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0712B1 - 레비스틸라이드 a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레비스틸라이드 a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0712B1
KR101720712B1 KR1020160003251A KR20160003251A KR101720712B1 KR 101720712 B1 KR101720712 B1 KR 101720712B1 KR 1020160003251 A KR1020160003251 A KR 1020160003251A KR 20160003251 A KR20160003251 A KR 20160003251A KR 101720712 B1 KR101720712 B1 KR 1017207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weight
formula
compoun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3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주연
추정하
이소영
진무현
이상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0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07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isosorbide
    • A61K31/34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isosorbide condensed with a carbocyclic ring, e.g. coumaran, bufuralol, befunolol, clobenfurol, amiodar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비스틸라이드 A를 포함하는 화장료, 약학적 또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레비스틸라이드 A의 피부 미백, 항산화, 항염증, 피부 보습 개선, 피부 주름 개선, 피부 재생 능력 개선, 및/또는 피부 탄력 증진 용도를 이용하는 것으로, 이러한 용도를 주목적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피부 외용제, 화장료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으로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뛰어난 미백, 항산화, 항염증, 피부 보습 개선, 피부 주름 개선, 피부 재생 능력 개선, 피부 탄력 증진 효능을 가질 뿐만 아니라 인체에 부작용이 없다.

Description

레비스틸라이드 A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comprising levistilide A}
본 발명은 피부 상태의 개선에 우수한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피부 미백, 항산화, 항염증, 피부 보습 개선, 피부 주름 개선, 피부 재생 능력 개선, 또는 피부 탄력 증진 효과를 가진 화장료 조성물, 약학 조성물 또는 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희고 고운 피부를 갖고자 하는 것은 일반적인 소망이다. 피부 색과 관련하여, 사람의 피부 색은 피부 내 멜라닌(melanin) 농도와 분포에 의해 결정되며, 이러한 멜라닌의 농도와 분포는 유전적으로 결정될 뿐만 아니라 피로, 스트레스, 및 자외선과 같은 환경적 혹은 생리적 조건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게 된다고 알려져 있다. 멜라닌은 아미노산의 일종인 티로신(tyrosine)에 티로시나제(tyrosinase)라는 효소가 촉매로 작용하여 도파(DOA) 및 도파퀴논(dopaquinone)으로 순차적으로 바뀐 후, 비효소적인 산화반응을 거쳐 만들어진다.
한편, 기존에 알려진 미백 성분으로는 티로시나제 효소활성을 억제하는 알부틴(arbutin), 코지산(kojic acid) 등과 같은 물질이 있으며, 또한 하이드로퀴논 (hydroquinone), 비타민-C(L-ascorbic acid) 및 이들의 유도체, 그리고 각종 식물 추출물이 미백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들 물질은 체외 실험 시 멜라닌 색소의 합성을 저해하여, 피부 미백 실현뿐만 아니라 기미나 주근깨 등의 피부 과색소 침착증의 개선 가능성을 보였다. 그러나 이들을 피부에 적용하였을 때, 자극, 발적 등의 피부 안전성의 문제로 사용량의 제한이 있거나, 효과가 미미하여 실질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생체 외부로부터 유입되거나, 생체 내에서 발생하는 활성 산소는 생체의 노화를 촉진시키거나, 암을 발생시키는 등 많은 문제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활성 산소에 의한 산화를 억제하는 항산화 물질에 대한 개발 및 연구가 많이 이루어 지고 있다. 항산화 물질은 동·식물계에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과일과 채소에 많은 페놀성 화합물, 플라보노이드, 토코페롤, 비타민 C, 셀레늄 등이 알려져 있다. 다만, 천연에 존재하는 항산화 물질은 피부 적용 시 실질적으로 충분한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항산화력이 뛰어나고 가격이 저렴한 합성 항산화제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인체 부작용 등 안전성에 대한 우려로 그 사용이 제한된다.
또한, 염증은 상처나 질병에 반응하는 인체의 면역 반응으로, 자외선이나 활성산소, 자유라디칼 등의 산화적 스트레스 등이 염증성 인자를 활성화시켜 발생하며, 이러한 염증은 각종 질병 및 피부의 노화를 일으킨다. 혈관 활성 폴리펩타이드인 키닌(kinin), 플라스민(plasmin), 보체(complement) 등이 혈관 확장과 수축 및 주화성(chemotaxis) 작용을 하고, 그 외에 인터루킨-6(IL-6) 등과 같은 림포카인과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 등이 염증 반응을 담당한다. 아라키돈산은 싸이클로옥시게나아제(cyclooxygenase) 혹은 리포옥시게나아제(lipooxygenase)의 2가지 경로를 거쳐 염증 매개체인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 또는 류코트리엔(lukotriene)들로 대사되어 다양한 염증 반응을 매개한다.
한편, 염증을 소실시키기 위해 염증원의 제거, 생체 반응 및 생체 증상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을 항염제라 한다. 현재까지 항염의 목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물질로는 비스테로이드계로 플루폐나믹산(flufenamic acid), 이부프로펜(ibuprofen), 벤지다민(benzydamine), 인도메타신(indomethacin) 등이 있고, 스테로이드 계통으로 프레드니솔론(prednisolone), 덱사메타손 (dexamethasone) 등이 있다. 또한, 알란토인, 아즈엔, 하이드로코티손 등이 항염증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들 물질은 피부에 대한 안전성의 문제로 사용량의 제한이 있거나, 효과가 미미하여 실질적으로 염증 완화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피부의 최외각에 위치하고 있는 표피(epidermis)는 외부의 다양한 물리적, 화학적 및 기계적 자극에 대한 방어와 피부를 통한 체내 수분의 과도한 발산을 막는 보호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보호 기능은 각질형성세포로 구성된 각질층이 정상적으로 형성되고 유지됨으로써 가능하다. 각질형성세포는 표피최하층(stratum basale)에서 지속적으로 증식하던 기저세포(basal cell)가 각질층(stratum corneum)으로 이동하면서, 단계적으로 형태 및 기능상의 변화를 거치며 형성된 세포이다. 일정 기간이 지나면 오래된 각질형성세포는 피부에서 탈락되고, 표피 최하층으로부터 올라온 새로운 각질형성세포가 그 기능을 대신하는 표피 분화(epidermis differentiation) 또는 각화(keratinization)의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이러한 각화과정에서 각질형성세포는 천연보습인자(Natural Moisturizing Factor; NMF)와 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및 지방산과 같은 세포 간 지질을 생성하여, 각질층이 외부와의 차단층 역할을 하게 됨으로써 피부장벽(skin barrier)로서의 기능을 보유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현대 사회의 주요 질환의 하나로 여겨지는 피부 건조증은 피부 장벽 기능 이상에 의해 야기되는 증상의 하나이다. 최근 환경 오염, 아파트, 고층 건물과 같은 건조한 환경의 증가, 사회적 스트레스의 증가, 우리 나라 특유의 과도한 목욕 문화, 피부 노화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점점 더 증가하고 있으며, 증세가 심하여 치료를 필요로 하는 경우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앞서 언급한 보습제의 사용은 그 대부분이 근본적인 치료이기보다는 일시적인 증상의 완화에 불과하여, 아토피성 피부염을 포함하는 피부 건조증 및 피부 장벽 기능 이상의 치료에 대한 충분한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고 있다. 이에, 손상된 피부 장벽을 근원적으로 재생시켜주는 물질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은 글리코사미노글리칸(glycosaminoglycans)의 일종으로 글루쿠론산과 N-아세틸글루코사민 잔기가 반복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사슬모양의 고분자 다당류 물질이다. 다량의 물과 결합하여 겔을 만드는 성질이 있어 높은 점성과 탄성을 가진다. 히알루론산은 세포외 기질의 주요 성분으로, 수분 보유, 세포 간 간격 유지, 세포성장인자 및 영양성분의 저장과 확산에 관여할 뿐만 아니라, 세포의 분열과 분화, 이동 등에도 관여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포유류의 체내에 존재하는 히알루론산의 50% 이상이 피부, 특히 표피의 세포 간 간격과 진피의 결체 조직에 분포한다고 보고되었고, 이러한 히알루론산은 주로 각질형성세포와 섬유아세포에 의해 합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간 피부에서 히알루론산의 양은 노화와 함께 감소되는 것으로 보고되었고, 피부 내 히알루론산의 감소는 노화에 따른 피부 탄력 저하 및 수분 함유량 감소의 직접적인 원인 중 하나라고 여겨지고 있다(Biochem Biophys Acta 279, 265-275; Carbohydr Res 159, 127-136; Int J Dermatol 33, 119-122). 또한 히알루론산은 각질층의 구조유지와 피부장벽 기능을 유지하는 데에도 관여한다고 알려져 있다(J Cosmet Dermatol. 2007 Jun, 6(2), 75-82).
