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1911B1 -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1911B1
KR100871911B1 KR1020070050384A KR20070050384A KR100871911B1 KR 100871911 B1 KR100871911 B1 KR 100871911B1 KR 1020070050384 A KR1020070050384 A KR 1020070050384A KR 20070050384 A KR20070050384 A KR 20070050384A KR 100871911 B1 KR100871911 B1 KR 1008719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nscreen
cosmetic composition
group
alcohol
sunscreen cosm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0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3283A (ko
Inventor
김진황
임준만
김기선
이천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70050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1911B1/ko
Publication of KR20080103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32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1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19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5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animal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닐라 추출물 및 치커리 뿌리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 성분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자외선 차단 성분이 소량 함유되면서도, 피부에 대한 안정성 및 자외선 차단 효능이 뛰어나다.
자외선 차단, 자외선 차단 성분, 화장료 조성물, 치커리 뿌리 추출물, 바닐라 추출물

Description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SUNSCREEN COSMETIC COMPOSITION}
본 발명은 바닐라 추출물 및 치커리 뿌리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 성분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소량의 자외선 차단 성분을 함유하여 피부에 대한 안전성이 우수하면서도, 자외선에 의한 홍반 반응 기작을 효율적으로 억제하여, 탁월한 자외선 차단 효능을 나타내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태양광에 포함되는 자외선은 홍반(erythema), 부종, 주근깨 또는 피부암과 같은 각종 피부 질환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에 따라 자외선에 기인하는 여러 가지 피부 질병들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자외선은 파장에 따라 UV-C (200 ~ 280 nm), UV-B (280 ~ 320 nm) 및 UV-A (320 ~ 400 nm)로 분류되고, 이 중 UV-C는 오존층에 의하여 지표면에 도달하지 못하고 소실된다.  그러나 UV-B는 피부의 표피까지 침투되어 홍반, 주근깨 또는 부종 등을 일으키고, UV-A는 피부의 진피까지 침투하여 피부암 또는 주름의 유발이나 멜라닌 형성 촉진과 같은 피부 노화 또는 피부 자극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등, 다수의 역학 연구를 통하여 태양광 노출과 피부암과 같은 피부 질환과의 상관 관계가 증명되어 있다 (DeSimone, "Sunscreen and Suntan Products", Handbook of Nonpre-scription Drugs, 7th Ed., Chapter 26, pp499-511, American Pharmaceutical Association, Washington, D.C.;1982 등 참조).
상기와 같이 자외선에 의한 위험이 알려짐에 따라서 자외선 차단 제품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꾸준히 증가하여 왔으며, 그 결과 다양한 종류의 자외선 차단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제품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자외선 차단 성분으로는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또는 산화철 등의 무기 자외선 차단제 또는 옥틸 메톡시 신나메이트, 옥틸 살리실레이트, 옥토크릴렌, 부틸 메톡시 디벤조일메탄, 옥시벤존, 옥틸트리아존, 멘틸안트라닐레이트, 3,4-메틸벤질리덴 캄파, 2-페닐벤즈이미다졸-5-설폰산 또는 bis-에틸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등의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들 수 있다.  시판되어 있는 자외선 차단 제품의 자외선 차단 지수(SPF)의 범위는 매우 다양하지만, 최근 SPF의 값이 높은 자외선 차단 제품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런데 SPF의 값이 높은 자외선 차단 제품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자외선 차단 성분을 다량 사용하여야 하며,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즉 다량의 자외선 차단 성분을 사용함으로써, 피부 자극 등의 악영향이 발생 할 우려가 있으며, 또한 사용 시에도 차단 성분에 의한 특유의 끈적임, 번들거림 또는 백탁 현상 등으로 인해 사용감이 저하하고, 품질이 악화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다수의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4865840호는 셀레노아미노산 (selenoamino acid)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이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을 줄일 수 있다는 점을 개시한다.  또한 한국 공개 특허 제2000-63019호는 특정의 실리카 담체에 산화 티탄이 함유되고, 투명성 및 UV-B 파장 영역에서 방어능이 우수한 화장료를 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특허문헌 외에도 자외선에 의한 홍반 반응 기작을 억제할 경우 피부 손상을 줄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발표된 바 있다 (Journal of the European Academy of Dermatology & Venereology Volume 17 Issue s1 Page 47 - March, 2003).
