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7336A - 액정 형성 복합체를 함유하는 피부 보습 증진용 또는 각질감소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액정 형성 복합체를 함유하는 피부 보습 증진용 또는 각질감소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7336A
KR20090017336A KR1020070081988A KR20070081988A KR20090017336A KR 20090017336 A KR20090017336 A KR 20090017336A KR 1020070081988 A KR1020070081988 A KR 1020070081988A KR 20070081988 A KR20070081988 A KR 20070081988A KR 20090017336 A KR20090017336 A KR 200900173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cosmetic composition
liquid crystal
oil
composition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1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4968B1 (ko
Inventor
박미주
김세범
김승훈
이정근
채병근
강병영
김한곤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070081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4968B1/ko
Publication of KR20090017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73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4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49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95Liquid cryst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6Multiple emulsions, e.g. water-in-oil-in-wa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2Alcohols having more than seven atoms in an unbroken ch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보습 증진용 또는 각질 감소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급 지방족 알코올, 계면활성제 및 오일로 구성된 액정 형성 복합체(Liquid Crystal Complex)를 함유함으로써 피부 보습력 향상 및 각질 감소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액정 * 보습 * 각질

Description

액정 형성 복합체를 함유하는 피부 보습 증진용 또는 각질 감소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liquid crystal complex for enhancing moisturizing effect on the skin and for reducing skin roughness}
본 발명은 피부 보습 증진용 또는 각질 감소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급 지방족 알코올, 계면활성제 및 오일로 구성된 액정 형성 복합체(Liquid Crystal Complex)를 함유함으로써 피부 보습력 향상 및 각질 감소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외부에서부터 순서대로 표피, 진피 및 피하 조직의 3개 층으로 크게 구분되며, 체내의 제 기관을 기온 및 습도 변화, 자외선, 기타 물리적, 화학적인 외부 환경의 자극으로부터 보호해 주는 기능이 있다. 특히 표피에서는 인체 내부의 수분 증발을 방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표피는 외부로부터 순서대로 각질층, 과립층, 유극층 및 기저층으로 구분되며, 각질층의 세포들은 벽돌과 같은 역할을 하고, 각질세포 사이의 세포간 지질들은 모르타르와 같은 역할로 작용하여 피부 장 벽을 구성한다(J. Invest. Dermatol. 80(Suppl.), 44-49. 1983). 또한, 건강한 사람의 각질세포에는 고농도의 자연보습인자(Natural Moisturing Factor, NMF)가 존재하여 피부의 수분 보유를 돕는데, 예를 들면 아미노산과 같은 물질은 수용성이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수분과 결합하여 피부에서 수분이 건조되는 것을 억제한다(J. Invest. Dermatol. 54, 24-31, 1970).
그러나, 요즘과 같이 환경의 변화나 생활 패턴의 변화에 따른 냉/난방의 인위적인 온도 조절, 사회 생활에서 발생되는 각종 스트레스와 환경 오염으로 인한 피부 스트레스, 화장 습관에 따른 잦은 세안 및 연령 증가에 따른 자연적인 피부 노화 등의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하여 각질층의 수분이 감소하여 피부가 건조해지고 표면이 거칠게 되며 피부가 푸석거리고 윤기를 잃어 칙칙하게 보이는 등의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피부 보습제의 필요가 증가하고 있다.
종래에는 이를 위해 보습제로서 수분을 흡수하는 성질이 있는 휴멕턴트(humectant)나 수분 증발을 방지하는 폐쇄 보습제(Occlusive Moisturizer)를 사용하여 결국 각질층에서의 수분 보유를 증가시키는 하는 방식이 행해져 왔다. 휴멕턴트로는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솔비톨 및 2-피롤리돈-5-카르본산나트륨 등의 물질이 있으나 피부에 도포 시 끈적임이 심하거나 눅진한 느낌이 드는 단점이 있다. 폐쇄 보습제로는 세라마이드 등의 지질 성분이나 필수지방산 및 지질 복합체 등이 사용되었으나(J. Invest. Dermatol. (5), 731-740, 1994) 유화 제형의 안정도를 유지하는데 난점이 있으며 투명한 젤상의 제품을 제조하는 데에는 부적합한 단점이 있다.
