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7318B1 - 피페로날(Piperonal)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 보습, 탄력증진, 각질제거, 홍반억제 또는 피부광노화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페로날(Piperonal)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 보습, 탄력증진, 각질제거, 홍반억제 또는 피부광노화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7318B1
KR101787318B1 KR1020170043129A KR20170043129A KR101787318B1 KR 101787318 B1 KR101787318 B1 KR 101787318B1 KR 1020170043129 A KR1020170043129 A KR 1020170043129A KR 20170043129 A KR20170043129 A KR 20170043129A KR 101787318 B1 KR101787318 B1 KR 1017873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piperonal
composition
expression
collag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3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태선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43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73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7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7318B1/ko
Priority to PCT/KR2018/003864 priority patent/WO201818664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페로날(Piperonal)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탄력 증진, 피부 보습 증진, 각질 제거, 홍반 억제 또는 피부광노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에 따른 피페로날은 프로콜라겐 분비량의 증가, 콜라겐 생합성의 촉진, MMPs 유전자의 발현 감소, 엘라스틴(elastin) 유전자의 발현 감소, 홍반 억제 또는 피부 표피층의 비후 억제 효과가 있는 바, 피부 주름 개선, 탄력 증진, 보습 증진, 각질 제거, 홍반 억제 또는 피부광노화 개선에 효과적이다.

Description

피페로날(Piperonal)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 보습, 탄력증진, 각질제거, 홍반억제 또는 피부광노화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Piperonal or as active ingredients for anti-wrinkle, skin moisturizing, improving skin elasticity, exfoliating, inhibiting erythema or improving skin photo-aging}
본 발명은 피페로날(Piperonal) 또는 이의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의료기술의 발달로 평균수명이 연장되고 삶의 질 향상과 건강하고 아름다운 삶에 대한 욕구가 증가함에 따라 피부미용 및 건강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고 있다. 이에 건강한 피부를 유지하고자 하는 목적에 따라 다양한 미용 기능성 화장품이 개발되었으며, 특히 피부 주름형성 예방, 완화와 개선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아울러 최근 화장품의 성분이 피부진피에 도달하여 영양분을 공급하는데 한계가 있고, 식품으로 섭취하여 피부에 영양분 또는 기능성분을 공급하여 피부미용증진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는 인식의 변화가 일어남에 따라 이너뷰티 식품소재들을 발굴하는 연구 또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Chung, S. et al., γ-Linolenic acid in borage oil reverses epidermal hyperproliferation in guinea pigs. J Nutr, 132, 3090-3097, 2002; Tanno, O. et al., Nicotinamide increases biosynthesis of ceramides as well as other stratum corneum lipids to improve the epidermal permeability barrier. Br J Derm, 143, 524-531, 2000).
피부는 크게 표피(epidermis), 진피(dermis), 피하지방(hypodermis)의 세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표피, 특히 표피의 가장 외층인 각질층은 피부장벽의 역할을 함으로서 피부로부터 수분과 전해질 손실되는 것을 억제하는 한편, 진피층은 콜라겐과 엘라스틴 합성을 통하여 피부의 탄력을 유지하고 구조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콜라겐과 엘라스틴은 섬유아세포에서 생성되는 주요 단백질로서 피부의 기계적 견고성, 조직의 결합력 및 탄력성 등에 관여한다(Moskowit, R. W. et al, Role of collagen hydroiysate in bone and joint disease, Semin Arthritis Rheu, 30: 87, 2000). 콜라겐은 형태와 구조적 특징에 따라 다양한 isoform을 구성하며, 사람의 조직에서 총 28가지 콜라겐 isotype이 존재하는데, 이중 피부조직에 존재하는 콜라겐은 타입 1, 3. 4. 6. 7. 13, 14, 17 등이 알려져 있다. 콜라겐 타입 1과 3은 진피층의 세포간질 구성성분을 이루고, 콜라겐 타입 7은 표피와 진피를 연결부위(dermal and epidermal junction)의 주요 구성물질이 된다(Pei, M. et al., Expression of collagen type I, II and III in loose body of osteoarthitis, J. Orthop. Sci., 5: 288, 2000).
피부결합조직에는 세포외기질 단백질 중 타입 I 콜라겐이 가장 많은 양으로 존재하며, 그 밖에 엘라스틴, fibronectin, integrin, fibrillin, 프로테로글리칸 등의 단백질들이 존재한다. 새로이 합성된 프로콜라겐은 효소반응을 거쳐 피부세포의 세포외 공간으로 분비된 후 삼중나선구조(triple helix configuration)의 microfibril을 형성하고, microfibril들은 leucine-rich small proteoglycans과 결합하여 fibril을 형성한다. 결과적으로 이렇게 만들어진 fibril들이 모여 피부의 결합력과 탄력성을 제공하는 콜라겐 섬유를 형성하게 된다(Bateman, J.F. et al., Collagen superfamily. Extracellular matrix, Harwood, New York, 2, 22-26, 1996).