그러나 전술한 종래 기술 역시 SPF의 값을 높이기 위해서는 다량의 자외선 차단 성분이 함유되어야 하여, 피부로의 악영향이나 사용감의 저하 등의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지 못하고, 또한 자외선 차단 효능도 만족할 만하지 못하다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자외선 차단 성분을 소량 함유하여 피부에 대한 안전성이 우수하면서도, 뛰어난 자외선 차단 효능을 가지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목적은 바닐라 추출물 및 치커리 뿌리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 성분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바닐라 추출물 및 치커리 뿌리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 성분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자외선 차단제에서는 자외선 차단 지수(SPF)를 높이기 위하여 다량의 자외선 차단 성분을 사용한 결과, 피부로의 악영향 및 사용감 저하 등의 단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의 경우 자외선 차단 성분을 소량 사용하면서도, 자외선 차단 효과 및 피부 안정성이 우수한 자외선 차단제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 성분에는 치커리 뿌리 추출물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는 뛰어난 홍반 억제 효과를 나타내어 그 단독 또는 후술하는 바닐라 추출물과 함께 사용되어 조성물에 자외선 차단 효능을 부여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치커리 뿌리 추출물은 벤질 알코올, 살리실 알코올 (salicyl alcohol), 페닐에틸 알코올, p-아니실 알코올 (p-anisyl alcohol), m-아니실 알코올 (m-anisyl alcohol), 에틸 바닐린 (ethyl vanillin), 바닐린 및 cis-아사론 (cis-asaro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치커리 뿌리 추출물은 이 분야의 통상의 방법을 제한 없이 적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방법의 예로는, 1,3-부틸렌 글리콜과 같은 통상의 용매에 치커리 뿌리를 침지시켜 추출하고, 3일간 냉침한 후 필터를 통하여 여과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 성분은 또한 바닐라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닐라 추출물은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가지기 때문에, 자외선 조사에 의하여 피부에서 발생하여 홍반을 유발시킬 수 있는 라디칼을 소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바닐라 추출물은, 그 단독으로 또는 전술한 치커리 뿌리 추출물과 조합되어 그 홍반 억제 효과를 상승시킴으로써 조성물에 자외선 차단 효능을 부여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바닐라 추출물은 바닐린, 바닐린산 (vanillic acid), 아니살데히드 (anisaldehyde), 아니식 알코올 (anisic alcohol), p-히드록시벤조익산 및 헤리오트로핀 (heliotropi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바닐라 추출물의 제조 역시 이 분야의 통상의 방법을 제한 없이 적용할 수 있으며, 그 예로는 1,3-부틸렌 글리콜과 같은 통상의 용매에 바닐라를 침지시켜 추출하고, 3일간 냉침한 후 필터를 통하여 여과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 성분은 화장료 조성물에 0.001 내지 30 중량부의 범 위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0.1 내지 10 중량부의 범위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함량이 0.001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자외선에 의한 홍반 억제 효과가 떨어질 우려가 있고, 30 중량부를 초과하면 조성물의 물성이 오히려 악화되거나, 또는 사용감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는 상기 자외선 차단 성분 외에도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 포함되는 성분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유상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사용될 수 있는 유상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자외선 차단제 등의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포함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예로는 식물성 오일, 동물성 오일, 합성 에스테르, 탄화수소 및 실리콘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상 성분을 들 수 있다.  상기 유상부의 함량 역시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목적하는 용도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될 수 있으나, 1 내지 50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상부의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조성물의 물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으며, 50 중량부를 초과하면 조성물의 점성이 지나치게 높아져서 사용감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또한 통상의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자외선 차단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자외선 차단 효능이 더욱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차단제의 예로는 유기 자외선 차단 성분 또는 무기 자외선 차단 성분을 들 수 있으며, 상기 성분은 각각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이상이 조합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 성분의 예로는 옥틸 메톡시 신나메이트, 옥틸 살리실레이트, 옥토크릴렌, 벤조페논-3, 벤조페논-4, 벤조페논-8, 부틸 메톡시 디벤조일 메탄, 옥시 벤존, 옥틸 트리아존, 멘틸 안트라닐레이트, 3,4-메틸벤질리덴 캄파, 2-페닐벤즈이미다졸-5-설폰산, 디소듐페닐디벤지미다졸테트라설포네이트, 이소아밀 p-메톡시신나메이트 및 bis-에틸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들 수 있고, 무기 자외선 차단 성분의 예로는 이산화 티탄, 산화아연 및 산화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자외선 차단 성분의 함량 역시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목적하는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으나, 유기 자외선 차단 성분의 경우 화장료 조성물에 1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무기 자외선 차단 성분의 경우 1 내지 4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 자외선 차단 성분 또는 무기 자외선 차단 성분의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자외선 