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3825B1 - 피부 각질 박리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 각질 박리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3825B1
KR100793825B1 KR1020060070765A KR20060070765A KR100793825B1 KR 100793825 B1 KR100793825 B1 KR 100793825B1 KR 1020060070765 A KR1020060070765 A KR 1020060070765A KR 20060070765 A KR20060070765 A KR 20060070765A KR 100793825 B1 KR100793825 B1 KR 1007938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keratin
exfoliation
cosmetic composition
pap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0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승재
강병영
김은주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060070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3825B1/ko
Priority to US11/720,281 priority patent/US8377434B2/en
Priority to JP2009521684A priority patent/JP5084831B2/ja
Priority to PCT/KR2006/005055 priority patent/WO2008013342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3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38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5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6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8Rubbing or scrubbing compositions; Peeling or abrasive compositions; Containing exfolia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효소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1) 파파인; 및
2) 데아닌 및 N-아세틸글루코사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피부 턴오버 사이클을 조절하고, 피부 각질 박리를 촉진시키도록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각질박리, 파파인, 데아닌, N-아세틸글루코사민(N-acetyl glucosamine)

Description

피부 각질 박리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exfoliating skin keratin}
도 1은 실시예 1∼3 및 비교예 1∼2에서 제조한 화장료의 각질 박리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각질을 형광 염색한 후 시료를 도포하여 형광 촬영한 것이다. 형광이 진하게 나타나는 것은 상대적으로 각질 박리가 잘 일어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S: 비교예 1, #P: 비교예 2, #PT: 실시예 1, #PN: 실시예 2, #PNT: 실시예 3, #B: 대조군).
도 2는 이미지 프로(image pro)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실시예 1∼3 및 비교예 1∼2에서 제조한 화장료를 도포한 부위에서 각질의 형광세기를 3차원 이미지화한 것이다(#S: 비교예 1, #P: 비교예 2, #PT: 실시예 1, #PN: 실시예 2, #PNT: 실시예 3, #B: 대조군).
도 3은 실시예 1∼3 및 비교예 1∼2에서 제조한 화장료를 정량화하여 각 효능물질의 각질박리능을 정량적으로 비교한 그래프이다(#S: 비교예 1, #P: 비교예 2, #PT: 실시예 1, #PN: 실시예 2, #PNT: 실시예 3, #B: 대조군).
도 4는 비교예 1 및 실시예 3에서 제조한 화장료의 각질박리 지속력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5는 실시예 3에서 제조한 화장료를 도포하였을 때 나타나는 피부의 변화를 단면 사진 촬영을 통해 확인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를 도포하였을 때 나타나는 피부 변화를 현미경 사진을 통해 확인한 것이다.
본 발명은 효소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1) 파파인; 및
2) 데아닌 및 N-아세틸글루코사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피부 턴오버 사이클을 조절하고, 피부 각질 박리를 촉진시키도록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각질층은 외부와 직접 접촉하는 가장 바깥 층으로 물리적, 화학적인 위험요소로부터 피부 및 신체를 보호하고 있다. 각질층의 구성은 케라틴(keratin)이라고 불리는 단백질 50%, 지방 20%, 수용성물질 23% 및 수분 7%로 이루어져 있다. 피부세포는 계속 생성되기 때문에 기존 피부세포는 점차 각질층으로 올라오게 되며, 각질층에 도착한 세포들은 소위 '각질'이라고 불리는 납작하고 편평한 죽은 세포들로서, 하루에도 수백만 개의 죽은 각질세포가 피부에서 떨어져 나가고 새 각질세포로 교체되는 작용(턴 오버)이 일어난다. '필링(Peeling)'은 말 그대로 피부 표피에서 죽은 세포층을 벗겨내 새 피부가 재생되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원래 피부는 묵은 각질을 저절로 떨어뜨리고 새로운 피부가 올라오는 턴 오버 주기를 자연적으로 형성하지만 나이가 들수록 또는 건조, 자외선 및 스트레스 등의 주변 환경에 따라서 자연적인 탈락이 안되고 남아있게 된다. 따라서, 필링이라는 인공적인 방법으로 노화 각질을 제거함으로써 막혀있던 피부의 재생 주기를 회복시켜주고, 밑에서 생성된 신선한 세포를 위쪽으로 올려주어 맑고 깨끗한 피부를 유지하게 해준다.
