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7446B1 -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7446B1
KR101737446B1 KR1020160104670A KR20160104670A KR101737446B1 KR 101737446 B1 KR101737446 B1 KR 101737446B1 KR 1020160104670 A KR1020160104670 A KR 1020160104670A KR 20160104670 A KR20160104670 A KR 20160104670A KR 101737446 B1 KR101737446 B1 KR 1017374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cosmetic composition
concentration
solution
hyaluronic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4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운
권중기
조영호
이승훈
하오 첸
쳉비 추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트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트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트윈
Priority to KR1020160104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74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7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74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mammals or bird
    • A61K8/985Skin or skin outgrowth, e.g. hair, na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5Mucopolysaccharides, e.g.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돈피분쇄균질물, 베타글루칸액, 히알루론산액, 실크펩타이드액 및 해양심층암반 미네랄수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혼합비율 및 저분자화된 혼합제제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은 효소적, 화학적으로 펩타이드화 하지 않고도 우수한 피부침투효과를 부여함으로써 피부보습효과 이외에도 항산화, 피부재생, 피부 가려움증 완화 효과가 뛰어나 제품의 제조경쟁력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Moisturizing}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저 분자량의 돈피분쇄균질물, 베타글루칸액, 히알루론산액, 실크펩타이드액에 해양심층암반 미네랄수를 첨가하여 구성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재생, 항염 또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다양한 외부자극(화학물질, 대기오염물질, 건조한 환경, 자외선 등)에 대한 방어와 피부를 통한 체내 수분의 과도한 발산을 막는 장벽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장벽기능은 각질형성세포로 구성된 각질층이 정상적으로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만 그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각질형성세포는 표피의 최하층에서 지속적으로 증식하는 기저세포가 단계적으로 형태 및 기능상의 변화를 거쳐 수분을 함유하면서 얇은 각질층으로 발달하는 특징적인 세포이며, 일정 기간이 경과하면 오래된 각질세포는 피부에서 탈락되고 새로운 각질세포가 그 기능을 대신하는 각화과정을 반복적으로 거친다.
이러한 각질층은 생활 습관적 요인(과도한 세안, 목욕)이나 환경적인 요인(건조한 대기 오염 물질) 및 내인성 질환(아토피성 피부, 노인성 피부) 등에 의해 그 기능이 소실될 수 있으며, 최근에는 전 세계적으로 아토피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건선, 알레르기 비염, 천식 등과 같은 다양한 환경성 피부 질환의 발생 빈도가 많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은 질환들은 기존의 통상적인 수분보유기능을 갖는 보습제만으로도 증상 완화는 기대할 수 있지만 근본적인 치유는 어려운 실정이다.
상기의 환경성 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피부 보습이 필수적인데, 종래에는 적절한 피부 수분을 유지하기 위하여 외부로부터 수분을 공급하거나, 체내로부터의 수분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어 왔으며, 실제로 수분 보유 능력이 있는 다양한 보습제가 개발되어 왔다. 수분을 흡수하는 성질이 있는 흡습성 물질(humectant)로는 솔비톨, 2-피롤리돈-5-카르본산나트륨,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의 물질이 있는데, 피부에 도포 시 끈적임이 심하거나 눅진한 느낌이 드는 단점이 있다. 수분 증발을 방지하는 폐쇄 보습제(occlusive moisturizer)로는 세라마이드 등의 지질 성분이나 필수 지방산 및 지질 복합체 등이 있는데(J. Invest. Dermatol. 5, 731-740, 1994), 유화 제형의 안정도를 유지하기 어려운 단점과 투명한 젤 상의 제품을 제조하는 데 부적합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피부 건조를 막고 면역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개발된 여러 화장료들의부작용, 효능이 뛰어나지 못하는 점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천연의 세포외 기질(ECM, extracellular matrix)에서 피부 보습 성분 및 피부 면역강화 성분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찾으려고 연구 노력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콜라겐과 엘라스틴은 피부 속 진피층의 구성 성분으로 피부의 형성과 기능유지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단백질들로서, 이들 단백질들의 합성 촉진에 의해 세포 대사가 활발해지면 진피 메트릭스의 성분이 증가되어 주름개선, 탄력증진, 피부강화 및 상처치유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특히, 콜라겐을 쉽게 얻을 수 있어, 이에 따라 콜라겐을 피부 보호용 화장품 조성물로 하는 콜라겐을 배합한 제품들이 다수 판매되고 있으나, 피부 표면에 도포하는 화장품은 고분자인 콜라겐의 경피흡수가 어려워 피부의 보습작용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있다.
베타글루칸은 다당류의 일종으로 인간의 정상적인 세포조직의 면역기능을 활성화시켜 압세포의 증식과 재발을 억제하고 면역세포의 기능을 활발하게 하는 인터루킨 및 인터페론의 생성을 촉진시킨다. 그러나, 베타글루칸은 겔화 능력과 수용액에서의 높은 점성 때문에 소규모 식품 산업에서만 이용하고 있으며, 베타글루칸을 식품 및 의약품 등 다양한 이용을 위해서는 낮은 분자량, 물에 대한 수용성 및 흡수성 증가뿐만 아니라 면역학적 반응에 효율적인 베타글루칸이 요구된다.
최근 실크 펩타이드가 보습 효과를 보유하고 있음과 이를 화장료로 사용할 수 있음이 알려져 있으나 짧은 시간에 한정되어 있는 보습 효과에 대한 것들이 대부분이기에 실제 소비자들이 사용할 때에 충분한 보습 효과를 획득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최근 들어 콜라겐 펩타이드는 건강식품, 외과용 또는 안과용 치료제 또는 화장품용 첨가제로 사용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로서 이들 천연에서 추출한 콜라겐 펩타이드가 식품학적, 약제학적 및 화장품으로 볼 때 법적으로 허용된 부형제와 함께 사용되어야 하고 또한 보습효과와 주름살 개선 효과를 나타내려면 이들 부형제와 혼화성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화장품은 얼굴을 포함한 신체의 특정 부위에서 피부와 반응하여 원하는 효과를 나타내게 하는 것이므로 수용성 및 유화성이 중요한 과제이다. 본 발명은 여기에 착안하여, 피부로의 침투효과를 극대화 시켜 보습성이 우수하면서도 경제적인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여 일반 소비자 및 아토피 환자들이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피부보호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기술로 한국공개특허 2003-74577(특허문헌 0001)은 우피, 돈피, 소뼈, 어류 등에 산, 알칼리 처리하여 콜라겐 펩타이드를 추출한 후, 단백질 분해효소로 저분자화하여 살균, 건조하는 방법이다. 한국등록특허 10-1415367(특허문헌 0002)은 하프물범 가죽을 초임계 장치를 이용하여 오일을 분리하고 알칼라아제 및 플라보자임을 이용하여 가수분해함으로써 하프물범 콜라겐 펩티드를 제조하여, 이를 산화적 스트레스 및 당뇨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용도로 활용하거나 화장용 조성물로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은 콜라겐의 흡수를 높이기 위해 알칼리 처리를 하여 저분자화 시킨다는 점에서 본 발명과는 다른 기술이다.
