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1654B1 - 굴, 멍게, 해삼, 군소 및 코고동을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굴, 멍게, 해삼, 군소 및 코고동을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1654B1
KR102011654B1 KR1020170167379A KR20170167379A KR102011654B1 KR 102011654 B1 KR102011654 B1 KR 102011654B1 KR 1020170167379 A KR1020170167379 A KR 1020170167379A KR 20170167379 A KR20170167379 A KR 20170167379A KR 102011654 B1 KR102011654 B1 KR 1020116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weight
parts
lotion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7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7442A (ko
Inventor
박시향
최영준
강환열
박시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선마린바이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선마린바이오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선마린바이오테크
Priority to KR1020170167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1654B1/ko
Publication of KR20190067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74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1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16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11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Abstract

본 발명은 굴, 멍게, 해삼, 군소 및 코고동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피부 자극이 없으면서 항산화 활성, 피부 미백 효과, 피부 보습 증진 및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현저히 향상되는 효과가 있어 화장료 조성물로 유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굴, 멍게, 해삼, 군소 및 코고동을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oysters, sea cucumber, sea squirt, Aplysia kurodai and buccinum striatissimum}
본 발명은 굴, 멍게, 해삼, 군소 및 코고동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노화란 세포와 신체조직의 전 기관에 걸쳐 일어나는 기능적, 구조적, 생화학적 변화라 할 수 있다. 인간의 피부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호르몬 분비가 감소하고, 면역세포의 기능과 활성이 저하되어 생체구성 단백질들의 생합성이 줄어들게 되어 생기는 내인성 노화(intrinsic aging)가 일어나면서, 건조 외기, 공해 물질 및 자외선 등의 외부 요인에 의해 피부가 얇아지며, 주름이 증가되고, 탄력이 감소될 뿐만 아니라, 기미, 주근깨 및 검버섯이 증가하는 노화 현상이 일어난다.
특히, 자외선에 의한 광산화적 피부손상은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에 의해서 매개되며, 항산화제 고갈, 지질 과산화, 단백질 산화 및 DNA의 산화적 손상을 가져온다. 이들 ROS는 효소적 및 비효소적 항산화제로 이루어진 피부 항산화 방어막을 붕괴시키고 생체 분자의 산화적 변형, 피부 장벽의 손상과 결합조직 성분인 콜라겐, 히아루론산 등의 사슬절단 및 비정상적인 교차결합에 의한 주름생성 등 피부 노화를 가속시킨다.
인간의 피부는 외부의 자극요인, 특히 자외선에 노출되었을 때, 콜라게나아제는 그 활성이 증가하여 피부의 콜라겐을 분해하고 콜라겐의 함량은 저하한다. 콜라게나아제는 콜라겐을 절단하여 불규칙적인 구조로 변화시키고 이로 인해 피부의 탄력이 떨어지고 주름이 형성된다고 알려져 있다.
사람의 피부색은 멜라닌, 카로틴 및 헤모글로빈의 양에 따라 결정되어 지는데 이중 멜라닌이 가장 결정적인 요소이다. 멜라닌은 피부(표피)내 기저층에 존재하는 색소세포인 멜라노사이트(melanocyte)에서 합성되며 주변 각질세포(Keratinocyte)로 전이되어 사람의 피부색을 나타낸다. 멜라닌이 비정상적으로 적게 생산되면 백반증(Vitiligo)과 같은 피부 병변이 유발된다. 반대로 과잉 생산은 중년 여성들의 주요 고민 중 하나인 기미, 주근깨를 형성하며 또한 피부암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미백 작용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멜라닌은 피부 표피의 기저층에 존재하는 멜라노사이트라는 세포에서 티로신(Tyrosine)이 효소 및 비효소적 산화반응을 거쳐 생성되며, 표피를 구성하고 있는 각질세포로 전이된다. 멜라닌의 생합성에 관여하는 중요한 효소로는 티로시나제(Tyrosinase), 티로시나제 관련 프로테인1(Tyrosinase-Related protein 1) 및 도파크롬 토토머라제(dopachrome tautomerase)가 있다. 티로시나제 외에 이 두 효소는 주목을 끌고 있으나 멜라닌 합성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효소는 티로시나제이다. 멜라닌의 생합성 첫단계는 티로시나제에 의하여 유발된다. 티로시나제에 의해 티로신이 도파(Dopa)로 되고 이 도파를 도파퀴논(Dopa-quinone)으로 만든다. 이 두 반응의 다음단계 과정들은 비효소적인 반응에 의해서도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티로시나제 단독으로도 멜라닌 생성이 가능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굴, 멍게, 해삼, 군소, 코고동, 다시마 및 감태의 항산화 활성, 피부 미백효과, 피부 보습 증진 및 피부 주름개선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40799호
