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8352B1 - 천연추출물로 제조한 자외선 차단제 - Google Patents

천연추출물로 제조한 자외선 차단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8352B1
KR102668352B1 KR1020240053641A KR20240053641A KR102668352B1 KR 102668352 B1 KR102668352 B1 KR 102668352B1 KR 1020240053641 A KR1020240053641 A KR 1020240053641A KR 20240053641 A KR20240053641 A KR 20240053641A KR 102668352 B1 KR102668352 B1 KR 1026683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f extract
extract
present
leaves
gravio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53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찬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비파트너스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비파트너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비파트너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8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83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5Hydroxycarboxylic acids; Keto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6Ascorbic acid, i.e. vitamin 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5Mucopolysaccharides, e.g.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Abstract

본 발명은 자외선에 의한 피부손상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조성물은 우수한 자외선 차단 효과를 가지므로 자외선에 의한 피부손상 예방 및 개선용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천연추출물로 제조한 자외선 차단제{SUN SCREEN MADE FROM NATURAL EXTRACTS}
본 발명은 자외선에 의한 피부손상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외부 자극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거나 피부 내의 수분 증발을 방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피부는 인체의 일차 방어막으로 인체의 다른 부분과 마찬가지로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점차 노화가 진행된다.
피부가 노화하는 원인 중 내적요인으로는 유전자 변이, 조직의 변화 등을 예로 들 수 있고, 외적요인으로는 자외선, 습도 등에 의한 영향을 예로 들 수 있다. 특히 자외선에 의한 노화 현상을 광노화라고 하는데, 홍반, 부종, 주근깨, 피부암 등 인체의 피부에 각종 문제를 일으키는 주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자외선(ultraviolet, UV)은 스펙트럼에서 보라색 띠에 인접한, 사람의 육안으로는 보이지 않는 10-400 nm 파장 영역의 전자기파를 의미하며, 400-315 nm의 파장은 UV-A (Ultraviolet-A), 315-280 nm의 파장은 UV-B (Ultraviolet-B), 280-100 nm의 파장은 UV-C (Ultraviolet-C), 100-10 nm의 파장은 극자외선(Extreme ultraviolet, EUV)으로 분류된다. 여기서, 지표면까지 도달하는 UV-B 및 UV-A는 피부의 표피 또는 진피까지 침투되어 홍반, 주근깨, 부종, 피부암과 주름, 멜라닌 형성을 촉진하는 등 피부 자극과 피부 노화에 따른 장기적인 피부 손상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자외선 차단제의 사용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현재 사용되는 자외선 차단제는 유기 자외선 차단제 및 무기 자외선 차단제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 유기 합성 물질을 사용하는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광안정성, 피부자극, 환경 호르몬 배출 등의 문제점이 있고, TiO2, ZnO 등을 사용하는 무기 자외선 차단제는 백탁 현상, 나쁜 발림성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 자외선 차단제의 단점들을 개선하면서 자외선 차단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는 자외선 차단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인지하고, 특정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자극없이 우수한 자외선 차단 효과를 가지면서도 종래 자외선 차단제들이 가지는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다는 점을 입증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블루베리잎 추출물, 윤노리나무잎 추출물, 감초잎 추출물, 그라비올라잎 추출물 및 가시박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손상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자외선에 의한 피부손상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개시된 다양한 요소들의 모든 조합은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또한, 하기의 구체적인 서술에 의해 본 발명 범주가 제한된다고 볼 수 없다.