이러한 카테고리의 보습원료의 단점은 수분을 함유하는 능력은 좋으나 보습감에 대한 지속력이 떨어진다는 것을 들 수 있다. 더욱이 건조한 환경에서는 오히려 피부 내의 수분을 흡수함으로써 피부를 더욱 건조하게 할 수도 있다는 가능성도 내포하고 있다. 이 성분들은 피부 내부의 수분이 증발되는 것을 막아주며 결과적으로 피부 보습력을 높여주게 된다. 일반적으로 보습 유지력은 오일, 왁스에 의한 방법보다 낮으나 흡수감, 끈적임, 번들거림 등의 부정적 효과를 낮추는 데는 효과적이다. 피부 장벽기능을 조절하는 물질을 이용한 보습의 경우, 니아신아미드(Niacinamide)와 같이 피부 장벽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세라마이드, 필라그린 등의 발현을 촉진함으로써 피부 장벽 기능을 강화하고 피부의 항상성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물질들이 이 카테고리에 속한다. 이는 가장 최근 각광을 받고 있는 부분으로서 항상성을 유지하게끔 도와주며 보습에 대한 근원적인 부분에 대한 접근이라는 점이 장점이다. 하지만 실질적으로 제형을 사용하였을 때 소비자가 직접적으로 보습감을 느끼기에는 오래 시간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그 효과마저 미약할 수 있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어 대부분 컨셉 원료로 그치는 경우가 많은 실정이다.
최근에는 각질층의 분화가 피부 수분의 건조를 막는데 중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되면서, 기저층의 각질형성세포에서 최외곽 각질층의 각질세포로 발달되는 분화과정이 정상적으로 행해져야 피부 수분 보유 장벽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즉, 각화의 과정 중 세포는 자연보습인자와 세포간 지질을 생성하게 되고, 그 결과 각질층은 견고하고 유연하게 되어 방어벽으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사람의 연령이 증가되면서 피부가 건조해지는 경향을 생리적으로 보면, 각질층의 탈락 시간이 길어지거나 표피세포의 지질 합성능력이 저하되고, 피부 각질층의 보습인자와 지질의 양이 감소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러므로, 각질형성세포의 분화를 촉진시킴으로써 피부 장벽의 강화를 유도하여 피부 수분 유지 기능과 외부 환경으로부터의 보호기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새로운 접근 방법이 가능해졌다.
또한 최근까지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라멜라 액정을 함유한 제형들은 피부 각질 구조와 유사한 장점으로 수분 보습력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원료들의 특정 조성에서만 가능하여 보편적으로 사용하기에는 문제점들이 있다.
일반적으로 액정은 화장품에 많이 도입되어 쓰이고 있으며, 유상에 녹인 후 오일의 확산에 의해 계면에서 형성되고, 피부 보습력을 높이는데 기여한다. 액정이 보습력 향상에 기여하는 첫번째 이유는 액정과 피부 지질간의 구조적 유사성에서 기인한다. 이러한 구조적 유사성으로 인해 액정 성분은 다른 성분들에 비해 피부 표면에 잘 펴 발려지게 되며, 결과적으로 피부를 매끄럽고 부드럽게 해준다. 또 다른 이유로는 액정은 일정량의 결정수(bounded water)를 포집하고 있게 되는데, 이러한 수분은 구속 받지 않는 물(free water)과는 달리 증발이 잘 되지 않는 특성이 있다. 즉, 이렇게 포집된 결정수들은 피부 위에서 액정과 같이 머물게 되며 결과적으로 피부 보유 수분량을 증가시키는데 기여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액정을 사람의 피부에 도포하였을 때 피부 각질 층에서 수분을 다량 함유하고 수분 증발을 감소시킴으로써 온도변화, 습도저하 및 바람 등의 환경 변화에 의하여 각질층 내 수분 부족 현상으로 인한 피부의 투명성 감소, 피부 거칠기 및 피부 윤기 저하 현상 등의 원인을 방지할 수 있게 만들어 주고 동시에, 각질형성세포의 분화를 촉진시켜 피부 장벽 강화를 유도하여 피부 수분 유지 기능을 향상시킴으로써 피부 보습 효과 및 각질 감소 효과가 우수해지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급 지방족 알코올, 계면활성제 및 오일로 구성된 액정 형성 복합체(Liquid Crystal Complex)를 함유하고 피부 보습 효과 및 각질 감소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고급 지방족 알코올, 계면활성제 및 오일로 구성된 액정 형성 복합체(Liquid Crystal Complex)를 함유함으로써 피부 각질 구조와 유사하고, 피부 각질 층에서 수분을 다량 함유하며 수분 증발을 감소시켜 피부에 대한 보습 효과 및 각질 감소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액정 형성 복합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장벽기능을 회복시켜 피부 보습 효과가 탁월하였으며, 피부 각질형성세포의 분화를 촉진하여 피부 각질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어 피부 보습용 또는 각질 감소용 화장료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액정 형성 복합체(Liquid Crystal Complex)를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및 각질 감소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액정 형성 복합체(Liquid Crystal Complex)는 고급 지방족 알코올, 계면활성제 및 오일로 구성되는데, 각 성분의 함량은 액정 형성 복합체 전체 중량에 대하여 고급 지방족 알코올 50~80 중량%, 계면활성제 10~40 중량% 및 오일 1~10 중량%로 구성된다 . 