그러나, 상기와 같은 효과를 가진 히알루론산은 분자량이 커서 피부에 잘 흡수되지 않는다. 또한, 주사를 이용하여 히알루론산을 피부로 주입하는 방법이 현재 시술되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큰 자극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피부 세포 내의 히알루론산 합성을 증가시키는 방법이 더 효과적이다. 따라서 인체 내의 히알루론산의 생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괄목할 만한 연구 결과는 아직 알려진 바가 없는 실정이다.
한편, 세포 외 기질(matrix)의 주요 구성 성분인 콜라겐은 피부의 섬유아세포에서 생성되는 주요 기질 단백질로서 세포 외 간질에 존재한다. 또한, 생체 단백질 총 중량의 약 30%를 차지하는 중요한 단백질로서 견고한 3중 나선구조를 가지고 있다. 콜라겐은 피부, 건(tendon), 뼈 및 치아의 유기 물질의 대부분을 형성하는데, 특히 뼈와 피부 (진피)에 그 비율이 높다. 대부분의 다른 체 구조물에서는 섬유상 봉입체로서 존재한다.
피부에 존재하는 콜라겐의 기능으로는 피부의 기계적 견고성, 결합조직의 저항력과 조직의 결합력, 세포접착의 지탱, 세포분할과 분화(유기체의 성장 혹은 상처 치유시)의 유도 등이 알려져 있다(van der Rest et al., 1990, Biomaterials 11, 28-31). 이러한 콜라겐은 피부의 재생, 피부탄력, 피부 노화 방지, 상처 치유, 보습 등에 관련이 있으며 특히 연령 및 자외선 조사에 의한 광노화에 의해 감소하며, 이는 피부의 주름 형성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Arthur K. Balin et al., "Aging and the skin", 1989, Cutis. 43(5):431-6). 또한 최근에 들어 피부 노화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가 발전되면서 피부에서의 콜라겐의 중요한 기능들이 밝혀지고 있다.
기존에 콜라겐의 피부 주름 개선과 보습효과로부터 화장품에 콜라겐을 배합하는 제품들이 출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제품은 콜라겐을 피부 표면에 도포하는 것이나, 고분자인 콜라겐은 경피 흡수되기 어렵고, 따라서 뛰어난 효능을 기대할 수 없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콜라겐의 합성을 촉진하여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진 유효 성분들이 있다. 예를 들어, 콜라겐합성 촉진물질로 레티노익산(retinoic acid), 동물 태반 유래의 단백질, 베툴리닉산(betulinic acid), 클로렐라 추출물(섬유아세포 증식 촉진작용) 등이 알려져 있으나, 피부 적용 시 자극과 발적 등의 안전성의 문제로 사용량의 제한이 있거나, 그 효과가 미미하여 실질적으로 피부의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여 피부 기능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없었다. 따라서, 생체에 안전하고 기존의 콜라겐 발현 촉진 물질보다 효과가 높은 새로운 콜라겐 발현 촉진제의 개발이 절실히 요망되고 있다.
따라서, 인체에 적용 시에 안전하고, 유효성분이 안정하며, 무엇보다도 기존 물질보다 미백, 항산화, 항염증, 피부 보습 개선, 피부 주름 개선, 피부 재생 능력, 피부 탄력 증진 능력이 우수한 성분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Biochem Biophys Acta 279, 265-275 Carbohydr Res 159, 127-136 Int J Dermatol 33, 119-122 J Cosmet Dermatol. 2007 Jun, 6(2), 75-82 Biomaterials 11, 28-31 Cutis. 43(5):431-6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인체에 적용 시 안전하여 피부 자극 등의 부작용이 적으며, 피부 상태를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효과가 탁월한 활성 성분 및 이러한 활성 성분의 유용한 용도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피부 상태 개선 효과가 탁월하면서도 안전한 유효 성분(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약학적 조성물 및/또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레비스틸라이드 A(Levistilide A)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멜라닌 총량과 티로시나제 활성을 감소시켜 미백 효과가 있으며, 자유 라디칼을 소거하여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며, NO 생성을 억제하여 항염증 효과가 있으며, 피부 보습 개선 효과를 가짐을 확인하였고, 각질형성세포의 히알루론산의 생성을 촉진하고, 히알루론산 합성효소(HAS)의 발현을 증가시키며, 신체 내의 히알루론산 합성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피부의 섬유아세포의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고, 콜라겐 분해효소인 MMP-1을 억제함으로써 피부의 재생을 촉진시키고 주름을 개선하며, 피부 탄력을 증진시킴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인 레비스틸라이드 A 또는 이의 화장학적으로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약학 또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며, 이러한 조성물은 피부 미백, 항산화, 항염증, 피부 보습 개선, 피부 주름 개선, 피부 재생 능력 개선, 및/또는 피부 탄력 증진 용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인 레비스틸라이드 A 또는 이의 화장학적으로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 항산화, 항염증, 피부 보습 개선, 피부 주름 개선, 피부 재생 능력 개선, 및/또는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피부 외용제의 형태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6002844313-pat00001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인 레비스틸라이드 A의 피부 미백용, 항산화용, 항염증용, 피부 보습 개선용, 피부 주름 개선용, 피부 재생 능력 개선용, 및/또는 피부 탄력 증진용이라는 새로운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화합물이 세포 독성이 없어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며, 조성물 내에서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종래의 미백, 항산화, 항염증, 피부 보습 개선, 피부 주름 개선, 피부 재생 능력, 및/또는 피부 탄력 증진 성분보다 활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과 같이 상기 화합물을 포함한 미백, 항산화, 항염증, 피부 보습 개선, 피부 주름 개선, 피부 재생 능력, 피부 탄력 증진 용도의 조성물을 발명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미백, 항산화, 항염증, 피부 보습 개선, 피부 주름 개선, 피부 재생 능력, 및/또는 피부 탄력 증진 성분이 실제 피부에 적용 시 우수한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저농도에서 고활성의 미백, 항산화, 항염증, 피부 보습 개선, 피부 주름 개선, 피부 재생 능력, 및/또는 피부 탄력 증진 효과를 나타내고, 피부를 투과하여 흡수되는 능력이 우수하며, 미백, 항산화, 항염증, 피부 보습 개선, 피부 주름 개선, 피부 재생 능력, 및/또는 피부 탄력 증진 효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피부에서 충분 시간 머무를 수 있게 휘발성이 낮고, 조성물 내에서나 피부 상에서 활성 성분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친수성이 적당하여 의약이나 화장품으로의 제형화가 용이하며, 또한 피부나 기타 신체 장기에 안전해야 한다. 그러나 기존의 미백, 항산화, 항염증, 피부 보습 개선, 피부 주름 개선, 피부 재생 능력, 및/또는 피부 탄력 증진 효과 개선 성분 중 상기 특성을 모두 만족시키는 성분은 흔치 않았다. 예를 들어, 몇몇 미백, 항산화, 항염증, 피부 보습 개선, 피부 주름 개선, 피부 재생 능력, 및/또는 피부 탄력 증진 성분들은 시험관 내 실험 시 저농도에서도 미백, 항산화, 항염증, 피부 보습 개선, 피부 주름 개선, 피부 재생 능력, 및/또는 피부 탄력 증진 활성은 우수하나, 피부를 투과하여 흡수되는 능력이 떨어져 실제 피부에 적용하기엔 어려웠다. 또한, 어떤 미백, 항산화, 항염증, 피부 보습 개선, 피부 주름 개선, 피부 재생 능력, 및/또는 피부 탄력 증진 성분들은 친수성이 낮아 의약이나 화장품으로 제형화가 어려웠다. 또한, 몇몇 미백, 항산화, 항염증, 피부 보습 개선, 피부 주름 개선, 피부 재생 능력, 및/또는 피부 탄력 증진 성분들은 열, 빛, 산소 등에 노출되었을 때 성분이 분해되거나 다른 화합물로 변형되어 피부에 적용하기 전에 이미 미백, 항산화, 항염증, 피부 보습 개선, 피부 주름 개선, 피부 재생 능력, 및/또는 피부 탄력 증진 효과가 사라지는 경우도 있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미백, 항산화, 항염증, 피부 보습 개선, 피부 주름 개선, 피부 재생 능력, 및/또는 피부 탄력 증진 성분들의 문제점들을 해소할 수 있는 성분인 레비스틸라이드 A(levistilide A)를 발견해 내었으며, 이를 이용하여 피부 미백, 항산화, 항염증, 피부 보습 개선, 피부 주름 개선, 피부 재생 능력, 및 피부 탄력 증진을 위한 다양한 조성물들에 이용할 수 있고, 특히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의약품, 화장료 또는 건강기능식품의 유효성분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발명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미백 효과'라 함은 피부 톤을 밝게 할 뿐만 아니라, 자외선, 호르몬 또는 유전에 기인한 기미나 주근깨 등의 피부 과색소 침착을 개선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미백 효과는 예를 들어, 멜라닌 색소 총량을 감소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기전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항산화 효과'라 함은 세포 내 대사 또는 자외선의 영향으로 인한 산화적 스트레스에 따라 반응성이 높은 자유 라디칼(free radical) 또는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ROS)에 의한 세포의 산화를 억제하는 것을 말하며, 자유 라디칼 또는 활성산소종을 제거하여 이로 인한 세포의 손상이 감소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항염증 효과'라 함은 염증을 억제하는 것을 말하며, 상기 염증은 어떤 자극에 대한 생체조직의 방어반응의 하나로, 조직 변질, 순환 장애와 삼출, 조직 증식의 세가지를 병발하는 복잡한 병변을 말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염증은 선천성 면역의 일부이며 다른 동물에서처럼 인간의 선천성 면역은 병원체에 특이적으로 존재하는 세포 표면의 패턴을 인식한다. 식세포는 그런 표면을 가진 세포를 비자기로 인식하고 병원체를 공격한다. 만일 병원균이 신체의 물리적 장벽을 깨고 들어온다면 염증반응이 일어난다. 염증반응은 상처부위에 침입한 미생물들에 대한 적대 환경을 만드는 비특이적인 방어작용이다. 염증반응에서, 상처가 나거나 외부 감염체가 체내로 들어왔을 때, 초기단계 면역반응을 맡고 있는 백혈구들이 몰려들어 사이토카인을 발현한다. 따라서 세포 내 사이토카인의 발현양이 염증반응 활성화의 지표가 된다. 염증과 관련된 피부질환의 예로는 아토피 피부염, 건선, 방사선, 화학물질, 화상 등에 의해 촉발되는 홍반성 질환, 산 화상, 수포성 피부병, 태선 모양 종류 질환, 알레르기에 기한 가려움증, 지루성 습진, 장미 여드름, 심상성 천포창, 다형 삼출성 홍반, 결절 홍반, 귀두염, 음문염, 원형 탈모증과 같은 염증성 모발 손실, 피부 T-세포 림프종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보습'은 수분 손실(수분 증발) 등을 적절히 조절하여 생체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한편, 피부 내 히알루론산이 감소되면 수분이 손실되고, 히알루론산이 증가되면 수분이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피부 재생 효과'는 피부 외부 및 내부 원인에 의한 손상에 대하여 피부 조직이 회복되는 것을 말한다. 