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9501A - N-아세틸 글루코사민을 사용한 박피 방법 - Google Patents

N-아세틸 글루코사민을 사용한 박피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9501A
KR20010079501A KR1020017000163A KR20017000163A KR20010079501A KR 20010079501 A KR20010079501 A KR 20010079501A KR 1020017000163 A KR1020017000163 A KR 1020017000163A KR 20017000163 A KR20017000163 A KR 20017000163A KR 20010079501 A KR20010079501 A KR 200100795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composition
glucosamine
acetyl
exfoli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0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87830B1 (ko
Inventor
토마스 매몬
데이비드 씨. 갠
Original Assignee
카렌 에이. 로우니
칼라 액세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렌 에이. 로우니, 칼라 액세스, 인크. filed Critical 카렌 에이. 로우니
Publication of KR20010079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95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7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78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8Rubbing or scrubbing compositions; Peeling or abrasive compositions; Containing exfolia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smetics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에 화장제 또는 제약 조성물을 국소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의 박리 및 보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조성물은 아미노당, N-아세틸-D-글루코사민 및 관련 화합물을 포함한다.

Description

N-아세틸 글루코사민을 사용한 박피 방법{Methods of Exfoliation Using N-Acetyl Glucosamine}
본 발명은 피부를 박리시키는데 N-아세틸 글루코사민을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각질층의 최외각층 세포는 낙설(落屑)이라는 통상의 과정에 의해 미세한 입자로 항상 자연적으로 탈피된다. 완전 케라틴화된 조직은 그 세포 구조가 파괴되어 각질층의 표면에 이르게되면, 미시적 수준의 평편세포로 분해되고 피부 표면이 탈피된다. 피부 표면에서의 미시적 수준의 평편세포는 통상 사멸 피부 세포로 불리우며 피부 표면상의 사멸 피부층을 구성한다. 낙설 과정은 1일 14 그램의 양으로 조직을 손실시키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러한 손실은 외피의 하부층 세포에 의해 항상 보충된다. 따라서, 외피층은 마침내 탈피되고 환경중으로 상실되어 사멸될 때까지 연속적인 분화 단계로 표면을 향해 이동해가는 세포로 이루어진다. 낙설은 사멸 피부 세포가 제거될 때 영양소 및 수분이 피부 표면상에서 계속 대체됨으로써 피부의 건강함과 활력이 유지되는 한 과정이다. 통상, 낙설 과정은 약 14 일이 소요된다(즉, 각질층은 탈피될 각질층의 최외각층에 이르는데 14 일이 소요됨). 낙설이 정기적으로 일어나지 않으면 피부 표면은 더 거칠어지고, 더 주름지게되며, 다른 바람직하지 않는 영향이 피부 표면에 나타난다. 그러나, 자연적인 낙설 과정외의 또다른 과정으로서의 박리는 피부에 활력을 주고 건강함을 향상시키는데 종종 이용된다.
박리는 사멸 세포를 피부 표면으로부터 제거하거나 탈피시켜 피부를 보다 건강하고 보다 젊은 상태로 증진시키는 기술이다. 몇몇 화합물, 예를 들어, 알파 히드록시산(AHA), 베타 히드록시산(BHA), 레틴산(레틴 A) 및 효소는 박리제로서 유용하다. AHA와 같은 박리제는 각 평판세포를 결합시키는 결합을 파괴하여 분리 및 탈피시킨다.
여러 다양한 박리를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소비자들마다 피부 유형이 다르기 때문이며, 따라서 소비자의 다양한 각 피부관리 요건을 만족시키는데 유용한 박리제를 사용하는 것이 이롭다. 따라서, 피부의 탈피 능력을 돕고 여러 다양한 피부 유형에 대하여 피부 건강을 촉진시키는 추가의 대체 방식을 계속 모색해왔다. 따라서, 이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박피 유효량의 N-아세틸-D-글루코사민, N-아세틸갈락토사민 또는 이들의 배합물을 함유하는 제약 또는 화장제 조성물을 국소 도포하여 피부를 박리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다른 전형적인 박탈 기술과 같이 유용한 또다른 자연적인 박리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피부를 박리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아미노당을 N-아세틸 글루코사민 형태로 함유하는 국소 도포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놀랍게도, 본 발명자들은 N-아세틸-D-글루코사민 또는 N-아세틸갈락토사민 함유 국소 도포용 조성물이 피부를 박리시킴을 발견해내었다. N-아세틸-D-글루코사민 및 N-아세틸갈락토사민의 배합물은 또한 박리 과정을 향상시키는 키틴을 포함할 수 있다.