한국등록특허 10-1634963(특허문헌 0003)은 β-(1,3) 결합으로 연결된 글루코스 주쇄를 갖는 베타글루칸으로서, 상기 주쇄의 글루코스들 중 적어도 하나는 분지된 글루코스와 β-(1,4) 결합으로 연결되며, β-글루코시드 결합들 중 β-(1,4) 결합이 30% 이상인 베타글루칸을 포함하는 성장 촉진용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한국등록특허 10-1598934(특허문헌 0004)는 새로운 누에품종인 황금누에(Golden Silk)의 누에고치 추출물을 서브마이크론 에멀젼화 함으로써 피부 각질층 지질의 유동성을 증가시켜 피부의 자극을 줄이면서 황금누에고치 추출물에 함유된 활성성분의 피부 투과율을 증가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은 베타글루칸과 누에고치 추출물의 기능성에 관한 것이라는 점에서, 혼합 조성물의 기능을 증강시키고 시너지 효과를 내기 위한 본원 발명과는 다른 기술이다.
특허문헌 0001: 한국공개특허 제2003-74577호 특허문헌 0002: 한국등록특허 제10-1415367호 특허문헌 0003: 한국등록특허 제10-1634963호 특허문헌 0004: 한국등록특허 제10-159893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천연의 세포외 기질(ECM, extracellular matrix)에서 피부 보습 성분 및 피부 면역강화 성분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찾기 위해 연구 노력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돈피분쇄균질물, 베타글루칸액, 히알루론산액, 실크펩타이드액 및 해양심층암반 미네랄수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피부보습효과를 비롯한 다양한 피부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되, 각 성분들이 피부에 잘 흡수되도록 하기 위한 혼합물과 혼합비율을 개시함으로써, 가격 경쟁력을 증대화한 화장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돈피분쇄균질물, 베타글루칸액, 히알루론산액, 실크펩타이드액 및 해양심층암반 미네랄수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본 발명인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상기 혼합물은 돈피분쇄균질물, 베타글루칸액, 히알루론산액, 실크펩타이드액 및 해양심층암반 미네랄수를 25: 10: 10: 10: 0.33~0.66 중량비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본 발명인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상기 혼합물은 전체 화장료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12.5 중량%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본 발명인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상기 혼합물은 돈피, 실크펩타이드, 베타글루칸, 히알루론산을 증류수에 침지 또는 용해한 다음, 30 내지 50 kGy의 흡수선량을 갖도록 감마선을 조사하여 저분자화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혼합비율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은 돈피분쇄균질물 중 콜라겐과 엘라스틴을 주요성분으로 추출, 펩타이드화 하지 않고도 피부침투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돈피분쇄균질물은 엘라스틴, 케라틴 등 피부 구성 결합조직 단백질을 포함하고 있어 콜라겐만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보다 피부미용, 보습, 피부노화 방지에 더욱 효과적이며, 이로 인해 제품의 제조경쟁력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혼합제제들은 안전성이 입증된 천연 물질을 사용하여 피부에 대해 안전하면서도 피부재생 및 항염 효과가 우수하여, 외부 자극에 대한 염증을 경감시키는 효능을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다양한 원료의 첨가에 따라 문제되는 피부 사용감 악화의 문제를 현저하게 개선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인 화장료 조성물은 뛰어난 항산화 효과를 발휘하여 피부노화를 방지하고, 피부미백효과 및 가려움증 완화에 대해서도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보습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겔 시료 및 착용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돈피분쇄균질물, 베타글루칸액, 히알루론산액, 실크펩타이드액 및 해양심층암반 미네랄수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돈피분쇄균질물은 돼지의 등피를 세척, 침지하는 단계, 침지된 돈피를 냉동한 다음 감마선 조사하여 콜라겐, 엘라스틴, 케라틴 등 피부 구성 결합조직 단백질들을 부분적으로 약화/소편화시키는 단계, 소편화된 돈피를 가열하여 끓이는 단계 및 기름을 제거하고 돈피만을 분쇄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콜라겐은 경단백질 또는 교원질이라고도 하며 무척추동물이나 척추동물 등의 다세포동물에 널리 분포하며 양적으로도 가장 많이 발견되는 경단백질이다. 콜라겐의 기본적 구조단위는 분자량 약 30만의 트로포콜라겐이다. 이 분자는 3가닥의 폴리펩티드사슬이 오른쪽 꼬임의 3중 나선구조로 되어 있다. 트로포콜라겐분자는 회합하여 콜라겐 섬유(교원섬유)를 형성하는데 각 분자는 축 방향으로 1/4씩 어긋나게 배열되어 64nm 간격의 독특한 줄무늬를 형성하면서 동물의 생장과 함께 분자 사이에 다리 걸친 구조가 생겨 불용성으로 된다. 그러나 콜라겐을 열수나 묽은 알칼리에서 오래 끓이면 물에 녹는 유도단백질 젤라틴으로 변한다.
상기 돈피분쇄균질물은 콜라겐 뿐만 아니라 엘라스틴, 케라틴 등 피부 구성 결합조직 단백질을 포함하고 있어 콜라겐만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보다 피부미용, 보습, 피부노화 방지에 더욱 효과적이다.
베타글루칸은 효모의 세포벽, 버섯류, 곡류 등에서 추출한 다당류의 일종으로서 정상적인 세포조직의 면역기능을 활성화시켜 암세포의 증식과 재발을 억제하고 면역세포의 기능을 활발하게 하는 인터루킨(interleukin) 및 인터페론(interferon)의 생성을 촉진 시킨다. 활성 베타글루칸은 암세포가 있는 체내로 들어가 사이토카인(cytokine)을 생산시킴으로써 면역 세포인 T 세포와 B 세포의 활동을 지원하여 세포조직의 면역기능을 활성화 시켜준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에 감마선을 조사하여 저분자화 된 베타글루칸을 상기 혼합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15 중량%를 부여함으로써 피부 면역증강 및 염증개선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히알루론산은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에서 저습도, 고습도 조건하에서 거의 같은 정도의 높은 흡습성과 독특한 사용감촉이 있기 때문에 상기 혼합물 총중량에 대하여 10~15 중량%를 배합한다.
실크펩타이드는 실크 유래 단백질 및 그 분해 산물로, 실크(silk)라 함은 누에의 유충이 뽕잎을 먹고 자라는 동안 탈피를 반복하면서 성충이 되기 위해 토사관으로 견사를 방출하여 생성된 누에고치(cocoon)의 주요 성분을 말한다. 실크의 주성분은 피브로인(fibroin) 및 세리신(sericin)으로 알려져 있으며, 가수분해에 의해 필수 아미노산 8종을 포함한 18종의 다양한 천연 아미노산을 함유하는 펩타이드가 생성되는데, 이를 실크 펩타이드(silk peptide)라 칭한다. 상기 혼합물 총 중량의 10~15 중량%에 해당하는 실크펩타이드의 공급으로 미백기능이 가능하게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해양심층암반 미네랄수는 해양심층수와 달리 미네랄이 풍부한 해양 심층 암반석에서 순수이온미네랄을 추출하여 고농도(2만배)로 농축하여 저장 후 이를 용도에 맞춰 희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해양심층암반 미네랄수는 마그네슘, 규소, 인, 황, 칼륨, 칼슘, 바나듐, 망간, 철, 코발드, 니켈, 구리, 아연, 게르마늄, 셀렌, 몰리브덴 등 미량원소가 광천수에 비해 풍부해서 부족해지기 쉬운 미네랄 중 미량 원소을 보충해 준다. 상기 혼합물 총 중량의 0.33~0.66 중량%에 해당하는 해양심층암반 미네랄수의 공급으로 피부 면역력 회복과 가려움증 억제, 자연적인 피부세정, 항균, 보습기능이 가능하게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상기 돈피분쇄균질물, 베타글루칸액, 히알루론산액, 실크펩타이드액 및 해양심층암반 미네랄수를 특정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면 상승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최적 배합비로는 돈피분쇄균질물, 베타글루칸액, 히알루론산액, 실크펩타이드액 및 해양심층암반 미네랄수가 25: 10: 10: 10: 0.33~0.66 중량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0 중량% 이상의 양으로 함유되며, 10~12.5 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험예의 결과들을 분석하여볼 때 10.0 중량% 미만으로 함유되는 경우에는 활성이 약하고, 12.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효능에 큰 차이가 없어 경제성이 떨어진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돈피, 실크펩타이드, 베타글루칸, 히알루론산을 증류수에 침지 또는 용해한 다음, 30 내지 50 kGy의 흡수선량을 갖도록 감마선을 조사하여 저분자화할 수 있다.
