 제품이 시판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 프랑스 남부 해안에서 자라는 소나무의 껍질로부터 제조되는 ‘피크노제놀(Pycnogenol)’ 이라는 상품이 가장 널리 판매되고 있으며, 건강기능 식품과 기능성 음료, 화장품, 의약품, 사료첨가제 등으로 그 활용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종래에도 소나무 껍질 추출물(또는 피크노제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들이 다수 소개되어 있다. 예를 들면, 공개특허 제10-2009-0063381호(2009년 06월 18일)에는, 소나무 껍질 추출물 및 마치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10-1027113호(2011년 03월 29일)에는 해송(또는 곰솔)의 송기(내피, 송지, 송피) 추출물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주름방지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이 소개되어 있고, 등록특허 제10-1626437호(2016년 05월 26일)에는 소나무껍질 추출물 및 바위솔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염증 개선 또는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이 소개되어 있다.
공개특허 제10-2009-0063381호(2009년 06월 18일) 등록특허 제10-1027113호(2011년 03월 29일) 등록특허 제10-1626437호(2016년 05월 26일)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자외선(UV)은 파장의 범위에 따라 UV-A(320~ 400nm)와 UV-B(280~320nm) 및 UV-C(100~280nm)로 분류된다. 이중에서 UV-A는 오존층에 의해 거의 흡수되지 않고 대부분 지표면에 도달하며, 장시간 노출될 경우 피부 면역체계에 작용하여 피부노화 또는 피부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UV-B는 대부분 오존층에 흡수되고 일부만 지표면에 도달하지만, 피부를 태우고 때로는 피부 조직을 뚫고 들어가서 심하면 피부암을 일으키기도 한다. 그리고 UV-C는 성층권의 오존층에 의해 완전히 흡수된다. 따라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UV-A 및 UV-B, 즉 파장범위가 280~400nm인 자외선을 효과적으로 차단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자들의 실험결과에 따르면, 소나무 껍질 추출물(또는 피크노제놀)은 그 농도에 따라 차단 가능한 자외선의 파장범위가 달라진다. 즉, 소나무 껍질 추출물의 함량이 증가 할수록 차단 가능한 자외선의 파장범위가 증가한다.
그런데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소나무 껍질 추출물의 함량이 0.1 중량%를 초과하면 용매 성분과의 혼화성(miscibility)이 낮아져서 침전이나 층 분리 또는 응집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결과는 화장료 조성물의 품질을 저하시키고, 나아가 자외선 차단효과를 감소시키는 원인이 된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천연물질인 소나무 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특히 파장범위가 280~400nm인 자외선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천연물질인 소나무 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되, 특히 용매 성분과의 혼화성(miscibility)이 우수하여 침전이나 층 분리가 발생할 우려가 없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소나무 껍질 추출물 0.1~1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소나무 껍질 추출물 20 중량부에다 폴리올 70~90 중량부를 투입하고, 50~90℃의 온도에서 교반하여 제1 혼합물을 제조하는 A) 단계와; 정제수 80 중량부를 취하여 50~60℃의 온도로 가열하고, 여기에다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15~30 중량부를 투입한 후 교반하여 제2 혼합물을 제조하는 B) 단계와; 자외선 차단 기능이 없는 베이스 화장료 조성물에다 상기 제1 혼합물 0.5~5 중량%(소나무 껍질 추출물로서 0.1~1 중량%)를 투입하고 교반한 다음, 상기 제2 혼합물을 제1 혼합물과 같은 양 만큼 첨가하고 다시 교반하는 C)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상기 A) 단계의 폴리올로는 글리세린을 사용하고, 상기 B) 단계의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로는 폴리글리세릴-4 카프레이트과 카페인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천연물질인 소나무 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인체에 유해한 UV-A 및 UV-B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나아가 피부자극이나 백탁현상을 일으키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천연물인 소나무 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면서도 용매 성분과의 혼화성 및 제제 안정성이 우수하여 층 분리나 침전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시료 S 0.1(적색)과 S 0.2(보라색) 및 비교예 시료 0.05(녹색)에 대한 자외선 투과율(%T)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시료 S 0.4(녹색) 및 S 0.6(적색)에 대한 자외선 투과율(%T)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한 것이므로 이들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꼭 필요한 구성이라 하더라도 종래기술에 소개되어 있거나, 통상의 기술자가 공지기술로부터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사항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소나무 껍질 추출물 0.1~1 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소나무 껍질 추출물의 함량이 0.1 중량% 미만이면, 인체에 유해한 자외선, 특히 350nm 이상인 UV-A를 효과적으로 차단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반대로 소나무 껍질 추출물의 함량이 1 중량%를 초과하면, 함량 증가에 따른 상승 효과가 없어서 가성비가 떨어지고, 용매 성분과의 혼화성 및 제제 안정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상기 소나무 껍질 추출물은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제품들 중 어느 하나, 예컨대 ‘피크노제놀(pycnogenol)’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통상적인 추출 방법으로 직접 제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소나무 껍질은 속껍질과 겉껍질로 구분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속껍질과 겉껍질을 모두 사용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나무 껍질 추출물의 원료가 되는 소나무(Pinus densiflora)는 상록성 침엽교목으로서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중국이나 일본 등 전 아시아 지역의 임야에서 널리 자생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적송(Pinus densiflora Sieb & Zucc.), 해송(Pinus thumbergii Parlatore), 금강소나무(Pinus densiflora Sieb & Zucc. For. erecta Uyeki), 구주소나무(Pinus sylvestris L.), 솔잣나무(Pinus pinea Cupressus Sempervirens)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소나무 껍질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예시하면, 통상적인 소나무의 속껍질과 겉껍질을 충분히 건조하여 마쇄하고, 5~10배량 정도의 추출용매로 수회 반복 추출한 다음, 얻어진 추출물을 감압 여과한 후 동결 건조하는 방법으로 분말상태의 목적물질을 수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추출용매로는 물이나 탄소수 1~ 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을 사용할 수 있고, 50~80°C의 온도에서 5~7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이 인체에 유해한 자외선, 즉 UV-A(320~ 400nm)와 UV-B(280~320nm)를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해서는 상기 소나무 껍질 추출물이 0.1 중량 이상 포함되어야 하는데, 이렇게 되면 조성물 전체의 혼화성이 불량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상기 소나무 껍질 추출물을 폴리올과 혼합하여 제1 혼합물을 제조하는 A) 단계와, 정제수와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를 혼합하여 제2 혼합물을 제조하는 B) 단계와, 통상적인 베이스 화장료 조성물에다 상기 제1 혼합물과 제2 혼합물을 순차적으로 혼합하는 C) 단계를 포함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베이스 화장료 조성물이라 함은, 자외선 차단 기능을 갖지 않는 통상적인 화장료 조성물로서, 예를 들면 스킨이나 로숀 제형의 통상적인 얼굴용 또는 바디용 화장품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A) 단계에서는 먼저 소나무 껍질 추출물 20 중량부에다 상기 폴리올 70~90 중량부, 바람직하기로는 80 중량부를 투입하고, 50~90℃의 온도에서 100~200 RPM의 속도로 20~30분 동안 교반하여 제1 혼합물을 제조한다.
상기 폴리올은 소나무 껍질 추출물에 포함되어 있는 유효물질들을 골고루 분산시켜 주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글리세린, 디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고, 이중에서 글리세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B) 단계에서는 별도로 정제수 80 중량부를 취하여 50~60℃의 온도로 가열하고, 여기에다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15~30 중량부, 바람직하기로는 20 중량부를 투입한 후, 50~100 RPM의 속도로 10~20분 동안 교반하여 제2 혼합물을 제조한다.
상기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는 소나무 껍질 추출물의 자외선 차단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폴리글리세릴-4 카프레이트, 카페인, 알칼로이드계 화합물, 지방산 폴리글리세리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고, 이 중에서 폴리글리세릴-4 카프레이트와, 카페인을 함께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 C) 단계에서는 통상적인 베이스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고, 여기에 상기 제1 혼합물 0.5~5 중량%(소나무 껍질 추출물로서 0.1~1 중량%)를 투입하고 10~30분 동안 교반한 다음, 상기 제2 혼합물을 제1 혼합물과 같은 양 만큼 첨가하고 다시 20~40분 동안 교반한다. 이렇게 하면, 상기 소나무 껍질 추출물의 혼화성을 증가시켜서 침전이나 층 분리 또는 응집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소나무 껍질 추출물과 폴리올 및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이외에 추가적으로 통상적인 베이스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구성성분들, 예컨대,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색소, 항료, 담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당 업계에서 제조되는 통상적인 화장품 제형 중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 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 오일, 식물성 오일,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 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로서,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서 본 발명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시중에서 구입한 pine bark podwer(bulk supplements) ‘피크노제놀(Pycnogenol)’ 20 중량부와 글리세린 80 중량부를 교반기에 투입하고, 70℃의 온도에서 150 RPM의 속도로 25분 동안 교반하여 제1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별도로 정제수 80 중량부를 취하여 80℃의 온도로 가열하고, 여기에다 폴리글리세릴-4 카프레이트 10 중량부와 카페인 10 중량부를 투입한 후, 80 RPM의 속도로 15분 동안 교반하여 제2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베이스 화장료 조성물로서 시중에서 구입한 ‘마담미쉘 하이드로 밸런싱 프레쉬 에멀젼’(제조회사 ㈜비타민 사이언스)을 준비하고, 여기에다 상기 제1 혼합물 0.5 중량%(소나무 껍질 추출물로서 0.1 중량%)를 투입하고 300 RPM의 속도로 20분 동안 교반하였다.
