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3135B1 - 각질 박리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각질 박리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3135B1
KR102253135B1 KR1020190063704A KR20190063704A KR102253135B1 KR 102253135 B1 KR102253135 B1 KR 102253135B1 KR 1020190063704 A KR1020190063704 A KR 1020190063704A KR 20190063704 A KR20190063704 A KR 20190063704A KR 102253135 B1 KR102253135 B1 KR 1022531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ratin
weight
glycerin
serine
poly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3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8945A (ko
Inventor
안병준
강내규
김진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CN201980047555.2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2423730A/zh
Priority to US17/260,724 priority patent/US20210267865A1/en
Priority to EP19838725.0A priority patent/EP3824872A4/en
Priority to JP2021502856A priority patent/JP2021531286A/ja
Priority to PCT/KR2019/006806 priority patent/WO2020017760A1/ko
Priority to TW108124800A priority patent/TWI819027B/zh
Publication of KR20200008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89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3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31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8Rubbing or scrubbing compositions; Peeling or abrasive compositions; Containing exfoli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30Characterized by the absence of a particular group of ingredi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질 박리제를 포함하고, 폴리올 보습제를 포함하지 않거나 또는 총 조성물 중량 대비 10 중량% 이하로 포함하는 피부 각질 박리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을 통해, 각질 박리제의 각질 결합 단백질로의 접근성이 유지되도록 화장료의 조성을 선택하고, 이로써 부가된 각질 박리 증진 효능이 온전히 발휘될 수 있으면서, 또한 화장료에 대한 자극이 없는 화장료를 제공하고, 특히 세린 또는 카르니틴의 각질 박리 효능이 감소하지 않고 우수하게 유지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Description

각질 박리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enhancing Desquamation}
본 발명은 피부 각질 박리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각질층은 피부 최외곽에 존재하는 층으로, 크게 각질 세포와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라멜라 구조의 지질층으로 이루어진다 각질층은 외부 물질로부터의 보호 효과를 나타내며 동시에 내부로의 수분 이탈 등을 방지할 수 있는 방어막으로 기능하게 된다. 정상적인 각질층의 경우 15-20층 정도의 두께를 가지며, 각질층 외부에서 활성화되는 세린 프로테아제의 작용으로 코니오데스모좀의 분해가 진행되어 결국 피부로부터 완전히 이탈되는 과정을 겪게 된다. 이 과정은 정상 세포의 경우 15-20일 정도 소요된다. (비특허문헌 1) 어린선 (ichthyosis)과 같은 유전적 질환이 아니어도 노화, 건조, 여드름의 피부 등은 위 각질 이탈 과정의 기간이 정상보다 길어져 각질층이 두꺼워지는 각질중층화 현상을 보이게 된다.
각질중층화는 일반적으로 피부 보습력 감소, 세린 프로테아제의 발현량 감소 또는 활성 감소, 자외선, 세포 활성 저하 등의 요인에 의해 유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렇게 생성된 각질 중층화를 해소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물리적 스크럽 제제 등을 통한 각질 박피, 화학적 제제에 의한 각질 박리, 생리적인 세포 활성 증가 등의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의 각질 박리 방식은 외부 각질 세포를 인위적으로 제거하여, 내부로부터 새로운 각질 세포로 최 외곽 각질층이 대체됨을 통해 각질 중층화를 해소하여 피부의 거?s이나 칙칙함과 같은 외관적인 문제를 해결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각질 박리의 증진을 통한 각질중층화의 해소는 잔주름 제거, 잡티 제거, 거친 피부 개선 등의 부가적인 효과도 얻을 수 있으므로 다양한 제품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특히 알파하이드록시산 (Alpha hydroxy acid, AHA), 베타하이드록시산 (Beta hydroxy acid, BHA) 또는 폴리하이드록시산(Poly hydroxy acid, PHA)이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AHA, BHA, PHA의 작용 방식은 각질층 내로 삽입되어 수소 이온을 방출해 코니오데스모좀 결합을 약화시켜 각질 박리에 이르게 하는 것으로 낮은 pH에서 적용 시 각질층 삽입이 원활하고 수소 이온의 전달 정도가 높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낮은 pH를 요구하게 된다. 