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8720A - 다량의 용존산소를 포함한 해조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안색 개선용 또는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다량의 용존산소를 포함한 해조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안색 개선용 또는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8720A
KR20120058720A KR1020100120130A KR20100120130A KR20120058720A KR 20120058720 A KR20120058720 A KR 20120058720A KR 1020100120130 A KR1020100120130 A KR 1020100120130A KR 20100120130 A KR20100120130 A KR 20100120130A KR 20120058720 A KR20120058720 A KR 201200587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seaweed
skin
oxyg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0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8055B1 (ko
Inventor
김미진
김영소
조준철
한상훈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00120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8055B1/ko
Publication of KR20120058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87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8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80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22Chlorophycota or Chlorophyta [green algae], e.g. Chlorell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안색 개선용 또는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녹조류, 홍조류, 갈조류 및 미세조류 등의 해조류 추출물에 용존산소를 최대한 용해시켜 제조한 해조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제조함으로써 피부 안색을 개선시키고 탄력을 증진시키는 피부 안색 개선 또는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량의 용존산소를 포함한 해조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안색 개선용 또는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tone or elasticity containing seaweed extracts dissolved a large amount of oxngen}
본 발명은 피부 안색 개선용 또는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녹조류, 홍조류, 갈조류 및 미세조류 등의 해조류 추출물에 용존산소를 최대한 용해시켜 제조한 해조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제조함으로써 피부 안색을 개선시키고 탄력을 증진시키는 피부 안색 개선 또는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호흡 중 피부를 통한 호흡은 전체 호흡량의 0.6?1% 정도에 불과하지만 피부호흡을 통한 산소는 전량 피부세포에서 사용된다. 또한 피부호흡을 통해 피부의 열 발산이나 독소 배출 등의 매우 중요한 활동들이 이루어진다. 하지만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체내 산소의 분압이 현저히 감소하게 되고, 따라서 피부세포의 활성도 및 재생력이 저하되어 색소침착 및 피부노화를 발생하는 주범이 된다.
산소수는 물에 녹아있는 용존산소를 과포화 농도까지 용해시켜 일반적인 물보다 용존산소가 높게 함유되어 있는 물이다. 이러한 고농도의 산소가 함유된 산소수를 피부 위에 직접적으로 공급하여 피부세포의 호흡을 촉진하고 세포를 활성화시킴으로써 보습력 유지와 노화를 지연시키며, 피부 턴오버를 촉진시켜줌으로써 피부에서 생성된 멜라닌의 배출을 촉진시켜 미백효과를 나타낸다고 보고되었다.
해조류는 엽록소를 지녀 물 속에서 광합성을 하는 식물로, 바다 속에서 산소를 만들어내는 원천으로 고염도, 고압 또는 태양열 등과 같은 바다의 극한환경에서 생존할 수 있도록 적응되어 왔다. 해조류는 비타민, 미네랄 및 섬유소 등 다양한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여러 추출방법을 이용하여 건강 개선 식품이나 의약품 등으로도 이용되고 있으며, 미백 또는 노화방지 등의 효과를 나타내어 화장료 원료로도 다양하게 응용되고 있다. 해조류는 단세포 생물체로부터 길이가 100 미터를 넘는 켈프 해조까지 다양하게 존재하며 색에 따라 녹조류, 갈조류 및 홍조류 등으로 분류된다. 그 중 미세조류의 일종인 클로렐라와 스피룰리나는 각종 영양소와 미네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고 독소와 중금속을 제거해주기 때문에 건강 식품의 원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고, 자극완화, 아토피 예방, 항산화, 주름개선, 항여드름 및 미백 등의 효능을 나타내므로 화장품의 원료로도 다양하게 응용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해조류 추출물의 효능을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해조류추출물의 용존산소량을 증대시켜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할 경우 피부의 안색 개선과 탄력 증진 효과가 증가하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 안색 개선용 또는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용존산소량이 15?200 ppm인 해조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용존산소량을 증대시킨 해조류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피부 호흡에 도움을 주어 해조류 추출물의 효과를 극대화시킴으로써 우수한 피부 안색 개선 및 탄력 증진 효과를 제공하였다.
