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0488B1 -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0488B1
KR102480488B1 KR1020210003588A KR20210003588A KR102480488B1 KR 102480488 B1 KR102480488 B1 KR 102480488B1 KR 1020210003588 A KR1020210003588 A KR 1020210003588A KR 20210003588 A KR20210003588 A KR 20210003588A KR 102480488 B1 KR102480488 B1 KR 1024804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acid
extract
skin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3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1503A (ko
Inventor
김현주
Original Assignee
(주)맘씨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맘씨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맘씨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210003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0488B1/ko
Publication of KR20220101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1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0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04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11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은 천연성분으로 밀 추출물과 다시마 추출물을 포함함에 따라 피부에 독성이나 염증반응을 일으키지 않으면서도 높은 세포 생존율, 항산화, 피부 미백, 주름 개선 등과 같은 제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와 같은 효과를 동시에 가지는 제품으로 스킨케어용 화장료 조성물 또는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과 같은 제품일 수 있으며, 이들 제품에 대한 선호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화장료 조성물{A composition for cosmetic}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천연 소재인 다시마와 밀 추출물을 포함함으로써 세포 독성이 없으면서도 항산화, 주름개선, 항균, 피부미백 등 다양한 피부 개선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자외선, 스트레스 등의 여러 가지 내외적인 요인에 의해 각종 피부 트러블 유발로 기미, 주근깨, 피부 색소 침착 등의 피부 노화 현상을 겪고 있다. 특히 최근 미세먼지, 황사 등에 의한 대기오염이 점차 심각해지고 있으며, 이와 같은 대기오염은 인체의 피부에도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된다.
한편 우리나라에서 기능성 화장품은 주로 주름 개선, 미백 개선, 그리고 자외선차단 효과 등 총 3가지로 분류하고 있다. 이에, 최근 기능성 화장품은 특정 부위별 전문화된 제품이 출시되고 있으며, 보다 기능적이면서 자연주의적인 제품을 선호하는 소비자의 요구에 부흥하여 전문적이고, 고도의 기술을 요하는 첨단 산업으로 점차 자리 매김하고 있다. 특히 소비자층도 세분화되면서 점차 새로운 기능성 원료 개발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피부 주름은 피부 노화의 대표적 증상으로 자외선, 공해, 음주, 스트레스 및 영양부족 등의 외적 요인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주름 개선과 관련된 피부 보호에는 자외선 방어에 관련된 유해 산소 같은 프리 라디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연구와 피부 면역 기능을 높여주고자 하는 연구 등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외에 천연물이나 생명 공학적인 기법을 이용하여 혈액의 흐름을 촉진시키고 피부 신진대사를 증진시키는 물질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피부미백, 주름개선, 자외선 차단 등과 같은 다양한 피부회복 촉진과 관련된 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4-0010543호(2014.01.27.) 등에 해조류의 한 종류인 톳을 미백용 화장료 소재로 발굴하여 이용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되었다.
하지만, 톳의 경우 성분 자체로 보면 피부미백과 주름개선 등에서 매우 긍정적이지만 흡수율이 떨어지고 생리활성도도 매우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어서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였다. 또한 톳만으로는 피부에 수분을 공급하는 기능이 충분하지 못하여 성질이 비슷한 해조류를 이용하면서도 수분 공급 기능을 보완하여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병행 소재의 도입이 절실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10543호 (2014년 01월 27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상세하게는 천연 소재인 다시마와 밀 추출물을 포함함으로써 세포 독성이 없으면서도 항산화, 주름개선, 항균, 피부미백 등 다양한 피부 개선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천연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천연성분, 수상부 및 유상부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로, 상기 천연성분은 밀 추출물 및 다시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때 상기 수상부는 정제수, 보습제, 비타민 전구체, 이온봉쇄제, 주름개선제, 방부제, 중화제 및 점증제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포함하며, 상기 유상부는 경도형성제, 유화제, 에몰리언트 및 비타민 유도체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천연성분은 다시마 추출물과 밀 추출물이 1 : 0.1 내지 1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스킨, 로션, 영양로션, 영양크림, 에센스 및 세정제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은 천연성분으로 밀 추출물과 다시마 추출물을 포함함에 따라 피부에 독성이나 염증반응을 일으키지 않으면서도 높은 세포 생존율, 항산화, 피부 미백, 주름 개선 등과 같은 제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와 같은 효과를 동시에 가지는 제품으로 스킨케어용 화장료 조성물 또는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과 같은 제품일 수 있으며, 이들 제품에 대한 선호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제조예를 통해 제조된 시편의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도 1), ABTS+ radical cation scavenging activity(도 2)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3 및 도 4는 제조예를 통해 제조된 시편의 HaCaT cell(도 4) 및 RAW 264.7 cell(도 4)에 대한 세포독성 결과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천연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구체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구체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으며, 이하 제시되는 구체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하기 위해 기재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명세서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는 문맥에서 특별한 지시가 없는 한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천연성분, 수상부 및 유상부를 포함하되, 상기 천연성분은 밀 추출물 및 다시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밀 추출물은 밀(소맥)으로부터 추출된 유효성분으로, 상기 “밀(Triticumaestivum)”은 약 82 %의 배유, 16 %의 과피 및 2 %의 배아로 구성되어 있다. 