아미노당은 생체외에서 표피세포의 부착을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문헌[Brysk, M. Glycoproteins modulate adhesion in terminally differentiated keratinocytes]에는 N-아세틸글루코사민, N-아세틸뉴라민산 및 N-아세틸갈락토사민이, 각질세포를 함께 결합시키는 당단백질의 응집물을 분리하는데 관여하는 것으로 개시되어 있다. 특히, 아미노당은 에테르중에서 균질화에 의해 단일 평편세포로 분리된 각질세포가 재응집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또한, N-아세틸글루코사민 형태의 아미노당은 다른 국소 화장제품, 예를 들어, N-아세틸-D-글루코사민을 포함하는 영양 보충물로서 이용되는 환제 형태의 제품(Life-Force 공급)과 함께 경구용 영양소 보충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종래에는 박리제로서 N-아세틸글루코사민을 사용하여 피부에 국소 도포하기 위한 제약 또는 화장제 조성물을 제제화하는 방법은 제안되지 않았다. 사실상, 국제 공개 제97/12597호에는 국소 박피제로서 N-아세틸-D-글루코사민의 효능을 측정하기 위한 연구에서 이는 효과적이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국제 공개 제97/12579호에서의 박피제는 연결 잔기에 의해 알킬 또는 알케닐쇄에 연결된 탄화수소쇄를 포함하는 화합물이다. 추가로,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 국제 공개 제97/12597호에는 피부를 낙설시키기는데 있어 연결 잔기에 의해 알킬 또는 알케닐쇄에 연결된 탄화수소 부분을 형성하는 단위중의 하나로서 N-아세틸-D-글루코사민만이 포함되어 있다. 국제 공개 제97/12597호에는 N-아세틸-D-글루코사민 단독만으로는 피부를 박리시킬 수 없는 것으로 개시되어 있다.
N-아세틸-D-글루코사민을 함유하는 국소 도포용 조성물이 예를 들어, 각각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 일본 특허 제59013708호, 국제 공개 제98/52576호 및 미국 특허 제5,866,142호에 개시되어 있다. 피부를 연화 및 보습시키기 위해, N-아세틸-D-글루코사민을 함유하는 화장제 조성물이 일본 특허 제59013708호에 개시되어 있다. N-아세틸-D-글루코사민을 함유하는 가려움증 및 통증 경감용 조성물이 국제 공개 제98/52576호에 개시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5,866,142호에는 N-아세틸-D-글루코사민을 포함하는 피부 박리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N-아세틸-D-글루코사민이 존재하면 히스티딘과 같은 다른 화합물에 의해 유도되는 박리에 반응하여 피부에 의해 다량으로 생성되는 히알루론산의 양이 증가한다. 그러나, 박피 활성은 N-아세틸-D-글루코사민에 의한 것은 아니다. N-아세틸글루코사민을 함유하며 피부에 대해 양호한 부착력을 갖는(즉, 피부로부터 떼어지지 않는) 화장제 조성물이 일본 특허 제8188526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문헌에서는 피부를 박리시키는 글루코사민, 특히 N-아세틸-D-글루코사민의 능력이 개시되어 있지는 않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박피 유효량의 N-아세틸-D-글루코사민, N-아세틸갈락토사민 또는 이들의 배합물을 함유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박피 유효량"이라 함은 피부를 박리시키기에 유효한 양을 의미한다. N-아세틸-D-글루코사민, N-아세틸갈락토사민 또는 이들의 배합물의 양은 목적하는 박리의 세기 또는 강도에 따라 다를 것이다. N-아세틸-D-글루코사민 또는 N-아세틸갈락토사민은 조성물중에 조성물의 약 0.01 내지 약 25.0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0.5 내지 약 10.0 중량%,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약 1.0 내지 5.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N-아세틸-D-글루코사민 또는 N-아세틸갈락토사민 자체를 화장제 또는 제약 조성물중에 직접 가하여 혼합하거나 또는 상당량의 N-아세틸글루코사민 또는 N-아세틸갈락토사민 성분을 함유하는 물질의 추출물을 사용하여 동일한 농도를 얻을 수 있다. 이 조성물은 또한 키틴을 함유할 수 있다. 조성물중 키틴의 양은 또한 상기와 같은 박피 유효량으로 존재한다.
