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1142507A1 - 개꼬시래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개꼬시래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1142507A1
WO2011142507A1 PCT/KR2010/006338 KR2010006338W WO2011142507A1 WO 2011142507 A1 WO2011142507 A1 WO 2011142507A1 KR 2010006338 W KR2010006338 W KR 2010006338W WO 2011142507 A1 WO2011142507 A1 WO 201114250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rays
ski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0/00633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박은경
박상희
정원순
이미진
조영현
강성필
김해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데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데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데나
Priority to EP10851458.9A priority Critical patent/EP2570114A4/en
Publication of WO201114250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1142507A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17Rhodophycota or Rhodophyta [red algae], e.g. Porphy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61K36/04Rhodophycota or rhodophyta (red algae), e.g. Porphy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4Aftersun preparations

Definitions

  • Cosmetic composition for sunscreen containing ragweed extract [technical field]
  • chorda extract and 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 Ultraviolet rays are rays having a wavelength of 400 nm or less emitted from the sun.
  • Long-wave ultraviolet (UV-A; 320-400 nm), medium-wave ultraviolet (UV-B; 280-320 nm), and short-wave ultraviolet (UV-C; 200- 280 nm) which causes photobiological reactions on the skin, causing sunburn, pigmentation, photoaging, skin cancer, etc., and various skin damages depending on the wavelength.
  • UV-C Short-wave ultraviolet
  • UV-B Medium-wave ultraviolet
  • UV-A long-wave ultraviolet
  • UV absorbers which are chemical blockers
  • UV scatterers which are physical blockers.
  • UV absorbers act to suppress the direct irradiation of ultraviolet rays to the skin by hopping the ultraviolet rays
  • synthetic absorbents such as benzophenone, methyl anthranilate, paraamino benzoic acid derivatives, paramethoxy cinnamic acid derivatives, salicylic acid derivatives are used, Such synthetic hops have great side effects of skin irritation and skin toxicity.
  • UV Scattering Agents at the Skin Surface It scatters and reflects ultraviolet rays to block ultraviolet rays from penetrating into the skin. Powder forms such as titanium dioxide, zinc oxide, mica, talc, and kaolin are used.
  • UV scattering agent In the case of such UV scattering agent, it remains in the skin, causing irritation to the skin, and it is difficult to disperse and dissolve in the formulation, resulting in a white cloudiness that appears when applied to the skin. In addition,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feeling is bad when applying the skin.
  • Most of these sunscreens are chemical synthetic materials, so skin irritation and side effects are very large, so there is an urgent need for natural sunscreens with less skin irritation and side effects.
  • Most of the sunscreens separated from natural products are UV hops, which have little irritation and include pharmacological actions such as anti-inflammatory, astringent, and antibacterial. For example,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 10-1995-0012443 has disclosed a cosmetic containing a herbal extract having a UV absorbing function
  •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6-0088347 is a UV absorbing cosmetics including green tea and fennel extract
  • chorda is a seaweed of the Panaxaceae family and grows in Korea, China, and Japan, and is especially found in the subtidal zone of the southwest coast of Korea.
  • the noodles using stalk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have been publish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6-0050782.
  • the present inventors earnestly researched for the development of 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 natural ultraviolet absorbing component, and as a result, the extract is excellent in the ultraviolet A blocking effect, antioxidant and cell regeneration effect, is safe for the skin and stable as a cosmetic. By confirming that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leted.
  • the present inventors earnestly researched for the development of 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 natural ultraviolet absorbing component, and as a result, the extract is excellent in the ultraviolet A blocking effect, antioxidant and cell regeneration effect, is safe for the skin and stable as a cosmetic By confirming that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leted.
  • Squirrel (frac / ar / o s / s chorda) is an algae of the pod family and grows in Korea, China, and Japan, and is especially found in the subtidal zone of Korea's southwest coast.
  • the method for preparing the ragweed extract may be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known in the art, the extraction solvent is a solvent commonly used in the art, preferably purified water, methanol, ethanol, glycerin, ethyl acetate, One or more selected from butylene glycol, propylene glycol, dichloromethane and nucleic acid can be used.
  • the extraction solvent is a solvent commonly used in the art, preferably purified water, methanol, ethanol, glycerin, ethyl acetate, One or more selected from butylene glycol, propylene glycol, dichloromethane and nucleic acid can be used.
  • the ragweed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for use as a natural sunscreen ingredient in the cosmetic composition because it has excellent UV A absorption effect, UV protection effect, antioxidant effect, cell regeneration effect and stability to the skin.
  •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1 to 20 increase in 3 ⁇ 4 of the ragweed extract, when contained in less than 1% by weight the effect is insignificant, and when contained in more than 20% by weight does not significantly increase the effect.
  •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other sunscreens, thereby increasing the sunscreen effect.
  • Additional sunscreen may be used in the art known in the art, for example, there is an organic sunscreen component or inorganic sunscreen component, examples of the organic sunscreen component is octyl methoxy cinnamate, octyl salate, Octocrylene, benzophenone # 3, benzophenone-4, benzophenone-8, butyl methoxy dibenzoyl methane, oxy benzone, octyl triazone, menthyl anthranilate, 3, 4-methylbenzylidene camphor, 2-phenyl Benzimidazole-5—sulfonic acid, disodiumphenyldibenzimidazoletesulfonate, isoamyl P-methoxycinnamate and bis-ethylnuxyloxyphenolmethoxyphenyltriazine;
  • examples of the inorganic ultraviolet blocking component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 the cosmetic composi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additionally comprises a laver extract or wood starch extract.