유화 제형내에 상기 액정 형성 복합체를 10% 사용하게 되는 경우, 고급 지방족 알코올은 약 5-8 중량%, 계면활성제는 약 1-4 중량%가 포함되게 된다. 또한 상기 고급 지방족 알코올, 계면활성제, 오일 함량에 대해서 제시된 중량% 미만에서는 유화 안정도가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고,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액정을 형성하는 유화 입자 크기가 불균일 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고급 지방족 알코올은 세테아릴알코올(Cetearyl Alcohol), 스테아릴알코올(Stearyl alcohol) 및 베헤닐알코올(Behenyl Alcohol)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계면활성제는 레시틴(Lecithin), 폴리솔베이트 80(Polysorbate 80), 솔비탄 스테아레이트(Sorbitan Stearate), 폴리옥시에틸렌 피토스테롤(Polyoxyetylene Phytosterol),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Glyceryl Monostearate),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소이빈 포스포리피드(Hydrogenated Soybean Phospholipid)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오일로는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이소부틴(Hydrogenated Polyisobutene), 에틸헥실팔미테이트(Ethyhexyl Palmitate), 스쿠알렌(Squalane), 마카다미아(Macadamia Nut Oil), 호호바오일(Jojoba Oil),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 리세라이드(Caprylic/Capric Acid Triglyceride),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이소세틸 올리베이트(Hydrogenated Isocetyl Olivate) 및 사이클로메티콘(Cyclomethico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고급 지방족 알코올, 계면활성제 및 오일을 혼합하여 70℃로 가열 용해시킨 후 균질화기로 분산시켜 혼합물을 제조한 다음 이 혼합물을 기밀 용기에 채우고 냉각기를 사용하여 실온으로 냉각시켜 본 발명에 의한 액정 형성 복합체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액정 형성 복합체는 상업적으로 시판되고 있는 NIKKOL Nikkomulese LC(제조회사: NIKKO CHEMICALS CO., LTD) 등의 제품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액정 형성 복합체를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2~10 중량%로 함유한다. 상기 액정 형성 복합체의 함량이 2 중량% 미만에서는 유화 안정도가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고, 1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액정을 형성하는 유화 입자 크기가 불균일 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인 피부 보습용 및 각질 감소용 화장료 조성물이 제형화되는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액정 형성 복합체가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 제형은 독특한 구조의 O/LC/W 에멀젼(Oil-in-Liquid Crystal-in-Water emulsions)을 형성하여 피부 각질 구조와 유사한 장점으로, 피부 각질 층에서 수분을 다량 함유하고, 수분 증발을 감소시킴으로써 우수한 피부 보습 효과 및 각질 감소 효과를 가진다.
이하, 실시예 및 시험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 및 시험예 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액정 형성 복합체의 제조
베헤닐 알코올 70 중량%,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25 중량%,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이소부틴 5 중량%를 혼합하여 70℃로 가열 용해시킨 후 균질화기로 분산시켜 혼합물을 제조한 다음 이 혼합물을 기밀 용기에 채우고 냉각기를 사용하여 실온으로 냉각시켜 액정 형성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제형예 1 및 비교제형예 1] 피부 보습용 화장료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액정 형성 복합체를 이용하여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제형예 1 및 비교제형예 1의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하기의 단위는 중량%이다.
구분 성분 비교제형예1 제형예1
수상 성분 1. 정제수 잔량 잔량
2. 글리세린 3 3
3. 부틸렌글리콜 2 2
4. 트리에탄올아민 0.18 0.18
5. 디소듐이디티에이 0.02 0.02
유상 성분 6. 액정 형성 복합체 - 5.0
7. 스쿠알렌 3 3
8. 사이클로메치콘 2 2
9. 카보머 0.3 0.3
10. 향 적량 적량
11. 방부제 적량 적량
<제조방법>
1) 수상성분 1-5를 혼합하여 70℃에서 완전 용해하였다.