상기 외부 원인에 의한 손상은 자외선, 외부 오염 물질, 창상, 외상 등을 들 수 있으며, 상기 내부 원인에 의한 손상은 스트레스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피부 주름'은 피부가 쇠하여 생긴 잔줄을 의미하는데, 유전자에 의한 원인, 피부 진피에 존재하는 콜라겐의 감소, 외부 환경 등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 또한, 엘라스틴과 콜라겐을 이어주는 히알루론산이 감소되면 피부 주름이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주름 개선'이라 함은 피부에 주름이 생성되는 것을 예방, 억제 또는 저해하거나, 이미 생성된 주름을 완화시키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히알루론산'은 글리코사미노글리칸(glycosaminoglycans)의 일종으로 글루쿠론산과 N-아세틸글루코사민 잔기가 반복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사슬모양의 고분자 다당류 물질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피부 탄력'은 진피층에 존재하는 엘라스틴(elastin)으로 구성된 탄력섬유에 의해 나타나는데, 이러한 탄력섬유는 고무와 같이 매우 낮은 탄성계수를 가지고 있어서 작은 힘에 의해서도 쉽게 변형되고, 또 그 힘이 제거되었을 때는 쉽게 원형으로 되돌아 온다. 상기 엘라스틴과 콜라겐을 이어주는 히알루론산이 감소되면 피부 탄력이 저하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탄력 또는 피부 탄력 개선'이라 함은 피부가 쳐지거나 늘어지는 정도를 완화시켜주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예방'은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투여로 앞서 언급한 여러 가지 피부 상태의 악화 현상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개선'은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투여로 앞서 언급한 여러 가지 피부 상태가 호전 또는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피부'라 함은, 동물의 체표를 덮는 조직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얼굴 또는 바디 등의 체표를 덮는 조직뿐만 아니라, 두피와 모발을 포함하는 최광의의 개념이다.
또한, 본 발명의 미백, 항산화, 항염증, 피부 보습 개선, 피부 주름 개선, 피부 재생 능력, 및/또는 피부 탄력 증진 성분인 하기 화학식 1은 (1Z,5S,5aS,8Z,10bS,10cS)-1,8-Dibutylidene-5,5a,6,7,8,10b-hexahydro-1H-5,10c-ethanonaphtho[1,2-c:7,8-c']difuran-3,10-dione로 합성하여 이용되거나, 시판되고 있는 화합물을 구입하여 이용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6002844313-pat00002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의 화합물명은 Z,Z'-6,6',7,3'a-딜리구스틸라이드 (Z,Z'-6,6',7,3'a-Diligustilide) 또는 (1Z,5S,5aS,8Z,10bS,10cS)-1,8-디뷰틸리딘-5,5a,6,7,8,10b-헥사하이드로-1H-5,10c-에타노나프토[1,2-c:7,8-c']디퓨란-3,10-디온 ((1Z,5S,5aS,8Z,10bS,10cS)-1,8-Dibutylidene-5,5a,6,7,8,10b-hexahydro-1H-5,10c-ethanonaphtho[1,2-c:7,8-c']difuran-3,10-dione)이라 하며, 일명 레비스틸라이드 A(Levistilide A)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약학적 또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유효 성분으로 상기 화학식 1의 약학적으로 또는 화장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약학적으로 또는 화장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에 유기산 또는 무기산을 처리하여 형성된 산 부가염일 수 있다. 상기 유기산은 벤조산, 포름산, 프로피온산, 아미노옥시 아세트산, 부티르산, 안트라닐산, 이소부티르산, 푸마르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말산, 말레산, 말론산, 시트르산, 숙신산, 숙신산 모노아미드, 타르타르산, 옥살산, 글루쿠론산, 아스코르브산, 프탈산, 살리실산, 아세트산, 글루탐산, 글리콜산, 디클로로아세트산, 벤젠술폰산, 락트산, p-톨루엔술폰산 및 메탄술폰산계 염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무기산은 염산, 브롬산, 황산, 인산, 질산, 탄산 및 붕산계 염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염산염 또는 아세트산염 형태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염산염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언급된 산 부가염은 a)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및 산을 직접 혼합하거나, b)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및 산 중 한 가지를 용매 또는 함수 용매 중에 용해시키고 혼합시키거나, 또는 c)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용매 또는 함수 용매 중의 산에 위치시키고 이들을 혼합하는 일반적인 염 제조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약학적으로 또는 화장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또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시스테인염, 가바염, 가바펜틴염, 니코틴산염, 메티오닌염, 아디페이트염, 아르기닌염, 헤미말론산염, 아세틸시스테인염, 라이신염, 오르니틴염, 프레가발린염, 아스파르트산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은 수화물, 에탄올화물 등의 형태를 포함하는 용매화된 형태뿐만 아니라 비-용매화된(unsolvated) 형태로 존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은 결정형 또는 무정형 형태로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모든 물리적 형태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에서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을 전체 조성물 대비 0.0001 내지 10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유효 성분을 1종 이상 더 함유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에 따르면, 기존에 알려진 피부 미백, 항산화, 항염증, 피부 보습 개선, 피부 주름 개선, 피부 재생 능력, 및/또는 피부 탄력 증진 성분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추가적인 피부 미백, 항산화, 항염증, 피부 보습 개선, 피부 주름 개선, 피부 재생 능력, 및/또는 피부 탄력 증진 성분을 포함하게 되면 본 발명의 조성물의 피부 미백, 항산화, 항염증, 피부 보습 개선, 피부 주름 개선, 피부 재생 능력, 및/또는 피부 탄력 증진 효과는 더욱 증진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성분 추가 시에는 복합 사용에 따른 피부 안전성, 제형화의 용이성, 유효성분들의 안정성을 고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사용할 수 있는 상기 추가적인 유효 성분은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공지된 피부 미백, 항산화, 항염증, 피부 보습 개선, 피부 주름 개선, 피부 재생 능력, 및/또는 피부 탄력 증진용 성분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지산(kojic acid), 알부틴(arbutin) 등과 같은 티로시나제 효소활성을 억제하는 물질이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 비타민-C(L-ascorbic acid) 및 이들의 유도체와 각종 식물 추출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한 1종 또는 2종 이상의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추가된 피부 미백, 항산화, 항염증, 피부 보습 개선, 피부 주름 개선, 피부 재생 능력, 및/또는 피부 탄력 증진용 성분은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0.0001 중량%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을 것이며, 상기 함량 범위는 피부 미백, 항산화, 항염증, 피부 보습 개선, 피부 주름 개선, 피부 재생 능력, 피부 탄력 증진, 피부 안전성, 제형화 시의 용이성 등의 요건에 따라 조절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 항산화, 항염증, 피부 보습 개선, 피부 주름 개선, 피부 재생 능력, 및/또는 피부 탄력 증진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약학적 조성물에서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전체 조성물 대비 0.0001 내지 10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 미백, 항산화, 항염증, 피부 보습 개선, 피부 주름 개선, 피부 재생 능력, 및/또는 피부 탄력 증진용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완충액, 주사용 멸균수, 일반 식염수 또는 인산염 완충 식염수, 슈크로스, 히스티딘, 염 및 폴리솔베이트 등과 같은 여러 성분을 함유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하기 함량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전체 약학적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1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 0.001 내지 1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0.0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에는 충분한 피부 미백, 항산화, 항염증, 피부 보습 개선, 피부 주름 개선, 피부 재생 능력, 및 피부 탄력 증진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1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할 경우에는 알러지 등 원치 않는 반응이 발생하거나 피부 안전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이를 가능한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현예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으며, 일반 의약품 제제의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 등이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또는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카카오지,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라우린지, 트윈(tween) 61,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유효량의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포함할 때 바람직한 피부 미백, 항산화, 항염증, 피부 보습 개선, 피부 주름 개선, 피부 재생 능력, 및/또는 피부 탄력 증진용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효량'이라 함은 미백 효능을 나타낼 수 있거나, 자유라디칼을 소거하여 항산화 효능을 나타낼 수 있거나, NO 생성을 억제하여 항염증 효능을 나타낼 수 있거나, 피부 수분량을 증가시켜 보습 효과가 있거나, 히알루론산 생성과 히알루론산 합성 효소의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켜 주름을 개선시킬 수 있거나, 콜라겐 발현을 증가시키고 MMP-1 생성을 억제하여 피부 재생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거나, 피부 