각 구성부분의 성분을 살펴보면, 배유는 전분질과 단백질, 과피 (외피)는 섬유질, 단백질 및 회분, 배아는 비타민 E, 리놀레산 등을 함유하고 있다. 단백질로는 글리아딘과 글루테닌이, 지방으로는 올레산, 리놀레산, 팔미트산 등이 많이 들어 있으며, 그 외에도 카로티노이드와 플라보노이드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한약재로써 해열, 정신안정, 종기와 각종 출혈증 등에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동의보감에서는 “성질이 차고 맛이 달며 독이 없다. 중초를 조화시키고 열을 없애며, 열창이나 끓는 물, 불에 덴 상처가 짓무른 것, 얻어맞거나 부러져서 어혈이 진 것을 치료하는데 사용한다.”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밀은 본 발명의 목적에 부합되는 것이라면 밀속(Triticum sp.)에 속하는 그 어느 밀이라도 사용 가능하다. 트리티쿰 애스티붐(Triticum aestivum) 및 트리티쿰 불가리(Triticum Vulgar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의 밀속(Triticum sp.) 식물의 통밀(grain), 또는 통밀 가루 형태의 밀 종자, 밀잎, 밀 발아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밀 종자는 생리활성물질이 풍부하고, 밀 잎에는 생리활성물질과 폴리페놀 함량이 비교적 많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식물 원료로서 밀 잎을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또한 상기 밀 발아물은 밀싹 발아 후 1 내지 8주간, 바람직하게는, 2주 내지 4주간 배양한, 0.5cm 내지 10cm, 바람직하게는, 1cm 내지 5cm 높이 발아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밀 추출물은 추출방법을 한정하지는 않으나 용매를 이용한 추출이나 열수추출법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추출물은 물(초순수),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되어진 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메탄올, 부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에 가용한 추출용매, 보다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물 및 에탄올 혼합용매,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50 내지 90% 에탄올 혼합용매에 가용한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밀 추출물은 건조된 밀 종자, 밀 잎, 또는 밀 발아물을 분쇄기로 분쇄한 후, 상기 분쇄물의 약 1배 내지 20배, 바람직하게는 약 1배 내지 15배의 상기 용매들을 가하여 1시간 내지 1주일, 바람직하게는 2시간 내지 72시간 동안, 10℃ 내지 120℃,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00℃의 온도로 열수추출을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열수추출 과정에서 유효성분의 추출량을 더욱 높이기 위해 초음파를 가하거나 환류추출법을 더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 침전물이나 부유물의 형성을 유도하기 위해 용매의 pH를 낮춰도 무방하다. 이때 pH는 본 발명에서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염산 또는 황산의 수용액, 바람직하게는, 순도가 10 내지 50%,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35 %인 염산액 및 순도가 60 내지 100%,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98%인 황산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산을 1 내지 30%(v/v),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v/v)가 되도록 희석한 용액을 첨가하여 용매의 pH를 3.5 내지 6.5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열수추출이 완료되면 형성된 침전물이나 부유물을 여과하여 제거한 후 여액을 수득한다. 그리고 수득한 여액을 농축하기 위해 동결건도 또는 분무건조 등의 방법으로 급격하게 건조시킨다.
상기 동결건조는 온도를 급격하게 감소시켜 건조 대상을 얼린 상태에서 압력을 감소시켜 건조 대상이 포함하고 있는 고체화된 용매를 수증기로 승화시키는 것이다. 분무건조는 건조 대상을 열풍 속에 분무시켜 미세한 물방울 상태로 기류에 건조시키는 것이다. 이때 상기 여액에는 덱스트린(dextrin)과 같은 첨가제를 사용하여 건조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동결건조로 예를 들면 영하 40℃ 내지 70℃, 압력 5 mmTorr 내지 30 mmTorr, 그리고 10시간 내지 100시간의 조건으로 동결건조가 진행되는 경우 보다 효율적이면서 유효성분의 손상 없이 동결건조 방식을 통한 분말화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다시마(Laminaria japonica)” 는 한국, 중국 및 일본의 해안 지방에서 널리 소비되고 있는 갈조류이다. 상기 다시마는 태평양 연안에 20여 종이 자라고 있으며 10m 이상의 큰 종류도 있는데, 주요 종으로는 참다시마 (L.japonica), 오호츠크다시마(L.ochotensis), 애기다시마(L.religiosa) 등이 있다. 옛날부터 한국을 비롯하여 일본 및 중국 등 동아시아에서 식용해 왔으며, 특히, 단백질 성분인 글루탐산과 아스파르트산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조미 재료로 예부터 널리 이용되어 왔다. 상기 다시마에는 다당류가 가장 많으며, 그 종류로는 알긴산(Alginic Acid)과 셀룰로오스, 그리고 수용성인 후코이단(Fucoidan) 등이 있다.
또한 한의약에서는 곤포(昆布) 또는 해대(海帶)라고도 부르며, 성질이 차고 맛이 짜며 독이 없고, 12가지 수종을 치료하는데 사용하며, 피부가 붓거나 고름이 나오는 경우에 효험이 있다 알려져 있다.
상기 알긴산은 식이섬유의 일종으로 세포 내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하여 피부노화를 억제하고 피부와 모발을 건강하게 한다. 피부 속 콜라겐이나 엘라스틴과 같은 탄력세포의 형성을 도우며, 피부미네랄이라 불리는 아연이 풍부하여 여드름과 뾰루지와 같은 피부트러블을 없애는데 도움이 된다.
상기 퓨코이단은 해조류가 파도, 햇빛으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하여 분비하는 물질로서 매우 탁월한 천연 보습제 역할을 하며, 최근 연구를 통해 후코이단은 세포의 활성을 도와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노화를 예방하고 치료하는 효과가 확인 되었다.