따라서 낮은 pH에 의해 피부 따가움, 가려움, 홍반 등의 부작용을 야기하게 되어 이러한 부작용을 극복하기 위해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피부 자극으로 인한 부작용을 완화하고자 약산성-중성의 pH로 조절하게 되면 그 활성이 80% 이상 감소하게 되고 화학적 변형을 거치게 되면 그 효능이 상쇄되어 실질적 각질 박리에 따른 이점을 제공하기 어렵다는 문제를 가지어, 약산성 혹은 중성에서도 산성 조건의 AHA와 같은 각질 박리 효능을 보일 수 있는 새로운 각질 박리제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어 왔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선행 연구에 따른 기 출원 특허 10-2017-0165268에서 중성 혹은 약산성 조건에서 동일 농도 대비 AHA 이상의 효능을 보이는 세린과 카르니틴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대해 확인한 바 있으며, 자극이 상대적으로 적거나 없게 나타나는 것 또한 확인하여 우수한 신규 각질 박리 소재로 제공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34022호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각질 박리제의 각질 결합 단백질로의 접근성이 유지되도록 화장료의 조성을 선택하고, 이로써 부가된 각질 박리 증진 효능이 온전히 발휘될 수 있으면서, 화장료에 대한 자극이 없는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약산성-중성 pH에서 기존 각질 박리 효능 원료의 효능보다 우수한 효과를 갖는 세린 또는 카르니틴을 실제로 화장료 제형에 적용시 각질 박리 효능이 감소하는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세린 또는 카르니틴을 포함하되 폴리올 기를 갖는 보습제 성분을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거나 또는 일정한 농도 이하로 포함하는 각질 박리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각질 박리제를 포함하고, 폴리올(polyol) 보습제를 포함하지 않거나 또는 총 조성물 중량 대비 10 중량% 이하로 포함하는 피부 각질 박리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의 각질 박리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의 각질 박리제는 세린 및 카르니틴 중 어느 하나 이상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의 각질 박리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의 폴리올 보습제는 글리세린(Glycerine), 디프로필렌글라이콜(Dipropylene glycol),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글리세리스-26(Glycereth-26), 메칠글루세스-20(methyl gluceth-20) 및 펜틸렌글라이콜(Pentyleneglyc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의 각질 박리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의 각질 박리제는 총 조성물 중량 대비 0.001 내지 20 중량%로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의 각질 박리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의 폴리올 보습제는 포함되지 않거나 또는 총 조성물 중량 대비 10 중량% 이하로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의 각질 박리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은 pH 5 내지 8이다.
본 발명은 각질 박리제의 각질 결합 단백질로의 접근성이 유지되어 각질 박리 증진 효능이 온전히 발휘될 수 있다. 특히, 약산성-중성 pH에서 기존 효능 원료의 효능보다 우수한 각질 박리효과를 자극 없이 부여하는 세린 또는 카르니틴을 포함하는 각질 박리용 화장료 조성물에서, 세린 또는 카르니틴의 각질 박리 효능이 감소하지 않고 우수하게 유지되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세린 5%와 글리세린의 조합에 따른 돼지 피부 각질 박리 평가 결과이다.
도 2는 카르니틴 5%와 글리세린의 조합에 따른 돼지 피부 각질 박리 평가 결과이다.
도 3은 세린과 글리세린, 디프로필렌글라이콜, 1,3-부틸렌글라이콜의 조합에 따른 돼지 피부 각질 박리 평가 결과이다.
도 4는 세린 5 % 용액에 DPG를 더욱 다양한 농도로 구성한 조합에 따른 돼지 피부 각질 박리 평가 결과이다.
도 5는 카르니틴과 글리세린, 디프로필렌글라이콜, 1,3-부틸렌글라이콜의 조합에 따른 돼지 피부 각질 박리 평가 결과이다.
도 6은 보습제 혼합 사용에 의한 각질 박리 효과 저해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7은 세린과 글리세린 조합 농도에 따른 각질 박리 능력 상대 비교값이다.
도 8은 카르니틴 (5%)과 글리세린 조합에서 각질 박리 능력 상대 비교값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세린 (5%)과 글리세린 조합에서 각질 박리 능력 상대 비교값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카르니틴 (0.5 %)과 글리세린 조합에서 각질 박리 능력 상대 비교값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세린 (0.5 %)과 글리세린 조합에서 각질 박리 능력 상대 비교값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DHA 염색 후 10일 도포 후 시각적 변화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3은 세린과 글리세린의 조합에 의한 TT100% 측정 결과이다.