피부 표면에 도포하는 화장품은 고분자인 콜라겐의 흡수가 어려워 피부의 보습작용을 기대하기 어렵고, 베타글루칸은 겔화 능력과 수용액에서의 높은 점성 때문에 피부로의 흡수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특별한 분자량과 농도의 적용이 요구된다. 히알루론산액, 실크펩타이드액의 경우도 감마선 조사를 통해 저분자로 하였을 경우 생리활성 효과가 증가하고 피부 흡수율도 개선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영양크림, 에센스, 팩 또는 연고의 제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외용제로서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유연화장수, 밀크로션, 영양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또는 바디 오일 등의 기초 화장료 및 파운데이션, 립스틱, 마스카라 또는 메이크업 베이스 등의 색조 화장료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세정제로 사용할 경우, 세안제 및 목욕제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 외의 첨가물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통상 사용되는 것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조성물이 의학적인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에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통상의 담체가 포함될 수 있으며, 화장품 등에 적용될 경우에는 화장품 분야에서 약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가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계면활성제, 유화제, 비누산, 용매, 결합제, 희석제, 활택제, 안정제, 항료, 물, 저급알콜,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착색제, 보존제, 항생제, 항산화제, 소포제, 항균제, 항재침착제, 효소, 식물 또는 미네랄 오일, 지방, 형광물질, 살진균제, 굴수성 유발물질, 보습제, 방향제, 방향제 담체, 보존제, 단백질, 실리콘, 용해화제, 당 유도체, 일광차단제, 비타민, 식물 추출물 및 왁스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약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보습, 염증저해(항균), 항산화 및 가려움증 완화용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돈피분쇄균질물, 베타글루칸액, 히알루론산액, 실크펩타이드액 및 해양심층암석 미네랄수의 혼합물은 그 상승작용에 의하여 각각의 성분을 제외한 경우보다 보습과 관련된 인자의 발현 증가 효과(시험예 6), 염증 매개 인자의 발현 억제효과(시험예 8)가 우수하였으며, 항산화 효과(실험예 9), 가려움증 완화 효과(실험예 10)도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아토피 피부 개선용일 수 있다. 아토피의 유발 원인은 확실히 밝혀진 바는 없으나, 주로 각질층의 수분유지기능이 떨어짐에 따라 피부가 건조되어 각질이 쉽게 일어나며, 피부장벽기능이 저하됨에 따라 자극유발물질이 각질층 내로 침입하여 자극을 유발시키고 정상피부에서는 침입하기 어려운 항원 단백질이 침입함에 따라 피부 알러지 등이 용이하게 발생하여 견디기 힘들만큼의 소양증 증상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항균, 보습, 항염의 효과가 우수하므로 아토피 피부 개선용 보습크림 또는 연고 등을 제조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에서 언급된 돈피, 실크펩타이드, 히알루론산, 베타클루칸은 (주) 쿠시드바이오팜에서 구입한 것이며, 미네랄수 원액은 (주)프레이바이오로부터 구입한 것이다.
비교예 1. 돈피분쇄균질물의 제조
도축 후 24시간이 경과한 돼지로부터 분리한 등 피부를 1%의 Vitamin C 용액에 침지한 후 24시간 동안 냉장보관한 후 물기를 제거하고 냉동한 다음 30 kGy의 흡수선량을 갖도록 감마선을 조사하여 콜라겐, 엘라스틴, 케라틴 등 피부 구성 결합조직 단백질들을 부분적으로 약화/소편화시켰다. 감마선 조사된 돼지 등 피부를 90℃로 가열한 증류수에 넣어 약 2시간 이상 침탕 가열하여 지방을 용출시켰다. 분리된 지방을 제거한 후 삶은 피부를 φ3.0 mm의 hole을 가진 meat grinder를 이용하여 마쇄한 후 90℃에서 2시간 동안 다시 한 번 침탕 가열하여 조직 속에 남아있는 지방을 용출시켰다. 마쇄한 돈피에 무게의 4배에 해당하는 1% Vitamin C 용액을 넣고 meat silent cutter를 이용하여 3,000 rpm의 속도로 고속 분쇄하였다. 돈피 분쇄물을 φ0.5 mm 채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그 여액을 모아 균질한 후 응고시켰다.
응고 최소농도 설정 : 돈피분쇄균질물을 80℃ 수조에서 용해한 후 증류수와 희석하여 10, 15, 20, 25, 30, 35, 40, 45, 50%(v/v)의 농도로 준비한 후 petri dish에 20 mL을 넣고 실온에서 방냉시키며 응고시켰다. 방냉 후 petri dish를 뒤집어 1시간 동안 방치한 후 응고물의 형상을 관찰하여 응고 최소 농도를 결정하였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최소농도 25% 이상에서는 돈피분쇄균질물이 응고되어 가공적성이 크게 떨어지게 되므로 가공 소재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25%를 최고 한계 농도로 설정할 수 있었다.
비교예 2. 실크 펩타이드액의 제조
실크 펩타이드를 10.0 mg/mL의 농도로 증류수에 용해한 후 50 kGy의 흡수선량을 갖도록 감마선을 조사하였다. 감마선 조사된 실크 펩타이드의 농도별 최적의 피부미백 효능을 갖는 농도를 선정하기 위해 티로시나아제의 활성 저해 효과와 멜라닌 생합성 저해효과를 측정하였다. 먼저, 50 kGy로 감마선 조사한 후 동결건조하여 준비한 실크 펩타이드를 증류수에 용해하여 0.25, 0.5, 1.0, 2.0, 4.0 mg/mL 농도의 실크 펩타이드 수용액을 준비하였다.
비교예 3. 베타글루칸 용액의 제조
베타글루칸을 10.0 mg/mL의 농도로 증류수에 용해한 후 50 kGy의 흡수선량을 갖도록 감마선을 조사하였다. 감마선 조사된 저분자화된 베타클루칸의 농도별 최적의 면역 효능을 갖는 농도를 선정하기 위해 T 세포 활성도와 염증반응 억제 Cytokine인 인터페론 감마(IFN-γ)와 인터루킨-2(IL-2)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먼저, 50 kGy로 감마선 조사한 후 동결건조하여 준비한 베타글루칸을 증류수에 용해하여 0.25, 0.5, 1.0, 2.0, 4.0 mg/mL 농도의 수용액을 준비하였다.
비교예 4. 히알루론산 용액의 제조
히알루론산을 10.0 mg/mL의 농도로 증류수에 용해한 후 50 kGy의 흡수선량을 갖도록 감마선을 조사하였다. 감마선 조사된 저분자화된 히알루론산의 농도별 최적의 항산화능을 갖는 농도를 선정하기 위해 환원력와 DPPH 라디컬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먼저, 50 kGy로 감마선 조사한 후 동결건조하여 준비한 히알루론산을 증류수에 용해하여 0.25, 0.5, 1.0, 2.0, 4.0 mg/mL 농도의 수용액을 준비하였다.
비교예 5. 해양심층암반 미네랄수 희석액의 제조
미네랄수는 원액을 원액대비 증류수의 양으로 초고농도(1:100), 고농도(1:200), 중농도(1:300), 저농도(1:400), 초저농도(1:500)의 희석비 농도로 증류수에 희석하여 준비하였다. 단순 증류수 처리구는 대조군으로 하여 실험에 비교하였다.
실시예 1 ~ 6 . (돈피분쇄균질물, 베타글루칸액,히알루론산액, 실크펩타이드액 및 미네랄수) 혼합 조성물 제조
상기 비교예 1 내지 5에서 제조된 용액을 표 1의 혼합비에 따라 실시예 1 내지 6의 혼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중량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돈피분쇄균질물 25% 25% 25% 25% 25% 25%
1%(W/V) 베타글루칸 용액 15% 15% - 10% 10% 10%
1%(W/V)히알루론산 용액 - 15% 15% 10% 10% 10%
1%(W/V)실크펩타이드 용액 15% - 15% 10% 10% 10%
미네랄수 원액 0.33% 0.33% 0.33% - 0.33% 0.66%
3차 증류수(또는 정제수) 44.67% 44.67% 44.67% 45% 44.67% 44.34%
제조예 1 내지 5: 실시예 5의 혼합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중 크림의 제조예
상기 실시예 5의 혼합물의 첨가 함량에 반비례하여 물의 함량을 맞추어 총 크림 중량의 70 중량%로 조정하고, 나머지 30 중량%의 원료는 하기 표 2에 기재된 조성으로 제조예 1-1 내지 5에 해당하는 크림을 제조하였다.
순번 성분 함량(중량%)