상기 다시마 추출물 또한 상기 밀 추출물과 유사하게 열수추출 또는 용매추출을 진행하여 수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다시마에 1 내지 20배의 증류수 등을 넣어 열을 가하여 추출물을 수득한 후, 이를 여과하고 동결 건조하여 다시마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천연성분은 조성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다시마 추출물과 밀 추출물이 1 : 0.1 내지 1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피부 자극성이 강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수상부 및 유상부는 일반적인 화장품 성분들 또는 제약 활성 성분들을 이루는 것으로, 특히 제형에 따라 상기 수상부 또는 유상부에 들어가는 성분들의 변형이 가능하다. 변형들 및 다른 적절한 성분들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고 본 발명에 사용하는데 적합하다. 특정 측면들에서, 화합물들, 성분들 및 화학 약품들의 조합물 및 농도들은 상기 조합물들이 화학적으로 호환 가능하고, 최종 생성물로부터 침전하는 복합체들을 형성하지 않는 그런 방법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상부는 정제수, 보습제, 비타민 전구체, 이온봉쇄제, 주름개선제, 방부제, 중화제 및 점증제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유상부는 경도형성제, 유화제, 에몰리언트 및 비타민 유도체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보습제의 비제한적 예들은 아미노산,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디글리세린, 에리스리톨(erythritol), 프락토오스, 글루코스, 글리세린, 글라이세롤 폴리머, 글리콜, 1,2,6-헥산트리올, 꿀, 히알루론산, 수소화된 꿀(hydrogenated honey), 수소화된 녹말 가수분해물(hydrogenated starch hydrolysate), 이노시톨, 락티톨, 말티톨, 말토오스, 만니톨, 천연 보습 인자(natural moisturizing factor), PEG-15 부탄디올, 폴리글리세릴 소르비톨, 피롤리돈 카르복실산의 염(salts of pyrolidone carboxylic acid), 포타슘 PCA, 프로필렌 글리콜, 소듐 글루쿠론네이트(sodium glucuronate), 소듐 PCA, 소르비톨, 수크로오스, 트레할로오스(trehalose), 우레아 및 자일리톨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비타민 전구체는 체내에서 수용성 비타민을 생성할 수 있는 물질로, 이러한 수용성 비타민은 피부 미백, 잡티 제거, 피부 지방의 신진대사에 관여, 산화질소 제거, 피부보습, 피부 진정 등의 효과를 가진다. 이러한 비타민 전구체의 예를 들면, 비타민 B 복합체, 비타민 C, 비타민 H, 비타민 H, 비타민 P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비타민 B 복합체로 예를 들면 티아민 등의 B1; 리보플라빈 등의 B2; 니코틴산, 니코틴아미드 등의 B3; 판토센산, 판테놀 등의 B5; 피리독신 및 피리독사민, 피리독살 등의 B6; 등을 들 수 있으며, 상기 비타민 C는 아스코르브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비타민 H는 일반명 비오틴으로 공지된 것으로, (3aS,4S,6aR)-2-옥소헥사히드로티에놀[3,4-d]이미다졸-4-발레르산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이온봉쇄제는 조성물의 변질을 막기 위한 금속이온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당업계에서 사용하는 일반적인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디소듐이디티에이(disodium EDTA), 디포타슘이디티에이(dipotassium EDTA), 트리소듐이디티에이, 테트라소듐이디티에이 및 라이스피테이트(rice phytat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 혼합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주름개선제는 피부 노화를 방지하는 성분으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아데노신(adenosine), 레티놀(retinol), 레티닐 팔미테이트(retinyl palmitate), 폴리에톡실레이티드 레틴아미드(polyethoxylated retinamide), 디팔미토일 하이드록시프롤린(dipalmitoyl hydroxyproline), 글리코스아미노 글리칸(glycosamino glycan), 바이오펩타이드(biopeptide), 로즈힙 오일(ores hips oil), 콜라겐(collagen), 비타민 B와 이의 유도체, 토코페롤(tocopherol) 및 토코페릴 아세테이트(tocopheryl acetate) 등이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방부제는 항균 특성을 가지면서도 최종 제품의 기계적 물성, 투명도, 색상 등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이라면 종류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의 예로는 메틸 파라벤, 프로필 파라벤 등의 유기계 항균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락트산, 아스코르브산, 소디움 아스코르베이트, 칼슘 아스코르베이트, 포타슘 아스코르베이트, 아스코르브산의 지방산 에스테르, 아스코르빌 팔미테이트, 아스코르빌 스테아레이트, 토코페롤, 알파-토코페롤, 감마-토코페롤, 델타-토코페롤,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프로필 갈레이트, 옥틸 갈레이트, 도데실 갈레이트, 에틸 갈레이트, 구아이악 레진, 에리토르브산, 소디움 에리토르베이트, 에리토르빈산, 소디움 에리토르빈, tert-부틸히드로퀴논, 부틸레이티드 히드록시아니솔, 부틸레이티드 히드록시톨루엔, 모노-트리소디움포스페이트, 디-트리소디움포스페이트, 모노-트리포타슘 포스페이트, 디-트리포타슘 포스페이트, 아녹소머, 에톡시퀸, 포타슘 락테이트, 스타너스 클로라이드, 소디움 티오술페이트, 4-헥실레소르시놀, 글루코스 옥시다제, 카로테노이드, 리코펜, 유비퀴논 등을 더 포함하여도 좋다.
상기 중화제는 조성물 내의 pH를 조절하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화장품의 효능과 안정을 위해 필수적으로 첨가되어야 한다. 이러한 중화제로 예를 들면 아세트산, 히드로클로르산, 아미노메틸 프로판올, 암모니아, 암모늄 비카르보네이트, 포타슘 아세테이트, 소디움 아세테이트, 소디움 디아세테이트, 칼슘 아세테이트, 카본 디옥사이드, 말산, 푸말산, 소디움 락테이트, 소디움 디크로보네이트, 소디움 메타포스페이트, 소디움 트리메타포스페이트, 소디움 포스페이트, 포타슘 락테이트, 칼슘 락테이트, 암모늄 락테이트, 마그네슘 락테이트, 시트르산, 모노-트리소디움 시트레이트, 디-트리소디움 시트레이트, 모노-트리포타슘 시트레이트, 디-트리포타슘 시트레이트, 모노-트리칼슘 시트레이트, 디-트리칼슘 시트레이트, 타르타르산, 모노-디소디움 타르테이트, 모노-디포타슘 타르테이트, 소디움 포타슘 타르테이트, 디소디움 포스페이트, 디소디움 피로포스페이트, 오소(ortho)-포스포르산, 레시틴 시트레이트, 마그네슘 시트레이트, 암모늄 말레이트, 소디움 말레이트, 소디움 히드로젠 말레이트, 칼슘 말레이트, 칼슘 히드로젠 말레이트, 아디프산, 소디움 아디페이트, 포타슘 아디페이트, 암모늄 아디페이트, 숙신산, 소디움 푸마레이트, 포타슘 푸마레이트, 칼슘 푸마레이트, 암모늄 푸마레이트, 1,4-헥톤올락톤, 트리암모늄 시트레이트, 암모늄 페릭 시트레이트, 칼슘 글리세로포스페이트, 칼슘 클로라이드, 이소프로필 시트레이트, 포타슘 카르보네이트, 포타슘 비카르보네이트, 포타슘 포스페이트, 테트라포타슘 피로포스페이트, 암모늄 카르보네이트, 마그네슘 카르보네이트, 마그네슘 비카르보네이트, 페로우스 카르보네이트, 암모늄 술페이트, 암모늄 포타슘 술페이트, 알루미늄 암모늄 술페이트, 소디움 히드록사이드, 포타슘 히드록사이드, 암모늄 히드록사이드, 암모늄 클로라이드, 마그네슘 히드록사이드, 글루콘산, 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등이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점증제(thickener)는 조성물의 점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물질을 의미하는 것으로, 조성물 내의 활성 성분들의 효능을 실질적으로 변형시키지 않으면서도 조성물의 점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종류에 한정하지 않는다. 