또한, 별도로 본 명세서 안에서 정의되지 않는 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른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거나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나, 상기 용어들에 의해 구성요소가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범주 안에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되거나 그 반대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숫자와 조합되는 "도"는 섭씨도(degree Celsius, oC)를 나타내며, "oC"와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예를 들어, "100도" 는 "100oC"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
본 발명은 블루베리잎 추출물, 윤노리나무잎 추출물, 감초잎 추출물, 그라비올라잎 추출물 및 가시박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손상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블루베리'는 학명이 Vaccinium corymbosum이며, 원산지가 북아메리카인 쌍떡잎식물 진달래목 진달래과의 식물을 의미하며, 본 발명에서는 블루베리 잎 부분을 추출물의 원재료로서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윤노리나무'는 학명이 Pourthiaea villosa Decnei.이며, 원산지가 한국 및 일본인 장미과 윤노리나무속에 속하는 낙엽 활엽 소교목을 의미하며, 본 발명에서는 윤노리나무의 잎 부분을 추출물의 원재료로서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감초'는 학명이 Glycyrrhiza uralensis이며, 중국 북동부와 시베리아, 몽골, 중국 북부 등지에 분포하는 콩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을 의미하며, 본 발명에서는 감초의 잎 부분을 추출물의 원재료로서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그라비올라'는 학명이 Annona muricata인 목련목 뽀뽀나무과의 식물을 의미하며, 본 발명에서는 그라비올라의 잎 부분을 추출물의 원재료로서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가시박'은 학명이 Sicyos angulatus인 북아메리카의 미국과 캐나다가 원산지인 박과의 1년생 식물을 의미하며, 본 발명에서는 가시박의 잎 부분을 추출물의 원재료로서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추출물'은 적절한 추출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 결과물을 의미하며, 상기 추출물은 추출로 인해 수득되는 추출액, 추출액의 희석액 또는 농축액,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이들의 조정제물 또는 정제물, 또는 분획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추출액 자체 및 추출액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추출물은 추출 후 건조 분말 형태로 제조되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추출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추출방법을 통해 제조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열탕 추출,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초음파 추출, 고온가압 추출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제조함에 있어서, 추출용매로 물; 메탄올, 에탄올, 프로필알코올, 부틸알코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다가알코올; 클로로포름,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벤젠, 헥산, 디에틸에테르, 페트롤륨에테르, 디클로로메탄 등의 탄화수소계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 형태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블루베리잎 추출물, 윤노리나무잎 추출물, 감초잎 추출물, 그라비올라잎 추출물 및 가시박잎 추출물은 2-1:2-1:2-1:1:1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2:2:1:1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블루베리잎 추출물, 윤노리나무잎 추출물, 감초잎 추출물, 그라비올라잎 추출물 및 가시박잎 추출물은,
s1) 원재료를 세척 후 건조시키는 단계;
s2) 상기 원재료의 표면에 스크레치(scratch)를 생성하는 단계;
s3) 상기 건조된 원재료를 발효시키는 단계;
s4) 상기 발효된 원재료를 건조 및 세절하는 단계;
s5) 상기 세절된 원재료에 용매를 투입하고, 80 내지 99oC에서 교반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s6) 상기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s1 단계는, 원재료를 준비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s1 단계의 원재료는 블루베리잎, 윤노리나무잎, 감초잎, 그라비올라잎 또는 가시박잎일 수 있으며, 블루베리잎, 윤노리나무잎, 감초잎, 그라비올라잎 및 가시박잎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s1 단계에서의 건조는 통풍이 잘 통하는 그늘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그늘은 햇빛이 물체에 가려진, 즉, 햇빛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지 않은 선선하고 어두운 공간을 의미한다.
상기 건조는 원재료에 포함된 수분의 함량이 40 내지 75%가 될때까지 수행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분함량은 50 내지 55%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s1 단계의 건조 후 수분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이후 연속적으로 수행되는 단계로 인해 달성하고자 하는 효과가 나타나지 않거나 미미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수분함량은 당업계에 알려져 있는 방법, 예를 들어, 건조 감량 등 열중량 분석 접근법 등을 사용하여 측정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s2 단계는 원재료 표면에 미세한 스크레치(scratch)를 생성하는 단계로, 이후 수행되는 발효 과정을 수행하는 시간을 단축하여 필요 이상의 긴 발효 시간으로 인한 유효성분의 파괴를 방지하기 위해 수행된다.
