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5505B1 - 톳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톳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5505B1
KR101475505B1 KR1020120076458A KR20120076458A KR101475505B1 KR 101475505 B1 KR101475505 B1 KR 101475505B1 KR 1020120076458 A KR1020120076458 A KR 1020120076458A KR 20120076458 A KR20120076458 A KR 20120076458A KR 101475505 B1 KR101475505 B1 KR 101475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activity
concentration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6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0543A (ko
Inventor
김형석
김재훈
이상현
김미향
전명제
이승우
장혜지
Original Assignee
신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신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764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5505B1/ko
Publication of KR20140010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05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5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55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11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61K36/03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톳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미백효과를 갖는 천연물질 톳 추출물을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제공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톳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A whitening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Hizikia fusiformis extract}
본 발명은 톳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멜라닌은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지만 과도하게 생성될 경우 피부에 색소가 침착되어 기미와 주근깨를 형성하며, 심할 경우 피부암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피부의 색소 침착 현상을 방지하지 위해서는 멜라닌 생성 과정의 일부분을 저해하여 멜라닌 생성을 감소시켜야 한다. 멜라닌은 동·식물과 미생물계에 널리 존재하는 페놀류의 고분자 천연색소로 표피 기저층에 존재하는 melanocyte 내의 melanosome에서 합성된다.
멜라닌은 L-tyrosine의 연속적인 산화반응으로 합성되는데, L-tyrosine은 tyrosinase에 의해 3,4-dihydroxyphenylalanine (L-DOPA)으로 전환되고, L-DOPA는 phenylanine-3,4-quinone으로 산화되어 중간 대사산물을 거쳐 최종적으로 멜라닌이 된다. 따라서, 피부미백과 관련된 기능성 화장품의 소재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그 물질이 tyrosinase의 활성을 저해하는지의 여부가 중요하다.
현재까지 멜라닌 색소의 생합성을 저해하는 물질에 관한 연구는 주로 tyrosinase의 활성을 저해하는 수준에서 이루어져 왔으며 저해제로는 hydroquinone, ascorbic acid, 4-hydroxyanisole, kojic acid, azelaic acid, arbutin, corticosteroids 등이 보고되고 있으나, 안전성 및 경제성 등의 문제점으로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따라서, 화장품 업계에서는 기존의 미백소재가 가지고 있는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최근에는 상백피, 짝자래나무, 포도씨 및 피트모스 추출물 등의 천연물질을 활용한 화장품 소재의 개발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피부에 안전하면서 미백효과가 뛰어난 소재 개발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최근 우리나라는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건강한 삶과 노화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웰빙(well-being) 및 웰에이징(well-aging)의 개념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화장품산업에는 생리활성 성분이 첨가된 기능성 화장품의 개념이 도입되어 산업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기능성 화장품은 화장품 기술에 생명공학 기술을 접목시켜 피부미용뿐만 아니라 노화예방 작용도 가질 수 있는 화장품군으로, 노령인구의 증가에 따른 삶의 질 향상에 대한 사회적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제품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기능성 화장품의 개발을 위해서는 소비자가 원하는 활성과 안전성을 가진 원료물질의 개발이 우선되어야 한다.
천연물질 중에는 여러 가지 생리활성을 가진 물질이 많이 존재하여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활용되고 있다. 최근, 천연물질의 생리활성 검색은 육상생물 대상뿐만 아니라 해양생물 대상으로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해조류의 생리활성 성분들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해양생물은 독특한 환경으로 인하여 육상생물에 없는 특유의 대사과정을 가지고 있어 다양한 신규 생리활성 물질의 탐색 가능성이 높다. 또한, 해양생물에 대한 연구는 육상생물에 대한 연구에 비해 아직 그 수가 많지 않아서 새로운 천연물질의 개발에 대한 기대가 높은 편이다.
톳(Hizikia fusiformis)은 갈조식물(Phaeophyta)문 모자반과의 바닷말로 우리나라의 서해안, 남해안 및 제주도에 서식하는 천연자원 식물이다. 톳은 식이섬유가 풍부하고 혈액응고작용 및 면역증강작용 등의 기능을 갖는 중성다당류인 라미나란(laminaran)과 함황산성 다당류인 푸코이단(fucoidan)을 다량 함유하고 있다.