탄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화합물의 양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유효량은 조성물이 제품화되는 형태, 상기 화합물이 피부에 적용되는 방법 및 피부에 머무르는 시간 등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예컨대, 상기 조성물이 피부과적 치료를 위한 의약품으로 제품화되는 경우에는 일상적으로 피부에 적용하게 되는 화장품으로 제품화되는 경우보다 높은 농도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일일 투여량은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양을 기준으로 0.1 내지 100 ㎎/㎏,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80 ㎎/㎏,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60 mg/kg이며, 하루 1 ∼ 6 회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단독으로, 또는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적인 일 실현예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항산화, 항염증, 피부 보습 개선, 피부 주름 개선, 피부 재생 능력, 피부 탄력 증진용 피부 외용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피부 외용제에서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을 전체 조성물 대비 0.0001 내지 10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피부외용제로 사용하는 경우, 추가로 유기 용매, 용해제, 충전제, 농축제, 겔화제, 비타민, 연화제, 항산화제, 안정화제, 필수 오일,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금속이온 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차단제, 유화제, 현탁화제, 습윤화제, 염료, 안료, 지방 물질,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피부용 외용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분들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이 피부 외용제 제형으로 제공될 경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연고, 패취, 겔, 크림 또는 분무제와 같은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하기 함량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전체 피부 외용제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0.0001 중량% 내지 1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 0.001 중량% 내지 1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0.0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에는 충분한 피부 미백, 항산화, 항염증, 피부 보습 개선, 피부 주름 개선, 피부 재생 능력, 및/또는 피부 탄력 증진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1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할 경우에는 알러지 등 원치 않는 반응이 발생하거나 피부 안전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이를 가능한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현예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그의 화장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항산화, 항염증, 피부 보습 개선, 피부 주름 개선, 피부 재생 능력,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에센스, 로션, 크림, 팩, 젤 파우더, 파운데이션 또는 세정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에 추가로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또는 향료 등의 보조제 및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유기 용매, 용해제, 충전제, 농축제, 겔화제, 비타민, 연화제, 항산화제, 안정화제, 필수 오일, 발포제 (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금속이온 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차단제, 유화제, 현탁화제, 습윤화제, 염료, 안료, 지방 물질,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화장품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제조되는 화장품은 일반적인 유화 제형 및 가용화 제형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예컨대, 유연 화장수 또는 영양 화장수 등과 같은 화장수, 훼이셜 로션, 바디로션 등과 같은 유액, 영양 크림, 수분 크림, 아이 크림 등과 같은 크림, 에센스, 화장연고, 스프레이, 젤, 팩, 선 스크린, 메이크업 베이스, 액체 타입, 고체 타입 또는 스프레이 타입 등의 파운데이션, 파우더, 클렌징 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오일과 같은 메이크업 제거제, 클렌징 폼, 비누, 바디 워쉬 등과 같은 세정제 등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은 화장품으로 제품화되는 경우에 유효성분이 단기간 내에 피부에 머무르게 되는 메이크업 제거제, 세정제 등과 같은 워시-오프 (wash-off) 타입의 화장품의 경우에는 비교적 높은 농도의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반면, 유효성분이 장기간 동안 피부에 머무르게 되는 화장수, 유액, 크림, 에센스 등의 리브-온 (leave-on) 타입의 화장품의 경우에는 워시-오프 타입의 화장품에 비해 낮은 농도의 유효 성분을 포함해도 무방할 것이다.
또한, 하기 함량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전체 화장료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0.0001 중량% 내지 1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 0.001 중량% 내지 1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0.0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에는 충분한 피부 미백, 항산화, 항염증, 피부 보습 개선, 피부 주름 개선, 피부 재생 능력, 및/또는 피부 탄력 증진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1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할 경우에는 알러지 등 원치 않는 반응이 발생하거나 피부 안전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이를 가능한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현예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항산화, 항염증, 피부 보습 개선, 피부 주름 개선, 피부 재생 능력, 및/또는 피부 탄력 증진용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건강기능식품에서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전체 조성물 대비 0.0001 내지 10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건강기능식품이란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또는 가공한 식품 모두를 지칭하며, 예를 들어 건강보조식품, 기능성 식품, 영양제, 보조제 등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다른 식품 성분과 함께 병용하여 사용하는 등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음료, 차류, 향신료, 껌, 과자류 등의 식품소재에 첨가하거나, 캡슐, 분말, 현탁액 등으로 제조한 식품으로, 이를 섭취할 경우 건강상 특정한 효과를 가져오는 것을 의미하나,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일상적으로 장기간 섭취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높은 피부 상태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하다.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식품첨가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그 성분이나 혼합법은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전체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0.0001 중량% 내지 10 중량%, 보다 구체적으로 0.001 중량% 내지 1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이 음료로 사용되는 경우에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오스, 슈크로오스와 같은 이당류;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다당류; 또는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건강음료 100 mL 당 일반적으로 약 0.01 ∼ 0.04 g, 바람직하게는 약 0.02 ∼ 0.03 g 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천연 과일주스, 과일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100 중량부당 0.01 ~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화학식 1로 대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또는 화장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개체의 피부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 항산화, 항염증, 피부 보습 개선, 피부 주름 개선, 피부 재생 능력, 및/또는 피부 탄력 증진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개체는 쥐, 가축, 인간 등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을 제한 없이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약학적 또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레비스틸라이드 A (Levistilide A)를 활성 성분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멜라닌 총량과 티로시나제 활성을 감소시켜 미백 효과가 있으며, 자유 라디칼을 소거하여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며, NO 생성을 억제하여 항염증 효과가 있으며, 피부 보습 개선 효과를 나타내고, 각질형성세포의 히알루론산의 생성을 촉진하고 히알루론산 합성효소(HAS)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신체 내의 히알루론산 합성을 증가시키며, 피부의 섬유아세포의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고 콜라겐 분해효소인 MMP-1을 억제함으로써 피부의 재생을 촉진시키고 주름을 개선하며, 피부 탄력 증진 효과를 나타내면서 동시에 세포 독성이 없어 부작용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레비스틸라이드 A를 함유하는 조성물은 피부에 안전하면서도 여러 가지 피부 상태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품 원료, 약학 성분 또는 건강식품 원료로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험예 1: 세포 독성 평가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사람의 정상 멜라노사이트 세포(normal human melanocyte: NHM)의 배양액에 첨가하여 세포 수준에서의 미백 효과를 실험하였다.