이러한 점증제의 예를 들면, 소화된 폴리이소부텐(hydrogenated polyisobutene), 트리하이드록시스테아린(trihydroxystearin), 암모늄 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vp 코폴리머(ammonium acryloyldimethyltaurate/vp copolymer), 폴리아크릴아마이드, 이소파라핀 및 라우레스-7, 아크릴산 및 치환된 아크릴산과 아크릴아마이드 및 치환된 아크릴아마이드의 다중-블럭(multi-block) 코폴리머, 셀룰로오스, 카복시메틸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카르복실레이트,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 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 메틸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셀룰로오스, (microcrystalline cellulose), 소듐 셀룰로오스 설페이트, 아가(agar), 알긴, 알긴산, 암모늄 알지네이트, 아밀로펙틴, 칼슘 알지네이트, 칼슘 카라기닌(calcium carrageenan), 카르니틴(carnitine), 카라기난(carrageenan), 덱스트린, 젤라틴, 젤란검(gellan gum), 구아검(guar gum), 구아 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 클로라이드(guar hydroxypropyltrimonium chloride), 헥토라이트(hectorite), 히알루론산, 실리카 수화물(hydrated silica), 하이드로프로필 키토산, 하이드로프로필 구아, 카라야검(karaya gum), 켈프, 로커스트 콩검(locust bean gum), 나토검(natto gum), 포타슘 알지네이트, 포타슘 카라기난, 프로필렌 글리콜 알지네이트, 스크렐로티움검(sclerotium gum), 소듐 카르복시메틸 덱스트란, 소듐 카라기난, 트라가칸트검(tragacanth gum), 잔탄검(xanthan gum), 카보머(carbomer)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유상부에 들어가는 경도형성제는 일종의 유화제 또는 크림 베이스의 제품에 포함되는 사용감 개선 성분으로, 성분들에 따라 다르나 퍼짐성과 침투성 등을 개선할 수 있으며, 크게 지방족 알코올(alcohol), 글리세릴 에스테르, 왁스류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이들 중 지방족 알코올은 8 내지 40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히드록실기 OH를 포함하는 장쇄 지방족 알코올을 의미한다. 이때 지방 알코올은 옥시알킬렌화나 글리세롤화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포화 또는 불포화 및 선형 또는 분지쇄이며, 8 내지 40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고체 지방 알코올은 R이 선택적으로는 하나 이상의 히드록실기로 치환된 선형 알킬기를 나타내고, 8 내지 40개의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개의 탄소 원자, 더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24개의 탄소 원자, 또는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4 내지 22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R-OH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지방족 알코올의 예를 들면, 라우릴 알코올, 세틸 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 베헤닐 알코올, 미리스틸 알코올, 아라키딜 알코올, 리그노세릴 알코올, 세릴 알코올, 몬타닐 알코올, 미리실 알코올, 세틸스테아릴 알코올 또는 세테아릴 알코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글리세릴 에스테르는 유화, 가용화 등의 계면활성 기능 이외에도 점도의 저하나 결정의 생성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글리세릴 에스테르의 예를 들면,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 올레에이트, 글리세릴 이소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 노에루케이트, 글리세릴 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및 글리세릴 리놀레에이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왁스류는 일종의 동물 또는 식물 유지로 피부의 성향, 예를 들어 건성이나 지성 피부 등에 따라 발림성의 차이를 두기 위해 첨가하는 것으로, 이들의 예를 들면 아보카도유, 아르몬드유, 올리브유, 참깨유, 쌀겨유, 새플라워유, 대두유, 옥수수유, 유채유, 행인(杏仁)유, 팜핵유, 팜유, 피마자유, 해바라기유, 포도종자유, 면실유, 야자유, 쿠쿠이너트유, 소맥배아유, 쌀 배아유, 시아버터, 월견초유, 마커데이미아너트유, 메도홈유, 난황유, 우지(牛脂), 마유, 밍크유, 오렌지라피유, 호호바유, 캔데리러왁스, 카르나바왁스, 비즈왁스, 라놀린 왁스, 액상 라놀린, 경화피마자유 등이 있다.
상기 유화제는 상기 경도형성제와 유사하게 조성물의 혼화성을 높이고 사용감을 높이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이들은 지방산과의 폴리옥시에틸렌 에스테르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방산의 폴리옥시에틸렌 에스테르의 일예로는 PEG-100 스테아레이트, PEG-200 스테아레이트, PEG-20 스테아레이트, PEG-40 스테아레이트 및 PEG-20 미리스테이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일예로는 폴리옥시에틸렌화 라우릴 알코올(4 EO), 폴리옥시에틸렌화 라우릴 알코올(23 EO), 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20 EO), 폴리글리세릴-4 이소스테아레이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몰리언트(emolient)는 유분을 공급하는 성분으로 피부 세포 간극 사이사이에 다른 유상부 성분들을 스며들게 하며, 피부에 도포 시 보습막을 형성한다. 일반적인 오일이나 왁스가 대표적인 에몰리언트 성분이며, 이들의 일예로는 에몰리언트는 에틸헥시스테아레이트,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에틸라우레이트, 에틸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트리글리세라이드, 디글리세라이드, 모노글리세라이드, 디글리세라이드, 글리세릴트리옥타노에이트, 옥타도데실미리스테이트, 이소스테아릴이소스테아레이트, 디카프릴카보네이트, 이소프로필팔미테이트, 옥틸팔미테이트,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부틸렌글라이콜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트리에틸헥사노인,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옥틸도데칸올, 리퀴드파라핀, 바세린,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스쿠알렌, 사이클로메치콘, 페닐트리메치콘, 사이클로펜타실록산 및 디메치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타민 유도체는 주로 비타민 E의 유도체로 본 발명에서는 항산화제로 작용한다. 일반적으로 비타민 E는 지용성 비타민의 일종으로 화학명인 토코페롤(tocopherol)이라는 이름으로 불린다. 비타민 E는 항산화 작용을 통해 세포막을 구성하는 불포화지방산의 과산화를 막아주며, 구체적으로 생체막에 수동적으로 분포하여 생체막 인지질에 분포하는 불포화지방산의 과산화를 방지하기 때문에 주름 개선 효과가 높다.