참고로 상기 베이스 화장료 조성물의 구성성분은, 정제수, 글리세린,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미네랄오일, 부틸렌글라이콜, 폴리솔베이트80, 카보머, 에틸헥실글리세린, 트로메타민, 알란토인, 알로에베라잎즙가루, 글루타믹애씨드, 라이신에이치씨엘, 알지닌, 판테놀, 녹차추출물, 쑥추출물, 알로에베라잎수, 1,2-헥산다이올, 향료, 글라이신을 포함한다.
이어서 상기 제2 혼합물 0.5 중량%(폴리글리세릴-4 카프레이트로서 0.05% 중량%)를 첨가하고, 500 RPM의 속도로 30분 동안 교반하여 로션 제형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능시험]
1) 시료 준비
상기 실시예과 동일한 방법으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되, 다음 [표 1]과 같이 소나무 껍질 추출물의 함량이 서로 다른 실시예 시료 4종과 비교예 시료 1종을 준비하였다.
구분 시료명 소나무 껍질 추출물의 함량
비교예 S 0.05 0.05 중량%
실시예 S 0.1 0.1 중량%
S 0.2 0.2 중량%
S 0.4 0.4 중량%
S 0.6 0.6 중량%
2) 자외선 차단효과 시험
상기 실시예 시료 4종 및 비교예 시료를 충남대학교 실험실에 의뢰하여 자외선/가시광선 분광 광도계(UV-VIS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자외선 투과율(%)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첨부 도 1 및 도 2에 수록하였다.
첨부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시료 S 0.1(적색)과 시료 S 0.2(보라색) 및 비교예 시료 0.05(녹색)에 대하여 각각 자외선 투과율(%T)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첨부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시료 S 0.4(녹색) 및 시료 S 0.6(적색)에 대하여 각각 자외선의 투과율(%T)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3) 비교 및 평가
첨부 도 1 및 도 2의 투과율 그래프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소나무 껍질 추출물의 함량(중량%)이 증가 할수록 차단 가능한 자외선의 파장범위(nm)가 증가한다.
즉, 소나무 껍질 추출물의 함량이 0.05 중량%인 비교예 시료 S 0.05(도 1의 녹색)의 경우, 차단 가능한 파장의 범위가 최대 290nm까지 이다. 따라서 UV- A(320~400nm)는 전혀 차단하지 못하고, UV-B(280~320nm)도 일부만 차단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소나무 껍질 추출물의 함량이 0.1 중량%인 실시예 시료 S 0.1(도 1의 적색)은 350nm 까지 차단 가능하다. 즉, 인체가 유해한 UV-B는 완전히 차단할 수 있고, 상대적으로 덜 유해한 UV-A도 절반 정도는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소나무 껍질 추출물의 함량이 0.6 중량%인 실시예 시료 S 0.6(도 2의 적색)은 약 560nm 까지 차단 가능하고, 따라서 인체에 유해한 UV-A 및 UV-B를 완전히 차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0.1~1 중량%의 농도 범위에서 인체에 유해한 자외선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효능을 보였으며, 상온에서 일 주일 이상 정치해 두어도 층 분리나 침전이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Claims (5)

  1. 소나무 껍질 추출물 0.1~1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2. A) 소나무 껍질 추출물 20 중량부에다 폴리올 70~90 중량부를 투입하고, 50~90℃의 온도에서 교반하여 제1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B) 정제수 80 중량부를 취하여 50~60℃의 온도로 가열하고, 여기에다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15~30 중량부를 투입한 후 교반하여 제2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C) 자외선 차단 기능이 없는 베이스 화장료 조성물에다 상기 제1 혼합물 0.5~5 중량%(소나무 껍질 추출물로서 0.1~1 중량%)를 투입하고 교반한 다음, 상기 제2 혼합물을 제1 혼합물과 같은 양 만큼 첨가하고 다시 교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로는 글리세린, 디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고, 상기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로는 폴리글리세릴-4 카프레이트, 카페인, 알칼로이드계 화합물, 지방산 폴리글리세리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로는 글리세린을 사용하고, 상기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로는 폴리글리세릴-4 카프레이트과 카페인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5. A) 소나무 껍질 추출물 20 중량부에다 글리세린 80 중량부를 투입하고, 50~90℃의 온도에서 100~200 RPM의 속도로 20~30분 동안 교반하여 제1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B) 정제수 80 중량부를 취하여 50~60℃의 온도로 가열하고, 여기에다 폴리글리세릴-4 카프레이트 10 중량부와 카페인 10 중량부를 투입한 후, 50~100 RPM의 속도로 10~20분 동안 교반하여 제2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C) 자외선 차단 기능이 없는 베이스 화장료 조성물에다 상기 제1 혼합물 0.5~5 중량%(소나무 껍질 추출물로서 0.1~1 중량%)를 투입하고 10~30분 동안 교반한 다음, 상기 제2 혼합물을 제1 혼합물과 같은 양 만큼 첨가하고 다시 20~40분 동안 교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220001934A 2022-01-06 2022-01-06 소나무 껍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301062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1934A KR20230106251A (ko) 2022-01-06 2022-01-06 소나무 껍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1934A KR20230106251A (ko) 2022-01-06 2022-01-06 소나무 껍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6251A true KR20230106251A (ko) 2023-07-13