본 발명은 용존산소량을 증대시킨 해조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안색 개선용 및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해조류는 파래, 청각, 매생이, 염주말, 해캄 및 반달말 등의 녹조류; 우뭇가사리, 김, 꼬시래기, 까막살, 서실 및 덜스(dulse) 등의 홍조류; 호스테일켈프, 미역, 다시마, 감태, 모자반, 톳, 곰피, 부채말 및 지충이 등의 갈조류; 및 클로렐라, 스피룰리나, 두날리엘라 살리나, 남색말 및 클라미도모나스 등의 미세조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미세조류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해조류는 자연산이거나 재배된 것일 수 있다. 공업적 화장료 응용을 위해서는 재배된 해조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재배를 통해 수산양식이 확대되고 바다 환경 조건이 변화함에 따라 그 공급이 제한되는 위험이 감소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해조류 추출물은 상기 해조류를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추출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시판되는 해조류 추출물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추출용매로는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클로로포름 등의 유기용매, 물 또는 물과 유기용매의 혼합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추출온도는 10?80℃가 바람직하며, 6?24시간 동안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추출온도 및 추출시간을 벗어나면 추출 효율이 떨어지거나 성분의 변화가 생길 수 있다. 임의의 주어진 추출 공정에 사용된 해조류의 양은 사용된 방법 및 비용에 따라 변할 것이지만,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50 중량%의 범위이다.
본 발명에서는 해조류 추출물의 효능을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추출물 내의 용존산소량을 15 내지 200 ppm의 범위로 포집시킨 해조류 추출물을 제공한다. 이는 일반적인 해조류 추출물보다 1.5배 이상 높은 산소 농도를 갖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해조류 추출물 내의 용존산소량을 증대시키는 방법으로는, 에어스톤 등의 산소주입기를 사용하여 해조류 추출물에 초고순도 산소를 1?10 kg/㎠ 압력으로 10?120 분간 1?10 회 반복하여 주입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해조류 추출물에 함유되어 있는 산소는 피부 호흡을 돕는 역할을 하며, 피부에 직접 산소를 제공함으로써 산소 결핍으로 인해 피부의 신진대사가 저해되고 피부의 턴오버가 억제되는 현상을 개선시켜 준다. 따라서, 피부세포의 턴오버를 촉진시킴으로써 멜라닌이 원활히 배출되어 피부톤이 개선되며, 산소가 외부 환경에 지친 피부를 재생시켜주어 탄력 있고 건강한 피부로 회복시켜 준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용존산소량을 증대시킨 해조류 추출물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30 중량%로 함유한다. 그 함량이 0.0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본 발명이 목적하고자 하는 충분한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3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서는 비용의 부담이 발생한다. 또한 조성물의 온도가 높을 시에는 추출물 내의 용존산소가 감소할 수 있으므로, 상온 이하의 온도에서 해조류 추출물을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며, 예를 들면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에센스,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팩, 젤 또는 피부 점착타입 화장료의 제형화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제형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들 제형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 제형예 및 시험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주지된 변형, 치환 및 삽입 등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것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실시예 1] 용존산소량을 증대시킨 참홑파래 추출물 제조
참홑파래 추출물(녹조류, Biotech Marine) 20 kg에 에어스톤을 이용하여 초고순도 산소를 1 kg/㎠의 압력으로 20분간 1차 주입하였다. 냉각수를 이용하여 15℃로 냉각 후 초고순도 산소를 2 kg/㎠의 압력으로 10분간 2차 주입하고, 15℃로 냉각한 다음 초고순도 산소를 3 kg/㎠의 압력으로 10분간 3차 주입한 후 밀봉하여 용존산소를 증대시킨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용존산소 측정기(HI964400, HANNA instrument, ITALY)로 상기 추출물의 산소 용해 농도를 측정한 결과, 32 ppm의 농도로 산소가 용해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용존산소량을 증대시킨 덜스 추출물 제조
덜스 추출물(홍조류, BASF) 20 kg에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산소를 주입하여 최종 추출물의 용존산소 농도가 30 ppm인 덜스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용존산소량을 증대시킨 호스테일켈프 추출물 제조
호스테일켈프 추출물(갈조류, SECMA) 20 kg에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산소를 주입하여 최종 추출물의 용존산소 농도가 33 ppm인 호스테일켈프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용존산소량을 증대시킨 클로렐라 추출물 제조
클로렐라 추출물(녹조류, 미세조류; Codif) 20 kg에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산소를 주입하여 최종 추출물의 용존산소 농도가 32 ppm인 클로렐라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용존산소량을 증대시킨 스피룰리나 추출물 제조
스피룰리나 추출물(미세조류, Biotech Marine) 20 kg에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산소를 주입하여 최종 추출물의 용존산소 농도가 31 ppm인 스피룰리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형예 1?5 및 비교제형예 1?6] 해조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상기 실시예 1?5에서 제조한 해조류 추출물로 하기 표 1 및 표 2의 조성을 갖는 안색 개선용 및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을 하기 방법으로 제조하였다(단위: 중량%).
