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6722B1 - 매화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매화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6722B1
KR102076722B1 KR1020180044683A KR20180044683A KR102076722B1 KR 102076722 B1 KR102076722 B1 KR 102076722B1 KR 1020180044683 A KR1020180044683 A KR 1020180044683A KR 20180044683 A KR20180044683 A KR 20180044683A KR 102076722 B1 KR102076722 B1 KR 1020767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m
ethanol
extract
bud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4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1120A (ko
Inventor
문연자
우원홍
김단희
복영옥
조상은
Original Assignee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주)뷰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주)뷰인스 filed Critical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44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6722B1/ko
Publication of KR20190121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11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6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67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화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매화 꽃봉오리를 100% 에탄올로 추출하여 제조되는 항산화, 주름개선 및 보습 기능이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매화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s With Prunus mume Extracts}
본 발명은 매화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매화 꽃봉오리를 100% 에탄올로 추출하여 제조되는 항산화, 주름개선, 보습 기능이 있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강을 중시하는 현대의 소비자들은 식품의 선택에 있어서도 건강을 증진하는 식품의 생리활성 기능에 대해 관심이 대두되고 있다 급속한 사회 변화로 인해 현대인은 과다한 스트레스와 부정적인 환경에 노출되어, 체내 자유라디칼과 활성산소의 발생이 증가되고 있는데(Kim 등 2012), 대부분의 자유라디칼은 산화적 인산화를 통해 정상적으로 환원되지만, 일부는 인체에 유해한 유리기를 형성하고 있어(Park 등 2010), 체내에 축적된 자유라디칼은 생체막의 손상, 고분자 단백질 및 DNA의 변형과 기능 상실을 초래하여 다양한 퇴행성 질환이 유발될 수 있으므로, 자유라디칼로 인해 발생하는 건강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항산화제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Kim 등 2009)
또한 활성산소는 몸속에서 단백질, 지질, 핵산, 세포 등을 공격하여 산화적 스트레스를 주므로 각종 심혈관질환, 암 및 노화를 촉진시킨다고 보고되어 있으며(Mok 등 2011), 또한 스트레스, 운동 부족과 과식으로 인한 체내의 산화적 손상은 노화, 당뇨, 비만과 같은 만성질환의 주요 원인이며, 체내항산화 시스템의 불균형에 의해 초래되기도 한다. 이 같은 현상을 미연에 효과적으로 예방하기 위해서는 항산화제가 요구된다.
항산화제는 자신이 산화됨으로써 체내 세포들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해 주는 물질로서(Singleton 등 1999), 특히 건강에 대한 욕구가 증대됨에 따라 인공합성품의 사용을 기피하는 추세이므로, 안전성의 확보와 각종 질병의 예방이 동시에 가능한 천연 항산화제를 개발하고자 하는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Lee 등 2008)
자유라디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는 협동적인 방어시스템은 산화를 저해시키는 영양소와 효소를 가지고 있다.(Halliwell B, Annu Rev Nutr, 16, pp33-50, 1996) 산화적인 스트레스로부터 인체를 보호하는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는 항산화 수준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De Souza LC et al, Bioorg Med Cehm Lett, 14, pp
5859-5861, 2004) 따라서 산화적 손상으로부터 예방하기 위한 대체 물질의 항산화적인 평가는 매우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일반 화장품, 의약품, 식품의 원료로서 사용되는 색소침착 억제와 활성산소를 소거시키는 항산화 효과가 있는 물질이 많이 알려져 있지만 합성품으로 장기간 인간의 피부에 적용할 경우 안전성이 문제화되므로 사용이 제한된다. 천연물은 색소침착 억제와 활성산소 소거 효과가 약한 것이 대부분이지만 사람의 피부에 대해서는 안전성이 보증된다. (대한화장품 학회 제 23권 1호 피부노화와 항산화제, pp75, 1997)
상기한 안전성의 문제로 인하여 최근 다양한 기능성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천연 항산화소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보다 높은 기능성과 안전성이 요구되는 천연소재 개발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생체 대사과정 중 생성되는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은 세포 구성성분인 단백질, 지질 및 DNA를 손상하고, 이러한 산화 스트레스는 다양한 질환의 원인으로 보고되었다. 천연물에 존재하는 대표적인 항산화물질로는 phenolic compounds, ascorbic acid, carotenoids, flavonoids 등이 있고, 천연 항산화제의 생리활성 물질은 대부분 식물 유래로 주로 폴리페놀 화합물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폴리페놀성 화합물인 flavonoid, tannin, anthocyanin, carotenoid류, glutathione 등은 생체 내에서 노화를 억제시키고, 동맥경화, 염증, 퇴행성 질환 및 암을 예방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되었다.