화학식 1의 화합물을 배양액에 최종농도가 1 μg/ml, 2 μg/ml, 5 μg/ml, 또는 10 μg/ml가 되도록 배지에 첨가하여 각각 NHM 세포에 처리하여 3일간 배양하였다. 이후 세포에 CCK-8을 1시간 처리하고 분광 광도계를 이용, 450nm에서의 흡광도로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상기 세포 생존율은 단위 세포수당 (106 cell)의 흡광도로 나타내는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대조군에 대한 상대적인 생존율을 백분율 (%)로 계산하고 그 결과를 표 1에 정리하였다. 또한, 실험은 3번 반복된 것이다.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정보>
화학식 1
Figure 112016002844313-pat00003
명칭 Levistilide A (Levistolid A; Diligustilide; Levistolide A; Z,Z'-6,6',7,3'a-Diligustilide; (1Z,5S,5aS,8Z,10bS,10cS)-1,8-Dibutylidene-5,5a,6,7,8,10b-hexahydro-1H-5,10c-ethanonaphtho[1,2-c:7,8-c']difuran-3,10-dione)
CAS No.: 88182-33-6
구입처: ALB Technology
시료 흡광도 생존율 (%)
대조군 (무첨가) 0.595±0.055
화학식 1의 화합물 (1 μg/ml) 0.570±0.061 96%
화학식 1의 화합물 (2 μg/ml) 0.559±0.119 94%
화학식 1의 화합물 (5 μg/ml) 0.558±0.043 94%
화학식 1의 화합물 (10 μg/ml) 0.541±0.012 91%
상기 표 1의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화학식 1의 화합물은 10 μg/ml까지 NHM 세포에 무해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멜라닌 총량 감소 효과 확인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사람의 정상 멜라노사이트 세포(normal human melanocyte: NHM)의 배양액에 첨가하여 세포 수준에서의 미백 효과를 실험하였다.
실험 전 사람의 정상 멜라노사이트 세포에 대하여 독성을 평가하여 독성이 없는 농도를 선정하여 미백평가를 수행하였다.
화학식 1의 화합물을 배양액에 최종농도가 1 μg/ml, 5 μg/ml, 또는 10 μg/ml가 되도록 하여 실험하였으며, 대조군인 알부틴은 500 μg/ml 가 되도록 배지에 첨가하여 각각 NHM 세포에 처리하여 3일간 배양하였다.
이후, 세포들을 트립신(trypsin) 처리하여 배양용기로부터 떼어내 원심분리 한 후 멜라닌을 추출하였다. 떼어낸 세포는 10% DMSO를 포함한 1N 수산화 나트륨 용액 100μl를 가하여 20분간 끓여 멜라닌을 녹이고, 분광 광도계를 이용, 400nm에서의 흡광도로 생성된 멜라닌의 양을 측정하였다.
상기 멜라닌 양은 단위 세포수당 (106 cell)의 흡광도로 나타내는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대조군에 대한 상대적인 멜라닌 총량을 백분율 (%)로 계산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정리하였다. 또한, 실험은 3번 반복된 것이다.
시료 멜라닌 총량 감소율 (%)
대조군 (무첨가) 32.0±3.28
대조군 1: 알부틴 (500 μg/ml) 15.7±2.23 51%
화학식 1의 화합물 (1 μg/ml) 26.2±1.22 18%
화학식 1의 화합물 (5 μg/ml) 20.8±1.49 35%
화학식 1의 화합물 (10 μg/ml) 8.32±1.40 74%
상기 표 2의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화학식 1의 화합물은 기존에 알려진 미백 물질인 알부틴(arbutin)보다 보다 훨씬 적은 농도이지만, 배양된 NHM 세포에 대하여 뛰어난 멜라닌 총량 감소 기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화학식 1의 화합물은 본 발명 목적에 따른 피부 미백 용도로 사용하기 적합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티로시나제 효소활성 저해 효과 확인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사람의 정상 멜라노사이트 세포(normal human melanocyte: NHM)의 배양액에 첨가하여 세포 수준에서의 미백 효과를 실험하였다.
실험 전 사람의 정상 멜라노사이트 세포에 대하여 독성을 평가하여 독성이 없는 농도를 선정하여 미백평가를 수행하였다.
화학식 1의 화합물을 배양액에 최종농도가 1 μg/ml, 5 μg/ml, 또는 10 μg/ml가 되도록 하여 실험하였으며, 대조군인 알부틴은 500 μg/ml가 되도록 배지에 첨가하여 각각 NHM 세포에 처리하여 3일간 배양하였다.
이후, 세포들을 트립신 (trypsin) 처리하여 배양용기로부터 떼어내 원심분리 한 후 1% Triton X-100, 0.1mM PMSF를 포함한 0.1M phosphate buffer로 세포에서 단백질을 추출하였다. 추출한 단백질 50μl를 0.1M phosphate buffer에 희석한 1mM DOPA 50μl와 함께 37℃에서 1시간 배양한 뒤 분광 광도계를 이용, 475nm에서의 흡광도로 티로시나제 효소활성 정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티로시나제 효소 활성은 단위 세포수당 (106 cell)의 흡광도로 나타내는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대조군에 대한 상대적인 효소 활성을 백분율 (%)로 계산하고 결과를 표 3에 정리하였다. 또한, 실험은 3번 반복된 것이다.
시료 티로시나제 효소활성 저해율 (%)
대조군 (무첨가) 0.370±0.003
대조군 1: 알부틴 (500 μg/ml) 0.222±0.038 40%
화학식 1의 화합물 (1 μg/ml) 0.278±0.024 25%
화학식 1의 화합물 (5 μg/ml) 0.152±0.068 41%
화학식 1의 화합물 (10 μg/ml) 0.130±0.014 65%
상기 표 3의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화학식 1의 화합물은 기존에 알려진 미백 물질인 알부틴(arbutin)보다 훨씬 적은 농도이지만 배양된 NHM 세포에 대하여 뛰어난 티로시나제 효소활성 억제 기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화학식 1의 화합물은 본 발명 목적에 따른 피부 미백 용도로 사용하기 적합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레비스틸라이드 A에 의한 항산화 효과 (자유라디칼 소거율)
레비스틸라이드 A의 항산화 작용을 확인하기 위해 자유라디칼 소거 활성을 측정하였다. 자유라디칼 소거 활성은 DPPH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DPPH는 시그마사(Sigma Co., Ltd, 미국)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먼저, 1.5 mM(0.06mg/ml)의 표준 DPPH 에탄올 용액을 만들었다. 그리고, 화학식 1의 화합물과 기준물질로 알려진 항산화제인 아스코르빈산에 각각 에탄올을 가하여 1 ㎍/㎖, 5 ㎍/㎖, 10 ㎍/㎖(화학식 1의 화합물), 5 ㎍/㎖(아스코르빈산)의 농도로 시료를 만들었다. 그 다음, 상기 시료와 표준 DPPH 용액을 같은 비율로 첨가하여 잘 교반한 후, 37℃에서 30 분간 반응시키고 52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상기 시료 대신 에탄올을 첨가한 것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자유라디칼 소거능은 half maximal inhibitory concentration(억제 중간 값)인 IC50을 구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IC50은 무첨가 대조군의 자유라디칼을 50% 제거하는데 필요한 아스코르빈산 및 화학식 1의 화합물의 농도로써 자유라디칼 소거능을 표현하는 일반적인 방법이다.