이러한 비타민 유도체의 예를 들면, 코페레스-5(tocophereth-5), 토코페레스-10, 토코페레스-12, 토코페레스-18, 토코페레스-50, 토코페롤, 토코페솔란(tocophersolan),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토코페릴 리놀리에이트, 토코페릴 니코티네이트, 토코페릴 숙시네이트 및 트리스(노닐페닐)포스파이트(tris(nonylphenyl)phosphite) 등이 있으며, 이들 또한 하나 또는 둘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상부, 수상부 및 천연성분의 조성비를 한정하지 않는다. 일예로 각 성분들은 보습제 1 내지 10 중량%, 비타민 전구체 0.1 내지 1 중량%, 이온봉쇄제 0.01 내지 0.1 중량%, 주름개선제 0.01 내지 0.1 중량%, 방부제 0.1 내지 0.5 중량%, 중화제 0.01 내지 0.5 중량%, 점증제 1 내지 10 중량%, 경도형성제 1 내지 5 중량%, 유화제 1 내지 5 중량%, 에몰리언트 5 내지 10 중량%, 비타민 유도체 0.1 내지 1 중량%, 다시마 추출물 0.1 내지 1 중량%, 밀 추출물 0.1 내지 0.5 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천연성분의 함량 관련하여 다시마 추출물과 밀 추출물의 조성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다시마 추출물과 밀 추출물이 1 : 0.1 내지 1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미백 효과가 하락하거나 피부 자극성이 강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와 같이 개시된 성분들의 조합뿐만 아니라, 상기 조성물들 이외 추가적인 성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추가적인 성분들의 예를 들면, 자외선 흡수제, 보습제, 에센셜 오일, 항산화제, 실리콘 함유 화합물, 보존제, 제약 성분, 향료,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차단제)는 화학적 및 물리적 자외선 차단제(sunblocks)를 포함한다. 사용될 수 있는 화학적 자외선 차단제의 비제한적 예들은 파라아미노벤조산 (PABA), PABA 에스테르 (글리세릴 PABA, 아밀디메틸 PABA, 및 옥틸디메틸 PABA), 부틸 PABA, 에틸 PABA(ethyl PABA), 에틸디하이드록시프로필 PABA, 벤조페논 (옥시벤존, 설리소벤존, 벤조페논, 및 12를 통한 벤조페논-1(benzophenone-1 through 12)), 신나메이트(cinnamates) (옥틸 메톡시신나메이트(octyl methoxycinnamate),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isoamyl pmethoxycinnamate), 옥틸메톡시 신나메이트(octylmethoxy cinnamate), 시녹세이트(cinoxate), 디이소프로필 메틸 신나메이트(diisopropyl methyl cinnamate), DEA-메톡시신나메이트(DEA-methoxycinnamate), 에틸 디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ethyl diisopropylcinnamate), 글리세릴 옥타노에이트 디메톡시신나메이트(glyceryl octanoate dimethoxycinnamate) 및 에틸 메톡시신나메이트(ethyl methoxycinnamate)), 신나메이트 에스테르(cinnamate esters), 살리실산(salicylates) (호모메틸 살리실산(homomethyl salicylate), 벤질살리실산(benzyl salicylate), 글리콜 살리실산(glycol salicylate), 이소프로필벤질 살리실산(isopropylbenzyl salicylate), 등), 안트라닐산염(anthranilates), 에틸 우로카닌산(ethyl urocanate), 호모살레이트(homosalate), 옥티살레이트(octisalate), 디벤조닐메탄 유도체(dibenzoylmethane derivatives) (예를 들면, 아보벤존(avobenzone)), 옥토크릴렌(octocrylene), 옥틸 트리아존(octyl triazone), 디갈로일 트리올리에이트(digalloy trioleate), 글리세릴 아미노벤조에이트(glyceryl aminobenzoate), 디하이드록시아세톤(dihydroxyacetone)과 라손(lawsone), 에틸헥실 트리아존(ethylhexyl triazone), 디톡실 부타미도트리아존(dioctyl butamido triazone), 벤질리덴 말로네이트 폴리실록산(benzylidene malonate polysiloxane), 테레프탈리덴 디캠퍼 설폰산(terephthalylidene dicamphor sulfonic acid), 디소듐 페닐 디벤즈이미다졸 테트라설포네이트(disodium phenyl dibenzimidazole tetrasulfonate), 디에틸아미노 하이드록시벤졸 헥실 벤조에이트(diethylamino hydroxybenzoyl hexyl benzoate), 비스 디에틸아미노 하이드록시벤졸 벤조에이트(bisdiethylamino hydroxybenzoyl benzoate), 비스 벤조사졸릴페닐 에틸헥실이미노 트리아진(bisbenzoxazoylphenyl ethylhexylimino triazine), 드로메트리졸 트리실록산(drometrizole trisiloxane), 메틸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 테트라메틸부틸페놀(methylene bis-benzotriazolyl tetramethylbutylphenol), 및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 메톡시페닐트리아진(bis-ethylhexyloxyphenol methoxyphenyltriazine), 4-메틸벤질리덴 캠퍼(4-methylbenzylidene camphor) 및 이소펜틸 4-메톡시신나메이트(isopentyl 4-methoxycinnamate)를 포함한다. 또한 물리적 자외선차단제(sunblocks)의 비제한적 예들은 고령토, 운모, 바셀린(petrolatum) 및 금속산화물 (예를 들면, 티타늄 다이옥사이드 및 징크 옥사이드)을 포함한다.