본 발명의 목적은 굴, 감태, 다시마 및 군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굴, 감태, 다시마 및 군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굴, 감태, 다시마 및 군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굴, 감태, 다시마 및 군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굴, 감태, 다시마 및 군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굴 및 군소는 80-100℃ 물에 데친 후 마쇄하여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로 가수분해하여 사용하며, 상기 다시마 및 감태는 건조 후 마쇄하여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굴, 감태, 다시마 및 군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굴 및 군소는 80-100℃ 물에 데친 후 마쇄하여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로 가수분해하여 사용하며, 상기 다시마 및 감태는 건조 후 마쇄하여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굴, 감태, 다시마 및 군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굴 및 군소는 80-100℃ 물에 데친 후 마쇄하여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로 가수분해하여 사용하며, 상기 다시마 및 감태는 건조 후 마쇄하여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굴, 감태, 다시마 및 군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굴 및 군소는 80-100℃ 물에 데친 후 마쇄하여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로 가수분해하여 사용하며, 상기 다시마 및 감태는 건조 후 마쇄하여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피부 자극이 없으면서 항산화 활성, 피부 미백 효과, 피부 보습 증진 및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현저히 향상되는 효과가 있어 화장료 조성물로 유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은 굴, 감태, 다시마 및 군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굴, 감태, 다시마 및 군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굴, 감태, 다시마 및 군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굴, 감태, 다시마 및 군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굴 및 군소는 80-100℃ 물에 데친 후 마쇄하여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로 가수분해하여 사용하며, 상기 다시마 및 감태는 건조 후 마쇄하여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에틸 아세테이트, 아세토니트릴, 아세톤, 1,3-부틸렌 클리콜 및 물과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을 사용할 수 있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굴 2 중량부를 기준으로 감태 1.75-2.25 중량부, 다시마 0.25-0.75 중량부 및 군소 0.25-0.75 중량부를 포함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굴 2 중량부를 기준으로 감태 2 중량부, 다시마 0.5 중량부 및 군소 0.5 중량부를 포함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굴 0.5 중량부를 기준으로 감태 1.75-2.25 중량부, 다시마 1.75-2.25 중량부 및 군소 0.25-0.75 중량부를 포함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굴 0.5 중량부를 기준으로 감태 2 중량부, 다시마 2 중량부 및 군소 0.5 중량부를 포함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미백"이란 피부의 과다 색소 침착을 억제, 저해 또는 완화시키는 것을 말한다. 피부의 과다 색소 침착은 주근깨, 기미, 자외선 노출 후 과다 색소 침착, 염증 후 과다 색소 침착, 노인흑색점, 갈색 반점 또는 검버섯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외용연고, 크림,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팩, 에센스, 헤어토닉, 샴푸, 린스, 헤어 컨디셔너, 헤어 트리트먼트, 젤,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마사지 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 크림, 파운데이션, 영양에센스, 선스크린,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 로션 및 바디 클렌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제형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각 제형의 조성물은 그 제형의 제제화에 필요하고 적절한 각종의 기제와 첨가물을 함유할 수 있으며, 이들 성분의 종류와 양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은 형광물질, 살진균제, 굴수성 유발물질, 보습체, 방향제, 방향제 담체, 단백질, 용해화제, 당유도체, 일광차단제, 비타민, 식물 추출물 등을 포함하는 부형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화장료 조성물을 의약품 또는 화장품으로 제형화할 경우, 활성 성분에 대한 담체로 작용하는 피부에 적용가능한 공지의 부형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의약품으로의 제형화시에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내용을 참조할 수 있으며, 화장품으로 제형화시에는 [International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 6th ed., The cosmetic, Toiletry and Fragrance Association, Inc., Washington, 1995]에 개시되어 있는 내용을 참조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문헌들은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포함된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원료의 제조
굴은 100℃ 물에 10-30분간 데친 후 마쇄하여 protamex를 사용하여 50℃에서 1시간, neutrase를 사용하여 60℃에서 1시간씩 가수분해하여 사용하였고, 군소는 100℃ 물에 10-30분간 데친 후 마쇄하여 flavozyme 15시간, pH 6, 60℃에서 가수분해하여 사용하였으며, 불가사리는 100℃ 물에 10-30분간 데친 후 마쇄하여 alkalase를 넣어 60 ℃에서, 3시간동안 가수분해하여 사용하였다.