시료 자유라디칼 소거율(IC50)(㎍/ml)
대조군 (무첨가) 0.2
대조군 1: 아스코르빈산 (5 μg/ml) 5.2
화학식 1의 화합물 (1 μg/ml) 2.7
화학식 1의 화합물 (5 μg/ml) 4.3
화학식 1의 화합물 (10 μg/ml) 8.4
상기 표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알려진 항산화제인 아스코르빈산보다 더 뛰어난 항산화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5: 레비스틸라이드 A에 의한 항염증 효과 (NO 생성 억제 효과)
화학식 1의 화합물의 항염증 효과 및 피부트러블 완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RAW264.7 세포주 (ATCC number: CRL-2278)를 이용한 GRIESS 법으로 nitric oxide(NO) 형성억제력 실험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생쥐의 대식세포인 RAW264.7 세포를 수차례 계대 배양하고, 웰 하나에 3×105 개씩 들어가도록 24-웰 프레이트에 넣은 후, 24 시간 동안 배양시켰다. 이어서, 하기 표 5에 나타난 농도로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희석하여 함유한 세포 배지로 교체하였다. 이때, NO-생성 억제물질인 L-NMMA(L-NG-Monomethylarginine) 20μg/ml을 양성 대조군으로 함께 처리하여 30분 동안 배양하였고, 자극원으로 LPS(Lipopolysaccharide)를 1 μg씩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상층액을 100 μl씩 취해 96-웰 프레이트에 옮기고, GRIESS 용액을 100 μl씩 가해 상온에서 10분간 반응시키고, 540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화합물 1의 NO 억제 효과를 판단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시료 NO 생성 억제율(%)
대조군 (무첨가)
대조군 1: L-NMMA 20 μg/ml 41.24
화학식 1의 화합물 (1 μg/ml) 33.85
화학식 1의 화합물 (5 μg/ml) 45.79
화학식 1의 화합물 (10 μg/ml) 54.20
상기 표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대조군으로 사용된 L-NMMA보다 더 낮은 농도에서 더 높은 효과를 발휘하여 뛰어난 염증 억제 효과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결과로부터 피부트러블을 개선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6: 레비스틸라이드 A에 의한 피부 수분량 증가
레비스틸라이드 A를 함유하는 화장료의 피부 수분량 증가 효과를 평가하였다. 사람 피부에 적용시키기 위해, 후술하는 제제예 2의 영양크림 조성에 따라 레비스틸라이드 A를 함유하는 영양크림을 제조하였고, 22℃ 및 상대습도 50%의 항온 항습실에서 건강한 성인 30명의 하박 안쪽에 일정량(2 mg/㎠)을 도포하고 도포 전, 도포 1시간 후 및 도포 2시간 후의 피부의 수분함량을 측정하였다. 대조군의 경우 레비스틸라이드 A 대신 동량의 에탄올을 함유한 영양크림을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여 도포하였으며, 아무런 처리를 하지 않은 정상 피부를 무처리군으로 사용하였다. 수분 보유능 측정은 Corneometer(Courage + Khazaka, GmbH, Germany)를 사용하여 피부 표면의 전기 전도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 표 6에 나타내었다.
단위(corneometer units)
(n=30)
실시예 1의 영양크림 대조군 영양크림 무처리군
도포 전 53 52 58
도포 1시간 후 95 79 56
도포 2시간 후 88 62 54
표 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실험 결과 레비스틸라이드 A를 함유하는 영양크림은 사람 피부의 수분량을 증가시키며, 도포 2 시간 후에도 우수한 수분 보유능을 나타내었다. 이를 통해, 레비스틸라이드 A는 피부 수분량 증가 효과 및 수분 보유능이 매우 우수한 것을 확인한 바, 본 발명에 따른 레비스틸라이드 A는 피부 탄력 개선, 노화 예방, 피부 주름 예방·치료 및 피부 보습을 위한 유효 성분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실험예 7: 인체 유래의 섬유아세포에서 효소결합면역흡착검사(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를 이용한 레비스틸라이드 A에 의한 히알루론산 농도 증가 평가
인체 유래 섬유아세포(Human Dermal Fibroblast)를 10% 우혈청(fetal bovine serum)을 포함한 DMEM 배지에서 1x105 cells/ml로 배양해서 24-well plate에 500㎕씩 분주하여 18시간 배양한 후, 우혈청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DMEM 배지로 2회 세척하고 레비스틸라이드 A를 하기 농도별로 첨가하였다. 음성 대조군으로 동량의 에탄올을 처리하였고, 양성 대조군으로 히알루론산 생성을 촉진한다고 알려진 글루코사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Glucosamine hydrochloride, Sigma-aldrich)를 100 μg/ml 처리하였다. 24시간 배양 후, 세포 배양액을 회수하여 Hyaluronan ELISA 키트(R&D Systems)를 이용하여 히알루론산 농도를 측정하여 표 8에 나타내었다.
또한, 무첨가 대조군의 히알루론산 농도를 기준(100%)으로 레비스틸라이드 A을 처리한 실험군의 히알루론산 농도를 수치화하여 표 7에 나타내었다.
시료 (n = 4) 히알루론산 상대농도(%)
대조군 (무첨가) 100
대조군 1: 글루코사민 (100 μg/ml) 124
화학식 1의 화합물 (1 μg/ml) 108
화학식 1의 화합물 (5 μg/ml) 135
화학식 1의 화합물 (10 μg/ml) 169
상기 표 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실험 결과 본 발명에 따른 레비스틸라이드 A는 인체 유래 섬유아세포에서 히알루론산 생성을 증가시켰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피부 탄력 개선, 피부 보습 증진, 각질층의 구조유지, 피부장벽 기능 개선 등의 용도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실험예 8: 인체 유래의 섬유아세포에서 레비스틸라이드 A에 의한 히알루론산 합성효소(HAS) 유전자의 발현 증가
인체 유래 섬유아세포(Human Dermal Fibroblast)를 10% 우혈청(fetal bovine serum)을 포함한 DMEM 배지에서 1x106 cells/ml로 배양해서 6-well plate에 3000㎕씩 분주하여 18시간 배양한 후, 우혈청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DMEM 배지로 2회 세척하고. 레비스틸라이드 A를 하기 농도별로 2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세포를 회수하여 RNeasy mini kit(Qiagen)로 전체 RNA를 추출한 뒤, 정량하여 1㎍의 RNA를 GeneAmp® RNA PCR kit(Applied Biosystems)를 이용하여 역전사(reverse transcription)시켰다. 역전사 반응은 Mycycler® PCR 기기(Biorad)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이후 역전사 반응용액 2㎕와 HAS-2, HAS-3, GAPDH(Glyceraldehyde-3-phosphate dehydrogenase)의 Taqman® probe (Invitrogen, 미국, HS02511055_S1, HS03929097_g1)를 이용하여 quantitative real time PCR을 수행하였다. Real time PCR은 CFX96 TouchTM Real-Time PCR Detection System 기기(Biorad)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Real time PCR을 통해 얻은 실험 결과는 하우스키핑(housekeeping) 유전자인 GAPDH를 기준으로 Livak K.J. 외(Methods, 2001, 25, 402-408)에 기재된 방법으로 계산하여 나타내었다.
또한, 음성 대조군의 mRNA 발현량을 기준(100%)으로 하여 레비스틸라이드 A 처리 실험군의 mRNA 발현량을 수치화하여 표 8에 나타내었다.
시료 (n = 4) HAS-2 발현량(%) HAS-3 발현량(%)
대조군 (무첨가) 100 100
대조군 1: 글루코사민 (100 μg/ml) 114 122
화학식 1의 화합물 (1 μg/ml) 110 109
화학식 1의 화합물 (5 μg/ml) 124 135
화학식 1의 화합물 (10 μg/ml) 143 148
상기 표 8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실험 결과 본 발명에 따른 레비스틸라이드 A는 히알루론산 합성효소(HAS)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켰고, 이를 통해 섬유아세포에서 히알루론산 생성을 증가시킬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피부 탄력 개선, 피부 보습 증진, 각질층의 구조유지, 피부장벽 기능 개선 등의 용도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실험예 9: 레비스틸라이드 A에 의한 콜라겐 발현양 증가 평가
레비스틸라이드 A를 인간 유래의 섬유아세포의 배양액에 첨가하여 세포수준에서 콜라겐 발현양을 검정하였다. 발현된 콜라겐의 측정은 PICP EIA kit(Procollagen Type I C-Peptide Enzyme Immuno assay, TAKARA Korea )를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레비스틸라이드 A를 1 μg/ml, 5 μg/ml 또는 10 μg/ml가 되도록 24시간 처리 후, 배양액을 취하여 PICP EIA Kit로 각 농도에서 collagen 발현 정도를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450nm에서 측정하였다. 음성대조군은 무처리군이며, 양성대조군은 Vitamin D를 50nM 처리한 군을 이용하였다. 콜라겐 발현양은 음성대조군에 대한 상대적인 발현양으로 증가율을 계산하여 하기 표 9에 나타냈다.
시료 (n = 6) 콜라겐 증가량 (%)
대조군 (무첨가)
대조군 1: 비타민 D (50 nM) 40
화학식 1의 화합물 (1 μg/ml) 17
화학식 1의 화합물 (5 μg/ml) 30
화학식 1의 화합물 (10 μg/ml) 65
상기 표 9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합물 또한 세포 내에서 콜라겐의 발현을 증가시켰다.