성분 제형예 1 제형예 2 제형예 3 제형예 4 제형예 5
수상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글리세린 3.0 3.0 3.0 3.0 3.0
부틸렌글리콜 2.0 2.0 2.0 2.0 2.0
베타인 2.0 2.0 2.0 2.0 2.0
카보머 0.2 0.2 0.2 0.2 0.2
베타글루칸 5.0 5.0 5.0 5.0 5.0
포타슘하이드록사이드 0.08 0.08 0.08 0.08 0.08
가용화상 에탄올 5.0 5.0 5.0 5.0 5.0
가용화제 0.3 0.3 0.3 0.3 0.3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추출물상 실시예 1 5.0 - - - -
실시예 2 - 5.0 - - -
실시예 3 - - 5.0 - -
실시예 4 - - - 5.0 -
실시예 5 - - - - 5.0
성분 비교제형예 1 비교제형예 2 비교제형예 3 비교제형예 4 비교제형예 5 비교제형예 6
수상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글리세린 3.0 3.0 3.0 3.0 3.0 3.0
부틸렌글리콜 2.0 2.0 2.0 2.0 2.0 2.0
베타인 2.0 2.0 2.0 2.0 2.0 2.0
카보머 0.2 0.2 0.2 0.2 0.2 0.2
베타글루칸 5.0 5.0 5.0 5.0 5.0 5.0
포타슘하이드록사이드 0.08 0.08 0.08 0.08 0.08 0.08
가용화상 에탄올 5.0 5.0 5.0 5.0 5.0 5.0
가용화제 0.3 0.3 0.3 0.3 0.3 0.3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추출물상 참홑파래 추출물(Biotech Marine) - 5.0 - - - -
덜스 추출물(BASF) - - 5.0 - - -
호스테일켈프 추출물(SECMA) - - - 5.0 - -
클로렐라 추출물(Codif) - - - - 5.0 -
스피룰리나 추출물 (Biotech Marine) - - - - - 5.0
상온에서 투명하게 용해되어 점증된 수상에 가용화상을 넣어 균일하게 용해시킨 후, 해조류 추출물상을 투입하여 균일하게 용해하여 제형예 1?5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또한 비교제형예 1은 해조류 추출물상을 투입하지 않고 제조하였으며, 비교제형예 2?6은 용존산소량을 증대시키지 않은 원래의 해조류 추출물을 각각 투입하여 제조하였다.
[시험예 1] 안색 개선 평가
상기 제형예 1?5 및 비교제형예 1?6에서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이 피부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20?40대의 건강한 여성 77명을 대상으로 7명씩 11개군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각 군에 제형예 1?5 및 비교제형예 1?6의 제형을 주고 안면 전체에 고르게 하루 2회씩 4주간 도포하게 한 후, 4주 후 크로마미터(Minolta CM-3500d)를 이용하여 색의 밝기변화(ΔL)를 측정하여 피부톤 개선 정도를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에 기재된 수치는 각 군의 평균치이다.
