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1265A - 주름개선용의 이데베논 및 이데베논을 포함하는 주름개선용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주름개선용의 이데베논 및 이데베논을 포함하는 주름개선용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1265A
KR20090001265A KR1020070065509A KR20070065509A KR20090001265A KR 20090001265 A KR20090001265 A KR 20090001265A KR 1020070065509 A KR1020070065509 A KR 1020070065509A KR 20070065509 A KR20070065509 A KR 20070065509A KR 20090001265 A KR20090001265 A KR 200900012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ebenone
wrinkle
skin
cosmetic composition
hydroxydec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5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태화
강세훈
한창규
정관영
한상근
이성종
김상준
이윤지
Original Assignee
한국콜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콜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콜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65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1265A/ko
Publication of KR20090001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12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5Ketones, e.g. benzophenone
    • A61K8/355Quin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8Enzyme modulators, e.g. Enzyme agonists
    • A61K2800/782Enzyme inhibitors; Enzyme antagonis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최근 들어 의약분야에서 각광받고 있는 항산화 및 항노화물질로서, 특히 퇴행성신경질환 및 이와 관련된 암치료에 각광받고 있는 이데베논(Idebenone)이라는 물질의 주름개선용도 및 이를 포함하는 주름개선용 화장품에 관한 것으로서, 이데베논의 가장 중요한 효능인 콜라겐 생합성 촉진, 콜라겐 분해효소 및 엘라스틴 분해효소의 활성억제에 효과적이어서 우수한 주름개선에 실질적인 효과를 갖는 화장료를 제공한다. 특히, 상기 주름개선용의 이데베논은 스킨로션, 밀크로션, 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팩, 마사지 및 패치 등의 다양한 기초 화장료 조성물에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 시 콜라겐 생성능력이 탁월하고, 단백질 분해효소 활성억제에도 높은 효과를 가져 진피층의 밀도를 증가시켜 주름을 개선해줄 뿐만 아니라, 피부안정성도 매우 우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데베논, 콜라겐 생합성, 콜라게네이즈, 엘라스테이즈, 저해율, 주름개선, 탄력

Description

주름개선용의 이데베논 및 이데베논을 포함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Idebenone for anti-wrinkle and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idebenone for anti-wrinkle}
도1은 본 발명에서 주름개선물질로 사용되는 이데베논의 세포독성을 나타내는 세포증식률의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에서 주름개선물질로 사용되는 이데베논의 콜라겐 생합성 능력을 양성대조군(positive control)인 레티노익산(Retinoic acid)과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에서 주름개선물질로 사용되는 이데베논의 콜라겐분해효소(collagenase, MMP-1)의 활성억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주름개선물질로 사용되는 이데베논의 엘라스틴분해효소(elastase)의 활성억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의 크림 화장료를 8주간 사용 후 피부 미세주름을 측정하는 장비인 피부노화측정기(skin visiometer)의 사진(A)과 주름부위의 모사판(replica)을 붙인 사진(B)과 모사판을 피부에서 떼어낸 사진(C)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의 크림 화장료를 8주간 실제 피부에 사용했을 때 모사판 영상분석 결과((A)는 4주차 측정결과, (B)는 8주차 측정결과)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의 크림 화장료를 8주간 실제 피부에 사용했을 때 고해상도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한 결과이다.
본 발명은 주름개선용의 이데베논 및 이데베논을 포함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 발명은 최근 들어 의약분야에서 각광받고 있는 항산화 및 항노화물질로서, 특히 퇴행성신경질환 및 이와 관련된 암치료에 각광받고 있는 이데베논(Idebenone)이라는 새로운 물질을 이용하여 주름개선용 화장품에 적용 시 가장 중요한 효능인 콜라겐 생합성 촉진, 콜라겐 분해효소 및 엘라스틴 분해효소의 활성억제에 효과적이어서 우수한 주름개선에 실질적인 효과를 갖는 주름개선용의 이데베논을 포함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아주 오래전부터 인류는 노화와 질병에 대한 지대한 관심을 가지고 이를 지연시키고, 문제를 해결하는데 최선을 다해왔으며, 특히 여성들의 피부에서 노화로 인해 나타나는 피부과산화로 인한 푸석거림, 피부탄력의 저하 및 미세한 잔주름의 발현은 여성들의 큰 고민거리로 문제 시 되어 왔다. 따라서 최근 화장품산업에서 많은 연구들이 피부노화에 대한 증상을 지연시키거나 개선하기 위해 수행되어져 왔다. 특히 이 피부노화과정 중, 가장 여성들에게 가장 심각한 스트레스로 대두되는 것이 바로 주름의 생성이다. 종래에 이 문제를 해결하기위해 화장품분야에서는 주름생성을 가속화하는 중요한 인자로 피부건조를 막기 위해 보습강화에 주력해왔으 나, 1990년대 초부터는 보습이외에 다른 의약적인 효과를 부여하여 피부노화를 방지하는 코스메슈티컬(cosmeceutical) 화장품을 개발하려는 노력이 계속되어 다양한 생리화학적 활성이 높은 성분들의 도입이 이루어졌다.
