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8591B1 - 해양 홍조류 추출 혼합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해양 홍조류 추출 혼합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8591B1
KR101128591B1 KR1020090066729A KR20090066729A KR101128591B1 KR 101128591 B1 KR101128591 B1 KR 101128591B1 KR 1020090066729 A KR1020090066729 A KR 1020090066729A KR 20090066729 A KR20090066729 A KR 20090066729A KR 101128591 B1 KR101128591 B1 KR 1011285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extract mixture
red algae
sunscreen
algae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6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9361A (ko
Inventor
설장호
김동호
이영희
고재건
김동현
이호준
임남훈
김명화
양지산
전용석
김서환
이광옥
박은경
박상희
정원순
이미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데나
보령메디앙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데나, 보령메디앙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데나
Priority to KR1020090066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8591B1/ko
Publication of KR20110009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93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8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85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17Rhodophycota or Rhodophyta [red algae], e.g. Porphy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61K36/04Rhodophycota or rhodophyta (red algae), e.g. Porphy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1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culturing conditions, e.g. cultivation in the dark or under defined water str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양 홍조류 추출 혼합물을 자외선 흡수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자외선A를 흡수하여 피부에 자외선이 직접 조사되는 것을 억제하고 자외선에 의한 산화를 방지하고 세포재생을 통하여 피부손상을 회복시키는 작용효과를 나타낸다.
참김, 우뭇가사리, 자외선흡수, 자외선 차단, 광노화

Description

해양 홍조류 추출 혼합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Marine red algae extract mixture and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자외선A 차단 효과를 가지는 해양 홍조류 추출 혼합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자외선은 태양에서 발산되는 400nm이하의 파장을 가지는 광선으로 장파자외선(UV-A; 320~400nm), 중파자외선(UV-B; 280-320nm), 단파자외선(UV-C; 200-280nm)로 나누어지며 이들은 피부에 광생물학적 반응을 일으켜 일광화상, 색소침착, 광노화, 피부암 등을 유발하며 파장에 따라 다양한 피부손상을 유발한다.
단파자외선(UV-C)은 살균작용 및 세포사멸을 일으키나 대부분 오존층에서 흡수되어 피부에 도달하기 어렵고 중파자외선(UV-B)는 표피 기저층과 진피상부까지 도달하여 피부각화를 지속시켜고 홍반, 수포 등의 일광화상과 색소침착을 유발하며 세포막손상, 피부암을 유발한다. 특히 장파자외선(UV-A)은 진피까지 도달함으로써 즉각적인 색소침착과 지연홍반, 광독성, 광알레르기반응, 유리기(Free radical)생성으로 인한 만성적 광노화, 진피의 탄력섬유와 교원섬유를 변성시켜 피부의 탄력을 감소시키고 주름, 피부위축 현상을 유발한다. 따라서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 호하기 위해서는 자외선 차단제의 사용이 필수적이다.
종래의 자외선 차단제는 크게 화학적 차단제인 자외선 흡수제와 물리적 차단제인 자외선 산란제로 나누어진다. 자외선 흡수제는 자외선을 흡수하여 피부에 자외선이 직접 조사되는 것을 억제하는 작용을 하며, 벤조페논, 메틸안트라닐산염, 파라아미노안식향산 유도체, 파라메톡시계피산 유도체, 살리실산 유도체 등과 같은 합성 흡수제가 사용되며, 이러한 합성 흡수제는 피부자극 및 피부독성의 부작용이 크다. 자외선 산란제는 피부 표면에서 자외선을 산란, 반사시켜 피부내로 자외선이 침투되지 못하게 차단하는 작용을 하며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마이카, 탈크, 카올린 등의 분말형태가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자외선 산란제의 경우 피부에 잔류하여 피부에 자극을 일으키고 제형 내에서 분산 및 용해가 어려워 피부에 도포시 하얗게 자국이 남는 백태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또한, 피부 도포시 사용감이 나쁜 단점이 있다. 이러한 자외선 차단제들은 대부분이 화학합성물질로 피부자극과 부작용이 매우 크기 때문에 피부자극과 부작용이 적은 천연 자외선 차단제의 필요성이 절실하다.