매화나무(Prunus mume SIEB et ZUCC)는 장미목 장미과 벗나무속에 속하며, 잎지는 작은 큰키나무이다 달걀 모양의 잎이 어긋나게 붙으며, 이른봄 잎이 나기 전에 흰색 또는 붉은색 꽃이 피며 열매는 둥글고 여물면 노란색을 띠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매화나무의 과실인 매실은 Fe, Zn, Mg, Cu, Ca 등 다양한 무기물과 citric acid, malic acid, succinic acid, tartaric acid 등 각종 유기산을 함유하고 있으며, 효능으로는 피로회복, 간 기능 회복 및 위 소화촉진, 당뇨 개선, 항암 작용, 항균 효과 등이 보고되었다.
매화꽃(Plunus mume flower)은 꽃차로 애용되고 있으며, 식용꽃은 꽃잎이 가지고 있는 천연 항산화제 및 항암제로서의 잠재적 가치가 높을 뿐 아니라 건강 기능식품소재로 각광을 받고 있다. 매화 품종의 휘발성 향기 성분을 분석한 김 등은 생화에서 총 15종을 검출하였고, Yoshikawa 등과 Matsuda 등은 일본 매화에서 페놀화합물을 분리 하였다. 또한 Zheng과 Clifford는 재배 지역 또는 국가에 따라 페놀함량이 차이가 있을 것으로 보고한 바 있다.
상기한 매화추추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선행기술은 등록특허 10-864915를 들 수 있는 데, 상기 문헌은 매화나무, 서양배나무 꽃을 50~90%의 에탄올로 추출한 것을 유효성분으로 한 주름개선용 피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선행문헌인 공개특허공보 10-2005-45428은 매화를 물, 메탄올, 에탄올 등의 C1 내지 C4의 저급알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로 추출한 화장료 조성물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행문헌을 통하여 매화 추출물은 항산화, 미백효과가 우수하여 피부활성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고 이를 추출하기 위하여 에탄올을 용매로 사용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 10-864915은 매화와 배꽃의 함량을 달리한 피부개선 효과만 나타내고 있을 뿐 용매인 에탄올의 농도를 달리한 활성성분의 추출효과를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공개특허공보 10-2005-45428은 물, 에탄올,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등 다양한 용매를 실시하고 있으나 매화의 활성성분을 적절하게 추출하기 위한 최적의 용매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추출용매에 다른 생리활성물질의 용출량에 대한 연구에 있어서는 이성구 등의 논문을 참조할 수 있다. (추출용매에 다른 진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Korean J Food Nutr Vol 28 No 3, 458~464 (2015)) 상기 논문은 진피(Citrus unshiu M)추출물을 용매를 달리하여 폴리페놀 함량, 전자공여능, glutathione S-transferase(GST)의 활성 저해력을 실험한 결과를 제시하고 있는데, 이를 통해 진피 추출물의 경우 활성 성분의 추출효율은 메탄올, 메틸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 에탄올의 순서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문헌들을 통해서는 유기용매인 에탄올의 농도를 달리하였을 때 매화의 생리활성 성분을 보다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는 사실은 찾아볼 수 없다.