피부노화는 피부 진피조직의 교원질 중 대부분을 차지하는 단백질인 콜라겐 함량이 감소하기 때문으로 알려져 있고, 콜라겐은 피부의 장력과 강도를 부여하기 때문에 콜라겐의 감소는 피부노화 및 주름생성과 매우 깊은 관계를 가지고 있다. 피부노화는 크게 생리학적 노화에 의한 내인성 노화, 그리고 지속적인 자외선(ultraviolet radiation, UV) 노출에 의해 일어나는 광노화로 구분된다. 반복적인 자외선 노출은 콜라겐 분해효소를 증가시키고 콜라겐 섬유의 변성 및 파괴를 유발하여 피부의 탄력을 감소시키고 주름의 생성을 촉진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즉, 지속적으로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조직에는 활성산소종(ROS)의 발생이 증가하고, 후자는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EGF-R), tumor necrosis factor (TNF)-receptor 등에 의해 매개되는 신호전달체계를 통해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성을 촉진시키게 된다(Sachsenmaier, C. et al., Involvement of growth factor receptors in the mammalian UVC response. Cell, 78:963-972, 1994; Dy, L.C. et al., Augmentation of ultraviolet B radiation- induced tumor necrosis factor production by the epidermal platelet- activating factor receptor. J. Biol.Chem.: 274, 26917-2692, 1999), 이들 수용체의 활성화는 결과적으로 MAPK(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를 포함하는 downstream의 신호전달을 매개하는 단백질들을 활성화시키는 연속적인 인산화로 이루어지고, 결과적으로 activator protein-1(AP-1)과 nuclear factor κB(NF-κB)와 같은 전사인자를 활성화시켜 염증반응을 유발하고 matrix metalloproteinase(MMPs)와 같은 콜라겐 분해효소(collagenase)의 활성을 촉진시킴으로써 피부탄력을 감소시키고 주름생성을 촉진시키게 된다(Kang, S. et al., Inflammation and extracellular matrix degradation mediated by activated transcription factors nuclear factor-kB and activator protein-l in Inflammatory acne lesions in vivo. Am J. Pathol., 166: 1691-1699, 2005). AP-1은 세포의 성장과 분화에 관련되는 수많은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고 일부 MMPs의 발현을 강력히 조절한다. AP-1에 의해 발현이 조절되는 MMP 중 MMP-1은 collagenase 1으로 알려져 있으며, 타입 1과 3 콜라겐을 기질로 한다.
본 발명은 피페로날(Piperonal) 또는 이의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등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피페로날(Piperonal) 또는 이의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피페로날은 ⅰ)프로콜라겐(procollagen) 분비량 증가, ⅱ) 기질금속단백질 분해효소(matrixmetalloproteinase, MMP) 유전자 발현 감소, ⅲ) ColⅠα1(collagen type Ⅰ alpha 1), ColⅠα2 또는 Col3α1 발현 증가 또는 ⅳ) 엘라스틴(elastin)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비타민 C, 레티노산, TGF(transforming growth factor), 동물 태반 유래의 단백질, 베툴린산 및 클로렐라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피부주름 개선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피페로날(Piperonal) 또는 이의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 증진, 각질 제거, 홍반 억제 또는 피부광노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피부 표피층의 비후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피부 표피-진피 결합부위의 교원섬유(collagen fiber)망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피페로날(Piperonal)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탄력 증진용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피페로날(Piperonal)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 증진, 각질 제거, 홍반 억제 또는 피부광노화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피페로날(Piperonal)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탄력 증진, 피부 보습 증진, 각질 제거, 홍반 억제 또는 피부 광노화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피페로날은 피부섬유아세포에서 프로콜라겐의 분비를 촉진시킴에 따라, 활성화된 콜라겐의 양을 증가시키고, 피부 진피층에서 교원섬유(collagen fiber)의 양을 증가시키며 콜라겐의 분해를 촉매하는 MMPs 유전자 발현을 억제할 수 있는 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탄력 증진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페로날은 피부 조직의 수분함유량을 증가시키고 수분증발량은 감소시키는 바, 피부 보습 개선 효과가 있으며, 홍반을 억제할 수 있고, 비후해진 피부 표피층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바, 각질 제거 또는 자외선 등에 의한 피부 광노화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사람의 피부섬유아세포에서 프로콜라겐의 분비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2는 실시예 2, 비교예 3 및 4에 따라 제조된 실험식이를 섭취한 마우스의 체중증가량 및 식이 섭취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3은 실시예 2, 비교예 3 및 4에 따라 제조된 실험식이를 섭취한 마우스 피부조직의 수분량, 탄력성 및 홍반지수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4는 실시예 2, 비교예 3 및 4에 따라 제조된 실험식이를 섭취한 마우스의 등 피부조직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5는 실시예 2, 비교예 3 및 4에 따라 제조된 실험식이를 섭취한 마우스 등 피부조직의 주름형성 정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6은 실시예 2, 비교예 3 및 4에 따라 제조된 실험식이를 섭취한 마우스의 피부두께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7은 실시예 2, 비교예 3 및 4에 따라 제조된 실험식이를 섭취한 마우스의 교원섬유(collagen fiber) 양 및 형태 변화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피페로날(Piperonal)을 처리한 무모 마우스의 등 조직에서 콜라겐 및 MMPs 유전자의 발현 변화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피페로날(Piperonal)을 처리한 무모 마우스의 등 조직에서 엘라스틴(Elastin) 유전자의 발현 변화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피페로날이 피부섬유아세포에서 프로콜라겐의 분비를 촉진하고, 피부 진피층에서 교원섬유의 양을 증가시키며, MMPs 유전자의 발현 억제하고, 피부 조직에서 수분함유를 촉진 및 수분 증발을 억제함으로써, 피부 주름 개선, 탄력 증진, 피부 보습 증진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홍반 지수 감소 및 비후해진 피부 표피층의 두께를 감소하여 홍반 억제 및 각질 제거, 피부 광노화 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명세서 내 "피부 주름 개선"은 피부의 주름 및 탄력과 관련된 능력을 유지 또는 강화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피부 진피층의 교원섬유인 콜라겐(collagen)과 탄력섬유인 엘라스틴(elastin)이 그러한 역할을 하는 주요 단백질로서 피부 탄력을 주관하는데, 콜라겐의 생합성은 피부의 내, 외적 영향을 받게 된다. 구체적으로, 피부세포는 자연 노화로 인하여 세포 활성이 감소되면 콜라겐 섬유의 감소가 일어나거나, 또는 외적 요인으로서 자외선의 과량 조사되거나 스트레스 등에 의해 생성된 활성 산소가 단백질의 티올기(thiol: -SH)와 반응하여 효소 활성을 저해하거나, 콜라겐, 엘라스틴 등의 분해 효소의 발현을 증가시켜 피부의 주름을 증가시키고 탄력을 감소시켜 피부 노화가 진행된다.