  • the cosmetic composition is also a component commonly used in cosmetic compositions, in addition to the sunscreen ingredients, such as conventional adjuvants such as stabilizers, solubilizers, surfactants, vitamins, pigments and pharmaceuticals, and And a carrier.
  • conventional adjuvants such as stabilizers, solubilizers, surfactants, vitamins, pigments and pharmaceuticals, and And a carrier.
  •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protecting the ski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pared in any formulation commonly prepared in the art, for example, solutions, suspensions, emulsions, pastes, gels, creams, lotions, powders, soaps, surfactants- It may be formulated as containing cleansing, oil, powder foundation, emulsion foundation, wax foundation, spray,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More specifically, it may be prepared in the form of a flexible lotion, nutrition lotion nutrition cream, massage cream, essence, eye cream, cleansing cream, cleansing foam, cleansing water, pack, spray or powder.
  • the carrier components include animal oil, vegetable oil, wax, paraffin, starch, tracant, cellulose derivative, polyethylene glycol, silicone, bentonite, silica, talc or zinc oxide. Can be used.
  • lactose, talc, silica, aluminum hydroxide, chamo silicate or polyamide powder may be use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spray, additionally chlorofluorohydrocarbon, propane Propellant such as butane or dimethyl ether.
  • a solvent, solubilizer or emulsifier is used as the carrier component, such as water, ethanol, isopropanol, ethyl carbonate, ethyl acetate, benzyl alcohol, benzyl benzoate, propylene glycol, 1 , 3-butylglycol oil, glycerol aliphatic esters, polyethylene glycols or sorbitan fatty acid esters.
  • the carrier component may be water, a liquid diluent such as ethanol or propylene glycol, an ethoxylated isostearyl alcohol, a suspending agent such as polyoxyethylene sorbide ester and a polyoxyethylene sorbitan ester, Microcrystalline cellulose, aluminum metahydroxy, bentonite, agar or tracant and the like can be used.
  •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urfactant-containing cleansing agent
  • a surfactant-containing cleansing agent as a carrier component, an aliphatic alcohol sulfate, aliphatic alcohol ether sulfate, sulfosuccinic acid monoester, isethionate, imidazolinium derivative, methyltaurate, sarcosinate, fatty acid amide Ether sulfates, alkylamidobetaines, aliphatic alcohols, fatty acid glycerides, fatty acid diethanolamides, vegetable oils, lanolin derivatives or ethoxylated glycerides may be used.
  •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par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osmetic composition commonly carried out in the art, except that the extract containing the ragweed extract as a sunscreen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smetic composition for sunscreen containing the extract of ragweed.
  • the sunscreen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in the effect of absorbing the ultraviolet rays A to inhibit the direct irradiation of ultraviolet rays to the skin, prevents cell membrane oxidation by ultraviolet rays, and restores skin damage caused by ultraviolet rays. .
  • the sunscreen cosme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the extract of dog ragweed derived from natural substances as an active ingredient, it is not only safe for the skin, but also has excellent stability as a cosmetic.
  • FIG. 1 is a graph confirming the antioxidant effect of the extract of the ragweed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spectrum showing the ultraviolet absorption of the extract of the ragweed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spectrum confirming the ultraviolet transmittance of the extract of the ragweed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spectrum confirming the ultraviolet absorption of the seaweed extract and laver extract prepared in Comparative Preparation Example 1-2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dog kkosiraegi (frac // ar / o /? S / s chorda) is 1 ⁇ 2 mesh and then pulverized washed in distilled water flowing collected from nearby Jeollanamdo magnitude, dry hot air drying oven at 55'C used in Preparation Example 1 Passed. 4,950 g of 70% ethanol was added to 50 g of the powder, and then, immersed solution was prepared and extracted three times for 3 hours at 45 ° C. The extract was angled to 20 ° C. and only the liquid filtered twice with 0.2 II ⁇ Watman paper was removed to completely remove the solvent with a rotary concentrator.
  • the residue from which the solvent was removed was suspended in 200 g of distilled water, followed by fractionation by addition of an equal amount of hydrated butanol. When the layers were separated and separated, only the aqueous layer dissolved in distilled water was collected, concentrated to remove residual butanol, and 50 g of the final extract was prepared.
  • the laver used in Comparative Preparation Example 1 was used to purchase domestic dried laver from the agricultural and fishery wholesale center. Seaweed extract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in Preparation Example 1, 50 g of dried sesame.
  • the wood pellets used in Comparative Preparation Example 2 were used to purchase domestic wood pellets dried at the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Wholesale Center. 50 g of dried wood starfish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in Preparation Example 1, to prepare a wood starch extract.
  • the cell proliferation effect using the cell culture was measured for the extract of the ragweed extract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1.
  • the cell proliferation effect was measured in the same manner for the disodium phenyldibenzimidazole tetrasulfonate, a chemical synthetic sunscreen generally used in the art, and compared with the cell proliferation effect of the extract.
  • Cell proliferation and toxicity tests are described in Mosmann T. et al., Rapid
  • MTT Tetrazoli urn-based colorimetric solution was added 1 / well, and after 4 hours at 37 ° C, C0 2 incubator, the medium was removed, and 200 ml of DMS0 (dimethyl sulfoxide) was added thereto at 550 nm. Absorbance was measured and cell proliferation wa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formula.