지금까지 밝혀진 톳에 대한 연구로는 미생물 번식효과(Lim, S. B., Kim, S. H., Ko, Y. H., and Oh, C. K. 1995. Extraction yields of Hizikia fusiforme and Aloe vera Linne by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ir extracts. Kor. J. Food Sci. Technol. 27, 68-73), 지질대사 개선효과 및 항암효과(Jung, B. M., Ahn, C. B., Kang, S. J., Park, J. H., and Chung, D. H. 2001. Effects of Hizikia fusiforme extraction lipid metabolism and liver antioxidative enzyme activities in triton-inducced hyperlipidemic rats. J. Kor. Soc. Food Sci. Nutr. 30, 1184-1189, Kim, S. A., Kim, J., Woo, M. K., Kwak, C. S., and Lee, M. S. 2005. Antimutagenic and cytotoxic effects of ethanol extracts from five kinds of seaweeds. J. Kor. Soc. Food Sci. Nutr. 34, 451-459) 등이 있다.
또한, 해양생물을 이용한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보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95124호에 티로시나제 저해활성을 갖는 곰피 추출물 또는 그로부터 분리된 플로로탄닌류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해 개시되어 있다.
한편, 식용 해조류인 톳 추출물을 이용하여 피부 미백 활성을 가진 기능성 화장품 소재에 관한 보고는 지금까지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톳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톳 에탄올 추출물 및 분획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제조한 톳 추출물에 의한 B16F10 흑색종 세포 생존율을 조사하는 단계와; 상기 제조한 톳 추출물에 의한 B16F10 세포의 tyrosinase 저해 활성 및 멜라닌 생성 저해 활성을 조사하는 단계와; 톳 추출물에 의한 DPPH 자유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하는 단계와; LPS에 의해 유도된 iNOS 발현에 대하여 톳 추출물의 저해 효과 검증 단계를 통하여 달성하였다.
본 발명은 톳의 추출물로부터 피부 미백 활성을 가진 기능성 화장품 소재를 제공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도 1은 톳 추출물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2는 톳 추출물의 tyrosinase 저해 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B16F10 세포 내에서 톳 추출물의 세포 독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B16F10 세포 내에서 톳 추출물의 미백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B16F10 세포 내에서 톳 추출물의 tyrosinase 저해 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톳 추출물에 의한 DPPH 자유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LPS에 의해 유도된 iNOS 발현에 있어서 톳 추출물의 저해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바람직한 실시예와 실험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톳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톳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미백 효과를 위한 화장품, 세안제 및 샴푸 등에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각종 스킨, 로션, 크림, 에센스, 영양수, 화장수 및 팩과 같은 화장품류와 비누, 샴푸, 린스, 클렌징, 전신세정제, 세안제, 트리트먼트 및 미용액 등이 있다.
본 발명의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톳 추출물 이외에 화장품 제제에 있어서 수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이미 공지되어 사용되고 있는 화합물 또는 조성물이거나 앞으로 개발될 화합물 또는 조성물로서 피부와의 접촉시 인체가 적응 가능한 이상의 독성, 불안정성 또는 자극성이 없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알코올, 오일, 계면활성제, 지방산, 실리콘 오일, 습윤제, 보습제, 점성 변형제, 유제, 안정제, 자외선 차단제, 발색제, 향료 등은 이미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기 때문에 당업자라면 적절한 해당 물질 또는 조성물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톳 추출물’은 톳을 에탄올로 추출하여 얻어진 에탄올 추출물과 그 추출물에서 메탄올, 헥산, 부탄올 및 물을 사용하여 정제된 분획물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본 발명의 각 실험예에서 사용된 톳 추출물의 농도는 1, 10 및 100 ㎍/mL 이었다.
kojic acid (Sigma, USA) 및 arbutin (Sigma, USA)은 하기 각 실험예에서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되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방법을 실시예와 실험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들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톳 추출물의 제조
본 발명의 공시재료 톳(Hizikia fusiformis)은 국내에서 자생 또는 양식되는 생시료를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구입한 톳은 수세 및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얻은 분말 500 g에 10배량(w/v)의 80% ethanol을 첨가하여 80℃에서 8시간 동안 추출한 후, 지름 150 mm의 여과지(Advantec, Japan)로 2회 여과한 뒤 동결건조하여 톳 에탄올 추출물 108.5 g를 수득하였다. 상기 톳 에탄올 추출물을 극성과 비극성 즉, methanol, hexane, butanol 및 H2O 을 사용하여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획한 다음, speed vacuum evaporation으로 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메탄올 분획물 5.1 g, 헥산 분획물 3.7 g, 부탄올 분획물 3.8 g 및 수층 분획물 4.1 g을 수득하였다. 톳 에탄올 추출물의 수율은 21.7%였고, 각 용매별 분획물의 수율은 3.4~4.7%의 범위였으며 특히, 메탄올 분획물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표 1).