뿐만 아니라 상기 문헌들에는 원료물질로서 단순히 '매화나무' 또는 '매화'라고만 기재되어 있어서 매화의 구체적인 어느 부분(잎, 꽃봉오리, 싹, 꽃잎 등)을 지칭하는지 알 수 없다. 식품소재 특히 생화의 경우 부위별로 화학성분 및 생리활성기능이 상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국화과에 속하는 홍화(Safflower)의 경우 단백질 및 회분함량은 어린싹 부위에 가장 많고, 총페놀과 플라노보이드 함량은 꽃잎, 어린싹, 잎, 꽃봉오리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홍화의 부위별 화학성분과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김준환 등 J. Koreaa Soc. Food Sci. Nutr. 32(5), 733~738(2003))
그러므로 동일한 소재의 원료를 사용한다 하더라도 원료의 어떤 부분을 어떤 용매로 어떻게 추출하느냐에 따라 원하는 활성물질의 추출량에서는 현격한 차이를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지금까지 매화 꽃봉오리를 순수 에탄올로 추출하여 활성성분을 비교 분석한 연구에 대해서는 국내외에 보고된 바 없다.
공개특허공보 10-2005-45428
추출용매에 다른 진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Korean J Food Nutr Vol 28 No 3, 458~464 (2015) 이성구 등) 홍화의 부위별 화학성분과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J. Koreaa Soc. Food Sci. Nutr. 32(5), 733~738(2003) 김준환 등)
본 발명은 매화 꽃봉오리 에탄올 추출물을 주 원료로 항산화, 주름개선, 보습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삼는다.
본 발명의 에탄올 추출물을 그 농도가 100% 에탄올을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화장료 조성물은 매화 추출물 및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 예를 들면,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하여 유액, 크림, 화장수, 팩, 파운데이션, 로션, 미용액, 모발화장료 등으로 제조 가능하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00% 에탄올로 추출된 매화 꽃봉오리를 유효성분으로 한 항산화, 주름개선, 보습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과제 해결을 위한 수단으로 제공한다.
본 발명의 매화 꽃봉오리 에탄올 추출물은 항산화, 항노화 효과가 매우 우수하며, 인체 각질형성세포의 수분통로(AQP3)의 발현을 통한 피부보습 효과가 있고, 자외선에 대한 세포재생효과가 탁월하여 기능성 화장품 소재 및 다양한 피부생리 활성 강화제로 활용이 가능하다.
도 1은 에탄올, 메탈올, 증류수를 용매로 하여 추출된 매화 꽃봉오리 추출물의 자유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에탄올, 메탈올, 증류수를 용매로 하여 추출된 매화 꽃봉오리 추출물의 철이온 환원 산화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에탄올을 농도를 달리한 매화 꽃봉오리 추출물의 콜라겐나아제 활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매화 꽃봉오리 에탄올 추출물의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의 AQP 3 발현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과 실시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매화 꽃봉오리의 추출물을 주 원료로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화장료 조성물의 주 원료에 해당되는 매화 꽃봉오리 추출물은 증류수, 에탄올, 메탄올 등을 용매로 사용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을 사용하는 것이고 특히 에탄올 100%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용매는 꽃봉오리 1g 당 80~250ml의 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150 ml의 용매를 사용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제조방법으로 얻어진 매화 꽃봉오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제, 주름개선제, 미백제 및 보습제와 같은 피부외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예를 들어, 각종 크림, 로션, 스킨 등과 같은 화장품류와 클렌징, 세안제, 비누, 트리트먼트, 미용액 등이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조성물을 포함한다.