이러한 필링을 위한 화장료를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1) 화학적 필링제품(Chemical Peeling)
화학적 필링제품은 산(Acid) 성분을 이용한 제품으로 가장 빠른 효과를 볼 수 있는 방법이다. 화학적 필링의 원리는 산의 작용으로 피부 위의 두터운 각질층의 연결고리를 느슨하게 하여 제때 떨어져 나가지 못한 과잉의 각질을 연화시켜, 세안 등을 통해 잘 제거되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화학적 필링제는 피부과 박피 시술에서도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집에서 화학적 필링제품을 사용할 때에는 사용되는 산(acid)의 종류와 함량을 미리 살펴보고 피부에 적합한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인공적으로 노후 각질을 제거하므로, 일시적으로 각질의 양이 줄어들어 외부환경에 대한 피부보호가 약할 수 있다. 따라서, 필링제품을 사용한 후 낮에 활동할 때에는 자외선차단제를 함께 사용하는 것이 좋다.
화학적 필링에 주로 사용되는 유효성분들을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① AHA(알파 하이드록시 애시드, Alpha Hydroxy Acid)
AHA는 가장 대표적인 화학적 각질제거성분으로, 산의 작용으로 각질층에서 각질 사이의 연결고리를 제거하는데 도움을 주고, 각질을 부드럽게 녹여주는 효과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AHA에 해당하는 성분들은 다음과 같다.
- 글리콜산(Glycolic Acid): AHA를 대표하며 화장품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성분으로 피부 침투력이 뛰어나고 각질 제거 능력이 뛰어나다. 피부과에서 주로 사용되는 성분이기도 하다.
- 젖산(Lactic Acid): 우리 피부표면의 천연보습인자(NMF) 성분의 하나이기도 한 젖산은 글리콜산 다음으로 화장품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상한 우유(Sour Milk)와 토마토 주스 등에서 추출되는 성분으로 이 역시 피부과에서 사용된다.
그 외에도 사과에서 추출하는 말릭산(Malic Acid), 귤과 오렌지 성분인 구연산(Citric Acid), 포도주에서 나오는 주석산(Tartaric Acid) 등이 있다.
② BHA(베타 하이드록시 애시드, Beta Hydroxy Acid)
BHA는 AHA와 마찬가지로 대표적인 화학적 각질제거성분의 하나로서, 화장품 등에서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BHA 성분으로는 살리실산(sallicylic acid)이 있다. AHA와 다르게 BHA는 지용성이기 때문에, 여드름 부위에 각질이 과하게 쌓여져 있는 부위를 효과적으로 제거해줌으로써 피지분비가 많고 여드름이 잘 나는 피부에도 침 투가 쉬워 여드름용 제품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화학적 각질제거제는 단기간 내에 우수한 효능을 볼 수 있으나, 피부 자극이 일어나기 쉬우며 효과가 오래 지속되지 않는다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효소
각질층에는 단백질이 많이 존재하므로, '단백질 분해효소'를 사용하면 각질층에 존재하는 각질 사이의 연결고리를 잘라주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 원리를 응용하여 외부에서 온 묵은 각질이나 불균일한 노후 각질들을 제거하는 것이다. 대표적으로 이용되는 효소로는 식물성 단백질 분해효소인 '파파인 효소'가 있다. 효소를 이용한 각질제거는 자극이 적어 민감성 피부의 각질 관리에 유용하지만, 화장품 내에서 효소 활성의 안정화가 어렵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2) 물리적 필링제품(Physical Peeing)
