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2928B1 - 정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 효과가 증가된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정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 효과가 증가된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2928B1
KR102172928B1 KR1020180159311A KR20180159311A KR102172928B1 KR 102172928 B1 KR102172928 B1 KR 102172928B1 KR 1020180159311 A KR1020180159311 A KR 1020180159311A KR 20180159311 A KR20180159311 A KR 20180159311A KR 102172928 B1 KR102172928 B1 KR 1021729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nscreen
clove extract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eff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9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1501A (ko
Inventor
조익현
박을용
신명걸
양창준
이병우
Original Assignee
이스트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스트힐(주) filed Critical 이스트힐(주)
Priority to KR1020180159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2928B1/ko
Publication of KR20200071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15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2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2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 효과가 증가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존의 유기 자외선 차단제 및 무기 자외선 차단제의 자외선 차단 효과를 증가시키는 효능을 갖는 정향 추출물을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유, 무기 자외선 차단제의 사용량을 줄여 피부자극, 광독성, 백탁감, 환경 호르몬 배출 등의 단점을 최소화하며, 우수한 자외선 차단 증가 효과를 갖는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정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 효과가 증가된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HAVING AN IMPROVED ULTRAVIOLET BLOCKING EFFECT COMPRISING THE EXTRACT OF EUGENIA CARYOPHYLLUS BUD}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정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자외선 차단제의 자외선 차단 부스팅 효과를 갖는 정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 효과가 증가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크게 외부에서부터 순서대로 표피, 진피, 피하지방 조직의 3개 층으로 구분되며, 인체를 외부 환경의 물리적, 화학적인 자극으로부터 보호해 주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피부의 방어기능에 영향을 주는 환경요인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자외선으로, 피부에 조사된 자외선은 피부 내에서 자유라디칼(free radical) 형성과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의 발생을 증가시키고, DNA, 세포막 및 단백질 등 세포성분들에 대한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발시켜 피부노화 및 피부의 염증성 병변을 유발한다.
자외선은 파장에 따라 자외선 C(200~280nm), 자외선 B(280~320nm), 자외선 A(320~400nm)로 나뉘며, 이 중 지표에 도달하여 인체에 영향을 주는 자외선은 자외선 A 및 자외선 B로 알려져 있다.
자외선 A는 진피까지 도달함으로써 즉각적인 색소침착, 광독성, 광알레르기반응, 유리기(Free radical)생성으로 인한 만성적 광노화, 진피의 탄력섬유와 교원섬유를 변성시켜 피부의 탄력을 감소시키고 주름을 유발한다.
또한, 자외선 B는 히드록시 라디칼, superoxide anion 등과 같은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의 생성을 유도하여 산화적 스트레스(oxidative stress) 유발 및 항산화 방어체계를 붕괴시켜 세포 손상 및 사멸을 유발하며 또한 염증반응, 광노화 및 피부암 등의 질병을 심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자외선으로부터 피부 세포를 보호하고 노화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자외선 차단 제품의 사용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자외선 차단제는 유기 자외선 차단제와 무기 자외선 차단제로 분류할 수 있다.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유기합성물질이 대다수이며 광안정성이 떨어지며 광독성, 피부자극, 환경 호르몬 배출 등 많은 단점이 있다. 무기 자외선 차단제는 대표적으로 TiO2, ZnO가 있으며 백탁 현상, 나쁜 발림성, 나노물질의 유해성 등 많은 단점이 있다.
아직까지 유기 자외선 차단제 및 무기 자외선 차단제의 단점들을 보완하며 자외선 차단 효과를 증가시키는 천연물 소재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자외선에 의해 유도되는 염증반응 또는 활성산소 생성을 억제하여 피부를 보호하는 천연물 소재에 대한 연구로 국한되고 있다.