2) 유상성분 6-11을 혼합하여 70℃에서 완전 용해하였다.
3) 상기 1)의 수상성분을 교반하면서 2)의 유상성분을 서서히 첨가하여 호모게나이저(Homogenizer)를 이용하여 유화하였다.
4) 유상성분의 첨가가 완료된 후 3-5분 가량 계속 교반한 다음, 30℃까지 냉각한 후 진공 탈기하여 에멀젼을 완성하였다.
비교제형예 1은 액정 형성 복합체가 들어가지 않은 대조군으로서 제작한 것이고, 제형예 1은 액정 형성 복합체를 5 중량% 첨가하여 제조한 것이다. 카보머와 트리에탄올아민은 점도를 높이기 위한 점증제로서 사용하였다. 그러나 각 성분의 사용 가능한 범위가 이 비율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제형예 1에서 제조한 에멀젼의 편광 현미경 사진이다. 내부 입자의 크기가 매우 규칙적이며 입자들 사이에 액정 구조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1] 액정 형성 복합체의 피부 보습 효과
본 발명에 의한 액정 형성 복합체의 보습 효과를 알아 보기 위하여, 액정 형성 복합체를 함유하는 제형예 1(O/LC/W 제형)과 액정 형성 복합체를 함유하지 않는 비교제형예 1(O/W 제형)의 피부 보습 효과를 알아보았다.
1회 도포 시 피부 보습지속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건조를 호소하거나, 건성 피부라고 생각되는 20-30대 성인 남,녀 50명에게 제형예 1와 비교제형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을 얼굴 및 전박 내측에 도포하도록 한 후, 24시간 동안 코니오미터(corneometer; CM820 courage Khazaka electronic GmbH, Germany)를 이용하여 피부 수분량을 측정하였다. 미리 도포 시작 전 항온, 항습 조건(24도, 습도 40%)에서 코니오미터를 이용하여 피부 수분량를 측정하여 기본 값으로 삼고, 12시간, 24시간 경과 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 Corneometer 측정방법]
원리: 피부의 표피내에 존재하는 수분의 양을 센서를 이용하여 수분의 이온정도를 측정, 이를 수치화하여 수분의 양을 계산함으로써 보습력을 측정한다.
1) 측정하고자 하는 피부 부위에 코니오미터의 프로브를 올려놓았다.
2) 프로브를 피부에 누르면 센서를 통하여 피부의 전기 전도도(capacitance)를 수치화하여 화면에 표시되었다.
3) 측정부위를 달리하여, 측정을 반복하였다.
4) 한번 측정 후, 킴와이프 같은 휴지로 센서를 닦은 후, 다시 측정하였다.
액정 형성 복합체 함유에 따른 피부 수분량(%)
시료 도포전 12시간 후 24시간 후
제형예 1 26 48 45
비교제형예 1 26 26 27
상기 표 2의 결과에서, 본 발명에 의한 액정 형성 복합체를 함유하는 제형예 1을 피부에 도포할 경우, 그 보습력이 24시간 이상 지속되고 피부 수분 함량 증가 효과 또한 매우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시험을 종료한 시점에 시험 대상자에 대하여 제형예 1 및 비교제형예 1을 사용하고 난 후의 피부 건조증 개선 효과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주관적인 효능 평가를 시행하였다. 설문조사는 피부 건조함 개선 효과 정도에 대하여 만족도를 매우양호, 양호, 보통 및 미흡으로 구분하여 표시하도록 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피부 건조증 개선 효과 설문
시료 응답자 수
매우 양호 양호 보통 미흡
제형예1 24 21 5 0
비교제형예1 1 5 26 18
상기 표 3의 결과에서, 본 발명에 의한 액정 형성 복합체를 함유하는 제형예 1의 경우 액정 형성 복합체를 함유하지 않은 비교제형예1에 비하여 피부 건조증 개선 효과가 월등함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2] 각질량 감소 효과
본 발명에 의한 액정 형성 복합체의 각질량 감소 효과를 알아 보기 위하여, 액정 형성 복합체를 함유하는 제형예 1(O/LC/W 제형)과 액정 형성 복합체를 함유하지 않는 비교제형예 1(O/W 제형)의 피부 각질량 감소 효과를 알아보았다.