  • the anti-oxidative effect was confirmed by measuring the electron donating ability using the DPPH (2,2-diphenyl-1-picrylhydrazyl) method with respect to the extract of dog ragweed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1.
  • the electron donating ability is a measure of the oxidation inhibitory ability by donating electrons to free radicals. If the electron donating ability is large for DPPH, high antioxidant activity and scavenging action for other radicals including active oxygen can be expected.
  • Distilled ragweed extract of Preparation Example 1 was used as Examples 1 to 3 by diluting as shown in Table 2 below, and a solution diluted with 0.1% of ascorbic acid, which is an antioxidant commonly used in the art, and free. The radical scavenging ability was compared.
  • Electron m machine - ⁇ ⁇ ⁇ TM half ⁇ absorbance " ⁇ ⁇
  • Table 3 As shown in Table 3, the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Examples 1 to 3 for dilution of the ragweed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all 68% or more, and showed a very high scavenging ability, and the higher the concentration of the extract, the higher the electron donating ability. .
  • diluent 10 3 ⁇ 4> diluent of Example 3 showed a very high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96%, it proved to have a strong antioxidant effect.
  • Ultraviolet rays generate free radicals in the skin cells, thereby promoting cell membrane oxidation and causing photoaging. Photoaging is expected to be effectively suppressed.
  • Ultraviolet absorbance was measured by measuring absorbance and transmittance in the UV wavelength range of 260 nm to 400 nm using a UV / VIS spectrometer. Specifically, 100 ppm of the disodium phenyldibenzimidazole tetrasulfonate, a chemical synthetic UV absorber, and the extract of the horseradish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1 were diluted with purified water to a concentration of 100 ppm, 200 ppm, and 300 ppm. Ultraviolet absorption and transmission spectra were measured based on purified water as shown in FIGS. 2 and 3, respectively.
  • sunscreen lotion containing ragweed extract
  • sunscreen lotion Examples 4 to 6
  • sunscreen lotion containing 5.0, 10.0, and 15.0% by weight of the extract of dog ragweed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1
  • conventional ultraviolet ray not containing the same A UV blocking lotion (Comparative Example 2 and Comparative Example 3) containing a blocking lotion (Comparative Example 1) and a laver extract prepared from Comparative Preparation Example 1-2 and a starfish extract was prepared.
  • the minimum sustained instantaneous amount of instantaneous determination was determined, and the UV A blocking index (PEA) was calculated using the determination value, and the calculation method is as follows.
  • the UV A blocking rating was classified according to Table 6 using the calculated UV A blocking index. The determination result thus obtained is shown in Table 7.
  • Example 4 4 PA ++ much ⁇ ⁇ Example 5 5 PA ++ much 2 Example 6 5 PA ++ much less
  • Comparative Example 1 which does not contain the ragweed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locking effect but a low degree of blocking ( ⁇ +)
  • Example 4 containing the ragweed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Example 6 it can be seen that the UV A blocking effect is much increased (PA ++). On the other hand, it is judged that the difference in effect according to the content of the ragweed extract is not large.
  • the ragweed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did not show any skin irritation, but the disused phenyldibenzimidazole tetrasulfonate, a water-soluble ultraviolet A hops, which is most used in cosmetics to date, is accompanied by itching Degree of skin irritation.
  • Example 4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cosmetic properties stability, in Example 4 containing 5% of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appears that the property stability is the highest and is suitable for use as a cosmetic. It can be seen that in Example 2 and Comparative Examples 4 to 5, which contain the extract of the ragweed, which are prepared by containing the Comparative Examples 2 to 3 at the same concentration, the discoloration and odor are significantly less. It is considered that the ragweed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itable for use as a cosmetic rather than laver or laver belonging to the alga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꼬시래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자외선 A를 흡수하여 피부에 자외선이 직접 조사되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가 뛰어나며 자외선에 의한 세포막 산화를 방지하고, 자외선에 의한 피부손상을 회복하는 효과가 뛰어나다. 또한,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는 천연물질로부터 유래한 개꼬시래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므로 피부에 안전할 뿐만 아니라, 화장료로서의 안정성도 우수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명세서】
【발명의 명칭】
개꼬시래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기술분야】
본 발명은 자외선 A 차단 효과를 가지는 개꼬시래기
Figure imgf000003_0001
chorda)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자외선은 태양에서 발산되는 400 nm이하의 파장을 가지는 광선으로 장파자외선 (UV— A; 320-400 nm), 중파자외선 (UV-B; 280-320 nm), 단파자외선 (UV- C; 200-280 nm)으로 나누어지며 이들은 피부에 광생물학적 반웅을 일으켜 일광화상, 색소침착, 광노화, 피부암 등을 유발하며 파장에 따라 다양한 피부손상을 유발한다.
단파자외선 (UV-C)은 살균작용 및 세포사멸을 일으키나 대부분 오존층에서 흡수되어 피부에 도달하기 어렵고 중파자외선 (UV-B)은 표피 기저층과 진피 상부까지 도달하여 피부각화를 지속시키고 홍반, 수포 등의 일광화상과 색소 침착을 유발하며 세포막손상, 피부암을 유발한다. 특히 장파자외선 (UV-A)은 진피까지 도달함으로써 즉각적인 색소침착과 지연홍반, 광독성, 광알레르기반웅, 유리기 (Free radical)생성으로 인한 만성적 광노화, 진피의 탄력섬유와 교원섬유를 변성시켜 피부의 탄력올 감소시키고 주름, 피부위축 현상을 유발한다. 따라서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자외선 차단제의 사용이 필수적이다.