따라서, 유기 자외선 차단제 또는 무기 자외선 차단제의 단점들을 개선하면서 자외선 차단 효과를 증가시키는 우수한 신규 천연물 소재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정향나무(Eugenia caryophyllus)는 정향나무과(Myrtaceae)에 속하는 열대성 상록교목으로 이 나무의 꽃봉오리를 말린 것을 정향이라 하는데 암흑갈색을 한 정모양으로 길이는 10-18mm이고 산지에 따라 크기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 정향은 향신료의 일종으로 오래전부터 유럽의 각국에서 각종 육류와 야채요리에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본래의 향미강화, 나쁜 향미 억제 등의 목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정향에 함유되어 있는 성분으로는, 유게놀, 아세틸유게놀, 차비콜 등의 페닐프로파노이드 화합물, 세스퀴테르펜, 트리테르펜, 유게닌(eugenin) 등의 탄닌, 알칼로이드, 바닐린, 지방유 등이 있다.
정향 추출물은 세균에 대한 항균효과 등이 알려져 있으며, 정향 성분 중 유게놀, 아세틸유게놀은 국소마취와 진통작용뿐만 아니라, 항염, 항균, 이담작용도 있는 것으로 밝혀져 있으며, 한방에서는 예전부터 방향성 건위약으로 소화불량, 급만성 위장념, 구토 등에 사용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정향 추출물을 기존의 유기 자외선 차단제 또는 무기 자외선 차단제에 첨가할 경우 우수하게 자외선 차단 효과를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유기 자외선 차단제 및 무기 자외선 차단제의 단점을 개선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KR 10-1083029 B1 KR 10-1083029 B1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정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유기 자외선 차단제 또는 무기 자외선 차단제의 단점들을 개선하면서 자외선 차단 효과를 높이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 효과가 증가된 화장료 조성물은, 정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향 추출물은 자외선 차단제의 자외선 차단 부스팅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향 추출물은, 상기 정향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100중량%를 기준으로 0.00001~5중량%만큼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향 추출물은, 물, 유기용매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추출용매로 하여 추출된 것이며, 상기 유기용매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향 추출물은, 정향을 분쇄하고, 그 건조 중량의 1~50 부피배의 추출용매를 첨가하여 4∼30℃에서 2∼3일간 교반시켜 유효성분을 추출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외선 차단제는 유기 자외선 차단제 및 무기 자외선 차단제 중 1종 이상의 것으로,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디옥시벤존(dioxybenzone), 디하이드록시아세톤(dihydroxyacetone), 멘틸안쓰라닐레이트(menthyl anthranilate), 벤조페논-4(benzophenone-4), 옥틸살리 실레이트(octylsalicylate), 트리에탄올아민살리실레이트(triethanolamine salicylate), 시녹세이트(cinoxate), 옥시벤존(oxybenzone), 옥토크릴렌(octocrylene), 디갈로일트리올레이트(digalloyl trioleate), 파라디메칠안식향산아밀(p-dimethylbenzoic acidamyl), 디에탄올아민파라메톡시신나메아트(diethanolamine pmethoxycinnamate),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octylmethoxycinnamate), 파라아미노안식향산(p-aminobenzoic acid), 글리세릴파바(glyceryl PABA), 에칠디하이드록시프로필파바(ethyldihydroxypropyl PABA), 옥틸디메칠파 바(octyldimetyl PABA), 2-페닐벤즈이미다졸-5-설폰산 (2-phenylbenzimidazole-5-sulphonic acid), 호모살레이트(homosalate), 드로메트리졸(drometrizole),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butylmethoxydibenzoylmethane), 옥틸트리아존(octyltriazone), 3-(4-메칠벤질리텐)-캄파(3-(4-methylbenzylidene)-camphor), 4-메칠벤질리덴캄파 (4-methylbenzylidene camphor), 3-벤질리덴캄포(3-benzylidenecamphor), 캄포벤즈알코늄(camphorbenzalkonium), 설포벤질리덴캄포(sulphobenzylidene camphor) 및 설포메칠벤질리덴캄포(sulphomethylbenzylidene camphor)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것이고, 상기 무기 자외선 차단제는 이산화티탄(TiO2), 