물리적 필링제품은 알갱이로 마찰을 일으켜 각질을 제거하는 '스크럽제'부터 최근 미세입자와 부가 효능성분을 함께 이용한 '미세박피제품(Microdermabrasion)'까지 점차 다양해지고 있다. 미세박피제품은 미세한 입자를 피부에 도포한 후 손놀림으로 물리적인 자극을 가해 노화된 각질을 박리시키는 효과를 주는 제품이다. 피부과에서는 손놀림 대신 연마기계를 사용하여 물리적 자극을 가하거나 혹은 강한 압력을 이용하여 미세 입자를 피부에 바로 분사하여 피부를 얇게 벗겨내기도 한다. 물리적 필링 제품은 미세입자의 형태와 사이즈에 따라서 다양하게 나와있으나 물리 적 자극을 주는 제품이기 때문에 피부 민감도에 적합한 입자가 함유된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각질세포는 차례차례로 계속 만들어지지만 최외각층의 오래된 각질세포가 탈리하기 때문에 일정한 두께를 유지하고 있는데, 이처럼 항상 새로운 세포층이 위치 변화하는 것을 턴오버(Turn Over)라고 한다. 부위나 연령에 따라 다르지만 정상피부에서 이 표피의 턴오버는 약 4주간 소요된다. 이러한 각질층이 정상적으로 박리되지 않고 피부표면에 남아 있게 되면 각질층은 두꺼워지고 얼굴빛은 칙칙하고 어두워진다. 또 피부표면이나 모발의 모낭에 남아 있는 불순물은 산소나 미생물에 의해 산화되거나 분해되고 이 물질은 염증과 같은 피부 트러블을 일으킨다. 이러한 불순물의 주성분은 케라틴이며, 이는 세포가 죽고난 후에도 피부표면에 남아 있게 되고 땀속의 단백질도 땀을 흘린 후에 피부표면에 남게 된다. 케라틴은 분자량이 크고 불용성이며 잘 분해되지 않아서 세정제 단독으로는 쉽게 제거되지 않지만 효소를 이용, 작게 분해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처럼 안정한 단백질 분해효소를 사용하면 피부표면에 부착된 케라틴층을 제거하고 더 부드러운 피부로 만들어줄 수 있다.
최근까지 화장품에 사용되고 있는 단백질 분해효소는 대부분 식물기원의 단백질 분해효소인 파파인, 브로멜라닌 등이 대표적이다. 하지만 이들은 케라틴을 효과적으로 분해하지 못하며 원료의 추출과 수송과정 등에 의해 활성을 소실하거나 제품이 장기간에 걸쳐 활성도를 유지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피부표면의 각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알파하이드록시에시드는 낮은 pH로 인한 피부자극과 반복 사용시 피부표면이 약해지는 이유로 사용이 점차 줄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피부 세포 생성 및 박리에 관한 보다 근본적인 메커니즘을 연구하고 피부 세포의 턴오버 주기 조절을 통해 파파인의 우수한 피부 안전성은 유지하면서도 높은 각질 박리효능을 부여할 뿐아니라, 그 효과를 오래 지속시키기 위한 효소의 조합과 농도를 연구한 결과, 각 단계에서 최적의 효능을 나타내는 성분인 파파인 및 데아닌 및/또는 N-아세틸글루코사민을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피부 위의 죽은 세포인 각질을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파파인 및 데아닌 및/또는 N-아세틸글루코사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1) 파파인; 및
2) 데아닌 및 N-아세틸글루코사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피부 턴오버 사이클을 조절하고, 피부 각질 박리를 촉진시키도록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피부에 안전한 단백질 분해효소의 기능을 상승시키기 위한 효소의 조합에 관한 것이다. 기존에 잘 알려진 파파인은 파파야에서 얻어지는 식물성 효소인데, 이것은 케라틴을 용해시키는 능력이 있는 파파야 효소로서 과산화지질이나 오염된 각질을 제거해준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파파인에 N-아세틸글루코사민(N-acetyl glucosamine)과 녹차에서 추출한 아미노산(amino acid)인 데아닌(Theanine)을 이용하여 각질 박리 효능은 증대시키면서도 피부 안전성은 유지하려고 한다.
기존의 효소를 이용한 각질 박리 제품들은 주로 파파인 효소의 표피 위에서의 각질 박리(exfoliation) 기능에만 의존하고 있었다. 하지만, 보다 근본적인 각질 박리를 위해서는 표피 위에서의 각질 박리뿐 아니라 피부 과립층과 기저층에서의 새로운 새포 생성과 분화가 활성화되어야만 피부 턴오버를 촉진시킬 수 있으며, 피부 항상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N-아세틸글루코사민은 피부 기저층에서 새로운 세포의 형성 및 활성에 큰 도움을 주며, 데아닌은 특히, 피부 과립층에서의 피부 세포의 분화(Differentiation)를 촉진하는 기능이 있다.