종래의 자외선 차단제는 크게 화학적 차단제인 자외선 흡수제와 물리적 차단제인 자외선 산란제로 나누어진다. 자외선 흡수제는 자외선을 홉수하여 피부에 자외선이 직접 조사되는 것을 억제하는 작용을 하며, 벤조페논, 메틸안트라닐산염, 파라아미노안식향산 유도체, 파라메톡시계피산 유도체, 살리실산 유도체 등과 같은 합성 흡수제가 사용되며, 이러한 합성 홉수제는 피부자극 및 피부독성의 부작용이 크다. 자외선 산란제는 피부 표면에서 자외선을 산란, 반사시켜 피부 내로 자외선이 침투되지 못하게 차단하는 작용을 하며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마이카, 탈크, 카올린 등의 분말형태가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자외선 산란제의 경우 피부에 잔류하여 피부에 자극올 일으키고 제형 내에서 분산 및 용해가 어려워 피부에 도포시 하얗게 자국이 남는 백탁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또한, 피부 도포시 사용감이 나쁜 단점이 있다. 이러한 자외선 차단제들은 대부분이 화학합성물질로 피부자극과 부작용이 매우 크기 때문에 피부자극과 부작용이 적은 천연 자외선 차단제의 필요성이 절실하다. 천연물로부터 분리된 자외선 차단 물질은 대부분이 자외선 홉수물질로써 자극이 적고 항염, 수렴, 항균 등의 약리작용을 포함하고 있어 이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그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1995-0012443에는 자외선 흡수 기능을 갖는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가 개시 된 바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06-0088347에는 녹차 및 회향추출물을 포함하여 자외선 흡수성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된 바 있었다. 하지만 종래의 천연 자외선 차단제는 그 종류가 적고 효과가 미미하여 화장품에 웅용되는 예는 많지 않았다. 한편, 개꼬시래기
Figure imgf000004_0001
chorda)는 꼬시래기과의 해조류로 한국, 중국, 일본에 자생하고 있으며 특히 우리나라 남서해안의 조하대에서 많이 발견되고 있다. 꼬시래기류에 대한 연구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출원 제 10- 2006-0050782에 꼬시래기를 이용한 국수 및 그 제조방법이 게시된 바 있으며 생리활성과 관련해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출원 제 10— 2006-0050782에 꼬시래기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용 조성물에 대하여 게시된 바 있다. 그 외에 다양한 식품 및 한천, 필프제조에 사용된 연구들이 게시되어 있으나 개꼬시래기를 이용한 화장료에 대한 연구는 미미하며 특히 자외선 차단 효과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진 바가 없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 및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 및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적 과제】
본 발명자들은 천연 자외선 흡수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개발올 위하여 예의 연구 노력하였고 그 결과 개꼬시래기 추출물이 뛰어난 자외선 A 차단 효과, 항산화 효과 및 세포 재생 효과를 가지며 피부에 안전하고 또한 화장료로서도 안정하다는 점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개꼬시래기 추출물올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기술적 해결방법】
본 발명자들은 천연 자외선 흡수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개발을 위하여 예의 연구 노력하였고 그 결과 개꼬시래기 추출물이 뛰어난 자외선 A 차단 효과, 항산화 효과 및 세포 재생 효과를 가지며 피부에 안전하고 또한 화장료로서도 안정하다는 점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개꼬시래기 (frac /ar/o s/s chorda)는 꼬시래기과의 해조류로 한국, 중국, 일본에 자생하고 있으며 특히 우리나라 남서해안의 조하대에서 많이 발견되고 있다.
상기 개꼬시래기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에 의할 수 있으며, 추출용매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용매로서, 바람직하게는 정제수, 메탄올, 에탄올, 글리세린, 에틸아세테이트,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클로로메탄 및 핵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꼬시래기 추출물은 자외선 A 흡수효과, 자외선 차단 효과, 항산화효과, 세포재생효과 및 피부에 대한 안정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천연 자외선 차단 성분으로 사용하기에 우수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개꼬시래기 추출물을 1 내지 20 증량 ¾로 함유하며, 1중량 % 이하로 함유시에는 그 효과가 미미하고 20증량 % 이상으로 함유시에는 그 효과가 크게 증가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추가로 다른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자외선 차단 효과가 증가할 수 있다. 추가로 포함되는 자외선 차단제는 당업계에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기 자외선 차단성분 또는 무기 자외선 차단성분이 있으며, 유기 자외선 차단 성분의 예로는 옥틸 메톡시 신나메이트, 옥틸 살리 레이트, 옥토크릴렌, 벤조페논ᅳ 3, 벤조페논 -4, 벤조페논 -8, 부틸 메톡시 디벤조일 메탄, 옥시 벤존, 옥틸 트리아존, 멘틸안트라닐레이트, 3, 4-메틸벤질리덴 캄파, 2-페닐벤즈이미다졸 -5—설폰산, 디소듐페닐디벤지미다졸테트라설포네이트, 이소아밀 P-메록시신나메이트 및 bis- 에틸핵실옥시페놀메록시페닐트리아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들 수 있고, 무기 자외선 차단 성분의 예로는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및 산화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ᅳ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김 추출물 또는 우뭇가사리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또한 자외선 차단성분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 예컨대, 안정화제, 용해화제, 계면활성제, 비타민, 색소 및 항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보호용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음,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를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슴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 /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를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을,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를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를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을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록실화 글리세를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개꼬시래기 추출물을 자외선 차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올 제외하고는 당업계에 통상적으로 행하여지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유리한 효과】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i ) 본 발명은 개꼬시래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Π)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자외선 A를 흡수하여 피부에 자외선이 직접 조사되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가 뛰어나며 자외선에 의한 세포막산화를 방지하고, 자외선에 의한 피부손상을 회복하는 효과가 뛰어나다.