주름은 특정 방향으로의 근육운동과 이 운동의 장기적 누적에 의해 형성되고, 가속화되며, 이 밖에 노화, 환경적인 영향, 특히 자외선에의 노출 등의 다양한 인자들에 의해 더욱 촉진된다. 이를 방지하는데 효과적이라고 알려진 물질로는 레티노이드(retinoids), 알파하이드록시산(alpha hydroxy acids), 아데노신(adenosine), 토코페롤(tocopherols) 및 유비퀴논(ubiquinones) 등이 있고, 이들은 화장료에 적용되어 피부로 침투되어 아래와 같은 기작으로 형성된 주름을 완화하거나 주름의 생성을 막아준다.
1) 진피에서 섬유아세포(fibroblast)의 성장을 촉진한다.
2) 콜라겐과 엘라스틴과 같은 단백질들의 생합성을 증가시킨다.
3) 항산화효과를 부여하여 콜라게네이즈 및 엘라스테이즈의 발현을 억제시킨다.
이들 중 특히 콜라겐은 진피의 70%이상을 구성하는 교원 섬유단백질로서 이의 생성이 원활치 못하거나 자외선에 의해 유도된 콜라게네이즈에 의해 분해되거나 변형이 될 경우 특히 주름이 쉽게 형성된다. 또한 이 콜라겐과 더불어 피부의 탄력에 주로 관여하는 엘라스틴이라는 탄성섬유는 마치 고무와 같은 탄성을 지니고 있어, 작은 힘에도 쉽게 변형되고 다시 그 힘이 제거되면 쉽게 원래의 형태로 돌아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주름개선물질들이 주로 가지는 콜라 겐 및 엘라스틴 합성 촉진 뿐만 아니라, 이들의 분해효소 활성저해를 통해 생합성된 콜라겐과 엘라스틴을 보호해 주는 새로운 주름개선 소재에 대한 지속적인 요구가 있었다.
본 발명에서 주름개선 화장료들에 이용하고자 하는 주성분인 이데베논은 하기 화학식 1의 2,3-디메톡시-5-메틸-6-(10-히드록시데실)-1,4-벤조퀴논 (2,3-dimethoxy-5-methyl-6-(10-hydroxydecyl)-1,4-benzoquinone)(이하 달리 표기하지 않는 한 ‘이데베논’이라 함)으로, 분자량은 338.44이며, 유비퀴논(Ubiquinone)계로 항산화효과가 우수하며, 미토콘드리아(Mitochondria) 내 세포에너지인 ATP(Adenosinetriphosphate)의 생성에 관련된 ETC(Electron Transfer Chain)에 주로 관여하는 코엔자임 Q10의 유사체를 가지며, 주로 화학적인 합성방법으로 얻어져 정제된 물질이다.
Figure 112007047902395-PAT00001
본 발명에서 사용된 이데베논의 제약용 또는 화장품용으로의 응용에 대한 연구논문들을 살펴보면 신경정신생물학(Neuropsychobiology ; 1997년)에 “A controlled study of 2 doses of idebenone in the treatment of Alzheimer's disease", 뉴롤로지(Neurology ; 1996년)에 ”Idebenone improves cerebral mitochondrial oxidative metabolism in a patient with MELAs", 신경과학레터(Neuroscience letter ; 1993)에 “Oral administration of idebenone, a stimulator of NGF(신경성장인자) synthesis", 신경과학회지(Journal of Neuroscience ; 1989)에 ”Mitochondrial encephalomyopathy(MELAS), pathological study and successful therapy with coenzym Q10 and idebenone" 등을 비롯한 다수의 논문에 게재되어 주로 의약품에서 퇴행성 신경질환 및 노화로 비롯된 다양한 질병에 우수한 효능을 가지고 있다고 알려진 물질이다. 상기 언급한 이데베논은 먼저 코엔자임 큐10과 마찬가지로 미토콘드리아(Mitochondria) 내 세포에너지인 ATP(Adenosinetriphosphate)의 생성에 관련된 ETC(Electron Transfer Chain)에 관여하여 세포활성화에 효과가 있으며, 미토콘드리아에서 활성산소군(ROS, Reactive Oxygen Species)의 형성을 방지하여 피부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의학적으로는 신경성장인자(NGF, Nerve Growth Factor)를 촉진하여 노화로 인해 문제가 되는 퇴행성 신경질환인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혈관질환인 뇌혈관질환(Cerebrovascular disease) 및 간질환등에도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 사용된 이데베논은 상기 언급한 화장료에 적용 시 가능한 주름개선 기작에 대한 효과에 대한 규명이 미흡하여 이를 주름개선 기능성 화장품에 적용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주름개선화장료를 개발함에 있어 이데베논에 대한 주름개선기작에 대한 연구와 기술개발이 필요함을 절실히 느끼고, 상기 언급한 콜라겐 생합성 촉진, 콜라게네이즈 및 엘라스테이즈 저해효과 를 측정하는 것을 통해 이데베논을 화장료에 적용 시에 주름개선에 실질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다양한 조성물들을 