각 성분의 기능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N-아세틸글루코사민은 안정한 형태의 글루코사민이다. N-아세틸글루코사민은 타이로시네이스의 전구체(pro-tyrosinase)가 글리코실레이션되는 것을 저해하는데, 이는 UV로 손상된 피부 세포에서 멜라닌이 과도하게 형성되는데 있어서 중요한 과정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생체 내/외에 대한 연구를 통해 N-아세틸글루코사민 성분이 과도한 색소침착, 피부 톤 및 경계 기능(barrier function)을 개선하는데 효과가 있음을 밝혀내었다. N-아세틸글루코사민이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의 생성을 촉진하는 것으로 발견되었는데, 이 산은 피부 보습(hydration)에 중요한 성분이며, 또한 콜라겐(procollagen-1) 발현을 증가시킨다. 사람에서 피부 보습 개선은 얼굴, 특히 눈 부위에서의 가는 선과 주름의 출현을 감소시킨다. 개선된 피부 톤과 보습은 콜라겐 구조에 있어서 개선뿐만 아니라 히알루론산 합성에 N-아세틸글루코사민이 작용하는 결과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기능을 가진 N-아세틸글루코사민을 각질 박리용 제품에 같이 사용하여줄 경우, 피부 기저층에서의 세포 생성과 활성에 큰 도움을 주게 되며, 결과적으로 피부 턴오버를 촉진시키는 효과가 생기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데아닌(theanine, green tea amino acid)은 녹차에서 유래된 독특한 아미노산인데, 장기 수분 보습력에서 탁월한 능력을 가질뿐 아니라 피부 재생에도 효과가 있다. 향상된 피부 재생력으로 건강한 세포를 피부 위로 보다 활발하게 밀어 올려주게 되며(즉, 턴오버 주기를 감소시킴), 이러한 효과는 각질의 박리뿐 아니라, 각질이 박리된 후의 피부 항상성 유지에도 도움을 주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파파인 0.1∼5.0 중량%, 데아닌 0.1∼5.0 중량% 및/또는 N-아세틸글루코사민 0.1∼5.0 중량%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각질 박리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파파인의 함량이 0.1 중량% 미만인 경우는 실질적인 각질 박리 효능을 보이지 못하는 문제가 있고 5.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는 피부 자극의 위험이 있다. 데아닌 역시, 함량이 0.1 중량% 미만인 경우는 피부 과립층에서의 피부 세포의 분화(Differentiation)를 촉진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있고 5.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는 피부 자극 및 변색/변취의 문제가 있으며, N-아세틸글루코사민의 함량이 0.1 중량% 미만인 경우는 피부 보습에 도움을 주지 못하며, 5.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는 피부 자극 및 변색/변취의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 파파인 성분은 주로 표피 위에서 각질을 연화시키며 최종 박리시키는 기능을 담당하고, 데아닌은 주로 과립층에서의 세포 분화 촉진을 통해 피부 턴오버를 가속화시킨다. N-아세틸글루코사민은 기저층에서 세포 생성 및 활성을 촉진시킴으로써 과립층과 표피로의 세포 공급을 원활하게 해준다. 따라서, 파파인 성분에 N-아세틸글루코사민(N-acetyl glucosamine)과 녹차에서 추출한 데아닌을 함께 사용하는 경우, 각질 박리효과가 급격히 상승함을 인체 피부 실험을 통해 알아내었다. 이러한 성분을 조합하여 제조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위의 죽은 세포인 각질을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었다. 즉, 세 단계의 균형있는 순환으로 피부 항상성이 유지되면서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피부 각질 박리 및 건강을 유지시켜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세포 생성 및 박리에 관련된 보다 근본적인 메커니즘 연구의 성과이며, 각 단계에서 최적의 효능을 나타내는 성분을 조합함으로써 그 효과를 높이고자 하였다.
본 발명에 의한 각질 박리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들 이외에도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부가적인 첨가물질들을 더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시험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3 및 비교예 1∼2]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실시예 1∼3 및 비교예 1∼2의 화장료 에멀젼을 제조하였다(단위: 중량%). 상기 화장료의 제조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스쿠알란과 폴리솔베이트60을 혼합하여 오일상을 제조하고, 나머지 성분들은 정제수에 혼합하여 수상을 제조하였다. 상기 수상에 유상을 천천히 첨가하면서 7000 rpm에서 3분간 호모믹싱(homomixing) 해주었다.