상기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각질 박리제를 포함하고, 폴리올(polyol) 보습제는 포함하지 않거나 또는 총 조성물 중량 대비 10 중량% 이하로 포함하는 피부 각질 박리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계면활성제, 향료, 방부제, 보습제, 점증제, 산화방지제 등 다양한 첨가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각질 박리제를 포함시키어 각질 박리 증진 기능을 부여한 시판 가능한 화장품을 제조하고자 시도했으나, 각질 박리제의 농도에 따라 예상되는 각질 박리 증진 능력 보다 효율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가 있음을 확인하고 이를 연구하던 중, 각질 박리 기능 저하의 원인이 각종 화장료 첨가제 중에서 보습제 성분, 특히 폴리올 기를 갖는 보습제에 의해 각질 박리 소재의 각질 결합 단백질로의 접근성이 저하되며, 결과적으로 각질 간 결합 단백질에 영향을 주지 못하여 각질 박리 능력이 저하됨을 밝혀내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각질 박리제, 특히 세린 또는 카르니틴이 그 효과를 유지할 수 있는 조성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에 본 발명은 약산성-중성 pH에서 기존 효능 원료의 효능보다 우수한 각질 박리효과를 자극 없이 부여하는 세린 또는 카르니틴에 대한 화장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이를 제형 적용 시 세린 또는 카르니틴의 각질 박리 효능이 감소하는 문제점을 확인하였고, 본 발명에서 확인한 바로는 세린 또는 카르니틴에 폴리올 기를 갖는 보습제, 예컨대 글리세린(Glycerin), 디프로필렌글라이콜(Dipropylene glycol, DPG) 및 1,3-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BG) 중 한 종 이상과 같은 폴리올이 특정 농도 이상 함유되게 되면 각질 박리 효능이 급격히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세린 또는 카르니틴에 폴리올 보습제 성분을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거나 그 효과를 유의하게 감소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공한다.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각질 박리제를 포함하고, 폴리올 보습제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피부 각질 박리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이란 용어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2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 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3 중량% 이하,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전혀 함유되어 있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폴리올 기를 갖는 보습제는 정제수만큼이나 화장료 조성물에 아주 널리 사용되는 원료로서, 특히 각질 박리 제품의 경우 통상의 경우보다 보습이 더욱 요구된다는 점에서 폴리올 보습제를 포함하는 각질 박리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은 문제이다.
따라서, 다른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각질 박리제와 함께 폴리올 보습제를 포함하는 피부 각질 박리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이 상기 폴리올 보습제를 포함하는 경우 0 초과 내지 10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 초과 내지 2 이하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 초과 내지 0.5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하는데, 폴리올 보습제 함량이 상기 수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각질 박리 효과가 현저하게 감소하는바, 상기 함량 범위에는 임계적 의의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각질 박리"라는 용어는 피부의 각질층에 쌓여있는 각질이 피부의 각질층에서 탈락 또는 제거되는 것을 의미한다. 물리적인 힘을 가하여 제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별도의 힘을 가하지 않고 화장용 조성물의 처리만으로도 피부의 각질층에서 떨어져 나가는 경우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의 각질 박리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의 각질 박리제는 세린 및 카르니틴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의 각질 박리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의 각질 박리제는 총 조성물 중량 대비 0.001 내지 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7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5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이들의 함량이 0.001 중량% 보다 적으면 목적으로 하는 효과를 얻기 어려울 수 있고, 2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함량 증가에 따른 효과가 미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의 각질 박리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의 폴리올 보습제는 글리세린(Glycerine), 디프로필렌글라이콜(Dipropylene glycol, DPG),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BG), 글리세리스-26(Glycereth-26), 메칠글루세스-20(methyl gluceth-20) 및 펜틸렌글라이콜(Pentyleneglyc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글리세린, 디프로필렌글라이콜 및 1,3-부틸렌글라이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의 각질 박리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의 폴리올 보습제는 포함되지 않거나 또는 총 조성물 중량 대비 10 중량% 이하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 중량%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2 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 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3 중량% 이하,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이하로 포함될 수 있다. 이들의 함량이 10 중량% 보다 많으면 목적으로 하는 각질 박리제의 충분한 각질 박리 효과를 얻기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의 각질 박리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은 pH 5 내지 8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 내지 7.5, 더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7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각질 박리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성분 외에 통상적으로 화장료에 포함되는 성분을 추가로 화장료의 제형 또는 사용 목적 등에 따라 임의로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또한 각 제형의 조성들은 그 제형의 제제화에 필요하고 적절한 각종의 기제와 첨가물을 함유할 수 있으며, 그 효과를 떨어트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방부제, 점증제, 계면활성제, 실리콘 폴리머, 산화 안정화제, 유기 용매, 산화방지제, 에몰리언트(emollient), 색소, 향료 등 공지의 화합물을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이 폴리올을 갖는 보습제를 포함하는 제형 내에서도 우수한 각질 제거 효과를 보임을 돼지피부각질박리 평가법에 의한 스크리닝 방식과 DHA 염색법에 의한 인체시험법을 통해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돼지피부각질박리 평가법에 의해 세린 또는 카르니틴이 중성 또는 약산성 pH 5 - 7 범위에서 그 활성이 pH 4의 글루코노락톤 (PHA) 또는 lactic acid (AHA)의 효과와 동등 하거나 동등 이상 수준임을 확인하고, 이에 폴리올 보습제 성분의 소재별 농도별 조합에 의해 그 효과를 확인하였다.