본 명세서 내 "피부광노화"는 일광노출(자외선)에 의해 피부가 노화되는 생리현상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장기간 동안 태양(자외선)에 노출되면, 얼굴, 목에 깊은 주름을 증가시키고 또 피부의 건조 및 피부 표면이 거칠어지거나 반점, 주근깨 등의 색소침착을 일으킨다.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은 피페로날(Piperonal) 또는 이의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피페로날은 케이퍼(Capparis spinosa Linne, Caper), 녹나무(Cinnamomum camphora, Camphor), 멜론 (Cucumis melo Linn), 송엽초(Galium verum var. asiaticum), 후추(Piper nigrum, Black Pepper), 만향옥 (Polianthes tuberosa, Tuberose), 하이부시블루베리(Vaccinium corymbosum, American blueberry), 바닐라 (Vanilla planifolia, Bourbon vanilla), 향기제비꽃(Viola odorata, Apple leaf) 등의 식물에 함유되어 있는 알칼로이드계 화합물로서, 구조식은 C8H6O3이고, 분자량은 150.13 g/mol 이며,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페로날과 동일한 효능을 갖는 범위 내에서 피페로날 수화물, 피페로날 유도체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이의 용매 화합물이나 입체 이성질체 또한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7032574227-pat00001
상기 피페로날의 수득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피페로날을 함유하고 있는 식물로부터 분리하거나, 공지된 제법을 사용하여 화학적으로 합성하거나 또는 시판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피페로날은 ⅰ)프로콜라겐(procollagen) 분비량 증가, ⅱ) 기질금속단백질 분해효소(matrixmetalloproteinase, MMP) 유전자 발현 감소, ⅲ) ColⅠα1(collagen type Ⅰ alpha 1), ColⅠα2 또는 Col3α1 발현 증가 또는 ⅳ) 엘라스틴(elastin)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부를 구성하는 주 단백질인 콜라겐은 피부진피에 존재하는 섬유아세포에서 프로콜라겐의 형태로 합성된 후 세포외 기질로 분비되는데, 세포외 기질로 분비된 프로콜라겐은 세포표면에 존재하는 procollagen peptidase에 의해 C-말단이 분해되고 활성형 콜라겐으로 전환되므로 C-peptide 함량을 측정하면 활성화된 콜라겐 함량을 측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피페로날은 피부섬유아세포에서 프로콜라겐을 합성을 촉진함으로써, 활성화된 콜라겐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콜라겐 분해를 촉매하는 기질금속단백질 분해효소(matrixmetalloproteinase, MMP)는 포유류에서 23개의 타입이 존재하며 이중 자외선에 의해 증가하는 MMP 타입은 1, 3 및 9번으로 알려져 있고 이들 세가지 타입의 MMPs는 콜라겐 타입 1과 3을 분해하는 효소이다. 구체적으로, MMP-1의 경우, 콜라겐섬유의 중간을 절단하며 MMP-3 및 MMP-9는 상기 절단된 콜라겐섬유를 세분해서 절단하는 역할을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피페로날은 MMPs 유전자의 발현을 유의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콜라겐 섬유의 분해를 억제할 수 있으며, 피부조직에서 콜라겐 단백질의 합성을 증가시킴에 따라, 주름 형성을 억제할 수 있다.
피부의 진피는 교원섬유인 콜라겐과 탄력섬유인 엘라스틴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콜라겐 섬유는 피부 장력 형성과 구조적인 통합을 이루게 하고, 엘라스틴 섬유는 피부 탄력에 관여함으로써 피부 탄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피페로날은 엘라스틴 발현을 촉진함으로써, 피부 탄력 증진 효과를 나타낸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비타민 C, 레티노산, TGF(transforming growth factor), 동물 태반 유래의 단백질, 베툴린산 및 클로렐라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피부주름 개선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비타민 C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피페로날 및 비타민 C를 피부 섬유아세포에 함께 처리하는 경우, 프로콜라겐의 분비가 상기 피페로날 또는 비타민 C를 단독으로 처리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15p% 내지 22p% 증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콜비 공식에 의해 현저한 상승 효과를 입증하였다. 즉, 피페로날은 비타민 C와 함께 사용하는 경우,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피부섬유아세포에서 프로콜라겐의 분비가 증가함에 따라 활성화된 콜라겐의 양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피페로날의 용량은 0.1 μM 내지 1000 μM의 농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피페로날이 상기 농도 범위 미만인 경우, 프로콜라겐 합성 및 콜라겐 분해를 촉매하는 MMPs 유전자 발현의 억제가 저하되어,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탄력 증진의 효과를 발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상기 농도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세포독성을 포함한 독성의 우려사항이 있을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피페로날은 프로콜라겐 분비를 촉진함으로써, 활성화된 콜라겐의 양을 증가시키고, 콜라겐 분해를 촉매하는 MMPs 유전자의 발현을 감소시키며, 엘라스틴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킴에 따라, 피부 주름을 예방하거나 완화할 수 있으며, 피부 탄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페로날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며 피부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와 함께 기초 화장품 조성물(화장수, 크림, 에센스, 클렌징 폼 및 클렌징 워터와 같은 세안제, 팩, 보디오일), 색조 화장품 조성물(화운데이션, 립스틱, 마스카라, 메이크업 베이스), 두발 제품 조성물(샴푸, 린스, 헤어컨디셔너, 헤어젤) 및 비누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부형제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예를 들어, 피부연화제, 피부 침투 증강제, 착색제, 방향제, 유화제, 농화제 및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향료, 색소, 살균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및 보습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물성개선을 목적으로 점증제, 무기염류, 합성 고분자 물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로 세안제 및 비누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통상의 세안제 및 비누 베이스에 상기 피페로날물을 첨가하여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크림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인 수중유적형(O/W)의 크림베이스에 피페로날 또는 이의 염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여기에 향료, 킬레이트제, 색소, 산화방지제, 방부제 등과 물성개선을 목적으로 한 단백질, 미네랄, 비타민 등 합성 또는 천연소재를 추가로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되는 피페로날의 함량은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전체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1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01 내지 5 중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함량이 0.001 중량% 미만에서는 목적하는 항노화 또는 주름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10 중량% 초과에서는 안전성 또는 제형상의 제조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탄력 증진용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
본 발명은 피페로날(Piperonal)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탄력 증진용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피페로날의 구체적인 내용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탄력 증진용 건강기능식품에 있어서, 상기 피페로날을 건강기능식품의 첨가물로 사용하는 경우 이를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예방, 건강 또는 치료 등의 각 사용 목적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할 수 있다.