제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실젤 인체적용실험을 통해 우수한 주름개선효과를 갖는 기능성 화장품을 개발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한 결과, 이데베논을 실질적으로 주름개선 화장료에 적용하기 위해 콜라겐 생합성 촉진 및 피부 진피층 내 주요 단백질 분해효소들의 활성저해에 유의성을 검토하고, 이를 유효함량 포함하는 기초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주름개선용의 하기 화학식 1의 2,3-디메톡시-5-메틸-6-(10-히드록시데실)-1,4-벤조퀴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7047902395-PAT00002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데베논을 포함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1의 이데베논의 유효량을 공지의 화장료 조성물에 혼합하여 이루어진다.
[화학식 1]
Figure 112007047902395-PAT00003
상기에서 이데베논의 유효량은 상기 공지의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0.8중량%의 양이 될 수 있다.
상기에서 이데베논의 유효량은 상기 공지의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5 내지 0.1중량%의 양이 될 수 있다.
상기 공지의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스킨), 유화상의 점성액(로션), 유화상의 크림, 에센스, 팩, 젤 상의 크림들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데베논은 코엔자임 큐10의 합성유도체로서, 코엔자임 큐10과 마찬가지로 세포에너지인 ATP(Adenosine triphosphate)의 생성에 관여하고 있으며, 특히 미토콘드리아(Mitochondria) 전자전이 사슬(ETC, Electron Transfer Chain)의 중요성분으로서 작용하며, 또한 피부에서 유해한 자유 라디칼(free radical)인 1O2(singlet oxygen)의 활성을 억제하여 세포의 손상을 막고, 지질과산화(Lipid peroxidation) 을 방지하여 세포막의 파괴를 방지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이데베논이 상기 언급한 효과 이외에, 지금까지 밝혀지지 않았던 인간의 섬유아세포(Fibroblast)에서 콜라겐 생합성을 증가시키고, 이 콜라겐 분해효소인 콜라게네이즈(Collagenase)의 활성을 저해하는 효과를 발견하였으며, 이에 따라 피부의 주름을 개선시키고 탄력을 증진시키는 데에도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밝혀내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른 것이다.
콜라겐은 진피층(Dermis)을 구성하는 성분 중 약 70%를 차지하고 있는 기질 단백질로서, 고분자량이면서 매우 견고한 3중나선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또한 이 3중나선구조는 특정한 가교결합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들 콜라겐은 기질단백질 중 피부의 탄력과 주름에 아주 중요한 임무를 담당하고 있으며, 특히 피부의 기계적인 강도, 조직 간의 결합력, 피부저항력 등의 중요한 기작에 관련되어져 있다. 하지만, 이 콜라겐은 자연적인 노화현상에 의해 지속적으로 그 양이 감소하며, 10대에서 20대까지는 바람직한 양을 가지고 있으나, 30대를 넘어서게 되는 서서히 감소하게 되고, 40대를 넘어서면 급격히 감소하여, 80세에 이르면 20대와 비교해서 약 60 내지 70%가 감소하게 된다. 이로 인해 진피층의 두께는 얇아지고, 얼굴 근육의 움직임 및 작용하는 다양한 스트레스에 대해 취약해짐으로써 주름이 생성되고, 피부는 탄력을 상실하게 된다. 또한 최근 공해로 인한 오존층의 파괴 및 여성들의 사회생활 증가로 점점 자외선에 노출되는 빈도와 기간이 늘어나면서, 이로 인해 발생되는 자유 라디칼에 의해 부족한 콜라겐 등의 단백질을 분해하는 효소의 생성을 촉진하면서 주름생성은 한층 더 빠른 속도로 진행되게 된다. 