천연물로부터 분리된 자외선 차단 물질은 대부분이 자외선 흡수물질로써 자극이 적고 항염, 수렴, 항균 등의 약리작용을 포함하고 있어 이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그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5-0012443에는 자외선 흡수 기능을 갖는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가 개시 된 바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88347에는 녹차 및 회향추출물을 포함하여 자외선 흡수성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된 바 있었다. 하지만 종래의 천연 자외선 차단제는 그 종류가 적 고 효과가 미미하여 화장품에 응용되는 예는 많지 않았다.
본 발명자들 역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하기 적합한 성분을 찾기 위하여 다양한 천연재료들을 검색한 결과 참김과 우뭇가사리의 홍조류 추출 혼합물이 UV-A 흡수제로서 우수한 효과를 나타냄을 발견하였다.
참김(Porphyra tenera)은 홍조식물 보라털과 김속의 홍조류로 요오드, 칼슘, 철분, 비타민A, 비타민 B1,B2 등을 다량 함유하고 있고 단백질을 30-40% 함유하고 있으며 특히 필수아미노산인 발린, 메티오닌, 페닐알라닌, 트립토판 등을 다량 함유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91880에 김의 기능성 물질 추출방법이 공개된 바 있으나 자외선 차단 효과와는 무관한 것이었다. 지금까지 알려진 참김에 대한 연구는 양식과 식품제조방법에 대한 것이 대부분으로, 현재까지 참김의 자외선 차단 효과 및 화장료에의 적용에 대하여는 알려진 바 없었다.
우뭇가사리(Gelidium amansii)는 홍조식물 우뭇가사리과의 홍조류로 대부분이 섬유소와 한천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천연색소와 미네랄, 비타민을 함유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33480에는 생약성분을 함유하는 우뭇가사리 가공식품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57021 우뭇가사리로부터 얻은 지방세포 분화 저해용 활성분획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며, 그밖에 다양한 식품 가공품과 펄프에 대한 기술이 알려져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우뭇가사리의 자외선 차단효과 및 화장료에의 적용에 대하여는 알려진 바 없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참김과 우뭇가사리의 추출 혼합물이 우수한 UV-A 흡수력을 가짐과 동시에 항산화력과 세포재생력이 뛰어난 점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뛰어난 자외선A 차단효과, 항산화효과, 세포 재생 효과 및 피부 안전성을 나타내는 천연 자외선 흡수성분을 함유하는 해양 홍조류 추출 혼합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우수한 자외선A 차단효과, 항산화효과, 세포재생효과 및 피부에 대한 안전성을 나타내는 참김(Porphyra tenera)과 우뭇가사리(Gelidium amansii)의 해양 홍조류 추출 혼합물 및 이를 천연 자외선 차단제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해양 홍조류 추출 혼합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자외선 차단크림, 자외선차단로션, 애프터썬로션 등을 들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우수한 자외선A 차단효과, 항산화효과, 세포재생효과 및 피부에 대한 안전성을 나타내는 참김과 우뭇가사리의 해양 홍조류 추출 혼합물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참김과 우뭇가사리의 (해양 홍조류) 추출 혼합물”은 참김과 우뭇가사리의 단일 추출물의 혼합물 뿐 아니라 참김과 우뭇가사리를 혼합한 후 추출한 것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참김과 우뭇가사리의 추출 혼합물은 각각으로부터 단일 추출물을 제조한 후 혼합하거나, 각각의 식물을 혼합한 후 추출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참김과 우뭇가사리의 추출 혼합물의 제조방법으로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추출용매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용매로서, 바람직하게는 정제수, 메탄올, 에탄올, 글리세린, 에틸아세테이트,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클로로메탄 및 헥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참김과 우뭇가사리의 추출 혼합물의 배합비율은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에 기초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참김 추출물 대 우뭇가사리 추출물의 비율은 80:20 내지 20:80(중량/중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0:60 내지 20:80(중량/중량)이다.
본 발명의 참김과 우뭇가사리의 추출 혼합물은 자외선A 흡수효과, 자외서 차단 효과, 항산화효과, 세포재생효과, 피부에 대한 안정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천연 자외선 차단제로 사용된다.