박리화 강도는 또한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는 빈도수로 조절할 수 있고, 조성물은 피부를 박리시키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주기적으로 도포한다. 따라서, 조성물은 도포되는 시간동안 2 개월 이상, 바람직하기로는 4 개월 이상의 기간 동안 피부에 주기 단위로 도포한다. 그러나, 조성물의 바람직한 사용 방법은 조성물을 장기간 국소 도포하여 피부를 박리시키는 것이다. "장기간" 도포의 한 예는 주당 약 1 내지 4 또는 5 회, 바람직하기로는 매일,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매일 2 회의 범위로 투여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장기간" 도포라 함은 국소 도포의 기간이 사용자의 생애동안, 바람직하기로는 약 6 개월 이상 내지 약 20 년, 더 바람직하기로는 약 1 년 내지 약 10 년, 더욱 더 바람직하기로는 약 2 년 내지 약 5 년일 수 있음을 의미하며, 이는 정규적인 낙설을 초래하며, 나이듦에 따른 노화 또는 광노화에 의한 잔주름 또는 주름 양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박피 유효량의 N-아세틸-D-글루코사민 또는 N-아세틸갈락토사민외에 조성물의 목적하는 최종 용도에 따라 다른 임의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것으로는 비제한적으로, 추가의 박피제, 방부제, 향료, 연화제, 방부제, 소염제, 항세균제, 안정화제, 산화방지제, 비타민, 안료, 염료, 보습제 및 포사제, 또는 조성물중에 화장용으로, 의약용으로 또는 다른 목적으로 존재하는 다른 종류의 물질이 있다. 이러한 성분은 CTFA 국제 화장제 성분 사전(International Cosmetics Ingredients Dictionary)에서 찾아볼 수 있다. 추가의 박피제의 예로는 비제한적으로, AHA(예를 들어, 락트산) 또는 BHA(예를 들어, 살리실산)와 같은 화학적 박리제 또는 물리적 박리제, 예를 들어, 푸미세, 폴리에틸렌, 호두껍질 분말 등 또는 이들의 배합물이 있다. 추가의 박피제 단독 또는 배합물중의 박피제의 양은 박리제의 유형 및 목적하는 박피 세기에 따라 다를 것이다. 사용되는 방부제는 제제 중량의 약 0.01 내지 약 2.00%, 바람직하기로는 약 0.02 내지 약 1.00%의 양일 수 있다. 적합한 방부제의 예는 BHA, BHT, 프로필렌 파라벤, 부틸 파라벤 또는 메틸 파라벤, 또는 그의 이성질체, 동족체, 유사체 또는 유도체이다.
국소 도포의 경우, 조성물은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여러 화장제 및(또는) 제약용으로 허용가능한 여러 비히클과 함께 제제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제약용으로 또는 화장용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제제중의 다른 성분을 조절하기에 적합한 양으로 포함한다. "제약 및(또는) 화장용으로 허용가능한 비히클"이라 함은 약제 또는 화장제로 사용하는 경우 N-아세틸-D-글루코사민 또는 D-아세틸갈락토사민이 가용성이지만 사람 또는 다른 수용체에 해를 일으키지 않는 범위내에 속하는 염기를 가리킨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제약" 또는 "화장제"라 함은 사람 및 동물 약제 또는 화장제 모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N-아세틸-D-글루코사민 또는 N-아세틸갈락토사민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적합한 염기의 종류에는 몇 가지로 제한되어 있다. 비히클은 수성, 비수성 또는 이들의 목적하는 제제에 적합한 조합일 수 있다.
조성물은 피부에 국소 투여하기에 편리한 어떠한 형태로든지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로는 비제한적으로, 겔, 크림, 분산액, 에멀젼(유중수 또는 수중유), 현탁액, 크림, 로숀, 겔, 발포체, 무스 등이 있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있어서, 담체는 현탁액, 분산액 또는 에멀젼이다. 에멀젼은 수중유 에멀젼 또는 유중수 에멀젼일 수 있다. 이들 현탁액은 1 종 이상의 오일 성분, 수성 성분 및 목적하는 에멀젼의 특성에 따라 선택되는 특정 유화제 성분을 함유한다.
본 발명은 다음의 비제한적인 실시예로 더 예시하였다.
<실시예 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재료를 혼합하여 상기와 같은 순서로 배합하였다. 박리시키기 위한 피부에 조성물을 국소 도포하였다.
<실시예 Ⅱ>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재료를 혼합하여 상기 순서로 배합하였다. 박리시키기 위한 피부에 조성물을 국소 도포하였다.