시험물질 피부톤 개선 정도(ΔL)
제형예 1 3.7
제형예 2 4.2
제형예 3 3.2
제형예 4 5.9
제형예 5 4.9
비교제형예 1 1.5
비교제형예 2 1.8
비교제형예 3 2.0
비교제형예 4 1.9
비교제형예 5 2.2
비교제형예 6 2.3
상기 표 3의 결과에서, 해조류 추출물이 들어있지 않은 비교제형예 1이 가장 낮은 효과를 보였고, 산소를 투입하지 않은 해조류 추출물이 들어간 비교제형예 2?6은 비교제형예 1 보다는 우수하였으나, 제형예 1?5 보다는 낮은 수준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한편, 용존산소량을 증대시킨 해조류 추출물을 함유한 제형예 1?5는 비교제형예 1?6 대비 높은 안색 개선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미세조류 추출물을 함유한 제형예 4 및 5가 가장 우수한 효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2] 피부 탄력 증진 효능 평가
상기 제형예 1?5 및 비교제형예 1?6의 피부 탄력회복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30?40대 여성 55명을 대상으로 5명을 1개군으로 하여 11개 군으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각 군에 제형예 1?5 및 비교제형예 1?6의 제형을 주고 안면 전체에 고르게 하루 2회씩 4주간 도포하게 한 후, 4주 후 피부탄력을 측정할 수 있는 큐토미터(cutometer; SEM474, Courage+Khazaka electronic GmbH. Germany)를 이용하여 얼굴 부위의 탄력을 측정하여 도포하기 전과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시험물질 피부 탄력 개선도(%)
제형예 1 72
제형예 2 71
제형예 3 68
제형예 4 79
제형예 5 81
비교제형예 1 43
비교제형예 2 45
비교제형예 3 48
비교제형예 4 46
비교제형예 5 53
비교제형예 6 51
상기 표 4의 결과에서, 제형예 1?5의 피부 탄력 개선 효과가 비교제형예 1?6 대비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미세조류 추출물을 함유한 제형예 4 및 5의 피부 탄력 개선 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Claims (4)

  1. 용존산소량이 15?200 ppm인 해조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산소주입기를 사용하여 초고순도 산소를 1?10 kg/㎠ 압력으로 10?120 분간 1?10 회 반복 주입하여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해조류는 파래, 청각, 매생이, 염주말, 해캄, 반달말, 우뭇가사리, 김, 꼬시래기, 까막살, 서실, 덜스(dulse), 호스테일켈프, 미역, 다시마, 감태, 모자반, 톳, 곰피, 부채말, 지충이, 클로렐라, 스피룰리나, 두날리엘라 살리나, 남색말 및 클라미도모나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안색 개선용 또는 탄력 증진용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00120130A 2010-11-30 2010-11-30 다량의 용존산소를 포함한 해조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안색 개선용 또는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980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0130A KR101798055B1 (ko) 2010-11-30 2010-11-30 다량의 용존산소를 포함한 해조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안색 개선용 또는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0130A KR101798055B1 (ko) 2010-11-30 2010-11-30 다량의 용존산소를 포함한 해조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안색 개선용 또는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8720A true KR20120058720A (ko) 2012-06-08
KR101798055B1 KR101798055B1 (ko) 2017-11-16

Family

ID=46610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0130A KR101798055B1 (ko) 2010-11-30 2010-11-30 다량의 용존산소를 포함한 해조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안색 개선용 또는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8055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5505B1 (ko) * 2012-07-13 2014-12-24 신라대학교 산학협력단 톳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76997A (ko) * 2013-12-27 2015-07-07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항산화, 항주름 및 미백 활성이 증진된 톳 추출물의 제조방법
CN104825373A (zh) * 2015-06-03 2015-08-12 刘沛溢 一种温和的植物提取物组合物在化妆品中的应用及其制备方法
FR3052070A1 (fr) * 2016-06-06 2017-12-08 Mirei Int Ltd Soin cutane oral d'origine naturelle protegeant contre les effets attaques exterieures et regenerant par l'activation de l'expression genique des facteurs de croissance epidermique (egf)
KR20180134730A (ko) * 2017-06-09 2018-12-19 김정희 튼살 예방 및 치료용 패치
CN109152724A (zh) * 2015-11-04 2019-01-04 Isp投资公司 掌状红皮藻和茉莉的协同提取物、包含该协同提取物的组合物及其用途