상기 조성물들과 함께 사용할 수 있는 보습제의 비제한적인 예들로는 아세틸화한 라놀린(lanolin), 아세틸화된 라놀린 알코올, 알라닌, 조류 추출물(algae extract), 알로에-바르바덴시스(Aloe barbadensis) 추출물, 알시아 오피시날리스(Althea officinalis) 추출물, 살구(apricot) (푸루너스 아르메니아카(Prunus armeniaca)) 커넬(kernel) 오일, 아르기닌, 아르기닌 아스파르테이트(arginine aspartate), 아르니카 몬타나(Arnica montana) 추출물, 아스파르트산(aspartic acid), 아보카도 (페르시아 그라티시마(Persea gratissima)) 오일, 스핑고지질막(barrier sphingolipids), 부틸 알코올, 베헤닐 알코올, 베타-시토스테롤, 자작나무(birch) (베툴라 알바(Betula alba)) 나무껍질(bark) 추출물, 보리지(borage) (보리고 오피시날리스(Borago officinalis)) 추출물, 부처브룸(butcherbroom) 루스쿠스 아굴레아투스(Ruscus aculeatus) 추출물, 부틸렌 글리콜, 카렌듈라 오피시날리스(Calendula officinalis) 추출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에센셜 오일은 허브, 꽃, 나무, 및 다른 식물로부터 유도된 오일을 포함한다. 이러한 오일은 일반적으로 식물의 세포들 사이의 작은 방울(tiny droplets)로서 나타나고, 당업자에게 알려진 다양한 방법 (예를 들면, 증기증류법, 냉침 (예를 들어, 지방을 사용한 추출), 해리(maceration), 용매추출, 또는 기계적 압착법)에 의해 추출될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오일을 공기 중으로 노출시킬 때 그들은 증발(evaporate)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휘발성 오일). 결과적으로, 많은 에센셜 오일들은 무색이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산화될 수 있고 어두워질 수 있다. 에센셜 오일은 물에 불용성이고, 알코올, 에테르, 고정 오일(식물성), 및 다른 유기 용매에 가용성이다. 에센셜 오일에서 발견된 일반적인 물리적 특성은 약 160 ℃ 내지 240 ℃로 다양한 끓는점 및 약 0.759 내지 1.096 범위의 밀도를 포함한다.
상기 에센셜 오일의 예를 들면, 참깨 오일, 마카다미아넛 오일, 티트리 오일, 달맞이꽃 오일, 스패니쉬 세이지 오일, 스패니쉬 로즈마리 오일, 고수 오일(coriander oil), 티미 오일(thyme oil), 피멘토 열매 오일(pimento berries oil), 장미 오일, 아니스 오일(anise oil), 발삼 오일(balsam oil), 버가모트 오일(bergamot oil), 로즈우드 오일, 세다 오일(cedar oil), 카모마일 오일, 세이지 오일, 클레어리 세이지 오일, 정향 오일(clove oil), 사이프러스 오일, 유칼립투스 오일, 회향 오일(fennel oil), 바다 회향 오일, 유향 오일(frankincense oil), 제라늄 오일, 생강 오일, 자몽 오일, 자스민 오일, 주니퍼 오일, 라벤더 오일, 레몬 오일, 레몬그라스 오일, 라임 오일, 만다린 오일, 마죠람 오일(marjoram oil), 몰약 오일(myrrh oil), 등화 오일(nerolioil), 오렌지 오일, 파출리 오일(patchouli oil), 후추 오일, 흑후추 오일, 페티그레인 오일(petitgrain oil), 소나무 오일, 장미 오또 오일(rose otto oil), 로즈마리 오일, 샌들우드 오일, 스피아민트 오일, 감송 오일, 베티버(vetiver) 오일, 윈터그린 오일(wintergreen oil), 또는 일랑일랑(ylang ylang) 오일 등이 있다.
상기 항산화제의 비제한적 예들은 아세틸 시스테인, 아스코르브산 폴리펩티드, 아스코르빌 디팔미테이트, 아스코르빌 메틸실라놀 펙티네이트(ascorbyl methylsilanol pectinate), 아스코르빌 팔미테이트, 아스코르빌 스테아레이트, BHA, BHT, t-부틸 하이드로퀴논, 시스테인, 시스테인 HCI, 디아밀하이드로퀴논, 디-t-부틸하이드로퀴논, 디세틸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디올레일 토코페릴 메틸실란올(dioleyl tocopheryl methylsilanol), 디소듐 아스코르빌 설페이트, 디스테아릴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디트리데실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도데실 갈레이트(dodecyl gallate), 에리소르빈산, 에리소르빈산 에스테르, 에틸 페룰레이트(ethyl ferulate), 페룰린산(ferulic acid), 갈산 에스테르, 하이드로퀴논, 이소옥틸 티오글리콜산, 코직산, 마그네슘 아스코르베이트, 마그네슘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 메틸실란올 아스코르베이트, 녹차(green tea) 또는 포도씨 추출물과 같은 천연 식물성 항산화제, 노르디하이드로구아이아레트산(nordihydroguaiaretic acid), 옥 갈레이트, 페닐티오글리콜산, 포타슘 아스코르빌 토로페릴 포스페이트, 포타슘 설페이트, 프로필 갈레이트, 퀴논, 로즈마리산, 소듐 아스코르베이트, 소듐 바이설파이트(sodium bisulfite), 소듐 에리스로베이트, 소듐 메타바이설파이트, 소듐 설파이트, 과산화물제거효소(superoxide dismutase), 소듐 티오글리콜산, 소르비틸 푸르푸랄(sorbityl furfural), 티오디글리콜, 티오디글리콜아마이드, 티오디글리콜산, 티오글리콜산, 티오락트산, 티오살리실산 등을 포함한다.
상기 실리콘 함유 화합물은 실리콘 원자에 부착된 사이드기와 실리콘 및 산소 원자가 교대로 중합되는 분자 백본(molecular backbone)을 갖는 중합성 생성물(polymeric products) 패밀리의 임의의 구성원을 포함한다. 변화하는 -Si-O- 사슬 길이, 사이드기, 및 가교 결합(crosslinking)에 의해, 실리콘들은 광범위한 물질들로 합성될 수 있다. 그들은 액체 내지 젤 내지 고체까지 농도가 다양할 수 있다.