실험예 10: 레비스틸라이드 A에 의한 MMP -1 양 억제 효과 평가
레비스틸라이드 A에 대하여 콜라겐 분해효소인 MMP-1 양 억제 효과를 다음과 같이 확인하였다.
실험 전 인간 유래 섬유아세포를 대상으로 실험물질의 농도 1 μg/ml, 2 μg/ml, 5 μg/ml, 또는 10 μg/ml에서 세포독성을 평가(섬유아세포를 배양하여 MTT 시험을 하는 방법으로 평가하였으며, 문헌 Mossman T. (1983). Rapid Colorimetric Assay for Cellular Growth & Survival: application to proliferation & cytotoxicity assays. Journal of Immunological Methods 65, 55-63을 참고하여 수행함)하였으며, 세포독성이 없는 농도를 선정하여 콜라게나제 평가법으로 평가하였다.
인간 정상 피부 세포인 섬유아세포를 24-웰 마이크로 플레이트에 각 웰당 2.5× 104 세포가 되도록 접종하고, 10% 혈청 DMEM 배지 및 37℃의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10% 혈청 DMEM 배지를 제거하고 인산완충용액으로 1회 세척한 후 레비스틸라이드 A를 첨가한 무혈청 DMEM 배지 및 대조군으로 레비스틸라이드 A가 포함되지 않은 무혈청 DMEM 배지에서 30분 동안 추가로 배양하였다.
시료 처리 30분 후 MMP-1를 생성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물질인 TNF-알파(tumor necrosis factor-alpha) 50 ng/ml로 자극 후 24시간 배양하였다. 이때 TNF-알파 무처리군과 처리군은 레비스틸라이드 A가 포함되지 않은 대조군 중 TNF-알파를 처리하지 않은 무처리군과 TNF-알파를 처리한 처리군으로 하였다.
각 웰의 상층액을 모아 MMP-1 분석 킷트(Amersham, 미국)를 이용하여 새로 합성된 MMP-1의 양(ng/㎖)을 측정하고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MMP-1 생성억제율(%)을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10에 나타낸 바와 같다.
하기 수학식 1에서 대조군의 MMP-1의 양은 TNF-알파 처리군의 MMP-1양을 의미하며 실험군의 MMP-1의 양은 각각 농도로 물질이 첨가된 군을 말한다.
[수학식 1]
Figure 112016002844313-pat00004
시료 (n = 4) MMP-1의 양 (ng/ml) 저해율(%)
대조군 (무첨가) 4.96
대조군 1: TNF-α (50 ng/ml) 18.24
화학식 1의 화합물 (1 μg/ml) 15.45 15.30
화학식 1의 화합물 (5 μg/ml) 10.82 40.68
화학식 1의 화합물 (10 μg/ml) 6.58 63.93
상기 표 10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합물은 콜라겐 분해효소인 MMP-1을 효율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MMP-1을 억제함으로써 콜라겐의 분해를 지연시키고, 피부의 재생을 촉진시키며, 주름을 개선하고, 피부 탄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
실험예 11: 레비스틸라이드 A에 의한 피부 탄력 증진 평가
본 발명의 레비스틸라이드 A를 함유하는 화장료에 대한 피부 탄력 증진 효과를 평가하였다. 사람 피부에 적용시기 위해, 후술하는 제제예 2의 영양크림 조성에 따라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고, 22 및 상대습도 50%의 항온 항습실에서 건강한 성인 30명의 목가에 4주간 도포하였다. 도포한 후 도표 전 및 후의 탄력을 측정하여 피부탄력 개선효과를 비교 평가하였다.
피검자의 목가 왼쪽 부위에는 레비스틸라이드 A를 함유한 영양크림을, 오른쪽 부위에는 레비스틸라이드 A 대신 동량의 에탄올을 함유한 영양크림을 1일 2회씩 아침ㆍ저녁으로 세안 후 4주간 사용하도록 하였다. 그 후, 피부탄력측정기(Cutometer, C+K, Germany)를 이용하여 각 부위에서의 탄력의 개선 정도를 측정하였다. 개선 정도는 Ur/Uf를 parameter로 사용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1에 나타내었다.
n = 30 제제예 2 영양크림 대조군 영양크림
탄력 개선율(%) 28.49 4.63
상기 표 1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실험 결과 레비스틸라이드 A를 함유하는 영양크림은 사람 피부의 탄력을 개선시켰으며, 피부 내에 어떤 부작용도 나타내지 않았다. 이를 통해, 레비스틸라이드 A는 피부 탄력 개선 효과가 매우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레비스틸라이드 A는 피부 탄력 개선, 노화 예방, 및 피부 주름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유효성분으로 레비스틸라이드 A를 포함하는 여러 제제의 예들을 기재한다. 다만, 본 발명은 이러한 제제예들에 한정되어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후술하는 제제예들 이외에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잘 알려진 여러 다른 제제들로 제형화 될 수 있다.
제제예 1: 약학적 제제의 제조
1. 산제의 제조
성분: 화학식 1의 화합물 0.001g, 유당 1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2. 정제의 제조
성분: 화학식 1의 화합물 0.2㎎, 옥수수전분 100㎎, 유 당 100㎎,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3. 캡슐제의 제조
성분: 화학식 1의 화합물 0.2㎎, 옥수수전분 100㎎, 유당 100㎎,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4. 환제의 제조
성분: 화학식 1의 화합물 0.003 g, 유당 1.5 g, 글리세린 1 g, 자일리톨 0.5 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방법에 따라 1환당 4 g이 되도록 환제를 제조하였다.
5. 과립의 제조
성분: 화학식 1의 화합물 2 ㎎, 대두 추출물 50 ㎎, 포도당 200 ㎎, 전분 600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30% 에탄올 100 ㎎을 첨가하여 과립을 제조한 후 이를 60℃에서 건조하고 건조된 과립을 과립포장용 봉지에 충진하였다.