KR102070788B1 (ko) * 2018-11-01 2020-01-29 태봉바이오영농조합법인 냉해방지용 식물영양제, 그 제조방법 및 냉해방지용 식물영양제가 적용된 시스템
KR20200031288A (ko) * 2018-09-14 2020-03-24 (주)더원코스메틱 참풀가사리, 덜스, 바다 스파게티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항주름 및 항산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14602B1 (ko) * 2019-09-27 2021-02-09 신동혁 클렌징 워터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047689A (ko) * 2019-10-22 2021-04-30 주식회사 단정바이오 해조류 혼합물을 함유한 피부 보습, 진정, 항산화 및 항염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1657B1 (ko) 2020-01-22 2022-04-27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조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63340B1 (ko) 2022-12-08 2023-08-03 주식회사 바이오뷰텍 산소수를 겔 네트워크 구조에 안정화하여 장기 안정성을 높인 젤타입 산소수의 제조방법 및 상기 겔타입 산소수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76429A (ja) * 2004-12-22 2006-07-06 Stefany Keshohin Kk 化粧品とその製造方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5505B1 (ko) * 2012-07-13 2014-12-24 신라대학교 산학협력단 톳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76997A (ko) * 2013-12-27 2015-07-07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항산화, 항주름 및 미백 활성이 증진된 톳 추출물의 제조방법
CN104825373A (zh) * 2015-06-03 2015-08-12 刘沛溢 一种温和的植物提取物组合物在化妆品中的应用及其制备方法
CN109152724A (zh) * 2015-11-04 2019-01-04 Isp投资公司 掌状红皮藻和茉莉的协同提取物、包含该协同提取物的组合物及其用途
CN109152724B (zh) * 2015-11-04 2021-07-20 Isp投资公司 掌状红皮藻和茉莉的协同提取物、包含该协同提取物的组合物及其用途
FR3052070A1 (fr) * 2016-06-06 2017-12-08 Mirei Int Ltd Soin cutane oral d'origine naturelle protegeant contre les effets attaques exterieures et regenerant par l'activation de l'expression genique des facteurs de croissance epidermique (egf)
KR20180134730A (ko) * 2017-06-09 2018-12-19 김정희 튼살 예방 및 치료용 패치
KR20200031288A (ko) * 2018-09-14 2020-03-24 (주)더원코스메틱 참풀가사리, 덜스, 바다 스파게티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항주름 및 항산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70788B1 (ko) * 2018-11-01 2020-01-29 태봉바이오영농조합법인 냉해방지용 식물영양제, 그 제조방법 및 냉해방지용 식물영양제가 적용된 시스템
KR102214602B1 (ko) * 2019-09-27 2021-02-09 신동혁 클렌징 워터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047689A (ko) * 2019-10-22 2021-04-30 주식회사 단정바이오 해조류 혼합물을 함유한 피부 보습, 진정, 항산화 및 항염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8055B1 (ko) 2017-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58720A (ko) 다량의 용존산소를 포함한 해조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안색 개선용 또는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Joshi et al. Applications of algae in cosmetics: An overview
KR101972071B1 (ko) 피부톤 개선 또는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CN103462879A (zh) 具有滋润功效的银耳泥、面膜及其制备方法
CN1617702A (zh) 含有紫菜属的红藻提取物的产品及其保护细胞的应用
CN107456433B (zh) 一种深层补水制剂
CN107334685B (zh) 一种保湿提亮修颜霜
WO2017148180A1 (zh) 一种迷迭香保湿水及其制作方法
CN116003577B (zh) 一种用于皮肤舒缓修复的重组胶原蛋白及其应用
CN110731941A (zh) 一种有益菌护肤的化妆品
JP2008120761A (ja) フカヒレ抽出物、卵黄レシチン及び発酵熟成コラーゲン(lcp)から成る美容・健康食品及びその製造方法。
CN103800275A (zh) 一种美白抗衰老化妆品及其制备方法
CN104473841A (zh) 一种含有石斛的中药面膜
KR20200127731A (ko) 해양식물 추출혼합물을 포함하는 복합혼합물을 함유한 마스크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팩
CN104688638A (zh) 一种夜间补水美白的红石榴牛奶免洗睡眠面膜
AU2016408303A1 (en) A composition for skin and/or hair care and/or treatment
CN109276502A (zh) 储水面膜
JP7222503B2 (ja) 皮膚外用剤
CN105168032A (zh) 纯天然复合护手乳及其制备方法
CN101972223B (zh) 植物细胞驻颜素
CN106619422A (zh) 一种美白爽肤水
CN112370378A (zh) 一种美藤果御肌胶原蛋白原液类化妆品及其制备方法
CN113648231B (zh) 一种虾青素亮颜补水面膜液及其制备方法
CN105596285A (zh) 一种祛皱营养液
CN103356820A (zh) 一种葡萄籽油抗氧化胶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