차단 효과가 충분하지 않을 우려가 있고, 유기 자외선 차단 성분의 함량이 30 중량부를 초과하거나 또는 무기 자외선 차단 성분의 함량이 4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감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또한 유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유화제로는 HLB (hydrophile-lipophile balance) 값이 10 이상인 친수성 유화제 및 HLB값이 10 미만인 친유성 유화제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HLB값이 10 이상인 친수성 유화제 및 HLB값이 10 미만인 친유성 유화제의 혼합비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중량비 (HLB값이 10 미만인 친유성 유화제/HLB값이 10 이상인 친수성 유화제)가 0.1 내지 10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상기 유화제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부의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조성물의 안전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경제성이 떨어진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는 점증제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점증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화장료 조성물 분야에서 사용되는 통상의 것을 제한 없이 적용할 수 있으며, 그 예로는 메탈 실리케이트, 산탄검, 셀룰로오스 및 카보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들 수 있다.  상기 점증제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0.01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또한 수상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수상부의 예로는 정제수,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렌 글리콜, 글리세린, 베타인 및 솔비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수성 성분을 들 수 있다.  상기 수상부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수상부를 제외한 기타 성분 외의 잔량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그 함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이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는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각 성분 농도의 최적화를 통하여, 수상부의 함량을 용이하게 선택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는 상기 외에도 발명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에서 방부제, 향료, 색소 또는 기타 첨가제가 단독 또는 2종 이상이 조합된 상태로 적절히 첨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전술한 각 성분을 사용하여, 이 분야의 통상의 방법을 통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그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 및 본 발명에 따르지 않는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하기에 제시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통상의 방법을 통하여 각각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성을 가지는 실시예 및 비교예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유상부 및 수상부는 각각 70 내지 80℃에서 제조, 혼합하고, 이를 50℃ 이하에서 냉각시킨 후, 향 및 첨가제를 첨가하였다.  치커리 뿌리 추출물 및 바닐라 추출물은 반응기에 따라서 수상부 또는 유상부에 각각 첨가하였다 (하기 표 1에서 정제수의 함량 "To 100"은 정제수를 제외한 성분에 정제수를 첨가하여, 조성물 총 중량부를 100으로 조절하였음을 의미한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수상부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글리세린 2.0 2.0 2.0 2.0
프로필렌 글리콜 3.0 3.0 3.0 3.0
부틸렌 글리콜 5.0 5.0 5.0 5.0
유상부 세틸 에틸 헥사노에이트 1.0 1.0 1.0 1.0
사이클로 메티콘 8.0 8.0 8.0 8.0
디메티콘 코폴리올 1.0 1.0 1.0 1.0
솔비탄 세스퀴올리에이트 1.0 1.0 1.0 1.0
퀴터늄-18 헥토라이트 2.0 2.0 2.0 2.0
추출물 바닐라 추출물 4.0 4.0 4.0 -
치커리 추출물 - - 3.0 -
자외선 차단제 옥틸 메톡시 신나메이트 - 7.0 7.0 7.0
bis-에틸헥실옥시페놀 메톡시 페닐 트리아진 - 1.0 1.0 1.0
옥틸 살리실레이트 - 3.0 3.0 3.0
2-페닐벤즈이미다졸-5-설폰산 - 4.0 4.0 4.0
기타   적량 적량 적량 적량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단위: 중량부)
시험예 1. 항산화 효과 시험
바닐라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항산화제인 BHT 및 약재 추출물에 대하여,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를 이용하여 라디칼 소거효과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DPPH 4mg을 메탄올 100 ml에 녹여 DPPH 용액을 만들고, 어성초, 백굴채 및 바닐라 추출물을 에탄올에 희석하여 시료 용액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시료 용액 1 ml와 DPPH 용액 1 ml를 혼합하고 37℃에서 30분간 방치한 후, 516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품으로는 BHT (butylated hydroxyl toluene), 대조군으로는 에탄올을 사용하였으며, 하기 식 (1)을 사용하여 항산화력을 측정하고,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식 (1): 항산화력(%) = 100 - (시료의 흡광도 × 100)/(대조군의 흡광도) 
  BHT (%) 어성초 추출물 (%) 백굴채 추출물 (%) 바닐라 추출물 (%)
0.01% 90.2 69.4 49.7 82.9
0.001% 31.3 14.1 13.1 16.0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바닐라 추출물의 항산화력은 BHT에 비해서는 다소 떨어지나 백굴채 및 어성초 추출물에 비해서는 우수하며, 특히 0.01% 농도에서 바닐라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가 80% 이상으로 나타나 충분히 항산력을 지니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2. 자외선 차단 평가 (홍반 반응 억제)
in - vitro SPF 측정
비트로스킨(Vitroskin)에 실시예 1 ~ 3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을 50 cm2의 면적에 대하여 2 mg/cm2의 양으로 도포하였다.  이를 20분간 건조시킨 후 SPF290s 분석기를 이용하여 in - vitro SPF를 측정하고, 그 결과는 표 3에 나타내었다.