건강기능식품의 제형은 산제, 과립제, 환, 정제, 캡슐제의 형태뿐만 아니라 일반 식품 또는 음료의 형태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콜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식품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에 상기 피페로날은 원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첨가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은 천연물로부터의 분획물을 이용하는 점에서 안전성 면에서 문제가 없으므로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기능식품 중 음료는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일 수 있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 100 mL당 약 0.01 ~ 0.04 g, 바람직하게는 약 0.02 ~ 0.03 g일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탄력 증진용 건강기능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를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수면 개선용 조성물은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제한되지 않으나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100 중량부 대비 0.01 ~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피부 보습 증진, 각질 제거, 홍반 억제 또는 피부광노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은 피페로날(Piperonal) 또는 이의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 증진, 각질 제거, 홍반 억제 또는 피부광노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피페로날의 구체적인 내용은 전술한 바와 같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피부조직의 수분함유량을 증가시키고, 수분증발량을 감소시킴으로써, 피부 보습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홍반 지수를 감소시킴으로써 홍반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피부 표피층의 비후를 억제하고, 피부 표피-진피 결합부위의 교원섬유(collagen fiber)망의 손상을 억제함으로써 피부광노화를 개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외선 등에 의한 광노화가 진행되면 피부 진피층을 보호하기 위해 각질층의 형성이 증가하여 피부가 두꺼워진다. 따라서 자외선 조사에 의해 피부 표피층의 두께가 두꺼워졌다는 것은 광노화에 의한 피부손상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외선을 조사한 마우스의 피부두께 변화를 확인한 결과, 자외선 조사에 의해 피부두께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상기 자외선 조사한 마우스에 피페로날이 포함된 실험식이를 섭취시킴으로써, 피부두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피페로날은 자외선 조사에 의해 비후해진 표피층의 두께를 감소시킴으로써, 피부광노화를 개선할 수 있다.
상기 피페로날의 용량은 0.1 μM 내지 1000 μM의 농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피페로날이 상기 농도 범위 미만인 경우, 피부조직의 수분함유량 증가를 억제하고 수분증발량을 증가시키며, 피부 표피층의 비후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없는 바, 피부 보습, 각질 제거, 홍반 억제 또는 피부광노화 개선의 효과를 발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상기 농도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세포독성을 포함한 독성의 우려사항이 있을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피페로날은 피부 조직 내 수분을 효과적으로 유지하고, 홍반 지수를 감소시키며, 피부 표피층의 두께가 비후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피부 보습 및 각질 제거를 촉진하고, 홍반을 억제하며 피부광노화를 개선시킬 수 있다.
피부 보습 증진, 각질 제거, 홍반 억제 또는 피부광노화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
본 발명은 피페로날(Piperonal)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 증진, 각질 제거, 홍반 억제 또는 피부광노화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피페로날의 구체적인 내용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준비예 ]
준비예 1.
사람피부섬유아세포(normal human dermal fibroblasts, neonatal foreskin)를 ATCC사(Manassas, VA, USA)로부터 구매하였고, 구입한 세포를 fibroblast growth medium(Promo Cell, Heidelberg)을 이용하여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준비예 2.
5주령 수컷 알비노 무모 생쥐(Skh-1)를 오리엔트바이오(Gyeonggi-do, Korea)에서 구입하여 고형사료로 1주일간 적응기간을 거쳤다. 실험동물은 4개 군으로 분류하여 군별로 5 마리씩 배정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사육 기간 동안 사료와 물을 자유로이 섭취하도록 하였으며, 온도는 22 ± 1℃, 습도는 60 ± 5%로 유지하고 매일 광주기와 암주기가 12시간이 되도록 조절하였다.
[ 실시예 ]
실시예 1. Procollagen Type I C-peptide(PIP) 농도 측정
준비예 1의 사람피부섬유아세포를 12 well-plate에 1.0×106 cells/well 씩 분주하여 피페로날(PN) 100 μM의 농도로 첨가하여 24시간동안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각 well의 배지를 제거한 후 PBS로 1회 세척하고 다시 1 ml의 PBS를 넣은 후 20 mJ/cm2 조건으로 ultraviolet B(UVB)를 조사하였다. 각 well의 PBS를 다시 배지로 교체하여 24시간동안 배양한 후, procollagen type ⅠC-peptide EIA kit(Takara Bio, Japan)를 이용하여 배지로 분비된 프로콜라겐 양을 측정하였다. 콜라겐 측정 키트에 포함된 표준용액을 농도별로 희석하고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표준농도 곡선을 작성하고 콜라겐 생성량을 산정하였다.
비교예 1.
비타민 C 100 μM 을 처리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비교예 2.
피페로날 100 μM 및 비타민 C 100 μM 을 처리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자외선을 조사한 대조세포(+UVB)의 경우, 정상세포(-UVB)에 비해 프로콜라겐 분비량이 현저히 감소하였고, 실시예 1의 경우, 자외선만 조사한 대조세포(+UVB)에 비해 콜라겐 양이 20%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비교예 2의 경우, 자외선 조사 대조세포(+UVB)에 비해 콜라겐 양이 42%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이는 비교예 1 또는 실시예 1에서 관찰된 콜라겐 양보다 더 높은 수치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피페로날은 콜라겐을 안정시키고 촉진하는 등의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비타민 C와 유사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피페로날을 비타민 C와 함께 사용할 경우, 프로콜라겐의 분비를 촉진함에 따라, 활성화된 콜라겐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실시예 2. 피페로날이 첨가된 정제식이 섭취
준비예 2의 마우스에 AIN-93 rodent diet 구성(Reeves, PG et al., J Nutr, 123:1939-1951, 1993)에 준하여 조제된 정제식이에 0.2% Piperonal (Sigma-Aldrich)를 첨가하여 제조된 식이를 10주간, 매일 오전 10~11시 사이 물과 함께 공급하였으며, 상기 AIN-93 rodent diet의 조성을 하기 표 1에 나타냈다.