이러한 실리콘 함유 화합물의 예를 들면 디메티콘, 싸이클로메티콘, 폴리실리콘-11, 페닐트리메티콘, 트리메틸실릴아모디메티콘(trimethylsilylamodimethicone), 스테아록시트리메틸실란(stearoxytrimethylsilane) 또는 이들의 혼합물 및 다른 오가노실록산들을 들 수 있다.
이외에도 상품명으로 Dow Corning 344 Fluid, Dow Corning 345 Fluid, Dow Corning 244 Fluid, 및 Dow Corning 245 Fluid, Volatile Silicon 7207 (Union Carbide Corp, Danbury, Conn.)과 같은 사이클로메티콘; 낮은 점도 디메티콘, 예를 들어, 약 50 cst 또는 그 이하의 점도를 가지는 디메티콘 (예를 들면, Dow Corning 200-0.5 cst Fluid와 같은 디메티콘). 이 Dow Corning Fluid는 Dow Corning Corporation, Midland, Michigan으로부터 구입 가능하다. 사이클로메티콘 및 디메티콘은 각각 트리메틸실록시 유닛(trimethylsiloxy units)으로 말단-차단된(endblocked) 완전히 메틸화된 선형 실록산 폴리머의 혼합물 및 사이클린 디메틸 폴리실록산 화합물로서 Third Edition of the CTFA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참조로 통합됨)에서 설명된다. 본 발명의 문맥에서 사용될 수 있는 다른 비제한적 휘발성 실리콘 오일은 General Electric Co., Silicone Products Div., Waterford, N.Y. 및 SWS Silicones Div. of Stauffer Chemical Co., Adrian, Michigan으로부터 구입 가능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존제의 일예로는 폴리쿼터늄-1(polyquaternium-1) 및 벤잘코늄 할라이드(benzalkonium halides) (예를 들면, 벤잘코늄 클로라이드"BAC" 및 벤잘코늄 브로마이드)와 같은 제4급 암모늄 보존제(quaternary ammonium preservatives), 파라벤 (예를 들면, 메틸파라벤 및 프로필파라벤), 페녹시에탄올, 벤질알코올, 클로로부탄올, 페놀, 소르브산, 티메로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상기 제약 성분으로 예를 들면 항여드름제(antiacne agents), 진통제(analgesics), 마취제(anesthetics), 아노렉탈(anorectals), 항생제(antibiotics), 항진균제, 항바이러스제, 항균제, 항암 활성제(anti-cancer actives), 옴치료제(scabicides), 이치료제(pediculicides), 항암제(antineoplastics), 발한억제제(antiperspirants), 항소양제(antipruritics), 항건선제(antipsoriatic agents), 항지루제(antiseborrheic agents), 생리활성단백질 및 펩티드, 화상치료제, 소작제(cauterizing agents), 미백제(depigmenting agents), 제모제(depilatories), 기저귀 발진 치료제, 효소, 모발성장촉진제, 지혈제, 각질용해제, 구내염 치료제, 입술 발진 치료제, 치아 및 치주 치료제, 감광활성제, 피부 보호제/차단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천연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는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 등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제조된 시편의 물성을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항산화력)
ⓐ DPPH 항산화 측정
전자공여능 (EDA; electron donating ability)은 Blois의 방법(1958)에 의한 DPPH free radical 소거법으로 측정되었다. 각 시료 용액 100 μL에 0.2 mM의 1,1-diphenyl-2-picrylhyd razyl (DPPH) 50 μL를 넣고 교반한 후 차광하여 30 min 방치한 다음 517 nm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전자공여능 효과는 시료용액의 첨가구와 무첨가구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내었다.
ⓑ ABTS 항산화 측정
ABTS+ radical을 이용한 항산화력 측정은 ABTS+ radical cation scavenging activity 방법(Roberta etal., 1999)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ABTS+ radical cation은 7.4 mM ABTS+ [2,2'- 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와 2.6 mM potassium persulfate (K2S2O 8)을 1:1로 혼합하여 암실에서 실온으로 24 h 동안 반응하였다. 사용 전에 ABTS+ 용액을 에탄올에 희석하여 734 nm에서 흡광도 값이 0.706 ± 0.001이 되게 하여 사용하였다. 라디칼 소거활성 효과는 시료 용액의 첨가구와 무첨가구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내었다.
(세포 독성)
cell을 96well plate에 cell counting을 하여 1×104 cells/well이 되도록 180 μL 분주하고, 37℃, 5% CO2 inc ubator에서 24 h 배양하였다. 배양 후 농도별로 조제한 시료를 20 μL 첨가 한 후 48 h 배양하였다. 대조군은 시료와 동량의 증류수를 첨가하여 동일한 조건으로 배양하였다. 배양 후 각 well에 5 mg/mL 농도로 제조한 MTT 용액 20 μL를 첨가하여 4 h 반응시킨 후 상등액을 제거하고, 형성된 formazan에 dimethyl sulfoxide와 에탄올을 1:1로 섞은 용액을 각 well당 200 μL를 가하여 실온에서 30 min 동안 반응시킨 뒤 ELISA reader로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세포생존율 측정은 시료용액의 첨가군와 무첨가군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내었다.
(관능검사)
실시예 등을 통해 제조된 시편을 이용하여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각 시편별로 20세에서 49세까지의 여성 20명에게 시편을 안면에 도포하는 방식으로 1일 1회 3주간 지속적으로 사용하게 하였다. 그리고 피부자극과 미백효과를 상대적으로 평가하게 하였고, 특히 피부 자극은 가려움, 따가움, 홍반을 평가하였다. 평가는 5점 척도법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우수한 것으로 판정하였다. 최종 평점은 각 관능요원의 평가를 평균으로 하되, 소수점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였다.
(제조예)
먼저 천연성분을 제조하기 위해 다시마와 밀을 각각 물과 혼합하되 다시마 또는 밀과 물의 혼합비를 1 : 10 중량비로 혼합한 후 70℃에서 2시간 동안 추출하여 추출물을 얻었다. 수득된 추출물은 여과하여 여과액만을 분리한 후, 여과액을 용기에 넣어 동결기(FD5525; Ilshin BioBase, Korea)로 72시간 동안 건조하고 얻어진 분말을 영하 20℃에 보관하여 천연성분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천연성분의 각종 물성을 도 1 내지 4에 도시하였다.