Family

ID=87160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1934A KR20230106251A (ko) 2022-01-06 2022-01-06 소나무 껍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6251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3381A (ko) 2007-12-14 2009-06-1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 주름 개선 및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27113B1 (ko) 2008-05-28 2011-04-05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해송의 송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626437B1 (ko) 2013-12-31 2016-06-01 주식회사 삼양사 피부 염증 개선 또는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3381A (ko) 2007-12-14 2009-06-1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 주름 개선 및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27113B1 (ko) 2008-05-28 2011-04-05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해송의 송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626437B1 (ko) 2013-12-31 2016-06-01 주식회사 삼양사 피부 염증 개선 또는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88606T3 (es) Procedimientos y composiciones cosméticas de baya de café
KR101749965B1 (ko) 새싹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36226B1 (ko) 수비드 공법을 이용한 화장품 원료의 추출방법
KR102269270B1 (ko)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고구마 추출물 제조방법
KR101308669B1 (ko) 오크라, 다시마, 참마, 모로헤이야, 연근, 폴리글루탐산을 이용하여 구성된 네바네바컴플랙스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EP3692979B1 (en) Dahlia pinnata composition, dahlia pinnata composition powder, cosmetic composition, and producing method therefor
KR102050585B1 (ko) 플로로탄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백모 방지 및 흑모 촉진용 조성물 및 제품
KR20160036202A (ko) 옥수수 속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48978B1 (ko) 개꼬시래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02211B1 (ko) 산해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블루라이트에 의한 피부 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87421B1 (ko) 브라질넛씨 오일, 아프리칸월넛 오일, 망고 추출물 및 딸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35356B1 (ko) 초고압 균질화를 이용하여 추출 수율이 증진된 권백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1458758B1 (ko) 미백활성 및 항산화활성을 가지는 마늘 추출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30106251A (ko) 소나무 껍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37162B1 (ko) 미역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23993A (ko) 피부 투명도 및 칙칙함 개선용 조성물
KR102358319B1 (ko) 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102928A (ko) 깔라만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08582B1 (ko)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US9700506B2 (en) Antioxidant composition containing extract of processed Chrysanthemum indicum or Citrus unshiu peel
KR20160036198A (ko) 초피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0449345B1 (ko) 엠블리카 추출물 및 상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화장료 조성물
KR20130113474A (ko) 폴리페놀계 포도 추출물 및 그 추출물을 포함한 화장품
KR102668351B1 (ko) 자외선 차단제
KR102668352B1 (ko) 천연추출물로 제조한 자외선 차단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