세린 또는 카르니틴과 폴리올 보습제 성분 글리세린, 디프로필렌글라이콜, 1,3-부틸렌글라이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각질 박리 효과를 돼지피부각질박리 평가법으로 평가하였을 때, 폴리올 보습제 함유량 0.1 중량% 이상부터 각질박리 효능이 급격히 감소하며, 10 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음성 대조군인 물의 능력인 0 %로 각질 박리 효능이 남지 않게 되고, 이는 인체 시험에서도 각질 박리 능력이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못함을 의미한다.
또한, 세린 또는 카르니틴과 폴리올 보습제 성분 글리세린, 디프로필렌글라이콜, 1,3-부틸렌글라이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각질 박리 효과를 DHA 염색에 의한 인체시험을 통해 평가하였을 때, 폴리올 보습제 함유량이 10 %, 50 % 인 경우에는 기존 능력 대비 각질 턴오버 일 수 (TT100)가 무도포 20일 대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각질 박리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은 각질 턴오버 일 수가 무도포 20일 대비 17일 이하, 바람직하게는 14일로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각질 박리제 세린 또는 카르니틴이 폴리올 보습제 글리세린, 디프로필렌글라이콜, 1,3-부틸렌글라이콜에 의해 그 활성이 무의미한 수준으로 감소하므로, 폴리올 보습제 성분을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거나 그 효과를 유의하게 감소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공한다. 즉,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각질 박리 조성물은 세린 또는 카르니틴을 포함하고, 폴리올 보습제 글리세린, 디프로필렌글라이콜, 1,3-부틸렌글라이콜에서 한 종 이상을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거나 그 효과를 유의하게 감소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선택되는 경우를 의미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지만, 이들은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조합 구성
본 발명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위하여, 세린 또는 카르니틴의 폴리올 기를 갖는 보습제 성분과의 조합에 의한 각질 박리 효과의 조금 더 구체적인 일례는 다음 (A) 내지 (H)와 같이 구성하였다.
조합 각질 박리 효능 소재
(중량%)
폴리올 기를 갖는 보습제
(중량%)
pH
세린
카르니틴
글리세린 디프로필렌글라이콜 (DPG) 1,3-부틸렌글라이콜
(1,3-BG)
A 0.01~10 5~7.5
B 0.01~10 0.1~50 5~7.5
C 0.01~10 0.1~50 5~7.5
D 0.01~10 0.1~50 5~7.5
E 0.01~10 5~7.5
F 0.01~10 0.1~50 5~7.5
G 0.01~10 0.1~50 5~7.5
H 0.01~10 0.1~50 5~7.5
I 0.01~10 0.1~50 0.1~50 0.1~50 5~7.5
J 0.01~10 0.1~50 0.1~50 0.1~50 5~7.5
실시예 1. 돼지 피부 각질 박리 평가
기존의 임상 평가법에 의해서는 시간이 오래 걸리고, 다양한 원료들의 다양한 농도와 pH 조건의 모든 실험을 진행하기 어렵고, 또한 각 원료로부터 조합되는 조성물의 모든 경우에 대해 실험을 진행하기 어렵기 때문에 비임상 각질 박리 평가법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왔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Journal of the European Academy of Dermatology and Venereology, 2014, 28, 415-423에서 언급된 각질 박리 평가법을 사용하였다. 자세하게는 돼지 피부를 바이옵시하여, 테스트하고자 하는 시료를 첨가하였다. 이후 이탈된 각질의 수를 셀카운터로 측정하여 물만 넣은 샘플을 음성 대조군으로 (0 %), 10 % 글루코노락톤 pH 4를 양성 대조군 (100 %)으로 하여 도식화하였다.