비교예 1은 각질박리에 우수한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산성물질인 살리실산을 0.4 중량%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살리실산의 함량을 0.4 중량%로 첨가한 이유는 이 농도가 화장품으로 쓸 수 있는 최대 배합한도이기 때문이다. 비교예 2는 파파인을 1.0 중량% 넣어준 것이며, 실시예 1은 파파인과 데아닌을, 실시예 2는 파파인과 N-아세틸글루코사민을, 실시예 3은 파파인, 데아닌 및 N-아세틸글루코사민을 모두 넣어준 것이다. 효능물질을 첨가하지 않은 군을 대조군으로 제조하였다.
성분 비교예 1 비교예 2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대조군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스쿠알란(Squalane) 5.0 5.0 5.0 5.0 5.0 5.0
폴리솔베이트 60 (Polysorbate 60) 0.5 0.5 0.5 0.5 0.5 0.5
잔탄검(XANTHAN GUM) 1.0 1.0 1.0 1.0 1.0 1.0
살리실산 (sallicylic acid) 0.4 - - - - -
파파인(Papain) - 1.0 1.0 1.0 1.0 -
데아닌(Theanine) - - 1.0 - 1.0 -
N-아세틸글루코사민 (N-acetyl glucosamine) - - - 1.0 1.0 -
[시험예1]
상기에서 제조한 실시예 1∼3 및 비교예 1∼2의 각질 박리 효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 시험을 수행하였다. 이 실험은 2006년 2월 2일부터 2월 16일까지 20대에서 30대의 사내 직원 19명을 대상으로 수행하였으며, 평가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전박 세척 후 좌우 4×4㎠ 로 6부위를 선정하였다.
2. 직경 20mm 여과지에 단실 염화물(Dansyl chloride; 트리글리세라이드 오일 내) 100㎕를 로딩(loading)한 다음 시험 부위에 첩포하였다.
3. 형광 염색 확인 후 24시간 동안 안정화한 다음 매일 2회씩 시험부위에 시료 32 ㎕를 도포하였다(시험자 한명이 20회 롤링(rolling)으로 시료 도포).
4. 매일 다른 빛은 차단하고 UV 하에서 각질층 형광 촬영을 실시하였다.
< 촬영조건 >
디지털 카메라의 매뉴얼 모드에서, 조리개 3.5, 셔터 스피드 5
<각질 박리능 평가 방법>
- 단실 염화물로 전박을 형광염색한 후 제품 사용에 의한 각질 박리능을 형광강도의 감소비율로 분석하였다.
- 이미지 프로를 이용하여 형광 강도를 객관적으로 분석하였다.
연속된 t-테스트(p<0.05), ANOVA 테스트 및 기술적 통계 분석을 이용하여 유의차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1은 실시예 1∼3 및 비교예 1∼2에서 제조한 화장료의 각질 박리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각질을 형광 염색한 후 시료를 도포하여 형광 촬영한 것으로서, 형광이 진하게 나타나는 것은 상대적으로 각질 박리가 잘 일어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 2는 이미지 프로(image pro)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실시예 1∼3 및 비교예 1∼2에서 제조한 화장료를 도포한 부위에서 각질의 형광세기를 3차원 이미지화한 것이다.
한편, 도 3은 실시예 1∼3 및 비교예 1∼2에서 제조한 화장료를 정량화하여 각 효능물질의 각질박리능을 정량적으로 비교한 그래프이다.