산화아연(ZnO2) 및 산화철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유기 자외선 차단제 또는 무기 자외선 차단제의 자외선 차단 효과를 증가시키는 효능을 갖는 정향 추출물을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유, 무기 자외선 차단제의 사용량을 줄여 피부자극, 광독성, 백탁감, 환경 호르몬 배출 등의 단점을 최소화하며, 우수한 자외선 차단 증가 효과를 갖는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천연물 유래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소비자들의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 2는 본 발명에 의한 실험예 1의 정향 추출물 함유 유기 자외선 차단제 선크림의 in vitro SPF/PFA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3, 4는 본 발명에 의한 실험예 2의 정향 추출물 함유 무기 자외선 차단제 선크림의 in vitro SPF/PFA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5, 6은 본 발명에 의한 실험예 3의 정향 추출물 함유 무기 자외선 차단제 선크림의 in vivo SPF/PFA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실험예 4의 정향 추출물의 세포독성평가 실험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 효과가 증가된 화장료 조성물은, 정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정향 추출물이 자외선 차단제의 자외선 차단 효과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정향 추출물과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며, 상기 정향 추출물이 상기 자외선 차단제의 자외선 차단 부스팅 효과를 가지며, 상기 자외선 차단제는 유기 자외선 차단제 및 무기 자외선 차단제 중 1종 이상의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정향 추출물은 자외선에 의한 피부손상억제 및 피부보호의 효과를 역시 갖는다. 또한, 이러한 정향 추출물은 피부에 자극이 없으며, 제형화 이후 제품의 안정성 또한 우수하여 천연물 유래의 화장료 조성물로서 적합하다.
상기 정향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100중량%를 기준으로, 0.00001~5중량%만큼 포함됨이 바람직한데, 그 농도가 너무 적을 경우 자외선 차단 효과의 증가가 미미하고, 그 농도가 더 높을 경우 추가적인 자외선 차단 증가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으면서도 제조비용이 상승하는 등의 단점이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정향 추출물은 액체 상태일 수도 있으나, 추출 후 감압 농축,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을 통해 분말 상태로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정향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정향 추출물은 당 업계에 공지된 추출 및 분리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천연으로부터 추출 및 분리하여 수득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추출은 적절한 용매를 이용하여 정향으로부터 추출한 것이며, 열수추출물,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또는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향으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하기 위한 적절한 추출용매로는 당 업계에서 허용되는 추출용매라면 어느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나, 바람직하게는 물 및 유기용매 중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정제수, 메탄올(methanol), 에탄올(ethanol), 프로판올(propanol),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및 부탄올(butanol) 을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코올 중 어느 하나를 단독으로 혹은 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상기 정향의 추출 방법으로는 열수추출법, 냉침추출법, 환류냉각추출법, 용매추출법, 수증기증류법, 초음파추출법, 용출법, 압착법 등의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즉, 본 발명의 정향 추출물 제조방법에는 제한이 없으며, 공지되어 있는 어떠한 방법도 이용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정향 추출물은, 정향을 분쇄하고, 그 건조 중량의 1~50 부피배의 추출용매를 첨가하여 4∼30℃에서 2∼3일간 교반시켜 유효성분을 추출하여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추출 후, 감압 농축,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감압 