코고동(물레고둥)을 잘 세정한다음 동량의 물을 넣어 105℃에서 30분간 압을 가하면서 삶아준다. 삶은 코고동은 초퍼로 마쇄하여 자숙액과 혼합한다. 자숙육의 1%에 해당하는 Dextrozyme을 넣고, 61℃에서 24시간 가수분해 한다. 상기 가수분해 후 100℃에서 30분간 불활성화 한다. 200메쉬 체로 여과하고, 30 Brix가 될때까지 농축한다. 농축액의 3배에 해당하는 주정을 넣고 Overnight 해준다. 그 후, 침전물을 회수하여 에탄올을 완전히 제거한다. 동결건조한 분말을 물에 녹여 원료로 제조하엿다.
멍게는 멍게껍질을 열수추출한 다음, 점액다당을 침전하여 원료로 사용하였다.
각종 해조 추출물(다시마, 모자반, 청각, 톳) 및 해조류(톳, 청각, 모자반, 다시마, 감태 추출물)는 건조한 다음 마쇄하여 해조류 중량부의 10배의 에탄올을 가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한 뒤, 에탄올을 증류하고, 남은 추출물을 물과 부틸렌글리콜에 용해하여 원료로 사용하였다.
<실험예 1> DPPH 라디칼 소거능 평가
DPPH assay 방법은 Yoshida et al.(1989)이 사용한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96well plate에 control에는 탈이온수 100㎕, 시험군에는 탈이온수로 희석한 시료를 100㎕씩 triple로 넣는다. 에탄올을 모든 웰에 100㎕씩 넣고 50㎕의 DPPH(0.5 mM 1,1-diphenyl-2- picrylhydrazyl(DPPH)/ethanol) 용액을 가하여 혼합한다. 25℃의 실온에서 30분 동안 반응시킨 후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용매 대조군으로 하여 대조군에 대한 라디칼 소거능을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Figure 112017122019265-pat00001
DPPH 라디칼 소거능(%)
해조* 28.2 ± 7.8
33.4 ± 0.2
청각 2.5 ± 5.0
3.3 ± 1.9
해삼 12.0 ± 6.2
모자반 31.7 ± 6.0
다시마 38.3 ± 1.7
군소 0.0 ± 1.1
코고동 92.1 ± 2.7
감태 10.5 ± 1.9
멍게 20.7 ± 1.0
*해조 : 다시마, 모자반, 청각, 톳의 혼합추출물
항산화 활성 중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표 1에서와 같이 코고동이 92.1%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톳과, 다시마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이 높았다.
<실험예 2> ABTS 라디칼 소거능 평가
ABTS assay 방법은 Re et al.(1999)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즉, 7 mM ABTS 5 mL와 140 mM potassium persulfate 88 ㎕를 섞은 후 상온에서 16시간 빛을 차단하여 ABTS 양이온을 형성시킨다. 이후 이 용액을 414 nm에서 흡광도 값이 1.5가 되도록 PBS로 희석하였다. 조제된 희석용액 190㎕와 시료 10 ㎕를 혼합한 후 상온에서 6분간 반응시킨 후 734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용매 대조군으로 하여 대조군에 대한 라디칼 소거능을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Figure 112017122019265-pat00002
ABTS 라디칼 소거능(%)
해조* 83.1 ± 3.0
88.2 ± 13.0
청각 25.5 ± 2.9
97.6 ± 15.1
해삼 67.8 ± 6.5
모자반 50.0 ± 5.4
다시마 52.4 ± 5.2
군소 51.3 ± 6.9
코고동 76.9 ± 16.0
감태 99.5 ± 8.3
멍게 97.9 ± 5.8
*해조 : 다시마, 모자반, 청각, 톳의 혼합추출물
ABTS 라디칼 소거능 평가 결과 표 2에서와 같이 감태가 99.5%로 가장 높았고, 멍게가 97.9, 굴이 97.6% 순으로 높았다.
<실험예 3> Tyrosinase 활성 저해능 평가
시료를 적당한 용매에 녹여 티로시나제 활성을 억제하기 위한 적당한 농도범위로 희석한 것을 시료액으로 한다. 시험관에 0.1M 인산염 완충액(pH 6.5) 220㎕와 시료액 20㎕ 그리고 머쉬룸 티로시나제(2U/㎕)액 20㎕를 순서대로 넣는다. 이 용액에 1.5mM 티로신 액 40㎕를 넣고 37℃에서 30분 동안 반응시킨다. 그리고 이것을 ELISA reader를 이용하여 49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다. 공시료액으로 시료액 대신 0.1M 인산염완충액(pH 6.5)을 넣는다.