Extraction method Yield (%) Fractions Yields (%)
80℃, 8 h, ethanol 21.7 Hexane 3.4
Methanol 4.7
Butanol 3.5
Aqueous 3.8
실험예 1 : 톳 추출물의 tyrosinase 저해 활성 측정
멜라닌 생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효소인 tyrosinase에 대한 저해 활성은 mushroom tyrosinase를 효소원으로 하여 기질인 L-DOPA와의 반응으로 생성된 L-dopaquinone의 흡광도로 측정하였다.
즉, 50 mM sodium phosphate (pH 6.8) buffer 155 uL에 50 mM L-DOPA (Sigma, USA) 기질액 25 uL와 실시예 1에서 수득한 톳 추출물을 농도별로 희석하여 10 uL 첨가하고 잘 혼합한 후, mushroom tyrosinase (50 units/mL, Sigma, USA) 10 uL를 첨가하여 25℃에서 2분간 반응시켜 생성된 DOPA chrome의 흡광도를 475 nm에서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톳 추출물 중 가장 높은 tyrosinase 저해 활성을 나타낸 톳 에탄올 추출물은 100 ㎍/mL 농도에서 음성 대조군에 비해 mushroom tyrosinase 효소 활성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44% 억제하였다. 특히, 상기 추출물의 농도는 양성 대조군인 arbutin의 100 ㎍/mL 농도보다는 낮은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지만, 10 ㎍/mL 농도보다는 높은 저해활성을 보여주었고, 또 다른 양성 대조군인 kojic acid의 10 ㎍/mL 농도보다는 낮은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한편, 톳의 메탄올, 헥산, 부탄올 및 수층 분획물들은 100 ㎍/mL 농도에서 음성 대조군에 비해 tyrosinase 활성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각 25%, 27%, 23% 및 27% 억제하였으며 특히, 수층 분획물은 10 ㎍/mL 농도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16%의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4가지 분획물의 1 ㎍/mL 농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저해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실시예 2 : 세포배양
본 발명에 사용된 생쥐의 B16F10 흑색종(melanoma) 세포는 한국세포주은행(Korean Cell Line Bank, KCLB, Seoul, Korea)에서 분양 받았다. B16F10 세포는 10% fetal bovine serum (FBS, BioWhittaker, Walkersville, MD, USA) 및 penicillin-streptomycin (100 units/mL, BioWhittaker)을 포함하는 DMEM (BioWhittaker) 배지를 사용하여 37℃, 5% CO2에서 배양하였다.
실험예 2 : MTT assay를 이용한 세포 독성 평가
톳 추출물이 B16F10 세포의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3-[4,5-dimethylthiazole-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 Sigma, USA) 환원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즉, B16F10 세포를 96 well plate에 well당 1×104개의 세포를 접종하고 24시간 동안 37℃, 5% CO2 세포 배양기에서 배양한 후 농도별로 희석한 톳 추출물 10 uL를 첨가하여 배양하였다. 24시간 배양한 뒤 MTT 용액(5 ㎎/mL) 10 uL와 배지 90 uL를 첨가하여 상기 배양 조건에서 4시간 동안 배양한 후 배지를 제거하고 세포를 phosphate buffered saline (PBS, BioWhittaker)으로 2회 세척하였다. 각 well당 10% DMSO 200 uL를 첨가하여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톳 에탄올 추출물은 1, 10, 100 ㎍/mL의 모든 농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톳 수층 분획물의 모든 농도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한편, 메탄올, 헥산 및 부탄올 분획물들은 100 μg/ml의 농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세포 독성을 나타내었으며, 양성 대조군인 kojic acid의 10 ㎍/mL 농도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세포 독성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3 : 멜라닌 생성 저해 활성 측정