본 발명은 참김과 우뭇가사리의 추출 혼합물을 천연 자외선 차단제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참김과 우뭇가사리의 추출 혼합물을 1 내지 30 중량%로 함유하며, 1중량% 이하로 함유시에는 그 효과가 미미하고 30중량% 이상으로 함유시에는 그 효과가 크게 증가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추가로 다른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자외선 차단 효과가 증가할 수 있다. 추가로 포함되는 자외선 차단제는 당업계에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기 자외선 차단성분 또는 무기 자외선 차단성분이 있으며, 유기 자외선 차단 성분의 예로는 옥틸 메톡시 신나메이트, 옥틸 살리실레이트, 옥토크릴렌, 벤조페논-3, 벤조페논-4, 벤조페논-8, 부틸 메톡시 디벤조일 메탄, 옥시 벤존, 옥틸 트리아존, 멘틸안트라닐레이트, 3,4-메틸벤질리덴 캄파, 2-페닐벤즈이미다졸-5-설폰산, 디소듐페닐디벤지미다졸테트라설포네이트, 이소아밀 p-메톡시신나메이트 및 bis-에틸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들 수 있고, 무기 자외선 차단 성분의 예로는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및 산화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또한 자외선 차단성분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 예컨대,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항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제형, 예컨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선크림, 유연 화장수, 수렴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참김과 우뭇가사리의 추출 혼합물을 자외선 차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당업계에 통상적으로 행하여지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참김과 우뭇가사리의 해양 홍조류 추출 혼합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자외선 A를 흡수하여 피부에 자외선이 직접 조사되는 것을 차단하는 효과가 뛰어나며 자외선에 의한 세포막 산화를 억제하고, 피부손상을 회복하는 효과가 뛰어나며, 피부에 대하여 우수한 안전성을 가진다.
본 발명에 사용된 참김과 우뭇가사리의 해양 홍조류 추출 혼합물과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는 하기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1] 참김 추출물의 제조
전라남도 해양바이오연구원에서 참김을 분양받아 광생물반응기(Photobioreactor)에서 보라색 발광 다이오드(violet LED)를 사용하여 1일 1시간씩 자외선 흡수물질 축적을 유도하며 대량 증식시키고 이를 동결 보존하였다.
동결된 참김 100g을 분쇄한 후 80% 에탄올 4900g을 가하여 참김 용액을 제조한 후 4℃ 암상태에서 12시간 침지 시키고 45℃에서 3시간 동안 3회 초음파 추출하였다. 상기 추출물을 0.2mm 와트만 여과지(watman paper)로 2회 여과 후 회전 농축기로 용매를 완전히 제거하고 증류수 200g에 녹인 후 동량의 수화부탄올을 가하여 지용성층(녹색)과 수용성층(붉은색)으로 분리시켰다. 붉은색의 수용성층만 모아 잔류 부탄올을 제거하여 최종 참김 추출물 용액 100g 을 제조하였다.
[제조예2] 우뭇가사리 추출물의 제조
농수산물도매센터에서 건조된 국내산 우뭇가사리를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동결건조된 참김 대신 상기 건조된 우뭇가사리 100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제조예1과 같은 방법으로 우뭇가사리 추출물 용액 100g 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내지 4] 홍조류 추출 혼합물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의 참김 추출물 용액 및 제조예 2의 우뭇가사리 추출물 용액을 하기 표 1에 기재된 비율로 혼합하여 실시예 1 내지 4의 홍조류 추출 혼합물를 제조하였다.