Figure 112017122019265-pat00003
a : 공시료액의 반응 후의 흡광도
b : 시료액의 반응 후의 흡광도
a', b' : 티로시나제 대신 완충액으로 대체하여 측정한 흡광도
Tyrosinase 활성 저해능(%)
해조* -
-
청각 -
-
해삼 -
모자반 -
다시마 -
군소 -
코고동 -
감태 81.1 ± 0.3
멍게 -
*해조 : 다시마, 모자반, 청각, 톳의 혼합추출물
티로니아제 활성 억제 측정 결과 표 3에서와 같이 감태가 81.1%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실험예 4> 보습효능 평가
보습 효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incubator 37℃에서 화장솜에 시료 1ml을 적셔서 시간마다 무게를 측정하여 수분 보유능을 측정하였다. 보습효능은 시료가 함유되지 않은 증류수를 대조군으로 하여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수분보유량을 측정하였으며 1시간 2시간 4시간 간격으로 무게를 측정하였다.
Moisturizng(%)
해조* 24.8 ± 0.7
30.3 ± 4.7
청각 33.5 ± 2.8
41.7 ± 1.5
해삼 27.0 ± 5.3
모자반 40.4 ± 2.7
다시마 56.6 ± 1.6
군소 45.2 ± 3.6
코고동 45.7 ± 4.8
감태 52.6 ± 1.9
멍게 53.4 ± 3.9
*해조 : 다시마, 모자반, 청각, 톳의 혼합추출물
보습효능 측정 결과 표 4에서와 같이 다시마가 56.6%로 가장 높았고, 멍게가 53.4%, 감태가 52.2%, 코고동 45.7%순으로 높았다.
상기 실험예 1 내지 4를 통해 가장 효과가 높은 굴 추출물, 군소 추출물, 감태추출물, 다시마 추출물을 선정하였고, 4종의 추출물의 혼합비를 달리하여 각각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2> 굴, 감태, 다시마, 군소 추출물의 배합
혼합비(mL)
감태 다시마 군소
실시예 2-1 0.5 0.5 0.5 0.5
실시예 2-2 0.5 0.5 0.5 2
실시예 2-3 0.5 0.5 2 0.5
실시예 2-4 0.5 0.5 2 2
실시예 2-5 0.5 2 0.5 0.5
실시예 2-6 0.5 2 0.5 2
실시예 2-7 0.5 2 2 0.5
실시예 2-8 0.5 2 2 2
실시예 2-9 2 0.5 0.5 0.5
실시예 2-10 2 0.5 0.5 2
실시예 2-11 2 0.5 2 0.5
실시예 2-12 2 0.5 2 2
실시예 2-13 2 2 0.5 0.5
실시예 2-14 2 2 0.5 2
실시예 2-15 2 2 2 0.5
실시예 2-16 2 2 2 2
<실험예 5> 굴, 감태, 다시마, 군소의 추출물 혼합비 차이에 따른 ABTS radical 소거능 평가
상기 실시예 2의 혼합비에 따른 ABTS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ABTS assay 방법은 Re et al.(1999)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실시예 2-1 84.1 ± 2.0
실시예 2-2 77.1 ± 4.0
실시예 2-3 72.6 ± 8.8
실시예 2-4 80.4 ± 8.8
실시예 2-5 99.7 ± 14.1
실시예 2-6 99.8 ± 15.7
실시예 2-7 100.2 ± 39.8
실시예 2-8 99.9 ± 70.7
실시예 2-9 94.5 ± 24.9
실시예 2-10 94.8 ± 34.2
실시예 2-11 94.8 ± 16.6
실시예 2-12 91.8 ± 25.1
실시예 2-13 99.9 ± 25.0
실시예 2-14 99.7 ± 11.8
실시예 2-15 99.8 ± 39.0
실시예 2-16 99.7 ± 3.8
<실험예 6> 티로시나제(Tyrosinase) 활성 저해능 평가
상기 실험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실시예 2의 혼합비에 따른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능을 측정하였다.
Tyrosinase (%)
실시예 2-1 46.8 ± 10.5
실시예 2-2 31.5 ± 9.0
실시예 2-3 20.6 ± 6.0
실시예 2-4 40.7 ± 9.9
실시예 2-5 84.6 ± 6.1
실시예 2-6 73.0 ± 1.6
실시예 2-7 85.1 ± 11.5
실시예 2-8 82.1 ± 14.0
실시예 2-9 35.6 ± 5.0
실시예 2-10 36.0 ± 7.3
실시예 2-11 31.6 ± 0.5
실시예 2-12 26.1 ± 0.7
실시예 2-13 84.2 ± 2.8
실시예 2-14 82.6 ± 8.9
실시예 2-15 83.6 ± 3.8
실시예 2-16 80.7 ± 2.6
<실험예 7> 보습효능 측정
상기 실험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실시예 2의 혼합비에 따른 보습 효능을 측정하였다.