1

돈피분쇄균질물, 1%(w/v) 베타글루칸 용액, 1%(w/v) 히알루론산 용액, 1%(w/v) 실크펩타이드, 미네랄수 희석액에 정제수를 첨가한 혼합물
0 제조예 1
5.0 제조예 2
7.5 제조예 3
10.0 제조예 4
12.5 제조예 5


2


water
70.0 제조예 1
65.0 제조예 2
62.5 제조예 3
60.0 제조예 4
57.5 제조예 5
3 Cetearyl alcohol 5중량%





30
4 Glyceryl Stearate 2중량%
5 Glyceryl Stearate/PEG-100 Srearate 2중량%
6 Polyglyceryl-3 Methylglucose distearate 2중량%
7 Beeswax 2중량%
8 Caprilic/Capric Triglyceride 2중량%
9 Hydrogenated Polydecene 1중량%
10 Squalane 1중량%
11 Dimethicone 2중량%
12 Trimethylglycine 1중량%
13 Ethyl Hexanediol,Glyceryl Caprylate 1중량%
14 1.3-Butylene Glycol 4중량%
15 Glycerin 4중량%
16 Ammonium Acryloyl dimethyl taurate/VP Copolymer 1중량%
합계 100
실험예 1: 돈피분쇄균질물의 농도별 보습효과 시험
잔탄검 1 중량%, 로스트빈검 1 중량%, 카라기난 0.5 중량%를 용해한 용액에 비교예 1에서 제조된 돈피분쇄균질물 2.5%, 5.0%, 7.5%, 10%, 12.5%, 15%씩 각각 준비하여 겔(gel)을 만들었다. 이때 대조군은 돈피분쇄균질물이 첨가되지 않은 검 혼합용액으로 하였다. 피부 보습효과의 측정은 evapometer를 이용하여 경피수분손실 측정법(transepidermal water loss, TEWL)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피실험자의 안면을 세척한 후 바로 TEWL을 측정한 후 도면과 같이 실험 시료 겔을 2시간 붙인 후 재 측정하여 피부 수분의 손실량을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표 3은 돈피분쇄균질물의 농도에 따른 검류 젤 착용 피부의 수분 손실율(%)을 나타낸 것이다.
돈피분쇄균질물
농도 (%)
피부수분 손실률
(%)
0 18.79 ± 0.42E
2.5 7.31 ± 0.38D
5.0 4.58 ± 0.24C
7.5 2.34 ± 0.15B
10.0 0.16 ± 0.04A
12.5 0.15 ± 0.02A
15.0 0.14 ± 0.03A
(N = 10)
A-E : 농도별로 얻은 결과 값의 어깨문자 중 다른 글자는 평가 항목 당 농도에 따른 통계적 유의성이 있음(p<0.05)을 나타낸다.
보습효과 측정 결과, 검류 젤에 함유된 돈피분쇄균질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농도 의존적으로 강한 보습력을 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10% 이상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2: 최적의 미백기능을 갖는 실크펩타이드 농도결정
<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효과 확인>
0.175M 나트륨 인산염 버퍼(pH 6.8) 0.5 mL에 10 mM L-DOPA(L-3,4-dihydroxyphenylalanine ; Sigma Chemical Co., St. Louis, Mo, USA)를 용해시켜서 기질액을 준비하였다. 상기 기질액 0.4 mL에 비교예 2에서 제조된 각각의 농도의 실크 펩타이드 수용액 0.2 mL 및 버섯 티로시나제(mushroom tyrosinase ; 100 U/ml, sigma USA) 0.2 mL을 첨가하여 25℃에서 15분간 반응시킨 후, 생성된 DOPA 크롬(chrome)을 흡광도 475 nm에서 측정하였다. 이때 대조군은 동량의 증류수를 사용하였다. 티로시나제의 저해 효과는, 하기의 수학식과 같이, 기질액과 버섯 티로시나제를 혼합한 용액에 실크 펩타이드 수용액를 첨가하기 전과 첨가한 후의 흡광도 차이를 계산하여 본원발명의 실크 펩타이드에 의한 티로시나제의 저해율(%)로 나타냈다.
티로시나제의 저해율(%) =
Figure 112016080057001-pat00001
<멜라닌 생합성 저해 효과 확인>
먼저, B16BL6 멜라노사이트(melanocyte)를 24공 평판배양기에 각 웰당 1×105 농도로 분주하고 100 nM α-MSH를 첨가하여 세포를 배양한 후 비교예 2의 방법으로 제조된 각각의 농도의 실크 펩타이드 수용액을 처리하여 7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된 세포를 PBS(phosphate buffered saline, Invitrogen Co., Carlsbad, CA, USA)로 2회 세척한 후 1N NaOH 100 mL를 첨가하여 70℃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하여 추출된 멜라닌을 용해한 후 흡광광도계를 이용하여 405 ㎚에서 멜라닌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합성 멜라닌(Sigma Chemical Co., Saint Louis, MO, USA)을 사용하여 멜라닌 표준곡선(standard curve)을 작성하고, 상기 405 nm 에서 측정된 멜라닌의 흡광도를 대입하여 상기의 실험에 의해 생성된 멜라닌 농도(㎍/mL)를 도출하였다. 상기의 방법에 의해 측정된 티로시나아제의 활성 저해율(%)과 멜라닌 생합성 농도(㎍/mL)는 하기의 표 4에 나타냈다.
실크 펩타이드 농도
(mg/mL)
티로시나아제의 활성 저해율 (%) 멜라민 농도
(㎍/mL)
0 77.82 ± 0.61A 121.24 ± 4.35D
0.25 83.27 ± 0.42B 108.36 ± 4.32C
0.5 85.86 ± 0.23C 104.12 ± 3.23B
1.0 89.47 ± 0.57D 86.52 ± 4.13A
2.0 90.36 ± 0.84D 96.72 ± 6.38AB
4.0 88.15 ± 0.52D 102.56 ± 4.24B
(N = 10)
A-D : 같은 실험항목에서 농도별로 얻은 결과 값의 어깨문자 중 다른 글자는 평가 항목 당 농도에 따른 통계적 유의성이 있음(p<0.05)을 나타낸다.
상기 표의 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50 kGy로 감마선 조사된 실크펩타이드의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율(%)은 농도 의존적으로 높았다. 그러나 1.0 mg/mL 이상의 농도에서는 유의성이 없었다.
방사선 조사된 실크 펩타이드의 멜라닌의 생합성 저해 효과는 농도 의존적이지 않은 결과를 나타냈고, 1.0 mg/mL의 농도에서 가장 효과가 좋았으나, 농도가 증가하면서 생성량이 오히려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상기의 표의 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피부미백 효과가 우수한 실크 펩타이드를 얻기 위해서는 실크 피브로인에 방사선을 50 kGy로 조사하고, 1.0 mg/mL의 농도로 적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3: 베타글루칸의 농도별 생체내 T세포 활성 및 사이토카인 분비능 확인
<생체내(in vivo) T 세포 활성 측정>