상기 스크레치(상처) 생성 과정은 표면에 요철이 있거나, 너무 매끄럽지 않고 마찰력이 있는 표면을 가진 용기를 사용하여 사람 또는 기계의 힘으로 흔드는 과정을 통해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s3 단계는 s2 단계를 통해 스크레치가 생성된 원재료를 발효시키는 단계로, 원재료에 함유되어 있는 유효성분들의 함유량(함유 비율)을 조절하여 특정 효과를 나타내는 유효성분의 비율을 조절하기 위해 수행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s3 단계에서 발효 과정의 수행에 따른 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해 40 내지 45oC에서 2 내지 4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s4 단계는, 발효된 원재료를 다시 건조시키고, 추출 수행 전 세절하여 준비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건조는 통풍이 잘되는 그늘에서 5 내지 7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s5 단계는, s1 내지 s4 단계로 전처리된 원재료로부터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s5 단계에서의 용매는 부틸렌글라이콜이 30 %(v/v)로 증류수와 혼합된 혼합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s5 단계는 80 내지 99oC에서 2 내지 5시간,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으며, 교반을 동반하며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교반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을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교반기를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교반은 s5 단계가 수행되는 동안 지속적으로 수행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s6 단계는 s5에서 수득된 결과물에 대해 여과를 수행하는 단계이다.
상기 여과는 한번 또는 2-3번의 단계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기와 같은 단계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s6-1) 1 μm 필터로 1차 여과하는 단계;
s6-2) 상기 1차 여과된 추출물을 10 내지 20분 동안 방치하는 단계; 및
*s6-3) 0.2 μm 필터로 2차 여과하는 단계;
본 명세서에서 '유효성분'이란 단독으로 본 발명의 의도하는 효과(활성)를 나타내거나 또는 불활성 담체와 함께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성분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블루베리잎 추출물, 윤노리나무잎 추출물, 감초잎 추출물, 그라비올라잎 추출물 및 가시박잎 추출물은 조성물 총중량 대비 0.1 내지 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성물은 아스코빅애시드(Ascorbic acid), 히알루로닉애시드(Hyaluronic acid) 및 페롤릭애시드(Ferulic acid)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블루베리잎 추출물, 윤노리나무잎 추출물, 감초잎 추출물, 그라비올라잎 추출물 및 가시박잎 추출물; 및 아스코빅애시드, 히알루로닉애시드 및 페롤릭애시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아스코빅애시드(Ascorbic acid)'는 분자식은 C6H8O6이며,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지는 항산화 물질의 특성을 가지는 유기화합물을 의미한다.
[화학식 1]
본 발명에서 상기 아스코빅애시드는 조성물 총중량 대비 0.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아스코빅애시드가 상기 범위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의 산화가 가속화될 수 있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제형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히알루로닉애시드(Hyaluronic acid)'는 하기 화학식 2의 구조를 가지는 동물 등의 피부에 많이 존재하는 생체 합성 천연 물질을 의미하며, 친수성이고 동물 등의 피부에서 보습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화학식 2]
본 발명에서 상기 히알루로닉애시드는 조성물 총중량 대비 0.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히알루로닉애시드가 상기 범위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히알루로닉애시드를 함유함으로 인한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제형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페룰릭애시드(Ferulic acid)'는 분자식 C10H10O4이며, 하기 화학식 3의 구조를 가지는 유기화합물을 의미하며, 식물의 세포벽을 형성하는 리그닌의 전구체로서 식물의 세포벽에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화학식 3]
본 발명에서 상기 페룰릭애시드는 조성물 총중량 대비 0.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페룰릭애시드가 상기 범위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의 산화가 가속화될 수 있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제형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자외선에 의한 피부손상은 자외선 B(UV-B)에 의한 피부손상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자외선 차단지수(SPF)가 10 내지 50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자외선 차단지수가 20 내지 30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25 내지 30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성분 외에 공지의 자외선 차단 효과를 가지는 화합물 또는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은 자명하며, 함량은 당업자가 적절히 