Moisturizng(%)
실시예 2-1 38.9 ± 3.0
실시예 2-2 42.8 ± 3.3
실시예 2-3 66.9 ± 18.3
실시예 2-4 54.2 ± 10.0
실시예 2-5 47.9 ± 3.6
실시예 2-6 58.8 ± 10.3
실시예 2-7 67.6 ± 8.9
실시예 2-8 65.2 ± 9.9
실시예 2-9 75.8 ± 17.3
실시예 2-10 68.6 ± 7.0
실시예 2-11 62.6 ± 5.9
실시예 2-12 65.0 ± 2.9
실시예 2-13 66.4 ± 6.4
실시예 2-14 64.7 ± 3.7
실시예 2-15 75.5 ± 5.9
실시예 2-16 70.4 ± 7.6
<실험예 8> 콜라겐 분해효소(Collagenase) 활성 저해능
상기 실시예 2의 혼합비에 따른 콜라겐 분해효소 활성 저해능을 평가하였다. 콜라겐 분해효소 활성 저해능은 Invitrogen사의 EnzChek® Collagenase Assay Kit - 250-2000 Assays 시약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먼저 1mg DQ collagen vial에 1.0mL의 DDW를 가해 DQ collagen stock solution(1mg/mL)을 만든다. 10 x reaction buffer 2mL에 DDW 18mL를 가해 reaction buffer를 희석한다. 다음으로 collagenase 효소 시약을 제조한다. Working solution으로 최종 농도가 0.2unit/mL이 되도록 reaction buffer로 희석한다. 실험에 사용할 시료는 농도가 0.01, 0.1, 1, 10mg/mL가 되도록 제조하여, 시료를 96well plate에 50uL씩 triple로 준비한다. DQ collagen 20uL와 sample blank에는 reaction buffer 30uL, sample에는 working solution 30uL를 시료에 가하고, 빛을 차단한 상태로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방치한 후 형광 강도 excition wavelength 495nm 및 emission wavelength 515nm에서 ELAZA plate reader(SpectraMax M2 & M2e Multi-Mode Microplate Reader. Molecular Devices Corporation. USA)로 형광강도를 측정하였다.
Collagenase 활성 저해능(%)=(est sample-sample blank)/(negative control-blank control)×100
Collagenase(%)
실시예 2-1 57.1 ± 4.0
실시예 2-2 47.8 ± 4.4
실시예 2-3 49.2 ± 2.8
실시예 2-4 37.3 ± 4.4
실시예 2-5 103.4 ± 1.6
실시예 2-6 102.8 ± 18.0
실시예 2-7 102.5 ± 13.0
실시예 2-8 102.0 ± 3.4
실시예 2-9 52.9 ± 2.4
실시예 2-10 55.7 ± 4.0
실시예 2-11 58.6 ± 9.0
실시예 2-12 46.3 ± 4.0
실시예 2-13 98.9 ± 4.3
실시예 2-14 95.4 ± 16.2
실시예 2-15 100.2 ± 20.0
실시예 2-16 99.4 ± 60.4
<실시예 3> 블루에너지 마리타임 콤플렉스의 활성 측정
상기 실험예 5내지 8을 통해 실시예 2-13의 혼합방법이 가장 높은 활성을 확인하여 실시예 2-13을 "블루에너지 마리타임 콤플렉스"로 명명하였다.