농축,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는 추출물의 분야에서 공지된 방법을 따르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아울러, 상기 정향 추출물과 함께 포함되어, 상기 정향 추출물에 의해 그 자외선 차단 효과가 부스팅되는 자외선 차단제는, 종래 공지된 유기 자외선 차단제, 무기 자외선 차단제 중 1종 이상이면 족한바,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디옥시벤존(dioxybenzone), 디하이드록시아세톤(dihydroxyacetone), 멘틸안쓰라닐레이트(menthyl anthranilate), 벤조페논-4(benzophenone-4), 옥틸살리 실레이트(octylsalicylate), 트리에탄올아민살리실레이트(triethanolamine salicylate), 시녹세이트(cinoxate), 옥시벤존(oxybenzone), 옥토크릴렌(octocrylene), 디갈로일트리올레이트(digalloyl trioleate), 파라디메칠안식향산아밀(p-dimethylbenzoic acidamyl), 디에탄올아민파라메톡시신나메아트(diethanolamine pmethoxycinnamate),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octylmethoxycinnamate), 파라아미노안식향산(p-aminobenzoic acid), 글리세릴파바(glyceryl PABA), 에칠디하이드록시프로필파바(ethyldihydroxypropyl PABA), 옥틸디메칠파 바(octyldimetyl PABA), 2-페닐벤즈이미다졸-5-설폰산 (2-phenylbenzimidazole-5-sulphonic acid), 호모살레이트(homosalate), 드로메트리졸(drometrizole),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butylmethoxydibenzoylmethane), 옥틸트리아존(octyltriazone), 3-(4-메칠벤질리텐)-캄파(3-(4-methylbenzylidene)-camphor), 4-메칠벤질리덴캄파 (4-methylbenzylidene camphor), 3-벤질리덴캄포(3-benzylidenecamphor), 캄포벤즈알코늄(camphorbenzalkonium), 설포벤질리덴캄포(sulphobenzylidene camphor) 및 설포메칠벤질리덴캄포(sulphomethylbenzylidene camphor)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것이고, 상기 무기 자외선 차단제는 이산화티탄(TiO2), 산화아연(ZnO2) 및 산화철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것임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그 함유량은 종래 화장료 조성물에서 통상 허용되는 범위 내이면 족한바,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정향 추출물에 의해 상기 자외선 차단제의 자외선 차단 부스팅 효과를 나타내므로, 통상 포함되는 유, 무기 자외선 차단제의 50~90중량% 정도이면 족하다.
즉, 본 발명은 상기 정향 추출물이 상기 자외선 차단제의 자외선 차단 부스팅 효과를 가짐으로써, 화장료 조성물 내 유, 무기 자외선 차단제의 사용량을 줄여 피부 자극, 광독성, 백탁감, 환경 호르몬 배출 등의 단점을 최소화한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통상적으로 허용되는 성분들을 제한 없이 포함할 수 있는바, 예컨데 희석제, 부형제, 완충제, 분산제, 계면 활성제, 착색제, 향료 또는 감미제 등의 통상적인 보조제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미용 기능성을 부여하는 기능성 화장 성분, 보습제, 기타 첨가제를 더 첨가할 수도 있으며, 일반 피부 화장료에 배합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담체 성분으로는 동물성 유, 식물성 유, 왁스, 파라핀, 실리콘, 락토스, 실리카, 탈크, 물, 에탄올, 벤질 알콜,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는바, 그 종류를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정향 추출물의 제조)
정향을 깨끗이 세척하고 건조한 후 분쇄기를 이용하여 100~300mesh로 분쇄하였다. 이후, 분쇄된 정향 20g을 취한 뒤, 이에 70% 에탄올 200ml를 넣고, 25℃에서 72시간 교반하여 추출한 뒤, 여과하고 회전농축기로 감압 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정향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정향 추출물 함유 유기 자외선 차단제 선크림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정향 추출물 함유 유기 자외선 차단제의 자외선 차단 지수인 SPF 및 PFA 부스팅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 표 1과 같은 조성비율로 정향 추출물 함유 유기 자외선 차단제 선크림을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그리고 비교예 1로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선크림을 제조하되, 정향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았다.