따라서, 도 1∼3의 결과를 살펴보면, 파파인에 데아닌 및/또는 N-아세틸글루코사민을 함유하는 실시예 1∼3이 파파인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비교예 2 보다 피부 각질박리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특히, 파파인, 데아닌 및 N-아세틸글루코사민을 모두 함유하는 실시예 3의 각질박리 효과가 가장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2]
실시예 3 및 비교예 1의 각질박리 1일 지속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기 시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사해 보았다. 단, 단기간 효과에 초점을 맞추기 위하여 도포하는 화장품 시료의 양을 64㎕로 하고 각 시간별로 형광 세기를 측정하였으며 24시간 동안 관찰하였다.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를 살펴보면, 비교예 1의 경우 초기 3시간 동안 많은 양의 각질박리가 일어나지만 그 이후로는 각질 박리가 거의 되지 않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반해, 실시예 3의 경우는 각질 박리가 24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일어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 1의 단기간 동안의 급격한 각질 박리는 살리실산에 의한 높은 피부 자극을 유발할 수 있으나, 실시예 3의 경우는 살리실산과 같은 산성 화학물질에 의한 각질 박리가 아니라, 피부 친화성 단백질 효소에 의한 각질 박리이기 때문에 효능이 지속적으로 유지됨을 알 수 있다.
[시험예3]
일주일 동안의 실제 각질 박리 정도를 시각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3 에서 제조한 화장료를 일주일간 도포한 후 피부 단면 사진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5 및 도 6에 나타내었다. 피부 단면 측정을 위하여, H&E 염색법(H&E staining)을 사용하였다. 즉, 채취한 피부를 냉동 절단(frozen section)한 다음 헤마톡실린(hematoxylin)으로 염색하였으며, 이것을 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도 5는 실시예 3의 화장료 도포 전/후의 피부 단면 사진이다. 실시예 3의 화장료 도포 1주일 후 각질의 양이 확연히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피부 정면 사진을 현미경을 이용하여 측정한 것이다. 화장료 도포 전에 과각질화가 보이던 피부가 매끄럽고 균일한 상태로 되어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의 실험으로 각질 박리 효과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파파인, 데아닌 및/또는 N-아세틸글루코사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시킴으로써 피부 항상성을 유지시키면서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피부 각질 박리 및 건강을 유지시켜주는 각질 박리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었다.

Claims (5)

  1. 파파인 및 데아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각질 박리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파인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5.0 중량%로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아닌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5.0 중량%로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N-아세틸글루코사민을 더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N-아세틸글루코사민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5.0 중량%로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060070765A 2006-07-27 2006-07-27 피부 각질 박리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938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0765A KR100793825B1 (ko) 2006-07-27 2006-07-27 피부 각질 박리용 화장료 조성물
US11/720,281 US8377434B2 (en) 2006-07-27 2006-11-28 Cosmetic composition for exfoliating skin keratin
JP2009521684A JP5084831B2 (ja) 2006-07-27 2006-11-28 皮膚角質剥離用化粧料組成物
PCT/KR2006/005055 WO2008013342A1 (en) 2006-07-27 2006-11-28 Cosmetic composition for exfoliating skin kerat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0765A KR100793825B1 (ko) 2006-07-27 2006-07-27 피부 각질 박리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3825B1 true KR100793825B1 (ko) 2008-01-11

Family

ID=38981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0765A KR100793825B1 (ko) 2006-07-27 2006-07-27 피부 각질 박리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377434B2 (ko)
JP (1) JP5084831B2 (ko)
KR (1) KR100793825B1 (ko)
WO (1) WO200801334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9767B1 (ko) 2008-11-21 2011-01-20 (주)더페이스샵 파파인과 노팔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각질 박리용 화장료 조성물
KR20120015021A (ko) * 2010-08-11 2012-02-21 (주)아모레퍼시픽 데아닌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항여드름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L229532B1 (pl) 2014-05-29 2018-07-31 Lipolek Spolka Z Ograniczona Odpowiedzialnoscia Żelowy preparat soli sodowej heparyny do podawania naskórnego
LT6177B (lt) 2014-10-10 2015-07-27 Uab "Biocentras" Fermentų kompleksų išskyrimas iš steptomyces gougerotii 101, daugiafermentinių biopreparatų ruošimas bei taikymas
CN109568168B (zh) * 2017-09-28 2022-09-13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促进皮肤角质更新的效果优异的皮肤外用剂组合物