혼합비(농도) Activity(%)
감태 다시마 군소 ABTS Tyrosinase Moisturizng Collagenase
실시예 2-1 0.5 0.5 0.5 0.5 84.1 46.8 38.9 57.1
실시예 2-2 0.5 0.5 0.5 2 77.1 31.5 42.8 47.8
실시예 2-3 0.5 0.5 2 0.5 72.6 20.6 66.9 49.2
실시예 2-4 0.5 0.5 2 2 80.4 40.7 54.2 37.3
실시예 2-5 0.5 2 0.5 0.5 99.7 84.6 47.9 103.4
실시예 2-6 0.5 2 0.5 2 99.8 73.0 58.8 102.8
실시예 2-7 0.5 2 2 0.5 100.2 85.1 67.6 102.5
실시예 2-8 0.5 2 2 2 99.9 82.1 65.2 102.0
실시예 2-9 2 0.5 0.5 0.5 94.5 35.6 75.8 52.9
실시예 2-10 2 0.5 0.5 2 94.8 36.0 68.6 55.7
실시예 2-11 2 0.5 2 0.5 94.8 31.6 62.6 58.6
실시예 2-12 2 0.5 2 2 91.8 26.1 65.0 46.3
실시예 2-13 2 2 0.5 0.5 99.9 84.2 66.4 98.9
실시예 2-14 2 2 0.5 2 99.7 82.6 64.7 95.4
실시예 2-15 2 2 2 0.5 99.8 83.6 75.5 100.2
실시예 2-16 2 2 2 2 99.7 80.7 70.4 99.4
<실험예 9> ABTS 라디칼 소거능
ABTS assay 방법은 Re et al.(1999)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즉, 7mM ABTS 5mL와 140mM potassium persulfate 88㎕를 섞은 후 상온에서 16시간 빛을 차단하여 ABTS 양이온을 형성시킨다. 이후 이 용액을 734nm에서 흡광도 값이 0.7이 되도록 PBS로 희석하였다. 조제된 희석용액 190㎕와 시료 10㎕를 혼합한 후 상온에서 6분간 반응시킨 후 734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용매 대조군으로 하여 대조군에 대한 라디칼 소거능을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희석배수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200배 8.5 ± 1.1
100배 10.8 ± 0.6
50배 14.0 ± 2.0
20배 29.3 ± 3.7
10배 51.2 ± 5.7
5배 81.8 ± 1.1
원액 100.3 ± 3.4
원료를 희석하여 활성을 나타내는 희석비율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200배 희석시 8.5%(화장품 제조시 화장품의 0.5% 함유량), 20배 희석시에는 약 30%(화장품 제조시 화장품의 5% 함유량)의 항산화활성을 보여주었다.
<실험예 10> DPPH 라디칼 소거능
DPPH assay 방법은 Yoshida et al. (1989)이 사용한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96well plate에 control에는 탈이온수 100㎕, 시험군에는 탈이온수로 희석한 시료를 100㎕ 씩 triple로 넣는다. 에탄올을 모든 웰에 100㎕씩 넣고 50㎕의 DPPH(0.5 mM 1,1-diphenyl-2- picrylhydrazyl(DPPH)/ethanol) 용액을 가하여 혼합한다. 25℃의 실온에서 30분 동안 반응시킨 후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용매 대조군으로 하여 대조군에 대한 라디칼 소거능을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희석배수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200배 5.2 ± 4.7
100배 6.0 ± 3.5
50배 5.6 ± 6.5
20배 8.6 ± 5.3
10배 8.5 ± 5.9
5배 17.2 ± 4.8
원액 19.3 ± 5.7
원료를 희석하여 활성을 나타내는 희석비율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DPPH 라디칼 소거활성에서는 높은 활성을 확인할 수 없었다.
<실험예 11> 티로시나제(Tyrosinase) 활성 저해능 측정
시료를 적당한 용매에 녹여 티로시나제 활성을 억제하기 위한 적당한 농도범위로 희석한 것을 시료액으로 한다. 시험관에 0.1M 인산염 완충액(pH 6.5) 220㎕와 시료액 20㎕ 그리고 머쉬룸 티로시나제(2U/㎕)액 20㎕를 순서대로 넣는다. 이 용액에 1.5mM 티로신 액 40㎕를 넣고 37℃에서 30분 동안 반응시킨다. 그리고 이것을 ELISA reader를 이용하여 49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다. 공시료액으로 시료액 대신 0.1M인산염완충액(pH 6.5)을 넣는다.
희석배수 Tyrosinase(%)
20배 8.7 ± 1.5
10배 15.1 ± 2.7
5배 24.9 ± 1.2
원액 34.0 ± 4.9
<실험예 11> 보습효능 측정
보습 효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incubator 37℃에서 화장 솜에 시료 1ml을 적셔서 시간마다 무게를 측정하여 수분 보유능을 측정하였다. 보습효능은 시료가 함유되지 않은 증류수를 대조군으로 하여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수분보유량을 측정하였다. 1시간이후부터 조금씩 수분보유능을 확인할 수 있었고, 시간이 경과할수록 증류수에 비해 높은 수분보유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Moisture retention activity(%)
1시간 2시간 4시간
DW 69.4 ± 7.0 43.3 ± 7.5 14.3 ± 2.5
블루에너지 75.1 ± 4.1 50.8 ± 4.0 22.7 ± 2.2
<실험예 12> 콜라겐 분해효소(Collagenase) 활성 저해능 측정
상기 실험예 8와 동일한 방법으로 Collagenase 활성 저해능을 측정하였다.