(1) 세린 5 % 용액에 글리세린을 하기 표와 같이 다양하게 구성한 조합 (조합 A, B)에 대한 실험 결과는 도 1에 명시하였다.
대응조합 각질 제거제
(중량%)
보습제
(중량%)
pH
세린 글리세린
A 5 - 6
B 5 0.1 6
B 5 1 6
B 5 5 6
B 5 10 6
B 5 12 6
B 5 15 6
B 5 30 6
B 5 50 6
실험 결과, 세린의 효율을 글리세린의 첨가에 의해 급격히 그 효능이 감소하고, 10 % 이상에서 효능이 나타나지 않는 0 % 이하의 범위까지 도달하게 된다. 이를 통해 글리세린의 농도 증가에 의한 세린의 효능 감소에 대해 확인할 수 있으며, 각질 박리제의 효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10 % 이하의 글리세린 사용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1).
(2) 카르니틴 5 % 용액에 하기 표와 같이 다양하게 구성한 조합(조합 E, F)에 대한 돼지피부각질박리 실험 결과는 도 2에 명시하였다.
대응조합 각질 제거제
(중량%)
보습제
(중량%)
pH
카르니틴 글리세린
E 5 - 7
F 5 0.1 7
F 5 1 7
F 5 5 7
F 5 10 7
F 5 12 7
F 5 15 7
F 5 30 7
F 5 50 7
실험 결과, 글리세린 5% 이상부터 각질 제거 효과가 급감하여, 10 중량% 초과시 각질 박리 효능이 음성 대조군인 물 이하로 감소하여, 각질 박리 효능이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2).
(3) 세린 5%에 글리세린, 디프로필렌글라이콜, 1,3-부틸렌글라이콜이 각각 10 %와 12 % 조성물을 이룬 경우(표 4; 조합 A, B, C, D) 결과는 도 3에 명시하였다. 또한, 세린 5 % 용액에 DPG를 더욱 다양한 농도로 구성한 조합(조합 D)에 대한 실험 결과는 도 4에 명시하였다.
대응조합 각질 제거제
(중량%)
보습제
(중량%)
pH
세린
글리세린 디프로필렌글라이콜 (DPG) 1,3-부틸렌글라이콜
(1,3-BG)
A 5 6
B 5 10 6
B 5 12 6
C 5 10 6
C 5 12 6
D 5 10 6
D 5 12 6
실험 결과, 디프로필렌글라이콜, 1,3-부틸렌글라이콜 포함하는 경우에도 글리세린과 마찬가지로 그 각질 박리 효능이 감소됨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해 디프로필렌글라이콜, 1,3-부틸렌글라이콜을 10 % 초과하여 조합할 경우 각질 박리 활성 정도가 음성 대조군인 물 이하로 감소하여, 무도포군 대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낼 수 없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세린과의 조합에서 폴리올 기를 갖는 보습제 글리세린, 디프로필렌글라이콜, 1,3-부틸렌글라이콜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은 10 % 이하의 범위에서 각질 박리 효능을 나타냄을 다시 확인하였다(도 3 및 4).
(4) 카르니틴 5%에 글리세린, 디프로필렌글라이콜, 1,3-부틸렌글라이콜이 각각 10%, 12% 조성물을 이룬 경우(조합 E, F, G, H) 결과는 도 5에 명시하였다.
대응조합 각질 제거제
(중량%)
보습제
(중량%)
pH
카르니틴
글리세린
디프로필렌글라이콜 (DPG) 1,3-부틸렌글라이콜
(1,3-BG)
E 5 7
F 5 10 7
F 5 12 7
G 5 10 7
G 5 12 7
H 5 10 7
H 5 12 7
실험 결과, 카르니틴의 경우에도 글리세린, 디프로필렌글라이콜, 1,3-부틸렌글라이콜을 포함하는 경우 모두 각질 박리 효능 활성이 인체시험적으로 무의미한 정도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5).
(5) 또한 세린 5 % 용액에 보습제 혼합물(글리세린 1 : DPG 1 : 1,3-BG 1)을 첨가한 조합(조합 I)에 대한 결과는 도 6에 명시하였다.
이를 통해 각질 박리제의 각질 박리 효능이 글리세린, 디프로필렌글라이콜, 1,3-부틸렌글라이콜의 혼합 사용에 의해서도 각각을 사용하는 경우와 유사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요컨대, 폴리올 기를 갖는 보습제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경우에도 10 % 이하의 포함 범위에서 각질 박리 효능을 나타내는 것이 확인되었다(도 6).