(iii) 또한,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는 천연물질로부터 유래한 개꼬시래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므로 피부에 안전할 뿐만 아니라, 화장료로서의 안정성도 우수한 이점이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개꼬시래기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개꼬시래기 추출물의 자외선 흡수력을 나타내는 스펙트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개꼬시래기 추출물의 자외선 투과도를 확인한 스펙트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개꼬시래기 추출물과 비교제조예 1-2에서 제조한 김 추출물 및 우뭇가사리 추출물의 자외선 흡수력을 확인한 스펙트럼이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 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개꼬시래기 추출물의 세포 증식 효과, 항산화 효과 및 자외선 A흡수효과 확인
1. 개꼬시래기 추출물 (제조예 1) 및 김 및 우뭇가사리 추출물 (비교제조예 1-2)의 제조
제조예 1에 사용된 개꼬시래기 (frac//ar/o/?s/s chorda)는 전라남도 진도인근에서 채집하여 흐르는 증류수에 세척하고 55'C 건조 오븐에서 열풍 건조한 후 분쇄하여 1 圆 2 메쉬에 통과시켰다. 상기 분말 50 g에 70% 에탄올 4,950 g을 가하여 개꼬시래기 침지용액을 제조한 후 45°C 암상태에서 3시간 동안 3회 추출하였다. 상기 추출물을 20°C까지 넁각하고 0.2 II皿 와트만 여과지 (No. 5A Watman paper)로 2희 여과한 액체만 모아 회전 농축기로 용매를 완전히 제거하였다. 용매가 제거된 잔류물을 증류수 200 g에 현탁시킨 후 동량의 수화부탄올을 가하여 분획하였다. 분획하여 층이 분리되면 증류수에 녹은 수용성층만 모아 농축하여 잔류 부탄올올 제거하고 최종 개꼬시래기 추출물 50 g을 제조하였다. 비교제조예 1에 사용된 김은 농수산물도매센터에서 건조된 국내산 참김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건조된 참김 50 g을 상기 제조예 1에서 상술한 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하여 김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제조예 2에 사용된 우뭇가사리는 농수산물도매센터에서 건조된 국내산 우뭇가사리를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건조된 우뭇가사리 50 g을 상기 제조예 1에서 상술한 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하여 우뭇가사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2. 개꼬시래기 추출물의 세포증식효과 확인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개꼬시래기 추출물에 대하여 세포배양을 이용한 세포 증식 효과를 측정하였다. 또한,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화학합성 자외선차단제인 디소듐페닐디벤지이미다졸테트라설포네이트에 대해서도 같은 방법으로 세포 증식 효과를 측정하여 개꼬시래기 추출물의 세포증식효과와 비교하였다. 세포 증식 및 독성 시험은 문헌 (Mosmann T. et al. , Rapid
Color imetric Assay for Cellular Growth and Survival: Application to
Proliferation and Cytotoxicity Assays , J. Immunol . Meth. , 65 :55-63(1983))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실험하였다. 세포 증식 및 독성 시험에 사용한 배지는 10% FBSCfetal bovine serum)를 포함하는 DMEM(Dulbeco"s Modified Eagle"s Medium)에 인간 섬유모세포 세포주 (KCLB, CCD-986)를 24-웰 플레이트에 1X104 세포 의 수로 접종하여 사용하였다. 접종 24시간 후 배지를 교체하고 상기 제조예 1의 개꼬시래기 추출물과 비교실시예인 합성자외선차단제를 농도별로 첨가한 후 3일간 37°C, 5% C02 배양기 (incubator)에 배양하였으며 대조군은 배양액만 넣어주었다. 배양이 끝난 후 MTT Tetrazoli urn-based colorimetric)용액 1 /웰씩 첨가한 후 37°C , C02 배양기에서 4시간 후, 배지를 제거하고 여기에 DMS0(dimethyl sulfoxide)를 200 씩 첨가한 뒤 5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하기 계산식에 따라 세포 증식율을 계산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 , , , 추 ¾ 剩흡 도-대 군회흡광도
대조군의흡광도
【표 1】
Figure imgf000010_0001
상기 표 1에서는 세포 성장 최적 조건에서의 세포 증식 (대조군)을 100%로 하였을 때, 상기 개꼬시래기 추출물 및 합성자외선차단제에 대해 세포 증식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화학합성 자외선차단제인 디소듐페닐디벤지미다졸테트라설포네이트의 경우는 세포증식 효과가 없올 뿐 아니라 0.05% 이상의 농도에서 낮은 세포독성이 나타났다. 상기 세포 증식효과 실험으로부터 본 발명의 개꼬시래기 추출물이 세포독성이 없고 세포재생 효과가 있으며 추출물의 처리농도가 높올수록 세포 증식력도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개꼬시래기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확인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개꼬시래기 추출물에 대하여 DPPH (2,2- Diphenyl-1-picrylhydrazyl)법을 이용한 전자공여능을 측정하여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였다. 전자공여능은 자유 라디칼에 대한 전자를 공여하여 산화억제력을 나타내는 척도로 DPPH에 대한 전자공여능이 크면 높은 항산화활성 및 활성산소를 비롯한 다른 라디칼에 대한 소거작용을 기대할 수 있다. 상기 제조예 1의 개꼬시래기 추출물을 하기 표 2와 같이 회석하여 실시예 1 내지 3으로 사용하고,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항산화제인 아스코브산 (ascorbic acid)을 0.1%로 희석한 액과 자유 라디칼 소거능을 비교하였다.