US20240075112A1 (en) * 2020-11-25 2024-03-07 Topix Pharmaceuticals, Inc. Scar treatment composi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9501A (ko) * 1999-05-06 2001-08-22 카렌 에이. 로우니 N-아세틸 글루코사민을 사용한 박피 방법
KR20010100228A (ko) * 2000-03-20 2001-11-14 김상회 각질 제거용 러빙크림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66142A (en) * 1995-07-20 1999-02-02 Riordan; Neil H. Skin treatment system
JP3543478B2 (ja) * 1996-04-24 2004-07-14 株式会社コーセー 皮膚外用保湿剤及びそ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US20020142013A1 (en) 2001-01-31 2002-10-03 Maes Daniel H. Cholesterol sulfate and amino sugar compositions for enhancement of stratum corneum function
US7241456B2 (en) * 2002-10-25 2007-07-10 Australian Importers Ltd. Formulations for topical delivery of bioactive substances and methods for their use
WO2004093865A1 (en) 2003-04-24 2004-11-04 Amorepacific Corporation Composition for slimming
JP2006160711A (ja) 2004-12-10 2006-06-22 Sekisui Chem Co Ltd 皮膚外用組成物及び皮膚外用貼付剤
US7351745B2 (en) * 2004-12-22 2008-04-01 Avon Products,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heir use for improving the condition and appearance of skin
KR20060072569A (ko) 2004-12-23 2006-06-28 주식회사 엔지뱅크 리포좀 마이크로캡슐에 의해 안정화된 파파인 효소 조성물및 이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9501A (ko) * 1999-05-06 2001-08-22 카렌 에이. 로우니 N-아세틸 글루코사민을 사용한 박피 방법
KR20010100228A (ko) * 2000-03-20 2001-11-14 김상회 각질 제거용 러빙크림 조성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9767B1 (ko) 2008-11-21 2011-01-20 (주)더페이스샵 파파인과 노팔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각질 박리용 화장료 조성물
KR20120015021A (ko) * 2010-08-11 2012-02-21 (주)아모레퍼시픽 데아닌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항여드름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WO2012020966A3 (ko) * 2010-08-11 2012-05-03 (주)아모레퍼시픽 데아닌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항여드름용으로서의 용도
US8557793B2 (en) 2010-08-11 2013-10-15 Amorepacific Corporation Theanine derivative,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use thereof for alleviating acne
KR101698436B1 (ko) 2010-08-11 2017-01-20 (주)아모레퍼시픽 데아닌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항여드름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084831B2 (ja) 2012-11-28
US8377434B2 (en) 2013-02-19
US20100254969A1 (en) 2010-10-07
JP2009544694A (ja) 2009-12-17
WO2008013342A1 (en) 2008-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66464B2 (en) Cosmetic composition to accelerate repair of functional wrinkles
Husein el Hadmed et al. Cosmeceuticals: peptides, proteins, and growth factors
JP6157448B2 (ja) 美容用又は治療用組成物中の天然有効成分の使用
KR100793825B1 (ko) 피부 각질 박리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37446B1 (ko)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50681B1 (ko) 화장료
KR101165848B1 (ko) 효소 및 아미노산을 함유하는 피부 화장료 조성물
KR101810226B1 (ko) 연어 유래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FR2985183A1 (fr) Composition cosmetique et dermatologique revitalisante
KR101339841B1 (ko) 모발처리제 조성물
US20050249720A1 (en) Cosmetic skin formulation
EP2280718B1 (en) Extracts from plants of the tsuga genus and uses thereof in the treatment of inflammation, irritation and/or infection
KR101585913B1 (ko) 말 사골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말 사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90385B1 (ko) 식물성 소재의 2단계 순차적 효소처리 추출물과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3693966B (zh) 一种美白淡斑亮采霜及其制备方法
KR101900717B1 (ko) 당나귀 사골 저분자 젤라틴 펩타이드를 활용한 피부 광노화 방지 및 주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FR3062302A1 (fr) Nouvelle composition cosmetique comprenant de la nacre ou un extrait de nacre
KR20210041783A (ko)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08081483A (ja) 分子ピーリング方法およびピーリング剤
KR100289671B1 (ko) 송이 추출물과 삭카라이드 이소머레이트를 함유한 피부 화장료조성물
KR102611907B1 (ko) 스피큘 추출물을 함유한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60143017A (ko)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RU2742964C2 (ru) Косме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JPWO2002069913A1 (ja) 皮膚改善用組成物セット
WO2016133775A1 (en) Collagen-boosting compositions and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