실험사육기간 동안 무모생쥐의 등 부분에 ultraviolet B (UVB)를 주 3회 조사하였으며 자외선 조사량은 처음 1주 동안은 100 mJ/cm2, 2주째는 200 mJ/cm2, 3주부터 10주까지는 300 mJ/cm2로 조사하였다.
실험사육 마지막 날 실험동물을 6시간 공복시키고 마취한 상태에서 혈액과 등 피부조직을 채취하였다. 혈액시료는 주사기로 복부 하대정맥에서 채취하여 EDTA가 코팅된 튜브에 담고 2,000 xg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한 후 혈장을 분리하여 분석 시까지 -70℃에서 냉동보관하였다. 등 피부조직의 일부는 즉시 -70℃ 냉동고에 보관한 후 분자생물학적 검사에 사용하였고, 일부는 10% 포르말린 용액에 고정하여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에 사용하였다.
비교예 3.
3-1) AIN-93 rodent diet 구성에 준하여 조제된 정제식이를 공급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3-2) ultraviolet B (UVB)를 조사하지 않았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비교예 3-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비교예 4.
AIN-93 정제식이에 0.2% 비타민 C(Sigma-Aldrich)를 첨가하여 제조된 식이를 공급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성분 AIN- 93G식이
(g/kg diet)
피페로날보충식이 ( PN )
(g/kg diet)
비타민C 보충식이(VitC)
(g/kg diet)
카제인 200 200 200
말토덱스트린 132 132 132
옥수수 전분 397.486 395.486 395.486
수크로오스 100 100 100
셀룰로오스 50 50 50
콩기름 70 70 70
비타민 복합물 10 10 10
미네랄 복합물 35 35 35
콜린 비타르트레이트 2.5 2.5 2.5
L-시스틴 3 3 3
Tert-부티하이드로퀴논 0.014 0.014 0.014
Piperonal - 2 -
Vitamin C - - 2
총합(g) 1,000 1,000 1,000
실험예 1. 무모 생쥐의 체중 및 식이 섭취량 변화
상기 실시예 2, 비교예 3 및 4의 마우스에 대하여 체중 및 식이 섭취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피페로날 및 비타민 C 섭취는 상기 마우스의 체중 및 십이 섭취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피부 보습, 탄력성 및 홍반지수 측정
상기 실시예 2, 비교예 3 및 4의 마우스에 대하여 Corneometer®, Tewameter®, Cutometer®, Mexameter® (CK Electronics GmbH)을 이용하여 피부 수분함유량, 수분증발량, 탄력성 및 홍반지수를 실험 종료일에 1회 측정하였다. 측정 시 실험동물 등의 일정한 부분을 가볍게 눌러서 나타나는 수치를 기록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10주 동안 자외선을 조사받은 비교예 3-1)의 경우, 자외선을 조사받지 않은 비교예 3-2)의 경우와 비교하여, 피부조직의 수분함유랑 및 탄력성은 유의하게 감소한 한편, 수분증발량 및 홍반지수는 유의하게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2의 경우, 같은 세기의 UV가 조사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비교예 3-1)에 비해 수분함유랑 및 탄력성은 각기 60% 및 31%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수분증발량 및 홍반지수는 각각 57% 및 34% 유의하게 감소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등 피부조직의 주름 측정
10주 동안 자외선 조사를 실시한 실시예 2, 비교예 3-1 및 4 마우스의 피부를 실리콘 고무로 모사판을 제작하여 주름의 형성 정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마우스의 등 부분에 지름이 1 cm가 되는 원모양의 구멍이 있는 디스크를 부착하고 모사판 제작용 시약을 혼합하여 무모 생쥐의 등 부분에 얇게 펴 바르고 완전히 말린 다음 디스크를 조심스럽게 떼어내어 모사판을 제작하였다. 모사판의 제작 온도는 20 ~ 23 ℃, 습도 45 ~ 50%의 항온항습 상태에서 실시하였으며, 모사판 제작용 실리판 고무 인상재(Epigem, Seoul, Korea)를 사용하였다. 제작한 모사판의 분석은 컴퓨터 영상분석기(Visioline VL650, CK electronic GmbH, Germany)을 사용하여 주름의 총면적(total wrinkle area), 최대 주름깊이(max wrinkle depth), 주름 평균깊이(mean depth) 및 평균길이(mean length) 등의 4가지 주름지표 항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예 3-1)의 경우, 자외선을 조사받지 않은 비교예 3-2)에 비해 굵고 깊게 패인 주름과 함께 잔주름이 형성된 것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실시예 2의 경우, 같은 세기의 UV가 조사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비교예 3-1)의 경우에 비해 깊은 주름이 거의 사라지는 등, 주름의 굵기와 깊이가 현저히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컴퓨터 영상분석기를 이용하여 모사판에서 주름형성 정도를 수치화 한 결과에서도 실시예 2의 경우 비교예 3-1)의 경우에 비해 총 주름면적, 평균 주름깊이, 최대 주름깊이 및 평균 주름길이가 각각 78%, 29%, 61% 및 50%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이와 같은 피페로날의 주름개선 효능은 비타민C에서 관찰된 주름개선효능과 유사하거나 더 좋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피페로날의 섭취는 자외선조사에 의한 주름생성을 현저히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피부두께 변화
(1) 등 피부두께 변화 측정
상기 실시예 2, 비교예 3 및 4 마우스 엉덩이 부분의 피부두께를 디지털 마이크로 캘리퍼(Marathon Watch Company Ltd, Ontario, Canad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할 때 사용된 캘리퍼는 0.01mm까지 측정 가능하며 두께에 일정한 힘을 가할 수 있는 조절기능을 갖추고 있어 같은 힘을 준 상태에서 피부의 두께 측정이 가능하였다.
그 결과, 도 6a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예 3-1)의 경우, 자외선을 조사받지 않은 비교예 3-2)의 경우와 비교하여, 피부두께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실시예 2의 경우, 비교예 3-1)에 비해 피부두께가 21% 유의하게 감소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피부조직의 면역조직화학적 염색
상기 실시예 2, 비교예 3 및 4 마우스의 등 피부 조직을 적출하고 10% 포르말린에 고정하였다. 이후, 한국 CFC (경기도, 한국)에 의뢰하여 Hematoxylin and eosin(H&E) 염색을 한 뒤 광학현미경 (IX71, Olympus, JPN)을 이용하여 관찰하고, digital camera (DP71, Olympus, JPN)를 이용하여 사진을 촬영하였다.