【표 2】
Figure imgf000011_0001
0.2 mM DPPH 에탄올 용액 1 에 상기 표 2의 추출물 희석액을 각각 2 ml 첨가하고 실온에서 10초간 잘 흔합한 후 37°C에서 30분간 반웅시켰다. 그리고 517 nm에서 UV/VIS 분광기를 이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고 하기 계산식에 따라서 계산한 전자공여능을 하기 표 3과 도 1에 나타내었다. 전자 m 機 = -ί ~ Ώ™ 반^^^^ 흡광도 "ᅳ 蘭
【표 3】
Figure imgf000011_0002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개꼬시래기 추출물 희석액에 대한 실시예 1 내지 3의 전자공여능은 모두 68%이상으로, 매우 높은 소거능을 나타내었으며 추출물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전자공여능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실시예 3의 개꼬시래기 추출물 10¾> 희석액에서 96%의 매우 높은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어 강력한 항산화 효과가 있음을 증명하였다. 자외선은 피부 세포 내 자유라디칼을 발생시켜 세포막 산화를 촉진시키고 광노화를 일으키기 때문에 본 발명의 개꼬시래기 추출물이 자외선에 의한 광노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 개꼬시래기 추출물의 자외선 A흡수효과 확인
UV/VIS 분광기를 이용하여 자외선 파장인 260 nm 내지 400 nm 구간에서 흡광도와 투과도를 측정하여 자외선 흡수력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화학합성자외선흡수제인 디소듐페닐디벤지미다졸테트라설포네이트 100 ppm과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개꼬시래기 추출물을 100 ppm, 200 ppm, 300 ppm의 농도가 되게 정제수로 희석하여 비교하였으며 정제수를 기준선으로 하여 자외선 흡수 및 투과 스펙트럼을 측정하여 각각 도 2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2 및 도 3을 보면, 합성자외선흡수제인 디소듐페닐벤지미다졸테트라설포네이트는 334nm에서 최대흡수력을 나타내었고 개꼬시래기 추출물은 324nm에서 최대흡수력을 나타내었으며 화학합성자외선흡수제 lOOppm에 대하여 개꼬시래기 추출물 300ppm일 때 우수한 자외선흡수력을 나타내었다. 이는 본 발명의 추출물이 천연물인 것을 감안할 때 매우 우수한 결과로 판단된다. 자외선 투과율을 보면 300-350nm 사이의 자외선 파장에서 개꼬시래기 추출물이 20%이상 자외선 투과를 억제하였으며 특히 300ppm농도의 추출물에서는 80%이상의 우수한 자외선 투과억제를 나타내었다. 또한, 개꼬시래기 이외의 다른 흥조류 추출물로서 비교제조예 1-2에서 제조한 김 추출물 및 우뭇가사리 추출물을 동일 농도로 희석한 것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흡수스펙트럼을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를 보면, 동일 농도일 때 다른 흥조류 추출물보다 개꼬시래기 추출물이 더 우수한 자외선 흡수력올 나타내었으며 특정 파장 뿐 아니라 자외선 전 영역에서 넓은 흡수스펙트럼을 나타냄으로써 다른 흥조류 추출물보다 뛰어난 자외선 차단 효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개꼬시래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 로션의 제조 및 이의 피부에 대한 자외선 차단 효과 확인, 피부에 대한 안전성 시험, 화장료 성상 안정성 시험
1. 개꼬시래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 로션의 제조 하기 표 4에 기재된 성분 및 조성으로,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개꼬시래기 추출물을 각각 5.0, 10.0, 15.0 중량 %로 함유하는 자외선차단 로션 (실시예 4 내지 6) 및 이를 함유하지 않는 통상적인 자외선 차단 로션 (비교실시예 1)과 상기 비교제조예 1-2에서 제조한 김 추출물 및 우뭇가사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 로션 (각각 비교실시예 2 및 비교실시예 3)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인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따라, 성분 1 내지 16과 성분 20을 차례로 넣고 70°C로 승은하여 용해, 유화한 후 실온으로 넁각하고 성분 17의 제조예 1을 첨가하고, 교반 (agitation)하여 제조하였다.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예 1 대신 성분 18 또는 성분 19를 첨가하여 비교실시예 2 및 3을 제조하였다.
【표 4】
Figure imgf000013_0001
(단위 중량 ¾)
2. 피부에 대한자외선 차단효과 확인 상기 표 4의 실시예 4 내지 6 및 비교실시예 1의 자외선 차단 로션을 인체에 적용하여 이들의 자외선 A 차단지수를 평가하였다. 시험방법은 화장품법 제 9조 및 같은 법 시행규칙 제 6조의 규정에 의한 자외선차단효과측정방법 및 기준에 따라 수행하였다.