<실시예 Ⅲ>
낙설에 대한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N-아세틸-D-글루코사민을 함유하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연구하였다. 이 시험에 참여할 각 패널을 선별하였다. 선별된 참가자들은 연령이 21 세 내지 65 세인 15 명의 여성이었다. 참가자들에 자탁에서 1일 2 회로, 한 번은 아침에 세정후에, 다른 한 번은 저녁에 잠자기 적어도 15 분 전에 4 주 동안 오른손에 자가 투여하도록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공하였다. 왼손은 처리되지 않은 대조용 샘플로 하였다. 참가자들에 연구할 조성물만 사용하도록 하고, 1일 일지에 그 사용 내역을 기록하도록 하였다. 참가자들은 2 내지 4 주 간격으로 12 시간 이상 동안 본 발명의 조성물을 도포하지 않고 다시 시험하였다. 참가자들은 보습제 또는 손에 바르는 임의의 다른 제품을 사용하지 않고 시험하였다. 참가자들의 피부는 약 38.9 ℃(70℉) 및 약 40%의 상대 습도로 20 분 동안 적응시켰다.
피부 박리는 D-스켐(Squame) 디스크 및 분석으로 측정하였다. 특히, D-스켐 디스크를 이용하여 피부 표면으로부터 제거된 박편의 양을 측정하였다. 손 고정 균일 압력 장치(hand held uniform pressure device)를 이용하여 4개의 D-스켐 디스크를 양 손등에 단단히 고르게 압착시켰다. 디스크를 피부로부터 잡아당겨 제거하였다. 디스크를 제거한 후, 투명한 전자현미경 슬라이드 위에 올리고, 영상 분석기 OPTIMA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카메라로 슬라이드를 촬영하고, 평균 회백질값을 측정하여 상응하는 각질층의 밀도를 결정하였다. 샘플의 밀도가 클수록 회백질값 차이가 더 크다.
시험 결과,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처리되지 않은 대조용 손 영역과 비교해 볼 때 처리 2 주 및 4 주후에 피부 박리를 감소시켰다. 2 주 후에는 약 15.8% 감소하였고, 4 주 후에는 피부 박리가 약 16.3%가 감소하여 낙설에 유용함을 보여주었다.

Claims (10)

  1. N-아세틸-D-글루코사민, N-아세틸갈락토사민 및 이들의 배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당 박피 유효량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의 박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아미노당이 조성물 중량의 약 0.01 내지 약 25.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아미노당이 조성물 중량의 약 0.5 내지 약 10.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아미노당이 조성물 중량의 약 1.0 내지 약 5.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조성물을 4 개월 이상의 기간 동안 피부에 도포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조성물을 매주 도포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조성물을 2 개월 이상의 기간 동안 피부에 도포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조성물을 주당 약 4 내지 약 5 회 도포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조성물을 1일 2 회 도포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키틴을 더 포함하는 방법.
KR10-2001-7000163A 1999-05-06 2000-04-26 N-아세틸 글루코사민을 사용한 박피 방법 KR1004878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306,314 1999-05-06
US09/306,314 US6413525B1 (en) 1999-05-06 1999-05-06 Methods of exfoliation using N-acetyl glucosam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9501A true KR20010079501A (ko) 2001-08-22
KR100487830B1 KR100487830B1 (ko) 2005-05-06

Family

ID=23184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0163A KR100487830B1 (ko) 1999-05-06 2000-04-26 N-아세틸 글루코사민을 사용한 박피 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6413525B1 (ko)
EP (1) EP1096917B1 (ko)
JP (1) JP2002544154A (ko)
KR (1) KR100487830B1 (ko)
AT (1) ATE472995T1 (ko)
AU (1) AU749807B2 (ko)
CA (1) CA2335495C (ko)
DE (1) DE60044633D1 (ko)
ES (1) ES2348218T3 (ko)
HK (1) HK1037135A1 (ko)
WO (1) WO2000067722A1 (ko)
ZA (1) ZA20010010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3825B1 (ko) * 2006-07-27 2008-01-11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각질 박리용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82237A1 (en) * 2001-03-22 2002-12-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kin care compositions containing a sugar amine
WO2004058215A2 (en) * 2002-12-20 2004-07-15 St. Tropez Stain remover composition for skin care
DE10338615A1 (de) * 2003-08-22 2005-03-17 Beiersdorf Ag Reinigungsmaske mit pH neutraler Wirkung
CN1901920B (zh) * 2003-11-21 2013-12-25 雀巢技术公司 含有氨基葡糖的食物组合物
EP1749532B1 (en) * 2004-05-21 2014-04-23 Tottori University Drug for remedy or treatment of wound
EA013945B1 (ru) * 2005-05-13 2010-08-30 Нестек С.А.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обогащенного глюкозамином растительного сырья из различных видов растений