실시예 2의 조성비(중량%)
phase 성분명 실시예 2 비교예 1
A Water 34.00 39.00
Magnesium Sulfate 0.50 0.50
Glycerin 6.00 6.00
실시예 1의 정향 추출물 5.00 -
Dipropylene Glycol 3.00 3.00
1,2-Hexanediol 2.00 2.00
B Cyclopentasiloxane 20.50 20.50
Cetyl PEG/PPG-10/1 Dimethicone 2.00 2.00
PEG-10 Dimethicone 1.00 1.00
Cethyl Ethylhexanoate 4.00 4.00
Ethylhexyl Methoxycinnamate(유기 자외선 차단) 5.00 5.00
Dimethicone (and) Dimethicone/PEG-10/15 Crosspolymer 5.00 5.00
Dimethicone (and) Dimethicone/Vinyl Dimethicone Crosspolymer 5.00 5.00
Distearyldimonium Chloride 0.10 0.10
Zinc Stearate 1.00 1.00
Disteardimonium Hectorite 0.90 0.90
C Mica (and) Triethoxycaprylylsilane 5.00 5.00
(실시예 3: 정향 추출물 함유 무기 자외선 차단제 선크림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정향 추출물 함유 무기 자외선 차단제의 자외선 차단 지수인 SPF 및 PFA 부스팅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 표 2와 같은 조성비율로 정향 추출물 함유 무기 자외선 차단제 선크림을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그리고 비교예 2로는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선크림을 제조하되, 정향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았다.
실시예 3의 조성비(중량%)
phase 성분명 실시예 3 비교예 2
A Cyclopentasiloxane 20.00 20.00
PEG-10 Dimethicone 3.00 3.00
Cetyl PEG/PPG-10/1 Dimethicone 1.00 1.00
Diphenylsiloxy Phenyl Trimethicone 5.00 5.00
Dimethicone (and) Dimethicone/Vinyl Dimethicone Crosspolymer 2.00 2.00
Cetyl Ethylhexanoate 8.00 8.00
Disteardimonium Hectorite 0.80 0.80
B Titanium Dioxide(무기 자외선 차단제) 4.00 4.00
Zinc Oxide(무기 자외선 차단제) 6.00 6.00
Vinyl Dimethicone/Methicone Silsesquioxane Crosspolymer 1.00 1.00

C
Glycerin 10.00 10.00
Butylene Glycol 5.00 5.00
실시예 1의 정향 추출물 5.00 -
Niacinamide 2.00 2.00
Adenosine 0.04 0.04
1,2-Hexanediol 2.00 2.00
Magnesium Sulfate 0.80 0.80
Water 23.16 28.16
D Fragrance 0.20 0.20
(실험예 1: 정향 추출물 함유 유기 자외선 차단제 선크림의 자외선 차단지수(SPF/PFA) 측정)
본 발명에 따른 정향 추출물의 유기 자외선 차단제의 자외선 차단 지수인 SPF(UV-B) 및 PFA(UV-A) 부스팅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polymethylmethacrylate PMMA plate에 실시예 2의 선크림 및 비교예 1의 선크림을 동량으로 도포하여 균일하게 하였다. 10분 동안 건조 후, PMMA plate의 여러 지점에서 자외선 차단지수 측정기(SPF 290S, Optometrics LLC)를 이용하여 SPF 및 PFA 수치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를 도 1(SPF 지수) 및 도 2(PFA 지수)에 나타내었다.
도 1,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의 정향 추출물을 함유한 유기 자외선 차단제 선크림은 비교예 1의 선크림에 비해 12%의 SPF 부스팅 효과, 10%의 PFA 부스팅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정향 추출물이 유기 자외선 차단제의 사용량을 줄이면서 자외선 차단 지수인 SPF 및 PFA 수치를 크게 증가시킬 수 있는 매우 우수한 천연 자외선 차단 부스팅 소재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정향 추출물 함유 무기 자외선 차단제 선크림의 자외선 차단지수(SPF/PFA) 측정)
본 발명에 따른 정향 추출물 함유 무기 자외선 차단제의 자외선 차단 지수인 SPF(UV-B) 및 PFA(UV-A) 부스팅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polymethylmethacrylate PMMA plate에 실시예 3의 선크림 및 비교예 2의 선크림을 동량으로 도포하여 균일하게 하였다. 10분 동안 건조 후, PMMA plate의 여러 지점에서 자외선 차단지수 측정기(SPF 290S, Optometrics LLC)를 이용하여 SPF 및 PFA 수치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를 도 3(SPF 지수) 및 도 4(PFA 지수)에 나타내었다.