또한,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지만, 총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 - 5 %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 3 % 중량으로 배합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용액, 유화물, 점성형 혼합물 등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화합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액, 크림, 화장수, 팩, 파운데이션, 로션, 미용액, 모발화장료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의 제형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매화 추출물의 제조(100% 에탄올)
전라남도 광양시 봉강면 조령리에서 수확한 매화의 꽃봉오리를 동결건조 한 후 꽃봉오리 1 g에 150 mL의 에탄올(100%)를 넣어 환류추출 후 여과(Whatman No.2, Tokyo, Japan)하였다. 이를 회전 감압증발기로 감압 농축한 후 동결건조(LP20, Ilshin, Korea)하여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2: 매화 추출물의 제조(증류수)
추출용매로 증류수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실시예 3: 매화 추출물의 제조(메탄올)
추출용매로 70%의 메탄올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실시예 4: 매화 추출물의 제조(70% 에탄올)
추출용매로 70% 에탄올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실시예 5: 매화 추출물의 제조(50% 에탄올)
추출용매로 50% 에탄올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실험예 1: 폴리페놀 및 플라노보이드 함량 측정
상기 실시예 1~5를 통해 제조된 시룔를 대상으로 폴리페놀 함량 분석 및 플라노보이드 함량을 분석하였다. 폴리페놀의 함량 분석은 Folin-Denis법을 일부 변형하여 이용하였다. 시료를 1 mg/mL 농도로 용해시킨 후 시료액 50 μL와 Folin-Ciocalteu's phenol reagent 25 μL를 혼합하여 실온에서 5분간 반응시켰다. 그 후 20% sodium carbonate 125 μL를 혼합한 다음 37°C 배양기에서 암 상태로 40분 동안 반응시킨 후 72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총 polyphenol 함량은 gallic acid(Sigma-Aldrich Co.)를 표준물질로 이용하여 표준곡선으로부터 함량을 환산하였다.
플라노보이드 함량은 Zhishen 등의 변형된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시료액 75 μL에 증류수 50 μL와 5% NaNO2 용액 7.5 μL를 첨가한 뒤 5분간 방치한 뒤, 10% AlCl3·6H2O 수용액 15 μl 를 가하여 6분간 반응시켰다. 6분 후 1N-NaOH 수용액 50 μl를 가하고 10분간 상온에서 반응시킨 후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을 통해 나타내었다.
매화 추출물의 용매별 추출율, 폴라노이드, 플라노보이드 함량 비교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추출율(%) 75% 35% 20% 52% 45%
폴라노이드 함량
mg GAE/g
165±2.2 122.0±1.8 113.6±1.7 148.0±3.4 137.4±5.2
플라노보이드 함량
mg QE/g
48.43±0.2 25.42±0.3 18.04±0.1 42.22±0.4 38.24±0.8
매화 꽃봉오리 추출물의 용매별 추출율, 폴리페놀 함량 및 플라노보이드 함량을 측정한 결과, 에탄올> 메탄올 > 증류수 순으로 나타났으며 에탄올의 농도가 높을수록 추출율, 폴리페놀 함량 및 플라노보이드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2: DPPH 자유라디칼 소거능 측정
매화 꽃봉오리 추출물의 항산화 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1~3에서 제조된 시료를 메탄올로 녹여 125 μg/mL, 250 μg/mL, 500 μg/mL, 1000 μg/mL로 농도를 조절한 후, 튜브에 넣고 0.3 mM DPPH 500 ㎕를 넣어 실온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ELISA reader(Bio-Tek, USA)로 517 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시료 용액의 첨가군과 무첨가군 사이의 흡광도의 차이를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를 도 1을 통해 도시하였다.
그 결과 125 μg/mL 농도에서 28.8%, 25.5%, 5.5%였다. 또한 250 μg/mL 농도에서 76.5%, 71.9%, 42.4%, 500 μg/mL 농도에서 85.9%, 84.6%, 81.7%, 1000 μg/mL 농도에서 86.1%, 85.6%, 85.1%로 에탄올 추출물에서 DPPH 소거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실시예 1, 2, 3의 순서)
실험예 3: 철이온 환원 산화능(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측정
매화 꽃봉오리 추출물의 항산화 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FRAP을 측정하였다. 300 mM 나트륨아세테이트 완충용액과 10 mM 2,4,6-트리피리딜-s-트라이아진, 20 mM iron(Ⅲ) 클로라이드 헥사 하이드레이트를 각각 10:1:1로 섞어 FRAP 반응물질을 준비하였다. FRAP 반응물질 180 μL와 실시예 1~3에 의하여 제조된 시료를 1 mg/mL의 농도로 희석하여 6 μL를 혼합한 후 실온에서 5분 동안 반응시켜 593 nm에서 측정하였다. 표준물질로 FeSO₄·7H₂O(iron(Ⅱ) sulfate heptahydrate)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를 도 2를 통해 도시하였다.