실시예 2에서 배양된 B16F10 세포(배지 2 ml)에 200 nM α-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MSH, Sigma, USA)을 처리하고 농도별로 희석한 톳 추출물 10 uL를 첨가하여 48시간 배양하였다. 그 후 배지를 제거하고 PBS 2 mL로 2번 세척한 다음, PBS 1 mL를 다시 첨가하여 세포를 긁어낸 뒤, 4℃, 1,700 xg에서 5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세포 침전물에 1 N NaOH (10% DMSO) 200 uL를 첨가하여 현탁시킨 후, 96 well plate로 옮겨 4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톳 에탄올 추출물은 100 ㎍/mL의 농도에서 음성 대조군에 비해 멜라닌 생성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26% 저해하는 것을 보여주었고, 톳 수층 분획물은 100 ㎍/mL의 농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18%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가장 높은 저해 활성을 나타낸 100 ㎍/mL의 톳 에탄올 추출물은 양성 대조군인 arbutin 및 koji acid의 100 ㎍/mL 농도에서의 저해 활성보다 낮게 나타났지만, 10 ㎍/mL 농도에서의 활성보다는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4 : 세포내 tyrosinase 저해 활성 측정
상기 실시예 2에서 배양된 B16F10 세포(배지 2 mL)에 200 nM의 α-MSH (Sigma, USA)를 처리하고 농도별로 희석한 톳 추출물 10 uL를 첨가하여 48시간 배양하였다. 그 후 배지를 제거하고 PBS 2 ml로 2번 세척한 뒤, 다시 PBS 1 mL를 첨가하여 세포를 긁어내어 4℃, 1,700 xg에서 5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세포 침전물에 lysis buffer (50 mM sodium phosphate (pH 6.8) buffer, 1% Triton X-100, 0.1 mM PMSF) 55 uL를 첨가하여 세포를 용해시킨 후, 얼음에 30분간 방치한 뒤 4℃, 1,700 xg에서 5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회수하였다. 상층액 50 uL에 50 mM sodium phosphate (pH 6.8) buffer 125 uL와 기질용액인 50 mM L-DOPA (Sigma, USA) 25 uL를 넣고 37℃에서 1시간 반응시킨 후, 47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톳 에탄올 추출물은 100 ㎍/mL의 농도에서 음성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40%의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10 ㎍/mL의 농도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20%의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톳의 메탄올, 헥산, 부탄올 및 수층 분획물 전부 100 ㎍/mL의 농도에서 음성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각 18%, 22%, 20% 및 23%의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가장 높은 저해 활성을 나타낸 톳 에탄올 추출물은 10 ㎍/mL의 농도에서 양성 대조군인 arbutin 및 kojic acid의 10 ㎍/mL 농도에서의 활성보다 낮은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지만, 100 ㎍/mL의 농도에서는 arbutin의 10 ㎍/mL 농도에서의 활성보다 높은 저해 활성을 보여주었다.
피부는 자외선에 노출되면 tyrosine에서 출발하여 일련의 산화 중합 반응을 거쳐 생성된 melanin에 의해 기미, 노인성 홍반 등을 유발하며 피부노화가 촉진된다. 이 과정에서 중요하게 작용하는 효소가 tyrosinase이며, tyrosinase 효소의 활성 억제로 멜라닌 생합성을 억제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톳 에탄올 추출물 및 수층 분획물은 tyrosinase 활성을 억제시킴으로서 피부 색소 침착을 방어하는 미백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5 : DPPH 자유 라디칼 소거능 측정
피부는 외부 환경에 노출되어 있는 신체 기관으로서 자외선에 의한 영향을 직접 받는다. 자외선은 피부에 활성산소종을 유발시키고 그 결과 피부세포의 손상 및 색소 침착을 증가시키게 되며 이는 직접적인 피부 노화로 이어진다.