그 결과, 도 6b에 나타나 바와 같이, 비교예 3-1)의 경우, 자외선을 조사받지 않은 비교예 3-2) 에 비해 피부 표피층이 비후해진 것이 관찰되었고, 실시예 2의 경우 자외선 조사에 의해 비후해진 표피층의 두께가 현저히 감소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5. 진피층 내 교원섬유(collagen fiber)의 양 및 형태 변화
Masson's trichrome(M&T) 염색을 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험예 4-(2)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그 결과,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예 3-2)의 경우, 표피 밑의 진피층에서 aniline blue에 강하게 염색된 교원섬유가 관찰되었으나, 비교예 3-1)의 경우, 교원섬유가 aniline blue에 의해 미약하게 염색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2의 경우, 비교예 3-1)과 비교하여, 진피층에서 교원섬유의 밀도가 상대적으로 조밀하고 배열이 규칙적이었으며, aniline blue에 의한 염색정도도 더 강하여 비교예 3-2)에 가까운 양상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6. 마우스 피부조직의 유전자 발현 변화
상기 실시예 2, 비교예 3 및 4 마우스의 등 피부조직 0.1 g 당 Trizol 용액 1 ml을 첨가하여 조직을 분쇄한 후, 4℃, 12,000 × g에서 10분간 원심분리 하였다. 상층액을 새 튜브로 옮긴 후 chloroform 200 ㎕을 첨가하고, vortex하였다. 이 과정을 두 번 반복한 다음, 상층액을 새 튜브로 옮긴 후 isoprophanol과 상층액을 1:1 비율로 첨가하였다. 10회 세게 흔든 다음 실온에서 15분 동안 방치한 후, 12,000 ×g, 4℃에서 10분간 원심분리 시킨 후 상층액을 제거하고, 남은 침전물에 70% ethanol 1 ml을 가한 후 7,500 × g, 4℃에서 5분 동안 원심분리 하였다. 이후, 에탄올을 제거하고 RNA 침전물이 담긴 튜브를 실온에서 15분 동안 건조시킨 후, nuclease free water를 사용하여 RNA pellet을 용해시켰다. UV/VIS spectrophotometer(Beckman coulter, DU730)를 이용하여 260 nm 및 280 nm 파장에서 추출된 RNA 시료의 농도를 측정하고, agarose gel electrophoresis를 실시하여 RNA 시료의 integrity를 확인하였다.
등 피부조직에서 추출된 RNA 시료를 대상으로 oligo dT primer와 superscript reverse transcriptase (GIBCO BRL, Gaithersburg, MD, USA)을 이용하여 reverse transcription을 수행함으로써 cDNA를 합성하였다. Reverse transcription을 통해 얻은 cDNA를 template로 하고 증폭하고자 하는 유전자 cDNA의 5‘과 3’ flanking sequence를 primer로 사용하여 PCR을 수행하였으며, 이때 사용된 primer sequence를 하기 표 2에 나타냈다. 증폭된 PCR 산물 1 ㎕를 1% agarose gel에 전기영동 하여 DNA band를 확인하였다.
Gene description Primers Sequences (5’→3') Annealing
temperature
(℃)
PCR
product
(bp)
Collagen type Ⅰ alpha 1 (Col1α1) F ggcaacagtcgcttcaccta 55 164
R agtccgaattcctggtctgg
Collagen type Ⅰ alpha 2 (Col1α2) F cggttctgttggtcctgttg 55 103
R acccctgtgccctttatcac
Collagen type Ⅲ alpha 1 (Col3α1) F taaccaaggctgcaagatgg 55 104
R accagtgcttacgtgggaca
Matrix metallopeptidase 1a (MMP-1a) F ccctgtgtttcacaacggag 55 133
R cctcagcttttcagccatca
Matrix metallopeptidase 1b (MMP-1b) F tttgctcatgcttttctgcc 55 146
R gaatgggagagtccaaggga
Matrix metallopeptidase 3 (MMP-3) F tgctggtatggagcttctgc 55 142
R catctccaacccgaggaact
Matrix metallopeptidase 9 (MMP-9) F gtggaccatgaggtgaacca 55 102
R actgcacggttgaagcaaag
Elastin F tagggtgcaaagggttgtgt 60 193
R ccaaagagcacaccaacaatca
Glyceraldehyde 3-phosphate dehydrogenase (GAPDH) F ggagattgttgccatcaacg 55 122
R tgacaagcttcccattctcg
그 결과,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예 3-1)의 경우, 비교예 3-2)의 경우와 비교하여 피부조직의 콜라겐 타입 1α1, 1α2, 및 콜라겐 타입 3α1의 발현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MMP-1a 및 -1b, MMP-3, 그리고 MMP-9 유전자 발현은 유의하게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실시예 2의 경우 비교예 3-1)의 경우와 비교하여 콜라겐 타입 1α1, 1α2, 및 콜라겐 타입 3α1의 발현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MMP-1a, MMP-1b, MMP-3, 및 MMP-9 유전자 발현은 유의하게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피페로날은 피부조직의 콜라겐 단백질 합성을 증가시키고 콜라겐 섬유의 분해를 저해함으로써 자외선조사에 의한 주름형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예 3-1)의 경우, 자외선을 조사받지 않은 비교예 3-2)에 비해 엘라스틴 발현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실시예 2의 경우, 비교예 3-1)에 비해 엘라스틴 발현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을 뿐만 아니라, 비교예 4와 비교하였을 때도, 뛰어난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피페로날은 엘라스틴 발현 촉진을 통해 피부 탄력 증진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하기에 본 발명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피페로날 20 ㎎
유당수화물 100 ㎎
탈크 10 ㎎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피페로날 10 ㎎
옥수수전분 100 ㎎
유당수화물 100 ㎎
스테아르산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피페로날 10 ㎎
미결정셀룰로오스 3 ㎎
유당수화물 14.8 ㎎
스테아르산마그네슘 0.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캅셀제의 제조방법에 다라서 젤라틴캡슐에 충전하여 캅셀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피페로날 10 ㎎
만니톨 180 ㎎
주사용 멸균 증류수 2974 ㎎
인산일수소나트퓸 26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앰플당(2mL)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하였다.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피페로날 10 ㎎
이성화당 10 ㎎
만니톨 5 ㎎
정제수 적량
레몬향 적량
상기의 성분을 통상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mL로 조절한 후 멸균시켜 갈색병에 충진하여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6: 건강기능식품의 제조
피페로날 10 ㎎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드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B1 0.13 ㎎
비타민 B2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3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7: 건강음료의 제조
피페로날 10 mg
비타민 C 15 g
비타민 E(분말) 100 g
젖산철 19.75 g
산화아연 3.5 g
니코틴산아미드 3.5 g
비타민 A 0.2 g
비타민 B1 0.25 g
비타민 B2 0.3 g
정제수 정량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 시간 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ℓ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이나,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하기에 본 발명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조예 1: 영양화장수(밀크로션)
본 발명의 피페로날 2.0 중량%
스쿠알란 5.0 중량%
밀납 4.0 중량%
폴리솔베이트60 1.5 중량%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1.5 중량%