실험에 사용한 BALB/c 마우스(6~7주)들은 Orient Inc.(Charles River Technology; Seoul, [0091] Korea)에서 구입하였다. 마우스는 22 ± 2℃의 실내온도와 12시간 간격으로 밤과 낮이 변화는 사육장의 폴리카보네이트 우리(polycarbonate cage)에서 사육하였고 사료(animal diet)와 물을 자유롭게(adlibtum) 주며 사육하였다. 동물들은 대조구(normal control), 0.25, 0.5, 1.0, 2.0, 4.0 mg/mL 농도로 처리된 6개 그룹으로 분류하여 7일 동안 50 mg/kg 체중(body wt)의 농도로 경구투여 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마우스의 비장을 분리한 후 비장세포를 분석하기 전에 RPMI 배양액(medium) 안에서 즉시 유지시킨다. 본 발명에서의 동물실험은 국내 농림부의 '동물 부양 활동(Animal Care Act)'에 따라 시행하였다. 비장 림프구들(Spleenic lymphocytes)은 마우스의 비장(female BALB/c mice)에서 일반적인 분열방법으로 획득하였다. 비장세포들(Splenocytes)은 37℃의 5% CO2 인큐베이터에서 RPMI-1640 배양액과 10% 우태혈청(fetal bovine serum), 100 U/ml 페니실린(penicillin), 100 U/ml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과 함께 유지시켰다. 50 kGy로 방사선 조사된 베타글루칸을 농도별로 투여한 마우스의 비장세포 활성을 측정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생체 내(in vivo)에서 비장세포의 면역조절을 알아보기 위하여 마우스의 비장세포 활성측정은 시료를 7일 동안 투여한 마우스의 비장세포를 24 시간 배양 후 MTT 분석으로 세포활성을 측정하였다.
<생체내(in vivo) 사이토카인 분비능 측정>
생체 내(in vivo)에서 비조사구와 비교예 3의 방법으로 제조된 50 kGy로 방사선 조사된 베타글루칸의 농도별 면역자극 기능을 알아보기 위해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Th 1에서 나오는 사이토카인은 ELISA 방법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50 kGy로 감마선 조사된 베타글루칸의 농도별 자극에 의한 비장세포로부터 나오는 사이토카인인 Th 1 세포의 IFN-γ 및 IL-2를 측정하였다.
표 5은 감마선 조사된 베타글루칸 농도별 비장세포 증식률 및 염증억제 사이토카닌 생성량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베타글루칸
농도 (mg/mL)
비장세포
증식률 (%)
Th1 세포의 사이토카인 농도
(pg/mL)
INF-γ IL-2
0 100.00A 364.47 ± 16.33A 312.35 ± 27.43A
0.25 112.31 ± 5.38B 395.49 ± 18.29B 407.64 ± 48.37B
0.5 125.57 ± 9.16B 512.09 ± 39.45C 524.28 ± 58.83C
1.0 186.75 ± 8.83C 684.54 ± 26.83D 673.35 ± 57.36D
2.0 198.07 ± 7.67C 746.72 ± 48.19DE 768.47 ± 69.25DE
4.0 215.83 ± 8.29D 786.37 ± 37.17E 797.65 ± 78.46E
(N = 10)
A-E : 같은 실험항목에서 농도별로 얻은 결과값의 어깨문자 중 다른 글자는 평가 항목당 농도에 따른 통계적 유의성이 있음(p<0.05)을 나타낸다.
50 kGy로 감마선 조사된 베타글루칸을 투여한 마우스의 비장세포 활성은 투여 농도가 증가할수록 증식률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0.5 mg/mL에서 1.0 mg/mL의 처리구간에서 증식률이 가장 크게 증가하였다.
7일 동안 50 kGy로 조사된 베타글루칸을 투여한 마우스의 비장세포의 염증 억제 관련세포인 Th 1에서 나오는 사이토카인인 IFN-r 및 IL-2는 베타글루칸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농도 의존적으로 사이토카인의 분비가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다.
실험예 4: 히알루론산의 항산화능 증진효과 확인
<환원력 측정>
환원력은 3,5-디니트로살리실산 (3,5-dinitrosalicylic acid)(DNSA) 방법(Miller, G. L. 1959)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비교예 4의 방법으로 제조된 시료 1 mL을 15 mL 시험관에 옮기고 DNSA 시약(0.5 g 디니트로살리실산(dinitrosalicylic acid), 8 g sodium hydrate, 150 g rochell salt을 증류수 500 ml에 용해) 2 mL 을 첨가하였다. 그 혼합용액을 5초 동안 혼합한 후 90℃에서 10분간 반응한 다음 냉각하였다. 시료의 환원력 수치는 분광광도계 (spectrophotometer)(UV-1601 PC, Shimadzu Co., Tokyo, Japan)를 이용하여 550 nm에서 흡광도(optical density, OD)를 측정하여 그 값의 변화로 판정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
DPPH 라디칼 소거능은 Kim 등(J. Med. Food 12: 1343-1347, 2009)의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시료 1 mL에 0.2 mM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1 mL을 넣고 교반한 후 30분 동안 실온에 정치한 다음 반응 용액을 분광광도계 (UV-1601PC, Shimadzu, Kyoto, Japan)를 이용하여 517 nm에서 측정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은 다음의 계산식에 의하여 계산되었다.
전자공여능??(%) = (1 - 무첨가구의 흡광도/시료첨가구의흡광도 ) × 100
표 6는 50 kGy로 감마선 조사된 저분자 히알루론산 농도별 환원력(OD)과 DPPH 라디칼 소거능(%)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히알루론산 농도
(mg/mL)
환원력
(흡광도)
DPPH 라디칼 소거능
(%)
0 0.02 ± 0.01A 0
0.25 0.07 ± 0.01B 12.56 ± 5.32A
0.5 0.13 ± 0.02C 34.76 ± 7.23B
1.0 0.43 ± 0.03D 87.29 ± 6.13C
2.0 0.46 ± 0.04DE 97.46 ± 8.38CD
4.0 0.52 ± 0.04E 102.65 ± 9.35D
(N = 10)
A-E : 같은 실험항목에서 농도별로 얻은 결과값의 어깨문자 중 다른 글자는 평가 항목당 농도에 따른 통계적 유의성이 있음(p<0.05)을 나타낸다.
감마선 조사된 히알루론산의 환원력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DPPH 라디칼 소거능도 같은 경향으로 증가하였다. 1.0 mg/mL의 농도에서 가장 증가 폭이 크게 증가한 후 증가세가 둔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5: 해양심층암반 미네랄수의 가려움증 완화효과 확인
<가려움증 완화효과 실험>
실험동물은 60마리의 SHK-1 hairless mice(6주령 암컷 OrientBio, Seungnam, Korea)를 11일간 순화시킨 후 DNCB를 감작시켰으며 DNCB boosting 시작 4주 후 군당 10마리씩 6군으로 구분하여 표 7의 농도 조건으로 준비된 욕조에 입욕시켜 미네랄의 효과를 시험하였다.
구분 내용
대조군 멸균 증류수에 입욕시킨 대조군
초고농도
(1:100)군