이에 따라 최근 피부노 화, 특히 주름생성 및 피부탄력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져 왔으며, 이의 결과로서 피부 내에서 콜라겐 생합성이 증가하고, 동시에 이의 분해효소인 콜라게네이즈의 활성이 억제된다면 진피의 중요한 기질성분이 증가하고, 생성된 이 기질성분이 보호되면서 주름개선 및 탄력증진에 효과가 있음을 예측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이데베논이 진피 내 섬유아세포(Fibroblast)에서 콜라겐 생합성을 증가시키고, 이 콜라겐 분해효소인 콜라게네이즈(Collagenase)의 활성을 저해하는 효과가 우수한 물질임을 확인하였고, 이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여 피부주름개선에 매우 우수한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이데베논은 화장품 원료로서 모든 기초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이 가능하며, 예를들면 화장수(스킨), 유화상의 점성액(로션), 유화상의 크림, 에센스, 팩, 젤 상의 크림 등에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주름개선화장료 조성물은 이데베논을 0.001 내지 0.8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데베논이 상기 공지의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중량%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한 이데베논의 피부주름개선 효과가 충분치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반대로 0.8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지나친 활성으로 피부에 자극을 초래거하거나 이데베논의 용해성이 나빠져 석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주름개선화장료 조성물은 이데베논을 0.05 내지 0.1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들이 기술되어질 것이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국한시키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 실시예 ]
이하의 실시예들에서는 2,3-디메톡시-5-메틸-6-(10-하이드록시데실)-1,4-벤조퀴논(이데베논)으로서 중국의 팔링 팜 테크놀로지(Parling pharm technology)에서 판매되고 있는 것을 사용하였으나, 상용화된 것이면 어떤 제조사에 의해 공급되는 2,3-디메톡시-5-메틸-6-(10-하이드록시데실)-1,4-벤조퀴논(이데베논)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하기에 구체적인 실시예들의 처방예 및 임상실험에서 대조군으로 사용하기 위한 비교예를 기술하기로 한다.
실시예 1
2,3-디메톡시-5-메틸-6-(10-하이드록시데실)-1,4-벤조퀴논(이데베논)을 함유한 화장료 중 화장수(스킨)의 처방예는 하기 표 1과 같다.
성분 함량(중량%)
2,3-디메톡시-5-메틸-6-(10-하이드록시데실)-1,4-벤조퀴논 0.03
글리세린 6.00
폴리소르베이트 20 0.30
에탄올 5.00
베타인 2.00
정제수 잔량
실시예 2
2,3-디메톡시-5-메틸-6-(10-하이드록시데실)-1,4-벤조퀴논(이데베논)을 함유한 화장료 중 유화상의 점성액(로션)의 처방예는 하기 표 2와 같다.
성분 함량(중량%)
2,3-디메톡시-5-메틸-6-(10-하이드록시데실)-1,4-벤조퀴논 0.08
글리세린 3.00
폴리소르베이트 60 1.50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0.6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 0.50
스쿠알란 5.00
2-옥틸도데실미리스테이트 3.00
카보머 0.05
트리에탄올아민 0.05
정제수 잔량
실시예 3
2,3-디메톡시-5-메틸-6-(10-하이드록시데실)-1,4-벤조퀴논(이데베논)을 함유한 화장료 중 유화상 크림의 처방예는 하기 표 3과 같다.
성분 함량(중량%)
2,3-디메톡시-5-메틸-6-(10-하이드록시데실)-1,4-벤조퀴논 0.15
글리세린 7.0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 2.00
폴리소르베이트 60 2.00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0.80
이소헥사데칸 3.00
스쿠알란 8.00
호호바오일 4.00
디메칠폴리실록산 2.00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50
카보머 0.20
트리에탄올아민 0.20
소듐히아루로네이트 0.05
정제수 잔량
실시예 4
2,3-디메톡시-5-메틸-6-(10-하이드록시데실)-1,4-벤조퀴논(이데베논)을 함유한 화장료 중 에센스의 처방예는 하기 표 4와 같다.
성분 함량(중량%)
2,3-디메톡시-5-메틸-6-(10-하이드록시데실)-1,4-벤조퀴논 0.45
D-판테놀 5.00
레시친 2.3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 0.50
식물성 스쿠알란 5.00
디카프릴카보네이트 2.00
살구씨오일 2.00
싸이클로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4.00
알로에베라젤 2.00
소듐히아루로네이트 0.05
베타인 3.00
마치현추출물 2.00
콜레스테롤 0.20
정제수 잔량
실시예 5
2,3-디메톡시-5-메틸-6-(10-하이드록시데실)-1,4-벤조퀴논(이데베논)을 함유한 화장료 중 팩의 처방예는 하기 표 5와 같다.