제제예 2: 화장품의 제조
1. 유연화장수(스킨로션)의 제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유연화장수를 하기 조성과 같이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유연화장수의 조성:
화학식 1의 화합물 0.1 중량%, 베타-1,3-글루칸 1.0 중량%, 부틸렌글리콜 2.0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2.0 중량%,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중량%, 피이지-12 노닐페닐에테르 0.2 중량%, 폴리솔베이트80 0.4 중량%, 에탄올 10.0 중량%, 트리에탄올아민 0.1 중량%, 방부제 0.05 중량%, 색소 0.05 중량%, 향료 0.05 중량%, 정제수 to 100 중량%
2. 영양화장수(밀크로션)의 제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영양화장수를 하기 조성과 같이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영양화장수의 조성:
화학식 1의 화합물 0.1 중량%, 베타-1,3-글루칸 1.0 중량%, 밀납 4.0 중량%, 폴리솔베이트60 1.5 중량%,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1.5 중량%, 유동파라핀 0.5 중량%,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5.0 중량%, 글리세린 3.0 중량%, 부틸렌글리콜 3.0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3.0 중량%,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중량%, 트리에탄올아민 0.2 중량%, 방부제 0.05 중량%, 색소 0.05 중량%, 향료 0.05 중량%, 정제수 to 100 중량%
3. 영양크림의 제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영양크림을 하기 조성과 같이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영양크림의 조성:
화학식 1의 화합물 0.2 중량%, 베타-1,3-글루칸 5.0 중량%, 밀납 10.0 중량%, 폴리솔베이트60 1.5 중량%, 피이지 60 경화피마자유 2.0 중량%,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중량%, 유동파라핀 10.0 중량%, 스쿠알란 5.0 중량%,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5.0 중량%, 글리세린 5.0 중량%, 부틸렌글리콜 3.0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3.0 중량%, 트리에탄올아민 0.2 중량%, 방부제 0.05 중량%, 색소 0.05 중량%, 향료 0.05 중량%, 정제수 to 100 중량%
4. 마사지크림의 제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마사지크림을 하기 조성과 같이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마사지 크림의 조성:
화학식 1의 화합물 0.1 중량%, 베타-1,3-글루칸 3.0 중량%, 밀납 10.0 중량%, 폴리솔베이트60 1.5 중량%, 피이지 60 경화피마자유 2.0 중량%.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8 중량%, 유동파라핀 40.0 중량%, 스쿠알란 5.0 중량%,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4.0 중량%, 글리세린 5.0 중량%, 부틸렌글리콜 3.0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3.0 중량%, 트리에탄올아민 0.2 중량%, 방부제 0.05 중량%, 색소 0.05 중량%, 향료 0.05 중량%, 정제수 to 100 중량%
5. 팩의 제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팩을 하기 조성과 같이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팩의 조성:
화학식 1의 화합물 0.2 중량%, 베타-1,3-글루칸 1.0 중량%, 폴리비닐알콜 13.0 중량%, 소듐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0.2 중량%, 글리세린 5.0 중량%, 알란토인 0.1 중량%, 에탄올 6.0 중량%, 피이지-12 노닐페닐에테르 0.3 중량%, 폴리솔베이트 60 0.3 중량%, 방부제 0.05 중량%, 색소 0.05 중량%, 향료 0.05 중량%, 정제수 to 100 중량%
제제예 3: 피부 외용제의 제조
1. 젤의 제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젤을 하기 조성과 같이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젤의 조성:
화학식 1의 화합물 0.1 중량%, 베타-1,3-글루칸 0.1 중량%, 에틸렌디아민초산나트륨 0.05 중량%, 글리세린 5.0 중량%,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3 중량%, 에탄올 5.0 중량%, 피이지-60 경화피마자유 0.5 중량%, 트리에탄올아민 0.3 중량%, 방부제 0.05 중량%, 색소 0.05 중량%, 향료 0.05 중량%, 정제수 to 100 중량%
2. 연고의 제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연고를 하기 조성과 같이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연고의 조성:
화학식 1의 화합물 0.5 중량%, 베타-1,3-글루칸 10.0 중량%, 밀납 10.0 중량%, 폴리솔베이트60 5.0 중량%, 피이지 60 경화피마자유 2.0 중량%,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중량%, 바셀린 5.0 중량%, 유동파라핀 10.0 중량%, 스쿠알란 5.0 중량%, 쉐어버터 3.0 중량%,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5.0 중량%, 글리세린 10.0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10.2 중량%, 트리에탄올아민 0.2 중량%, 방부제 0.05 중량%, 색소 0.05 중량%, 향료 0.05 중량%, 정제수 to 100 중량%
3. 국소투여용 약제(겔 연고제) 의 제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겔 연고제를 하기 조성과 같이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겔 연고제의 조성:
화학식 1의 화합물 0.5 중량%, 베타-1,3-글루칸 10.0 중량%, 폴리아크릴산(Carbopol 940) 1.5 중량%, 이소프로판올 5.0 중량%, 헥실렌글리콜 25.0 중량%, 트리에탄올아민 1.7 중량%, 탈이온수 to 100 중량%
4. 국소 투여용 약제(패취제)의 제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패취제를 하기 조성과 같이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패취제의 조성:
화학식 1의 화합물 0.5 중량%, 베타-1,3-글루칸 3.0 중량%, 헥실렌글리콜 20.0 중량%, 디에틸아민 0.7 중량%, 폴리아크릴산(Carbopol 934P) 1.0 중량%, 아황산나트륨 0.1 중량%,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E.O=9) 1.0 중량%, 폴리히드록시에틸렌세틸스테아릴에테르(Cetomacrogol 1000) 1.0 중량%, 점성의 파라핀 오일 2.5 중량%, 카프릴산에스테르/카프르산에스테르(Cetiol LC) 2.5 중량%, 폴리에틸렌글리콜400 3.0 중량%, 탈이온수 to 100 중량%
제제예 4: 식품의 제조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들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1. 밀가루 식품의 제조
밀가루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0.05 ∼ 1.0 중량부를 밀가루에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이용하여 빵, 케이크, 쿠키, 크래커 및 면류를 제조하여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하였다.
2. 유제품 (dairy products)의 제조
우유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0.2 중량부를 우유에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3. 선식의 제조
현미, 보리, 찹쌀, 율무를 공지의 방법으로 알파화시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검정콩, 검정깨, 들깨도 공지의 방법으로 쪄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진공 농축기에서 감압농축하고, 분무, 열풍 건조기로 건조하여 얻은 건조물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로 분쇄하여 건조분말을 얻었다.
상기에서 제조한 곡물류, 종실류 및 화학식 1의 화합물의 건조분말을 혼합 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다음의 비율로 배합하여 제조하였다.
곡물류 (현미 30 중량부, 율무 15 중량부, 보리 20 중량부), 종실류 (들깨 7 중량부, 검정콩 8 중량부, 검정깨 7 중량부), 화학식 1의 화합물 (0.1 중량부), 영지 (0.5 중량부), 지황 (0.5 중량부)
제제예 5: 음료의 제조
1. 건강음료의 제조
화학식 1의 화합물 0.1 ㎎, 구연산 1000 ㎎,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mL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약 1 시간 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하였다.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L-용기에 담고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하였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 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비율로 혼합 조성하는 한 예로,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 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문화적 기호도나 수요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하여도 무방하다.
2. 야채주스의 제조
화학식 1의 화합물 1g을 토마토 또는 당근 주스 1,000mL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야채주스를 제조하였다.
3. 과일주스의 제조
화학식 1의 화합물 1 g을 사과 또는 포도 주스 1,000 mL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과일주스를 제조하였다.

Claims (11)

  1.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화장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 피부 보습 개선,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7017403805-pat00005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에센스, 로션, 크림, 팩, 젤, 파우더, 파운데이션 또는 세정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 피부 보습 개선,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탄력 증진용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7017403805-pat00006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피부 외용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외용제는 연고, 패취, 겔, 크림 또는 분무제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8.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 피부 보습 개선,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탄력 증진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7017403805-pat00007
  9. 삭제
  10. 제1항, 제3항, 제4항,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을 전체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01 내지 10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7017403805-pat00008
  11.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화장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 피부 보습 개선,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탄력 증진 방법.
    [화학식 1]
    Figure 112017017403805-pat00009
KR1020160003251A 2015-10-02 2016-01-11 레비스틸라이드 a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7207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139100 2015-10-02
KR1020150139100 2015-10-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0712B1 true KR101720712B1 (ko) 2017-03-29

Family

ID=58497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3251A KR101720712B1 (ko) 2015-10-02 2016-01-11 레비스틸라이드 a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07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52733A (zh) * 2021-01-19 2021-05-28 南开大学 欧当归内酯a在制备人造血干细胞体外扩增的药物中的用途

Non-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iochem Biophys Acta 279, 265-275
Biomaterials 11, 28-31
Carbohydr Res 159, 127-136
Cutis. 43(5):431-6
Guang-Hua Lu et al., 2005, Vol.1073, pp.383-392* *
Ingrid L.I. Hook, Danggui to Angelica sinensis root: Lost in translation? Are potential benefits of a TCM lost to European women? A review,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2013* *
Int J Dermatol 33, 119-122
J Cosmet Dermatol. 2007 Jun, 6(2), 75-82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52733A (zh) * 2021-01-19 2021-05-28 南开大学 欧当归内酯a在制备人造血干细胞体外扩增的药物中的用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0270B1 (ko) 피부 재생, 주름 개선, 항염증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50087145A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50087146A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720712B1 (ko) 레비스틸라이드 a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50019577A (ko) 피부 재생, 주름 개선, 항산화, 항염증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989479B1 (ko) 피부 재생, 주름개선, 항산화, 항염증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50088973A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000520B1 (ko) 피부 재생, 주름개선, 항산화, 항염증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000516B1 (ko) 피부 재생, 주름개선, 항산화, 항염증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977869B1 (ko) 피부 재생, 주름개선, 항산화, 항염증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989811B1 (ko) 피부 재생, 주름 개선, 항산화, 항염증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50087149A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000515B1 (ko) 피부 재생, 주름개선, 항산화, 항염증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989429B1 (ko) 피부 재생, 주름개선, 항산화, 항염증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50057757A (ko) 한방향 유효성분 사비넨(Sabinene)을 피부 유용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78665B1 (ko) 피부 재생, 주름개선, 항산화, 항염증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978182B1 (ko) 피부 재생, 주름개선, 항산화 및 항염증용 조성물
KR102090689B1 (ko) 한방향 유효성분 알파-펜콘(alpha-fenchone)을 피부 유용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50019608A (ko) 피부 재생, 주름개선, 항산화, 항염증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50057759A (ko) 한방향 유효성분 리모넨(Limonene)을 피부 유용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068502A (ko) 피부 재생, 주름 개선, 항산화, 항염증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70114741A (ko)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70114736A (ko)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50057756A (ko) 한방향 유효성분 캄펜(Camphene)을 피부 유용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50057758A (ko) 한방향 유효성분 알파-테르피넨(Alpha―Terpinene)을 피부 유용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