EP1890709B1 (en) * 2005-05-13 2011-11-09 Nestec S.A. Production of glucosamine from plant species
US20080050331A1 (en) * 2006-08-23 2008-02-28 Paolo Giacomoni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 Protease Activator
WO2012154903A1 (en) 2011-05-10 2012-11-15 Active Organics, Inc. Compositions containing extracts of mucor miehei and mucor rouxii
AU2014345675B2 (en) 2013-11-05 2018-06-14 Société des Produits Nestlé S.A. Generation of glucosamine from plant material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3708A (ja) 1982-07-14 1984-01-24 Shiseido Co Ltd 化粧料
US5215759A (en) * 1991-10-01 1993-06-01 Chanel, Inc. Cosmetic composition
US5874463A (en) * 1994-10-24 1999-02-23 Ancira; Margaret Hydroxy-kojic acid skin peel
JPH08188526A (ja) 1995-01-10 1996-07-23 Kira Keshohin Kk 化粧料
US5866142A (en) 1995-07-20 1999-02-02 Riordan; Neil H. Skin treatment system
FR2739556B1 (fr) 1995-10-04 1998-01-09 Oreal Utilisation de carbohydrates pour favoriser la desquamation de la peau
IT1288257B1 (it) 1996-11-29 1998-09-11 Paoli Ambrosi Gianfranco De Composizione per uso cosmetico,farmaceutico o dietetico a base di un aminozucchero e/o di un acido poliidrossilico
ES2221176T3 (es) 1997-05-21 2004-12-16 Bio Minerals N.V. Uso de glucosamina y derivados de glucosamina para el alivio rapido del picor o dolor localizado.
US6159485A (en) 1999-01-08 2000-12-12 Yugenic Limited Partnership N-acetyl aldosamines, n-acetylamino acids and related n-acetyl compounds and their topical us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3825B1 (ko) * 2006-07-27 2008-01-11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각질 박리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335495A1 (en) 2000-11-16
ES2348218T3 (es) 2010-12-01
DE60044633D1 (de) 2010-08-19
WO2000067722A1 (en) 2000-11-16
CA2335495C (en) 2007-01-30
AU4665700A (en) 2000-11-21
JP2002544154A (ja) 2002-12-24
ZA200100101B (en) 2002-05-07
US6413525B1 (en) 2002-07-02
EP1096917B1 (en) 2010-07-07
HK1037135A1 (en) 2002-02-01
KR100487830B1 (ko) 2005-05-06
EP1096917A1 (en) 2001-05-09
AU749807B2 (en) 2002-07-04
ATE472995T1 (de) 2010-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10478B1 (fr) Produit pour application topique contenant une lipase et un precurseur d&#39;actif
JP3802034B2 (ja) ベツリン酸を含む化粧品組成物
EP0938891B1 (fr) Composition cosmétique contenant de l&#39;acide cinnamique et son utilisation
EP1889642B1 (fr) Compositions cosmétiques associant un dérivé C-glycoside et un dérivé N-acylaminoamide
KR100487830B1 (ko) N-아세틸 글루코사민을 사용한 박피 방법
EP0970691B1 (fr) Produit pour application topique contenant une lipase, un précurseur de vitamine et un alcool gras
DE69632237T2 (de) Kosmetische Zusammensetzungen enthaltend Tricholinecitrat
EP0713696B1 (fr) Produit pour application topique contenant une lipase et un precurseur d&#39;hydroxyacide
US6340456B1 (en) Use of a flavonoid extract of ginkgo biloba substantially devoid of terpenes, in the dentibuccal field, and composition containing such extract
US20030031689A1 (en) Method of skin exfoliation
JP3162027B2 (ja) 化粧料におけるケイ皮酸またはその誘導体の用途
AU2002324634A1 (en) Method of skin exfoliation
FR2767056A1 (fr) Utilisation d&#39;un 2-amino-alcane polyol en tant qu&#39;agent destine a traiter les signes du vieillissement cutane
JP3101090B2 (ja) 皮膚外用剤
JPH09255546A (ja) 皮膚外用剤
EP1009378A1 (fr) Utilisations d&#39;extraits de la plante rhoeo discolor dans le domaine de la cosmetique et de la pharmacie, notamment de la dermatologie
JP2001508789A (ja) 皮膚の生態と適合性の化粧料用又は皮膚医薬用製品
CA2619479C (e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 protease activator
WO1995024896A2 (en) Use of antagonists of egf or tgf-alpha for the treatment and prophylaxis of ac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