유동파라핀 0.5 중량%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5.0 중량%
글리세린 3.0 중량%
부틸렌글리콜 3.0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3.0 중량%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중량%
트리에탄올아민 0.2 중량%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to 100 중량%
상기의 배합비는 비교적 영양화장수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적인 화장품 분야에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제조예 2: 유연화장수(스킨로션)
발명의 피페로날 2.0 중량 %
글리세린 3.0 중량 %
부틸렌글리콜 2.0 중량 %
프로필렌글리콜 2.0 중량 %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중량 %
PEG 12 노닐페닐에테르 0.2 중량 %
폴리솔베이트80 0.4 중량 %
에탄올 10.0 중량 %
트리에탄올아민 0.1 중량 %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to 100 중량 %
상기의 배합비는 비교적 유연화장수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적인 화장품 분야에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제조예 3: 영양크림
본 발명의 피페로날 2.0 중량 %
폴리솔베이트60 1.5 중량 %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중량 %
PEG60 경화피마자유 2.0 중량 %
유동파라핀 10 중량 %
스쿠알란 5.0 중량 %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5.0 중량 %
글리세린 5.0 중량 %
부틸렌글리콜 3.0 중량 %
프로필렌글리콜 3.0 중량 %
트리에탄올아민 0.2 중량 %
방부제 적량
색소 적량
향료 적량
정제수 to 100 중량 %
상기의 배합비는 비교적 영양크림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적인 화장품 분야에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제조예 4: 마사지크림
본 발명의 피페로날 1.0 중량 %
밀납 10.0 중량 %
폴리솔베이트60 1.5 중량 %
PEG 60 경화피마자유 2.0 중량 %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8 중량 %
유동파라핀 40.0 중량 %
스쿠알란 5.0 중량 %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4.0 중량 %
글리세린 5.0 중량 %
부틸렌글리콜 3.0 중량 %
프로필렌글리콜 3.0 중량 %
트리에탄올아민 0.2 중량 %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to 100 중량 %
상기의 배합비는 비교적 마사지크림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적인 화장품 분야에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제조예 4: 팩
발명의 피페로날 1.0 중량 %
폴리비닐알콜 13.0 중량 %
소듐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0.2 중량 %
글리세린 5.0 중량 %
알란토인 0.1 중량 %
에탄올 6.0 중량 %
PEG 12 노닐페닐에테르 0.3 중량 %
폴리솔베이트60 0.3 중량 %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to 100 중량 %
상기의 배합비는 비교적 팩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적인 화장품 분야에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제조예 6: 젤
본 발명의 피페로날 0.5 중량 %
에틸렌디아민초산나트륨 0.05 중량 %
글리세린 5.0 중량 %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3 중량 %
에탄올 5.0 중량 %
PEG 60 경화피마자유 0.5 중량 %
트리에탄올아민 0.3 중량 %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to 100 중량 %
상기의 배합비는 비교적 젤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적인 화장품 분야에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배합비는 비교적 화장료 조성물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외의 색채 화장품을 포함하는 다양한 용도의 화장품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이고, 그 효능에 따라 인체에 얇게 도포하여 바를 수 있는 약제 즉, 연고로 제조에 이용될 수 있으며 수요계층이나,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Claims (8)

  1. 피페로날(Piperonal) 또는 이의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ⅰ)프로콜라겐(procollagen) 분비량 증가, ⅱ) 기질금속단백질 분해효소(matrixmetalloproteinase, MMP) 유전자 발현 감소, ⅲ) ColⅠα1(collagen type Ⅰ alpha 1), ColⅠα2 또는 Col3α1 발현 증가 또는 ⅳ) 엘라스틴(elastin)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비타민 C, 레티노산, TGF(transforming growth factor), 동물 태반 유래의 단백질, 베툴린산 및 클로렐라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피부주름 개선 성분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4. 피페로날(Piperonal) 또는 이의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 증진 또는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표피층의 비후를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 증진 또는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표피-진피 결합부위의 교원섬유(collagen fiber)망의 손상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 증진 또는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7. 피페로날(Piperonal)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ⅰ)프로콜라겐(procollagen) 분비량 증가, ⅱ) 기질금속단백질 분해효소(matrixmetalloproteinase, MMP) 유전자 발현 감소, ⅲ) ColⅠα1(collagen type Ⅰ alpha 1), ColⅠα2 또는 Col3α1 발현 증가 또는 ⅳ) 엘라스틴(elastin)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탄력 증진용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
  8. 피페로날(Piperonal)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 증진 또는 각질 제거용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



KR1020170043129A 2017-04-03 2017-04-03 피페로날(Piperonal)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 보습, 탄력증진, 각질제거, 홍반억제 또는 피부광노화 개선용 조성물 KR1017873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3129A KR101787318B1 (ko) 2017-04-03 2017-04-03 피페로날(Piperonal)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 보습, 탄력증진, 각질제거, 홍반억제 또는 피부광노화 개선용 조성물
PCT/KR2018/003864 WO2018186641A1 (ko) 2017-04-03 2018-04-02 피페로날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 보습, 탄력증진, 각질제거, 홍반억제 또는 피부광노화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3129A KR101787318B1 (ko) 2017-04-03 2017-04-03 피페로날(Piperonal)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 보습, 탄력증진, 각질제거, 홍반억제 또는 피부광노화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7318B1 true KR101787318B1 (ko) 2017-10-18

Family

ID=60296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3129A KR101787318B1 (ko) 2017-04-03 2017-04-03 피페로날(Piperonal)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 보습, 탄력증진, 각질제거, 홍반억제 또는 피부광노화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87318B1 (ko)