성분 함량(중량%)
2,3-디메톡시-5-메틸-6-(10-하이드록시데실)-1,4-벤조퀴논 0.1
벤토나이트 4.00
카올린 20.0
실리카 2.0
글리세린 5.00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즈 0.3
알로에베라젤 3.00
자몽껍질추출물 0.5
소듐히아루로네이트 0.02
베타인 3.00
정제수 잔량
실시예 6
2,3-디메톡시-5-메틸-6-(10-하이드록시데실)-1,4-벤조퀴논(이데베논)을 함유한 화장료 중 젤상 크림의 처방예는 하기 표 6과 같다.
성분 함량(중량%)
2,3-디메톡시-5-메틸-6-(10-하이드록시데실)-1,4-벤조퀴논 0.20
1,3-부틸렌글라이콜 4.00
카보머 0.30
글리세릴폴리메타크릴레이트/프로필렌글라이콜 2.00
피이지-10 디메치콘 0.30
싸이크로메치콘 2.00
포타슘하이드록사이드 0.20
에탄올 6.00
피이지-4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0.5
소듐히아루로네이트 0.05
베타인 1.00
마치현추출물 1.00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0.20
정제수 잔량
하기 실험예 1 내지 3은 2,3-디메톡시-5-메틸-6-(10-하이드록시데실)-1,4-벤조퀴논(이데베논)의 효능 및 효과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실험예 1 : 이데베논의 세포독성 시험(세포증식률 시험)
본 발명에 사용된 2,3-디메톡시-5-메틸-6-(10-하이드록시데실)-1,4-벤조퀴논(이데베논)에 대한 세포독성을 시험하기위해 인간의 섬유아세포 배양을 이용하여 세포증식률을 시험하였으며, 이를 측정하기 위해서 엠티티(MTT ;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bromide) 분석을 이용하였다. 엠티티는 담황색의 기질로서 살아있는 세포의 미토콘드리아 내의 호흡쇄효소에 의해 개열하고 암청색의 포르마잔(formazan)을 생성하며, 이는 죽은 세포에서는 반응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이 포르마잔의 생성량을 측정하면 살아있는 세포의 수의 측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이데베논의 세포독성을 시험하였다.
먼저 인간의 섬유아세포를 적합한 배지에서 37℃, 5% 이산화탄소 조건 하에서 배양하였다. 이후 시험을 위해 일정한 수의 세포를 다른 배양용기에 분주하고 일정시간 배양하여 세포의 부착을 확인한 후, 세포배양액에 시료 샘플을 농도별로 가하여 배양시킨 후, 엠티티 분석을 하여 측정하였다. 도 1에 이데베논의 농도별로 시험한 세포증식효과에 대한 결과를 도식화하였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엠티티 분석을 한 결과,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해서 1 내지 50ppm까지 95%이상의 세포증식률을 보여 세포독성이 없는 매우 안전한 원료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 콜라겐 생합성 효과 시험
본 발명에 사용된 2,3-디메톡시-5-메틸-6-(10-하이드록시데실)-1,4-벤조퀴논(이데베논)의 피부주름개선제로서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양성 대조물질로서 레티노익산(Retinoic acid)을 이용하여 사람의 섬유아세포(Human fibroblast)에서 콜라겐 생합성 효과를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비교 실험하였다.
먼저, 사람의 섬유아세포를 6개의 웰(well)을 가진 플레이트에 일정수의 세포를 심은 후 24시간동안 배양하였다. 이 배양액을 무혈청(serum-free) 배양액으로 16시간동안 배양하고, 우태혈청(FBS ; Fetal bovine serum)가 0.05% 들어있는 각각의 웰에 시험물질을 농도별로 처리한 후, 48시간 동안 다시 배양하였다. 48시간 경과 후, 세포배지를 수집하여, 각 샘플 100㎕를 항체로 코팅된 플레이트의 각 웰에 넣고, 37℃에서 2시간동안 배양하였다. 각 웰을 인산염완충용액(PBS ; Phosphate buffer solution) 400㎕로 세척하고, 용액 I(Anti-body-Peroxidase conjugate solution)을 각 웰에 100㎕씩 넣고, 37℃에서 1시간동안 배양하고, 각 웰을 다시 PBS 400㎕로 세척하였다. 여기에 기질용액(TMBZ, 3, 3', 5, 5'-Tetramethyl benzidine) 100㎕를 각 웰에 첨가한 후, 상온에서 15분간 배양하였다. 그리고 1N 황산 100㎕를 각 웰에 첨가하여 잘 섞은 후, 450㎚에서 엘리사 판독기(ELISA reader, ELISA (효소결합 면역분석법 ; enzyme-linked immunosorbant assay)로 검출하여 분석하였다. 상기의 방법으로 양성대조군인 레티노익산과 비교하여 얻어진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서 음성대조군(negative control)은 주름개선물질이 첨가되지 않았을 때, 콜라겐 생성량을 100%로 기준하고 시험물질인 이데베논과 양성대조군인 레티노익산에 대해 상대적인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사용된 레티노익산은 5ppm의 농도에서 21%의 증가효과를 나타내었다. 반면에 2,3-디메톡시-5-메틸-6-(10-하이드록시데실)-1,4-벤조퀴논(이데베논)은 5ppm에서는 30.5%, 10ppm에서는 최고 38.9%의 증가효과를 보여서, 이데베논이 양성대조군인 레티노익산보다 더 콜라겐 생합성을 촉진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 콜라게네이즈 ( collagenase ) 활성억제 시험
본 발명에 사용된 2,3-디메톡시-5-메틸-6-(10-하이드록시데실)-1,4-벤조퀴논(이데베논)의 피부주름개선제로서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콜라겐을 분해하여 주름생성을 촉진시키는 콜라게네이즈의 활성억제 효과를 시험하였다. 콜라게네이즈 활성 억제정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는 콜라게네이즈의 항체를 이용하였고, 본 시험에서는 I형 콜라게네이즈 분석 키트(type I collagenase assay kit)를 이용하여 엘리사법(ELISA)으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하기의 방법으로 시험하였다.