DNCB 아토피 피부염 유발후 1:100 희석액이 들어있는 욕조에 입욕시킨 시험군
고농도
(1:200)군

DNCB 아토피 피부염 유발후 1:200 희석액이 들어있는 욕조에 입욕시킨 시험군
중농도
(1:300)군

DNCB 아토피 피부염 유발후 1:300 희석액이 들어있는 욕조에 입욕시킨 시험군
저농도
(1:400)군

DNCB 아토피 피부염 유발후 1:400 희석액이 들어있는 욕조에 입욕시킨 시험군
초저농도
(1:500)군

DNCB 아토피 피부염 유발후 1:500 희석액이 들어있는 욕조에 입욕시킨 시험군
<아토피 피부염의 유발>
Kang 등(2011)과 Park과 Oh(2014)의 방법에 따라 아세톤과 올리브오일을 3:1로 혼합한 용액에 용해시킨 1% DNCB(Sigma-Aldrich, St. Louise, MO, USA) 용액 200μL/mouse/day을 매일 1회씩 7일간 hairless 마우스의 등쪽 피부전체에 도포시켜 감작시켰다. 주 3회씩 4주간 0.5% DNCB 용액을 도포하여 boosting시켜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시켰다. 대조구는 DNCB 용액 대신 아세톤과 올리브 오일 3:1 혼합액을 동일한 방법으로 국소 도포하였다.
<입욕 및 DEXA 처리>
실험동물을 체온 37℃과 유사하게 가온한 각각 4cm 깊이의 미네랄수 1,900 mL과 절식판을 포함한 마우스 사육상자(200 × 260 × 130 mm; DJ-101,Daejong Instrument Ind. Co., Seoul, Korea)에 감작시작 5주 후부터 매일 1회씩 6주간 20분씩 입욕시켰다.
<관찰항목>
혈청 중 총 IgE 함량(ng/mL)의 변화는 ELISA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가려움증 긁음 현상(Scratching behavior)은 clinical skin severity score와 함께 scratching behavior가 300회 이상으로 증가된 실험구를 선별하여 측정하였다.
표 8은 해양 심층암박석 유래 미네랄수 농도별 아토피 피부염 유발 hairless mouse의 혈청 중 총 IgE 양(ng/mL)과 가려움증 긁음 현상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미네랄수 농도
(미네랄수 : 증류수)
혈청 중 총 IgE 함량
(ng/mL)
가려움증 긁음 현상
(%)
0(아토피 유발 무처리구) 164.25 ± 3.81A 480.88 ± 109.99E
아토피 정상구 47.27 ± 2.75A 15.31 ± 9.09A
1:100 63.52 ± 4.71B 19.25 ± 5.06A
1:200 68.13 ± 2.72BC 24.76 ± 7.23AB
1:300 77.43 ± 3.03C 32.29 ± 6.13B
1:400 118.75 ± 8.24D 70.88 ± 30.89C
1:500 131.47 ± 6.44E 134.51 ± 22.67D
(N = 10)
A-E : 같은 실험항목에서 농도별로 얻은 결과값의 어깨문자 중 다른 글자는 평가 항목당 농도에 따른 통계적 유의성이 있음(p<0.05)을 나타낸다.
DNCB 대조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혈청 중 총 IgE 함량의 증가를 보였으나, 해양심층암반석 유래 미네랄수의 농도가 높을수록 혈청 중 총 IgE 함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려움증 긁음 현상(Scratching behavior)은 입욕시작 2주 후부터 미네랄수의 농도가 높을수록 급격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6: 혼합 조성물의 보습효과 확인
실시예 1 내지 6의 혼합 조성물을 사용한 것 외에는 실험예 1과 동일하게 피부 수분 손실량을 측정하였다.
시료명 피부수분 손실률(%)
실시예 1 0.16 ± 0.02
실시예 2 0.17 ± 0.03
실시예 3 0.15 ± 0.04
실시예 4 0.16 ± 0.02
실시예 5 0.16 ± 0.03
실시예 6 0.14 ± 0.04
(N = 10)
돈피분쇄균질물의 농도가 같을 경우, 다른 천연 성분의 첨가 유무는 피부보습효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표 3>의 결과와 같이 최종 농도(10 중량%) 이상의 돈피분쇄균질물을 함유한 제형의 경우, 피부보습 효과를 부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7: 혼합 조성물의 미백기능성 확인
실시예 1 내지 6의 혼합 조성물을 사용한 것 외에는 실험예 2과 동일하게 티로시나아제의 활성 저해율 및 멜라민의 생합성 농도을 측정하였다.
티로시나아제의 활성 저해율 (%) 멜라민 농도
(㎍/mL)
0(혼합물 무처리구)
(*표 4에서 인용)
77.82 ± 0.61A 121.24 ± 4.35C
실시예 1 89.21 ± 0.55B 85.36 ± 2.98A
실시예 2 81.25 ± 0.47A 113.76 ± 3.81B
실시예 3 89.68 ± 0.36B 86.18 ± 5.27A
실시예 4 88.58 ± 0.64B 90.04 ± 7.13A
실시예 5 89.28 ± 0.45B 85.75 ± 5.27A
실시예 6 91.15 ± 0.87B 84.32 ± 6.45A
(N = 10)
A-B : 농도별로 얻은 결과값의 어깨문자 중 다른 글자는 평가 항목당 농도에 따른 통계적 유의성이 있음(p<0.05)을 나타낸다.
혼합 조성물의 미백 효과는 함유한 실크펩타이드의 기능에서 유래된다. 실시예 2는 실크펩타이드를 갖고 있지 않은 혼합물로서 다른 실시예의 결과보다 타이로시나아제 저해능이 낮았고, 이에 따른 멜라닌 생합성에 의한 농도도 높게 나타났다. 실크펩타이드의 농도(10 중량%와 15 중량%)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나, 경제성 등을 고려하면 10 중량%로도 기대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한편, <표 4>에서 실크펩타이드를 함유하지 않았을 경우의 결과와 비교하였을 때, 실크펩타이드 무처리구에서도 타이로시나아제 저해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돈피분쇄균질물과 다른 성분들의 효능으로 사료되는 미백 기능 효과가 다소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실험예 8: 혼합 조성물의 염증 억제효과 확인
실시예 1 내지 6의 혼합 조성물을 사용한 것 외에는 실험예 3과 동일하게 생체내 T-세포 활성 및 사이토카인 분비량을 측정하였다.
시료명 비장세포 증식률(%) Th1 세포의 사이토카인 농도(pg/mL)
INF-γ IL-2
실시예 1 100.00A 364.47 ± 16.33A 312.35 ± 27.43A
실시예 2 111.86 ± 4.57B 396.15 ± 20.12B 407.09 ± 51.24B
실시예 3 108.31 ± 3.67AB 371.37 ± 16.45AB 351.64 ± 61.11AB
실시예 4 112.45 ± 6.62B 397.08 ± 16.32B 406.95 ± 57.29B
실시예 5 111.95 ± 6.27B 395.78 ± 17.56B 408.54 ± 39.28B
실시예 6 112.26 ± 5.18B 396.31 ± 19.63B 411.26 ± 45.26B
(N = 10)
A-B : 농도별로 얻은 결과값의 어깨문자 중 다른 글자는 평가 항목당 농도에 따른 통계적 유의성이 있음(p<0.05)을 나타낸다.
베타글루칸의 첨가가 비장세포 증식률을 증가시켰고, 농도 차이는 크게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염증 관련 사이토카인의 생성률도 베타글루칸 첨가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한편, 베타글루칸이 첨가되지 않은 처리구에서도 통계적 유의성은 크지 않지만 비장세포 증식률과 염증억제 사이토카인의 증가를 나타냈는데, 이는 히알루론산과 실크 펩타이드가 갖고 있는 고유의 기능의 발현으로 사료된다.
실험예 9: 혼합 조성물의 항산화능 증진효과 확인
실시예 1 내지 6의 혼합 조성물을 사용한 것 외에는 실험예 4와 동일하게 환원력 및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시료명 환원력 (흡광도) DPPH 라디칼 소거능 (%)
0
(*표 6 인용)
0.02 ± 0.01A 0
실시예 1 0.12 ± 0.03A 32.18 ± 5.62A
실시예 2 0.42 ± 0.04B 86.87 ± 4.57B
실시예 3 0.42 ± 0.03B 87.25 ± 6.45B
실시예 4 0.43 ± 0.05B 87.47 ± 4.98B
실시예 5 0.44 ± 0.04B 88.12 ± 5.43B
실시예 6 0.45 ± 0.02B 89.65 ± 4.26B
(N = 10)
A-B : 농도별로 얻은 결과값의 어깨문자 중 다른 글자는 평가 항목당 농도에 따른 통계적 유의성이 있음(p<0.05)을 나타낸다.
혼합 복합물에 대한 히알루론산의 첨가가 높은 유리 라디칼 환원력과 DPPH 라디컬 소거능을 나타냈다. 농도의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히알루론산을 함유하지 않은 처리구에서도 환원력과 DPPH 라디컬 소거능을 나타내어 혼합물의 기능 상승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실험예 10: 혼합 조성물의 가려움증 완화 효과 확인
실시예 1 내지 6의 혼합 조성물을 사용한 것 외에는 실험예 5와 동일하게 혈청 중 총 Ig E 함량 및 가려움증 긁음 현상을 측정 및 관찰하였다.
미네랄수 농도
(미네랄수 : 증류수)
혈청 중 총 IgE 함량
(ng/mL)
가려움증 긁음 현상
(%)
아토피 정상구 47.27 ± 2.75A 15.31 ± 9.09A
아토피 유발 무처리구 164.25 ± 3.81D 480.88 ± 89.99D
실시예 1 62.87 ± 4.15B 32.02 ± 3.45B
실시예 2 63.29 ± 5.03B 31.84 ± 5.44B
실시예 3 62.49 ± 4.01B 31.34 ± 5.69B
실시예 4 91.68 ± 5.99C 168.26 ± 78.35C
실시예 5 62.78 ± 2.97B 30.35 ± 7.25B
실시예 6 57.13 ± 2.15B 29.54 ± 6.71B
(N = 10)
A-D : 같은 실험항목에서 농도별로 얻은 결과값의 어깨문자 중 다른 글자는 평가 항목당 농도에 따른 통계적 유의성이 있음(p<0.05)을 나타낸다.
미네랄 수의 첨가가 아토피 유발 실험동물의 혈중 총 IgE 함량을 급격히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미네랄수 무첨가구에서도 아토피 유발 무처리구와 비교하였을 때에 IgE 함량이 감소하였다. 이는 베타글루칸, 히알루론산, 실크 펩타이드 등이 갖고 있는 생리기능 향상 효과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가려움증 완화 결과도 혼합 복합물 처리에서 괄목할만한 개선 효과를 나타냈고, 농도 의존성이 약간 나타났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실험예 11: 제조예 1-5 의 크림 사용 후 피부상태 개선효과 확인
<관능시험>
20대에서 40대 여성을 대상으로 자발적으로 참여를 희망하는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피부 상태를 측정한 후 정상인 후보 40명을 선발하여 시험 평가단을 구성하였다. 실험구 구성하기 위해 시험평가단 참가자를 5개 군으로 구분하여 각 군당 8명을 배치하였다.
실험군은 혼합 조성물 무첨가군(대조군, Control- 제조예 1), 혼합 조성물 5.0% 첨가군(제조예 2), 혼합 조성물 7.5% 첨가군(제조예 3), 혼합 조성물 10.0% 첨가군(제조예 4), 혼합 조성물 12.5% 첨가군(제조예 5)으로 편성하였다. 모든 실험군에게 시험 내용 및 방법을 충분히 숙지시킨 후 약 8주간 사용할 수 있는 양의 크림을 제공하였다.
대조군(control)은 혼합 조성물 대신 정제수를 사용하여 조제한 크림을 제공하였다. 시험 평가단은 특별한 기호로 표시된 시료를 제공받아 그들이 어떤 실험군에 속하는지를 알 수 없게 하였으며, 서로 모르는 사람들로 구성하여 정보교류나 합의를 원천봉쇄하였다.
평가 시험단은 관능적 평가방법으로 제품 사용에 따른 피부 개선실험(촉촉해짐, 투명해짐, 매끄러움, 피부탄력, 눈가의 주름감소: 하기 표 14)과 제품 만족도(피부색조, 흡수력, 전체적인 만족감: 하기 표 15)를 주관적으로 평가하여 미리 제시한 시험지에 작성하여 제출하게 하였다.
Figure 112016080057001-pat00002
(N=40)
A-D : 같은 측정 일에서 얻은 결과 값의 어깨문자 중 다른 글자는 평가 항목 당 혼합 조성물의 농도에 따른 통계적 유의성이 있음(p<0.05)을 나타낸다.
X-Z : 같은 혼합 조성물 농도에서 얻은 결과값의 어깨문자 중 다른 글자는 평가 항목당 피부에 적용한 기간에 따른 통계적 유의성이 있음(p<0.05)을 나타낸다.
상기 결과에서 혼합 조성물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농도 의존적으로 피부상태가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었고, 사용 8주에 최적의 개선효과를 나타냈으며, 10%와 12.5%에서는 그 차이가 크지 않아 10% 첨가가 가장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12: 제조예 1 내지 5의 크림 사용 후 만족도 확인
표 15는 제조예 1 내지 5의 크림 사용에 따른 피부색조, 흡수력 및 전체적인 만족감을 나타낸 것이다.