선택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방부제,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방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부제는 예를 들어, 파라벤류(paraben), 알코올(alcohol), 유기산 및 그의 염, 이소치아졸 화합물(isothiazole compounds), 우레아(urea), 트리크로산(triclosan)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부제는 1,2-헥산다이올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 화장료 조성물은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파우더, 크림, 로션, 화장수, 수용성 리퀴드, 에센스,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스프레이, 샴푸, 린스, 바디 워시, 비누 등의 제형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화장품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형태의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로 제형화 되는 경우,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로 제형화 되는 경우,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마이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 하이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다이메틸에테르와 같은 추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용액 또는 유탁액으로 제형화 되는 경우,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아이소프로판올, 에틸카보네이트, 에틸아세테이트, 벤질알코올, 벤질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현탁액으로 제형화 되는 경우,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아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하이드록사이드, 벤토나이트, 한천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으로 제형화 되는 경우,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석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마이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라이드, 지방산다이에탄올아마이드, 식물성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다양한 보습제 성분들 이외의 기타 성분들은 제형 또는 사용 목적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절하게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블루베리잎 추출물, 윤노리나무잎 추출물, 감초잎 추출물, 그라비올라잎 추출물 및 가시박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손상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블루베리잎 추출물, 윤노리나무잎 추출물, 감초잎 추출물, 그라비올라잎 추출물 및 가시박잎 추출물; 및 아스코빅애시드, 히알루로닉애시드 및 페롤릭애시드를 포함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손상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제조방법과 관련된 구체적인 내용은 반대되는 언급이 없는 한, 상기 조성물 부분에서 기재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은 우수한 자외선 차단 효과를 가지므로 자외선에 의한 피부손상 예방 및 개선용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들로부터 얻을 수 있는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인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구성할 수도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정의되지 않은 용어들에 대해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 1
(1) 추출물의 제조
먼저 블루베리잎, 윤노리나무잎, 감초잎, 그라비올라잎 및 가시박잎을 각각 깨끗하게 세척하고, 바람이 잘 통하는 그늘에서 건조하여 수분함량이 평균 약 50%가 되도록 조정하였다.
그 다음, 상기 블루베리잎, 윤노리나무잎, 감초잎, 그라비올라잎 및 가시박잎 각각 모으고, 요철이 있는 용기에 담고 흔들어 잎의 겉 표면에 미세한 스크레치(scratch)를 생성하였다.
상기 스크레치가 생성된 상기 블루베리잎, 윤노리나무잎, 감초잎, 그라비올라잎 및 가시박잎을 40 내지 45oC에서 약 3시간 동안 황토로 마감되어 있는 발효실에서 발효시킨 후, 그늘에서 5 내지 7시간 건조시키고, 추출이 용이하도록 잘게 세절하였다.
그 다음, 상기 블루베리잎, 윤노리나무잎, 감초잎, 그라비올라잎 및 가시박잎을 세절한 후 각각 용기에 넣고, 10배 부피의 용매(증류수 및 부틸렌글라이콜 30.00%(v/v) 혼합용매) 투입한 다음 90oC에서 약 2시간 동안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였다.
그리고, 1 μm 필터로 1차 여과하여 잔사물과 여과물로 분리하고, 상기 여과된 추출물을 10 내지 20분 동안 방치한 후, 다시 0.2 μm 필터로 2차 여과를 진행하여 블루베리잎 추출물, 윤노리나무잎 추출물, 감초잎 추출물, 그라비올라잎 추출물 및 가시박잎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2)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상기 제조된 블루베리잎 추출물, 윤노리나무잎 추출물, 감초잎 추출물, 그라비올라잎 추출물 및 가시박잎 추출물을 2:2:2:1:1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전체 조성물 대비 상기 혼합물 7.00 중량%, 아스코빅애시드 0.50 중량%, 히알루로닉애시드(Hyaluronic acid) 0.08 중량% 및 페롤릭애시드 0.05 중량%, 1,2-헥산다이올(1,2-Hexanediol) 3.00 중량%, 부틸렌글라이콜 25.00 중량% 및 정제수 잔량의 조성으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1) 추출물의 제조
먼저 블루베리잎, 윤노리나무잎, 감초잎, 그라비올라잎 및 가시박잎을 각각 깨끗하게 세척하고, 바람이 잘 통하는 그늘에서 건조하여 수분함량이 평균 약 50%가 되도록 조정하였다.