[표1]
Figure 112009044639379-pat00001
[실시예 5 내지 7] 홍조류 추출 혼합물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 로션의 제조
하기 표2에 기재된 성분 및 조성으로,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한 홍조류 추출 혼합물을 각각 5.0, 10.0, 15.0 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 로션(실시예 5 내지 7), 및 이를 함유하지 않는 통상적인 자외선 차단 로션 (대조예)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인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따라, 성분 1 내지 16과 성분 18을 차례로 넣고 70℃로 승온하여 용해, 유화한 후 실온으로 냉각하고 성분 17의 실시 예 3을 첨가하고, 교반(agitation)하여 제조하였다. 대조예는 성분 17을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표2]
Figure 112009044639379-pat00002
[실험예 1] 홍조류 추출 혼합물의 세포증식효과 확인
실시예 1 내지 4 에서 제조된 홍조류 추출 혼합물에 대하여 세포배양을 이용하여 세포 증식 효과를 측정하였다.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참김 단일 추출물 및 제조예 2에서 제조된 우뭇가사리 단일 추출물을 각각 비교예 1 및 2로 사용하고,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화학합성 자외선차단제인 디소듐페닐디벤지미다졸테트라설포네이트를 비교예 3으로 하여 세포 증식 효과를 측정하였다. 세포 증 식 및 독성 시험은 다음 문헌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실험하였다 [Mosmann, T., Rapid Colorimetric Assay for Cellular Growth and Survival: Application to Proliferation and Cytotoxicity Assays. J. Immunol. Meth. 1983, 65, 55-63]. 세포 증식 및 독성 시험에 사용한 배지(Medium)는 10% FBS(fetal bovine serum)를 포함하는 DMEM(Dulbeco"s Modified Eagle"s Medium)에 Human fibroblast cell line(KCLB, CCD-986)을 24well plate에 1X105cells/ml의 농도로 접종(Seeding)하여 사용하였다. 접종 24시간 후 배지를 교체하고 비교예 1 및 2의 단일추출물, 비교예 3의 화학합성 자외선차단제, 및 실시예 1 내지 4의 홍조류 추출 혼합물을 농도별로 첨가한 후 3일간 37℃, 5% CO2 배양기(incubator)에 배양하였다. MTT(Tetrazolium-based colorimetric)용액 1ml/well씩 첨가한 후 37℃, CO2 배양기에서 4시간 후, Media를 제거하고 여기에 DMSO(dimethylsulfoxide)를 200㎕씩 첨가한 뒤 5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하기 계산식에 따라 세포 증식율을 계산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9044639379-pat00003
[표3]
Figure 112009044639379-pat00004
상기 표3에서는 세포 성장 최적 조건에서의 세포 증식(대조군)을 100%로 하였을 때, 상기 비교예1 내지 3 및 실시예1 내지 4의 세포 증식율을 나타내었다. 홍조류의 추출물의 경우 모두 세포 증식 효과를 나타내었다. 화학합성 자외선차단제인 디소듐페닐디벤지미다졸테트라설포네이트(비교예 3)은 0.3% 이상의 농도에서 세포독성을 나타내는 것이 확인되었다. 상기 세포 증식효과 실험으로부터 본 발명의 홍조류 추출 혼합물이 세포독성이 없이 안전하고 세포재생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3의 추출 혼합물에서 가장 높은 세포 증식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홍조류 추출혼합물의 항산화 효과 확인
상기 비교예 1 내지 2, 화학합성 자외선차단제인 디소듐페닐디벤지미다졸 테트라설포네이트, 및 실시예 1 내지 4에 대하여 DPPH (2,2-Diphenyl-1- picrylhydrazyl) 법을 이용하여 자유라디칼(Free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하여 항산 화 효과를 확인하였다. 0.1mM DPPH 에탄올 용액 1.9ml에 각각 비교예 1 내지 2, 디소듐페닐디벤지미다졸 테트라설포네이트, 및 실시예 1 내지 4를 0.1㎖ 첨가하고 실온에서 잘 교반하고 37℃에서 30분간 반응시켰다. 그리고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하기 계산식에 따라서 자유라디칼 소거능(전자공여능)을 표 4 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9044639379-pat00005
[표4]
Figure 112009044639379-pat00006
상기 표 4 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홍조류 추출 혼합물은 비교예 1 및 2의 단일 추출물에 비하여 10% 이상 우수한 자유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특히 실시예 3의 추출 혼합물에서 가장 높은 자유라디칼 소거능이 확인되었다. 한편, 디소듐페닐디벤지미다졸테트라설포네이트는 자유라디칼 소거능이 거의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자외선에 의해 생겨나는 자유라디칼은 피부세포의 세포막을 산화시켜 광노화를 일으키기 때문에 본 발명의 홍조류 추출 혼합물에 의하면 자외선에 의한 광노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자외선A 흡수효과 확인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자외선 파장인 260nm-400nm구간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실시예 1 내지 4의 홍조류 추출 혼합물, 비교예 1의 참김의 단일 추출물, 비교예 2의 우뭇가사리의 단일 추출물, 및 화학합성 자외선차단제인 디소듐페닐디벤지미다졸테트라설포네이트의 자외선 흡수력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화학합성 자외선차단제, 비교예 및 실시예를 정제수로 희석하여 0.02% 수용액을 만들고 정제수를 기준선으로 하여 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 최대 흡수파장인 330-340nm에서의 흡광도를 하기 표 5 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내지 4는 비교예 1 내지 2 보다 높은 자외선 흡수력을 나타냈으며, 실시예 3 내지 4는 화학합성 자외선차단제 보다 우수한 자외선 흡수력을 나타냈다.