따라서, 세린 또는 카르니틴과의 조합에서 폴리올 기를 갖는 보습제 글리세린, 디프로필렌글라이콜 및 1,3-부틸렌글라이콜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은 10 중량% 이하 범위에서 포함하는 경우 각질 박리 효능을 나타내므로, 이와 같은 보습제 성분을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거나 특정 농도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하를 사용해야 유의미한 각질 박리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6) 또한 세린의 농도를 달리하여, 0.5 % 세린 실험군과 5 % 세린 실험군에서 세린 단독 사용의 경우를 양성 대조군 (100 %)으로 각각 환산하여, 글리세린의 농도에 따른 각질 박리 효능 감소 수치를 비교한 결과를 도 7에 나타냈다.
실험 결과, 0.5 % 세린 실험군 (도 7의 청색선) 및 5 % 세린 실험군 (도 7의 주황색선) 모두 글리세린의 농도 증가에 따라 각질 박리 효능 수준이 유사한 경향으로 감소함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해 세린 또는 카르니틴의 농도와 관계없이 폴리올 기를 갖는 보습제 성분의 조성물 내 농도가 각질 박리 효능 감소에 주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결론적으로 세린 또는 카르니틴은 폴리올 기를 갖는 보습제 성분을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거나 특정 농도, 바람직하게는 10 %이하를 사용해야 함을 의미한다.
상기 결과들을 종합하였을 때 세린과 카르니틴의 각질 박리능은 폴리올 기를 갖는 보습제 글리세린, 디프로필렌글라이콜, 1,3-부틸렌글라이콜의 농도에 따라 영향을 받으며, 이를 통해 폴리올 기를 갖는 보습제 성분의 실질적인 사용이 없거나 또는 10 % 이하 사용시 소비자가 체감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7) 카르니틴 (5%)과 글리세린 조합에서, 글리세린의 농도를 보다 세분화 하여 각질 박리 능력 상대 비교값을 측정하는 실험을 진행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6 및 도 8에 나타내었다.
카르니틴 중량% 글리세린 중량 % 각질 박리 능력 % STD
5 0 100 7
0.1 89 9
0.5 91 7
1 55 12
2 53 18
3 30 11
4 19 4
5 12 8
7 5 4
10 4 8
12 0 5
15 0 5
실험결과 글리세린을 1 중량%에서 2 중량%로 2배 증가시킨 경우 각질 박리 능력은 거의 동일하게 유지되었지만, 글리세린 함량을 3 중량%로 증가시키자 각질 박리 능력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글리세린을 0.1 중량%에서 0.5 중량%로 5배 증가시킨 경우 각질 박리 능력은 오히려 증가하였지만, 글리세린 함량을 1 중량%로 증가시키자 각질 박리 능력이 현저하게 저하되어 함량 수치 범위의 임계적 의의가 확인되었다.
(8) 세린 (5%)과 글리세린 조합에서, 글리세린의 농도를 보다 세분화 하여 각질 박리 능력 상대 비교값을 측정하는 실험을 진행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7 및 도 9에 나타내었다.
세린
중량%
글리세린 중량% 각질 박리 능력 % STD
5 0 91 7
0.1 85 11
0.5 86 8
1 59 9
2 47 8
3 23 11
4 26 4
5 21 7
7 16 8
10 16 9
12 -2 4
15 -5 7
실험결과 글리세린을 1 중량%에서 2 중량%로 2배 증가시킨 경우 각질 박리 능력은 거의 동일하게 유지되었지만, 글리세린 함량을 3 중량%로 증가시키자 각질 박리 능력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글리세린을 0.1 중량%에서 0.5 중량%로 5배 증가시킨 경우 각질 박리 능력은 오히려 증가하였지만, 글리세린 함량을 1 중량%로 증가시키자 각질 박리 능력이 현저하게 저하되어 함량 수치 범위의 임계적 의의가 확인되었다.
(9) 카르니틴 (0.5 %)의 경우 기존 5% 농도에 비해 폴리올 조합에 따른 각질 박리 능력 저해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글리세린의 농도를 세분화 하여 각질 박리 능력 상대 비교값을 측정하는 실험을 진행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8 및 도 10에 나타내었다.