그 다음, 상기 블루베리잎, 윤노리나무잎, 감초잎, 그라비올라잎 및 가시박잎 각각 모으고, 요철이 있는 용기에 담고 흔들어 잎의 겉 표면에 미세한 스크레치(scratch)를 생성하였다.
상기 스크레치가 생성된 상기 블루베리잎, 윤노리나무잎, 감초잎, 그라비올라잎 및 가시박잎을 40 내지 45oC에서 약 3시간 동안 황토로 마감되어 있는 발효실에서 발효시킨 후, 그늘에서 5 내지 7시간 건조시키고, 추출이 용이하도록 잘게 세절하였다.
그 다음, 상기 블루베리잎, 윤노리나무잎, 감초잎, 그라비올라잎 및 가시박잎을 세절한 후 각각 용기에 넣고, 10배 부피의 용매(증류수 및 부틸렌글라이콜 30.00%(v/v) 혼합용매) 투입한 다음 90oC에서 약 2시간 동안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였다.
그리고, 1 μm 필터로 1차 여과하여 잔사물과 여과물로 분리하고, 상기 여과된 추출물을 10 내지 20분 동안 방치한 후, 다시 0.2 μm 필터로 2차 여과를 진행하여 블루베리잎 추출물, 윤노리나무잎 추출물, 감초잎 추출물, 그라비올라잎 추출물 및 가시박잎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2)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상기 제조된 블루베리잎 추출물, 윤노리나무잎 추출물, 감초잎 추출물, 그라비올라잎 추출물 및 가시박잎 추출물을 1:1:1:1:1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전체 조성물 대비 상기 혼합물 7.00 중량%, 아스코빅애시드 0.50 중량%, 히알루로닉애시드(Hyaluronic acid) 0.08 중량% 및 페롤릭애시드 0.05 중량%, 1,2-헥산다이올(1,2-Hexanediol) 3.00 중량%, 부틸렌글라이콜 25.00 중량% 및 정제수 잔량의 조성으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1) 추출물의 제조
먼저 블루베리잎, 윤노리나무잎, 감초잎, 그라비올라잎 및 가시박잎을 각각 깨끗하게 세척하고, 바람이 잘 통하는 그늘에서 5 내지 7시간 건조시키고, 세절하였다.
그 다음, 상기 블루베리잎, 윤노리나무잎, 감초잎, 그라비올라잎 및 가시박잎을 세절한 후 각각 용기에 넣고, 10배 부피의 용매(증류수 및 부틸렌글라이콜 30.00%(v/v) 혼합용매) 투입한 다음 90oC에서 약 2시간 동안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였다.
그리고, 1 μm 필터로 1차 여과하여 잔사물과 여과물로 분리하고, 상기 여과된 추출물을 10 내지 20분 동안 방치한 후, 다시 0.2 μm 필터로 2차 여과를 진행하여 블루베리잎 추출물, 윤노리나무잎 추출물, 감초잎 추출물, 그라비올라잎 추출물 및 가시박잎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2)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상기 제조된 블루베리잎 추출물, 윤노리나무잎 추출물, 감초잎 추출물, 그라비올라잎 추출물 및 가시박잎 추출물을 2:2:2:1:1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전체 조성물 대비 상기 혼합물 7.00 중량%, 아스코빅애시드 0.50 중량%, 히알루로닉애시드(Hyaluronic acid) 0.08 중량% 및 페롤릭애시드 0.05 중량%, 1,2-헥산다이올(1,2-Hexanediol) 3.00 중량%, 부틸렌글라이콜 25.00 중량% 및 정제수 잔량의 조성으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자외선 차단 지수 측정
자외선 차단지수(Sun Protection Factor, SPF)를 측정하여 UV-B의 차단 효과에 대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상기 SPF는 무처리된 피부상에서의 최소홍반량(Minimal Erythemal Dose, MED)에 대한 자외선 차단제 처리된 피부상에서의 최소홍반량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SPF가 높을수록 UVB 차단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수학식 1]
SPF=(자외선 차단제 처리한 피부상의 MED)/(무처리 피부상의 MED)
*
상기 자외선 차단지수(SPF)는 SPF 분석기(Optometrics USA, SPF290S)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측정 결과는 3회 평균값으로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SPF
실시예 1 27
실시예 2 16
실시예 3 19
상기 표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블루베리잎 추출물, 윤노리나무잎 추출물, 감초잎 추출물, 그라비올라잎 추출물 및 가시박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우수한 자외선 차단효과를 나타내었고, 구체적으로는 상기 추출물이 2:2:2:1:1의 중량비로 포함되어 있는 실시예 1의 자외선 차단지수가 가장 높았고, 중량비를 변경하여 제조한 실시예 2, 제조 과정에서 일부 과정을 생략한 실시예 3의 경우 실시예 1 대비 자외선 차단지수가 낮게 측정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우수한 자외선 차단효과를 나타내어 본 발명의 조성물이 자외선에 의한 피부손상에 대해 예방 및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예들은 그 기술적 아이디어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다양한 실시예들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다양한 실시예들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Claims (1)