피부 질환이 없는 20-30대 성인 남,녀 50명에게 제형예 1과 비교제형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을 하박 내측에 도포한 후, 24시간이 경과한 다음 Charm view(Moritex, Japan)를 이용하여 각질 감소량을 측정하였다. 미리 도포 시작 전 항온, 항습 조건(24도, 습도 40%)에서 Charm view를 이용하여 초기 피부 각질량을 측정하여 기본 값을 삼고, 24시간 경과 후의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4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액정 형성 복합체 함유에 따른 피부 각질량 변화(%)
시료 도포전 24시간 후
제형예 1 20.1 9.7
비교제형예 1 19.9 17.6
상기 표 4 및 도 2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본 발명에 의한 액정 형성 복합체를 함유하는 제형예 1(O/LC/W 제형)의 경우 액정 형성 복합체를 함유하지 않은 비교제형예 1(O/W 제형)에 비하여 피부 각질 감소 효과가 월등함을 알 수 있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의 편광 현미경 사진이다.
도 2는 액정 형성 복합체 함유에 따른 피부 각질량 변화를 보여준다.

Claims (9)

  1. 고급 지방족 알코올, 계면활성제 및 오일로 구성된 액정 형성 복합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급 지방족 알코올은 세테아릴알코올(Cetearyl Alcohol), 스테아릴알코올(Stearyl alcohol) 및 베헤닐알코올(Behenyl Alcoh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레시틴(Lecithin), 폴리솔베이트 80(Polysorbate 80), 솔비탄 스테아레이트(Sorbitan Stearate), 폴리옥시에틸렌 피토스테롤(Polyoxyetylene Phytosterol),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Glyceryl Monostearate)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소이빈 포스포리피드(Hydrogenated Soybean Phospholipid)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이소부틴(Hydrogenated Polyisobutene), 에틸헥실팔미테이트(Ethyhexyl Palmitate), 스쿠알렌(Squalane), 마카다미아(Macadamia Nut Oil), 호호바오일(Jojoba Oil),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 Acid Triglyceride), 하이드로제네이 티드 이소세틸 올리베이트(Hydrogenated Isocetyl Olivate) 및 사이클로메티콘(Cyclomethico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형성 복합체는 고급 지방족 알코올 50~80 중량%, 계면활성제 10~40 중량% 및 오일 1~10 중량%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형성복합체는 상기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2~10 중량%로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보습 증진용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8.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각질 감소용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9.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O/LC/W(Oil-in-Liquid Crystal-in-Water) 에멀젼으로 제형화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070081988A 2007-08-14 2007-08-14 액정 형성 복합체를 함유하는 피부 보습 증진용 또는 각질감소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049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1988A KR101404968B1 (ko) 2007-08-14 2007-08-14 액정 형성 복합체를 함유하는 피부 보습 증진용 또는 각질감소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1988A KR101404968B1 (ko) 2007-08-14 2007-08-14 액정 형성 복합체를 함유하는 피부 보습 증진용 또는 각질감소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7336A true KR20090017336A (ko) 2009-02-18
KR101404968B1 KR101404968B1 (ko) 2014-06-13

Family

ID=40686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1988A KR101404968B1 (ko) 2007-08-14 2007-08-14 액정 형성 복합체를 함유하는 피부 보습 증진용 또는 각질감소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4968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28263A (zh) * 2010-11-30 2013-07-31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用于美白和改善皮肤弹性的化妆品组合物
KR20140098449A (ko) * 2013-01-31 2014-08-08 (주)아모레퍼시픽 액정화 원료를 포함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WO2015080521A1 (ko) * 2013-11-29 2015-06-04 주식회사 아모레퍼시픽 라멜라 액정 구조를 가지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62994A (ko) * 2013-11-29 2015-06-08 (주)아모레퍼시픽 레시틴 계열의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라멜라 액정 구조를 가지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62993A (ko) * 2013-11-29 2015-06-08 (주)아모레퍼시픽 소르비탄 계열의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라멜라 액정 구조를 가지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62992A (ko) * 2013-11-29 2015-06-08 (주)아모레퍼시픽 글루코스 계열의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라멜라 액정 구조를 가지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CN105792806A (zh) * 2013-11-29 2016-07-20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具有层状液晶结构的毛发用化妆品组合物
EP3278789A4 (en) * 2015-03-31 2018-02-07 Amorepacific Corporation Cosmetic composition with multiple emulsion formulation having lamellar liquid crystal structure