평가항목

측정일
(주)
혼합 조성물의 농도 (%)
0
(제조예 1)
5.0
(제조예 2)
7.5
(제조예 3)
10.0
(제조예 4)
12.5
(제조예 5)

피부색조

0
4.5A 5.1B,X 5.3B,X 5.5BC,X 5.6C,X

4
4.6A 5.4B,X 5.8B,XY 6.1C,XY 5.9BC,X

8
4.5A 6.1B,Y 6.8C,Y 6.8C,Y 6.7C,Y

흡수력

0
4.8A 5.2B,X 5.4B,X 5.9C,X 5.8C,X

4
4.5A 6.5B,Y 6.8B,Y 7.8C,Y 7.8C,Y

8
4.7A 7.3B,Z 8.4C,Z 9.3D,Z 9.1D,Z

전체적인 만족감

0
4.2A 4.1A,X 5.7B,X 6.2B,X 6.2B,X

4
4.1A 7.1B,Y 7.4B,Y 8.9C,Y 8.8C,Y

8
4.2A 8.1B,Z 8.7C,Z 9.2D,Y 9.2D,Y
(N=40)
A-C : 같은 측정 일에서 얻은 결과 값의 어깨문자 중 다른 글자는 평가 항목 당 혼합 조성물 농도에 따른 통계적 유의성이 있음(p<0.05)을 나타낸다.
X-Z : 같은 혼합 조성물의 농도에서 얻은 결과값의 어깨문자 중 다른 글자는 평가 항목당 피부에 적용한 기간에 따른 통계적 유의성이 있음(p<0.05)을 나타낸다.
상기 결과는 혼합 조성물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농도 의존적으로 제품에 대한 만족도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고, 사용 8주에 최적의 만족감을 나타냈으며, 10%와 12.5%에서는 그 차이가 크지 않아 10% 첨가가 가장 바람직한 것을 나타낸다.
실험예 13: 제조예 1 내지 5의 크림 사용 후 피부상태의 확인
<피부상태의 기계적 측정>
상기 관능평가 시험군을 대상으로 실험 시료를 사용하기 전과 사용 후 2, 4, 6, 8, 10주 후의 피부상태를 측정하기 위해 Dermatometer를 사용하여 피부의 보습력(skin hydration value), 탄력성(Elasticity)와 70O 각도에서의 피부 투명도(Diffuse reflection at 70 degree)를 측정하였다. 표 16는 혼합 조성물의 함량에 따른 보습력, 탄력성 및 피부투명도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112016080057001-pat00003
(N=8)
A-C : 같은 측정 일에서 얻은 결과 값의 어깨문자 중 다른 글자는 평가 항목 당 혼합 조성물의 농도에 따른 통계적 유의성이 있음(p<0.05)을 나타낸다.
X-Z : 같은 혼합 조성물의 농도에서 얻은 결과값의 어깨문자 중 다른 글자는 평가 항목당 피부에 적용한 기간에 따른 통계적 유의성이 있음(p<0.05)을 나타낸다.
상기 결과는 혼합 조성물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농도 의존적으로 피부의 보습력과 탄력성이 증가하였고, 피부의 투명도도 개선됨을 알 수 있었다. 혼합 조성물 10% 첨가가 가장 효과적이었다.