WO (1) WO2018186641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86641A1 (ko) * 2017-04-03 2018-10-1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피페로날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 보습, 탄력증진, 각질제거, 홍반억제 또는 피부광노화 개선용 조성물
KR20190115155A (ko) * 2018-03-30 2019-10-11 농업회사법인(주)제주우다 녹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20230034582A (ko) * 2021-09-03 2023-03-10 스노우화이트팩토리(주) 아네모시스 켈리포니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탄력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79564B2 (ja) * 2004-03-16 2010-11-10 花王株式会社 シワ改善剤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47691A1 (de) * 1998-10-15 2000-04-20 Nestle Sa Verwendung von Piperonal als entzündungshemmender Zusatz zu Kosmetika und Arzneimitteln
TWI312687B (en) * 2005-04-21 2009-08-01 Kao Corporatio Skin lotion and wrinkle improving agent
KR100871911B1 (ko) * 2007-05-23 2008-12-0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EP3090726B1 (en) * 2015-12-21 2019-05-29 Thiocyn GmbH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 combination of active substances
KR101787318B1 (ko) * 2017-04-03 2017-10-1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피페로날(Piperonal)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 보습, 탄력증진, 각질제거, 홍반억제 또는 피부광노화 개선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79564B2 (ja) * 2004-03-16 2010-11-10 花王株式会社 シワ改善剤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86641A1 (ko) * 2017-04-03 2018-10-1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피페로날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 보습, 탄력증진, 각질제거, 홍반억제 또는 피부광노화 개선용 조성물
KR20190115155A (ko) * 2018-03-30 2019-10-11 농업회사법인(주)제주우다 녹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102121302B1 (ko) * 2018-03-30 2020-06-11 농업회사법인(주)제주우다 녹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20230034582A (ko) * 2021-09-03 2023-03-10 스노우화이트팩토리(주) 아네모시스 켈리포니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탄력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2557358B1 (ko) 2021-09-03 2023-07-19 스노우화이트팩토리(주) 아네모시스 켈리포니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탄력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86641A1 (ko) 2018-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2389B1 (ko) 이오논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습 개선, 피부각질 제거, 피부탄력 증진, 홍반 억제, 피부주름 개선 또는 피부광노화 개선 효과를 갖는 조성물
KR101759650B1 (ko) 오시멘(Ocimene)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 보습, 탄력증진, 각질제거, 홍반억제 또는 피부광노화 개선용 조성물
KR101712608B1 (ko) α-테르피네올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951559B1 (ko) 시나핀산(Sinapinic acid)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 보습, 탄력증진, 각질제거, 홍반억제 또는 피부광노화 개선용 조성물
KR101787318B1 (ko) 피페로날(Piperonal)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 보습, 탄력증진, 각질제거, 홍반억제 또는 피부광노화 개선용 조성물
KR101777992B1 (ko) 자스몬(Jasmone)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 보습, 탄력증진, 각질제거, 홍반억제 또는 피부광노화 개선용 조성물
KR101796866B1 (ko) 시멘, 베헨산, 2-메톡시나프탈렌, 티몰 및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습 개선, 피부각질 제거, 피부탄력 증진, 홍반 억제, 피부주름 개선 또는 피부광노화 개선 효과를 갖는 조성물
KR101787319B1 (ko) 신코닌(Cinchonine)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 보습, 탄력증진, 각질제거, 홍반억제 또는 피부광노화 개선용 조성물
KR20160123732A (ko) 아티초크 추출물 및 콜리플라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15294B1 (ko) 디오스민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습 개선, 피부각질 제거, 피부탄력 증진, 홍반 억제, 피부주름 개선 또는 피부광노화 개선 효과를 갖는 조성물
KR101777544B1 (ko) 요놀(Ionol)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 보습, 탄력증진, 각질제거, 홍반억제 또는 피부광노화 개선용 조성물
KR101721022B1 (ko) 아디프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개선 및 피부탄력증진용 조성물
KR101453258B1 (ko) 발효홍삼, 동과자 및 아피오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용증진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JP6055667B2 (ja) 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
KR101958105B1 (ko) 구아일 아세테이트(Guaiyl acetate)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 보습, 탄력증진, 각질제거, 홍반억제 또는 피부광노화 개선용 조성물
KR101993575B1 (ko) 테트라데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 피부보습 개선 또는 탄력 증진용 조성물
KR101947914B1 (ko) DL-멘톨(DL-menthol)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 보습, 탄력증진, 각질제거, 홍반억제 또는 피부광노화 개선용 조성물
KR20210134589A (ko) 분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60114018A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8754A (ko) 카다베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습 개선, 피부각질 제거, 피부탄력 증진, 홍반 억제, 피부주름 개선 또는 피부광노화 개선 효과를 갖는 조성물
KR101742219B1 (ko) 수베르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습 개선, 피부각질 제거, 피부탄력 증진, 홍반 억제, 피부주름 개선 또는 피부광노화 개선 효과를 갖는 조성물
KR101720712B1 (ko) 레비스틸라이드 a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60020242A (ko) 파르테노리드를 포함하는 흑화, 탄력, 주름개선, 또는 보습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KR101701502B1 (ko) 데칸알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습 개선, 피부각질 제거, 피부탄력 증진, 홍반 억제, 피부주름 개선 또는 피부광노화 개선 효과를 갖는 조성물
KR102526200B1 (ko) 데쿠시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 및 미백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