in - vivo SPF 측정
20세 ~ 40세의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실시예 1 ~ 3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을 척추 부위를 제외한 피시험자의 등에 24 cm2의 면적에 대하여 2 mg/cm2의 양으로 도포하고, 20분간 안정화시켰다.  UV-B의 광원으로써 1000W 제논 아크 램프 (1000W xenon arc lamp(ozonless))가 장착된 Oriel solar UV simulator (Oriel Instrument사, 미국) 1개의 라이트 가이드(light guide)를 통하여 직경 8 × 8 inch 크기, 2 × 103 μW/cm2의 광세기로 고정하고, 시간 및 광량(모델 : smartmeter GRP-1, Oriel, 미국)을 조정하면서, in - vivo SPF를 측정하여, 그 결과는 표 3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in - vitro SPF 20 ± 0.02 5 ± 0.01 25 ± 0.02 31 ± 0.02
in - vivo SPF 19 ± 0.03 14 ± 0.01 48 ± 0.05 53 ± 0.04
상기 표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자외선 차단 성분 없이 바닐라 추출물만을 포함하는 실시예 1의 경우 in - vitro SPF의 값이 약 5인 반면, in - vivo SPF의 값은 약 14로 나타났으며, 이는 인공피부 (in - vitro skin)에서는 자외선에 의한 생화학적 홍반 반응의 억제 기능이 약하지만, 실제 인간의 피부 (in-vivo skin)에서는 자외선에 대한 강력한 항산화 효능으로 생화학적인 홍반 반응 억제 기능을 보이는 것을 나타낸다.  이러한 결과는 바닐라 추출물이 단독으로 자외선에 의한 홍반 반응 억제 효과를 가짐을 나타내며, 이는 자외선이 피부에 조사될 때 피부 내에 존재하는 이중 결합 (π 결합)이 파괴되면서 생성되고, 홍반을 유발할 수 있는 라디칼이 바닐라 추출물의 강력한 항산화력에 의해 소거되는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실시예 2의 경우 in - vitro SPF의 값이 25인 반면, in - vivo SPF의 값은 48로 자외선 차단제의 첨가로 인하여 홍반 반응의 억제를 통한 자외선 차단 효능을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고, 실시예 3에서는 치커리 뿌리 추출물이 추가로 첨가됨으로 인하여 in - vivo SPF의 값이 53으로 증가하여, 홍반 반응의 억제를 통한 자외선 차단 효능이 더욱 증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비교예 1과 실시예 3의 결과를 비교하면, 바닐라 추출물과 치커리 뿌리 추출물이 동시에 첨가될 경우 자외선 차단 효능이 약 19에서 약 53으로 현저히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3. 피부 1차 자극성 시험
상기 비교예 및 실시예에서 제조된 조성물의 피부 자극성을 알아보기 위해 건강한 성인 남녀 50 명의 등 부위에 각 시료를 일정량 (0.2g) 바르고 24 시간 유지시키고, 핀 챔버를 제거하여 4 시간 경과한 후 육안으로 피부 변화를 판독하여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시료 피시험자수 판정 결과 자극도
++ +/-
비교예 1 50 1 3 6 40 0.30
실시예 1 50 - - 1 49 0.02
실시예 2 50 - - 1 49 0.02
실시예 3 50 - - 1 49 0.02
- : 홍반이나 특이한 현상 없음
+/- : 주위보다 약간 붉어짐
+ : 주위보다 현저히 붉어짐
++ : 주위보다 심하게 붉어지고 부풀어 오름
자극도 = [{(+/-)의 수 × 1} + {(+)의 수 × 2} + {(++)의 수 × 3}] / 피시험자 수
표 4의 결과로부터, 일반적인 자외선 차단제의 조성을 갖는 비교예 1의 경우에 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의 경우가 피부에 자극성이 적어 피부 안정성이 우수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자외선 차단성분을 적게 함유하여, 피부에 대한 안전성이 우수하면서도, 홍반 억제를 통한 자외선 차단 효과가 탁월하다.