Claims (8)

  1. 돈피분쇄균질물, 1%(w/v)의 베타글루칸액, 1%(w/v)의 히알루론산액, 1%(w/v)의 실크펩타이드액 및 해양심층암반 미네랄수를 25: 10: 10: 10: 0.33~0.66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을 전체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12.5 중량%로 포함하되,
    상기 돈피분쇄균질물은 콜라겐, 엘라스틴 및 케라틴을 포함하는 피부결합단백질로 구성되고,
    상기 혼합물은 돈피, 베타글루칸, 히알루론산, 실크펩타이드를 증류수에 침지 또는 용해한 다음, 30 내지 50 kGy의 흡수선량을 갖도록 감마선을 조사하여 저분자화한 것인,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영양크림, 에센스, 팩 또는 연고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으로 제형화 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유효성분 외에 약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가 추가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 및 항균용인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아토피 피부 개선용인 화장료 조성물.
KR1020160104670A 2016-08-18 2016-08-18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374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670A KR101737446B1 (ko) 2016-08-18 2016-08-18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670A KR101737446B1 (ko) 2016-08-18 2016-08-18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7446B1 true KR101737446B1 (ko) 2017-05-29

Family

ID=59053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4670A KR101737446B1 (ko) 2016-08-18 2016-08-18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7446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81082A (zh) * 2017-06-29 2017-10-24 广州大澳化妆品有限公司 一种含小分子肽的营养液及包括它的面膜和制作方法
KR20190016198A (ko) * 2017-08-08 2019-02-18 주식회사 비트윈 타투 스티커의 안정제
KR20190024048A (ko) * 2017-08-31 2019-03-08 주식회사 비트윈 두피 가려움증 개선용 복합 조성물
KR20190042883A (ko) * 2017-10-17 2019-04-25 (주)노터스생명과학 반려동물 피모 관리용 조성물
WO2020040352A1 (ko) * 2018-08-24 2020-02-27 장윤희 스틱형 마스크 팩 및 그 제조방법
KR20200123990A (ko) * 2019-04-23 2020-11-02 (주)티엠비 저분자량 히알루론산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저분자량 히알루론산
WO2022015550A1 (en) * 2020-07-14 2022-01-20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Dopa modified gelatin for wound healing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7299B1 (ko) * 2007-11-29 2008-07-18 주식회사 펩트론 보습능이 우수한 실크펩타이드 분획 및 그의 용도
KR101582660B1 (ko) * 2014-07-14 2016-01-08 한국원자력연구원 방사선을 이용한 콜라겐 함유 하이드로겔 마스크 팩 제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7299B1 (ko) * 2007-11-29 2008-07-18 주식회사 펩트론 보습능이 우수한 실크펩타이드 분획 및 그의 용도
KR101582660B1 (ko) * 2014-07-14 2016-01-08 한국원자력연구원 방사선을 이용한 콜라겐 함유 하이드로겔 마스크 팩 제조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81082A (zh) * 2017-06-29 2017-10-24 广州大澳化妆品有限公司 一种含小分子肽的营养液及包括它的面膜和制作方法
KR20190016198A (ko) * 2017-08-08 2019-02-18 주식회사 비트윈 타투 스티커의 안정제
KR102050861B1 (ko) * 2017-08-08 2019-12-03 주식회사 비트윈 타투 스티커의 안정제
KR101958210B1 (ko) * 2017-08-31 2019-03-18 주식회사 비트윈 두피 가려움증 개선용 복합 조성물
KR20190024048A (ko) * 2017-08-31 2019-03-08 주식회사 비트윈 두피 가려움증 개선용 복합 조성물
KR20190042883A (ko) * 2017-10-17 2019-04-25 (주)노터스생명과학 반려동물 피모 관리용 조성물
KR102007762B1 (ko) * 2017-10-17 2019-08-06 (주)노터스생명과학 반려동물 피모 관리용 조성물
WO2020040352A1 (ko) * 2018-08-24 2020-02-27 장윤희 스틱형 마스크 팩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22878A (ko) * 2018-08-24 2020-03-04 장윤희 스틱형 마스크 팩 및 그 제조방법
KR102087784B1 (ko) * 2018-08-24 2020-03-11 장윤희 스틱형 마스크 팩 및 그 제조방법
KR20200123990A (ko) * 2019-04-23 2020-11-02 (주)티엠비 저분자량 히알루론산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저분자량 히알루론산
KR102240239B1 (ko) 2019-04-23 2021-04-14 (주)티엠비 저분자량 히알루론산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저분자량 히알루론산
WO2022015550A1 (en) * 2020-07-14 2022-01-20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Dopa modified gelatin for wound healing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7446B1 (ko)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80700B1 (ko) 복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조성물
JPWO2004016236A1 (ja) 化粧料
KR20140048258A (ko) 자연 성분의 복합을 내포하는 피부 관리 조성물
CN109998937B (zh) 含有甘油葡糖苷(αGG)的系列化妆品及其制备方法
Morganti et al. New insights on anti. Aging activity of chitin nanofibril. Hyaluronan block copolymers entrapping active ingredients: In vitro and in vivo study
KR101839013B1 (ko) 모자반 추출물, 청각 추출물 및 참미역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5517999B (zh) 一种抗衰老组合物及其在美容护肤中的应用
KR102071627B1 (ko) 피부 각질제거용 필링 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697152B1 (ko) 장어로부터 추출한 뮤신을 이용한 항노화 기능을 가지는 화장품 제재의 제조방법
KR20150120426A (ko) 갈조류 추출물, 효모 추출물 및 아스코르브산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10226B1 (ko) 연어 유래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14231487A (ja) 卵殻膜成分を含むサーチュイン遺伝子活性化剤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組成物
WO2020022131A1 (ja) 皮膚の抗老化用剤及び抗老化関連遺伝子発現調節用剤
KR20050103903A (ko) 노화되거나 환경에 손상된 피부를 치료하기 위한 국소적조성물 및 치료 방법
KR20130045451A (ko) 드래곤블러드수지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048202A (ko) N-아세틸글루코사민과 소듐 콘드로이틴 설페이트를 함유하는 나노 리포좀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35799B1 (ko) 프로폴리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JP2020502172A (ja) 漢方薬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化粧料組成物
KR102011654B1 (ko) 굴, 멍게, 해삼, 군소 및 코고동을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JPH10114670A (ja) 外用に適する組成物
KR20170103518A (ko) 콜라겐 합성 촉진 및 피부 보습 강화용 조성물
KR20130094043A (ko) 다시마 아임계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2545970B (zh) 一种美容护肤珍珠膏及其制备方法
KR102530481B1 (ko) 오스톨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