희석배수 Collagenase(%)
50배 0.4 ± 1.9
20배 19.4 ± 5.4
10배 21.9 ± 5.0
5배 60.0 ± 7.2
원액 96.3 ± 58.3
<실험예 13> 인간 표피세포(HaCaT)에 대한 세포 독성 측정
시료의 피부에 대한 세포독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각질형성세포주인 HaCaT cell로 독성을 측정하였다. 세포 배양용 플라스크에 배양한 HaCaT 세포주는 5% FBS가 함유된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LOW GLUCOSE)로 배양하였다. HaCaT 세포주를 1×104/well의 농도로 96well plate에 분주하고, 24시간 동안 37℃, 습도 95%, CO2 5%로 조절된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화장품 원료 16종 원액을 세포 배지에 1/100의 희석배수로 녹여 세포주에 처리하였다. 세포배양 1일 배양한 후 세포의 독성을 측정하였다. 세포의 독성은 MTS 시약을 이용하여 microplate reader(Molecular Devices, VersaMax ELISA Microplate Reader, USA)로 49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세포의 생존율은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대비한 시료 처리군의 흡광도로 표시하였다.
희석배수 세포독성(%)
10배 104.9 ± 3.8
5배 106.3 ± 6.0
2배 111.0 ± 3.4*
원액 113.3 ± 6.0*
*p<0.05, compared with control group
인간 표피세포에 대한 세포 독성 측정 결과 표 16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블루에너지 마리타임 콤플렉스'는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14> 인간 표피세포(HaCaT)에 대한 세포 증식능 측정
피부에 대한 증식능은 각질형성세포주인 HaCaT cell로 확인하였다. 즉, 세포 배양용 플라스크에 배양한 HaCaT 세포주는 5% FBS가 함유된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LOW GLUCOSE)로 배양하였다. HaCaT 세포주를 2×103/well의 농도로 96well plate에 분주하고, 24시간 동안 37℃, 습도 95%, CO2 5%로 조절된 CO2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새로운 배지에 블루에너지 원료를 원액에서 10배 희석하여 제조하였다. 희석된 원료는 세포 배지에 1/100의 희석배수로 녹여 세포주에 처리하였다. 세포배양 1일, 2일, 3일 동안 배양한 후 세포의 증식활성을 측정하였다. 세포의 증식능은 MTS 시약을 이용하여 microplate reader(Molecular Devices, VersaMax ELISA Microplate Reader, USA)로 49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세포의 생존율은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대비한 시료 처리군의 흡광도로 표시하였다.
희석배수 1일차 2일차 3일차
10배 105.6 ± 4.2* 106.8 ± 3.9 118.8 ± 10.9*
5배 103.4 ± 2.3* 105.5 ± 5.4 123.1 ± 10.3*
2배 104.3 ± 2.9* 103.1 ± 4.1* 125.1 ± 8.7*
원액 102.0 ± 4.9 108.7 ± 7.6* 138.0 ± 10.7*
*p<0.05, compared with control group
인간 표피세포에 대한 세포 증식능을 측정 결과 표 17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블루에너지 마리타임 콤플렉스'는 1일차, 2일차 및 3일차에 따라 세포의 생존율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화장료의 제조예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블루에너지 마리타임 콤플렉스는 목적에 따라 여러 형태의 화장료로 제조 가능하다. 하기는 본 발명에 따른 블루에너지 마리타임 콤플렉스를 활성성분으로 함유시킨 몇몇 화장료의 제조방법을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화장료 제조예 1> 유연 화장수의 제조
블루에너지 마리타임 콤플렉스 10.0 중량부
1,3-부틸렌글리콜 1.00 중량부
디소듐이디티에이 0.05 중량부
알란토인 0.10 중량부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0.05 중량부
시트르산 0.01 중량부
소듐시트레이트 0.02 중량부
글리세레스-26 1.00 중량부
알부틴 2.00 중량부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1.00 중량부
에탄올 30.0 중량부
보존제 미량
착색제 미량
착향제 미량
정제수 잔량
<화장료 제조예 2> 영양 크림의 제조
블루에너지 마리타임 콤플렉스 10.0 중량부
1,3-부틸렌글리콜 7.00 중량부
글리세린 1.00 중량부
D-판테놀 0.10 중량부
식물 추출물 3.20 중량부
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 0.30 중량부
PEG-40 스테아레이트 1.20 중량부
스테아르산 2.00 중량부
폴리소르베이트 60 1.50 중량부
친유형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2.00 중량부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1.50 중량부
세테아릴알코올 3.00 중량부
미네랄오일 4.00 중량부
스쿠알란 3.80 중량부
카르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2.80 중량부
식물성오일 1.80 중량부
디메치콘 0.40 중량부
디포슘글리시리제이트 미량
알란토인 미량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미량
토코페릴아세테이트 적량
트리에탄올아민 적량
보존제 적량
착향제 적량
정제수 잔량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히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감태를 건조 후 마쇄하여 유기용매로 추출한 감태 추출물 2 중량부 기준으로;
    다시마를 건조 후 마쇄하여 유기용매로 추출한 다시마 추출물 0.5-2 중량부;
    굴을 80-100℃ 물에 데친 후 마쇄하여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로 가수분해하여 얻은 굴 가수분해물 0.5-2 중량부; 및
    군소를 80-100℃ 물에 데친 후 마쇄하여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로 가수분해하여 얻은 군소 가수분해물 0.5-2 중량부;
    를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에틸 아세테이트, 아세토니트릴, 아세톤, 1,3-부틸렌 클리콜 및 물과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외용연고, 크림,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팩, 에센스, 헤어토닉, 샴푸, 린스, 헤어 컨디셔너, 헤어 트리트먼트, 젤,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 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마사지 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 크림, 파운데이션, 영양에센스, 선스크린,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 로션 및 바디 클렌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70167379A 2017-12-07 2017-12-07 굴, 멍게, 해삼, 군소 및 코고동을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0116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7379A KR102011654B1 (ko) 2017-12-07 2017-12-07 굴, 멍게, 해삼, 군소 및 코고동을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7379A KR102011654B1 (ko) 2017-12-07 2017-12-07 굴, 멍게, 해삼, 군소 및 코고동을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7442A KR20190067442A (ko) 2019-06-17