Claims (9)

  1. 바닐라 추출물 및 치커리 뿌리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 성분을 함유하되,
    상기 치커리 뿌리 추출물은 벤질 알코올, 살리실 알코올, 페닐에틸 알코올, p-아니실 알코올, m-아니실 알코올, 에틸 바닐린, 바닐린 및 cis-아사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바닐라 추출물은 바닐린, 바닐린산, 아니살데히드, 아니식 알코올, p-히드록시벤조익산 및 헤리오트로핀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자외선 차단 성분이 조성물에 0.001 내지 30 중량부의 범위로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식물성 오일, 동물성 오일, 합성 에스테르, 탄화수소 및 실리콘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상 성분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유기 자외선 차단 성분 및 무기 자외선 차단 성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자외선 차단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HLB값이 10 이상인 친수성 유화제 및 HLB값이 10 미만인 친유성 유화제의 혼합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8. 제 7 항에 있어서,
    HLB값이 10 이상인 친수성 유화제 및 HLB값이 10 미만인 친유성 유화제의 혼합비가 중량비로 0.1 내지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9. 제 1 항에 있어서,
    메탈 실리케이트, 산탄검, 셀룰로오스 및 카보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점증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20070050384A 2007-05-23 2007-05-23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08719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0384A KR100871911B1 (ko) 2007-05-23 2007-05-23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0384A KR100871911B1 (ko) 2007-05-23 2007-05-23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3283A KR20080103283A (ko) 2008-11-27
KR100871911B1 true KR100871911B1 (ko) 2008-12-05

Family

ID=40288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0384A KR100871911B1 (ko) 2007-05-23 2007-05-23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19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350993B1 (es) * 2009-06-16 2011-11-02 Apoteknos Para La Piel S.L. Composicion fotoprotectora.
KR101787318B1 (ko) * 2017-04-03 2017-10-1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피페로날(Piperonal)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 보습, 탄력증진, 각질제거, 홍반억제 또는 피부광노화 개선용 조성물
KR20210032145A (ko) * 2019-09-16 2021-03-24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바닐라빈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용 조성물
CN114588139A (zh) * 2022-03-16 2022-06-07 中国农业大学 乙基香兰素在制备抗皮肤光损伤产品中的用途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1604A (ko) * 2001-05-21 2004-03-10 코니스 프랑스, 에스.에이. 화장용 제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1604A (ko) * 2001-05-21 2004-03-10 코니스 프랑스, 에스.에이. 화장용 제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인터넷 자료 http://www.buyking.com/cho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3283A (ko) 2008-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99046B1 (en) Use of a content of catechins or a content of green tea extract in cosmetic preparations for tanning the skin
EP1280505B1 (de) Photostabilisierung von dibenzoylmethan-derivaten
KR101327943B1 (ko) 보석에서 유래하는 광물성 농축물을 기초로 한 조성물
JP2004532790A (ja) サンスクリーンとしてのリスベラトロールの使用
KR100749891B1 (ko) 고형상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0749893B1 (ko) 고형상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20120042397A (ko)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다량 함유한 유중수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EA027023B1 (ru) Фотостабильная солнцезащитная композиция
KR100871911B1 (ko)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US20200038305A1 (en) Sunscreen or Sunblock Composition
WO2020187767A1 (en) Efficient sunscreen compositions with diethylamino hydroxybenzoyl hexyl benzoate and butyl methoxydibenzoylmethane free of octocrylene
KR101054884B1 (ko) 고형상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2638453B1 (ko) 계면활성제 프리 액상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95997B1 (ko) 아프젤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 효능이 향상된 spf 부스터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EP3122321B1 (en) Photostable sunscreen composition for topical application
EP0922447A2 (de) Verwendung von C18-38 -Alkylhydroxystearoylstearat zur Verstärkung des Lichtschutzfaktors und/oder der UV-A-Schutzleistung kosmetischer oder dermatologischer Formulierungen
DE10000840A1 (de) Verwendung eines oder mehrerer NO-Synthasehemmer
KR20090056390A (ko) 자외선차단제를 포함하는 다층상 화장료 조성물
AU2008364312A1 (en) Topical cosmetic skin lightening compositions
KR102172928B1 (ko) 정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 효과가 증가된 화장료 조성물
KR0162282B1 (ko) 대황에서 추출한 스틸벤 유도체를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WO2010059140A1 (en) Topical cosmetic skin lightening compositions
JPH072640A (ja) 紫外線障害防御外用剤
KR20210062218A (ko) 정향 및 미역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 효과가 증가된 화장료 조성물
CN117064781A (zh) 一种安全温和的防晒组合物及其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