KR20190016812A (ko) * 2017-08-09 2019-02-1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유화제 조합으로 점도를 컨트롤하는 액정유화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8743B1 (ko) * 2000-09-28 2006-06-13 엔프라니 주식회사 고보습성 액정을 포함하는 유화화장료 조성물
JP2003212716A (ja) 2002-01-23 2003-07-30 Hifu Rinsho Yakuri Kenkyusho Kk 液晶型乳化組成物
KR100530107B1 (ko) * 2002-12-28 2005-11-22 보령메디앙스 주식회사 액정막 유화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118363B1 (ko) * 2003-12-16 2012-03-08 (주)아모레퍼시픽 액정베이스를 함유하는 마스카라 조성물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28263A (zh) * 2010-11-30 2013-07-31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用于美白和改善皮肤弹性的化妆品组合物
CN103228263B (zh) * 2010-11-30 2016-04-20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用于美白和改善皮肤弹性的化妆品组合物
KR20140098449A (ko) * 2013-01-31 2014-08-08 (주)아모레퍼시픽 액정화 원료를 포함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WO2015080521A1 (ko) * 2013-11-29 2015-06-04 주식회사 아모레퍼시픽 라멜라 액정 구조를 가지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62994A (ko) * 2013-11-29 2015-06-08 (주)아모레퍼시픽 레시틴 계열의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라멜라 액정 구조를 가지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62993A (ko) * 2013-11-29 2015-06-08 (주)아모레퍼시픽 소르비탄 계열의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라멜라 액정 구조를 가지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62992A (ko) * 2013-11-29 2015-06-08 (주)아모레퍼시픽 글루코스 계열의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라멜라 액정 구조를 가지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CN105792806A (zh) * 2013-11-29 2016-07-20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具有层状液晶结构的毛发用化妆品组合物
EP3278789A4 (en) * 2015-03-31 2018-02-07 Amorepacific Corporation Cosmetic composition with multiple emulsion formulation having lamellar liquid crystal structure
CN110123655A (zh) * 2015-03-31 2019-08-16 爱茉莉太平洋股份有限公司 具有层状液晶结构的多重乳液剂型的化妆品组合物
KR20190016812A (ko) * 2017-08-09 2019-02-1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유화제 조합으로 점도를 컨트롤하는 액정유화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4968B1 (ko) 2014-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17336A (ko) 액정 형성 복합체를 함유하는 피부 보습 증진용 또는 각질감소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37558B1 (ko) 이중으로 안정된 세라마이드 나노 캡슐 포함 에멀젼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피부 화장료 조성물
KR101907225B1 (ko) 피부 보습제 및 노화 억제 제형
KR101838642B1 (ko) 피부 보습력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101466650B1 (ko) 폴리올 및 유화제를 포함하는 저 자극 및 고 보습성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0433113A (zh) 一种含有保湿抗衰组合物的精华露及制备方法
KR101189991B1 (ko) 백련초 추출물, 자작나무 수액, 엑스트라 버진 올리브 오일및 폴리올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04200B1 (ko) 꿀풀잎 추출물 및 알로에 베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12242B1 (ko) 레시친 및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나노에멀젼 및 이를 포함하는 보습제 조성물
KR101096277B1 (ko)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WO2011159439A2 (en) Skin moisturizer
KR20120057020A (ko) 피부 보습용 또는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55807B1 (ko) 피부 보습 및 탄력 개선 화장료 조성물
KR20070121239A (ko) 꿀 추출물 및 호박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조성물
DE212019000314U1 (de) Stabilisierte Emulsionen mit säurehaltigen Mitteln
KR20130042918A (ko) 피부 유수분 밸런스 유지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10013000A (ko) 각질 제거 및 수분량 증가를 통한 건조 및 가려움 완화 효과를 가지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02027B1 (ko) 바오밥 나무 열매 추출물과 콜라겐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탄력 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1359947B1 (ko) 보습 복합물을 함유한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17922B1 (ko) 감초 추출물과 천연 점증제를 함유한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88498B1 (ko) 보습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101077693B1 (ko) 자일리톨 및 베타-1,3-글루칸을 함유한 피부보습용 화장료조성물
KR20050110719A (ko)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45151A (ko)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RU2432152C2 (ru) Применение алкилоксазолидинона в качестве увлажняющего косметического агента и способ увлажнения кож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6