하기의 표 5의 판정기준에 따라 최소지속형즉시혹화량을 판정하고 그 판정 값을 이용하여 자외선 A 차단지수 (PEA)를 계산하였으며 산출 방법은 하기 계산식과 같다. 또한, 계산된 자외선 A 차단지수를 이용하여 표 6에 따라 자외선 A 차단 등급을 분류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판정결과를 표 7에 나타내었다.
PP^= AI M 최^逾; tf 龜 ¾ i纖匪!
【표 5】
Figure imgf000014_0001
【표 6】
Figure imgf000014_0002
【표 7】
Figure imgf000014_0003
실시예 4 4 PA++ 많이 Λλᄆ 실시예 5 5 PA++ 많이 이 Λ 으ᄆ 실시예 6 5 PA++ 많이 이으
ᄆ 상기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개꼬시래기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는 비교실시예 1은 차단 효과는 있으나 차단정도가 낮았던 반면 (ΡΑ+), 본 발명의 개꼬시래기 추출물이 함유된 실시예 4 내지 실시예 6은 자외선 A 차단효과가 많이 상승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PA++). 한편, 개꼬시래기 추출물의 함량에 따른 효과의 차이는 크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3. 피부에 대한 안전성 시험
피부 1차 자극성 시험 건강한 성인남녀 10명을 대상으로 하박부 안쪽에 상기 제조예 1의 개꼬시래기 추출물, 디소듬페닐디벤지미다졸테트라설포네이트 및 표 4의 비교실시예 1 및 실시예 4 내지 6을 일정량 (약 0.2 m«을 첩포 시험용 핀 챔버에 묻혀 48시간 첩포한 후 핀 챔버를 제거하고 30분 경과 후 피부 변화 상태를 육안 판정하며 하기 표 8의 판정기준에 따라 그 결과를 표 9에 나타내었다.
【표 8】
Figure imgf000015_0001
•Modified by Frosch & Kligman, 미국화장품협회 (CTFA) 규격
【표 9】
Figure imgf000015_0002
표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개꼬시래기 추출물은 피부 자극을 전혀 나타내지 않았으나 현재까지 화장료에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수용성 자외선 A 홉수제인 디소듬페닐디벤지미다졸테트라설포네이트는 가려움을 동반한 중간정도의 피부 자극을 나타내었다.
4. 화장료에 대한 안정성 시험
상기 표 4의 화장료 조성 중 개꼬시래기 추출물을 5내지 15¾ 함유시킨 실시예 4 내지 6과 비교실시예 1 및 각각 김 및 우뭇가사리 추출물을 함유시킨 비교실시예 2 내지 3에 대하여 화장품으로서 보존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2주간 온도별 변화에 따른 성상 안정성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표 10에 나타내었다.
【표 10]
Figure imgf000016_0001
화장료 성상 안정성을 평가한 결과 본 발명의 추출물 5%를 함유시킨 실시예 4에서 성상 안정성이 가장 높게 나타나 화장료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고 사료된다. 동일 농도로 비교실시예 2 내지 3을 함유시켜 제조한 것 보다 개꼬시래기 추출물을 함유한 실시예 2 및 비교실시예 4 내지 5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가 변색 및 변취가 월등히 적은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는 같은 흥조류에 속하는 김 또는 우뭇가사리보다 본 발명의 개꼬시래기 추출물이 화장료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고 사료된다.

Claims

【특허청구범위】
【청구항 1】
개꼬시래기 추출 1: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청구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개꼬시래기 추출물을 0.1 내지 30 중량 %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청구항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김 추출물 또는 우뭇가사리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청구항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자외선 흡수영역이 장파자외선 (자외선 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청구항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자외선차단 로션, 자외선차단 크림, 자외선차단 유액 또는 자외선차단 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청구항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대상체 (subject)의 피부에 국소적으로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 방법.