[표5]
Figure 112009044639379-pat00007
[실험예 4] 태양광 조건에서의 자외선 광량 흡수효과 확인
실시예 3, 이를 증류수로 희석한 5% 희석액, 및 디소듐페닐디벤지미다졸테트라설포네이트 (Neohelipan APTM) 2% 희석액에 대하여 태양광을 이용하여 태양광의 광세기 조건에서 자외선 영역의 광량 투과정도를 멀티포트 솔라 시뮬레이 터(Multiport Solar Simulato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시료가 없는 투명막 상태(Blank)와, 실시예 3, 실시예 3의 5% 희석액 및 Neohelipan AP 2% 희석액의 각 0.1ml의 시료를 투명막에 도포하고 태양광 조건하에서 자외선 투과량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투과된 자외선 광량이 적을수록 시료가 자외선을 많이 흡수하였음을 나타낸다.
[실험예 5] 자외선 차단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 5 내지 7 및 대조예의 자외선 차단 로션을 인체에 적용하여 이들의 자외선A 차단지수를 평가하였다. 시험방법은 화장품법 제9조 및 같은 법 시행규칙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자외선차단효과측정방법 및 기준에 따라 수행하였다.
하기의 판정기준에 따라 최소지속형즉시흑화량을 판정하고 그 판정 값을 이용하여 자외선 A 차단지수(PFA)를 계산하였으며 산출 방법은 하기 계산식과 같다.
또한, 계산된 자외선 A 차단지수를 이용하여 자외선 A차단 등급을 분류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판정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9044639379-pat00008
Figure 112009044639379-pat00009
Figure 112009044639379-pat00010
[표6]
Figure 112009044639379-pat00011
상기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발명의 홍조류 추출 혼합물을 함유하지 않는 대조예는 낮은 자외선 차단효과를 나타낸 반면 (PA+), 본 발명의 홍조류 추출 혼합 물이 함유된 실시예 5 내지 실시예 7은 대조예에 비하여 상승된 자외선A 차단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PA++). 한편, 홍조류 추출 혼합물의 함량에 따른 효과의 차이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6 ] 피부에 대한 안전성 시험
피부 1차 자극성 시험 건강한 성인남녀 10명을 대상으로 하박부 안쪽에 디소듐페닐디벤지미다졸테트라설포네이트, 비교예 1 및 2의 단일추출물과 실시예 1 내지 4의 홍조류 추출혼합물 일정량(약 0.2ml)을 첩포 시험용 핀 챔버에 묻혀 48시간 첩포한 후 핀 챔버를 제거하고 30분 경과 후 피부 변화 상태를 육안 판정하며 판정기준에 따라 그 결과를 표 7 및 도 2 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9044639379-pat00012
[표7]
Figure 112009044639379-pat00013
도 2 에 나타난 바와 같이, 현재 화장료에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수용성 자외선A 흡수제인 디소듐페닐디벤지미다졸테트라설포네이트는 중간정도의 피부 자극을 나타내나, 본 발명의 홍조류 추출 혼합물은 피부 자극을 전혀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1은 본 발명의 해양 홍조류 추출 혼합물의 태양광 조건 하 자외선 광량 흡수효과를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홍조류 추출 혼합물의 피부에 대한 안전성 효과를 확인한 사진이다.

Claims (11)

  1. 참김 및 우뭇가사리의 홍조류 추출 혼합물을 자외선 차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홍조류 추출 혼합물의 참김 대 우뭇가사리의 비율이 80:20 내지 20:80 인 화장료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홍조류 추출 혼합물의 참김 대 우뭇가사리의 비율이 40:60 인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홍조류 추출 혼합물의 참김, 우뭇가사리 또는 이들 모두가 광생물반응기(Photobioreactor)와 발광다이오드(LED)를 이용하여 배양되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홍조류 추출 혼합물이 정제수,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글리세린, 에틸아세테이트,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클로로메탄 및 헥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를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추출된 화장료 조성물.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참김과 우뭇가사리의 추출 혼합물을 1 내지 30 중량%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자외선 흡수영역이 장파자외선(자외선A)인 화장료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자외선차단 로션, 자외선차단 크림, 자외선차단 유액 또는 자외선차단 젤인 화장료 조성물.