도 3,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의 정향 추출물을 함유한 무기 자외선 차단제 선크림은 비교예 2의 선크림에 비해 56%의 SPF 부스팅 효과, 57%의 PFA 부스팅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부터 정향 추출물이 무기 자외선 차단제의 사용량을 줄이면서 자외선 차단 지수인 SPF 및 PFA 수치를 크게 증가시킬 수 있는 매우 우수한 천연 자외선 차단 부스팅 소재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정향 추출물 함유 무기 자외선 차단제 선크림의 인체에서의 자외선 차단지수(SPF/PFA) 측정)
본 발명에 따른 정향 추출물 함유 무기 자외선 차단제의 자외선 차단 지수인 SPF(UV-B) 및 PFA(UV-A) 부스팅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식약청 고시 "자외선 차단효과 측정방법 및 기준"에 따라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실시예 3의 선크림 및 비교예 2의 선크림을 시료로 사용하였다. 시료 도포량은 2.0mg/cm2으로 하고 도포 면적을 24cm2 이상으로 하여 0.5cm2 이상의 면적을 갖는 5개 이상의 조사부위를 구획하여 고르게 도포하였다.
SPF 지수는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시료 도포 부위의 최소 홍반량을 측정하여 시료 무도포 부위의 최소 홍반량 측정값으로 나누었으며, 실험에 사용된 광원은 제논 아크 램프를 장착한 인공태양광조사기(solar simulator)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1]
각 피험자의 자외선 차단지수(SPF I)=시료 도포 부위의 최소 홍반량(MEDp)/시료 무도포 부위의 최소 홍반량(MEDu)
또한, PFA 지수는 하기 수학식 2와 같이 시료 무도포 부위의 최소 지속형 즉시흑화량(MPPDu)과 시료 도포 부위의 최소 지속형 즉시흑화량(MPPDp)을 구하고, 하기 수학식 2에 따라 각 피험자의 자외선 A 차단지수(PFAi)를 계산하여 그 산술평균값으로 하였다. 이때 PFA 지수의 표준오차는 얻어진 PFA 값의 10% 이내에서 시험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2]
각 피험자의 자외선 A 차단지수(PFAi))=시료 도포 부위의 최소 지속형 즉시흑화량 (MPPDp)/시료 무도포 부위의 최소 지속형 즉시흑화량 (MPPDu)
도 5, 6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의 선크림은 인체적용시험에서 비교예 2의 선크림에 비해 19%의 SPF 부스팅 효과, 17%의 PFA 부스팅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세포독성)
본 발명에 따른 정향 추출물이 피부 세포 사멸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DMEM(in 10% FBS, 1% Penicillin/ streptomysin)을 배지로 사용하여, HaCaT 세포를 96 well plate에 각 well 당 1.0×104 이 되도록 접종하고, 이 후 24시간이 지나면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정향 추출물을 농도별로 배지에 처리하였다. 그리고 72시간 후에 MTT 시약을 각 well당 100ul씩 처리하고 37℃ CO2 incubator에서 4시간 배양한 후에 570nm에서 흡광도(Optical Density)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정향 추출물을 처리한 결과, 100ppm 농도까지 피부세포 사멸에 직접적인 영향이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5: 원료 안정성)
본 발명에 따른 정향 추출물의 원료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정향 추출물을 10,000ppm 농도의 용액으로 제조하여 광노출, 25℃, 42℃ 및 사이클(0℃→25℃→40℃, 각 8시간씩) 조건에서 3개월 보관 후 성상, pH 변화,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변화 및 미생물 오염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1의 정향 추출물은 3개월 동안 모든 보관조건에서 응집, 침전, 변색, 변취, 미생물 오염, pH 변화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변화 없이 안정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정향 추출물의 안정성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 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 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6)

  1. 정향 추출물과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되,
    상기 정향 추출물은 상기 자외선 차단제의 자외선 차단 부스팅 효과를 가지며,
    상기 정향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100중량%를 기준으로 5중량%만큼 포함되고,
    상기 자외선 차단제는 화장료 조성물 100중량%를 기준으로 10중량%만큼 포함되며,
    상기 정향 추출물은,
    정향을 분쇄하고, 그 건조 중량의 1~50 부피배의 추출용매를 첨가하여 4∼30℃에서 2∼3일간 교반시켜 유효성분을 추출한 것이되,
    상기 추출용매는 물, 유기용매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고, 상기 유기용매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이며,