먼저 인간의 섬유아세포를 적합한 배지에서 37℃, 5% 이산화탄소 조건 하에서 배양하였다. 이후 시험을 위해 일정한 수의 세포를 다른 배양용기에 분주하고 일정시간 배양하여 세포의 부착을 확인한 후, 무혈청 배양액에서 16시간 배양하였다. 세포 배양액에 이데베논의 농도를 달리하여 1ppm, 5ppm, 10ppm과 콜라게네이즈를 활성화시키는 물질로 종양괴사인자-α(TNF-alpha ; tumor necrosis factor)를 가하여 24시간동안 배양하였다. 세포배지를 수집하여 100㎕를 분석 웰에 넣고, 각각의 웰에 검출시약으로 효소를 첨가하여 37℃에서 90분간 배양 후, 엘리사 판독기를 이용하여 450㎚에서 측정하였다. 도 3에서 음성대조군으로 주름개선 원료가 첨가되지 않았을 때와 비교하여, 이데베논의 농도증가에 따른 콜라게네이즈 억제효율(%)을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데베논의 농도가 1ppm, 5ppm, 10ppm으로 증가할수록 콜라게네이즈의 양은 10ppm에서 최고로 48.5%의 높은 콜라게네이즈 억제효과를 보여서, 이데베논이 콜라게네이즈의 활성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 엘라스타아제( elastase ) 활성억제 시험
본 발명에 사용된 2,3-디메톡시-5-메틸-6-(10-하이드록시데실)-1,4-벤조퀴논(이데베논)의 피부주름 개선제로서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진피조직의 유연성에 관여하는 엘라스틴(elastin)을 분해하여 주름생성을 촉진시키는 엘라스타아제의 활성억제 효과를 시험하였으며, 하기의 방법으로 시험하였다.
먼저 10㎕의 엘라스타아제와 0.2 M의 트리스(Tris-Cl(pH 8.0))를 포함하는 혼합물에 이데베논을 1ppm, 5ppm, 10ppm을 포함시켜 반응혼합물을 만들고, 25℃에서 10분간 배양하였다. 그리고 125mM의 N-석시닐-L-알라닐-L-알라닌엘-P-니트로아닐리드(N-succinyl-L-alanyl-L-alanyl-L-alaninel-P-nitroanilide ; SANA ; Suc-(Ala)3-NA)) 20㎕를 첨가한 후, 41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도 4에서 음성대조군으로 주름개선 원료가 첨가되지 않았을 때와 비교하여, 이데베논의 농도증가에따른 엘라스타아제 억제효율(%)을 나타내었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데베논의 농도가 1ppm, 5ppm, 10ppm으로 증가해도 엘라스타아제의 양은 농도증가에 대해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으며, 거의 억제효율을 보이지 않았다.
본 발명의 피부탄력개선에 대한 인체시험을 이용한 피부개선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37 내지 53세 여성 24명을 대상으로 측정하였다. 측정에 적용된 시료는 실시예 3 및 하기의 비교예 1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비교예 1
레티놀을 함유한 화장료 중 크림의 처방예는 하기 표 7과 같다.