톳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양성대조군인 BHT (butyl hydroxy toluen, Sigma, USA), gallic acid (Sigma, USA) 및 ascorbic acid (Sigma, USA)와 비교하여 DPPH의 수소 공여능을 측정하였다. 즉,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Sigma, USA)은 MeOH에 녹여 1.5×10-4 M/mL의 농도로 제조하였다. 농도별로 희석한 톳 추출물 50 μL와 DPPH 용액 200 μL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실온에서 30분간 방치한 후, 5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톳 추출물 중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낸 톳 에탄올 추출물은 5,000 ㎍/mL 농도에서 93%의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상기 에탄올 추출물을 동일 농도의 양성대조군 ascorbic acid 및 gallic acid의 라디칼 소거능과 비교시 유사한 활성을 나타내었지만, 500 ㎍/mL의 농도에서는 양성 대조군보다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톳 수층 및 부탄올 분획물의 5,000 ㎍/mL 농도에서는 유의적으로 90% 및 66%의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특히, 톳 수층 분획물은 5,000 ㎍/mL 농도에서는 동일 농도의 ascorbic acid 및 gallic acid와 유사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톳 에탄올 추출물 및 수층 분획물의 피부보호 효과가 기대되는 항산화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6 : In vitro iNOS 발현 검출시스템을 이용한 LPS 유도성 iNOS 발현저해 효과 검증
Nitric oxide (NO)는 다양한 생리적 기능에 관여하고 있으나, 과도한 NO의 생성은 세포 사멸을 유발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NO의 합성효소인 NOS (nitric oxide synthase)는 정상 생리적 조건에서 존재하는 constitutive형(cNOS)과 면역반응에 의해 일어나는 inducible형(iNOS)으로 나뉜다. 유도성 iNOS는 세포내 칼슘 농도와 외부에서 주입된 calmodulin의 자극과는 무관하게, 활성화된 다양한 세포에서 유도되어 병리생태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NOS의 과다 발현은 뇌출혈, 뇌성마비 및 뇌졸중 등의 뇌손상이나 알츠하이머병 및 파킨슨병과 같은 퇴행성 뇌 신경질환의 신경독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는 톳 추출물의 면역 활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양성대조군인 saponin (Sigma, USA)과 비교하여 LPS (lipopolysaccharide) 유도성 iNOS 발현저해 효과를 측정하였다. 즉, RAW264.7/pGL2-Neo-miNOS_pro11 세포(Kim, N.-Y., Jang, H., Lee, D.-G., Jang, M.-K., Lee, S. W., Jeon, M. J., Kim, M., Kim, S. G., and Lee, S.-H. 2011. Establishment of in vitro detection system for iNOS expression and verification of suppressive effect by pine needle extract. KSBB J. 26, 172-176)를 60 mm dish에서 24시간 배양한 뒤, 배지를 제거하고 PBS로 세정한 후 LPS(최종농도 1 ㎍/mL)를 첨가한 다음, 농도별로 희석한 톳 추출물 5 uL를 첨가하여 37℃, 5% CO2 세포 배양기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세포 추출물의 luciferase 활성 측정은 luciferase assay kit (Promega, WI, USA)을 사용하여 제조사의 방법에 따라 수행하였으며, TD-20/20 Luminometer (Turner Design, Sunnyvale CA,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모든 luciferase 활성측정 결과는 BCA protein assay reagent (Pierce, Rockford, IL, USA)를 사용하여 상기 측정한 세포 추출물의 단백질 함량으로 표준화하였다.
실험결과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LPS만을 처리하여 iNOS 발현을 유도시킨 대조군에 비해 톳 에탄올 추출물 500 ㎍/mL를 처리하였을 때 iNOS 발현이 82% 저해되어 표준물질인 saponin 50 ㎍/mL과 유사한 활성을 나타내었고, 50 ㎍/mL의 농도로 처리한 경우에는 42% 저해되어 saponin 0.5 ㎍/mL의 활성보다 높은 iNOS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톳 수층 분획물을 500 ㎍/mL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iNOS 발현이 80% 저해되어 동일 농도의 톳 에탄올 추출물 처리와 유사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한편, 톳 부탄올, 헥산 및 메탄올 분획물을 500 ㎍/mL 처리하였을 때 iNOS 발현이 70%, 62% 및 65% 저해되어 saponin 5 ㎍/mL 처리와 유사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반면, 톳 에탄올 추출물 및 분획물들을 최종농도 5 ㎍/mL 이하로 처리하였을 경우에는 LPS 유도성 iNOS 발현저해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즉, 최종농도 500∼50 ㎍/mL의 톳 에탄올 추출물 및 수층 분획물이 LPS 유도성 iNOS 발현을 효과적으로 저해함을 관찰하였다.
따라서, 톳 에탄올 추출물 및 수층 분획물은 안전한 피부 미백효과를 갖는 기능성 화장품소재로 이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미백효과를 갖는 해양천연물질 톳의 추출물을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제공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화장품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5)

  1. 톳(Hizikia fusiformis)의 에탄올 추출물을 다시 CH2Cl2/H2O(1:1) 혼합물로 추출한 후 수득한 수층을 부탄올로 다시 분획하여 수득한 것이 특징인 톳 추출물의 수층 분획물.