PCT/KR2010/006338 2010-05-12 2010-09-16 개꼬시래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WO2011142507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0851458.9A EP2570114A4 (en) 2010-05-12 2010-09-16 ANTI-UV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GRACILARIOPSIS CHORDA EXTRAC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4593A KR101148978B1 (ko) 2010-05-12 2010-05-12 개꼬시래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0-0044593 2010-05-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142507A1 true WO2011142507A1 (ko) 2011-11-17

Family

ID=44914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0/006338 WO2011142507A1 (ko) 2010-05-12 2010-09-16 개꼬시래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2570114A4 (ko)
KR (1) KR101148978B1 (ko)
WO (1) WO20111425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3396B1 (ko) * 2012-02-15 2014-06-11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개꼬시래기 아임계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제
KR101706817B1 (ko) * 2014-04-18 2017-02-16 지수진 무청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및 항산화를 위한 동물사료 조성물
KR20160063002A (ko) 2014-11-26 2016-06-03 코웨이 주식회사 호두 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63046A (ko) 2014-11-26 2016-06-03 코웨이 주식회사 테우크리움 스코로도니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62981A (ko) 2014-11-26 2016-06-03 코웨이 주식회사 서양산사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2443A (ko) 1993-10-29 1995-05-16 김광호 미니 디스크의 시간환산방법
KR100428817B1 (ko) * 2001-05-24 2004-04-28 김원규 자외선 차단 및 슬리밍 효과를 가지는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KR20060050782A (ko) 2004-08-31 2006-05-19 엔티티 도꼬모 인코퍼레이티드 이메일 멀티캐스팅 장치
KR20060088347A (ko) 2005-02-01 2006-08-04 나드리화장품주식회사 자외선 흡수성 화장료 조성물
KR100793081B1 (ko) * 2006-11-20 2008-01-10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꼬시래기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820291B1 (ko) * 2006-11-10 2008-04-07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발효된 해조류의 상등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액응고억제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20080226740A1 (en) * 2007-03-14 2008-09-18 National Taiwan Ocean University Marine algal extracts comprising marine algal polysaccharides of low degree polymerizaton, and the preparation processes and uses thereof
KR20100021266A (ko) * 2008-08-14 2010-02-24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외선 차단효능을 가진 디에콜을 함유한 감태 추출물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68979B2 (ja) * 1994-03-01 2004-09-22 御木本製薬株式会社 日焼け防止用化粧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H11116937A (ja) * 1997-10-13 1999-04-27 Sariensu:Kk 紅藻からの紫外線吸収物質の製造方法
JPH11116458A (ja) * 1997-10-15 1999-04-27 Lion Corp 皮膚外用剤組成物
JP2003104865A (ja) 2001-07-25 2003-04-09 Noevir Co Ltd 皮膚外用剤
AU2003223852A1 (en) * 2002-02-28 2003-09-09 Wolf-Dieter Juelich Micro/nanoparticle obtained from lipid-containing marine organisms for use in pharmaceutics and cosmetics
CN1767840A (zh) * 2003-03-31 2006-05-03 独立行政法人产业技术总合研究所 自身免疫的增强方法
JP4634769B2 (ja) * 2004-10-04 2011-02-16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美白効果向上剤、その製造方法、それを用いた美白剤組成物及びそ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JP4634768B2 (ja) 2004-10-04 2011-02-16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皮膚老化防止効果向上剤、その製造方法、それを用いた皮膚老化防止用組成物及びそ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JP4604240B2 (ja) * 2004-10-04 2011-01-05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光阻害免疫能力回復剤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040393B1 (ko) * 2008-08-04 2011-06-09 (주)아모레퍼시픽 해조류 섬유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2443A (ko) 1993-10-29 1995-05-16 김광호 미니 디스크의 시간환산방법
KR100428817B1 (ko) * 2001-05-24 2004-04-28 김원규 자외선 차단 및 슬리밍 효과를 가지는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KR20060050782A (ko) 2004-08-31 2006-05-19 엔티티 도꼬모 인코퍼레이티드 이메일 멀티캐스팅 장치
KR20060088347A (ko) 2005-02-01 2006-08-04 나드리화장품주식회사 자외선 흡수성 화장료 조성물
KR100820291B1 (ko) * 2006-11-10 2008-04-07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발효된 해조류의 상등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액응고억제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793081B1 (ko) * 2006-11-20 2008-01-10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꼬시래기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US20080226740A1 (en) * 2007-03-14 2008-09-18 National Taiwan Ocean University Marine algal extracts comprising marine algal polysaccharides of low degree polymerizaton, and the preparation processes and uses thereof
KR20100021266A (ko) * 2008-08-14 2010-02-24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외선 차단효능을 가진 디에콜을 함유한 감태 추출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MOSMANN T. ET AL.: "Rapid Colorimetric Assay for Cellular Growth and Survival: Application to Proliferation and Cytotoxicity Assays", J. IMMUNOL. METH., vol. 65, 1983, pages 55 - 63
See also references of EP2570114A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70114A1 (en) 2013-03-20
EP2570114A4 (en) 2014-04-16
KR101148978B1 (ko) 2012-05-22
KR20110125058A (ko) 2011-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47949B1 (en) Method of selecting antioxidants for use in topically applied compositions
WO2006077433A1 (en) Sunscreen compositions comprising carotenoids
KR102128974B1 (ko) 여주, 감나무잎 및 비단풀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48978B1 (ko) 개꼬시래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28591B1 (ko) 해양 홍조류 추출 혼합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13033833A1 (en) Topical composition with enhanced photoprotection properties
KR102015300B1 (ko) 개다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흡수 또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38742B1 (ko) 안토시아닌을 함유한 자외선 차단효능을 갖는 화장품 조성물
KR20130066773A (ko) 에칠페롤레이트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36202A (ko) 옥수수 속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CN103415498A (zh) 苯亚甲基取代的2,4-戊二酮化合物和其作为稳定剂的应用
KR20130075962A (ko) 돌외추출물을 함유한 피부 진정 자외선 차단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CN108498363A (zh) 防紫外线功效得到提高的spf增强剂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2087976B1 (ko) 물푸레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31289B1 (ko) 플랑크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08582B1 (ko)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CN102885717A (zh) 抗衰老、美容护肤的防晒霜
KR101601777B1 (ko) 자외선차단제의 광안정성 개선용 말채나무잎추출물 및 이를 함유한 자외선차단 기능성 화장료조성물
KR20010018657A (ko) 괴화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ES2420514B1 (es) Formulaciones y extractos de Erica erigena para luchar contra el envejecimiento cut�neo
KR102668351B1 (ko) 자외선 차단제
KR102668350B1 (ko) 자외선 차단제
KR102668352B1 (ko) 천연추출물로 제조한 자외선 차단제
KR102172928B1 (ko) 정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 효과가 증가된 화장료 조성물
KR20160036198A (ko) 초피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085145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0851458

Country of ref document: E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