성분 함량(중량%)
레티놀 0.175(레티놀함량으로 2500IU)
글리세린 7.0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 2.00
폴리소르베이트 60 2.00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0.80
이소헥사데칸 3.00
스쿠알란 8.00
호호바오일 4.00
디메칠폴리실록산 2.00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50
카보머 0.20
트리에탄올아민 0.20
소듐히아루로네이트 0.05
미량
방부제 미량
정제수 잔량
실험예 5 : 피부탄력개선 및 피부자극에 대한 인체시험
피험자들에게 본 발명에 사용된 2,3-디메톡시-5-메틸-6-(10-하이드록시데실)-1,4-벤조퀴논(이데베논)을 포함한 실시예 3 및 레티놀을 함유한 비교예 1을 나누어주고 매일 2회씩 8주간 도포하게 한 후, 피부탄력도를 큐토미터(Cutometer SEM 474, Courage + Khazaka electronic GmbH, 독일국)를 이용하여 얼굴피부의 탄력을 측정하여 사용전과 비교하였다. 본 장비는 약 450mbar의 압력으로 피부를 당겼다가 놓았다가 하면서 최고점과 최저점의 비로 피부의 탄력을 나타내는 원리로 작동되며, 피부탄력개선에 미치는 효과를 표 8에 표시하였고, 표 8에 나타낸 피부탄력 개선율(%) 수치는 도포전 큐토미터 수치대비 8주간 도포 후 큐토미터 수치의 비율로서 피험자 중에서 상위 10%와 하위 10%를 제외한 20명의 피험자의 평균값이다. 또한 피부자극도는 피험자의 관능으로 판단하였으며 1 내지 5점까지로 1점에 가까울수록 피부자극이 낮고, 5점에 가까울수록 피부자극이 높음을 의미한다.
피부탄력 개선율(%) 피부자극도
실시예 3 63% 1.36
비교예 1 48% 2.68
상기 표 8에 나타난 결과를 보면, 2,3-디메톡시-5-메틸-6-(10-하이드록시데실)-1,4-벤조퀴논(이데베논)을 포함한 실시예 3 및 레티놀을 함유한 비교예 1을 비교해보면, 피부탄력 개선율 면에서 실시예 3이 더 우수한 결과를 나타냈고, 뿐만 아니라 피부자극도에서도 실시예 3이 더 자극이 적게 나타나서 피부에 자극이 없이 피부탄력을 개선해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6 : 피부주름개선에 대한 임상시험
본 발명의 피부탄력개선에 대한 임상시험을 이용한 피부개선효과를 시험하기위해 37 내지 53세 여성 24명을 대상으로 2,3-디메톡시-5-메틸-6-(10-하이드록시데실)-1,4-벤조퀴논(이데베논)을 포함한 실시예 3을 매일 아침, 저녁 세안 후 2회에 걸쳐 8주간 도포하게 한 후 주름개선효과를 측정하였다. 주름개선효과는 사용전과 4주, 8주에 걸쳐서 사용후 눈꼬리 부분의 주름에 대해 실리콘 재질로 된 모사판(replica)을 만들어서 미세주름측정기(Skin visiometer SV 600, Courage + Khazaka electronic GmbH, 독일국)를 이용하여 영상분석을 하였다. 모든 데이터는 t-test를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여 p < 0.05이하에서 유의할 경우에 효과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마지막으로 고선명 디지털카메라로 촬영하여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6에 모사판 영상분석을 통해 얻어진 측정부위 주름깊이, 넓이 등의 주름에 관련된 지표인 R값에 대해 사용전과 4주 및 8주 사용 후의 R값의 평균차이(△R)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3의 크림을 4주간 도포한 후 △R은 사용전에 비해 증가하여 주름이 완화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4주를 더 도포하여 8주후에 △R은 4주차보다 더 증가하여 주름이 훨씬 더 완화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 모든 데이터는 p = 0.045로서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수치였다.
도 7에 고선명 디지털카메라로 촬영하여 얻어진 사용전과 8주 사용 후의 주름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사진을 나타내었다.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3의 크림을 8주간 도포하였을 때, 사용전보다 사진으로 판별될 정도로 눈꼬리 부분의 주름이 희미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콜라겐합성을 촉진하고, 콜라겐분해효소의 활성을 저해하는데 효과가 우수한 이데베논을 함유하여 피부주름 개선효과가 탁월하고, 탄력개선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레티놀과 비교시에도 탄력증진효과가 우수하며, 동시에 자극이 덜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우수한 주름개선효과등과 안전성은 앞서 기술한 실시예를 통해 충분히 입증이 가능하였고, 구체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5)

  1. 주름개선용의 하기 화학식 1의 2,3-디메톡시-5-메틸-6-(10-히드록시데실)-1,4-벤조퀴논.