KR102011654B1 true KR102011654B1 (ko) 2019-08-19

Family

ID=67064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7379A KR102011654B1 (ko) 2017-12-07 2017-12-07 굴, 멍게, 해삼, 군소 및 코고동을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16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1114B1 (ko) * 2020-10-27 2021-05-11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소라 내장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 또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480488B1 (ko) * 2021-01-11 2022-12-23 (주)맘씨생활건강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9665B1 (ko) * 2011-06-10 2011-12-29 (주)지에프씨 군소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주름개선용 화장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6761B1 (ko) * 2009-02-26 2011-02-25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피부 미백활성을 갖는 감태 추출물
KR101182032B1 (ko) * 2009-11-05 2012-09-11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항산화 활성을 갖는 다시마 정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KR20120000251A (ko) * 2010-06-25 2012-01-02 신라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시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52472B1 (ko) * 2013-12-27 2015-09-11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항산화 및 미백 활성이 증진된 굴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1640799B1 (ko) 2016-03-11 2016-07-19 아무르콜라겐(주) 불가사리 추출물의 제조 방법 및 불가사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9665B1 (ko) * 2011-06-10 2011-12-29 (주)지에프씨 군소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주름개선용 화장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7442A (ko) 2019-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31916B2 (en) Use of a rice protein hydrolysate as pigmenting active principle
KR102050545B1 (ko) 미역귀 추출물, 감태 추출물 및 글리코사미노글리칸을 포함하는 항노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FR3058641B1 (fr) Utilisation cosmetique, nutraceutique ou pharmaceutique preferentiellement dermatologique d&#39;un extrait de feuilles de la plante lansium domesticum pour diminuer la pigmentation de la peau et/ou des annexes cutanees
KR102011654B1 (ko) 굴, 멍게, 해삼, 군소 및 코고동을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0874115B1 (ko) 백리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27788B1 (ko) 글루쿠론산을 다량 함유하는 지충이 분해물 제조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항노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100117550A (ko) 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70076147A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0882744B1 (ko) 목단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445642B1 (ko) 배롱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76526B1 (ko) 조팝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90097550A (ko) 슈잔드린 및 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20140081137A (ko) 곰보버섯 자실체 추출물 또는 곰보버섯 균사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210134589A (ko) 분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317433B1 (ko) 지구자, 길경, 밀싹 및 세이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용 조성물
KR102002891B1 (ko) 삼색도장버섯 추출물 및 삼색도장버섯 균사체로 발효시킨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23068B1 (ko) 아왜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87425B1 (ko) 갯버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72123B1 (ko) 갈산 및 당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장미 추출물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144725A (ko) 항노화제, 항산화제, 항염증제 및 미백제, 그리고 화장료
KR101176525B1 (ko) 벌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80098925A (ko) 목단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79244B1 (ko) 배롱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79245B1 (ko) 배롱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40071716A (ko) 으름덩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