세린
중량%
글리세린 중량% 각질 박리 능력% STD
0.5 0 61 8
0.5 50 5
1 18 9
5 11 9
10 0 5
실험결과 글리세린 함량이 0.5 중량%인 경우 글리세린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와 필적할 정도의 우수한 각질 박리 능력을 나타내었지만, 글리세린 함량을 1 중량%로 증가시키자 각질 박리 능력이 현저하게 저하되어 함량 수치 범위의 임계적 의의가 확인되었다.
(10) 세린 (0.5 %)의 경우 기존 5% 농도에 비해 폴리올 조합에 따른 각질 박리 능력 저해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글리세린의 농도를 세분화 하여 각질 박리 능력 상대 비교값을 측정하는 실험을 진행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9 및 도 11에 나타내었다.
세린
중량%
글리세린 중량% 각질 박리 능력% STD
0.5 0 56 5
0.5 53 20
1 34 14
5 19 5
10 13 9
실험결과 글리세린 함량이 0.5 중량%인 경우 글리세린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와 필적할 정도의 우수한 각질 박리 능력을 나타내었지만, 글리세린 함량을 1 중량%로 증가시키자 각질 박리 능력이 현저하게 저하되어 함량 수치 범위의 임계적 의의가 확인되었다.
실시예 2. DHA 염색법에 의한 각질 턴오버 증진 평가법
각질 턴오버 속도 평가를 위한 DHA 염색법은 Dermatology 1993, 186, 133-137에서 언급된 방법을 활용하여 피시험자로서 20세에서 40세 사이의 건강한 남성 1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시료 도포 전 피시험자의 팔 하박부, 상박부 안쪽 색상을 크로마 미터(Chroma meter)로 측정한 후, 10 % 농도의 디히드록시 아세톤(Dihydroxy acetone: DHA) 약 0.4 ml를 1.5X1.5cm 거즈에 묻혀 팔 상하박부 안쪽에 8시간 동안 부착하였다. 48시간 경과 후, DHA에 의해 갈색으로 착색된 부위의 색상을 측정하여 시료 도포 전과의 색상 차이를 비교하였다. 이 후 1일 2회씩 시료를 도포 하면서 매일 탈색되는 정도를 크로마 미터로 측정하여 원래의 피부색으로 돌아오는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TT(Turnover Time) 100 %는 기존의 각질층이 새로운 각질층으로 100 % 대체되는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하는데, 본 실험에서는 DHA에 의해 착색된 피부가 100 % 원상 복귀되는데 걸리는 시간을 회귀분석법에 의한 상대비교 분석을 통해 나타낸다. 음성대조군의 결과를 20일로 산정하고, 상대 값을 비교하였다.
무처리 군의 결과를 20일로 산정하였을 때, 도포 후 10일에 나타나는 시각적 변화를 도 12에 나타내었다. 육안으로 판별 시 글리세린 농도가 10 % 또는 50 % 일 때 무도포 군과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으며, 단독 세린 사용 시 0.5 %와 5 % 농도에서 모두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크로마 미터에 의해 정량적인 수치로 변환하면 도 13과 같다. 세린 5% 사용 시 TT100%가 무도포 20일에서 14일로 6일 가량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나, 글리세린의 농도 10 % 또는 50 % 에서는 무도포군 대비 유의한 변화가 없음을 알 수 있다.