KR1020090066729A 2009-07-22 2009-07-22 해양 홍조류 추출 혼합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285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6729A KR101128591B1 (ko) 2009-07-22 2009-07-22 해양 홍조류 추출 혼합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6729A KR101128591B1 (ko) 2009-07-22 2009-07-22 해양 홍조류 추출 혼합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361A KR20110009361A (ko) 2011-01-28
KR101128591B1 true KR101128591B1 (ko) 2012-03-23

Family

ID=43615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6729A KR101128591B1 (ko) 2009-07-22 2009-07-22 해양 홍조류 추출 혼합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859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60567A1 (fr) 2016-09-30 2018-04-05 Societe D'exploitation De Produits Pour Les Industries Chimiques Seppic Procédé pour empêcher ou ralentir l'apparition des signes inesthétiques générés par les agents polluants présents dans l'atmosphère sur la peau, le cuir chevelu, les cheveux ou les muqueuses
KR101981428B1 (ko) 2018-04-19 2019-05-22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재생용 약학적 조성물
WO2020175754A1 (ko) * 2019-02-27 2020-09-03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잇바디 돌김에서 추출, 분리한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피부재생용 약학적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0559B1 (ko) * 2012-03-09 2014-04-30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참갈고리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에 의한 인간 피부세포의 세포사멸 억제용 조성물
KR102408582B1 (ko) * 2015-07-02 2022-06-1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67528B1 (ko) * 2020-01-20 2022-02-24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조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2:MARINE ENVIRONMENTAL RESEARCH*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60567A1 (fr) 2016-09-30 2018-04-05 Societe D'exploitation De Produits Pour Les Industries Chimiques Seppic Procédé pour empêcher ou ralentir l'apparition des signes inesthétiques générés par les agents polluants présents dans l'atmosphère sur la peau, le cuir chevelu, les cheveux ou les muqueuses
KR101981428B1 (ko) 2018-04-19 2019-05-22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재생용 약학적 조성물
WO2020175754A1 (ko) * 2019-02-27 2020-09-03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잇바디 돌김에서 추출, 분리한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피부재생용 약학적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361A (ko) 2011-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8591B1 (ko) 해양 홍조류 추출 혼합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51623B1 (ko) 스피루리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WO2022187271A1 (en) Gadusol and gadusporine compound formulations for topicals
KR100992088B1 (ko) 자외선 차단 효과를 제공하는 천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1148978B1 (ko) 개꼬시래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102384A (ko) 탄화 처리된 황칠 추출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및 블루라이트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38742B1 (ko) 안토시아닌을 함유한 자외선 차단효능을 갖는 화장품 조성물
KR20120083895A (ko) 필란투스 니루리의 추출물
Soule et al. Ultraviolet photoprotective compounds from cyanobacteria in biomedical applications
KR101050613B1 (ko) 항산화 효과와 항주름 및 보습 효과를 가지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00042181A (ko) 대황 및 황련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보호용화장료 조성물
JP2004238519A (ja) 抗酸化作用と紫外線吸収作用を有する抽出物、皮膚外用剤及び食品
KR100898307B1 (ko) 피부 노화를 억제하여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CN103415498A (zh) 苯亚甲基取代的2,4-戊二酮化合物和其作为稳定剂的应用
KR102031289B1 (ko) 플랑크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98308B1 (ko)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98532B1 (ko) 추출 수율 및 미네랄 함량이 증진된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101618595B1 (ko) 토마티딘을 함유하는 미숙 토마토 분해물 제조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075962A (ko) 돌외추출물을 함유한 피부 진정 자외선 차단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076722B1 (ko) 매화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1550309B1 (ko) 미숙 토마토 발효물을 함유하는 항노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090026826A (ko)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2067698B1 (ko) 가공한 인삼 및 녹차에서 추출한 다당체를 함유하는 미백용 및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KR20010018657A (ko) 괴화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113474A (ko) 폴리페놀계 포도 추출물 및 그 추출물을 포함한 화장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