실험결과 에탄올(2.23) > 메탄올(2.22) > 증류수(1.25)순으로 측정되었다. 따라서 추출용매별 항산화능은 에탄올추출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실험예 4: 콜라겐분해효소 (Collagenase) 활성 측정
매화 꽃봉오리 추출물의 피부주름 개선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실시예 1.4.5의 추출물을 대상으로 콜라겐나아제 활성 억제 평가 실험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인 방법은 EnzCheck Gelatinase/Collagenase assay kit(Invitrogen, USA)를 사용하였으며 기재로는 DQ™ (돼지피부 유래 젤라틴), 플루오레신 콘쥬게이트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96 반응배지에 반응완충욕액 150 μl, 시료 20 μl, 10 ㎍/ml의 콜라겐나아제 20 μl, 100 μg/ml의 젤라틴 10 μl를 처리하고 37℃ 암실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플루오레신 마이크로 리더기(fluorescence micro plate reader, Bio-tek, USA)를 사용해 495/515 nm에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3을 통해 도시하였다. 에탄올의 농도별(100%, 70%, 50%) 콜라겐나아제 활성을 측정한 각각 61.5%, 67.63%, 74.3%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100% 에탄올 추출물이 콜라겐나아제 억제능력이 가장 높았음을 알 수 있었다. 그 결과를 도 3을 통해 도시하였다.
실시예 6: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의 AQP 3 발현 실험
매화 꽃봉오리 추출물의 보습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의 AQP 3 발현에 대한 매화 꽃봉오리 에탄올 추출물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에 UV 20 mJ을 처리한 후 매화 꽃봉오리 실시예 4에서 제조한 75%농도의 에탄올 추출물로 추출한 매화 꽃봉오리 에탄올 추출물 50, 100 μg/ml 농도로 처리하고 24시간 뒤 MMP-1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자외선을 조사한 경우 사람 각질형성세포주(Human keratinocyhes, HaCaT cell)에서 AQP 3 발현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그러나 매화 꽃봉오리 에탄올추출물(50, 100 μg/ml 농도)을 전처리한 경우 AQP 3 발현이 회복되었다. 그 결과를 도 4를 통해 도시하였다.
이는 자외선이 피부의 AQP 3를 감소시킴으로서 피부건조를 유발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또한 매화 꽃봉오리 에탄 올추출물은 자외선에 의해 감소된 AQP 3의 발현을 회복시킴으로서 피부건조를 예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상기 모든 실험은 3회 반복하였으며, 평균±표준편차로 표시하였고, SigmaPlot (San Jose, CA, USA)의 Student's t-test를 이용하여 p-value를 구하였으며 p값이 0.05 이하인 경우를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판정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매화 꽃봉오리 에탄올 추출물은 항산화 및 항노화, 주름개선 및 인체각질형성세포의 수분통로(AQP 3)의 발현을 통한 피부보습 효과가 있으며 자외선에 대한 세포재생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전술한 화장료 조성물 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능성 소재로 활용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유연 화장수
번호 원료 단위(중량%)
1 실시예 1 3.5
2 글리세린 2.5
3 부틸렌글리콜 2.0
4 에탄올 8.5
5 향료 2.3
6 색소 적량
7 정제수 잔량
합계 100
제제예 2. 영양크림
번호 원료 단위(중량%)
1 실시예 1 12.5
2 파라핀 3.2
3 글리세라이드 2.1
4 스테아린산 4.5
5 세틸알코올 3.2
6 바셀린 1.5
7 카보머 0.5
8 트리에탄올아민 2.3
9 방부제 적량
10 정제수 잔량
합계 100
제제예 3. 에센스
번호 원료 단위(중량%)
1 실시예1 3.5
2 세라마이드 4.2
3 콜레스테롤 3.8
4 디세틸포스페이트 0.8
5 산탄검 7.2
6 향료 적량
7 방부제 적량
8 정제수 잔량
합계 100
본 발명의 매화 꽃봉오리 에탄올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약학 조성물 등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Claims (3)

  1. 매화 꽃봉오리를 동결건조하는 단계;
    상기 동결건조된 매화 꽃봉오리를 100% 에탄올에 넣고 환류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에탄올은 상기 매화 꽃봉오리 1g 당 150mL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개선 기능이 있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매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한 주름개선 기능이 있는 화장료 조성물.