    [화학식 1]
    Figure 112007047902395-PAT00004
  2. 하기 화학식 1의 이데베논의 유효량을 공지의 화장료 조성물에 혼합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데베논을 포함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7047902395-PAT00005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데베논의 유효량이 상기 공지의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0.8중량% 이내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데베논을 포함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데베논의 유효량은 상기 공지의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5 내지 0.1중량% 이내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데베논을 포함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5. 제 2 항 내지 제 4 항들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지의 화장료 조성물이 화장수(스킨), 유화상의 점성액(로션), 유화상의 크림, 에센스, 팩, 젤 상의 크림들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데베논을 포함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70065509A 2007-06-29 2007-06-29 주름개선용의 이데베논 및 이데베논을 포함하는 주름개선용화장료 조성물 KR200900012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5509A KR20090001265A (ko) 2007-06-29 2007-06-29 주름개선용의 이데베논 및 이데베논을 포함하는 주름개선용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5509A KR20090001265A (ko) 2007-06-29 2007-06-29 주름개선용의 이데베논 및 이데베논을 포함하는 주름개선용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1265A true KR20090001265A (ko) 2009-01-08

Family

ID=40484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5509A KR20090001265A (ko) 2007-06-29 2007-06-29 주름개선용의 이데베논 및 이데베논을 포함하는 주름개선용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1265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6742A (ko) 2015-08-04 2017-02-14 (주)아로마뉴텍 팥껍질 추출물 함유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물질의 제조 방법
KR20170027421A (ko) 2015-09-02 2017-03-10 (주)아로마뉴텍 복합 한약재 추출물 함유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101876A (ko) 2017-08-28 2017-09-06 (주)아로마뉴텍 팥껍질 추출물 함유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물질 및 그 제조 방법
KR20200079393A (ko) 2018-12-24 2020-07-03 주식회사 휴메딕스 이데베논이 포집된 리포좀을 함유하는 나노에멀젼
CN112402342A (zh) * 2020-12-01 2021-02-26 广州雅纯化妆品制造有限公司 一种抗老化的化妆品添加剂及其制备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6742A (ko) 2015-08-04 2017-02-14 (주)아로마뉴텍 팥껍질 추출물 함유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물질의 제조 방법
KR20170027421A (ko) 2015-09-02 2017-03-10 (주)아로마뉴텍 복합 한약재 추출물 함유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101876A (ko) 2017-08-28 2017-09-06 (주)아로마뉴텍 팥껍질 추출물 함유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물질 및 그 제조 방법
KR20200079393A (ko) 2018-12-24 2020-07-03 주식회사 휴메딕스 이데베논이 포집된 리포좀을 함유하는 나노에멀젼
CN112402342A (zh) * 2020-12-01 2021-02-26 广州雅纯化妆品制造有限公司 一种抗老化的化妆品添加剂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52168B2 (en) Methods of using cosmetic compositions comprising exopolysaccharides derived from microbial mats
KR101199672B1 (ko) 방향성 피부활성 성분을 사용하여 피부를 치료하는 방법
US20090136540A1 (en) Anti-aging composition and collagen production promoting composition
KR20140043746A (ko) 화장 조성물
JP5948374B2 (ja) 高麗人参果実アギタケ発酵液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の製造方法
EA035128B1 (ru) Применение композиции на основе олеаноил-пептида в недостаточно увлажненной коже человека
EP2662072A1 (fr) Principe actif obtenu a partir de cichorium intybus pour une action sur la fonction barriere de la peau similaire a celle de la vitamine D
WO2010145008A1 (en) Use of skin care compositions comprising laminariacea extract for treatment of skin aging signs
CN111182906A (zh) 处理红斑或皮肤炎症的局部皮肤用组合物
CN113384507B (zh) 一种抗老化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090001265A (ko) 주름개선용의 이데베논 및 이데베논을 포함하는 주름개선용화장료 조성물
KR101460669B1 (ko) 점액을 분비하는 어류로부터 수득한 점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13050697A2 (fr) Utilisation de glucanes obtenus a partir de prunus persica comme agent cosmetique anti-age
KR102129430B1 (ko) 기능성 펩타이드와 콜라겐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CN108403524A (zh) 一种高效祛斑组合物及其应用
US20240173237A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fibroblast growth factor 17
KR20150105550A (ko) 동물성 알의 점액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04075573A (ja) 皮膚化粧料
Oh et al. A study of anti‐wrinkle functions and improvement of cream with Phaseolus angularis
CN115154360B (zh) 一种具有美白祛斑及保湿功效的组合物及其应用
JPH11171722A (ja) 皮膚外用剤
KR100415430B1 (ko) 안정화시킨 l-아스코르브산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7562824A (zh) 用于抗皮肤衰老的化妆品组合物和面霜以及面膜液
KR20160081163A (ko) 컴파운드 k 및 이카리시드 b2를 함유하는 피부 보습 또는 미백용 외용제 조성물
KR20160081160A (ko) 컴파운드 k 및 파낙시돌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 또는 미백용 외용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