    상기 자외선 차단제는 이산화티탄(TiO2) 및 산화아연(ZnO2)이 4:6 중량비로 포함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 효과가 증가된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80159311A 2018-12-11 2018-12-11 정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 효과가 증가된 화장료 조성물 KR1021729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311A KR102172928B1 (ko) 2018-12-11 2018-12-11 정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 효과가 증가된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311A KR102172928B1 (ko) 2018-12-11 2018-12-11 정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 효과가 증가된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1501A KR20200071501A (ko) 2020-06-19
KR102172928B1 true KR102172928B1 (ko) 2020-11-02

Family

ID=71137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9311A KR102172928B1 (ko) 2018-12-11 2018-12-11 정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 효과가 증가된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2928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1219B1 (ko) * 1993-10-29 1998-07-15 김광호 미니 디스크의 시간환산방법
KR101083029B1 (ko) 2009-02-19 2011-11-16 (주)더페이스샵 쌀 유래 배아 및 황련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흡수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1501A (ko) 2020-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1289B1 (ko) 무기 분말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EP1089707A1 (de) Verwendung von einem gehalt an catechinen oder einem gehalt an extrakt von grünem tee als hautbräunungsmittel
KR102128974B1 (ko) 여주, 감나무잎 및 비단풀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JP2008247854A (ja) 抗酸化剤、dna損傷抑制剤および皮膚外用剤
KR20190008831A (ko) 피부를 밝게 하고, 자외선 차단을 제공하고, 비타민 d 생성을 허용하는 조성물
JP5137457B2 (ja) 幹細胞増殖因子発現上昇抑制剤
JP2011037764A (ja) 皮膚外用剤、美白剤、抗酸化剤および抗老化剤
JP2009107983A (ja) メイラード反応阻害剤並びに抗老化剤及び皮膚外用剤
KR20160036236A (ko) 극지 지의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품
KR101413105B1 (ko) 골담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 손상 방지용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28591B1 (ko) 해양 홍조류 추출 혼합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13175B1 (ko) 미백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871911B1 (ko)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US20100166683A1 (en) Composition of external preparation for uv-protection comprising rehmannia glutinosa extracts
KR20160036202A (ko) 옥수수 속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72928B1 (ko) 정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 효과가 증가된 화장료 조성물
JP4757157B2 (ja) 皮膚外用剤
KR100898308B1 (ko)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EP3122321B1 (en) Photostable sunscreen composition for topical application
JP2013107859A (ja) コンナルス抽出物を配合した皮膚外用化粧料
KR102083718B1 (ko) 카모마일 에센셜 오일을 이용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062218A (ko) 정향 및 미역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 효과가 증가된 화장료 조성물
JP6253702B2 (ja) コンナルス ルーバー抽出物を配合した皮膚外用化粧料
KR101736716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58630B1 (ko) 녹두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 및 광노화 방지용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