모든 조합군은 실험 기간과 이후 홍반, 가려움, 타는 듯한 느낌 등의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았다. 이를 통해 돼지 피부 각질 박리 평가법에 의해 선택된 농도 범위에서의 각질 박리능의 저해는 인체 실험에서도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세린 또는 카르니틴의 각질 박리 효과를 위해서는 폴리올 기를 갖는 보습제 글리세린, 디프로필렌글라이콜, 1,3-부틸렌글라이콜의 실질적인 사용이 없거나 또는 특정 농도 10 % 이하로 사용하여 소비자가 체감할 수 있는 각질 박리 증진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6)

  1. 세린 및 카르니틴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각질 박리제를 포함하는 각질 박리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조성물은 폴리올(polyol) 보습제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질 박리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여기서 폴리올(polyol) 보습제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은 폴리올 보습제의 함량이 0 내지 0.5 중량% 이하인 것을 의미함.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polyol) 보습제는 글리세린(Glycerine), 디프로필렌글라이콜(Dipropylene glycol),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글리세리스-26(Glycereth-26), 메칠글루세스-20(methyl gluceth-20) 및 펜틸렌글라이콜(Pentyleneglyc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각질 박리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질 박리제는 총 조성물 중량 대비 0.001 내지 20 중량%로 포함된, 각질 박리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pH 5 내지 8인, 각질 박리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90063704A 2018-07-17 2019-05-30 각질 박리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531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80047555.2A CN112423730A (zh) 2018-07-17 2019-06-05 角质剥离增强用化妆料组合物
US17/260,724 US20210267865A1 (en) 2018-07-17 2019-06-05 Cosmetic composition for increasing skin exfoliation
EP19838725.0A EP3824872A4 (en) 2018-07-17 2019-06-05 COSMETIC COMPOSITION INTENDED TO INCREASE SKIN EXFOLIATION
JP2021502856A JP2021531286A (ja) 2018-07-17 2019-06-05 角質剥離増進用の化粧料組成物
PCT/KR2019/006806 WO2020017760A1 (ko) 2018-07-17 2019-06-05 각질 박리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TW108124800A TWI819027B (zh) 2018-07-17 2019-07-12 角質剝離增強用化妝料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83069 2018-07-17
KR1020180083069 2018-07-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8945A KR20200008945A (ko) 2020-01-29
KR102253135B1 true KR102253135B1 (ko) 2021-05-17

Family

ID=69322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3704A KR102253135B1 (ko) 2018-07-17 2019-05-30 각질 박리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10267865A1 (ko)
JP (1) JP2021531286A (ko)
KR (1) KR102253135B1 (ko)
CN (1) CN112423730A (ko)
TW (1) TWI81902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322612A (zh) * 2021-01-15 2023-06-23 株式会社Lg生活健康 用于剥离角质或改善皮肤状态的组合物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508247B (en) * 1997-03-31 2002-11-01 Shiseido Co Ltd Cosmetic or dermatological topical composition
EA200501413A1 (ru) * 2003-03-28 2006-10-27 Лонца Инк. Местные композиции, содержащие l-карнитин
ITMI20041603A1 (it) * 2004-08-04 2004-11-04 Vama Farmacosmetica S R L Materia prima cosmetica a base di 1-carnitina per preparato ad effetto idratante di lunga durata e preparato cosmetico ottenuto con questa materia prima
KR100678865B1 (ko) * 2005-08-30 2007-02-05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상지 추출물 및 카르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678864B1 (ko) * 2005-08-30 2007-02-05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천궁 추출물 및 카르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PL3250186T3 (pl) * 2015-01-27 2022-06-20 Professional Dietetics S.p.A. in forma abbreviata "P.D. S.p.A." Kompozycje zawierające a) chitozan, b) kwas glikolowy, c) karnitynę i/lub n-acetylocysteinę do zabiegu peelingu skórno-naskórkowego
KR101934022B1 (ko) 2017-12-04 2018-12-3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 각질 박리 촉진용 화장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819027B (zh) 2023-10-21
US20210267865A1 (en) 2021-09-02
JP2021531286A (ja) 2021-11-18
CN112423730A (zh) 2021-02-26
TW202019382A (zh) 2020-06-01
KR20200008945A (ko) 2020-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2787B1 (ko) 미백 기능의 필링제 조성물
KR101728686B1 (ko) 베리과 열매를 섭취한 달팽이 점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890854B1 (ko) 보습 유지력이 우수한 피부 각질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53135B1 (ko) 각질 박리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43738A (ko) 기미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11432792B (zh) 组合物在制备用于促进皮肤角质剥离的化妆品中的应用
KR20050103903A (ko) 노화되거나 환경에 손상된 피부를 치료하기 위한 국소적조성물 및 치료 방법
KR100793825B1 (ko) 피부 각질 박리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17496B1 (ko)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KR100849100B1 (ko)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879193B1 (ko) 피부 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56155B1 (ko) 데아닌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472483B1 (ko) 각질제거효과와 보습효과를 동시에 갖는 화장료 조성물
JP5291365B2 (ja) ケラチン状態改善剤
KR20070000599A (ko) 피부 장벽 기능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10026237A (ko) 해바라기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세정제 조성물
KR100840988B1 (ko) 알긴산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EP3824872A1 (en) Cosmetic composition for increasing skin exfoliation
KR20210093498A (ko) 타나카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20660B1 (ko) 알파-하이드록시 에시드 및 에테르계 계면활성제를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50105550A (ko) 동물성 알의 점액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48089B1 (ko) 살리실산 및 비타민 c 유도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KR102646479B1 (ko) 살리실산 가용화 조성물
JP6486590B2 (ja) 抗老化剤
JP2008184395A (ja) 制汗・消臭化粧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