  1. 블루베리잎 추출물, 윤노리나무잎 추출물, 감초잎 추출물, 그라비올라잎 추출물 및 가시박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손상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블루베리잎 추출물, 윤노리나무잎 추출물, 감초잎 추출물, 그라비올라잎 추출물 및 가시박잎 추출물은 2:2:2:1:1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이고,
    상기 블루베리잎 추출물, 윤노리나무잎 추출물, 감초잎 추출물, 그라비올라잎 추출물 및 가시박잎 추출물은,
    s1) 원재료를 세척 후 건조시키는 단계;
    s2) 상기 원재료의 표면에 스크레치(scratch)를 생성하는 단계;
    s3) 상기 건조된 원재료를 발효시키는 단계;
    s4) 상기 발효된 원재료를 건조 및 세절하는 단계;
    s5) 상기 세절된 원재료에 용매를 투입하고, 80 내지 99oC에서 교반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s6) 상기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이고,
    상기 s5 단계에서 상기 용매는 부틸렌글라이콜이 30 %(v/v)로 증류수와 혼합된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2 내지 5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이고,
    상기 s6 단계의 여과는
    s6-1) 1 μm 필터로 1차 여과하는 단계;
    s6-2) 상기 1차 여과된 추출물을 10 내지 20분 동안 방치하는 단계; 및
    s6-3) 0.2 μm 필터로 2차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고,
    상기 조성물은 아스코빅애시드(Ascorbic acid), 히알루로닉애시드(Hyaluronic acid) 및 페롤릭애시드(Ferulic acid)를 더 포함하는 것인, 자외선에 의한 피부손상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40053641A 2024-04-22 천연추출물로 제조한 자외선 차단제 KR102668352B1 (ko)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86091 Division 2023-12-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8352B1 true KR102668352B1 (ko) 2024-05-22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01723B1 (en) Cosmetic composition for protecting skin against uv light and wrinkle improvement containing the extract of magnolia sieboldii flower extracts
KR101796353B1 (ko) 인삼싹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28974B1 (ko) 여주, 감나무잎 및 비단풀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59954B1 (ko)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36202A (ko) 옥수수 속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023325A (ko) 물푸레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과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102668352B1 (ko) 천연추출물로 제조한 자외선 차단제
KR102668351B1 (ko) 자외선 차단제
KR102668350B1 (ko) 자외선 차단제
KR101469886B1 (ko)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835356B1 (ko) 초고압 균질화를 이용하여 추출 수율이 증진된 권백 추출물의 제조방법
WO2011142507A1 (ko) 개꼬시래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03915A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74502B1 (ko) 회리바람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알러지용 및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56374B1 (ko) 증숙 가시오가피 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광손상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55132B1 (ko) 레몬머틀 추출물이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0789632B1 (ko)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KR102054273B1 (ko) 보리 또는 유색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137151A (ko) 강황잎 및 황촉규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광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87976B1 (ko) 물푸레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06176346A (zh) 一种防晒组合物、制备方法及防晒化妆品
KR100999697B1 (ko)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KR102605602B1 (ko) 천문동 및 천연 허브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60003916A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또는 안색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08582B1 (ko)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