  2. 제 1항의 톳 추출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3. 삭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스킨, 로션, 크림, 에센스, 영양수, 화장수 및 팩 중 어느 하나의 제형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비누, 샴푸, 린스, 클렌징, 전신세정제, 세안제, 트리트먼트 및 미용액 중 어느 하나의 제품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20076458A 2012-07-13 2012-07-13 톳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755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6458A KR101475505B1 (ko) 2012-07-13 2012-07-13 톳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6458A KR101475505B1 (ko) 2012-07-13 2012-07-13 톳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0543A KR20140010543A (ko) 2014-01-27
KR101475505B1 true KR101475505B1 (ko) 2014-12-24

Family

ID=50143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6458A KR101475505B1 (ko) 2012-07-13 2012-07-13 톳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55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4945B1 (ko) * 2015-04-22 2017-01-23 강릉원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톳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KR102225351B1 (ko) 2018-10-24 2021-03-09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지충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장 건강 개선용 조성물
KR20200095087A (ko) 2019-01-31 2020-08-10 (주)아모레퍼시픽 톳 효소 추출물 또는 그의 다당류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88169B1 (ko) 2020-05-13 2020-12-08 주식회사 파우(Fau) 저분자화된 톳 추출물과 알로에 베라 잎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미백, 주름개선,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480488B1 (ko) 2021-01-11 2022-12-23 (주)맘씨생활건강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5557A (ko) * 2008-07-07 2010-01-15 재단법인 제주하이테크산업진흥원 비짜루국화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상태개선용 조성물
KR20120058720A (ko) * 2010-11-30 2012-06-08 (주)아모레퍼시픽 다량의 용존산소를 포함한 해조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안색 개선용 또는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5557A (ko) * 2008-07-07 2010-01-15 재단법인 제주하이테크산업진흥원 비짜루국화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상태개선용 조성물
KR20120058720A (ko) * 2010-11-30 2012-06-08 (주)아모레퍼시픽 다량의 용존산소를 포함한 해조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안색 개선용 또는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0543A (ko) 2014-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1026670A1 (fr) Agents de soin de la peau, agents anti-ages pour la peau, agents de blanchiment de la peau et preparations pour la peau, a usage externe
KR101475505B1 (ko) 톳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108687A (ko) 천연 원료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19142829A1 (ja) プロテオグリカン及びこれを含む健康食品、健康飲料、医薬品組成物又は化粧料組成物の製造方法
KR102360585B1 (ko) 고농도의 페놀 화합물을 함유하는 알로에속 식물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항염 및/또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1885195B1 (ko) 목서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89257A (ko) 미선나무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활용한 스킨케어 제품 조성물
WO2008041460A1 (fr) Éliminateur d'oxygène actif, agent d'activation et promoteur de la production de collagène comprenant chacun du cacalol
KR20170130307A (ko) 천연 한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피부 노화 방지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837020B1 (ko) 무환자 열매로부터 고순도 사포닌을 분리하는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55580B1 (ko) 마테 추출물 및 트라넥삼산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US20090280197A1 (en) Cell activator, collagen production promoter, skin whitening agent, antioxidant agent, antiinflammatory agent, aromatase activity promoter, protease activity promoter, external preparation for skin, and food
KR102154927B1 (ko) 클로로겐산, 페룰산, 레스베라트롤 및 스트렙토코쿠스 테르모필루스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070021856A (ko) 캄페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조성물
KR101445642B1 (ko) 배롱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04026743A (ja) ポリリジン製剤およびこれ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KR101854766B1 (ko) 미백 효능을 갖는 트리히드록시 이소플라본 및 감초 추출물의 복합체
KR20180088173A (ko) 큰실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122671A (ko) 미백개선과 주름개선 효과를 갖는 배 캘러스와 유자 캘러스 소재
KR20130047040A (ko) 백굴채 추출물 및 트리히드록시 이소플라본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965250B1 (ko) 효소처리된 카카두플럼 추출물이 유효성분으로 함유된 항산화, 항염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추출물의 제조방법
JP6735225B2 (ja) 皮膚外用組成物及び経口組成物
KR101230588B1 (ko) 천연 비타민 및 식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1176525B1 (ko) 벌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25178B1 (ko) 주름제거 및 미백효과가 강화된 황칠나무 추출물 및 d-아스파라긴산 함유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