  3. 삭제
KR1020180044683A 2018-04-17 2018-04-17 매화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20767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683A KR102076722B1 (ko) 2018-04-17 2018-04-17 매화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683A KR102076722B1 (ko) 2018-04-17 2018-04-17 매화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1120A KR20190121120A (ko) 2019-10-25
KR102076722B1 true KR102076722B1 (ko) 2020-02-12

Family

ID=68420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4683A KR102076722B1 (ko) 2018-04-17 2018-04-17 매화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67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4878B1 (ko) 2022-09-13 2023-03-02 주식회사 제이투케이바이오 능소화 꽃, 매화 꽃, 붉가시나무의 가지 또는 잎의 혼합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염, 피부진정 및 가려움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70922A (ja) * 2001-06-15 2002-12-24 Azuma Noen:Kk 梅抽出物を含む化粧品
JP2013144654A (ja) * 2012-01-13 2013-07-25 Koshiro Co Ltd ウメの花部抽出物を含むコラーゲン収縮力低下抑制用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5428A (ko) 2003-11-11 2005-05-17 주식회사 생그린 항산화 활성을 갖는 매화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88764B1 (ko) * 2008-09-10 2015-02-06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칠화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70922A (ja) * 2001-06-15 2002-12-24 Azuma Noen:Kk 梅抽出物を含む化粧品
JP2013144654A (ja) * 2012-01-13 2013-07-25 Koshiro Co Ltd ウメの花部抽出物を含むコラーゲン収縮力低下抑制用組成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4878B1 (ko) 2022-09-13 2023-03-02 주식회사 제이투케이바이오 능소화 꽃, 매화 꽃, 붉가시나무의 가지 또는 잎의 혼합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염, 피부진정 및 가려움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1120A (ko) 2019-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66686B (zh) Whitening agents, anti-aging agents and antioxidants, and whitening endermic agents, anti-aging and anti-skin external oxidation method for producing a skin external preparation of
KR101176528B1 (ko) 배암차즈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EP2200574B1 (en) Novel use of panduratin derivatives or extract of kaempferia pandurata comprising the same
KR20090070455A (ko) 초임계 추출법을 이용한 자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용 및 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02125A (ko) 천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US20170196797A1 (en) Composition containing glycine gracilis oil
KR102076722B1 (ko) 매화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0762287B1 (ko) 해양 심층수와 복숭아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미네랄 화장료 조성물
KR101835356B1 (ko) 초고압 균질화를 이용하여 추출 수율이 증진된 권백 추출물의 제조방법
KR20200090573A (ko) 홍삼 및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염증용 조성물
KR20110037462A (ko) 님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염증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10366B1 (ko) 시아니딘글루코사이드 및 낫토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176526B1 (ko) 조팝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76692B1 (ko) 구골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30107123A (ko) 납떼기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031289B1 (ko) 플랑크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7436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972123B1 (ko) 갈산 및 당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장미 추출물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73381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050075516A (ko) 흑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51240B1 (ko) 검은 생강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64878B1 (ko) 삼채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95904B1 (ko) 개병풍 꽃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Witaszczyk et al. Usefulness of aloe vera () as a potential ingredient of cosmetic preparations
KR102366234B1 (ko) 데스모디움 스컥스(Desmodium sequax Wall) 유래의 피부 주름 개선효과를 보이는 용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