먼저 각 천연성분의 항산화 효과와 관련하여 도 1 및 2와 같이 다시마와 밀의 추출물은 DPPH와 ABTS 실험결과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으며, 1,000 μg/mL의 천연성분 추출물을 기준으로 대조군인 AA(아스코르빈산) 대비 각각 22.3%(도 1), 31.5%(도 2, 이상 다시마), 40.2%(도 1), 38.1%(도 2, 이상 밀)의 효능을 나타내어 두 천연성분 모두 유사한 항산화효과를 가지나 밀의 항산화효과가 조금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세포 독성과 관련하여 다시마와 밀 추출물의 human keratinicyte(HaCaT cell, 도 3) 및 macrophage(RAW 264.7 cell, 도 4)에 대한 세포 생존력을 확인한 도 3 및 4를 보면 모두 시편의 농도를 100 내지 1,000 μg/mL로 처리한 경우에도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 생존력을 증가시켜 세포 독성이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
상기 제조예를 통해 제조된 천연성분을 포함한 화장료 조성물을 로션 형태로 제조하였다. 이때 포함된 조성물의 제원 및 조성비는 하기 표 1과 같다.
[표 1]
Figure 112021003524641-pat00001
(실시예 2 내지 5)
상기 실시예 1에서 시편 제조 시 천연성분인 다시마 추출물과 밀 추출물의 함량을 각각 0.65 중량%, 0.1 중량%(이상 실시예 2), 0.55 중량%, 0.2 중량%(이상 실시예 3), 0.475 중량%, 0.275 중량%(이상 실시예 4), 0.45 중량%, 0.3 중량%(이상 실시예 5)로 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시편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시편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표 2]
Figure 112021003524641-pat00002
상기 표 2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자극성이 낮으면서도 미백효과가 뛰어난 것을 알 수 있다. 대체적으로 다시마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다시마의 성질로 인해 피부자극성이 증가하는데 반해 퓨코이단의 첨가량 증가로 미백 효과가 증가하였으며, 밀 추출물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다시마의 강한 성질을 중화하여 피부자극성이 개선되나 미백 효과가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다시마 추출물 0.1 내지 1 중량%, 밀 추출물 0.1 내지 0.5 중량% , 보습제 1 내지 10 중량%, 비타민 전구체 0.1 내지 1 중량%, 이온봉쇄제 0.01 내지 0.1 중량%, 주름개선제 0.01 내지 0.1 중량%, 방부제 0.1 내지 0.5 중량%, 중화제 0.01 내지 0.5 중량%, 점증제 1 내지 10 중량%, 경도형성제 1 내지 5 중량%, 유화제 1 내지 5 중량%, 에몰리언트 5 내지 10 중량%, 비타민 유도체 0.1 내지 1 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를 포함하되, 천연성분인 상기 다시마 추출물과 밀 추출물이 1 : 0.1 내지 1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스킨, 로션, 영양로션, 영양크림, 에센스 및 세정제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210003588A 2021-01-11 2021-01-11 화장료 조성물 KR1024804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3588A KR102480488B1 (ko) 2021-01-11 2021-01-11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3588A KR102480488B1 (ko) 2021-01-11 2021-01-11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1503A KR20220101503A (ko) 2022-07-19
KR102480488B1 true KR102480488B1 (ko) 2022-12-23

Family

ID=82607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3588A KR102480488B1 (ko) 2021-01-11 2021-01-11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04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0840B1 (ko) * 2022-09-23 2023-07-28 (주)에델프라우 다층상 화장료 조성물
KR102581432B1 (ko) * 2023-02-16 2023-09-25 주식회사 프로퍼슨 통증완화 및 피부진정 효과를 나타내는 왁싱용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6131A (ja) * 1999-03-09 2000-09-19 Kose Corp チロシナーゼ生成抑制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5505B1 (ko) 2012-07-13 2014-12-24 신라대학교 산학협력단 톳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1654B1 (ko) * 2017-12-07 2019-08-19 주식회사 선마린바이오테크 굴, 멍게, 해삼, 군소 및 코고동을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6131A (ja) * 1999-03-09 2000-09-19 Kose Corp チロシナーゼ生成抑制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1503A (ko) 2022-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90444C (en) Topical skin care formulation
KR100970544B1 (ko) 피부외용제용 조성물 및 그의 사용방법
CN101431995B (zh) 稳定的维生素c组合物
KR102245069B1 (ko) 피부톤 향상을 위한 식물 추출물의 조합물
EP2514403A1 (en) Cosmetic composition for increasing the collagen synthesis in the skin cells
CN106535874B (zh) 毛孔缩小剂
JP4091824B2 (ja) 皮膚外用剤
KR102480488B1 (ko) 화장료 조성물
KR20140101418A (ko) 피부 케어 제형물
CN109330954B (zh) 美白亮肤水及其制备方法和酪氨酸酶抑制剂
US6214352B1 (en) Tyrosinase inhibiting agent
KR20180118409A (ko) 에르고티오네인을 포함하는 영양크림 및 그 제조방법
KR102184317B1 (ko) 피부 주름개선 및 미백용 조성물
JP2004210653A (ja) 皮膚外用剤
KR20090097483A (ko) 독성을 경감시킨 반묘 함유 복합 생약 추출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백반증의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
JP5807234B2 (ja) 化粧料、エラスターゼ阻害剤及び抗酸化剤
JP3119622B2 (ja) 化粧料
JP3636972B2 (ja) 美白剤および化粧料
KR100829831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JP2005179286A (ja) ヒアルロン合成促進剤の皮膚老化防止剤への利用
JP2009137878A (ja) 光老化防止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KR101800697B1 (ko) 화장료 조성물
JP2016108253A (ja) スキンケア化粧品組成物
JP2013224318A (ja) 活性酸素消去剤、皮膚外用剤、口腔用組成物及び食品
KR101832862B1 (ko) 산속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